KR102249792B1 - Washstand Furniture - Google Patents
Washstand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9792B1 KR102249792B1 KR1020170029731A KR20170029731A KR102249792B1 KR 102249792 B1 KR102249792 B1 KR 102249792B1 KR 1020170029731 A KR1020170029731 A KR 1020170029731A KR 20170029731 A KR20170029731 A KR 20170029731A KR 102249792 B1 KR102249792 B1 KR 102249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drawer
- module
- air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in cabinet.
The sink bott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 basin including a wash bowl,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 basin, and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 basin; A cabinet disposed under the toilet bowl and forming a space therein; An air conditioner for discharging air into a space formed inside the cabinet; And a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dry household items mounted therein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대 아래의 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lower cabinet utilizing the space under the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lower cabinet accommodating a module therein.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말하며, 세면도구나, 샤워도구 등과 같이, 욕실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필요한 기구 등을 포함한다.The household items used in the bathroom refer to all kinds of equipment that can be used in the bathroom, and include equipment necessary for work performed in the bathroom, such as a washbasin or shower equipment.
욕실은 주로 물을 사용하여 일을 처리하는 공간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물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대다수이다. 따라서,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사용과정에서 물과 함께 사용될 경우, 사용후 집기에 물기가 남게 된다.The bathroom is a space where work is done mainly using water, and most of the furniture used in the bathroom is used with water. Therefore, if the household items used in the bathroom are used with water during the use process, moisture remains in the household items after use.
욕실은 다습한 공간으로, 내부공간이나 내부에 배치된 물건 등에 물때가 끼이거나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다. 따라서, 욕실에서 사용된 집기는 물기를 포함하고 있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되지 않도록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bathroom is a humid space, and it is easy to get dirt on the inside space or objects placed inside, or to propagate mold and bacteria. Therefore, the household items used in the bathroom contain moisture, so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moisture so that bacteria and molds do not grow.
집기에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탈수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탈수기는 이후 건조과정을 더 거쳐야하므로, 완전한 물기제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A dehydrator can be used as a method of removing moisture from household items, but since the dehydrator must further undergo a drying process afterwards, it is difficult to expect complete moisture remov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를 건조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lower cabinet that provides a space for drying household items used in a bathroo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욕실의 복수의 공간에 배치된 집기를 건조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lower cabinet for drying household item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s of a bathroom.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을 포함하여, 세면대 하부장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를 건조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lower part of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 basin including a wash basin,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 basin, and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 basin; A cabinet disposed under the toilet bowl and forming a space therein; An air conditioner for discharging air into a space formed inside the cabinet; And a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for drying household items mounted therein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and drying household items used in the bathroom by using a module accommodated in the lower cabinet of the sink. have.
또한, 집기건조모듈은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와 상기 캐비닛 전방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 및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랙을 포함하고, 모듈 내부에 집기를 거치하여 집기를 건조시킨다. In addition,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includes: a drawe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household items therein and movable between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rack disposed inside the drawer to mount the household items, and drying the household items by placing the household items inside the module.
또한,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여, 바스켓을 드로워에서 분리하여 욕실의 집기를 담거나, 바스켓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hold items dr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basket that is detachably disposed inside the drawer, and separates the basket from the drawer to store household items in the bathroom or to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basket.
집기건조모듈의 랙은 거치된 집기에 물기를 바스켓의 하부면으로 보내는 복수의 중공홀이 형성되어 집기에 포함된 물기를 바스켓으로 떨어뜨려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The rack of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has a plurality of hollow holes that send water to the mounted household item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ket,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household items can be dropped into the basket to remove moisture.
본 발명의 세면대 하부장의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드로워 내부를 연결하는 흡입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흡입부재; 및 상기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집기건조모듈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를 포함하여, 공조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동시켜 대류를 통해 집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The housekeeping drying module of the lower cabinet of the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ction member having a suction passage formed therein to connect the air conditioner and the inside of the drawer; And a discharge member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household collection drying modu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collection drying module, and flows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to dry the household items through convection.
