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073B1 - laundry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073B1
KR102248073B1 KR1020140166181A KR20140166181A KR102248073B1 KR 102248073 B1 KR102248073 B1 KR 102248073B1 KR 1020140166181 A KR1020140166181 A KR 1020140166181A KR 20140166181 A KR20140166181 A KR 20140166181A KR 102248073 B1 KR102248073 B1 KR 10224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option
washing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2918A (en
Inventor
오주현
김영우
김자연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73B1/en
Priority to US15/528,879 priority patent/US10550506B2/en
Priority to PCT/KR2015/011373 priority patent/WO2016085132A1/en
Priority to PCT/KR2015/011347 priority patent/WO2016085130A1/en
Priority to EP15862630.9A priority patent/EP3225731B1/en
Priority to US15/528,944 priority patent/US10563335B2/en
Publication of KR2016006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918A/en
Priority to KR1020210052582A priority patent/KR1024553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73B1/en
Priority to KR1020230053982A priority patent/KR202300645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집중시키고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환형의 로터리 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리 놉 어셈블리;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로터리 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evice, and to a laundry device having a convenient user interfa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that concentrates a user interface and provides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undry apparatus provided to provide a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nd to change at least one option of the specific laundry course when a specific laundry course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the annular shape A rotary knob assembly including a rotary knob of and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elect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 display area including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 and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in a radial direction; A single variable type input unit provided to be selected by a user separately from the rotary knob, hav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so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urse screen and the op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집중시키고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evice, and to a laundry device having a convenient user interfa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that concentrates a user interface and provides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세탁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is a typical washing machine, and a dryer for drying clothes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washing machine. Of course, a laundry and dryer that can wash and dry clothes can also be called a laundry device.

최근에는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Recently, a refresher that refreshes clothes using hot air or steam instead of washing with water has been released, and this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washing device.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washing machine is mainly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washing apparatus, and it may be applied to another washing apparatus as long as it is exclusive and does not contradict other apparatuses.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control panel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세탁기의 전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나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각종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입력부, 선택부 그리고 표시부 등을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A control panel is provided for the user interface. Therefore, it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to facilitate the user's access and operation. The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or a selection unit such as various buttons for user manipulation, and various display units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ll of these input units, selection units, and display units may be referred to as user interfaces.

세탁기의 주기능은 세탁이다. 따라서 각종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110) 또는 주기능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로터리 놉 형태로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00)에는 코스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면 상기 코스 표시부(111)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function of the washing machine is laundry. Accordingly, a course selection unit 110 or a main func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various laundry courses is provided, and the user selects a course through this. For example,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tary knob.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r's selection of a course, the control panel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urse display unit 111, and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washing course by manipulating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to correspond to the course display unit. When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is operated, the course selected through the course display unit 111 can be identified.

도 1에는 로터리 놉(110) 주위에 다양한 세탁 코스가 표시된 코스 표시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놉(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스 표시부(111)와 이에 대응되어 점멸되는 LED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표시부(111)는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FIG. 1, a course display unit 111 in which various washing courses are displayed around the rotary knob 110 is shown, and a user may select a washing course corresponding to the rotary knob 110 by rotating the rotary knob 110. A display unit 121 for displaying the selected washing course may be provided, through which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elected washing course. That is, through the course display unit 111 and the LED display unit 121 that flashes corresponding thereto,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lected washing course. The course display unit 111 may be provided in a printed form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전술한 주기능 수행에 있어서 부가되거나 변경되는 옵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옵션 선택부(120)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세탁(120a), 헹굼(120b), 탈수(120c), 물온도(120d), 건조(120e), 스팀(122), 그리고 예약(123)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입입력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122)도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option selec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to select an optional function added or changed in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ain function. The option selec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FIG. 1, as an example, options for washing (120a), rinsing (120b), dehydration (120c), water temperature (120d), drying (120e), steam (122), and reservation (123) can be selected. The input unit 120 is shown. An option display unit 122 indicating whether such an option is selected may also be provided, and similarly,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LED or the like.

상기 컨트롤 패널(100)은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서 현재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의 코스 또는 옵션 선택 상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100 may include a state display unit 130 that displays the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The stat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a user's course or option selection state,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general, the status display unit 130 may be provid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예를 들어, 현재 세탁기가 헹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헹굼 단계 중"이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코스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하세요"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이나 세탁기가 세탁 코스를 모두 수행하여 동작을 완료하는 데까지 남아있는 시간(잔여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washing machine currently performs the rinsing step, it may be displayed as "in the rinsing step". In addition, when waiting for a user's input of a course, it may be displayed as "Please enter a laundry course". In addition, the current time or the remaining time (remaining time) until the washing machine performs all the washing courses and completes the operation may be displayed.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입력부(140)와 세탁기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를 위한 시작/일시정지 입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panel 100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140 for applying and releasing power to the washing machine, and a start/pause input unit 150 for executing or temporarily stopping the washing machine operation.

전술한 컨트롤 패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panel 100 and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컨트롤 패널(100)의 공간상의 문제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패널(100)에 구현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집중과 사전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 제조의 어려움이나 고용량의 메모리를 요하게 되어 세탁기 자체가 과도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Due to a space problem of the control panel 100,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n additional user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for a basic user interfac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lex and diverse user interface on the control panel 100, but this has a problem that requires excessive concentration and prior knowledge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machine itself is excessively expensiv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control panel 100 or a high-capacity memory is required.

아울러,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은 각각의 기능이 기설정되거나 세팅된 상태이므로 부가 기능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선택부들(110, 120)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즉, 특정 시점에서 필요한 선택부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선택부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세탁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selection units 110 and 120 and the display units 111, 121, and 122 is in a preset or set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expand for an additional function. In addition, these various selection units 110 and 120 are exposed to the user as they are. That is, not only the required selection unit but also the unnecessary selection unit are exposed to the user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washing machine are not used if the user is not an experienced user.

또한,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의 수가 많고 산재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각각의 구성들에 시선을 고정시켜야만 세탁장치에 입력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he selection units 110 and 120 and the display units 111, 121 and 122 are large and scatt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nterface is very inconvenient. That is, it is because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washing apparatus can be grasped only when the gaze is fixed on each of the components.

최근 가전제품의 디자인에서 미니멀 디자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아울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에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어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시키면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가 큰 무리 없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Recently, a lot of minimal design is adopted in the design of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rather than a complex user interface. However,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in a laundry machine. This is because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must be provided while at least all of the user interfaces shown in FIG. 1 are included. In addi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ed to allow a user familiar with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to adapt to the new user interface without much difficulty.

