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21B1 -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 Google Patents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21B1
KR102249121B1 KR1020197021595A KR20197021595A KR102249121B1 KR 102249121 B1 KR102249121 B1 KR 102249121B1 KR 1020197021595 A KR1020197021595 A KR 1020197021595A KR 20197021595 A KR20197021595 A KR 20197021595A KR 102249121 B1 KR102249121 B1 KR 10224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urllc
polling
control channel
physical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290A (ko
Inventor
판 빈 반
링 유
제시안 리
피터 로스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09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04W74/06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13
    • H04W72/048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Abstract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의 PUCCH 리소스를, 스마트 결정론적 다운링크 폴링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해서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공유함으로써, PUCCH 리소스의 사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됨 - 와, 주어진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노드에 시그널링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폴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교시는 일반적으로 PUCCH 리소스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의 PUCCH 리소스를, 스마트 결정론적(deterministic) DL 폴링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해서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단락은 청구 범위에서 열거되는 본 발명의 배경 또는 정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은 추구될 수 있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전에 상정되거나 추구되지 않은 개념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단락에 기술된 것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단락에 포함됨으로써 선행 기술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 및/또는 도면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정한 약어는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ACK : 수신 확인(acknowledgement)
C-RNTI :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SI :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DC :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DL : 다운링크(downlink)
HARQ :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LTE :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IMO :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PCell : 1차 셀(primary cell)
PSCell : 1차 Scell(primary Scell)
PDCCH :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 :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Cell : 2차 셀(secondary cell)
UE :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RLLC : 초 신뢰성 및 저 대기 시간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을 지원하는 것이 5G의 주요한 혁신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것은 확립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Rel' 15 및 그 후속 버전에서 URLLC 지원의 3GPP 표준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 및 다른 양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음으로써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비-URLLC UE의 수 대 URLLC UE의 수에 대한 PUCCH 용량 제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장치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LTE에서의 PUCCH 배치 및 할당을 도시한다.
도 4는 제안된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의 PUCCH 공유의 설명을 도시한다.
도 5는 URLLC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데 가능한 eNB 폴링을 사용하는 PUCCH 리소스 할당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의 PUCCH 리소스를, 스마트 결정론적 DL 폴링으로 개선된 방식으로 공유하는 것을 제어하는 신규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URLLC UE를 지칭하는 것은 URLLC 서비스를 가지고 있거나 URLLC 서비스가 가능한 UE(예를 들어,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 상태임)를 지칭할 수 있고, 비-URLLC UE를 지칭하는 것은 URLLC 서비스를 갖고 있지 않거나 혹은 URLLC 서비스가 불가능한 UE, 즉 비-URLLC UE(예를 들어, 서빙 네트워크에 접속 상태임)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한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URLLC UE"는 URLLC 서비스와 비-URLLC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URLLC UE는 URLLC 트래픽만을 통신할 수도 있고 URLLC 트래픽과 비-URLLC 트래픽을 모두 통신할 수도 있다.
