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860B1 - 폴대 길이조절 유닛 - Google Patents

폴대 길이조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860B1
KR102247860B1 KR1020190161272A KR20190161272A KR102247860B1 KR 102247860 B1 KR102247860 B1 KR 102247860B1 KR 1020190161272 A KR1020190161272 A KR 1020190161272A KR 20190161272 A KR20190161272 A KR 20190161272A KR 102247860 B1 KR102247860 B1 KR 10224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length
upper pole
hole
adjustmen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근
Original Assignee
윤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중근 filed Critical 윤중근
Priority to KR102019016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레저용 텐트나 그늘막 또는 낚시용 텐트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상부 폴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하부 폴대로부터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한 후 이중 잠금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폴대 길이조절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폴대 및 이 상부 폴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유지하는 하부 폴대, 이 하부 폴대의 상측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부 폴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구는 상,하부 폴대가 각각 끼워지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 관통공의 일측에 마련된 회동노브 및 누름버튼의 작동에 의해 하부 폴대에 대하여 상부 폴대를 이중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폴대 길이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하부 폴대에 장착되는 조절구의 회동노브 및 누름버튼을 이용하여 상부 폴대를 이중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폴대 길이조절 유닛 {Length Adjustable Unit for Pole}
본 발명은 통상의 레저용 텐트나 그늘막 또는 낚시용 텐트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폴대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하부 폴대로부터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한 후 이중 잠금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폴대 길이조절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삶의 질이 급속도로 향상되고 여가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레저 활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통상의 텐트는 야외 레저용으로 사용하거나 낚시 등과 같은 야영 등을 행할 때 일시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인 텐트의 경우, 텐트천과 폴대의 상호 조립에 의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소정 형태를 이루게 되고, 가급적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철거가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통상의 텐트는 바닥부와 방수천 및 이 방수천을 돔형상으로 유지하여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가설되는 폴대에 의해 텐트를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텐트에 있어서는 내부 보온이나 주변의 여건에 따라 폴대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치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미 알려져 있는 대부분의 텐트용 폴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과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일정한 크기로 분할된 다수개의 폴대를 연속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록킹팁(1)을 체결공(2)에 고정시킴으로써 상호 결속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폴대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폴대 자체를 빼낸 후 다시 연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1-0011891호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폴대에 슬라이딩 돌기 및 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버튼이 다수의 결합공에 단계적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가동 폴대를 고정 폴대로부터 신축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가동 폴대의 버튼이 다수의 결합공을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신축작용을 하게 되므로 폴대 길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공개특허 제2017-0047835호에는 단계적으로 록킹팁을 거치지 아니하고, 원하는 길이조절 단계의 위치로 길이조절 폴대의 록킹팁 홀을 록킹팁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켜 폴대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하단폴에 끼워진 길이 조절폴을 회전시켜 록킹팁이 눌려진 상태에서 길이 조절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절폴 록킹팁홀을 직선 위치 표시부 상에 일직선으로 위치시켜야만 하고, 또 록킹팁이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을 행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469992호(2013.11.12 등록)-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공개실용신안 제2011-0011891호(2011.12.26 공개)- 신축성 텐트 폴의 슬라이딩 장치. 등록특허 제1572645호(2015.11.23 등록)- 길이 가변 폴. 공개특허 제2017-0047835호(2017.05.08 공개)- 길이조절이 편리한 폴대.
