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23B1 -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623B1
KR102246623B1 KR1020157005988A KR20157005988A KR102246623B1 KR 102246623 B1 KR102246623 B1 KR 102246623B1 KR 1020157005988 A KR1020157005988 A KR 1020157005988A KR 20157005988 A KR20157005988 A KR 20157005988A KR 102246623 B1 KR102246623 B1 KR 10224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l
user
performance
captured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139A (ko
Inventor
지니 양
니콜라스 엠 크루지
그레고리 씨 톰슨
페리 쿡
Original Assignee
스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6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G10H2210/291Reverberator using both direct, i.e. dry, and indirect, i.e. wet, signals or waveforms, indirect signals having sustained one or more virtual refle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315Dynamic effects for musical purposes, i.e. musical sound effects controlled by the amplitude of the time domain audio envelope, e.g. loudness-dependent tone color or musically desired dynamic range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25Musical pitch modification
    • G10H2210/331Note pitch correction, i.e. modifying a note pitch or replacing it by the closest one in a given sca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95Packet switched network, e.g. token ring
    • G10H2240/305Internet or TCP/IP protocol use for any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data or musical parameter transmis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 플랫폼들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들에 의해 부과되는 많은 실시적 제한들에도 불구하고, 보컬 음악 연주들은 캡쳐될 수 있고,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강력한 사용자 경험들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반주들과 믹싱 및 렌더링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보컬 효과 스케줄에 따라 피치-보정 및/또는 프로세싱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개별적인 사용자들의 보컬 연주들은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대응하여 가사가 카라오케-스타일로 표시되는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캡쳐된다. 이러한 연주들은 피치 보정 세팅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피치-보정될 수 있다.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또한 이러한 연주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심지어 불완전한 피치를 갖는 아마추어 사용자/연주자들도, "스타덤"에 도전하는 것 및/또는 세계적 스케일에서 음악적 콜라보레이션을 용이하게 하는 게임 플레이, 소셜 네트워크 또는 보컬 달성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쳐에 참여하는 것 및/또는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수익을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 내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것을 행할 용기를 얻는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보컬 연주들(performances)의 캡쳐 및/또는 프로세싱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캡쳐된 보컬들에 보컬 효과 스케줄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 및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설치 기반은 매일 수 및 연산 능력 면에서 급격하게 성장한다. 전세계 사람들의 생활에 매우 흔하고 깊게 자리잡은 이러한 모바일 폰 및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거의 모든 문화적 및 경제적 장벽을 초월한다. 연산적으로, 오늘날의 모바일 폰들은 10년도 안되어 데스크탑 컴퓨터에 필적할만한 속도 및 저장 능력을 제공하여, 이들이 실시간 음향 합성 및 다른 음악적 애플리케이션들에 놀랍도록 적합하게 한다. 그 결과 부분적으로,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iPhone® 핸드헬드 디지털 디바이스와 같은 몇몇 현대의 모바일 폰들은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을 매우 훌륭하게 지원한다.
전통적인 음향 악기들과 유사하게, 모바일 폰들은 친숙한 음향 생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통적인 악기들에 비해, 모바일 폰들은 음향 대역폭 및 전력에서 다소 제한된다. 이러한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폰들은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Ubiquity), 숫자에서의 강점 및 극도의 이동성의 이점들을 가져서, 거의 언제 어느 곳에서든, 즉흥 연주(jam sessions), 리허설, 및 심지어 공연을 위해 아티스트들을 한데 모으는 것이 (적어도 이론적으로) 실현가능하다. 모바일 음악 분야는 몇몇 연구 개발 단체들에서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2009년 New Interfaces for Musical Expression, Pittsburgh (June 2009)에서 제시된 G. Wang, Designing Smule's iPhone Ocarina 참조한다. 또한, iPhone®, iPad®, iPod Touch® 및 다른 iOS® 디바이스들을 위한 Smu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Ocarina™, Leaf Trombone: World Stage™, 및 I Am T-Pain™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한 경험은, 진보된 디지털 음향 기술들이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iPhone, iPad, iPod Touch는 Apple, Inc.의 상표이다. iOS는 라이센스 하에서 Apple에 의해 이용되는 Cisco Technology, Inc.의 상표이다.
디지털 음향 연구자들은 현존하는 상당한 현실적 난제들인,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이들의 다른 제한된 연산 자원들에 의해 부과되는 현실의 제약들 내에서 그리고/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통상적인 통신 대역폭 및 송신 지연 제약들 내에서 동작가능한 iPhone® 핸드헬드 및 다른 플랫폼들과 같은 현대의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에 활용가능한 상업적 애플리케이션들로 자신들의 혁신을 이전시키고자 한다. 개선된 기술들, 기능들 및 사용자 경험들이 요구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플랫폼들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들에 의해 부과되는 많은 실시적 제한들에도 불구하고, 보컬 음악 연주들은 캡쳐될 수 있고,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강력한 사용자 경험들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반주들과 믹싱 및 렌더링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보컬 효과 스케줄에 따라 피치-보정 및/또는 프로세싱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몇몇 경우들에서, 개별적인 사용자들의 보컬 연주들은 반주의 가청 렌더링들에 대응하여 가사들을 카라오케-스타일로 제시하는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캡쳐된다. 이러한 연주들은 피치 보정 세팅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또는 더 일반적으로, 모바일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패드-타입 컴퓨터 또는 넷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피치-보정될 수 있다.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또한 이러한 연주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심지어 불완전한 피치를 갖는 아마추어 사용자/연주자들도, "스타덤"에 도전하고/하거나, 세계적 규모의 음악적 콜라보레이션을 용이하게 하는 게임 플레이, 소셜 네트워크 또는 보컬 달성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쳐에 참여하고/하거나,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수익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내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개시하도록 격려받는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트랜잭션들은, 캡쳐된 보컬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아티스트-, 노래- 및/또는 연주-별 보컬 효과 스케줄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음악 장르에 특정된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트랜잭션들은 가사, 타이밍 및/또는 피치 보정 세팅들 또는 플러그-인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트랜잭션들은, 보컬 연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다시하기" 또는 재시도하는 것의 구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내 구매 타입 트랜잭션들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보컬 효과 스케줄들, 가사, 타이밍, 피치 보정 세팅들 및/또는 재시도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들에 대한 액세스는 보컬 달성에 따라 (예를 들어, 목표 스코어 또는 다른 보컬 연주에 대응하는 피치, 타이밍 또는 다른 것에 기초하여) 또는 게임 플레이 로직의 성공적 순회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보컬 효과 스케줄 트랜잭션들에서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셜 상호작용들, 예를 들어, 그룹 형성, 그룹에 참여, 연주 공유, 공개 모집 오디션(open call) 개시 등은 "다시하기" 또는 재시도 권한을 수반하는 트랜잭션들에 대한 적용가능한 통화(currency) 또는 크레딧을 생성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는 것이 이러한 트랜잭션들을 위한 적용가능한 통화 또는 크레딧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피치 보정 세팅들은 보컬 연주에 대한 또는 그 일부에 대한 특정한 키 또는 스케일을 코딩한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피치 보정 세팅들은, 가사 및 반주를 공급받는 또는 그와의 연관을 위한 스코어-코딩된 멜로디 및/또는 화성 시퀀스를 포함한다. 화성 음표들 또는 화음들은 명시적 목표들로 또는 스코어 코딩된 멜로디에 대해 또는 심지어, 원한다면, 보컬리스트가 내는 실제 피치들에 대해 코딩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가사 및 반주를 공급받는 또는 그와의 연관을 위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 및/또는 피치 보정 세팅들은, 협력된 보컬 연주의 오직 일부 (예를 들어, 리드 보컬, 백업 아티스트의 보컬, 코러스 또는 후렴, 듀엣 파트 또는 세 파트 화성의 일부 등)와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들로, 사용자 연주들 (통상적으로 아마추어 보컬리스트들의 연주들)은 톤 또는 연주 품질에서 상당히 개선될 수 있고, 사용자는 즉각적이고 용기를 주는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고,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선호하는 아티스트, 대표적인 연주 또는 음악적 장르의 스타일 또는 페르소나를 모방하거나 띨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피드백은, 사용자/보컬리스트가 정확한 음표를 맞추는 경우 (보컬 캡쳐 동안) 피치-보정된 보컬들 자체 및 시각적 강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음표들은, 키와 일치하고, 연주의 특정한 포인트에 따라 예상되는 스코어-코딩된 멜로디 또는 화성에 대응하는 그러한 음표들이다. 그러한 점에서, 작용하는 스코어가 없고 즉석의 오프 스코어를 용이하게 하거나 특정한 피치 보정 세팅들이 디스에이블되는 아카펠라 모드들에서, 주어진 보컬 연주에서 들리는 피치들은 선택적으로, 특정한 키 또는 스케일에 가장 근접한 음표들(예를 들어, C 메이저, C 마이너, E 플랫 메이저 등)로만 보정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정확한" 음표들의 보컬 음향은 (예를 들어, 게임 플레이 시퀀스에서) 사용자-보컬리스트 포인트들 및/또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내 트랜잭션 프레임워크에서) 크레딧을 획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포인트들 또는 크레딧들은, (부분적으로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트랜잭션 핸들링 로직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아티스트-, 노래-, 연주-, 또는 음악적 장르에 특정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의, 또는 심지어 이전에 캡쳐된 보컬 연주의 사용자 선택가능한 부분에 대한 보컬 캡쳐 "다시하기"의 추가적인 보컬 스코어들 및 가사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에 적용될 수 있다.
아티스트-, 노래-, 연주- 또는 음악적 장르에 특정된 보컬 효과들의 그리고 피치-보정된 보컬들의 강력하고 변환적인 성질에 기초하여, 사용자/보컬리스트들은, 자신들의 보컬 연주들을 공유하는 것과 연관된 다른 자연스러운 수줍음 또는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다. 그 대신, 심지어 단지 아마추어들은 친구들 및 가족과 공유하도록, 또는 가상 "합창단" 또는 "공개 모집"의 일부로서 보컬 연주들을 협력하고 기여하도록 용기를 얻는다. 몇몇 구현들에서,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연주들의 소셜 네트워크- 및/또는 eMail-중재된 공유 및 그룹 연주에 참여하라는 초대를 통해 용이하게 된다. 전술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클라이언트들에서 캡쳐된 업로드된 보컬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또는 서비스)는 다수의 기여한 보컬리스트들의 업로드된 보컬 연주들을 조작 및 믹싱함으로써 이러한 가상 합창단 또는 공개 모집을 중재할 수 있다. 특정한 시스템의 목적들 및 구현에 따라, 업로드들은 (i) 보컬 효과 스케줄 및/또는 피치-보정의 적용(재적용)에 적합한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들, (ii) (화성을 갖거나 갖지 않는)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들 및/또는 (iii) 사용자 키, 피치 보정 및/또는 보컬 효과 스케줄 선택의 제어 트랙들 또는 다른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로드에 드라이 보컬들을 포함시킴으로써,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의한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에서의) 포스트-프로세싱, 및 각각의 보컬 기여들의, 적절한 스코어 또는 연주 템플릿 슬롯들 또는 포지션으로의 믹싱, 크로스 페이딩 및/또는 피치 시프팅에 상당한 유연성이 부여된다.