URLLC 패킷을 0.5ms 정도로 낮은 대기 시간 요건으로 전달하기 위해서[3GPP TR38.913], URLLC UE는 고속 UL 액세스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URLLC UE에서 이러한 고속 UL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거의 어느 시점에나 SR(scheduling request)을 서빙 eNB에 신뢰성 있게 송신할 수 있도록, LTE에서 PUCCH 리소스라고 지칭되는 UL(ultra-frequent) 제어 채널 리소스를 URLLC UE에서 이용 가능하게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LTE에서, PUCCH 리소스는 전용 방식으로 개별적인 사용자 장비에게 할당된다. 이 방법이 URLLC 지원에 적용되는 경우에 PUCCH 리소스의 과도한 낭비와 연계된 심각한 용량 제한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예측할 수 없는 URLLC의 이벤트-기반 패킷 전송을 고려할 때 그러하다. 그 이유는, URLLC UE를 위한 PUCCH 리소스가 서브-프레임마다, 1ms 또는 1ms의 몇분의 일만큼 빈번하게 URLLC UE에 전용으로 할당되어야 하지만, URLLC UE가 연속된 패킷 전송 이벤트들의 사이에서는 비활성화되므로 이들 PUCCH 리소스는 대부분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의 설명을 단순한 수치 실시예를 통해 예시하기 위해, 1ms의 서브-프레임 당 10개의 PUCCH 리소스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서빙 셀을 상정한다. PUCCH 인스턴스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식으로; 즉 현재의 LTE에서와 같이, 하기 종래 기술 단락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가진 0.5ms의 2개의 연속적인 타임-슬롯의 PUCCH 인스턴스의 쌍이나; 또는, 예를 들어, 5G와 같이 0.1ms 타임-슬롯당 1개 PUCCH 인스턴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정규의 비-URLLC UE에 대해서 예컨대, 10ms마다 한 쌍의 전용 PUCCH 인스턴스가 할당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PUCCH 용량(10ms 동안 100 인스턴스)은 최대 50개의 비-URLLC UE를 수용할 수 있다. 각 URLLC UE에 대해서, 어떤 종류의 데이터 트래픽을 URLLC UE가 가질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1ms 미만의 대기 시간을 갖는 고가용성(high-availability)의 UL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1ms 당 한 쌍의 PUCCH 인스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PUCCH 용량(1ms 동안 10 인스턴스)은 최대 5개의 URLLC UE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서빙 셀이 50개까지의 비-URLLC UE와 5개 혹은 심지어 그 이상의 URLLC UE의 데이터 트래픽 믹스를 동시에 처리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을 가질지라도, 서빙 셀이 5개의 URLLC UE를 서비스하고 있고, 각각의 URLLC UE가 1ms 당 한 쌍의 전용 PUCCH 인스턴스를 할당받는 경우, 비-URLLC UE에 대한 PUCCH 인스턴스가 부족해서 비-URLLC UE는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이 수치 실시예에서 비-URLLC UE의 수 대 URLLC UE의 수에 대한 PUCCH 용량 제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PUCCH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의 PUCCH 리소스를, 스마트 결정론적 DL 폴링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해서 개선된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공유하는 것을 고려한다. 비-URLLC UE 및 URLLC UE 모두에 대해 동시에 PUCCH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고,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점선(110)이 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 당 요구되는 결정론적 엔드-투-엔드 대기 시간에 매우 시간적으로 민감한 URLLC를 지원할 필요가 없다면, 랜덤 또는 경쟁-기반 기술과 달리, 결정론적 채널 액세스 기법 또는 메커니즘이 선호된다는 점에 주의한다. 이로 인해서, URLLC를 지원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리소스 공유의 문제가 훨씬 어려워진다.
3GPP TR38.913은 URLLC를 지원하기 위한 RAN 레벨 요건을 포착했다. 그러나, URLLC 지원에 대한 기술적인 솔루션과 기능 세부 사항은 상당히 공지되어 있다.
또한, LTE의 PUCCH에 관한 TS 36.300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5.2.3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는 업링크의 제어 채널 리소스에 매핑되어야 한다.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의 유무에 따라서, 스케줄링 요청에 대한 업링크 물리 제어 시그널링은 다를 수 있다.
pTAG에 대해 시간 동기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아웃밴드 제어 시그널링은
- CSI;
- ACK/NAK;
- 스케줄링 요청(SR)
으로 구성된다.
CSI는 스케줄러에게 UE가 보고 있는 현재의 채널 조건을 통지한다. MIMO 전송이 사용되면, CSI는 필요한 MIMO 관련 피드백을 포함하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응답하는 HARQ 피드백은, 비-번들링 구성의 경우에 전송 블록 당 단일 ACK/NAK 비트로 이루어진다.
SR 및 CSI를 보고하기 위한 PUCCH 리소스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할당되고 취소될 수 있다. SR은 RACH를 통해 동기화를 획득하는 UE에 반드시 할당될 필요는 없다(즉, 동기화된 UE은 전용 SR 채널을 가질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UE가 더 이상 동기화되지 않으면, SR 및 CSI에 대한 PUCCH 리소스는 손실된다.
PUCCH는 PCell, PUCCH SCell(CA에서 구성된 경우) 및 PSCell(DC에서)에서 전송된다.
물리 계층은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다.