본 발명은 상기와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되는 폴대 사이에 하나의 조절구를 장착시켜 회동방식 및 누름방식에 의해 이중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폴대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폴대 길이조절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호형상의 오목홈을 갖는 원통형 상부 폴대 및 이 상부 폴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유지하는 원통형 하부 폴대, 이 하부 폴대의 상측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부 폴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구에는 상부 폴대의 오목홈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 관통공의 일측에 마련된 회동노브 및 누름버튼의 작동에 의해 하부 폴대에 대하여 상부 폴대를 이중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노브는 손잡이로부터 연이어지는 회동축이 조절구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로 조립되어 손잡이의 회동 조작시에 상부 폴대를 잠그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름버튼은 누름판으로부터 연이어지는 고리형 몸체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조절구의 관통공 내로 조립되고, 상부 폴대가 고리형 몸체 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리형 몸체에 형성된 돌출편을 가압하여 상부 폴대를 잠그고 누름판의 작동시에 상부 폴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폴대 길이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하부 폴대에 장착되는 조절구의 회동노브 및 누름버튼을 이용하여 상부 폴대를 이중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대의 결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등록특허 제1572645호에 개시된 길이 가변 폴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길이 가변 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 길이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절구에 대한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a, 도 6b는 폴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조절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예로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등록특허 제1572645호에 개시된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가변 폴은 제1폴대 내지 제4폴대를 연속해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철재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중 감소를 위해서는 탄소 섬유를 이용하거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제1폴대(10)의 상단부에는 돌기(18)가 형성되어 스트링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제2폴대(20)와 제4폴대(40)는 각각 제1폴대(10)와 제3폴대(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폴대(20)와 제4폴대(40)를 각각 제1폴대(10)와 제3폴대(3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각 폴대가 분해된 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대(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체결공(12)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제2폴대(20)의 제2삽입부(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 파이프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2폴대(20)는 제1폴대(10) 내부로 삽입되는 제2삽입부(22)를 포함하여 이 제2삽입부(22)로부터 연장되어 제1폴대(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2연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삽입부(22)의 상측에는 제1체결공(12)에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제2록킹팁(28)이 설치된다. 이 제2록킹팁(28)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폴대(10)와 제2폴대(20)의 결합구조는 제3폴대(30)와 제4폴대(40)의 결합 방식에도 이용된다. 즉 제3폴대(30)는 일정 간격으로 제3체결공(32)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제4폴대(40)는 제3폴대(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4삽입부(42) 및 이 제4삽입부(42)에서 연장되어 제3폴대(3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4연장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4폴대(40)에는 제3체결공(32)에 결합되도록 제4삽입부(42)의 상측에 돌출되는 제4록킹팁(48)을 포함한다. 다만 제3폴대(30)에는 제2폴대(20)의 제2연장부(24)에 삽입되는 제3연장부가 형성되고, 제3연장부에는 결합공(26)에 결합되도록 제3록킹팁(38)이 상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1폴대(10)의 내부에 제2폴대(20)의 제2연장부(22)가 삽입되어 외부 하중에 대한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4폴대(40)의 제4연장부도 동일한 구조로 제3폴대(30)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폴대(10)와 제2폴대(20)가 결합된 전체 길이는 제3폴대(30)와 제4폴대(40)가 결합된 전체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되어 수납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납할 때에는 제2폴대(20)와 제4폴대(40)를 각각 제1폴대(10)와 제3폴대(30)의 내부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각 폴대의 길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조절시에 삽입부를 조립한 상태에서 록킹팁을 이용하여 결합공에 끼워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수의 결합공을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조절해야만 하고, 또 결합공의 위치만큼 제한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폴대 길이의 조절 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기술에 불과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폴대 