가상 합창단 또는 공개 모집 오디션은 임의의 다양한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반주에 대해 캡쳐된 (그리고 사용자 보컬리스트를 수행하는 이득을 위해 스코어-코딩된 멜로디 및/또는 화성 큐들(cues)에 따라 피치 보정된) 제 1 사용자의 보컬 연주는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를 통해 다른 잠재적인 보컬 연주자들에게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캡쳐된 보컬 연주는 피치-보정 및/또는 보컬 효과 스케줄 세팅들 또는 선택들과 연관가능한 인코딩가능한 형태로 또는 그와 함께 드라이 보컬로서 공급된다. 보컬 효과 스케줄은 공급된 보컬 연주(또는 그 일부)에 선택적으로 (컨텐츠 서버 또는 서비스 또는, 선택적으로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적용될 수 있고, 그 결과는, 제 2 사용자의 보컬이 캡쳐될 수 있는 제 2 생성 반주를 형성하기 위해 배경 악기/보컬과 믹싱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연속적인 보컬 기여자들은 지리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적어도 선험적으로는) 모를 수 있지만, 협력적 경험 자체와 함께 보컬들 서로의 친밀도가 이러한 물리적 분리를 최소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은 개시하는 사용자-보컬리스트에 의해 또는 달리 그와 연관가능하게 선택되는 잠재적 기여자들의 그룹에 포스팅될 수 있다. 연속적인 보컬 연주들이 (예를 들어, 각각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서) 캡쳐되고, 공개 모집 오디션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가상 합창단의 일부로서 추가됨에 따라, 각각의 보컬들이 캡쳐되는 반주는 진화하여, 다른 "멤버들" 또는 공개 모집 오디션 응모자들의 이전에 캡쳐된 보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캡쳐된 보컬 연주들의 드라이 보컬 버전들을 저장 또는 유지하는 것은, 변경가능한(또는 추후에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한 시스템의 목적들 및 구현에 따라, 보컬 효과(EFX) 스케줄은,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피치 보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인코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오디오 인코딩에 적용될 수 있어서, 파생 오디오 인코딩 (a derivative audio encoding) 또는 가청 렌더링이, 그 선택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의 특징들을 취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이란 용어는, 적어도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캡쳐된 보컬 연주의 (통상적으로는, 드라이 보컬 버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될 보컬 EFX의 나열된 그리고 작용하는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이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이 획득 또는 트랜잭션될 수 있고, 캡쳐된 드라이 보컬들에 적용되어 "Katy Perry effect" 또는 "T-Pain effect"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 소셜 상호작용들, 예를 들어, 그룹 형성, 그룹에 참여, 연주 공유, 공개 모집 오디션 개시 등은 이러한 트랜잭션에 대한 적용가능한 통화 또는 크레딧을 생성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가 보는 것이 이러한 트랜잭션들을 위한 적용가능한 통화 또는 크레딧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상이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특정한 아티스트 또는 노래의 스튜디오 또는 "라이브" 연주 특징에 의한 가청 렌더링의 파생 오디오 인코딩을 채우기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드라이 보컬에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이란 용어는 추가로, (예를 들어, 노래의 프리-코러스 및 코러스 부분들에 대한 별개의 보컬 EFX 세트들, 및/또는 듀엣 또는 다른 다중-보컬리스트 연주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별개의 보컬 효과 세트를 갖는) 보컬 스코어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시간적 또는 템플릿 에서 변하는 보컬 EFX의 나열된 세트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단일 보컬 효과 스케줄의 각각의 부분들(또는 그 상황에 대한 한 쌍의 별개의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각각의 보컬 연주 캡쳐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어서, 제 1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듀엣의 제 1 부분의 보컬 연주 캡쳐에 대해 그리고 제 2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듀엣의 제 2 부분의 별개의 보컬 연주 캡쳐에 대해 적절한 각각의 EFX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 관리 또는 보컬 연주 추가 로직 뿐만 아니라 청취자의 코멘트 및 랭킹을 위한 시각적 애니메이션 및/또는 설비들을 사로잡는 것은, 배경 악기들 및/또는 보컬들과 믹싱되는 (예를 들어, 다른 유사하게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보컬 연주의 가청 렌더링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합성된 화성들 및/또는 추가적인 보컬들(예를 들어, 또 다른 위치들에서 다른 보컬리스트로부터 캡쳐되고 선택적으로는 다른 보컬들과 화성화되도록 피치-시프팅된 보컬들)이 또한 믹스에 포함될 수 있다. 캡쳐된 보컬 연주들(또는 결합된 연주에의 개별적인 기여들) 및/또는 청취자 피드백의 지오코딩은, 사용자 조작가능한 지구본 상의 특정한 지리적 현장으로부터 발신하는 연주 또는 보증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애니메이션들을 용이하게 하거나 아티팩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명된 기능의 구현들은, 달리 일상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고유한 의미의 글로벌 접속, 협력 및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소셜 악기들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연주 캡쳐를 위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된 보컬 스코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컬 스코어는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된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반주는 가청 렌더링되고, 동시에, 반주와 시간상 대응하는 가사의 대응하는 부분들이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된다. 반주와 시간상 대응하여, 사용자의 보컬 연주는,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캡쳐되고,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저장된다. 보컬 스코어에 따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피치 시프팅된 결과적 보컬 연주를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한다. 방법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적어도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컬 효과 스케줄은,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반주 또는 가사에 시간상 대응하여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상이한 효과들을 코딩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음악 장르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촉진하기 위해, 보컬 효과 스케줄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에 대한 기존에 저장된 인스턴스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하거나 잠금해제(unlock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스코어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성능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임계 성능 지수(figure of merit)에 기초하여,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수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에 후속적으로 적용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드라이 보컬에 대한 후속적 적용은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행해지고, 방법은, 적용된 보컬 효과들 및 피치 시프팅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를 휴대용 디바이스에 가청 리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의 보컬 효과 스케줄의 후속적 적용을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드라이 보컬의 송신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과 관련하여 또는 관련을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가,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결합될 복수의 보컬 연주들 중 단지 하나를 구성한다는 공개 모집 오디션(open call)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사용자의 보컬 연주와의 가청 렌더링을 위해 믹싱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보컬 연주들을 하나 이상의 다른 보컬리스트들로부터 요청하기 위해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로 향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요청은, (i)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잠재적인 다른 보컬리스트들의 나열된 세트; (ii)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의해 정의 또는 인식되는 친밀 그룹의 멤버들; 또는 (iii)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관계자들의 세트로 향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응답하는 추가적인 보컬리스트에의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보컬리스트 포지션에 대한 제 2 보컬 스코어 및 제 2 가사를 특정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응답하는 추가적인 보컬리스트의 보컬 연주에의 적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보컬 포지션에 대한 제 2 보컬 효과 스케줄을 추가로 특정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효과 스케줄에 따라 프로세싱되는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버전을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보컬 효과가 적용된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가청 리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가청 렌더링이 스케줄된 보컬 효과들을 포함하도록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포함하는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이전에 캡쳐된 보컬 연주의 사용자 선택 부분의 보컬 리캡쳐를 개시하기 위한 권한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그리고 보컬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여, 이전에 캡쳐된 보컬 연주의 사용자 선택 부분의 보컬 리캡쳐를 개시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피치 시프팅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한 피치의 연속적인 시간-도메인 추정에 기초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연속적인 시간-도메인 피치 추정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응하는 샘플링된 신호의 현재 블록에 대한 래그-도메인 (lag-domain) 피리오도그램(periodogram)의 연산을 포함하고,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의 연산은, 샘플링된 신호의 분석 윈도우에 대해, 평균 크기 차이 함수(AMDF) 또는 래그들(lags)의 범위에 대한 자기상관 함수의 평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반주를 또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반주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해 로컬인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그리고 검색하는 단계는, 로컬로 저장된 반주로부터 확인가능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가능한 보컬 스코어를 식별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반주는 악기 및 배경 보컬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고 다수의 버전들로 렌더링되고, 가사에 대응하여 가청 렌더링되는 반주의 버전은 모노포닉(monophonic) 스크래치 버전이고,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피치-보정된 보컬 버전들과 믹싱된 반주의 버전은 스크래치 버전보다 더 높은 품질 또는 음질의 폴리포닉(polyphonic) 버전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게이밍 디바이스; 및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넷 북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드라이 보컬들의 송신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지오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원격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제 2 보컬 연주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보컬 연주를 포함하는 가청 렌더링에 대응하여 제 2 보컬 연주에 대한 지리적 기원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지리적 기원의 디스플레이는 지구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발신된 연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들)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i) 보컬 연주 캡쳐를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짐―; (ii)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된 보컬 스코어를 검색하는 단계 ― 보컬 스코어는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목표 음표들의 시퀀스를 반주에 대해 인코딩함―; (iii)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반주를 가청 렌더링하고, 동시에,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가사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하는 단계; (iv)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사용자의 보컬 연주를 캡쳐하는 단계; 및 (v)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의 선택과 함께,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을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보컬 스코어에 일치하도록,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피치-시프팅된 결과적 보컬 연주를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피치 보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음악 장르에 특정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스코어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수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그리고 보컬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여,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들)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오디오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피치 보정 코드 및 렌더링 파이프라인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반주에 대해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들을 캡쳐하고,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보컬 스코어의 검색을 개시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하고, 보컬 스코어는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음표 목표들의 시퀀스를 반주에 대해 인코딩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i) 반주의 가청 렌더링, (ii) 디스플레이 상에 가사의 동시 제시, (iii)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캡쳐, 및 (iv)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에의 저장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들을 캡쳐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피치 보정 코드는, 가청 렌더링과 동시에, 보컬 스코어에 일치하도록 캡쳐된 보컬 연주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피치 보정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하다. 렌더링 파이프라인은, 사용자의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를, 사용자의 보컬 연주가 캡쳐된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렌더링 파이프라인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보컬 효과 스케줄들을 적용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고,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고,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보컬 효과 스케줄의 사용자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들을 캡쳐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의 후속적 적용을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몇몇 경우들에서, 송신은, 드라이 보컬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과 관련하여 또는 관련을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가,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결합될 복수의 보컬 연주들 중 단지 하나를 구성한다는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보컬 스코어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사용자에게 수여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자에게 수여하기 위해,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그리고 보컬 스코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평가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로컬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개시된 검색은, 로컬 스토리지에 보컬 스코어 정보의 인스턴스들이 존재하면, 인스턴스들을, 원격 서버로부터 이용가능한 인스턴스들에 대해 체크하는 것, 및 로컬 스토리지 내의 인스턴스들이 이용불가능하거나 오래된 것인지를 원격 서버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매체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은, 후속하는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예시되며,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들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요소들 또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모바일 폰-타입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컨텐츠 서버 사이의 정보 흐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해, 스코어-코딩된 피치 또는 화성 큐에 기초한 실시간 연속적 피치-보정 및 화성 생성, 및 그와 함께, 보컬 효과 스케줄의 로컬 및/또는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저장 및/또는 업로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원격 컨텐츠 서버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드라이 보컬들의 실시간 연속적 피치-보정 및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시적인 모바일 폰-타입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소프트웨어 구현들의 실행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부들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의 협력을 예시하는 네트워크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각각의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용을 위한 신호 프로세싱 아키텍쳐의 상보적 (및 몇몇 경우들에서는 협력적) 활용들을 흐름도 형태로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호스팅하는) 보컬 캡쳐 플랫폼과의 상호작용들을 포함하는 신호 프로세싱 아키텍쳐의 컨텐츠 서버-중심 활용을 예시한다. 도 6b는, 유사하게, 컨텐츠 서버와의 상호작용들을 포함하는 신호 프로세싱 아키텍쳐의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호스팅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중심 활용을 예시한다.
