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739B1 -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739B1
KR102248739B1 KR1020200140791A KR20200140791A KR102248739B1 KR 102248739 B1 KR102248739 B1 KR 102248739B1 KR 1020200140791 A KR1020200140791 A KR 1020200140791A KR 20200140791 A KR20200140791 A KR 20200140791A KR 102248739 B1 KR102248739 B1 KR 10224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eart rate
status information
breathing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멀티
Priority to KR102020014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61B5/7257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using Fourier trans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를 받는 대상인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진료의자와,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을 분석한 후,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별로 분석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호흡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심박/호흡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자 관리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치과병원의 치과용 진료의자들에 존재하는 각 환자의 심박 및/또는 호흡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HEARTBEAT/RESPIRATION OF PATIENT USING DENTAL CHAIR}
본 발명은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진료의자에 구비된 레이터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환자의 가슴 변위를 통한 심박/호흡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흡수와 같은 생체신호는 인체의 건강상태, 이상 유/무를 가장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주로 중환자, 응급환자, 수술 중 환자, 수술/처치/검사/회복 후 환자 또는 건강 유지에 취약한 노약들에게 생체신호측정기(예를 들어, 호흡기)를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체크하고 있다.
예컨대, 수술 중인 환자에게 산소마스크를 부착시켜 수술 중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게 되는데, 산소마스크는 환자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으며, 산소마스크와 함께 호흡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는 많은 수의 연결선으로 인해 의사 등 의료진의 동선에 제약을 주어 시술 또는 수술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병원에서 입원 또는 수술하고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병원 밖에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호흡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호흡 패턴이 불안정한 노약자나 부모와 다른 공간에서 생활하는 영유아들의 호흡 패턴이나 수면 중 호흡 패턴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면 중에 일시적으로 호흡을 하지 않는 질병인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정도에서 나아가, 실제적인 호흡수 또는 호흡량을 측정하여 그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병원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호흡 측정 장비 없이 사용자의 호흡수 및 호흡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병원 내의 의사 등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단순 센서 등을 몸에 부착하여 그 센서로부터 획득된 1차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그 정확도에 있어서 병원 장비를 통해 호흡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비해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654914호(호흡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호흡 측정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 가능한 패드와, 상기 패드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몸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는 3개 이상의 센서와, 상기 3개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1 신호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2 신호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시간차 내에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의 피크값이 나타나는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호흡수로 카운트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용자의 호흡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호흡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병원 밖의 일상생활 중의 사용자의 호흡 데이터를 병원 등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원격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산소마스크 등의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여, 수술 및 다양한 치료와 병행하면서 환자의 호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호흡 측정 장치 및 호흡 측정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는 접촉식 장치로서,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으면 호흡을 측정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54914호(2016.10.10. 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6-0005092호(2006.01.1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병원에서 치과용 진료의자에 구비된 레이더를 통하여 근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치과용 진료의자에 존재하는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환자의 심박 및/또는 호흡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치과 병원에서 치과용 진료의자들을 이용하여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빈호흡 등의 상태정보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과 치료를 받는 대상인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진료의자; 및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을 분석한 후,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별로 분석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치과용 진료의자는, 해당 각 환자의 엉덩이와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모듈; 상기 시트모듈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해당 각 환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상기 등받이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모듈; 및 상기 등받이모듈의 후면에 설치되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심박/호흡측정모듈은, 상기 치과용 진료의자에 존재하는 해당 각 환자에 대하여 레이더 펄스(Radar Pulse)를 갖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더 송신부; 상기 레이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가 해당 각 환자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제1 신호와 관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더 수신부; 및 상기 레이더 송신부 및 상기 레이더 수신부로부터 송수신된 제1 및 제2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호흡 및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통해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의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의 피크 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주파수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위상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레이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의 전자파가 반사되어 돌아올 때, 상기 레이더 수신부를 통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복수의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 중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만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를 고속푸리에변환(FFT)을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호흡수 