자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해당 위치에서 곧바로 이중으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대 길이조절 유닛은, 상부 폴대(50A) 및 이 상부 폴대(50A)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유지하는 하부 폴대(50B), 이 하부 폴대(50B)의 상측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부 폴대(50A)의 길이를 조절한 후 해당 위치에서 이중으로 잠금 고정시키기 위한 조절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 폴대(50A,50B)는 금속제 혹은 합성수지제의 원통형 파이프로 제작되는 것이며, 상부 폴대(50A)에는 오목홈(51)이 형성되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하부 폴대(50B)에는 나사공(52)이 형성되어 조절구(60)를 구성하는 몸체(61)의 후방에 형성된 통공(62)을 통해 나사(53)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들 상,하부 폴대(50A,50B)는 일반적인 레저용 텐트나 그늘막 또는 낚시용 텐트의 폴대 구조를 이루는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절구(60)의 몸체(62)에는 상,하부 폴대(50A,50B)가 각각 끼워지는 수직방향의 관통공(6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63)의 일측에 회동노브(70) 및 누름버튼(80)이 각각 별개로 장착됨에 따라 하부 폴대(50B)에 대하여 상부 폴대(50A)를 이중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관통공(63)의 내주벽에는 돌기(64)가 형성되어 상부 폴대(50A)의 진입시에 오목홈(51)이 끼워짐으로써 상부 폴대(50A)를 제 위치에 유지하게 되며, 몸체(61)의 상측에 끼움공(65a)을 갖는 하우징(66)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노브(70)를 수용하게 되고, 그 하단부에 삽입공(65b)이 형성되어 누름노브(8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회동노브(70)는 손잡이(71)로부터 연이어지는 회동축(72)이 조절구(60)의 하우징(66) 내로 조립됨에 따라 손잡이(71)의 회동 조작시에 상부 폴대(50A)를 잠그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즉, 회동노브(70)의 회동축(72)에는 반구홈(73)이 형성되어 상부 폴대(50A)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반면에 손잡이(71)의 회동시에는 상부 폴대(50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잠금 고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누름버튼(80)은 누름판(81)으로부터 연이어지는 고리형 몸체(82)를 포함하여 이 몸체(82)의 내측으로 돌출편(83)이 형성되어 상부 폴대(50A)의 오목홈(51)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프링(84)을 개재하여 조절구(60)의 삽입공(65b) 내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부 폴대(50A)가 고리형 몸체(82) 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누름버튼(80)의 누름 동작시에 상부 폴대(50A)를 잠그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부 폴대(50B)를 조절구(60)의 하단부 관통공(63)을 통해 끼워넣은 후 하부 폴대(50B)에 형성된 나사공(52) 및 조절구(60)에 형성된 통공(6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53)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부 폴대(50A)의 오목홈(51)을 조절구(60)의 돌기(64)에 맞춰 관통공(63) 내로 끼워넣음과 동시에 누름버튼(80)을 눌러준 상태에서 고리형 몸체(82) 내로 진입시킴으로써 상부 폴대(50A)의 오목홈(51)이 돌출편(83)을 지나치면서 하부 폴대(50B)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폴대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하부 폴대(50A,50B)를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노브(70)를 구성하는 손잡이(71)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회동축(72)의 반구홈(73)이 상부 폴대(50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1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다시 누름버튼(80)의 누름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84)의 복원력으로 인해 고리형 몸체(82)의 돌출편(83)이 상부 폴대(50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2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대 길이조절 유닛에 의하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폴대 길이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임은 물론 하부 폴대에 장착되는 조절구의 회동노브 및 누름버튼을 이용하여 상부 폴대를 이중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50A: 상부 폴대 50B: 하부 폴대
51: 오목홈 52: 나사공
53: 나사 60: 조절구
61: 몸체 62: 통공
63: 관통공 64: 돌기
65a: 끼움공 65b: 삽입공
66: 하우징 70: 회동노브
71: 손잡이 72: 회동축
73: 반구홈 80: 누름버튼
81: 누름판 82: 고리형 몸체
83: 돌출편 84: 스프링

Claims (3)

  1. 원호형상의 오목홈(51)을 갖는 원통형 상부 폴대(50A) 및 이 상부 폴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유지하는 원통형 하부 폴대(50B), 이 하부 폴대의 상측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부 폴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구(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구(60)에는 상부 폴대(50A)의 오목홈(51)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돌기(64)가 형성된 관통공(63)을 포함하여 이 관통공의 일측에 마련된 회동노브(70) 및 누름버튼(80)의 작동에 의해 하부 폴대(50B)에 대하여 상부 폴대(50A)를 이중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노브(70)는 손잡이(71)로부터 연이어지는 회동축(72)이 조절구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66) 내로 조립되어 손잡이의 회동 조작시에 상부 폴대(50A)를 잠그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름버튼(80)은 누름판(81)으로부터 연이어지는 고리형 몸체(82)가 스프링(84)을 개재하여 조절구의 관통공(63) 내로 조립되고, 상부 폴대(50A)가 고리형 몸체 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리형 몸체에 형성된 돌출편(83)을 가압하여 상부 폴대를 잠그고 누름판(81)의 작동시에 상부 폴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길이조절 유닛.