현재, PUCCH는 UL 캐리어 대역폭의 한쪽 끝에 있는 1개의 RB(resource block) 및 이에 후속해서 UL 캐리어 대역폭의 반대 쪽 끝에 있는 후속하는 슬롯의 다른 RB로 이루어지며, 이는 최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한다. PUCCH 제어 영역은 이들 2개의 RB를 모두 포함한다.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 서브 프레임 당 예컨대, 1, 2, 4, 8 및 16개 PUCCH 제어 영역이 있으며, 이는 1.25, 2.5, 5, 10 및 20MHz의 UL 반송파 대역폭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LTE에서의 PUCCH 리소스 배치 및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다른 견해에서는 URLLC에 대한 감지 기반 경합 회피(contention avoidance)를 사용하는 경합-기반 리소스 공유 방식을 제안하는데, 이는 신뢰성 및 대기 시간 측면에서 URLLC의 극단적인 요건은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의 개요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결정론적 DL 폴링과 연계해서 URLLC UE와 비-URLLC UE 사이에서 PUCCH 리소스를 할당하고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전자 장치의 개략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2의 네트워크 노드(22)는 통신 네트워크 클라우드(200)와 관련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2)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22A)와 같은 컨트롤러,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22C)이 저장된 메모리(MEM)(22B)로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 및 안테나(200F)로부터 데이터/제어 경로(212F)를 통해서 UE(21)의 안테나(21F)와 통신하고 및/또는 데이터/제어 경로(215F)를 통해서 UE(23)의 안테나(23F)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합한 RF 송수신기(22D)를 포함한다(MIMO 동작이 사용 중일 때 몇가지). 네트워크 노드(22)는 데이터/제어 경로(212F)를 통해서 UE(21)에 연결된다. 경로(212F)는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2)는 또한 예컨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폴링 협업 동작을 위한 또 다른 eNB 등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다른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UE(23)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23A)와 같은 컨트롤러,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23C)이 저장된 메모리(MEM)(23B)로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 및 안테나(들)(23F)를 통해서 및/또는 하드와이어 접속을 통해서 UE(21), 네트워크 노드(22) 및/또는 클라우드와 연관된 다른 장치와 양방향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무선 주파수(RF) 송신기 및 수신기 쌍(송수신기)(23D)을 포함한다. 나아가, 또한, UE(23)는 접속(222F) 등을 통해서 UE(21)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UE(21)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DP)(21A)와 같은 컨트롤러, 컴퓨터 명령어의 프로그램(PROG)(21C)이 저장된 메모리(MEM)(21B)로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 및 안테나(들)(21F)를 통해서 및/또는 하드와이어 접속을 통해서 UE(23), 네트워크 노드(22) 및/또는 클라우드와 연관된 다른 장치와 양방향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무선 주파수(RF) 송신기 및 수신기 쌍(송수신기)(21D)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E(23)는 접속(222F) 등을 통해서 UE(21)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노드(22), UE(21) 및/또는 UE(23)는 각각 리소스 모듈(22G, 21G 및 23G)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리소스 모듈(21G, 22G, 및/또는 23G)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 제한의 예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프로그램(21C, 22C 및 23C) 중 적어도 하나는 관련된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에 대해서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DP(21A, 22A, 및/또는 DP)(23A)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소스 모듈(21G, 22G 및 23G)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PUCCH 할당 및/또는 폴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소스 모듈(21G, 22G, 및 23G)은 실행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데이터 프로세서, 메모리, 프로그램, 송수신기 및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의 몇가지 비한정의 측면들 및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21)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버, 셀룰러 모바일 장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기능을 가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컴퓨터, GPS 장치, 통신 기능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처 장치, 통신 기능을 가진 게이밍 장치, 통신 기능을 가진 음악 저장 및 재생 장치, 무선 인터넷 액세스 및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장치 및 이러한 기능의 조합을 포함하는 휴대형 유닛이나 단말기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21B, 22B, 23B)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으며, 반도체 기반 메모리 장치, RAM, ROM,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메모리 장치 및 시스템, 광학 메모리 장치 및 시스템, 고정형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21A, 22A, 23A)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일 수 있으며,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초한 프로세서가 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어진 PUCCH 인스턴스가 도 4에 도시된 N개의 상이한 사전 결정된 URLLC UE 및 1개의 비-URLLC UE까지 할당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정수이다. 