및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을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피크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크값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각 환자의 심박에 관한 상관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 대하여 연속값 사이의 위상차가 ±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위상에서 2π을 더하거나 차감하여 위상 언래핑(Phase Unwrapping)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위상 언래핑 처리된 위상에 대해 연속 위상값을 빼는 위상 차(Phase Difference)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위상 언래핑 및 위상 차 처리된 주파수에 대하여 스팩트럼 추정을 실시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호흡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호흡수 주파수 영역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심박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심박수 주파수 영역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심박/호흡측정모듈은, 상기 레이더 송신부에 구비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마다 기 설정된 각도로 위상 변화를 줄 수 있는 빔스티어링(Beam St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환자를 추적하는 측정환자 추적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측정환자 추적부로부터 추적된 각 환자의 호흡 및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바탕으로 호흡 과정에서 들이쉬는 들숨이나 내쉬는 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을 획득하여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에 대한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별로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관리자가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단말은, 미리 설치된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 원형 및 막대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가 기 설정된 호흡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호흡수이하 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호흡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각 환자별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가 기 설정된 심장박동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심장박동수이하 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심장박동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각 환자별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환자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분석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환자 심박/호흡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치과 병원에서 치과용 진료의자에 구비된 레이더를 통하여 근거리에서 비접촉식으로 치과용 진료의자에 존재하는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환자의 심박 및/또는 호흡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치과 병원에서 치과용 진료의자들을 이용하여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빈호흡 등의 상태정보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치과용 진료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심박/호흡측정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레이더(Radar) 센서를 이용하여 치과용 진료의자에 존재하는 환자의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이때, 상기 레이더 센서는 특정 방향으로 전자파를 송신하는 센서로서, 예컨대, 밀리미리파 레이더 센서(mmWave Rada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밀리미리파 레이더 센서는 30GHz ~ 300G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센서이다.
상기 밀리미터파 주파수는 특정 방향으로 전자파를 집중시킬 수 있는 지향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지향성의 특성을 갖는 주파수로 구성된 전자파는 외부의 다른 동작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다중 인체의 생체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리미리파 레이더 센서에서 출력된 전자파가 사람 및 사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 전자파의 데이터(RSS 값)를 비교하면, 사물 및 사람 각각의 유전율에 따라 사물과 사람이 서로 다른 양의 반사 전자파의 양을 반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고, 출력 전자파 대비 반사 전자파에 대한 회귀 분석을 통해 전자파를 반사한 대상이 사물인지 또는 사람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치과용 진료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심박/호흡측정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외부의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 및 환자 관리서버(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의 단말(또는 클라이언트 단말)(2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는 치과 치료를 받는 대상인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환자의 엉덩이와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모듈(110)과, 시트모듈(110)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환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모듈(120)과, 등받이모듈(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모듈(130), 등받이모듈(120)의 후면에 설치되어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1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등받이모듈(120) 또는 헤드레스트모듈(130)은 환자의 하악과 상악 치료 여부에 따라 의사의 치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각도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치과용 진료의자(100)의 상부에는 조명등(150)이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좌우에는 기구 선반과 조절기 등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심박/호흡측정모듈(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이더 송신부(141), 레이더 수신부(142), 신호처리부(143), 및 전원공급부(14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심박/호흡측정모듈(140)은 측정환자 추적부(14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심박/호흡측정모듈(14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심박/호흡측정모듈(14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이더 송신부(141)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에 존재하는 환자에 대하여 레이더 펄스(Radar Pulse)를 갖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레이더 송신부(141)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에 존재하는 해당 환자에 대하여 레이더 펄스를 갖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해당 환자의 감지를 위한 임펄스 신호를 외부에 방사(Radiation)하는 구성요소이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임펄스 발생기(Impulse Generator), 송신 안테나(Transmit Antenna), 및 송신 제어부(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임펄스 발생을 위한 데이터를 상기 임펄스 발생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임펄스 발생기는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더 수신부(142)는 레이더 송신부(141)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가 해당 환자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제1 신호와 관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레이더 수신부(14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수신 안테나(Receive Antenna), 및 수신 제어부(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안테나는 레이더 송신부(141)에 의해 방사된 펄스의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지향성을 가지는 초광대역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제어부는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검출 대상인 해당 환자의 반사 신호뿐만 아니라 주변 사물에 의한 반사 신호도 포함하게 되며, 해당 환자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객체 이외의 다른 