이러한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Due to these various difficulties, it was not easy to change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의 수는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12 개의 세탁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가 추가가 어렵고, 설령 추가된다 하더라도 코스 선택부(110)를 통하지 않고 별도의 옵션 버튼 등을 통해서 추가된 코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즉, 동일한 레벨의 코스 선택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코스 선택부(110)가 아닌 다른 선택부(예를 들어, 슈즈 리프레시 코스(124)를 통해서 코스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매우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추가된 세탁 코스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courses basically provided by the washing apparatus is preset. For example, 12 washing courses are shown in FIG. 1.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dd a new laundry course, and even if it is added, the added course is inevitably selected through a separate option button or the like without going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That is, although the course is selected at the same level, the course must be selected through a selection unit other than the course selection unit 110 (for example, the shoe refresh course 124) in some cases.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is not a very skilled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use the added laundry course.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코스의 선택과 선택된 세탁 코스와 연계되는 옵션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택된 정보를 선택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selection of a washing course and an option linked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In addition, by visually showing the se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the selec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시키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시킴으로 하여 미니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a minimalist design by focusing on a specific location without the user interface being scattered on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구비하여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put units by providing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새로운 코스가 추가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new course is add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checked and u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컨트롤패널이나 각종 입력부에 인쇄된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excluding or minimizing characters printed on a control panel or various input units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통해 코스 선택과 옵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in which course selection and option selection are easy through a screen of a display.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환형의 로터리 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리 놉 어셈블리;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로터리 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re provided, and when a specific laundry course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t least one or more options of the specific laundry course can be changed. A laundry apparatus comprising: a rotary knob assembly including an annular rotary knob and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elect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 display area including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 and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in a radial direction; A single variable type input unit provided to be selected by a user separately from the rotary knob, hav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so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varies according to the course screen and the op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선택 시, 상기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variable input unit is inpu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상하 배치나 좌우 배치 등을 통해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rough a vertical arrangement or a left and right arrangement in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 상기 복수 개의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원; 단일 터치부; 그리고 상기 단일 터치부와 대응되는 단일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는 아이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광투과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아이콘 형상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아이콘은 상하 배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통해서만 빛이 방출되면, 빛이 방출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A single touch unit; And it may include a singl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The light transmitting part may be formed in an icon shape. Therefore, when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grasp the shape of the ic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icon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arrangement. In this case, when light is emitted only through any one icon, the user can clearly grasp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from which the light is emitted.

상기 단일 터치부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이격되며 이를 통해 상기 단일 스위치를 누르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일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일 수 있다.The single touch unit may be spaced apart by a user's touch and may be in the form of pressing the single switch through this. Therefore, the single switch may be a tact swit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 중 특정 입력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의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광원의 위치도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 개의 광원의 밝기 차이로 인해 특정 입력 정보가 다른 입력 정보에 비해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so that specific inpu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s of the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put information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Of course, such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is preferably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Therefore, due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specific input information may be visually prominent compared to other input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와 최소의 두 레벨 또는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t two levels of a maximum and a minimum, or three levels of a maximum, a middle, and a minimum.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세탁 코스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예약 옵션 진입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옵션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옵션 설정 완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nclude entry of a reservation option when a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completion of option setting when an op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옵션 진입을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to an option screen for setting reservation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to enter the reservation op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option screen for reservation setting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to complete the option setting.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shing water temperature, a washing strength, a rinsing frequency, and a spin-drying strength, which are variably set within the specific washing course.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종료 시점을 지연시키고, 지연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예약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on may include a reservation for delaying the end time of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nd variably setting the delayed time.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may include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도록 일대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tion selection units provided one-to-one to individually select the temperature, washing strength, rinsing frequency, and spin-drying strength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선택부 중 특정 옵션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to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selected specific option from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when a specific option selection unit is selected among the option selection unit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옵션의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옵션이 설정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option is se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input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option is displayed on the option screen, and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option screen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This is desirable.

상기 각각의 옵션 선택부는, 광투과부; 상기 광투과부에 대응하는 광원; 그리고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는 아이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투과부 자체가 아이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다.Each of the option selection units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unit;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it may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The light transmitting part may be formed in an icon shape. In other words,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tself may have an icon shape. The light source may be an 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three levels of maximum, medium and minimum.

예를 들어서, 코스 화면에서는 기본 옵션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옵션 선택부의 광투과부를 통해서 아이콘이 가시적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옵션 선택부의 선택이 가능하고 어떠한 옵션인지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may need to select a default option on a course screen. Therefore, at this time, the icon is visibl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option selector.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select the option selector on the course screen and grasp which option is available.

예약 옵션 화면에서는 기본 옵션 선택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기본 옵션 선택과 관련된 옵션 선택부는 가시적으로 보여지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즉, 옵션 선택부의 광투과부를 통해서 빛이 투과되지 않게 된다. 즉, 광원이 Off로 제어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기본 옵션 선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기본 옵션과 관련된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You do not need to select the default option on the reservation options scree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on selection unit related to the basic option selection is not visible. That is,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option selection part. In other words, this is because the light source is controlled to be Off. In other words, when the basic option selection is impossi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sic option is not exposed.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 중 특정 옵션 선택부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되는 LED는 다른 옵션 선택부에 대응되는 LED 보다 더욱 밝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밝기 제어를 통해서 현재 선택된 옵션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옵션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option selector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option selector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 corresponding thereto is controlled brighter than the L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option selector. Accordingly, through the brightness control,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grasp what is the currently selected option or the option to be changed.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동일한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디스플레이,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옵션 선택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옵션 선택부는 서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area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black background screen. This display area may include a display,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and an option selection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and the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환형의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 형상의 광투과부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광원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cludes an annular decor provided out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and the decor includes a plurality of icon-shaped light transmitting parts representing each washing cours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It is preferable that two light sources are provided.

상기 데코에는 부가 아이콘이 구비되며, 상기 부가 아이콘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가 아이콘은 사용 빈도수가 낮은 세탁 코스에 대응될 수도 있다.An additional icon is provided in the decor, and the additional icon may correspond to a washing course added in addition to a washing course basically provided by the washing apparatus. Of course, the additional icon may correspond to a washing course with a low frequency of use.

상기 데코에는 전원 입력부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cor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input unit and a start/pause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며,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상기 특정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의 밝기를 다른 나머지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에 비해 밝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nd when the specific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to be brighter than that of the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other washing courses. desir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언어에 해당하는 문자의 인쇄가 배제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언어가 인쇄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언어가 배제되고 언어와 무관한 아이콘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the user interface of th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ing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anguage may be exclu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nguage for the user interface is not printed on the control panel. These languages may be excluded and icons not related to language may be provided.

반면에,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언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다양한 언어에 대해서 탄력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nguage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variously modified. This is because this is a software problem, not a hardware problem.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of th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lexibly used for various languages without changing hardware.