비한정의 실시예에 따라서 N개의 상이한 URLLC UE는 도 2에 도시된 UE(21) 및/또는 UE(23)와 같은 UE에 의해 사전 결정될 수 있으며,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22)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사전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또한, 이 정보는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통신될 수 있다. 도 4는 서브 프레임마다 하나의 PUCCH(도 4에서 RS 리소스라고 함)를 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개개의 PUCCH 인스턴스 각각은 N개의 상이한 URLLC UE 및 M개의 상이한 비-URLLC UE 중 하나에 의해 공유된다. 일반적으로, N=1은 URLLC UE 사이에 전용 PUCCH 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와 같으며, 도 1에 도시된 수치 실시예의 견지에서, 점선(110)은 5와 같은 URLLC UE의 최대수의 세로선에서 멈춘다. N>1은 도 1의 점선(110)이 5개의 URLLC UE의 PUCCH 용량 한계를 넘어서 5*N까지 더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서빙 eNB은 특정 UE가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로 전송할 수 있는 결정론적 지식을 항상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i) 필요한 대기 시간 내에 이벤트-트리거 URLLC 패킷을 언제든지 송신하기 위한 SR을 개시할 수 있도록 UL 액세스를 획득하기 위해서, 개개의 URLLC UE가 1ms당 충분한 PUCCH 할당을 갖도록 보장한다는 것; 및 (ii) 비-URLLC UE를 서빙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충분히 큰 수의 URLLC UE를 서빙하면서, 과도한 PUCCH 리소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적어도 2개의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N은 URLLC을 지원하기 위한 PUCCH 용량 스케일링 인자로서 간주될 수 있다. N은, 이하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결정론적 eNB 폴링으로 인해서, 셀 단위로 구성되고 최적화될 수 있다. 특정 PUCCH 인스턴스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UE의 경우, 이 PUCCH 인스턴스로 송신되는 UL 제어 정보는 대응하는 UE의 C-RNTI에 의해 마스킹되어야 하며, 즉 즉, UE ID는 공유된 PUCCH 인스턴스 상의 제어 정보와 함께 표시되어야 한다. PUCCH 인스턴스 상에 단 하나의 비-URLLC만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비-URLLC UE에 대해서는 C-RNTI 마스킹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개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2 이상의 특정 UE에 할당되는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eNB가 신호의 존재, 예를 들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충분한 전력을 검출했지만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로 전송된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실패한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서빙 eNB은 특정 UE에 대해 폴링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 주어진 PUCCH 인스턴스가 하나의 특정 URLLC UE 및 하나의 특정 비-URLLC UE에 할당되는 경우, eNB는 적어도 URLLC UE에 대해 UL 승인을 즉시 스케줄링하고, 예를 들어 대응하는 PDCCH를 통해서 URLLC UE에 URLLC UE에 이를 표시할 수 있다. eNB가 비-URLLC UE에 대한 UL 승인을 즉시 스케쥴링할 수 있는지 여부가 특정한 구현예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TTI의 경우에는 PUCCH 할당은 하나의 비-URLLC UE까지 포함할 수 있고, 다른 TTI의 경우에는 PUCCH 리소스는 다수의 비-URLLC UE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 주어진 PUCCH 인스턴스가 2 이상의 특정 URLLC UE에 할당되는 경우에, eNB는 즉시 할당된 개개의 UL 승인으로 이들 특정 URLLC UE를 모두 폴링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로 실제로 송신되는 것은 적어도 어떠한 추가 지연도 없이 UL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는, 모든 URLLC UE가 실제로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로 전송되지 않고, 따라서 UL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는 일부 UL 승인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eNB는 2 이상의 URLLC UE에 대해서 폴링할 필요가 있을 확률은, (i) 주어진 PUCCH 인스턴스가 2 이상의 특정 URLLC UE에 할당될 필요가 있을 확률; 및 (ii) 이들 특정 URLLC UE 중 2 이상이 동일한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동시에 SR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확률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점에 주의한다. 인자 (i)는 서빙 RAN의 PUCCH 용량 및 서빙되는 URLLC UE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인자 (ii)는 이들 특정 URLLC UE 중 2 이상이 동일한 PUCCH 인스턴스로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개개의 URLLC UE의 전송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특정 URLLC UE 중 2 이상이 1ms의 몇분의 일인 동일한 시간 슬롯에서 활성화될 확률과 관련된다. 따라서, eNB가 2 이상의 URLLC UE를 폴링할 필요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안된 결정적 폴링에 의해 야기되는 추가 오버헤드는 무시할 수 있다. 주어진 PUCCH 인스턴스가 비-URLLC UE에도 할당되는 경우에, eNB가 비-URLLC UE에 대한 UL 승인을 즉시 스케줄링할 수 있는지 여부는 옵션이다.