당업자들은, 도면들의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이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노력으로, 예시된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 중 몇몇의 치수들 또는 중요성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핸드헬드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상에서 보컬 연주들의 캡쳐, 피치 보정, 화성화, 보컬 효과(EFX) 프로세싱, 인코딩 및 가청 렌더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들을 기초로, 이러한 보컬 연주들을 포함하는 믹스들은, 이러한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들, 워크스테이션들, 게이밍 스테이션들 및 심지어 통화용 대상 제품들을 포함하는 제품들 상에서 가청 렌더링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설명되는 기술들의 구현들은, 이러한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일반적으로 제한된 능력들을 감안했을 때 적합하고,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제품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무선 및/또는 유선 대역폭-제한된 네트워크들을 통해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들(또는 이들의 전조들 또는 변형들)의 효율적인 인코딩 및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기능의 할당 및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을 이용한다.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피치 검출 및 보정은,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반주(backing track)의 가청 렌더링에 대해 연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치-보정된 보컬들은, 사용자의 보컬 연주가 캡쳐된 반주의 해당 악기들 및/또는 보컬들을 (실시간으로) 중첩시키기 위해 가청 렌더링과 믹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피치 검출은, 캡쳐된 보컬 신호의 피치와 스코어-코딩된 목표 피치들 사이의 차이들을 식별하기 위해 제로-크로싱 및/또는 피크 피킹 기술들과 함께 평균 크기 차이 함수(AMDF) 또는 자동상관-기반 기술들을 이용하는 시간-도메인 피치 보정 기술들에 기초한다. 검출된 차이들에 기초하여, 피치 동기식 중첩 가산(PSOLA) 및/또는 선형 예측 코딩(LPC) 기술들에 기초한 피치 보정은, 캡쳐된 보컬들이, 스코어-코딩된 멜로디 목표들 및 화성들을 코딩하는 피치 보정 세팅들에 따라 "정확한" 음표들로 실시간으로 피치 시프팅되도록 허용한다. 피치 검출을 위한 FFT 피크 피킹 및 피치 시프팅을 위한 위상 보코딩과 같은 주파수 도메인 기술들은, 몇몇 구현들에서, 특히, 연산 설비들이 통상적인 현세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실질적으로 초과하거나 오프라인 프로세싱이 이용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 보정, 합성 다중-보컬리스트의 화성들 및/또는 준비, 가상 합창단 믹스들을 위한) 피치 검출 및 시프팅은 또한 포스트-프로세싱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음표들은, 특정된 키 또는 스케일에 일치하거나, 또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연주의 특정한 포인트에 따라 예측되는 스코어-코딩된 멜로디(또는 화성)에 대응하는 그러한 음표들이다. 따라서, 동작되는 스코어(operant score)가 없는 (또는 보컬 캡쳐 동안, 사용자가 기존의 스코어의 피치 보정 세팅들을 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허용하는) 아카펠라 모드들에서, 몇몇 구현들에서는 애드리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들은, 특정한 가사에 대해, 사용자가 (i) 스코어-코딩된 음표 목표들을 스위치 오프(및 온)시키는 것, (ii) 동작되는 피치 보정 세팅들로서 멜로디와 화성 음표 세트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앞뒤로 스위칭시키는 것, 및/또는 (iii) 들리는 피치들이 특정한 키 또는 스케일(예를 들어, C 메이저, C 마이너, E 플랫 메이저 등)에 가장 근접한 음표들로만 보정되게 하는 세팅들에 선택적으로 (보컬 캡쳐에서 제스쳐 선택된 포인트들에서) 의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 캡쳐 및 동적 가변 피치 보정 세팅들은 고급 사용자들에게 프리스타일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피치 보정 세팅들은, 캡쳐된 보컬 연주를 원하는 효과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한 음악적 연주 또는 특정한 아티스트에 의해 대중화된 피치 보정 효과들에 따라 왜곡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피치 보정은, Antares Audio Technologies로부터 입수가능하고 그에 의해 대중화된 Auto-Tune® 기술의 플러그-인 구현들과 같이, 캡쳐된 보컬 신호로부터의 샘플들의 가변 윈도우에 적용되는 자동상관 계산들을 연산적으로 단순화시키는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특정한 시스템의 목적들 및 구현에 따라, 사용자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EFX) 스케줄은,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피치 보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인코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할 수 있고, 파생 오디오 인코딩 또는 가청 렌더링이, 선택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의 특징을 취하게 하도록,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오디오 인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은, 예를 들어, "P.Y.T.(Pretty Young Thing)"을 노래하는 아티스트 Michael Jackson에 의한 리드 보컬의 스튜디오 레코딩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한편, 다른 보컬 효과 스케줄은 다른 아티스트 T-Pain에 의한 동일한 노래의 커버 버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ichael Jackson에 의한 원래의 연주에 대응하는) 제 1 보컬 효과 스케줄은, (스튜디오 엔지니어들에 의해 종종 이용되는 용어를 사용하면) 베이스 롤-오프(bass roll-off), 중간적 압축(moderate compression) 및 디지털 플레이트 잔향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형태의 EFX로 인코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보컬 효과 스케줄은, 120 Hz에서 12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4:1 비 및 -10 dB의 임계치를 갖는 튜브 압축기, 및 30ms 프리-지연 및 15% 웨트/드라이 믹스의 웜(warm) 플레이트 세팅을 갖는 디지털 잔향기의 파라미터들 또는 세팅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T-Pain에 의한 커버 버전에 대응하는) 제 2 보컬 효과 스케줄은, (또한 스튜디오 엔지니어들에 의해 종종 이용되는 용어를 사용하면) 고역 통과 등화(high-pass equalization), 팝 압축, 빠른 피치 보정, 몇몇 단어들에 대한 보컬 더블링, "경쾌함(airiness)"을 위한 가벼운 잔향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형태의 EFX로 인코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2 보컬 효과 스케줄은, 200 Hz에서 24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4:1 비 및 -15 dB의 임계치를 갖는 디지털 압축, 0 ms 어택을 갖는 피치 보정, 0.3 Hz의 레이트, (특정 스코어 코딩된 위치들에서 "pretty young thing"과 같이 더블링되는 단어를 모방하기 위해) 100%의 강도 및 100%의 믹스를 갖는 스테레오 코러스, 및 300 Hz의 고역 통과 필터링, 2.5초의 길이 및 10% 웨트/드라이 믹스를 갖는 콘서트 홀에 대한 임펄스-응답-기반 반향의 파라미터들 또는 세팅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음악적 장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은 댄스 장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는 한편 (예를 들어, 250 Hz에서 24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6:1 비 및 -15dB의 임계치를 갖는 디지털 압축기, 좌측 채널[200ms 지연, 15% 웨트/드라이 믹스, 40% 피드백 계수] 및 우측 채널[260ms 지연, 15% 웨트/드라이 믹스, 40% 피드백 계수]를 갖는 스테레오 지연, 및 밝은 플레이트 세팅 및 15% 웨트/드라이 믹스를 갖는 디지털 반향기의 파라미터들 또는 세팅들을 인코딩함), 다른 보컬 효과 스케줄은 발라드 장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 Hz에서 12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4:1 비 및 -8dB의 임계치를 갖는 디지털 압축기, 및 30ms 프리-지연 및 20% 웨트/드라이 믹스인 대형 콘서트 홀 세팅을 갖는 디지털 반향기의 파라미터들 또는 세팅들을 인코딩함). 음악적 장르-별 보컬 효과 스케줄들의 특정한 파라미터화는 일반적으로 구현예에 따라 달라지지만,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다양한 음악적 장르들에 대한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절한 변형들 및 다른 파라미터화를 인식할 것이다. 댄스 및 발라드 장르는 단지 예시적이다.
본 개시의 상황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이란 용어는, 적어도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캡쳐된 보컬 연주(통상적으로는, 드라이 보컬 버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될 보컬 EFX의 나열된 그리고 동작되는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Katy Perry effect" 또는 "T-Pain effect" 를 제공하기 위해, 캡쳐된 드라이 보컬들에 상이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이 트랜잭션 및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파생 오디오 인코딩 또는 가청 렌더링에 음악적 장르-별 효과를 불어넣기 위해, 캡쳐된 드라이 보컬들에 상이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이 트랜잭션 및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파생 오디오 인코딩 또는 가청 렌더링에 스튜디오 또는 "라이브" 공연 특징들을 불어넣기 위해, 사용자의 캡쳐된 드라이 보컬들에 상이한 보컬 효과 스케줄들이 트랜잭션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는 적용될 수 있다. 반면, 아티스트-, 노래-, 연주-별 보컬 EFX 스케줄들이 음악적 장르-별 보컬 EFX 스케줄들과는 별개로 설명되지만,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특정한 보컬 EFX 스케줄은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 및/또는 음악적 장르-별 양상들을 융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적어도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효과 스케줄이란 용어는 추가로, 보컬 스코어의 부분들에 대한 (예를 들어, 노래의 프리-코러스 및 코러스 부분들에 대한 별개의 보컬 EFX 세트들, 및/또는 듀엣 또는 다른 다중-보컬리스트 연주의 각각의 부분들에 대한 별개의 보컬 효과 세트에 대한) 시간상의 또는 템플릿 대응에서 변하는 보컬 EFX의 열거된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Cher의 "Believe"의 상징적인 연주에 대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서, 연주의 프리-코러스 섹션에 대응하는 특정한 스코어-배열된 부분들은, (스튜디오 엔지니어들에 의해 종종 이용되는 용어를 사용하면) 스펙트럼 등화, 중간적 압축, 강한 피치 보정 및 가벼운 스테레오 지연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형태의 EFX로 인코딩될 수 있는 한편, 연주의 코러스 섹션들에 대응하는 부분들은, 베이스 롤-오프, 팝 압축, 긴 고역 통과 스테레오 지연 및 리치(rich)/웜 반향을 포함하는 EFX를 인코딩할 수 있다. 더 기술적 용어들로, 보컬 효과 스케줄의 프리-코러스 섹션 EFX는, 400 Hz에서 24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및 2.2 kHz에서 12 dB/옥타브 저역 통과 필터, 3:1 비 및 -10dB의 임계치를 갖는 디지털 소프트-니(soft-knee) 압축기, 0 ms 어택을 갖는 피치 보정, 및 좌측 채널 상에서 4분음표 싱크된 지연, 우측 채널 상에서 8분음표만큼 오프셋되고, 두 채널 모두 15% 웨트/드라이 믹스에서 33%의 피드백을 갖는 파라미터들 및 세팅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반대로, 보컬 효과 스케줄에서 코러스 섹션 EFX는, 120 Hz에서 12 dB/옥타브 고역 통과 필터, 4:1 비 및 -15 dB의 임계치를 갖는 튜브 압축기, 좌측 채널 상에서 2분음표 싱크된 지연, 우측 채널 상에서 20 ms만큼 오프셋되고, 두 채널 모두 25% 웨트/드라이 믹스에서 45% 피드백을 갖고, 200Hz의 고역 통과 필터링 4.5초의 길이 및 18% 웨트/드라이 믹스를 갖는 콘서트 홀의 임펄스-응답-기반 반향 특징에 대한 파라미터들 또는 세팅들을 인코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보컬 효과 스케줄의 각각의 부분들(또는 그 상황에 대한 한 쌍의 별개의 보컬 효과 스케줄들)은 각각의 보컬 연주 캡쳐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어서, 제 1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듀엣의 제 1 부분의 보컬 연주 캡쳐에 대해 그리고 제 2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듀엣의 제 2 부분의 별개의 보컬 연주 캡쳐에 대해 적절한 각각의 EFX를 제공할 수 있다.