상기 로터리 놉 어셈블리는 로터리 놉과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기 때문에, 로터리 놉과 엔코더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놉과 엔코더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로터리 놉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엔코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knob assembly may include a rotary knob and an encoder. Since the display area is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in the radial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the rotary knob to the encoder. Accordingly, in order to connect the rotary knob to the encoder, the rotary knob assembly may include a display mounting unit and an encoder mounting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로터리 놉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엔코더 장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양자는 기어 맞물림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로터리 놉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착부, 엔코더 장착부 그리고 엔코더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mounting par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tary knob, and the encoder mount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art in a radial direction. Bot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gear meshing. Through this,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unting unit, the encoder mounting unit, and the encoder.

상기 로터리 놉,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윈도우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단일 터치부 그리고 데코는 컨트롤패널의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로터리 놉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들은 컨트롤패널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rotary knob, the window forming the display area, the single touch part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part, and the decor may be exposed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of the rotary knob assembly described above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trol panel.

따라서, 컨트롤패널 또는 캐비닛의 전면에는 최소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로터리 놉으로 집중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집중과 미니멀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only a minimum user interface can be expos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or the cabinet. In addition, the exposed user interface is substantially concentrated on the rotary knob. Through this, concentration of the user interface and minimal design can be realiz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의 코스 선택을 위한 로터리 놉 그리고 기본적인 옵션 선택을 위한 버튼에 대한 감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ensitivity of a conventional rotary knob for selecting a course and a button for selecting a basic option as it is.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환형의 로터리 놉;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수행을 위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모두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nular rotary knob provided to select a washing course;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n option for performing the specific washing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both the display and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are located radially inside the rotary knob. hav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환형의 로터리 놉;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수행을 위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코스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와 상기 옵션 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nular rotary knob provided to select a washing course;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n option for performing the specific washing cour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inpu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course screen and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option scree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area formed inside the rotary knob in a radial direction may be included.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서로 구획되어 위치될 수 있다.In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and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may be partitioned and positioned from each other.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전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광투과부에서만 빛이 투과되거나 다른 광투과부에서 투과되는 빛보다 밝게 빛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특정 광투과부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y transmitting light from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Specificall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ight transmitting unit by allowing light to be transmitted only from a specific light transmitting unit or to transmit light brighter than light transmitted from other light transmitting units.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기본 옵션 선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옵션 선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만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옵션 선택부는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basic option selector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The basic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be partitioned from the display. The display may be provided only for a display, and the basic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select it through a touch.

이러한 기본 옵션 선택부는 세탁수의 온도, 세탁 세기 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정도를 각각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본 옵션 선택부는 각각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ic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select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the degree of washing intensity,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and the degree of spin-drying, respectively. Each of the basic option selection units may include a light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코스의 선택과 선택된 세탁 코스와 연계되는 옵션의 선택이 용이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선택된 정보를 선택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that facilitates selection of a washing course and an option linked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And, by visually showing the se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the sel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시키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시킴으로 하여 미니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a minimalist design by focusing on a specific location without the user interface being scattered on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구비하여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put units by providing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새로운 코스가 추가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new course is ad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checked and u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컨트롤패널이나 각종 입력부에 인쇄된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excluding or minimizing characters printed on a control panel or various input unit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각종 아이콘에 대응하는 광원의 밝기를 다단계로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intuitively grasping a current state of a user interface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various icons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면서도 로터리 놉을 통한 코스 선택이 효과적으로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electing a course through the rotary knob while having a display inside the rotary knob in the radial direction.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예약 옵션 화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헹굼 옵션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6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
도 7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user interface in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servation option screen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2;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rinsing option screen is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2;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n additional course screen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2;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additional course screen is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of FIG. 2;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interface of FIG. 2 and the control panel; An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ser interface of FIG. 2.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of th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200, 도 7참조)이나 세탁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컨트롤패널(200)은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 장착될 수도 있다.2 shows a user interface 300 of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300 may be provided in a control panel 200 (refer to FIG. 7) of the washing apparatus or a cabine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washing apparatus. Of course,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a part of a cabine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laundry apparatus, and may be mounted on the cabine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복잡하고 다양한 입력부 또는 선택부와 디스플레이를 로터리 놉(410)을 중심으로 집중시킨 사용자 인터페이스(3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300 in which a conventional complex and various input units or selection units and a display are concentrated around a rotary knob 410 and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다양한 입력부나 디스플레이가 산재되지 않고, 로터리 놉(410)을 중심으로 최소의 입력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하거나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illustrated in FIG. 1, various input units or displays are not scattered, and a user interface having a minimum input unit centered on the rotary knob 410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rough such a user interface, it is possible to include substantially all of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functions or to easily add them.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환형의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에는 코스 정보와 옵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area 430 disposed radially inside the annular rotary knob 410. The display area 430 may include a display 440. The display 440 may be provided to display course information and option information.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LCD, LE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44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ED or OLED display.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display, such as a display of a smartphone.

그러나, 터치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 인해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고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isplay is implemented as a touch display, the production cost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display. In addition, since the high performance of the processor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is required, the production cost may increase excessively.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liquid crystal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simple characters or figures.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뿐만 아니라 안내 화면(미도시)이나 코스 진행 화면(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440 is for a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The course screen and the option screen for changing options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Of course, the display 440 may display not only a course screen and an option screen, but also a guide screen (not shown) or a course progress screen (not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세탁의 목적이나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도 2에는 10 개의 세탁 코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 코스의 수는 아이콘(425)의 수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 아이콘(427)을 통해 새로운 세탁 코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urse from among a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laundry or the type of laundry. 2 shows an example in which 10 washing courses are basically provided. The number of washing courses can be known through the number of icons 425.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new washing course may be added through the additional icon 427.

사용자는 로터리 놉(41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에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잡고 회전시키면 기설정된 순서대로 선택되는 코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 놉(410)을 통한 코스 선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다. 따라서, 로터리 놉(410)을 통한 코스 선택에 익숙해진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담이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washing course from among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through the rotary knob 410. When the user holds and rotates the rotary knob 410, a course selected in a preset order may be changed. The selection of a course through the rotary knob 410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 Accordingly, a user who is accustomed to selecting a course through the rotary knob 410 can minimize the burden or difficulty of a new user interface.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0)에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를 선택하세요"라는 문구를 갖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apparatus, an initial guid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For example, an initial guide screen with the phrase "Please select a laundry course" may be displayed.

사용자가 코스 선택을 위하여 로터리 놉(410)을 회전시킴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화면을 코스 화면이라 할 수 있다. 도 2에는 코스 화면의 일례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준 세탁 코스의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1 피치 더 회전시키면 다음 코스에 해당하는 코스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코스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가 선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As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410 to select a course,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The screen at this time may be referred to as a course screen. FIG. 2 shows a course screen providing information on a "standard laundry" course as an example of a course screen.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410 an additional pitch on the course screen of the standard laundry course, a cours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ext cours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urse displayed on the course screen is basically selected.