도 5는 URLLC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결정론적 eNB 폴링과 연계된 제안된 PUCCH 리소스 할당을 도시한다. 추가적인 상세한 실시예는 다음 단락에서 설명된다. 도 5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이 장치는 비한정 예로서 도 2의 장치와 관련해서 비-URLLC UE(21), URLLC UE(23) 및 서빙 eNB(22)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단계 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URLLC UE 및 URLLC UE에 대한 PUCCH 리소스를 결정하며, 여기서 URLLC UE 및 비-URLLC UE는 PUCCH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PUCCH 리소스의 정보는 비-URLLC UE(21) 및 URLLC UE(23)로 송신되어서 UE에서 재구성된다. 이후, 단계 540 및 단계 5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URLLC UE(21) 및 URLLC UE(23)는 PUCCH 리소스를 사용해서 서빙 eNB(22)에 시그널링한다. 단계 560에서, PUCCH 리소스로 송신된 비-URLLC UE(21) 및 URLLC UE(23)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기는 하지만 디코딩하지 못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후, 단계 570 및 5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패한 디코딩에 응답해서 비-URLLC UE(21) 및 URLLC UE(23)에 대한 폴링을 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NB 폴링은, DL 제어 채널 PDCCH를 사용해서, 즉 URLLC인지 비-URLLC인지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모든 관련 UE에 공통인 PDCCH를 통해 송신된 개개의 UE의 C-RNTI로 어드레싱된 규칙적인 UL 승인을 통해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URLLC UE에 대한 eNB 폴링은 공통 PDCCH를 통해 수행되는 반면, 관련 URLLC UE에 대한 eNB 폴링은 별개의 공통 DL 제어 채널 또는 URLLC UE에만 전용인 리소스를 통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대안의 그룹 기반 폴링이 구현될 수 있다. 이 대안에서, 그룹 기반 폴링 C-RNTI(또는 동일한 시간 슬롯 내의 주파수-멀티플렉싱된 PUCCH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C-RNTI)가 도입되어서 동일한 시기에 폴링되는 모든 관련 UE에 대해서 폴 및 연관 UL 승인을 어드레싱하는데 사용된다. 관련된 UE란, 대응하는 PUCCH 인스턴스로 SR를 실제로 전송했고 개별 UL 승인을 승인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들 URLLC UE에 대해서,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련 UE의 개별적인 C-RNTI로 직접 어드레싱되거나 혹은 그룹 기반 폴링 C-RNTI으로 간접 어드레싱되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의 경우, 관련 UE는 그룹 기반 폴링 C-RNTI로 어드레싱된 UL 승인으로부터 개별 UL 승인을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련 URLLC UE에 대한 eNB 폴링은 L2/L3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L2/L3 폴링 메시지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룹 기반 폴링 C-RNTI에 대해 스케줄링된 리소스로 관련 URLLC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할당받은 주어진 PUCCH 인스턴스로 실제로는 송신하지 않지만 폴링되어서 UL 승인을 얻은 UE는, 이 폴을 무시하거나 혹은 이 폴을 모니터해서 할당받은 UL 승인을 서빙 eNB에 예를 들어 어떤 측정값이나 상태 업데이트 또는 SR과 같은 특정 정보를 표시 혹은 보고하는데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만약 서빙 eNB이 그 때까지 UL 전송을 필요로 한 경우). 이와 관련하여, 거짓 폴링을 무시하도록 비-URLLC UE를 구성하고 거짓 폴링을 모니터해서 이용하도록 URLLC UE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다수의 서빙 셀 및 eNB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접속 모드로 서비스될 수 있으므로(이는 디폴트로서 될 수도 있고 혹은 적어도 URLLC UE에 대해 예상될 수도 있음), eNB 폴링은 관련 UE를 서빙할 때 포함되는 eNB들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예를 들어 특정 URLLC UE의 폴링을 개시하도록 결정하는 서빙 eNB가 폴링될 관련 URLLC UE(이들 UE는 전체 구성된 서빙 셀 클러스터에 걸쳐서 고유 UE ID를 갖고 있다고 가정함)의 다른 이웃하는 eNB(구성된 서빙 셀 클러스터 내의 셀)에 통지할 수 있고, 표시된 URLLC UE를 서빙할 때 포함된 다른 이웃하는 eNB는 또한 표시된 URLLC UE에 대한 UL 승인을 직접적으로 또는 초기 eNB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URLLC UE가 다중 접속으로 SR을 2 이상의 서빙 eNB에 병렬로 즉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SR이 하나의 서빙 eNB에서는 정확하게 수신되는데 다른 서빙 eNB에서는 수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함되는 eNB는 특정 URLLC UE의 폴링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UE가 다중 접속으로 서빙받는 경우에, PUCCH 리소스는 UE에 다중 접속을 제공하는 개개의 셀로부터 폴링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따라서, URLLC UE에 대한 PUCCH 리소스의 할당은, 1 이상의 URLLC UE 사이에서 PUCCH 인스턴스를 공유할 필요성을 최소화해서 폴링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매우 빈번한 PUCCH 기간이 개별 URLLC UE에 대해 재분배 및 할당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PUCCH 리소스 풀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리소스 및 UE가 결정론적이고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결정론적 폴링에는 PUCCH 리소스 이외의 공유가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이는 요청하는 URLLC의 효율적인 지원에 바람직하다.