피치-보정된 보컬들 및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들(EFX)의 강력하고 변환적인 성질에 기초하여, 사용자/보컬리스트들은 통상적으로, 자신들의 보컬 연주들을 공유하는 것과 연관된 다른 자연스러운 수줍음 또는 불안감을 극복한다. 심지어 단지 아마추어들도 친구들 및 가족과 공유하도록, 또는 친밀 그룹의 일부로서 보컬 연주들을 협력하고 기여하도록 용기를 얻는다. 몇몇 구현들에서,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연주들의 소셜 네트워크- 및/또는 eMail-중재된 공유를 통해서 그리고 그룹 연주 또는 가상 합창단에 참여하라는 초대를 통해서 용이하게 된다. 전술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클라이언트들에서 캡쳐된 업로드된 보컬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또는 서비스)는 다수의 기여한 보컬리스트들의 업로드된 보컬 연주들을 조작 및 믹싱함으로써 이러한 친밀 그룹들 중재할 수 있다. 특정한 시스템의 목적들 및 구현들에 따라, 업로드는,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들, 드라이(즉, 미보정된) 보컬들, 및/또는 사용자 키 및/또는 피치 보정 선택들의 제어 트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동일한 기본 오디오 소스 재료의 (종종 상이한 품질 또는 음질의) 제 1 및 제 2 인코딩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주의 제 1 및 제 2 인코딩들(예를 들어, 하나는 보컬들이 캡쳐된 핸드헬드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하나는 컨텐츠 서버에서)의 이용은, 각각의 인코딩들이 데이터 전송 대역폭 제약들 또는 이들이 이용되는 특정한 디바이스/플랫폼에서의 요구들에 적응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보컬 캡쳐에 대한 오디오 백드롭으로 핸드헬드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가청 렌더링된 반주의 제 1 인코딩은, 가청 렌더링을 위한 믹싱된 연주를 준비하기 위해 컨텐츠 서버에서 이용되는 그와 동일한 반주의 제 2 인코딩보다 더 낮은 품질 또는 음질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컬 연주의 캡쳐 및 피치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대역폭 요건들을 제한하면서, 높은 품질의 믹싱된 오디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럼에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이용되는 상기 반주 인코딩들은, 몇몇 경우들에서, 컨텐츠 서버에서의 반주 인코딩들과 동등하거나 심지어 더 양호한 품질/음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상에 상주하는 뮤직 라이브러리로부터 또는 컨텐츠 서버로부터의 이전의 다운로드에 기초하는 경우와 같이 반주의 적절한 인코딩이 모바일 폰(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실시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다운로드 데이터 대역폭 요건들은 매우 낮을 수 있다. 가사, 타이밍 정보 및 적용가능한 피치 보정 세팅들은, 확인가능한 임의의 다양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오디오 메타데이터, 트랙 타이틀, 연관된 썸네일 또는 심지어, 원한다면 오디오에 적용되는 핑거프린팅 기술들로부터 기존의 반주와 관련하여 검색될 수 있다.
라오케 -스타일 보컬 연주 캡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폰-호스팅된, 피치-보정된 카라오케-스타일 보컬 캡쳐는 유용한 설명적 상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App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iPhone™ 핸드헬드(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핸드헬드(101))는, 보컬 캡쳐 및 캡쳐된 보컬들의 연속적인 실시간 스코어-코딩된 피치 보정 및 화성화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서버와 협력하여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한다. 카라오케-스타일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둘 모두 Smule,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2009년 9월에 오리지널로 릴리스된 iPhone을 위한 "I am T-Pain"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후의 "Glee"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악기들의 반주 및/또는 보컬들은, 그에 대해 노래하는 보컬리스트/사용자를 위해 가청 렌더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가사는, 사용자에 의한 카라오케-스타일 보컬 연주를 용이하게 하도록 가청 렌더링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102). 몇몇 경우들 또는 상황들에서, 배경 오디오는, 예를 들어, 핸드헬드 상에 상주하는 iTunes™ 라이브러리의 컨텐츠와 같은 로컬 스토어로부터 렌더링될 수 있다.
사용자 보컬들(103)은 핸드헬드(101)에서 캡쳐되고, (또한 핸드헬드에서) 연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피치-보정되고, 사용자에게 그 자신의 보컬 연주의 개선된 톤 품질 렌디션을 제공하기 위해 가청 렌더링된다(104 참조, 반주와 믹싱된다). 피치 보정은 통상적으로 스코어-코딩된 음표 세트들 또는 신호들(예를 들어, 피치 및 화성 큐들(105))에 기초하고, 이들은 현재의 키 또는 스케일에서 목표 음표들의 연주 동기화된 시퀀스들을 갖는 연속적인 피치-보정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연주 동기화된 멜로디 목표들에 추가하여, 스코어-코딩된 화성 음표 시퀀스들(또는 세트들)은, 사용자 자신의 캡쳐된 보컬들의 화성 버전들로 피치-시프팅을 위해 (통상적으로 리드 멜로디 음표 트랙에 대해 오프셋들로서 코딩되고 통상적으로 목표들의 선택된 부분들에 대해서만 스코어되는) 추가적인 목표들을 갖는 피치-시프팅 알고리즘들을 제공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피치 보정 세팅들은, 특정한 반주와 연관된 보컬들을 수행한 아티스트와 같은 특정한 아티스트의 특징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배경 오디오(여기서는, 하나 이상의 악기 및/또는 보컬 트랙들), 가사 및 타이밍 정보 및 피치/화성 큐들 모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서버들 또는 호스팅된 서비스 플랫폼들(여기서는,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공급된다(또는 요구 업데이트된다). 주어진 노래 및 연주, 예를 들어, "Hot N Cold"의 경우, 배경 트랙의 몇몇 버전들이,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구현들 또는 활용들에서, 버전들은:
·미압축된 스테레오 wav 포맷 반주,
·미압축된 모노 wav 포맷 반주, 및
·압축된 모노 m4a 포맷 반주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사, 멜로디 및 화성 트랙 음표 세트들 및 관련된 타이밍 및 제어 정보가 배경 트랙(들)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적절한 콘테이너 또는 오브젝트(예를 들어,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또는 자바 스크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 json 타입 포맷)에 코딩된 스코어로서 캡슐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면, 핸드헬드(101)는, 사용자에 의한 카라오케-스타일 보컬 연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사 및 심지어 목표 음표들과 관련된 시각적 큐들, 화성들 및 반주(들)의 가청 연주에 대응하여 현재 검출된 보컬 피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보컬리스트가 되려는 사람들이 핸드헬드 디바이스 상에서 "Hot N Cold"를 아티스트 Katy Perry에 의해 원래 유명해진 대로 선택하면, HotNCold.json 및 HotNCold.m4a는 (이전의 다운로드에 기초하여 캐시되거나 이미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고, 그 다음, 배경 음악, 동기화된 가사, 및 몇몇 상황들 또는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노래하는 동안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보정 시프팅들을 위한 스코어-코딩된 음표 트랙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특정한 실시예들 또는 장르들의 경우, 화성 음표 트랙들이 캡쳐된 보컬들에 대한 화성 시프팅들을 위해 스코어 코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캡쳐된 피치-보정된(가능하게는 화성화된) 보컬 연주는 하나 이상의 wav 파일들로서 핸드헬드 디바이스 상에 로컬로 저장되고,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손실없는 ALE(Apple Lossless Encoder) 또는 손실있는 AAC(Advanced Audio Coding) 또는 보비스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되고, MPEG-4 오디오, m4a, 또는 ogg 콘테이너 파일로서 컨텐츠 서버(110)에의 업로드(106)를 위해 인코딩된다. MPEG-4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코딩된 표현 및 인터넷, 모바일 네트워크들 및 진보된 브로드캐스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송신을 위한 국제 표준이다. OGG는, 손실있는 오디오 압축을 위한 보비스 오디오 포맷 규격 및 코덱과 관련하여 종종 이용되는 개방형 표준 콘테이너 포맷이다. 다른 적절한 코덱들, 압축 기술들, 코딩 포맷들 및/또는 콘테이너가, 원한다면, 이용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드라이 보컬 및/또는 피치-보정된 보컬들의 인코딩들이 컨텐츠 서버(110)에 업로드될 수 있다(106). 그 다음,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wav, m4a, ogg/보비스 컨텐츠 또는 그외의 것들로서 인코딩되는) 이러한 보컬들은 이미 피치-보정되었든 컨텐츠 서버(110)에서 피치-보정되든, 예를 들어, 배경 오디오 및 다른 캡쳐된(그리고 가능하게는 피치 시프팅된) 보컬 연주들과 믹싱될 수 있어서(111), 특정한 제품(예를 들어, 핸드헬드(120)) 또는 네트워크의 능력들 또는 제한들에 따라 선택되는 품질 또는 코딩 특성들의 파일들 또는 스트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품질의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피치-보정된 보컬들은 스테레오 및 모노 wav 파일들 둘 모두와 믹싱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웹 재생을 위해 고품질 스테레오 버전이 생성될 수 있고, 핸드헬드 디바이스 자체와 같은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트리밍을 위해 더 낮은 품질의 모노 버전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보컬리스트들의 연주들은 공개 모집에 대한 응답으로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보컬들 중 하나의 세트(예를 들어, 도 1의 예시에서, 핸드헬드(101)에서 캡쳐된 메인 보컬들)에 (예를 들어, 리드 보컬들로서) 우수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은 보컬 연주의 각각의 캡쳐된 그리고 업로드된 인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112). 예를 들어, 초기에 캡쳐된 드라이 보컬들은 "Hot N Cold"의 Katy Perry의 스튜디오 연주의 보컬 효과 스케줄 특성에 따라 컨텐츠 서버(100)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다(예를 들어, 112).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은 이전에 설명된 피치 큐들(105)에 따라 (서버(100)에서의) 피치 보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결과적 믹스(예를 들어, EFX 적용되고, 압축된 모노 m4a 포맷 반주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보컬들과 믹싱되는 캡쳐된 피치-보정된 메인 보컬들, 추가적인 보컬들 자체는 EFX 적용되고 메인 보컬들 위 또는 아래의 각각의 화성 포지션들로 피치 시프팅됨)는, 추가적인 보컬 연주들의 캡쳐를 위해 제 2 생성 반주로서의 가청 렌더링(121) 및/또는 이용을 위해 원격 디바이스(예를 들어, 핸드헬드(120))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스코어-코딩된 피치 시프팅들 및 보컬 효과 스케줄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한 실시간 연속적 스코어-코딩된 피치-보정 및/또는 화성 생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된 구성에서 뿐만 아니라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보컬리스트는 반주 카라오케 스타일과 함께 노래한다. 마이크로폰 입력(201)으로부터 캡쳐(251)된 보컬들은, 메인 보컬 피치 큐(cues)로, 또는 몇몇 경우들에는, 하나 이상의 음향 트랜스듀서들(202)에서 가청 렌더링되는 반주와의 믹싱(253)을 위해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화성 큐로 연속적으로 피치-보정된다(252). 몇몇 경우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메인" 멜로디로 보정된 캡쳐된 보컬 피치의 가청 렌더링은 선택적으로, 스코어 코딩된 오프셋들에 따라 캡쳐된 보컬들로부터 동기화된 화성들(HARMONY1, HARMONY2)과 믹싱(254)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헤드폰 또는 이어폰의 이용을 통해) 트랜스듀서(들)(202)로부터 마이크로폰(201)으로의 피드백 루프들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실제로,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설명 대부분은, 모바일 폰 상황들, 및 더 상세하게는, Apple iPhone 핸드헬드에 대해 친숙한 특징들 및 능력들 상에서 확립되지만, 심지어 빌트인 마이크로폰 능력들이 없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도, 헤드폰/마이크로폰 잭들이 제공되면,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 및 화성화에 의한 보컬 캡쳐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Apple iPod Touch 핸드헬드 및 Apple iPad 태블릿이 이러한 2개의 예시들이다.