신호들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수신 제어부에는 통상적인 구성요소들 예컨대, 증폭부, A/D변환부, D/A변환부, 샘플링부, 복조부, 필터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통상적인 레이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신호처리부(143)는 레이더 송신부(141) 및 레이더 수신부(142)로부터 송수신된 제1 및 제2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환자의 호흡 및/또는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신호처리부(143)는 반사 전자파의 데이터로부터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을 전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 전자파의 데이터에는 환자의 호흡 및/또는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자파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에는 지배적인 주파수 피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해당 주파수 피크의 빈도가 환자의 호흡률 및/또는 심박률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통해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의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의 피크 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주파수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위상 값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레이더 송신부(141)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의 전자파가 반사되어 돌아올 때, 레이더 수신부(142)를 통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복수의 반사 전자파(예컨대, 직접 들어온 반사 전자파, N회 반사된 반사 전자파 등)인 제2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 중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만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획득된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를 고속푸리에변환(FFT)을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을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피크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크값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환자의 심박에 관한 상관 계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 대하여 연속 값 사이의 위상차가 ±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위상에서 2π을 더하거나 차감하여 위상 언래핑(Phase Unwrapping) 작업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 대하여 위상 언래핑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부(143)는 위상값이 [-π, π] 사이에 있으므로 연속값 사이의 위상차가 ±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위상에서 2π을 더하거나 뺌으로써 위상 언래핑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위상 언래핑 처리된 위상에 대해 연속 위상 값을 빼는 위상 차(Phase Difference) 작업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차의 처리를 통해 해당 환자의 심장 박동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위상 편차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위상 언래핑 및 위상 차 처리된 주파수에 대하여 스팩트럼 추정을 실시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호흡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호흡수 주파수 영역(예컨대, 0.1Hz에서 0.5Hz 사이)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심박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심박수 주파수 영역(예컨대, 0.8Hz에서 4.0Hz 사이)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의 심박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3)는 측정환자 추적부(145)로부터 추적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 및/또는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44)는 전술한 각 부들 즉, 레이더 송신부(141), 레이더 수신부(142), 신호처리부(143), 및/또는 측정환자 추적부(145)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계속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예컨대, AC 220V)을 직류(DC) 및/또는 교류(AC) 전원으로 변환되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44)에는 외부의 전원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고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관리부는 ESD(Electro Static Damage) 보호기, 전원 감지기, 정류기 및 전원 차단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SD 보호기는 정전기 또는 급격한 전원 충격으로부터 전장 부품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감지기는 허용 전압 범위 외의 전압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전원 차단기에 차단신호를 보내고,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전압 변화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 신호를 상기 정류기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변동을 최소하여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의 정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 차단기는 상기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단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측정환자 추적부(145)는 레이더 송신부(141)에 구비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마다 기 설정된 각도로 위상 변화를 줄 수 있는 빔스티어링(Beam St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측정 환자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빔스티어링 기술을 사용하면 송신 안테나가 예컨대, 2개지만 3명 이상도 측정할 수 있는데, 약 60GHz 파장 해상도인 5mm와 20도 단위로 설정하면 동시에 8명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 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 및/또는 외부의 단말(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 및/또는 외부의 단말(20)이 환자 관리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 및/또는 외부의 단말(20)과 환자 관리서버(2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의 심박/호흡측정모듈(140)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의 심박/호흡측정모듈별로 분석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의 심박/호흡측정모듈(140)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바탕으로 호흡 과정에서 들이쉬는 들숨이나 내쉬는 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을 획득하여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환자 관리서버(200)는 호흡 과정에서 들이쉬는 들숨이나 내쉬는 날숨의 주기를 관찰하고 호흡간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호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잠을 자고 있으면서 들이쉬는 들숨이나 내쉬는 날숨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측정함과 아울러 가슴 변위가 변하지 않는 시간을 측정해서 수면의 질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에 대한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별로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2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관리자가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통신망(10)을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20)에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의 심박/호흡측정모듈(140)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가 기 설정된 호흡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호흡수이하 및/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호흡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각 환자별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2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100-1 내지 100-N)의 심박/호흡측정모듈(140)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가 기 설정된 심장박동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심장박동수이하 