상기 코스 화면에는 코스명뿐만 아니라 선택된 특정 코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전력, 코스 수행 시간 그리고 코스 내의 행정에 관한 정보들이 나타날 수 있다.In the course screen, not only the name of the course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pecific cours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course execution time, and administration within the course may be displayed.

사용자는 코스를 선택하는 로터리 놉(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선을 옮기거나 분산시키기 않고도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selected cours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440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410 for selecting the cours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elected course information without distracting or distracting the eyes.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언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언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코스명은 각각의 언어에 따라 정해지는데, 언어가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ngu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variously changed. That is, each language can be easily changed by software. In particular, the course n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language, and even if the language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it without changing the hardware.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는 코스명이 컨트롤패널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하나의 세탁장치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는 세탁장치는 국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를 갖는 여러 나라에서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언어에 따라 하드웨어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되는 것이다. 그러나,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로터리 놉(41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디스플레이로 인해, 달라지는 언어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언어에 맞게 컨트롤패널을 제작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the course name is provided in a printed form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A laundry machine manufactured by a single laundry machine manufacturer can be sol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several countries with various languages.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hardware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each language. However, due to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otary knob 410 or the display surrounded by the rotary knob 410,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different languages with software. This may mean that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a control panel for each language.

일반적으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코스에 따라서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코스에 따라, 예를 들어 각 행정들의 수행 시간, 수행 횟수 그리고 드럼 구동 패턴이 서로 다르게 기설정될 수 있다.In general, the washing course may include a washing operation, a rinsing operation and a spin-drying operation. 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ours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urse, for example, the execution time,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rum driving pattern of each of the strokes may be pre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또한, 각각의 세탁 코스는 기본적인 설정값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표준 세탁 코스의 기본 설정값은, 60℃의 세탁수 온도, 표준의 세탁 강도, 3회의 헹굼 그리고 강한 탈수를 갖는다. 이러한 기본 설정값은 각각의 코스마다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특정 코스에는 이러한 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washing course has a basic set value. For example, the default setting value of the standard washing course shown in FIG. 2 has a washing water temperature of 60° C., a standard washing strength, three rinsing times, and strong dehyd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se basic settings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course and can be changed. Of course, this change may be restricted to certain courses.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세탁장치의 사용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시작이 입력 되면, 세탁장치는 선택된 특정 코스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행정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코스를 종료하게 된다.After selecting a specific course among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the user may select the start/pause input unit 421. This form can be said to be the most basic form of use of the washing machine. That is, when the start is input, the washing apparatus starts driv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course, sequentially performs preset strokes, and then ends the course.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에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값 또는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의 선택은 특정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options can be selected for the laundry course. That is, various options for changing a preset value or condition may be selected. The selection of this option can be carried out on the premise of the selection of a specific washing course.

이러한 옵션은 코스 내에 포함되는 행정들 각각의 조건을 변경시키는 것, 부가적인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코스의 수행 완료 시간을 변경하는 것(예약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n op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hanging conditions of each of the administrations included in the course, performing additional administrations, and chang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course (reservation setting).

일반적으로 옵션은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옵션 변경은 복수 개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4 가지의 옵션을 기본 옵션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options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strength,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and the spinning strength. Each of these options can be changed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values. These four options can be called basic options.

예를 들어, 탈수 강도 옵션은 강, 중 그리고 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드럼의 회전 RPM을 서로 달리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헹굼 횟수 옵션은 헹굼 없음에서부터 헹굼 4회까지 5 단계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hydration strength option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strong, medium and low.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by varying the rotational RPM of the drum from each other. The rinsing frequency option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a value of 5 steps from no rinsing to 4 rinsing times.

옵션은 예약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옵션은 코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는 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시간이 소요되는 특정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코스 종료의 시점을 현재로부터 4시간 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장치는 2시간의 대기 시간을 갖고 나머지 2시간 동안 선택된 코스를 수행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옵션은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즉, 귀가하는 시간에 맞춰 세탁이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 종료를 기다리거나 세탁 종료된 세탁물이 세탁장치 내에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ptions may include reservation options. The reservation option may refer to an option of delaying the point at which the course ends. For example, when a specific course that takes 2 hours is selecte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urse ends may be set to 4 hours after the present. In this case, the washing apparatus may have a waiting time of 2 hours and may be terminated by performing a selected course for the remaining 2 hours. This reservation option is very useful if you are out for a long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laundry to be terminated according to the time to return ho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undry from being left in the laundry apparatus for a long time while waiting for the laundry to be finished or after washing has been finished.

본 실시예에서는 직관적이고 미니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ovide an intuitive and minimal user interface,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선택 시점에 따라서,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 4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입력부가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상기 로터리 놉(410)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사용자가 터치나 가압함으로써 선택되는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461 and 462 according to a selection time point. That is, one input un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plurality of functions.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ed by a user separately from the rotary knob 410.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as a button selected by a user touching or pressing.

구체적으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 462)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시점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의 선택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가시적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to have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to selectively display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461 and 462.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visually display the meaning of the selec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at the present time point.

도 2에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서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이 표시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을 통해 입력 정보가 시간과 관계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약과 관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을 보고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lock-shaped icon 461 is displayed o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Through the clock-shaped icon, it can be seen that the input information is related to time, and more specifically, to reserv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input information of reservation by looking at the clock-shaped icon 461.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표준 세탁"이라는 코스 화면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표준 세탁"을 선택한 후 표준 세탁 코스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on the course screen “standard laundry” shown in FIG. 2. This can be said to directly reflect the user's intention to delay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tandard washing course is performed and terminated after selecting "standard washing".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즉, 시계 모양의 아이콘)가 표시된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는 코스 화면에서 옵션 화면으로 전환한다. 즉,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예약 진입을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When the input unit 460 on which the input information (ie, a clock-shaped icon) is displayed is selected, the display 440 switches from the course screen to the option screen. That is,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n option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single variable type input unit 460 may be said to be provided for reservation entry. In addition, the display may be said to be provided to selectively display a course screen and an option screen.

도 3에는 예약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코스 화면에서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예약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예약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시계 형태가 표시되고 현재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코스명과 완료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완료시간은 현재로부터 몇 시간 후 세탁이 종료되는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 3으로 화면이 전환되었음을 전제로 하면, 현재로부터 2시간 20분 지연 후 표준 코스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준 코스는 1시간 10분 동안 수행되어 현재로부터 3시간 30분 후 종료됨을 의미한다.3 shows an example of a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eservation option. That is, when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displaying reserv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on the course screen, the display displays an option screen for setting reservation as shown in FIG. 3. In other words, the reservation option screen is displayed to change the reservation time. In this case, a clock shape may be displayed and a current time may be displayed. Also, a preset course name and completion time may be displayed. The completion time can be said to mean how many hours after the present washing is finished. Assuming that the screen is switched from FIG. 2 to FIG. 3, it means that the standard course starts after a delay of 2 hours and 20 minutes from the present. And, it means that the standard course is performed for 1 hour and 10 minutes and ends 3 hours and 30 minutes from the present.