(메인 또는 화성 피치들로의) 피치 보정 및 선택적으로 추가된 화성들은, 예시된 구성에서 가사(208) 및 반주(209)의 오디오 인코딩과 함께 보컬 캡쳐 및 피치-보정이 수행될 디바이스에 (예를 들어,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iPhone 핸드헬드(101)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무선으로 통신되는(261) 스코어(207)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몇몇 설계들 및 구현들에서 직면되는 하나의 난제는, 사용자가 노래의 예상되는 멜로디를 노래하도록 선택하는 경우에만 화성이 좋게 들리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노래를 장식하거나 자기 자신의 버전으로 부르기를 원하면, 화성들은 차선으로 들릴 수 있다. 이러한 난제를 다루기 위해, 특정한 컨텐츠에 대해 (예를 들어, 특정한 노래 및 노래의 선택된 부분들에 대해) 상대적인 화성들이 사전-스코어되고 코딩된다. 목표 피치들은, 스코어 및 사용자가 노래하고 있는 것 모두에 기초한 화성들에 대해 런타임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강력한 사용자 경험을 도출시켰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보컬리스트에 의해 들리는 것에 가장 근접한 (현재의 스케일 또는 키에서의) 음표를 우리의 스코어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러한 가장 근접한 음표는 통상적으로 스코어 코딩된 보컬 멜로디에 대응하는 메인 피치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실제로, 몇몇 경우들에서, 사용자/보컬리스트는, 화성을 노래하려 의도할 수 있고, 들리는 음표들은 화성 트랙에 더 밀접하게 근접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피치 보정기(252) 및/또는 화성 생성기(255)는, (사용자/보컬리스트가 의도적으로 화성을 노래하고 있는 경우에도) 캡쳐된 보컬들의 적절한 피치-시프팅된 버전들을 생성함으로써 원하는 스코어-코딩된 화음의 다른 부분들을 합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 및 선택적으로는, 가청 렌더링된 반주와의 믹스(253)를 위해 결합(254) 또는 집합되는 결과적 피치-시프팅된 버전들 중 하나 이상은 컨텐츠 서버(110) 또는 원격 디바이스(예를 들어, 핸드헬드(120))에 무선으로 통신(262)될 수 있다.
보컬 효과들의 컨텐츠 서버(100) 측 애플리케이션이 설명되었지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101, 120)에서 구현되는 신호 프로세싱 흐름들(250)에서 사용자 선택가능한 보컬 효과(EFX) 스케줄들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전과 같이, 본 경우에서는 무선 송신(261)에서 인코딩되고 포함될 수 있는 선택된 보컬 효과(EFX) 스케줄은,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들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피치 보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음향 트랜스듀서(202)를 이용한 가청 렌더링을 위해 이전에 설명된 반주와 믹싱(253)되는 드라이 보컬들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위해, 선택적인 신호 프로세싱 흐름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선택된 EFX의 성질 및 연산 복잡도에 따라, 실시간 연속적 프로세션(스코어 코딩된 피치 보정을 포함함)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공될 수 있지만,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선택된 보컬 효과(EFX) 스케줄의 적용은 포스트-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이다.
당업자들은 임의의 다양한 스코어-코딩 프레임워크들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은, 널리 이용되고 표준화된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데이터 포맷들에 대한 확장들에 대해 확립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에 대해 확립되면, 스코어들은 MIDI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콘테이너로 표현되는 트랙들의 세트로서 코딩될 수 있고, 몇몇 구현들 또는 활용들에서 콘테이너는:
· 제어 트랙: 키 변화들, 이득 변화들, 피치 보정 제어들, 화성 제어들 등
· 하나 이상의 가사 트랙들: 디스플레이 주문화에 의한 가사 이벤트들
· 피치 트랙: (통상적으로 코딩된) 메인 멜로디
· 하나 이상의 화성 트랙들: 화성 음성 1, 2... 제어 트랙 이벤트들에 따라, 주어진 화성 트랙에서 특정되는 음표들은 절대적 스코어된 피치들로서 또는 상대적인 사용자의 현재의 피치에 대해 (현재의 세팅들에 따라) 보정되거나 보정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
· 화음 트랙: 원하는 화성들이 화성 트랙들에 설정되지만, 사용자의 피치가 스코어된 피치와 상이하면, 상대적인 오프셋들이 현재의 화음의 음표 세트에 근접하게 유지될 수 있음
을 포함한다.
상기에 대해 확립되면, 피치 보정기(252) 및/또는 화성 생성기(255)의 런타임 동작들을 설정하기 위해 그리고 그에 따라, 종래의 정적 화성들에 의해 달성가능한 것을 초과하는 (넓은 범위의 보컬 스킬 레벨들에 대한) 피치-보정된 보컬들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히 스코어-코딩된 특수화들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트랙 특징부들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기 텍스트 마커들이 지원될 수 있다:
· Key : <string> : 들리는 음표들이 보정되는 키(예를 들어, G ?? 메이저 g#M, E 마이너 Em, B 플랫 메이저 BbM 등)를 나타낸다. C로 디폴트된다.
· PitchCorrection : {ON, OFF} : 사용자/보컬리스트의 피치를 보정할지를 코딩함. 디폴트는 ON이다. 보컬 연주에서 시간상 동기화된 포인트들에서 턴 ON 및 OFF될 수 있다.
· SwapHarmony : {ON, OFF} : 사용자/보컬리스트에게 들리는 피치가 화성에 가장 근접하게 대응하면, 멜로디보다는 화성에 대해 피치 보정하는 것이 좋은지를 코딩한다. 디폴트는 ON이다.
· Relative : {ON, OFF } : ON인 경우, 화성 트랙들은 (다른 피치 보정 세팅들에 따라 보정된) 사용자의 현재의 피치로부터 상대적인 오프셋들로서 해석된다. 화성 트랙들로부터의 오프셋들은 스코어된 피치 트랙에 대한 화성 트랙들의 오프셋들이다. OFF인 경우, 화성 트랙들은 화성 시프팅들에 대한 절대적 피치 목표들로 해석된다.
· Relative : {OFF, < +/- N > ... < +/- N > } : OFF가 아니면, (원하는 만큼 많은) 화성 오프셋들은, 임의의 동작되는 키 또는 음표 세트들에 따라, 스코어된 피치 트랙에 대해 상대적이다.
· RealTimeHarmonyMix : {value} : 가청 렌더링된 화성/메인 보컬 믹스에서 메인 음성 및 화성들의 보컬 연주에서의 시간상 동기화된 포인트들에서, 믹스 비에서의 변화들을 코딩함. 1.0은 모든 화성 음성들이다. 0.0은 모든 메인 음성이다.
· RecordedHarmonyMix : { value } : 업로드된 화성/메인 보컬 믹스에서 메인 음성 및 화성들의, 보컬 연주에서의 시간상 동기화된 포인트들에서, 믹스 비에서의 변화들을 코딩한다. 1.0은 모든 화성 음성들이다. 0.0은 모든 메인 음성이다.
화음 트랙 이벤트들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루트 및 품질(예를 들어, C min7 또는 Ab maj)을 나타내고, 음표 세트가 정의되도록 허용하는 하기 텍스트 마커들을 포함한다. 원하는 화성들이 화성 트랙(들)에서 설정되지만, 사용자의 피치가 그 스코어된 피치와 상이하면, 상대적인 오프셋들이 현재 화음에 있는 음표들에 근접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코어의 화음 트랙에 대해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화음"은, 이용가능한 피치들의 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인데, 이는, 화음 트랙 이벤트들이 통상적인 관점에서 표준 화음들을 인코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스코어-코딩된 피치 보정 세팅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창작적 기술들을 촉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피치 검출, 보정 및 시프팅들을 위한 연산 기술들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이득을 갖는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피치-검출 및 보정 기술들은, 캡쳐된 보컬 신호의 목표 피치 또는 음표로의 보정 및 캡쳐된 보컬 신호의 피치-시프팅된 변형들로서 화성들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가청 렌더링을 위해 (로컬로 및/또는 원격 목표 디바이스에서) 피치-보정되고 선택적으로는 화성화된 보컬들을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1)로서 예시된 iPhone™ 핸드헬드에 적합한 특정한 구현들에 따른 기본 신호 프로세싱 흐름들(250, 350)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도 3에 도시된 신호 프로세싱 흐름들(350)을 제공하도록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기능 블록들(예를 들어, 디코더(들)(352), 디지털-투-아날로그(D/A) 변환기(351), 캡쳐(253) 및 인코더(355))로,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샘플링, 필터링, 데시메이션 등)과 데이터 표현들을 적절히 할당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유사하게, 신호 프로세싱 흐름들(250) 및 예시적인 스코어 코딩된 음표 목표들(화성 음표 목표들을 포함함)에 대해, 당업자들은, 핸드헬드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되는, 도 2에서와 같은 기능 블록들 및 신호 프로세싱 구성들(예를 들어, 디코더(들)(258), 캡쳐(251), 디지털-투-아날로그(D/A) 변환기(256), 믹서들(253, 254) 및 인코더(257))로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 및 데이터 표현들을 적절히 할당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신호 프로세싱 구성들의 임의의 다양한 적절한 구현들에 대해 확립되면,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피치 보정, 화성 생성 및 결합된 피치 보정/화성화 블록들(252, 255 및 354)의 촉진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피치 검출 및 보정/시프팅 기술들을 참조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피치-검출 및 피치-보정은 음악 및 음성 코딩 분야에서 풍부한 기술적 이력을 갖는다. 실제로, 광범위한 특징 피킹, 시간 도메인 및 심지어 주파수 도메인 기술들이 이 분야에서 이용되어 왔고,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설명은, 본 설명에 따른 다양한 설계 또는 구현들에 적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의 목록을 완전하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 설명은 CPU-제한된 연산 플랫폼들을 다루는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구현들에서 동작가능한 것으로 증명된 특정 기술들을 요약한다.