도 6(a)는 비한정의 예로서 도 2의 네트워크 노드(22) 즉 eNB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도시한다. 단계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 당 사전 구성된 수의 이용 가능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인스턴스 중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단계가 있다. 단계 6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수신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수신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와 연관된 각 사용자 장비에 대해 폴링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있다. 이후, 단계 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링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에 기초해서, 관련된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해 리소스를 할당해서 폴링을 수행하는 단계가 있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그널링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디코딩될 수 없고, 폴링은 시그널링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것에 응답하는 것이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업링크 승인을 포함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승인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식별자로 어드레싱된다. 이 식별자는 예컨대, C-RNTI일 수도 있고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URLLC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는 사전 구성된 수의 상이한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까지 할당되며,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까지 할당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는,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URLLC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적어도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스케일링 인자에 기초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기반 폴링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거나 혹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계된 그룹-기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모든 사용자 장비에 공통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되거나, 또는 URLLC UE에 특정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되거나, 또는 URLLC UE에 전용인 채널 리소스이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관련 사용자 장비가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셀의 액세스 노드와 다중 접속 모드에 있는 경우, 폴링을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셀의 액세스 노드와 조정하는 단계가 있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조정은 폴링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의 액세스 노드에 대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통지하는 것 및 액세스 노드로부터 폴링을 포함하는 업링크 승인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2의 DP(22A) 및/또는 DP(22G))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도 2의 PROG(22C))가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도 2의 MEM(22B)).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네트워크(도 2의 네트워크 노드(22))에 의해서,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사용자 장비(UE(21) 및/또는 UE(23))에 서브 프레임 당 사전 구성 가능한 수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중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를 할당하는 수단(도 2의 RX(22E), TX(22D), PROG(22C) 및/또는 DP(22A) 및/또는 RM(22G)); 주어진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수신된 시그널링에 기초해서, 수신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와 연계된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폴링이 요구되는지 결정하는 수단(도 2의 PROG(22C) 및/또는 DP(22A) 및/또는 RM(22G); 및 결정에 기초해서, 폴링을 수행하도록 관련된 사용자 장비 각각에 리소스를 할당하는 수단(도 2의 RX(22E), TX(22D), PROG(22C) 및/또는 DP(22A) 및/또는 RM(22G))이 있다.
도 6(b)는 비 한정의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UE(21) 및/또는 UE(23)와 같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2의 단계 6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있으며, 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다. 단계 6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에 시그널링하는 단계가 있다. 그 후, 단계 6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에 기초해서, 후속해서,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폴링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시그널링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것에 응답해서 수신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업링크 승인을 포함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승인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로 어드레싱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URLLC UE이고,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는 사전 구성된 수의 상이한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까지 할당되며,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까지 할당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는,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URLLC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적어도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스케일링 인자에 적어도 기초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하며, 그룹 기반 폴링은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거나 혹은 그룹-기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된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URLLC UE이다.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폴링은 모든 사용자 장비에 공통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되거나, 또는 URLLC UE에 특정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할당되거나, 또는 URLLC UE에 전용인 채널 리소스이다.