이러한 예약 변경 또는 지연 시간 변경은 로터리 놉(410)을 돌리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코스 화면이 아닌 옵션 화면, 특히 예약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로터리 놉(410)이 예약 시간 변경을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 놉(410)을 시계 방향으로 1 피치씩 돌림에 따라, 일례로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1피치씩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지연 시간 설정 범위와 단위는 기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reservation change or delay time change may be performed by turning the rotary knob 410. That is, in an option screen other than a course screen, particularly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eservation, the rotary knob 410 may be said to be a means for changing the reservation time. For example, as the rotary knob 410 is rotated by 1 pitch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elay time may increase by 10 minutes or 30 minutes, for examp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delay time can be reduced by 10 or 30 minutes by 1 pitch. Of course,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delay time setting range and unit are preset.

사용자가 일례로 로터리 놉(410)을 통해 예약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통해서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입력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일례로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After the user determines the reservation time through the rotary knob 410 as an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 intention that the reservation setting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That is, an input indicating that the reservation setting has been completed may be input through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n this case,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said to be provided to complete setting of a reservation option, for example.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다시 옵션 화면에서 코스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시간 정보는 1시간 10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s selected to complete the reservation option setting, the display switches from the option screen to the course screen and displays it. Of course, the time information shown in FIG. 2 may be changed from 1 hour 10 minutes to 3 hours 30 minutes.

따라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진입과 옵션 변경 후 옵션 설정 완료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입력부(460)를 통해서 복수 개의 입력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입력부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입력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시점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선택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정보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 자체에 표시되기 때문에, 더욱 직관적으로 입력부(460)를 선택하는 의미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perform option entry for option change and option setting completion after option change. That is,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select a plurality of inputs or functions through one input unit 46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put units. In addition, a time point for selecting a course and a time point for selecting an option after selecting a course may be distinguished to induce a user to input necessary input. In addition, since the meaning of selecting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visu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mistaken and confused. In addition, since such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tself,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grasp the meaning of selecting the input unit 460.

한편,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의 구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코스 화면 표시 시점과 옵션 화면 표시 시점의 구분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istinction between a course selection time point and an option selection time point after the course selection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course screen display time point and the option screen display time point in the display.

예를 들어, 코스 화면에서는 시간 아이콘의 표시(461) 그리고 옵션 화면에서는 OK 표시(462)가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구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time icon 461 on the course screen and the OK display 462 on the option scree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to be different by divid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즉,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코스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의 선택 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예약 옵션 진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예약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완료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코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코스 화면은 변경된 옵션이 반영된 코스 화면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urs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n addition,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input. For example, when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s input while the reservation option entry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eservation option. In addition,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s input while the sett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urse screen.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rse screen at this time be a course screen in which the changed option is reflected.

하나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이콘(461, 462)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아이콘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Two icons 461 and 462 may be arranged vertically in on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as shown in FIGS. 2 and 3. Of course, it can also be arranged left and right. And, the two icons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 정보의 선택적 표시는 광원의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의 밝기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selectiv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control of a light source. For example, it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ED.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상기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상기 디스플레이(440)뿐만 아니라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을 최소함과 동시에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41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area 430 includes not only the display 440 but also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Accordingly, an intuitive input is possible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gaze.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은 예약 옵션뿐만 아니라 기본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기본 옵션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4 가지의 기본 옵션 선택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 옵션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options may include basic options as well as reservation options. In other words, you can change the default options within a particular laundry course. Option selection units 471 to 474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se basic options. 2 shows four basic option selection units, and the number of these basic options may vary. The option selection units 471 to 474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or similar button shape as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는 일례로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헹굼 옵션에 해당하는 옵션 선택부(473)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3)의 선택은 사용자가 옵션 선택부(473)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헹굼 옵션 선택부(473)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헹굼 옵션 선택부(473)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하게 된다. 도 4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course screen illustrated in FIG. 2, the user may select an option selector 473 corresponding to the rinse option in order to change the rinse option, for example. The selection of the option selection unit 473 may be performed by a user pressing or touching the option selection unit 473. When the rinsing option selection unit 473 is selecte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insing op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That is, when the rinse option selector 473 is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440 to display an option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4 shows an example of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insing option.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헹굼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헹굼 횟수와는 다른 헹굼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헹굼 횟수 3회라는 기본 설정을 2회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screen shown in FIG. 4,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rinse op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rinsing number different from the preset rinsing number. For example, the default setting of 3 rinse cycles can be set to 2 times.

헹굼 횟수의 변경은 로터리 놉(4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로터리 놉(410)을 돌림에 따라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 횟수 3회에서 2회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로터리 놉(410)을 반시계방향으로 1 피치 회전시킬 수 있다.The change of the number of rinse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otary knob 410. As the rotary knob 410 is turned, the number of times of rinsing may be sequentially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rinsing times is changed from 3 times to 2 times, the rotary knob 410 may be rotated by 1 pitch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한, 헹굼 횟수의 변경은 헹굼 옵션 선택부(473)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헹굼 옵션 선택부(473)을 누를 때마다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Also, the change of the number of rinsing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rinsing option selection unit 473.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rinsing option selection unit 473, the number of rinsing may be sequentially changed.

헹굼 횟수를 변경한 후,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화면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특정 헹굼 횟수의 선택 완료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입력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는 전술한 예약 옵션 설정 완료와 마찬가지로 일례로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헹굼 옵션 설정 완료를 의미하는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After changing the number of rinses, the user may input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on the screen shown in FIG. 4. That is, the selection of a specific number of rinsing times may be completed by inputting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displays OK information as an example, similar to the completion of the reservation option setting described above. That i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OK information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rinsing option setting.

따라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옵션 설정 완료라는 입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옵션인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그리고 탈수 강도도 마찬가지임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n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ption setting is completed i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on the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 It is desirable that this also applies to other options such as wash water temperature, wash strength and spin strength.

도 4에서는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헹굼 옵션 선택부(473)은 다른 옵션 선택부(471, 472, 474) 보다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에서와 같은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옵션 선택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이러한 선택부(471 내지 474)가 표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4 shows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insing op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se option selection unit 473 is displayed brighter than the other option selection units 471, 472, and 474. Of course, it may not be possible to select an option on the reservation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ion units 471 to 474 are not displayed on the reservation setting scree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의 선택과 옵션의 선택은 모두 로터리 놉(410)과 디스플레이 영역(43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의 손과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특정 영역에 집중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both selection of a washing course and selection of an option can be performed in the rotary knob 410 and the display area 430. In other words, the user's hand and gaze for the user interface can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being distracted, making it convenient to use.