따라서, 상기의 관점에서, 그리고 제한 없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 샘플링된 사용자 보컬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를 획득한다.
2) 저역통과 필터링에 의해 44.1kHz 샘플링 레이트로부터 다운샘플링하고, (통상적으로 스코어-코딩된 멜로디 음표 목표에 대해, 메인 음성으로서 샘플링되는 보컬들의 피치 검출 및 보정에 이용하기 위해) 22k 및 (샘플링된 보컬들의 피치 검출 및 이들의 화성 변형들의 시프팅을 위해) 11k로 데시메이션한다.
3) 샘플링된 오디오 신호가 충분한 진폭을 갖는지 그리고 그 샘플링된 오디오가 진행하기에는 너무 잡음이 심하지 않은지(과도한 제로 크로싱들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체크하는 피치 검출기(PitchDetector : : CalculatePitch ( ))를 호출한다. 샘플링된 오디오가 허용가능하면, CalculatePitch ( ) 방법은 평균 크기 차이 함수(AMDF)를 계산하고, 피치 주기의 추정치에 대응하는 피크를 선택하기 위한 로직을 실행한다. 추가적인 프로세싱이 그 추정치를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서, 피크 및 인접한 샘플들의 포물선 보간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 및 주어진 적절한 연산 대역폭에서, 추가적인 AMDF는, 더 양호한 주파수 분해능을 얻기 위해 피크 샘플 주위에서 더 높은 샘플링 레이트로 실행될 수 있다.
4) 22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더 높은 품질 및 중첩 정확도를 위해) 피치-동기식 중첩 가산(PSOLA)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메인 음성을 스코어-코딩된 목표 피치로 시프팅한다. PSOLA 구현(Smola : : Pitchshiftvoice ( ) )은, 원하는 보정을 특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검출된 피치, 피치 목표 등)를 포함하는 클래스 변수들 및 데이터 구조들로 호출된다. 일반적으로, (멜로디 음표 트랙에 대응하여 빈번하게 변하는) 스코어-코딩된 목표들에 기초하여 그리고 현재의 스케일/모드 세팅들에 따라 목표 피치가 선택된다. 스케일/모드 세팅들은 특정한 보컬 연주 동안 업데이트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스코어-코딩된 정보에 기초하여 너무 자주 업데이트되지는 않고, 사용자 선택들에 기초한 아카펠라 또는 프리스타일 모드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PSOLA 기술들은 파형의 리샘플링을 용이하게 하여 스플라이스의 비주기적 영향들을 감소시키면서 피치-시프팅된 변형을 생성하고, 본 기술 분야에 주지되어 있다. PSOLA 기술들은, 만약 중첩의 세그먼트 동안 2개의 주기적인 파형들 간에 크로스 페이드한다면, 파형들의 주기적 진동 내의 유사한 포인트들(예를 들어, 이상적으로 대략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포지티브로 진행하는 제로 크로싱들에서)에서 2개의 주기적인 파형들을 스플라이스하는 것이 훨씬 더 부드럽게 가능하다는 관찰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샘플들 {a, b, c, ...} 및 인덱스들 0, 1, 2, ...을 갖는
Figure 112015022417051-pct00001
과 같은 준주기적 시퀀스에 대해서 (여기서, .1 심볼들은 주기로부터의 편차를 나타냄), 뒤로 점프하거나 어딘가 앞으로 가기를 원하면 인덱스들 2 및 10에서 포지티브 진행하는 c-d 전이를 선택할 수 있고, 단순히 점프하는 대신에, 인덱스 10/18에서 (0*c + 1*c.1)에 도달할 때까지
Figure 112015022417051-pct00002
와 같이 램핑하여, 앞으로 1 주기 (8 인덱스) 점프하지만 편집 포인트에서 비주기성이 덜 분명해지도록 만들 수 있다. 검출할 수 있는 주기에 가장 근접한 주기인 8개의 샘플들에서 행하기 때문에, 이것은 피치 동기식이다. 이 크로스 페이드는 선형/삼각형 중첩-가산이지만, (더 일반적으로) 상보적 코사인, 1-코사인 또는 원하는대로의 다른 함수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5) PSOLA 및 선형 예측 코딩(LPC) 기술들 둘 모두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화성 음성들을 생성한다. 화성 음표들은 현재의 세팅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데, 이는 스코어-코딩된 화성 목표들에 따라 종종 변하거나, 프리스타일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들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목표 피치들이지만, 화성들을 위해 일반적으로 더 큰 피치 시프팅이 주어지면, 상이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22k 또는 선택적으로는 44k인) 메인 음성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PSOLA 기술들을 이용하여 목표로 피치-보정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화성들로의 피치 시프팅들이 PSOLA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그 다음, 각각의 화성에 대해 나머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에 선형 예측 코딩(LPC)이 적용된다. LPC는, 피치-시프팅된 나머지들에 적용할 스펙트럼 템플릿을 유도하기 위해, 11k(또는 선택적으로 22k)에서 메인 피치-미보정 음성에 적용된다. 이것은, 헤드-사이즈 변조 문제(상향 시프팅에 대한 치프멍크(chipmunk) 또는 먼치킨화(munchkinification) 또는 하향 시프팅에 대해 사람들의 목소리를 다쓰 베이더(Darth Vader)처럼 만드는 것)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6) 마지막으로, 나머지들은 함께 믹싱되고, 메인 피치-미보정된 음성 신호에 대해 유도되는 LPC 계수들에 의해 정의되는 필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피치-시프팅된 화성들을 재합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 다음, 피치-시프팅된 화성들의 결과적 믹스는 피치-보정된 메인 음성과 믹싱된다.
7) 결과적 믹스는 44.1k까지 다시 업샘플링되고, 반주와 믹싱되거나 (프리스타일 모드에서는 제외됨), 또는 재생을 위한 오디오 서브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를 위해 버퍼링되는 그의 향상된 음질의 변형과 믹싱된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AMDF 계산들은, 신호의 주기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단지 하나의 시간 도메인 연산 기술이다. 더 일반적으로,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이란 용어는, 신호의 이산 시간 샘플들 x(n)의 시리즈 또는 시간 도메인 함수를 입력으로서 취하고, 그 함수 또는 신호를 일련의 지연들에서 자기 자신과 (즉, 래그-도메인에서) 비교하여 원래 함수 x의 주기성을 측정하는 함수를 설명한다. 이것은 관심있는 래그들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하여, 피치 검출을 위한 적절한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 연산들의 예들은, 현재의 블록에 대해 캡쳐된 보컬 입력 신호 x(n)을 그와 동일한 것의 래그된 버전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차이 함수), 또는 그 감산의 절대값을 취하는 것(AMDF), 또는 신호를 그의 지연된 버전과 곱하고 값들을 합산하는 것(자기상관)을 포함한다.
AMDF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응하는 주기들에서 밸리(valley)를 나타낼 것이며, 자기상관은 피크를 나타낼 것이다. 신호가 비주기적이면(예를 들어, 잡음), 피리오도그램들은 제로 래그 포지션에서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명확한 피크들 또는 밸리들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수학적으로,
Figure 112015022417051-pct00003
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의 경우, AMDF-기반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 계산들은, 심지어 현세대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연산 설비들을 이용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현재 또는 장래에, 주어진 목표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 상에서 연산하기 쉬울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피치 검출 기술들을 확립하는 구현들을 인식할 것이다.
"공개 모집 오디션"에 대한 응답으로 보컬 연주의 부착
일단 보컬 연주가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 캡쳐되면, 캡쳐된 보컬 연주 오디오(통상적으로, 드라이 보컬이지만 선택적으로는 피치 보정됨)는 오디오 코덱(예를 들어, 진보된 오디오 코딩(AAC) 또는 ogg/보비스 코덱)을 이용하여 압축되고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된다. 도 1, 도 2 및 도 3 각각은 이러한 업로드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서버(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10, 310))는 그 다음, 선택된 보컬 효과(EFX) 스케줄 및 적용가능한 스코어-코딩된 피치 보정 세트들에 따라, 업로드된 드라이 보컬들을 프로세싱한다(112, 312). 그 다음, 컨텐츠 서버는, 이러한 캡쳐되고, 피치-보정되고, EFX 적용된 보컬 연주 인코딩을 다른 컨텐츠와 리믹스한다(111, 311).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는, 믹싱된 연주의 고음질의 마스터 오디오를 생성하기 위해, 이러한 보컬들을 높은 품질 또는 음질의 악기(및/또는 배경 보컬) 트랙과 믹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캡쳐된 보컬 연주들이 또한 믹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과적 마스터는 그 다음, 적절한 코덱(예를 들어, AAC 코덱)을 이용하여 다양한 비트 레이트들로 그리고/또는 중요성이 부여된 선택된 보컬과 인코딩되어, 캡쳐 핸드헬드 디바이스(및/또는 다른 원격 디바이스들)로 다시 스트리밍되기에 적합하고, 웹을 통해 스트리밍/재생하기에 적합한 압축된 오디오 파일들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무선 네트워크들의 능력들에 비해, 업로드된 데이터를, 필요한 시점 및 장소에서 믹싱하면서 보컬 연주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로 제한하는 것이 오디오 데이터 대역폭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제 2 (또는 제 N) 생성 반주로서 재생 또는 이용하기 위해 스트리밍되는 데이터는 가청 렌더링 목표에서 제 1 생성 반주와의 믹싱을 위해 보컬 트랙들을 별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컨텐츠 서버 사이에서 보컬 및/또는 반주 오디오 교환은, 이용가능한 데이터 통신 채널의 품질 및 능력들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공개 모집 오디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는 특정한 소셜 네트워크 구성들에 대해,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믹스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서, 초기 또는 이전의 기여자로부터 캡쳐된 피치-보정되고 EFX 적용된 보컬들의 부착은, (예를 들어,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 다른 사용자/보컬리스트로부터의 후속 보컬 캡쳐에서 이용되는 반주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반주들의 공급 및 이용에 대하여, 캡쳐되고, 피치-보정되고, EFX 적용된(그리고, 통상적은 아니지만 가능하게는 화성화된) 보컬들은 스스로 믹싱되어, 후속 보컬 캡쳐를 모티베이션, 가이드 또는 프레이밍하기 위해 이용되는 "배경 트랙"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보컬리스트들이 특정한 부분(예를 들어, 테너, 듀엣에서 파트 B 등)을 노래하도록 또는 단순히 서명하도록 초대될 수 있고, 이 때, 컨텐츠 서버(110)는 그들의 캡쳐된 보컬들을 피치 시프팅하고, 공개 모집 오디션 또는 가상 합창단 내의 하나 이상의 포지션들에 배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공개 모집 오디션을 개시한 사용자-보컬리스트는, 후속적으로 부착되는 보컬 연주들이 슬롯팅되거나 배치되는 (적용가능한 피치 큐들 및/또는 적용된 EFX에 의해, 연주 템플릿/블루프린트에 의해 또는 시간상으로 특성화되는) 슬롯들 또는 포지션들을 선택한다. 믹싱된 보컬들이 이러한 반주에 포함될 수 있지만, 예시되고 설명된 시스템들은 개별적인 보컬 연주들을 별개로 캡쳐하고 보컬 효과 스케줄들 및 피치-보정을 적용하기 때문에, 컨텐츠 서버(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10))는, 공개 모집 오디션을 개시한 사용자 보컬리스트의 감성을 수용하거나 가상 합창단의 객체들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믹스들을 조작(112)하는 위치에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3명의 상이한 기여 보컬리스트들의 대안적인 믹스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제시될 수 있다. 제 1 기여자에게(또는 그를 위해) 제공되는 믹스들은, 그 제 1 기여자의 보컬을 (예를 들어, 메인 멜로디에 대한 적절한 피치 보정으로 리드 보컬로서, 그리고 아티스트-, 노래-, 연주- 또는 음악 장르-특정 보컬 효과(EFX) 스케줄의 적용으로) 다른 두명의 보컬들보다 더 중요하게 피쳐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서버(110)는, 여기서 다양한 캡쳐된 보컬들에 적용되는 피치 보정들 및 EFX를 조작함으로써, 하나의 보컬 연주가 다른 것들보다 더 중요해지도록 믹스들을 변경할 수 있다.