본 발명의 집기건조모듈은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여, 모듈 내부의 집기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drawer; And an ultraviolet lamp disposed inside the door to sterilize household items mounted inside the drawer, thereby sterilizing and drying household items inside the modul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장치 하측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고, 모듈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고, 세면대의 하부공간에 공조장치와,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공조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하는 집기건조모듈을 포함하여, 세면대의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lower cabinet of 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interior space under the wash basin, accommodates a module therein, and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discharging air to the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device in the lower space of the wash basin. Wow,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dry household items used in the bathroom by utilizing the lower space of the wash basin, including a household items dry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to dry household items mounted inside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집기건조모듈이 드로워, 랙 및 바스켓을 구비하여, 바스켓으로 욕실의 다양한 장소에 배치된 집기를 수거하고 바스켓을 드로워 내부에 넣고 집기를 건조하여, 사용자에게 집기건조의 편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lower cabinet of the wash ba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wer, a rack, and a basket, and a basket is used to collect household items arranged in various places in the bathroom.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of housekeeping to custom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모듈에서 바스켓과 랙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랙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 작동에 따른 제1모듈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k lower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of the lower cabinet of th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ket and the rack are removed from the first module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ket and a rack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first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ink botto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자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k lower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dule of the lower cabinet of th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draw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sink lower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보올(22)과, 상기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22)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80);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100)을 포함한다.The wash basi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모듈이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방의 반대방향을 후방, 세면보올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향, 하부장 다리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향으로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the lower cabinet of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dule is drawn out of the cabinet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is toward the re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bowl is disposed is up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cabinet legs are disposed is downward. Explain.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세면장치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장치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받는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2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A washroom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on the wall of a toilet or washroom to wash your hands or face. The washing apparatus includes a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캐비닛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보올(22)은 세면대 하부장(10)의 상부에 배치된다. The
급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24), 상기 급수밸브(24)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6)를 포함한다. 급수밸브(24)는 세면보올(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한다. 급수호스(26)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호스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includes a
급수 어셈블리는 급수호스(26)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27)는 급수밸브(24)를 통해 세면보올(22)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배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 세면보올(22)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관(30)으로 보내는 팝업밸브(28)를 포함한다.The drain assembly includes a
세면장치 하부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배치된다. 캐비닛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다. A cabine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ink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이너캐비닛(40)과 이너캐비닛(40)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된 모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한다.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아우터캐비닛(62),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에 배치되는 후면-아우터캐비닛(64) 및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에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을 포함한다. The