즉, 로터리 놉(410)의 조작과 이에 따른 로터리 놉 내측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화면이 즉각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의 선택과 변경 그리고 옵션 설정의 완료가 로터리 놉(410) 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operation of the rotary knob 410 and the screen by the display inside the rotary knob are immediately changed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In addition, selection and change of an option and completion of option setting may be performed in the display area inside the rotary knob 410. Due to this, the user interfac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한편,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놉(11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코스 표시부(121)가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리 놉(110)이 회전됨에 따라 발광되는 코스 표시부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도 이와 유사한 환형의 데코(420)와 상기 데코에 구비되는 아이콘(4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스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urse indicator 121 is provided outside the rotary knob 110 shown in FIG. 1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as the rotary knob 110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emitting course display unit is changed.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familiar with such a user interface, a similar annular decor 420 and an icon 425 provided in the decor may also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icons 425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courses provided by default.

상기 아이콘(425)은 도형이나 그림 형태로 각각의 세탁 코스를 직관적으로 대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425)은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언어가 달라짐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세탁장치가 판매되는 장소의 언어와 무관하기 때문에 미니멀 디자인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The icon 425 may be formed to intuitively represent each washing course in the form of a figure or a picture. Since the icon 425 is not a language, it may not be affected as the language is chang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very effective in a minimal design because it is independent of the language of the place where the laundry machine is sold.

상기 아이콘(425)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콘(425)을 통해서 옵션 변경 등의 과정에서 전제로 선택된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con 425 may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means for facilitating course sel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on 425 may be provided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on a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as a prerequisite in a process of changing an option or the like to the user.

한편, 상기 데코(420)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아이콘(427)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cor 420 may include an additional icon 427 as well as an icon representing each washing course. The additional icon 427 may be said to correspond to a washing course added in addition to the washing course basically provided by the washing apparatus.

의류의 재질이 다양해 지고 기능성 의류들의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세탁 코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에는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As the material of clothing becomes more divers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functional clothing increases, a new washing course needs to be provided. In this case, a new washing course must be added to the washing apparatus, but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의 부가가 시도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있다.When a new washing course i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information cannot be easily exposed to the user. Therefor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ddition of a new washing course is not attempt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가 아닌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사용자가 쉽게 부가된 세탁 코스를 확인하고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check and use an added laundry course through an additional icon rather than a text.

또한, 종래에 제공되는 세탁 코스 중에서도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세탁 코스가 있을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아이콘(425)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져 식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mong the conventionally provided laundry courses, there may be a laundry course with a very low frequency of use. Washing courses with a low frequency of use need not always be exposed to users. However, it may not be advisable to exclude less frequent washing cours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icon 427 a washing course in which the frequency of use is low.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umber of icons 425 from deteriorating due to excessively large number of icons.

다시 말하면, 상기 부가 아이콘(427)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새로이 추가되는 세탁 코스 및/또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빈도수가 낮은 기본 세탁 코스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dditional icon 427 may correspond to a basic laundry course with a low frequency in addition to a new laundry course and/or a basic laundry cours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to the basic laundry cours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을 돌림에 각각의 기본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후, 로터리 놉(410)을 더욱 돌리면 상기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때, 부가 아이콘에 해당하는 코스가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the rotary knob 410, each basic icon is sequentially displayed brighter. Thereafter, when the rotary knob 410 is further rotated, the additional icon is displayed brighter. At this time, a cours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새로운 코스가 3 개인 경우에는, 로터리 놉(410)을 2 피치 돌릴 때까지는 여전히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로터피 놉(410)을 1 피치 돌리면 이에 해당하는 새로운 코스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다.In the case of three new courses, the additional icon may still be displayed brighter until the rotary knob 410 is rotated 2 pitches. Of course, when the rotor pin 410 is rotated one pitch, a new course corresponding to this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도 5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추가되는 새로운 코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하드웨어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스 선택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코스의 추가, 선택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5 shows a swimsuit course as an example of the added new cours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use a new course added through the additional icon. This may mean that no hardware changes are required for the user interface.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add, select, and use a new course while maintaining the conventional course selection method.

한편, 상기 수용복 코스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일 수도 있다. 수용복을 세탁하기 위한 코스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빈도가 낮은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uit course may be a course provided by default. The frequency of use of courses for washing clothing can be very low.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icon 427 such a course in which the frequency of use is low.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ashing course with a low frequency of use from being always exposed to the user.

도 6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마찬가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서와는 달리 코스명이 아닌 코스를 설명하는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화면이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추가된 코스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440)에서 이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NEW"라는 문구를 통해서 추가된 코스임을 명확히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 swimsuit course as an example of an added new course. In this case, unlike in FIG. 5, a phrase describing the course may be displayed instead of the course name. Of course, the screens shown in FIGS. 5 and 6 may be displayed alternately. Meanwhile, in the case of an added course, it may be clearly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5 and 6 illustrate examples clearly indicating that the course is added through the phrase "NEW".

전술한 바와 같이, 데코(420)에 구비되는 아이콘(425)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가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시각적으로 달라짐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con 425 provided on the decor 420 may be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course sel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is visually different compared to other icons.

도 2에는 "표준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더욱 밖게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a "standard laundry" course is displayed more outwardly than other icons.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복수 개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모든 아이콘이 동일한 밝기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터리 놉(4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아이콘만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it is common that the washing course is selected first. 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all ic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are displayed with the same brightness first. In addition, as the rotary knob 410 is rotated, it is preferable that only icons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course corresponding thereto are displayed brighter.

따라서, 상기 아이콘(425)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의 밝기의 정도는 복수 개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저 레벨(혹은 OFF 상태), 중간 레벨 그리고 최고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the icon 425 but also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additional icon 427 is controlled to be plural. For example, it can be controlled at the lowest level (or OFF state), the middle level, and the highest level.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와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없는 상태에서 최저 레벨일 수 있다.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있는 상태에서 중간 레벨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로 선택된 상태에서 최고 레벨일 수 있다.It may be the lowest level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and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course cannot be selected. It can be of an intermediate level with a choice of laundry courses. And, it may be the highest level in the state selected as the washing course.

도 2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되었기 때문에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이 최고 레벨이며 나머지 아이콘들은 중간 레벨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세탁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이콘들의 밝기 레벨 차이를 통해서 직관적인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FIG. 2, since the standard washing course is selected, the icons for the standard washing course are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remaining icons are at the intermediate level. That is, in this state, it means that the washing course can be chan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current state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icons.

도 3과 도 4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을 전제로 예약 옵션 변경 그리고 헹굼 옵션 변경이 수행되는 일례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 변경은 이미 표준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의 코스 변경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은 최고 레벨로 나타나고 나머지 아이콘들은 최저 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과 옵션 선택 사이에서 선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3 and 4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 reservation option change and a rinsing option change are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a standard washing course is selected. Since this option change already presupposes the selection of the standard laundry cours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course at this point. Accordingly, the icons for the standard washing course are displayed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remaining icons are displayed at the lowest level. Thus, the user can clear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se selection and the option selection.