적어도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도 2의 DP(21A), DP(22A) 및/또는 DP(22G))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도 2의 PROG(22C))가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도 2의 MEM(22B)).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도 2의 네트워크 노드(22))에 의해서, 통신 네트워크의 컴퓨터 네트워크(도 2의 네트워크 노드(22))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도 2의 RX(21E), RX(23E), TX(21D), TX(22D), PROG(21C) 및/또는 PROG(23C))(여기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됨); 주어진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노드에 시그널링하는 수단(도 2의 (RX(21E), RX(23E), TX(21D), TX(22D), PROG(21C) 및/또는 PROG(23C)); 및 시그널링에 기초해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폴링을 후속해서 수신하는 수단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측면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다른 측면은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이 블록도, 흐름도로서 또는 일부 다른 회화적 표현을 사용하여 도시되고 설명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러한 블록, 장치, 시스템, 기술 또는 방법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제어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적 회로 모듈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집적 회로의 설계는 전반적으로 고도로 자동화된 프로세스이다. 로직 레벨의 설계를 반도체 회로 설계로 변환하여 반도체 기판상에 에칭하여 형성되게 준비하는 복잡하고 강력한 소프트웨어 툴이 이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시적인'은 '예(example), 예시(instance) 혹은 실례(illustration)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가 반드시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 바람직하다거나 선호된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혹은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설명은 예 및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자에 의해 현재 고려되는 최선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완전하고 유익한 설명을 제공했다. 그러나, 전술한 설명을 첨부 도면 및 부속된 청구 범위와 관련하여 읽을 때,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다양한 수정 및 개조가 명백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에 대한 이러한 모든 유사한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접속된", "연결된"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활용은 2개 이상의 요소 사이의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임의의 접속 또는 연결을 의미할 수 있고, 함께 "접속된" 또는 "연결된" 두 요소 사이의 중간에 있는 2 이상의 요소의 존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요소 사이의 연결 또는 접속은 물리적, 논리적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2개의 요소는 2 이상의 배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팅된 전기적 접속의 사용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몇몇 비제한적이고 비배타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학 영역(가시 영역 및 비 가시 영역 모두)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 에너지의 사용에 의해 함께 "접속된" 또는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 중 일부는 다른 특징의 대응하는 사용 없이도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1)

  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장치에 할당된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됨 - ;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시그널링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폴링 - 상기 폴링은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함 - 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상기 시그널링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것에 응답해서 수신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상기 장치의 식별자로 어드레싱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사용자 장비 및 적어도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URLLC 사용자 장비이며,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에까지 할당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적어도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에 할당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URLLC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스케일링 인자에 적어도 기초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반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거나 또는 그룹 기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사용자 장비인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모두에 공통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URLLC 사용자 장비에 특정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URLLC 사용자 장비에 전용인 채널 리소스를 통해 할당되는
    장치.
  10.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장치에 의해, 서브 프레임 당 사전 구성된 수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 중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며,
    소정의 서브 프레임 내의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수신한 시그널링에 기초해서, 상기 수신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와 관련된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폴링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폴링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에 기초해서, 상기 관련된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한 리소스를 할당해서 상기 폴링 -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함 - 을 수행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서 디코딩될 수 없고,
    상기 폴링은 상기 시그널링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것에 응답하는 것인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식별자로 어드레싱되는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URLLC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사전 결정된 수의 사전 구성된 URLLC 사용자 장비에까지 할당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적어도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에 할당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연계된 URLLC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스케일링 인자에 적어도 기초하는
    장치.
  17. 삭제
  18.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반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로 어드레싱되거나 혹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그룹 기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로 어드레싱되는
    장치.
  19.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모두에 공통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URLLC 사용자 장비에 특정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URLLC 사용자 장비에 전용인 채널 리소스를 통해 할당되는
    장치.
  20.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사용자 장비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셀의 액세스 노드와 다중 접속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폴링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2 이상의 셀의 상기 액세스 노드와 조정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은, 상기 장치에 의한, 폴링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액세스 노드로의 통지 및 액세스 노드로부터 폴링을 포함하는 업링크 승인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2.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됨 - 와,
    주어진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시그널링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폴링 - 상기 폴링은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상기 시그널링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것에 응답해서 수신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로 어드레싱되는
    방법.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URLLC 사용자 장비 및 적어도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URLLC 사용자 장비이며,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에까지 할당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는 적어도 하나의 비-URLLC 사용자 장비에 할당되는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구성된 수의 사전 결정된 URLLC 사용자 장비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URLLC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스케일링 인자에 적어도 기초하는
    방법.
  28.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반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거나 또는 그룹 기반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에 어드레싱되는
    방법.
  29.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URLLC 사용자 장비인
    방법.
  30.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 모두에 공통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URLLC 사용자 장비에 특정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URLLC 사용자 장비에 전용인 채널 리소스를 통해 할당되는
    방법.