및/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심장박동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각 환자별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25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환자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단말(2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단말(2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단말(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환자 관리서버(2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단말(2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환자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단말(2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환자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단말(2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단말(2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환자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단말(2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관리서버(2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 관리서버(200)는 와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부의 단말(20)은 미리 설치된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 원형 또는 막대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은 환자 관리서버(2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분석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환자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환자 관리서버(2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단말(20)(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 단말)은 환자 관리서버(200)에서 다운로드된 환자 심박/호흡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 관리서버(200)에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 및/또는 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또는 호흡의 질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단말(2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통신망(10) 및/또는 서버(Server)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단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외부의 단말(2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외부의 단말(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은 외부의 단말(20)과 환자 관리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외부의 단말(2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e)은 외부의 단말(2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부(29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외부의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 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은 외부의 단말(20)의 개폐 상태, 외부의 단말(2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외부의 단말(20)의 방위, 외부의 단말(2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외부의 단말(2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의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a)는 외부의 단말(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외부의 단말(2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c)는 외부의 단말(2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의 단말(2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 심박/호흡 측정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의 단말(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의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외부의 단말(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외부의 단말(2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치과용 진료의자,
110 : 시트모듈,
120 : 등받이모듈,
130 : 헤드레스트모듈,
140 : 심박/호흡측정모듈,
141 : 레이더 송신부,
142 : 레이더 수신부,
143 : 신호처리부,
144 : 전원공급부,
145 : 측정환자 추적부,
150 : 조명등,
200 : 환자 관리서버

Claims (24)

  1. 치과 치료를 받는 대상인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용 진료의자; 및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빈호흡을 분석한 후,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별로 분석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과호흡, 및 빈호흡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자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각 치과용 진료의자는, 해당 각 환자의 엉덩이와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모듈과, 상기 시트모듈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해당 각 환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모듈과, 상기 등받이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모듈과, 상기 등받이모듈의 후면에 설치되며, 레이더를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는 심박/호흡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심박/호흡측정모듈은, 상기 치과용 진료의자에 존재하는 해당 각 환자에 대하여 레이더 펄스(Radar Pulse)를 갖는 제1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더 송신부와, 상기 레이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가 해당 각 환자로부터 반사되고, 상기 제1 신호와 관련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더 수신부와, 상기 레이더 송신부에 구비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마다 기 설정된 각도로 위상 변화를 줄 수 있는 빔스티어링(Beam St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환자를 추적하는 측정환자 추적부와, 상기 레이더 송신부 및 상기 레이더 수신부로부터 송수신된 제1 및 제2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호흡 및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통해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의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의 피크 값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주파수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주파수의 위상 값을 획득하며, 상기 레이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제1 신호의 전자파가 반사되어 돌아올 때, 상기 레이더 수신부를 통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복수의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반사 전자파인 제2 신호 중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만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동일한 주파수대의 데이터를 고속푸리에변환(FFT)을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 중 호흡수 및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추출하며, 상기 변환된 주파수 영역을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피크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피크값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각 환자의 심박에 관한 상관 계수를 산출하며,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 대하여 연속값 사이의 위상차가 ±π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위상에서 2π을 더하거나 차감하여 위상 언래핑(Phase Unwrapping) 작업을 처리하며, 상기 위상 언래핑 처리된 위상에 대해 연속 위상값을 빼는 위상 차(Phase Difference) 작업을 처리하며, 상기 위상 언래핑 및 위상 차 처리된 주파수에 대하여 스팩트럼 추정을 실시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를 결정하며,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호흡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호흡수 주파수 영역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를 결정하며,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피크에 대한 심박수의 상관 