  2. 삭제
  3. 삭제
KR1020190161272A 2019-12-06 2019-12-06 폴대 길이조절 유닛 KR102247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72A KR102247860B1 (ko) 2019-12-06 2019-12-06 폴대 길이조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72A KR102247860B1 (ko) 2019-12-06 2019-12-06 폴대 길이조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860B1 true KR102247860B1 (ko) 2021-05-03

Family

ID=7591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272A KR102247860B1 (ko) 2019-12-06 2019-12-06 폴대 길이조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013A (ko) 2022-02-22 2023-08-29 박정식 길이 가변형 텐트용 폴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992B1 (ko) 2002-12-10 2005-02-05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KR20080065797A (ko) * 2007-01-10 2008-07-15 우준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KR20110011891A (ko) 2009-07-29 2011-02-09 김용현 여행기록장
KR20110024519A (ko) * 2009-09-02 2011-03-09 (주)지에이치에스 옷걸이용 행거의 기둥
KR101572645B1 (ko) 2014-07-22 2015-12-11 (주) 마운틴캠핑 길이 가변 폴
KR20170047835A (ko) 2015-10-26 2017-05-08 장동학 길이 조절이 편리한 폴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992B1 (ko) 2002-12-10 2005-02-05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
KR20080065797A (ko) * 2007-01-10 2008-07-15 우준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KR20110011891A (ko) 2009-07-29 2011-02-09 김용현 여행기록장
KR20110024519A (ko) * 2009-09-02 2011-03-09 (주)지에이치에스 옷걸이용 행거의 기둥
KR101572645B1 (ko) 2014-07-22 2015-12-11 (주) 마운틴캠핑 길이 가변 폴
KR20170047835A (ko) 2015-10-26 2017-05-08 장동학 길이 조절이 편리한 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013A (ko) 2022-02-22 2023-08-29 박정식 길이 가변형 텐트용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996B2 (en) Light support adapter
TWI613351B (zh) 關節結構
TWI666370B (zh) 具有可藉由推動把手而致動的閂鎖螺栓之把手組
US6662815B2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US6230724B1 (en) Operation mechanism for a parasol
US20060062632A1 (en) Release pin assembly for tents and canopies
US6776179B1 (en) Quick-pitch/strike tent
KR102247860B1 (ko) 폴대 길이조절 유닛
US6102452A (en) Locking device for doors or windows
KR100694174B1 (ko) 파라솔의 각도 조절 장치
US6202659B1 (en) Sunshade device
US20060169307A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the canopy of a hang umbrella
US6234187B1 (en) Adjustable beach chair umbrella
CN104863938B (zh) 一种自锁式遮阳伞支撑杆
US20070261728A1 (en) Umbrella for reliably adjusting dome orientation
US20170175420A1 (en) Lockset assembly with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JP4227184B1 (ja)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101743219B1 (ko) 파라솔 거치장치
US11278088B2 (en) Parasol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KR200398599Y1 (ko) 파노라마 촬영용 로테이터
KR20180090557A (ko) 락킹기능이 개선된 원터치 텐트
CN109611669A (zh) 一种自紧结构伸缩管
KR20170017061A (ko) 파라솔지주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