월드 스테이지
본 명세서의 설명 대부분은 보컬 연주 캡쳐와, 피치 보정과, 사용자 자신의 보컬 연주의 믹스 및 캡쳐에 대한 반주의 제 1 및 제 2 인코딩들 각각의 사용에 초점을 두지만, 원격으로 캡쳐된 다른 사람들의 연주들의 가청 렌더링을 위한 설비가, 몇몇 상황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이러한 상황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보컬 연주 캡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고, 그에 해당하는 캡쳐된(그리고 통상적으로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의 인코딩이 현재의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후, 이것은, 지구본 상의 특정한 위치로부터 발신하는 보컬 연주를 나타내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과 관련하여 가청 렌더링된다. 도 1은, 핸드헬드(120)에서 이러한 시각적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의 스냅샷을 도시하며, 본 도시는, (스냅샷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120)가 앞서 길게 설명된 캡쳐 및 피치-보정 모드가 아닌 플레이(또는 청취자)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인스턴스들(101 및 301)(도 3 참조)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그래밍된 모바일 폰(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인스턴스로서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가 핸드헬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 플레이(또는 청취자) 모드에 액세스하는 경우, 월드 스테이지가 제시된다. 더 구체적으로, 핸드헬드의 현재 네트워크 접속 상태 및 재생 선호도(예를 들어, 랜덤 글로벌, 가장 인기있는 것, 나의 연주들 등)를 리포팅하는 컨텐츠 서버(11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이 행해진다. 이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110)는, 연주(예를 들어, 초기에 핸드헬드 디바이스 인스턴스(101 또는 301)에서 캡쳐되었을 수 있는, 피치-보정되고 EFX 적용된 보컬 연주)를 선택하고, 그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송신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메타데이터는, 핸드헬드(120)가 실제 오디오 스트림(파이프의 사이즈에 따라 높은 품질 또는 낮은 품질임)을 검색하도록 허용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보컬 연주 캡쳐의 (GPS를 이용하여) 지오코딩된 위치(화성들 또는 백업 보컬들로서 포함되는 추가적인 보컬 연주들에 대한 지오코드들을 포함함) 및 특정한 연주에 대해 좋아하거나, 태깅하거나, 코멘트를 남긴 다른 청취자들의 속성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청취자 피드백 자체가 지오코딩된다. 재생 동안, 사용자는 연주를 태깅할 수 있고, 후속 청취자 및/또는 원래의 보컬 연주자를 위해 자기 자신의 피드백 또는 코멘트를 남길 수 있다. 일단 연주가 태깅되면, 연주자와 청취자 사이에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청취자는, 동일한 연주자에 의한 추가적인 연주들에 대해 필터링하도록 허용될 수 있고, 서버는 또한, 사용자 선호도들의 평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새로운 "랜덤" 연주들을 더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스냅샷에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지만, 지오코딩된 메타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청취자 피드백을 송신한 각각의 지리적 위치들을 제시하기 위한 위치들에서, 지오코딩된 청취자 피드백 표시들이 지구본 상에 (예를 들어, 별표 또는 "썸업(thumbs up)" 등으로) 제시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은 대화형이고, 핸드헬드(120)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캡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들에 대응하는 뷰포인트 조작에 종속됨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의 지구본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걸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를 이동하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이동 방향에 대해 일반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지구본이 회전하게 한다. 지구본 상의 특정한 위치로부터 발신하는 보컬 연주를 나타내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과 청취자 피드백 표시, 둘 모두는 이와 같이 상호작용하며 회전하는 지구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그들 각각의 지오태그에 따른 위치들에서 제시된다.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소프트웨어 구현들의 실행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4는, 일반적으로 iPhone™ 모바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버전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iPhone 활용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또는 심지어, iPhone-타입 디바이스들에도) 제한되지 않지만, iPhone 디바이스는 그의 풍부한 센서 보완물, 멀티미디어 설비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머 인터페이스들 및 무선 애플리케이션 전달 모델과 함께, 특정한 구현들을 활용할 높은 능력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창작적 기술들의 주어진 구현 또는 활용에 (현재 또는 추후에) 적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플랫폼들을 인식할 것이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와의 햅틱 및/또는 촉각 접촉에 감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402)를 포함한다. 터치-감응 디스플레이(402)는 다수의 동시 터치 포인트들을 프로세싱하는 멀티-터치 특징들을 지원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터치 포인트의 압력, 정도 및/또는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의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다수의 손가락들, 화음, 및 다른 상호작용들과의 상호작용들 및 제스쳐들을 용이하게 한다. 물론,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접촉이 행해지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터치-감응 디스플레이 기술들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시스템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터치-감응 디스플레이(402) 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들(404, 4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들(404, 406)은 시스템 오브젝트들의 그래픽 표현들이다. 시스템 오브젝트들의 예들은, 디바이스 기능들, 애플리케이션들, 윈도우들, 파일들, 경보들, 이벤트들, 또는 다른 식별가능한 시스템 오브젝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실행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지털 음향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그의 연관된 네트워크-인에이블드 기능들을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모바일 라디오 및 무선 인터네트워킹 기능 둘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 인근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피어들 또는 기지국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를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다양한 입/출력(I/O) 디바이스들, 센서들 및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보컬 연주들의 캡쳐 및 반주들과 믹싱되고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의 가청 렌더링과 같은 오디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피커(460) 및 마이크로폰(462)이 통상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피커(460) 및 마이크로폰(662)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적절한 트랜스듀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 폰 기능들과 같은 핸즈프리 음성 기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스피커 포트(464)가 포함될 수 있다. 헤드폰들 및/또는 마이크로폰의 이용을 위해 오디오 잭(466)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트랜스듀서로서 외부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로폰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센서들이 또한 이용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사용자 위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근접도 센서(468)가 포함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터치-감응 디스플레이(402)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위 광 센서(470)가 활용될 수 있다. 방향 화살표(474)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가속도계(472)가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오브젝트들 및/또는 미디어는 검출된 배향, 예를 들어, 초상 또는 경치에 따라 제시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지오코딩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또는 다른 포지셔닝 시스템들(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들, 텔레비젼 신호들, 셀룰러 그리드들, URL들(Uniform Resource Locators)을 이용한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위치 결정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회로 및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또한 카메라 렌즈 및 센서(48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카메라 렌즈 및 센서(48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후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는 캡쳐된 피치-보정된 보컬들과 연관된 스틸 이미지들 및/또는 비디오를 캡쳐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또한, 802.11b/g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Bluetooth™ 통신 디바이스(488)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802.x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WiMAX, Wi-Fi, 3G),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모바일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 향상된 데이터 GSM 환경(EDGE) 등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이 또한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400),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들, 개인용 컴퓨터, 프린터, 또는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대한 유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 또는 도킹 포트 또는 몇몇 다른 유선 포트 접속과 같은 포트 디바이스(490)가 포함되고 이용될 수 있다. 포트 디바이스(490)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예를 들어, TCP/IP, HTTP, UDP 및 임의의 다른 공지된 프로토콜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호스트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기능 설명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피치 보정 코드, 오디오 렌더링 파이프라인 및 재생 코드로 프로그래밍된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같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각의 인스턴스들(501 및 520)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인스턴스(501)는 보컬 캡쳐 및 연속적인 피치 보정 모드에서 동작하는 한편, 디바이스 인스턴스(520)는 청취자 모드에서 동작한다. 둘 모두는, 컨텐츠 서버(110, 210)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 및/또는 스토리지를 호스팅하는 서버(512) 또는 서비스 플랫폼과 무선 데이터 전송 및 중재 네트워크들(504)을 통해 통신한다. 캡쳐되고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들은 (선택적으로) 랩탑 컴퓨터(511)로부터 스트리밍되고 랩탑 컴퓨터(511)에서 가청 렌더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본 발명(들)의 범주가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수의 변형들, 변화들, 추가들 및 개선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라오케-스타일 인터페이스에 따라 캡쳐되는 피치 보정 보컬 연주들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변형들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특정한 예시적인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이 특정한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상황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다른 적절한 신호 프로세싱 기술들 및 효과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명된 기술들을 변형하는 것이 간단함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명령 시퀀스들 및 소프트웨어의 다른 기능 구성들로서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iPhone 핸드헬드, 모바일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컨텐츠 서버 플랫폼과 같은) 연산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연산 설비들 등) 뿐만 아니라 정보의 송신에 따른 유형의 스토리지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들, 소스 또는 오브젝트 코드, 기능적으로 설명적인 정보 등)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유형의 물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매체(예를 들어, 디스크들 및/또는 테이프 스토리지); 광학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ROM, DVD 등); 자기-광학 저장 매체;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예를 들어, EPROM 및 EEPROM); 플래쉬 메모리; 또는 전자적 명령들, 동작 시퀀스들, 기능적으로 설명적인 정보 인코딩들 등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다른 타입들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단일 인스턴스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에 대해 복수의 인스턴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동작들 및 데이터 스토어들 사이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이고, 특정한 동작들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들의 상황에서 예시된다. 기능의 다른 할당들이 고안되고, 본 발명(들)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결합된 구조 또는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컴포넌트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들, 변화들, 추가들 및 개선들은 본 발명(들)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Claims (48)

  1. 보컬 연주 캡쳐를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짐―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된 보컬 스코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보컬 스코어는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목표 음표의 시퀀스를 상기 반주에 대해 인코딩함―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상기 반주를 가청 렌더링(audibly rendering)하고, 동시에, 상기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상기 가사의 대응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상기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를 캡쳐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보컬 스코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치 시프팅된 결과적 보컬 연주를 상기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함―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적어도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 및/또는 파라미터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함 ―와,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와,
    임계 성능 지수(a threshold figure of merit)에 기초하여,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수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반주 또는 가사에 시간상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각각의 부분에의 적용을 위해 상이한 효과를 코딩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음악 장르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촉진하기 위해,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에 대한 기존에 저장된 인스턴스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하거나 잠금해제(unlock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에 후속적으로 적용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보컬에 대한 후속적 적용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행해지고,
    상기 방법은,