이너캐비닛(40)은 내측면에 모듈을 이너캐비닛(40)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일부재(52)(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너캐비닛(40)은 모듈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48)을 형성한다. 이너캐비닛(40)은 하면(46)에 공조장치(8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연통홀(48)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40) 하면(46)에 형성된 연통홀(48)은 공조장치(80)의 토출구 주위로 형성된 하우징(82) 일부가 관통한다.In the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과 후면-아우터캐비닛(64) 사이에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유동할 수 있는 외부연결통로(68)가 형성된다. 외부연결통로(68)는 하부가 개구되어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연결된다.Between the rear surface 44 and the rear-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는 공조장치(80)가 배치된다. An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장치의 하중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 사이에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nk
이너캐비닛(40)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은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캐비닛은 내부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되는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모듈(200)은 이너캐비닛(40)의 상부에 배치된다. The sink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되는 제3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모듈(210)은 급수어셈블리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포함하거나, 공조장치(80)나 복수의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이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nk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50)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5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서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 내부는 파티션(50)을 기준으로 상측에 제2모듈(200)이 배치되고, 하측에 제1모듈(100)이 배치된다. 또한, 파티션(50)은 캐비닛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배치된다.The sink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하부장의 세면보올(22)과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에서 낙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상측커버(72)를 포함한다. 상측커버(72)는 세면보올(22)과 캐비닛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장치(80) 또는 복수의 모듈을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74)는 상측커버(72)의 일측에 배치된다.The sink
입력부(74)는 세면대 하부장(10)의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에 대한 동작 및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74)는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미도시) 만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을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하부장다리를 더 포함한다. The sink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거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장치(80)는 팬(94)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면을 향하는 제1토출구(86) 또는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88)(또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 하측에서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배치된 제1모듈(100)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에 장착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흡입구(84), 바닥을 건조하는 제1토출구(86) 및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제2토출구(88)를 형성하는 하우징(82), 상기 하우징(82)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84)로부터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94) 및 하우징(8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토출시키는 베인(90)을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공조장치(8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2)를 더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하우징(82)의 흡입구(84)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조필터(96)를 더 포함한다.The
베인(90)은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를 개폐한다. 베인(90)은 베인(90)구동모터로 작동한다. 베인(90)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가 개폐된다. 베인(90)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와 제2토출구(88)는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제1토출구(86)가 개방되면, 제2토출구(88)가 닫히고, 제1토출구(86)가 닫히면 제2토출구(88)가 개방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모듈에서 바스켓과 랙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랙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ket and the rack are removed from the first module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sket and a rack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s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또는 ‘집기건조모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를 건조한다.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열풍으로 내부에 수용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는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한다.The first module 100 (or “household dry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ries household items used in a bathroom. The
제1모듈(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캐비닛 내부와 캐비닛 전방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110)와,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되는 랙(160)을 포함한다. The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바스켓(150)은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으로 삽입된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내부에 배치된다. The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2)를 내부에 형성하는 흡입부재(118)와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제1모듈(10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126)를 더 포함한다.The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부(112)와, 전면부(112)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드로워손잡이(114)를 포함한다. 전면부(112)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면부(112)는 드로워(110)가 캐비닛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비닛의 개구된 전방을 커버한다. 드로워손잡이(114)는 사용자가 모듈을 캐비닛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대략 박스형상을 가진다.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이 개구된다. 드로워(110)의 상측에는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130)가 배치된다. 도어(130)는 드로워(110)의 상측에 힌지연결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상측에서 도어(130)를 개폐시키는 힌지 어셈블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42)는 도어(130)가 드로워(110) 상측을 개폐하도록 도어(130)를 회전이동시킨다. 힌지 어셈블리(142)는 내부로 배선을 관통시켜,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도어(130)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136)로 연결시킨다. 드로워(110) 상측의 도어(130)가 개방되면, 바스켓(150)을 드로워(110)에 끼우거나, 드로워(110)에서 꺼낼 수 있다.The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를 캐비닛 내부로 삽입하거나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는 이동레일(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116)은 드로워(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동레일(116)은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따라 이동한다. 드로워(110)의 이동레일(116)이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이동함으로써, 드로워(110)는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너캐배닛 외부로 인출된다.The