상기 아이콘(425, 427)은 광투과부(426)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 정보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icons 425 and 427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426. Similarly, input in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single variabl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420)에는 전원 입력부(422)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1, 422)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421, 422)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가 모두 로터리 놉(410)에 집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421, 422)들을 의미하는 아이콘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ecor 42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input unit 422 and a start/pause input unit 421. The input units 421 and 4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The positions of the input units 421 and 422 substantially mean that all of the user interface 300 can be concentrated on the rotary knob 410. Icons representing the input units 421 and 422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light transmitting unit.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디스플레이(440)와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복수 개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isplay area 430 preferably includes a display 440, option selectors 471 to 474, and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area 4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따라서,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의 원 영역은 디스플레이(440),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로 서로 구획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더미 영역(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ircular area in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410 is divided into a display 440, an option selector 471 to 474, and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n addition, when a rectangular display is used, the display area 430 may further include a dummy area 450.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동일한 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 전체가 하나의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실제로는 일부분만 디스플레이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가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마치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 만족감 및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area 430 has a background screen of the same color.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have a black background. That is, the entir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otary knob 41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black display. Of course, it is desirable that only part of the display is actually a displ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eeling of satisfaction and design as if using a touch display without having an expensive touch display.

이러한 블랙 디스플레이 효과는 전술한 광투과부들을 통해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왜냐하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모든 아이콘들이 마치 사라진 것처럼 보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옵션 선택부(471 내지 474)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40)도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치 블랙 디스플레이인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 아이콘들(425, 427)에 대응하는 광투과부(426)를 통해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마치 인쇄된 형태의 문자나 언어가 없는 미니멀 디자인이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is black display effect may be more pronounc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light transmitting units. This is because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when power is not applied. That is, it is because all the icons shown in FIG. 2 may appear as if disappeared. That is, light is not transmitted from the light trans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option selection units 471 to 474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 In addition, the display 440 is also turned off. Accordingly, the display area can be viewed as if it is a black display. In addition,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426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course icons 425 and 427.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inimalist design without characters or languages in a printed form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user interface 3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에는 컨트롤패널(20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0)의 전면에는 로터리 놉(410)과 데코(420)가 노출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컨트롤패널(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200)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430)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된다.7 illustrate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user interface 300. The rotary knob 410 and the decor 420 ar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trol panel 200.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430 is exposed from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200 so that the user can access it.

상기 로터리 놉(410)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로터리 놉(41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The rotary knob 410 is rotatably provided, and the display area 430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410 in the radial direction is not rotated.

상기 로터리 놉(410)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에 전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회전은 다시 엔코더 장착부(437)로 전달된다.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의 회전으로 인해 엔코더(439)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엔코더(439)의 회전 신호는 제어부(435)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PCB에 장착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1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 and the rotation of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 is transmitted to the encoder mounting unit 437 again. The encoder 439 rotat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encoder mounting part 437. The rotation signal of the encoder 439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35.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controller mounted on a PCB.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디스플레이(4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44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과 디스플레이 장착부(436)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로터리 놉(410)의 후방에 엔코더(439)를 위치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엔코더(439)에 상기 로터리 놉(410)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엔코더 장착부(437)를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A display 44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mounting part 436 in the radial direction. Although the display mounting part 436 rotates, the display 440 is preferably fixed so as not to rotate.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otary knob 410 and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 ar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430.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encoder 439 behind the rotary knob 410. 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10 to the encoder 439,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encoder mounting part 437 outside the display mounting part 436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과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는 서로 기어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mounting part 436 and the encoder mounting part 437 may be provided to mesh with each other in a gear shape. This allows rotation to be transmitted.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ser interface 300 shown in FIG. 7.

데코(42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로터리 놉(410)의 일부가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착부(436)와 형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430)의 전면에는 윈도우(431)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2)의 단일 터치부(462a)가 위치된다. A portion of the rotary knob 410 may be inserted inside the decor 420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 A window 431 and a single touch unit 462a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2 ar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area 430.

상기 윈도우(431)와 단일 터치부(462)의 후방에는 입력부 하우징(432)과 LED PCB(433)가 위치될 수 있다.An input unit housing 432 and an LED PCB 433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window 431 and the single touch unit 462.

상기 입력부 하우징(432)은 옵션 입력부(471 내지 474)에 대응되는 4개의 터치 감지부(471a)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a)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462b)가 장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housing 432 may be equipped with four touch sensing units 471a corresponding to the optional input units 471 to 474 and a tact switch 462b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462a.

상기 LED PCB(433)에는 상기 옵션 입력부(471 내지 474)에 각각 대응되는 광원으로 복수 개의 LED(471b)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62c, 462d)가 구비될 수 있다.The LED PCB 43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471b and a plurality of LEDs 462c and 462d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462 as light sour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option input units 471 to 474. have.

LED(471b)는 4 개의 기본 옵션에 각각 대응되도록 4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밝기는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462c, 462d)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2)에서의 입력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이들의 밝기는 서로 달리 제어될 수 있다.Four LEDs 471b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our basic options, and their brightness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Likewise, the brightness of the LEDs 462c and 462d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o as to selectively display input information from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2.

상기 데코(420)의 후방에는 제어부(435)를 이루는 메인 PC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PCB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25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425a)와 상기 데코(420) 사이에는 LED 서포터(434)가 위치될 수 있다.A main PCB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35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cor 420, and a plurality of LEDs 425a corresponding to each washing course may be provided on the main PCB. In addition, an LED supporter 43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D 425a and the decor 420.

한편, 상기 윈도우(431),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단일 터치부(462a) 그리고 데코(420)에는 광투과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광투과부 자체가 아이콘 형태일 수 있다. 즉, 아이콘 모양 부분을 통해서만 실질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밝기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light transmitting part is formed in the window 431, the single touch part 462a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part, and the decor 420.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tself may be in the form of an icon. That is, light can be substantially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icon-shaped portion. Accordingly, the current state can be visually displayed by different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icon.

이들 광투과부는 각각의 광원과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광원은 LED 일 수 있다. 제어부(435)는 이들 광원들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밝기의 레벨은 전술한 바와 같이 3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밝기의 제어는 복수 개의 LED에 대한 on/off 제어 또는 듀티비(duty ratio)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light-transmitting portions may correspond to respective light sources. Of course, the light source can be an 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435 selectively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se light sources. As described above, the level of brightness can be achieved in three stages. In addition, brightness control may be implemented through on/off control or duty ratio control for a plurality of LEDs.