    적용된 보컬 효과 및 피치 시프팅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가청 리렌더링(audibly re-render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의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상기 후속적 적용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상기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보컬의 상기 송신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과 관련하여 또는 관련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가,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결합될 복수의 보컬 연주 중 단지 하나를 구성한다는 공개 모집 오디션(open call)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와의 가청 렌더링을 위해, 믹싱될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보컬 연주를 하나 이상의 다른 보컬리스트에게 요청하도록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게 지시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잠재적인 다른 보컬리스트의 나열된 세트와,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의해 정의 또는 인식되는 친밀 그룹(an affinity group)의 멤버와,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교우(social network relations)의 세트 중 하나 이상으로 향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응답하는 추가 보컬리스트에게로의 공급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컬리스트 포지션에 대한 제 2 보컬 스코어 및 제 2 가사를 특정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는, 상기 응답하는 추가 보컬리스트의 보컬 연주에의 적용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컬리스트 포지션에 대한 제 2 보컬 효과 스케줄을 추가로 특정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에 따라 프로세싱되는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버전을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보컬 효과가 적용된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가청 리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가청 렌더링이 스케줄링된 보컬 효과를 포함하도록 상기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포함하는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방법.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전에 캡쳐된 보컬 연주의 사용자 선택 부분의 보컬 리캡쳐를 개시하기 위한 권한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이전에 캡쳐된 보컬 연주의 사용자 선택 부분의 보컬 리캡쳐를 개시하기 위한 권한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한 피치의 연속적인 시간-도메인 추정에 기초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시간-도메인 피치 추정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대응하는 샘플링된 신호의 현재 블록에 대한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a lag-domain periodogram)의 연산을 포함하고, 상기 래그-도메인 피리오도그램의 연산은, 상기 샘플링된 신호의 분석 윈도우에 대해, 평균 크기 차이 함수(an average magnitude difference function; AMDF) 또는 래그의 범위에 대한 자기상관 함수(an autocorrelation function)의 평가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반주를 또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해 로컬인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로컬로 저장된 상기 반주로부터 확인가능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가능한 보컬 스코어를 식별하는
    방법.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는 악기 및 배경 보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고 다수의 버전으로 렌더링되고,
    상기 가사에 대응하여 가청 렌더링되는 반주의 버전은 모노포닉 스크래치 버전(a monophonic scratch version)이고,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피치-보정된 보컬 버전과 믹싱된 반주의 버전은 상기 모노포닉 스크래치 버전보다 더 높은 품질(quality) 또는 음질(fidelity)의 폴리포닉 버전(a polyphonic version)인
    방법.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과,
    개인 휴대 정보 단말과,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게이밍 디바이스와,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넷 북
    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커플링되는
    방법.
  2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보컬의 송신된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지오코딩(geoco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원격 디바이스에서 캡쳐된 제 2 보컬 연주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보컬 연주를 포함하는 가청 렌더링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보컬 연주에 대한 지리적 기원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기원의 디스플레이는 지구의 특정 위치로부터 발신된 연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애니메이션에 의한 것인
    방법.
  31. 보컬 연주 캡쳐를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짐―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반주 및 가사와 시간상 동기화된 보컬 스코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보컬 스코어는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목표 음표의 시퀀스를 상기 반주에 대해 인코딩함―와,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상기 반주를 가청 렌더링하고, 동시에, 상기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상기 가사의 대응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상기 반주에 시간상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를 캡쳐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보컬 효과 스케줄의 선택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수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을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보컬 스코어에 일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 부분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시프팅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치-시프팅된 결과적 보컬 연주를 상기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피치 보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 및/또는 파라미터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하는
    방법.
  35.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아티스트, 노래 또는 연주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특정한 음악 장르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의 구매 또는 라이센스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삭제
  39.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잭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0.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연산적으로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1.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와, 오디오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와,
    반주에 대해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를 캡쳐하고,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컬 스코어의 검색을 개시하기 위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상기 보컬 스코어는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음표 목표의 시퀀스를 상기 반주에 대해 인코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i) 상기 반주의 가청 렌더링, (ii) 디스플레이 상에 가사의 동시 제시, (iii) 상기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캡쳐, 및 (iv) 상기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에의 저장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를 캡쳐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함―와,
    상기 가청 렌더링과 동시에, 상기 보컬 스코어에 일치하도록 상기 캡쳐된 보컬 연주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피치 보정하기 위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피치 보정 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피치-보정된 보컬 연주를,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가 캡쳐된 상기 반주의 가청 렌더링에 믹싱하도록 실행가능한 렌더링 파이프라인 ―상기 렌더링 파이프라인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에 보컬 효과 스케줄을 적용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고,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보컬 연주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부분에의 적용을 위해, 스펙트럼 등화, 오디오 압축, 스테레오 지연 및 잔향 효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세팅 및/또는 파라미터의 컴퓨터 판독가능 인코딩을 포함함―과,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보컬 효과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라이센스 또는 액세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수여하기 위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4.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보컬 효과 스케줄의 사용자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쳐을 캡쳐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보컬 효과 스케줄의 후속적 적용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드라이 보컬 버전의 오디오 신호 인코딩을 상기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 송신하도록 더 실행가능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은, 드라이 보컬의 상기 오디오 신호 인코딩과 관련하여 또는 관련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가, 상기 원격 서비스 또는 서버에서 결합될 복수의 보컬 연주 중 단지 하나를 구성한다는 공개 모집 오디션 표시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6. 삭제
  47.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 스코어와 상기 사용자의 캡쳐된 보컬 연주의 적어도 일부의 대응을 평가하고, 임계 성능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보컬 연주의 선택된 부분을 리캡쳐하기 위한 권한을 사용자에게 수여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48.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로컬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시된 검색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보컬 스코어 정보의 인스턴스(instances)가 존재하면, 상기 인스턴스를, 원격 서버로부터 이용가능한 인스턴스에 대해 체크하는 것, 및 상기 로컬 스토리지 내의 인스턴스가 이용 불가능하거나 오래된 것인지를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57005988A 2012-08-07 2013-08-06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2246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80652P 2012-08-07 2012-08-07
US61/680,652 2012-08-07
PCT/US2013/053851 WO2014025819A1 (en) 2012-08-07 2013-08-06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139A KR20150067139A (ko) 2015-06-17
KR102246623B1 true KR102246623B1 (ko) 2021-04-29

Family

ID=5006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988A KR102246623B1 (ko) 2012-08-07 2013-08-06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71283B2 (ko)
KR (1) KR102246623B1 (ko)
WO (1) WO2014025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9188A1 (en) * 2012-03-29 2013-10-03 Smule, Inc. Automatic conversion of speech into song, rap or other audible expression having target meter or rhythm
EP3029676A1 (en) * 2014-12-02 2016-06-08 Bellevue Investments GmbH & Co. KGaA System and method for theme based video creation with real-time effects
FR3035535A1 (fr) * 2015-04-27 2016-10-28 Agece Dispositif de capture de signaux sonores et systeme de capture et de transmission de signaux
JP7000782B2 (ja) * 2017-09-29 2022-01-19 ヤマハ株式会社 歌唱音声の編集支援方法、および歌唱音声の編集支援装置
US11250825B2 (en) * 2018-05-21 2022-02-15 Smule, Inc. Audiovis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seed/join mechanic
CN109785820B (zh) * 2019-03-01 2022-12-27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1326132B (zh) * 2020-01-22 2021-10-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8368A1 (en) * 2005-11-02 2007-05-03 Thomas Carley Mobile recording studio system
US20110251842A1 (en) * 2010-04-12 2011-10-13 Cook Perry R Computational techniques for continuous pitch correction and harmony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580B2 (ja) * 1997-03-24 2007-04-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984830B2 (ja) * 2001-12-18 2007-10-03 Nec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カラオケ配信システム、カラオケ配信方法、及びカラオケ配信プログラム
JP4224450B2 (ja) * 2004-12-03 2009-02-1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7825321B2 (en) * 2005-01-27 2010-11-02 Synchro Art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ound modification comparing time alignment data from sampled audio signals
JP5143569B2 (ja) * 2005-01-27 2013-02-13 シンクロ アーツ リミテッド 音響的特徴の同期化された修正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315396B2 (en) * 2008-07-17 2012-11-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udio output signals using object based metadata
JP5331494B2 (ja) * 2009-01-19 2013-10-30 株式会社タイトー カラオケサービスシステム、端末装置
WO2011002933A2 (en) * 2009-06-30 2011-01-06 Museami, Inc. Vocal and instrumental audio effects
US9058797B2 (en) * 2009-12-15 2015-06-16 Smule, Inc. Continuous pitch-corrected vocal capture device cooperative with content server for backing track mix
US20120089390A1 (en) * 2010-08-27 2012-04-12 Smule, Inc. Pitch corrected vocal capture for telephony targ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8368A1 (en) * 2005-11-02 2007-05-03 Thomas Carley Mobile recording studio system
US20110251842A1 (en) * 2010-04-12 2011-10-13 Cook Perry R Computational techniques for continuous pitch correction and harmony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139A (ko) 2015-06-17
JP6371283B2 (ja) 2018-08-08
JP2015534095A (ja) 2015-11-26
WO2014025819A1 (en)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4923B2 (en) Coordinating and mixing vocals captured from geographically distributed performers
US10229662B2 (en)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US11545123B2 (en) Audiovisual content rendering with display animation suggestive of geolocation at which content was previously rendered
US11670270B2 (en)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US8682653B2 (en) World stage for pitch-corrected vocal performances
KR102246623B1 (ko)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보컬 효과 스케줄에 기초한 후속적 리렌더링을 위한 보컬 연주 및 드라이 보컬 캡쳐의 연속적인 실시간 피치 보정에 의한 소셜 음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