드로워(110)는 캐비닛 또는 파티션(50)으로부터 연결되는 배선을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128)를 포함한다. 배선연결부재(128)는 드로워(110)의 일측에서 캐비닛 또는 파티션(50)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연결부재(128)는 드로워(110) 후방에서 돌출되며, 파티션(50) 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The
배선연결부재(128)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배선이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28)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되는 배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자외선 램프(136)와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28)로 연결되는 배선은 힌지 어셈블리(142)를 관통하여 도어(130)의 테두리부(132) 내부로 이어져 자외선 램프(136)로 연결된다.The wiring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드로워(110)는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를 드로워(110) 내부로 유동시키는 흡입부재(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재(118)는 드로워(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부재(118)는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따뜻한 공기를 제1모듈(100) 내부로 유동시킨다. 흡입부재(118)는 단부에서 공조장치(80)의 토출구와 연결된다. 흡입부재(118)는 내부에 흡입유로(122)를 형성한다. 흡입부재(118) 내부에는 흡입유로(122)를 지지하는 흡입유로-지지부재(120)가 배치된다. 흡입유로-지지부재(120)는 흡입유로(12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The
드로워(110)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부재(118)는 공조장치(8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와 같이, 토출구 주위를 형성하는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이너캐비닛(40)의 연통홀(48)을 관통하여 흡입부재(118)의 흡입유로(122) 내부로 삽입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흡입부재(118) 단부에 형성된 흡입유로(122)는 이동레일(116)에 의해 드로워(110)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드로워(110)가 이너캐비닛(40) 외부로 인출되면, 흡입부재(118)와 공조장치(80)의 연결이 해제되고, 드로워(110)가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삽입되면, 흡입부재(118)와 공조장치(80)가 연결된다. The
드로워(110)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모듈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124)가 형성된 토출부재(1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토출부재(126)가 드로워(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 후방면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에 수용되는 바스켓(15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의 도어(130)가 배치되는 부분과 같은 높이에서 배치된다. 토출부재(126)가 배치된 부분에서 도어(130)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124)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The
드로워(110)의 상측에는 드로워(110)의 일측에 힌지고정된 도어(13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30)는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차폐부(134)와, 차폐부(134) 둘레로 배치되어 드로워(110) 상측을 밀폐하는 테두리부(132)를 포함한다. 차폐부(134)는 드로워(11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34)재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A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30)는, 도어(130)가 닫혔을 때, 드로워(11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드로워(11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In the
도어(130)는 외측에 도어(130)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손잡이(1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손잡이(133)는 테두리부(132)의 외측에 형성된다. The
도어(130)는 토출부재(126)와 인접한 부분에서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124)로 유동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토출구연결홈(138)을 형성한다. 토출구연결홈(138)은 토출부재(126)와 인접한 부분에서 테두리부(132) 내측으로 함몰되어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부재(126)의 토출구(124)로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The
테두리부(132)는 토출구연결홈(138)이 형성된 부분에서 테두리부(132)의 강성을 유지하는 토출구연결홈-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토출구연결홈-지지부재(140)는 토출구(124)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토출구(124)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한다. The
도어(130)에 형성된 토출구연결홈(138)으로, 도어(130)가 닫히더라도, 모듈 내부의 공기가 모듈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With the discharge
도어(130)는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는 도어(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테두리부(132)의 내측에는 드로워(110) 내부에 수용된 집기류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136)가 배치된다. The
바스켓(150)은 드로워(110) 내부에 수용된다. 바스켓(150)은 드로워(110)가 개방된 상측으로 드로워(110)에 삽입되거나, 드로워(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바스켓(150)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으로 개구된다. 바스켓(150)은 내부에 건조대상인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The
바스켓(150)은 하부면의 일측에 하부홀(152)이 형성된다. 하부홀(152)은 흡입부재(118) 내부의 흡입유로(122)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흡입유로(122) 및 하부홀(152)을 통해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다. The
바스켓(150)은 측면에서 바스켓손잡이(15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바스켓(150) 손잡이(114)를 이용하여 바스켓(150)을 드로워(110)에서 인출할 수 있다. The
랙(160)은 집기를 거치하는 부재이다. 랙(160)은 바스켓(150) 내부에 배치되어, 집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바스켓(150)의 하부면으로 보낸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하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랙(160)은 바스켓(15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랙(160)은 바스켓(150) 내부에 배치된 집기에서 떨어진 물기를 바스켓(150) 하부면으로 보내는 복수개의 중공홀(162)이 형성된다. 랙(160)은 집기가 거치된 랙의 상측과 상기 바스켓(150)의 하부면에 대향하는 랙의 하측을 연통하는 복수의 중공홀(162)이 형성된다. The