관계식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와 관련된 주파수에서 기 설정된 심박수 주파수 영역에 포함된 주파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를 결정하며, 상기 측정환자 추적부로부터 추적된 각 환자의 호흡 및 심박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위상 변화에 따라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환자 관리서버는,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를 바탕으로 호흡 과정에서 들이쉬는 들숨이나 내쉬는 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을 획득하여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을 분석하고,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해당 각 환자에 대한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해당 각 환자에 대한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별로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자가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의 단말에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호흡수가 기 설정된 호흡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호흡수이하 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호흡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해당 각 환자별로 호흡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치과용 진료의자의 심박/호흡측정모듈로부터 검출된 해당 각 환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에 대한 생체정보와 관련된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각 환자의 심박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심박수가 기 설정된 심장박동 기준 지속시간이상 지속되면서 기 설정된 최저 기준 심장박동수이하 또는 기 설정된 최고 기준 심장박동수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생성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각 환자별로 심박수 생체이상 알림메시지를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의 단말은, 미리 설치된 환자 심박/호흡 측정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 원형 및 막대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간별/일별/요일별/주별/월별로 해당 각 환자의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환자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분석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환자 심박/호흡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 저장된 해당 각 환자별 가슴 변위에 대한 변화 상태정보, 심박수, 과호흡/빈호흡 상태정보, 들숨/날숨의 주기와 함께 호흡간 간격 상태정보, 및 호흡의 질 상태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200140791A 2020-10-28 2020-10-28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91A KR102248739B1 (ko) 2020-10-28 2020-10-28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91A KR102248739B1 (ko) 2020-10-28 2020-10-28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39B1 true KR102248739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791A KR102248739B1 (ko) 2020-10-28 2020-10-28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1091A1 (zh) * 2022-08-23 2024-02-29 德沃康科技集团有限公司 毫米波检测装置、安装结构、控制系统、座椅及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92A (ko)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씨아이디 수면 무호흡증 무선 감시장치
JP2011092627A (ja) * 2009-11-02 2011-05-12 Yoshida Dental Mfg Co Ltd 診療装置及び診療方法
KR101654914B1 (ko) 2014-08-12 2016-10-10 주식회사 고니메드 호흡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호흡 측정 방법
KR20170071247A (ko) * 2015-12-15 2017-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생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8072A (ko) * 2015-01-28 2017-09-2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일관성 있는 환자 상황에 대한 건강 상태 트렌드들
KR102128719B1 (ko) * 2020-01-10 2020-07-02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092A (ko)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씨아이디 수면 무호흡증 무선 감시장치
JP2011092627A (ja) * 2009-11-02 2011-05-12 Yoshida Dental Mfg Co Ltd 診療装置及び診療方法
KR101654914B1 (ko) 2014-08-12 2016-10-10 주식회사 고니메드 호흡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호흡 측정 방법
KR20170108072A (ko) * 2015-01-28 2017-09-26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일관성 있는 환자 상황에 대한 건강 상태 트렌드들
KR20170071247A (ko) * 2015-12-15 2017-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생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719B1 (ko) * 2020-01-10 2020-07-02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1091A1 (zh) * 2022-08-23 2024-02-29 德沃康科技集团有限公司 毫米波检测装置、安装结构、控制系统、座椅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ib et al. Smart homes that monitor breathing and heart rate
KR102236863B1 (ko) 레이더를 이용한 치과용 진료의자의 환자 심박/호흡측정 장치
Gia et al. Energy efficient fog-assisted IoT system for monitoring diabetic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US20210052221A1 (en) System, method, and smartwatch for protecting a user
US2020039733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for monitoring a tissue of a user
US20210000347A1 (en) Enhance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an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remote physiological monitoring of subjects
Farahani et al. Towards fog-driven IoT eHealth: Promises and challenges of IoT in medicine and healthcare
Lamonaca et al. An overview on Internet of medical things in blood pressure monitoring
US20140278475A1 (en) Tele-analytics based treatment recommendations
KR102128719B1 (ko)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7408160A (zh) 可定制的健康监视
WO2020041715A1 (en) System, method, and smartwatch for fall detection, prediction, and risk assessment
KR102241569B1 (ko)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통행자 모니터링 시스템
Parra et al. Multimedia sensors embedded in smartphone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and e-health
Trobec et al. Body sensors and electrocardiography
Malik et al. A survey of research in WBAN for biomedical and scientific applications
TW201822706A (zh) 可穿戴式心臟監測裝置、心臟監測系統及其方法
KR102236461B1 (ko)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이용한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8739B1 (ko) 치과용 진료의자를 이용한 환자의 심박/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Depolli PCARD platform for mHealth monitoring
WO201714069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ubject's breathing rate
Chavan et al. Smart wearable system for fall detection in elderly people us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Ashwin et al. Cost-effective device for autonomous monitoring of the vitals for covid-19 asymptomatic patients in home isolation treatment
Akbulut et al. e-Vital: a wrist-worn wearable sensor device for measuring vital parameters
Mukherjee et al. Development of a wearable remote cardiac health monitoring with aler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