  31.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 당 사전 구성된 수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 중 소정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에 할당하는 단계와,
    소정의 서브 프레임 내의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수신한 시그널링에 기초해서, 상기 수신한 할당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리소스 인스턴스와 관련된 각각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폴링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폴링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에 기초해서, 상기 관련된 사용자 장비 각각에 대한 리소스를 할당해서 상기 폴링 - 상기 폴링은 상기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그룹 기반 폴링을 포함함 - 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21595A 2016-12-23 2017-12-11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KR10224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8566P 2016-12-23 2016-12-23
US62/438,566 2016-12-23
PCT/IB2017/057808 WO2018116051A1 (en) 2016-12-23 2017-12-11 Pucch resource allocation for urllc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290A KR20190099290A (ko) 2019-08-26
KR102249121B1 true KR102249121B1 (ko) 2021-05-07

Family

ID=6262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595A KR102249121B1 (ko) 2016-12-23 2017-12-11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4520B2 (ko)
EP (1) EP3560259B1 (ko)
KR (1) KR102249121B1 (ko)
CN (1) CN110235488B (ko)
WO (1) WO2018116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5645B2 (en) * 2018-08-16 2024-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hared resource configuration for bandwidth parts
US11038626B2 (en) 2018-11-13 2021-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reliability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201702B2 (en) 2018-11-13 2021-12-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reliability improvement for advanced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0839A1 (en) * 2009-10-28 2011-05-05 Nokia Siemens Networks Oy Resource setting control for transmission using contention based resources
US8917614B2 (en) * 2010-02-05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miss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101814396B1 (ko) * 2010-04-28 2018-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쟁 기반의 식별자를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US9532373B2 (en) * 2011-08-22 2016-1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llision resolution for PUCCH scheduling requests
GB2497734B (en) * 2011-12-16 2014-11-26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to an uplink resource
WO2013114157A1 (en) * 2012-01-31 2013-08-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BR112015006936B1 (pt) * 2012-09-28 2022-12-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étodo para alocação de recurs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ões, aparelho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US9319188B2 (en) * 2013-01-17 2016-04-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CN104938008B (zh) * 2013-01-23 2020-07-2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网络中的资源分配的方法和设备
WO2016108666A1 (ko) * 2014-12-31 2016-07-0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170112B2 (ja) * 2015-10-21 2017-07-26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データの処理方法及び装置
CN107734676B (zh) * 2016-08-12 2021-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RU2750617C2 (ru) * 2016-09-28 2021-06-3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Произвольный доступ в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ледующего поколения
EP3944704B1 (en) 2016-09-29 2023-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6768816B2 (ja) * 2016-09-30 2020-10-1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056*
3GPP R1-16112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4520B2 (en) 2021-07-13
US20200015270A1 (en) 2020-01-09
WO2018116051A1 (en) 2018-06-28
EP3560259A1 (en) 2019-10-30
KR20190099290A (ko) 2019-08-26
EP3560259B1 (en) 2024-03-27
CN110235488A (zh) 2019-09-13
CN110235488B (zh) 2023-04-28
EP3560259A4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6970B1 (en) Uplink bandwidth part switching on new radio unlicensed
CN110024467B (zh) 冲突处理的方法、及其用户设备和基站
US20210315008A1 (en) Multipl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for scheduled downlink transmission on unlicensed spectrum
US10904919B2 (e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4430539B (zh) 用户设备、基站以及其车到万物通信方法
US10904903B2 (en) Scheduling UEs with mixed TTI length
JP6568944B2 (ja) 複数の時間インスタンス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
US10784996B2 (en) HARQ feedback on grant-less UL
CN103069913A (zh) 用于在无线网络中确定何时使用基于竞争的接入来发射数据的方法和装备
CN106664714B (zh) 蜂窝网络中周期性上行链路许可对准
US11234250B2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ncy reduc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EP3297379B1 (en) Resource coordination method and device
US20210227592A1 (en) Base station configured hybrid random access procedure
KR102249121B1 (ko) Urllc 지원을 위한 pucch 리소스 할당
WO2017113077A1 (zh) 一种上行紧急业务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CN114616911A (zh) 信息指示方法及装置
US10952100B2 (en) UL scheduling timing with short TTIs in TDD
CN113711676A (zh) 用于nb-iot的资源配置
CN113747590A (zh) 用于终端设备协作的方法、电子设备及芯片系统
CN114143857B (zh) 灵活的传送网
CN106162836B (zh) 一种无线通信方法
CN117917167A (zh) 主动的cot请求
CN117999813A (zh) 主动cot请求
CN117397330A (zh) 侧链路通信的harq ack反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