랙(160)은 바스켓(150)의 하부홀(15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공기유동홀(164)이 형성된다. 공기유동홀(164)은 드로워(110)의 흡입부재(118) 내부의 흡입유로(122)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랙(160)의 공기유동홀(164)을 통해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다.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랙(160)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한다. The
랙(160)은 공기유동홀(164)을 커버하는 유동홀커버(166)를 포함한다. 유동홀커버(166)는 공기유동홀(164)이 형성된 상측에 배치된다. 유동홀커버(166)는 랙(160)에 거치된 집기가 공기유동홀(164)을 통해 흡입유로(12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도 10은 공조장치 작동에 따른 제1모듈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of the first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는 바닥제습모드 또는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모듈건조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베인(90)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작동모드에 따라 제1토출구(86)와 제2토출구(88)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The
도 10을 참조하면, 공조장치(80)는 모듈건조모드에서, 제2토출구(88)가 개방되도록 베인(90)을 배치시킨다. 공조장치(80)는 히터(92)와 팬(94)을 작동시켜 모듈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제1모듈(100) 내부로 토출시킨다. 제2토출구(88)와 연결되는 흡입부재(118)를 통해 제1모듈(100)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된다. 제1모듈(100) 내부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모듈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제1모듈(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외부연결통로(68)로 유동하고, 외부연결통로(68)의 개구된 하부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module drying mode,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10 : 세면대 하부장 22: 세면보올
24 : 급수밸브 28 : 팝업밸브
40 : 이너캐비닛 50 : 파티션
60 : 아우터캐비닛 68 : 외부연결통로
72: 상측커버 74 : 입력부
80 : 공조장치 82 : 하우징
84 : 흡입구 86 : 제1토출구
88 : 제2토출구 100 : 제1모듈, 집기건조모듈
110 : 드로워 118 : 흡입부재
130 : 도어 150 : 바스켓
160 : 랙 10: sink bottom 22: toilet bowl
24: water supply valve 28: pop-up valve
40: inner cabinet 50: partition
60: outer cabinet 68: external connection passage
72: upper cover 74: input
80: air conditioning device 82: housing
84: suction port 86: first discharge port
88: second outlet 100: first module, houseware drying module
110: drawer 118: suction member
130: door 150: basket
160: rack
Claims (10)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고,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기건조모듈; 및
상기 집기건조모듈의 상측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토출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토출구연결홈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A wash-basin device including a wash-basin bowl, a water supply assemb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basin, and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supplied to the wash-basin;
A cabinet disposed under the toilet bowl and forming a space therein;
An air conditioner for discharging air into a space formed inside the cabinet;
A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drying household items mounted therein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oor including a shield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side of the housekeeping module, and an edge part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ielding part,
The door,
A sink bottom cabinet having a discharge port connection groove recessed into the edge portio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와 상기 캐비닛 전방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 및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랙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A drawe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household items therein and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A sink lower cabinet comprising a rack disposed inside the drawer to mount a household appliance.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바스켓 내부에 배치되는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2,
The pick-up dry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basket detachably disposed inside the drawer,
The rack is a sink lower cabinet disposed inside the basket.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공조장치와 상기 드로워 내부를 연결하는 흡입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흡입부재; 및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3,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A suction member having a suc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inside of the drawer formed therein; And
A sink lower cabinet comprising a discharge member having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on.
상기 바스켓은 상기 흡입부재의 흡입유로와 연결되도록 하부면 일측에 하부홀이 형성되는 세면대 하부장.Following paragraph 4,
The basket is a sink lower cabinet having a lower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of the suction member.
상기 랙은 집기에서 떨어진 물을 상기 바스켓의 하부면으로 보내는 복수의 중공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3,
The rack is a sink bottom cabinet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holes for sending water away from a household appliance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ket.
상기 랙은 상기 바스켓의 하부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공기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홀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공기유동홀 상측에 배치되는 유동홀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5,
The rack has an air flow hol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 hole of the basket is formed, and a sink lower cabinet comprising a flow hole cover disposed above the air flow hole to cover a portion of the air flow hole.
상기 토출부재는 드로워에 수용되는 상기 바스켓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4,
The discharge member is a sink lower cabinet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asket accommodated in the drawer.