이러한 광원 특히 LED의 제어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즉, 선택이나 입력이 필요하거나 가능한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빛이 투과되어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의 아이콘 형상으로 인해 어떠한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반면, 선택이나 입력이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오인 혼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of these light sources, especially LEDs, can be said to be in order to show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n a timely manner. That is, in a state where selection or input is required or is possibl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to show that selection and input are possible. In addition, it can be shown that any selection and input is possible due to the shape of the icon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on or input is unnecessary or impossible, light is not transmitted. Therefore, by exposing such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user from being mistaken and confused.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입력부에서 현재 상태에서 따라 어떠한 입력이 가능한지 선택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입력부의 수의 감소, 사용자의 편의 그리고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since one input unit selectively shows which input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put units, convenience of the user, and misunderstanding of the us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3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400 : 로터리 놉 어셈블리
410 : 로터리 놉 420 : 데코
430 : 디스플레이 영역 440 : 디스플레이
460 : 단일 가변형 입력부 471 내지 474 : 옵션 선택부
300: user interface 400: rotary knob assembly
410: rotary knob 420: decor
430: display area 440: display
460: single variable input unit 471 to 474: option selection unit

Claims (24)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환형의 로터리 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로터리 놉 어셈블리;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로터리 놉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있는 상기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A laundry apparatus provided to provide a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nd to change at least one or more options of the specific laundry course when a specific laundry course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aundry courses,
A rotary knob assembly including an annular rotary knob and provided for a user to select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 display area including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 and provided inside the rotary knob in a radial direction;
A single variable type input unit provided to be selected by a user separately from the rotary knob, hav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so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varies according to the course screen and the op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선택 시, 상기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determines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variable input unit has been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
상기 복수 개의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광원;
단일 터치부; 그리고
상기 단일 터치부와 대응되는 단일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A single touch unit; 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 중 특정 입력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controls brightnes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so that specific input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recognized by a u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와 최소의 두 레벨 또는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t two levels of a maximum and a minimum, or three levels of a maximum, a middle, and a minimu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특정 세탁 코스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예약 옵션 진입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옵션 화면이 표시될 때의 옵션 설정 완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And entering a reservation option when a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completing option setting when an op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옵션 진입을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for entering the reservation option,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to an option screen for setting reserv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예약 설정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selected to complete the option setting,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option screen for reservation setting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종료 시점을 지연시키고, 지연되는 시간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예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tion includes a reservation for delaying the end point of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nd variably setting the delay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play area includes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상기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shing water temperature, a washing strength, a rinsing frequency, and a spin-drying strength, which are variably set within the specific washing cour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도록 일대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display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option selection units provided one-to-one to individually select a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a washing strength, a rinsing frequency, and a spinning strengt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선택부 중 특정 옵션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to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selected specific option from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when a specific option selection unit is selected among the option selection unit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옵션의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옵션이 설정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옵션 화면에서 상기 특정 세탁 코스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option is displayed on the option scre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pecific option is set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is input, and controls the display to switch from the option screen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creen. Wa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옵션 선택부는,
광투과부;
상기 광투과부에 대응하는 광원; 그리고
터치 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Each of the option selection units,
Light transmitting part;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ens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최대, 중간 그리고 최소의 세 레벨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o a maximum, a middle, and a minimum of three levels.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동일한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rea is formed to have the same black background.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환형의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 형상의 광투과부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광투과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광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Including an annular decor provided out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The dec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con-shaped light transmitting parts representing each washing cour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are provid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에는 부가 아이콘이 구비되며, 상기 부가 아이콘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n additional icon is provided in the decor, and the additional icon corresponds to a washing course added in addition to a washing course basically provided by the washing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에는 전원 입력부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 includes a power input unit and a start/pause input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며,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상기 특정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의 밝기를 다른 나머지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광원에 비해 밝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nd when the specific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washing course to be brighter than that of the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other washing courses. Washing device characterized by.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환형의 로터리 놉;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상기 특정 세탁 코스의 수행을 위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그리고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코스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와 상기 옵션 화면일 때 표시되는 입력 정보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놉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는 서로 구획되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An annular rotary knob provided to select a washing course;
A display selectively displaying a course screen for the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and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n option for performing the specific washing course; And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inpu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course screen and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option scree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display area formed in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The laundr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nd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are partitioned and positioned in the display area.
삭제delet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전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됨으로써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by transmitting light from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unit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on a front surface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KR1020140166181A 2014-11-26 2014-11-26 laundry machine KR102248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81A KR102248073B1 (en) 2014-11-26 2014-11-26 laundry machine
US15/528,879 US10550506B2 (en) 2014-11-26 2015-10-27 Washer
PCT/KR2015/011373 WO2016085132A1 (en) 2014-11-26 2015-10-27 Washer
PCT/KR2015/011347 WO2016085130A1 (en) 2014-11-26 2015-10-27 Washer
EP15862630.9A EP3225731B1 (en) 2014-11-26 2015-10-27 Washing machine
US15/528,944 US10563335B2 (en) 2014-11-26 2015-10-27 Washer
KR1020210052582A KR102455381B1 (en) 2014-11-26 2021-04-22 laundry machine
KR1020230053982A KR20230064595A (en) 2014-11-26 2023-04-25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81A KR102248073B1 (en) 2014-11-26 2014-11-26 laundry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82A Division KR102455381B1 (en) 2014-11-26 2021-04-22 laundry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18A KR20160062918A (en) 2016-06-03
KR102248073B1 true KR102248073B1 (en) 2021-05-04

Family

ID=5619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181A KR102248073B1 (en) 2014-11-26 2014-11-26 laundry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07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01311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01233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01240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01309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01306A (en)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05859A (en) * 2022-01-05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190B1 (en) * 2005-05-10 2012-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trollable method of a washing machine using dial swich and a method the same
KR20140005484A (en) * 2012-07-04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having a jog d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918A (en)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658B1 (en) laundry machine
KR102248073B1 (en) laundry machine
US10563335B2 (en) Washer
US10550506B2 (en) Washer
US9611579B2 (en) Home appliance having a control field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setting a program and program options
JP2019501724A (en) Multi-drum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31826A (en) Apparatus for inputting of laundry machine
KR20180042329A (en)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20028664A (en) Method for contolling a laundry machine
CN106245267B (en) Control method based on encoder and display screen for washing/drying machine
KR102455381B1 (en) laundry machine
US10358761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rotational user interface element
RU2767802C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electing washing modes of washing machine
KR102511241B1 (en) laundry machine
EP245552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KR20230064595A (en) laundry machine
CN109487501B (en) Operation panel, laundr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laundry device
KR102257622B1 (en) laundry machine
KR102254893B1 (en) laundry machine
KR102271435B1 (en) laundry machine
JP2010142325A (en) Washing machine and program therefor
JP2010142324A (en) Washing machine and program therefor
WO2008066539A1 (en) Control user interface for laundry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