상기 드로워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이 개구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고,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도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The method of claim 2,
The drawer is hollow inside, the upper side is open,
The door opens and closes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drawer,
The household appliance drying module,
The sink bottom cabinet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lamp disposed inside the door to sterilize household items mounted inside the drawer.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드로워 상측을 밀폐하고, 상기 토출부재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세면대 하부장.
The method of claim 8,
The rim portion,
A sink lower cabinet that seals an upper side of the drawer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air inside the housekeeping module flows to the discharge port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731A KR102249792B1 (en) | 2017-03-08 | 2017-03-08 | Washstand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731A KR102249792B1 (en) | 2017-03-08 | 2017-03-08 | Washstand Furni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953A KR20180102953A (en) | 2018-09-18 |
KR102249792B1 true KR102249792B1 (en) | 2021-05-07 |
Family
ID=6371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731A KR102249792B1 (en) | 2017-03-08 | 2017-03-08 | Washstand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792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7826A (en) * | 2000-11-30 | 2002-06-11 | Kazuhiro Sueyoshi | Structure for drainage section of washbasin |
JP2003299531A (en) * | 2002-04-08 | 2003-10-21 | Cleanup Corp | Dehumidification unit and kitchen furniture |
JP2005232873A (en) * | 2004-02-20 | 2005-09-02 | Yamaha Motor Co Ltd | Sink and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for sink |
JP2005328857A (en) * | 2004-05-18 | 2005-12-02 | Yamaha Livingtec Corp | Cabinet |
JP2006043188A (en) * | 2004-08-05 | 2006-02-16 | Sun Wave Ind Co Ltd | Kitchen unit |
JP2006223637A (en) * | 2005-02-18 | 2006-08-31 | Noritz Corp | Furniture |
JP2009011334A (en) * | 2007-06-29 | 2009-01-22 | Cleanup Corp | Drawer type drying storage and household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169305B1 (en) * | 2010-07-14 | 2012-07-30 | 조정자 | A sink unit |
KR101643740B1 (en) * | 2015-02-24 | 2016-07-28 | 이병희 | Sterilizer for sink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57356A (en) * | 1991-12-03 | 1993-06-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Toilet table |
KR20120000403U (en) * | 2010-07-08 | 2012-01-16 | 김기옥 | Drain pipe assembly for washstand |
-
2017
- 2017-03-08 KR KR1020170029731A patent/KR1022497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7826A (en) * | 2000-11-30 | 2002-06-11 | Kazuhiro Sueyoshi | Structure for drainage section of washbasin |
JP2003299531A (en) * | 2002-04-08 | 2003-10-21 | Cleanup Corp | Dehumidification unit and kitchen furniture |
JP2005232873A (en) * | 2004-02-20 | 2005-09-02 | Yamaha Motor Co Ltd | Sink and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for sink |
JP2005328857A (en) * | 2004-05-18 | 2005-12-02 | Yamaha Livingtec Corp | Cabinet |
JP2006043188A (en) * | 2004-08-05 | 2006-02-16 | Sun Wave Ind Co Ltd | Kitchen unit |
JP2006223637A (en) * | 2005-02-18 | 2006-08-31 | Noritz Corp | Furniture |
JP2009011334A (en) * | 2007-06-29 | 2009-01-22 | Cleanup Corp | Drawer type drying storage and household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169305B1 (en) * | 2010-07-14 | 2012-07-30 | 조정자 | A sink unit |
KR101643740B1 (en) * | 2015-02-24 | 2016-07-28 | 이병희 | Sterilizer for si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953A (en) | 2018-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8028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88029B1 (en) | Washstand Furniture | |
CN108567355B (en) | Under-counter of wash-stand | |
JP6437418B2 (en) | Dishwashing sink | |
KR102277699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77698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344151B1 (en) | Washstand Furniture | |
CN108571036B (en) | Lower cabinet of face washing table | |
KR102249792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84640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49791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90981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484777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81838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102249790B1 (en) | Washstand Furniture | |
KR20110001230U (en) | Devi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kitchen towels | |
KR102249789B1 (en) | Washstand Furni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