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54B1 -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 Google Patents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54B1
KR102246354B1 KR1020180159378A KR20180159378A KR102246354B1 KR 102246354 B1 KR102246354 B1 KR 102246354B1 KR 1020180159378 A KR1020180159378 A KR 1020180159378A KR 20180159378 A KR20180159378 A KR 20180159378A KR 102246354 B1 KR102246354 B1 KR 10224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roof plate
floor plate
plat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536A (ko
Inventor
정의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즈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즈넷
Priority to KR102018015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01K1/034Dog-ke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30Medical applications
    • H05H2245/36Sterilisation of objects, liquids, volumes or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하 '애견'이라 함)을 내부에 수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견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 이들을 측면에서 상하 연결하여 벽부와 내부에 애견이 출입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신축성 연결벽부, 및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측면에 연결되어 이들을 신축적으로 지지하는 신축지지대로 구성하여, 애견을 데리고 여행하는 경우 신축성 연결벽부를 신장시켜 내부공간부에 애견을 수납하는 애견하우스로 활용하고 보관시에는 이를 축소하여 수납공간의 효율화를 꾀하는 동시에 애견하우스 내부로 플라즈마를 분사하여 애견의 외부활동 후 애견의 몸체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세척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애견을 기를 수 있도록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A Portable Pethouse}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하 '애견'이라 함)을 내부에 수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견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 이들을 측면에서 상하 연결하여 벽부와 내부에 애견이 출입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신축성 연결벽부, 및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측면에 연결되어 이들을 신축적으로 지지하는 신축지지대로 구성하여, 애견을 데리고 여행하는 경우 신축성 연결벽부를 신장시켜 내부공간부에 애견을 수납하는 애견하우스로 활용하고 보관시에는 이를 축소하여 수납공간의 효율화를 꾀하는 동시에 애견하우스 내부로 플라즈마를 분사하여 애견의 외부활동 후 애견의 몸체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세척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애견을 기를 수 있도록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인류는 다양한 종류의 애완용 동물을 키워 왔으며, 최근들어 갈수록 치열해 지는 조직 생활의 스트레스나 심화되는 개인주의로 인한 외로움 등을 달래기 위한 대안으로서 애완동물을 키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저출산 추세 외에도 독신주의자의 증가 등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수요는 폭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애완동물 특히 애완견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그와 관련된 용품이나 미용 사업 등의 발전을 수반하였으며, 그 중의 하나가 애완견이 거주하는 견사인 애견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과거, 마당이 있는 구조의 주택의 경우 마당의 한켠에 애견하우스를 비치하여 실외에서 애완견을 기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증가하면서 애완견을 실내에 기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따라서, 과거에는 단순히 애완견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만 제공할 수 있으면 되었으나, 현대에는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공간에 애견하우스가 따로 비치하게 되므로 애완견의 사육 편의성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가 되었다.
즉, 종래에 애완견에게 제공되는 애견하우스의 종류로는 그 형태에 있어서 텐트형 하우스, 철장형 애견하우스, 울타리 형 애견하우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이러한 애견하우스의 경우, 대부분 애견이 잠잘 때 체온 유지나 안락함을 주기 위해 애견하우스 내부에 단순히 두툼한 천(쿠션) 혹은 스펀지와 같은 푹신한 재질로 된 매트를 바닥에 깔아주는 정도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내에서 키우다 보니 애견특유의 냄새가 발생되며, 각종 병원균(예컨대, 피보바이러스녹녹균, 렙토스피라, 디스템버, 황색포도산균등)에 대한 감염 등으로 한층 아파트 실내의 청결에 민감하게 되었다.
특히, 애견을 데리고 야외에서 산책이나 운동을 시킨 후 실내로 들어올 경우 애견의 몸에 묻은 각종 먼지나 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목욕을 시켜야 하는 경우도 많고 이로 인해 애견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순히 애완견을 건강하게 보호 및 사육하기 위해서는 애견하우스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병원균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거나 제거하여 애견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애견하우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06599호에서는 애완견용 애견하우스의 내부에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형태의 애견하우스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해지므로 어느 정도 청결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오존은 애견이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애견하우스 내부에 거주하는 애견의 건강을 해할 수 있으며, 인체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애견을 데리고 여행을 가는 경우 여행지에서의 외부활동 후 애견 몸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목욕(세척)을 시켜 주어야 하나 이를 위한 급수와 배수 설비를 비롯하여 방수를 위한 별도의 장비 등이 구비되어야 하나 야외 여행지의 경우 이러한 장비의 구비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여행지 등에서는 애견 세척이 매우 어렵다.
KR 10-2003-0006599 (출원번호) 2003.02.03. KR 10-0819456 (등록번호) 2008.03.28. KR 20-0408093 (등록번호) 2006.02.0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 및 이들을 측면에서 상하 신축성 연결벽부로 연결함으로써 벽부와 내부에 애견이 출입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여행시 신축성 연결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로 애견을 수납하여 차량 등에 적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애견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측면을 신축적으로 지지하는 신축지지대를 더 구비하여, 애견을 데리고 여행하는 경우 신축지지대를 통해 신축성 연결벽부를 애견의 크기(신장)에 맞추어 신축시켜 내부공간부를 애견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애견의 성장과 연동하여 실내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애견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지지대를 통해 하우스를 구성하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연결 높이를 최소화하여 보관시에 수납공간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견하우스의 신축성 연결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로 플라즈마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주거지에서는 물론 여행지에서 애견의 외부활동 후 애견의 몸체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플라즈마 이온의 분무로 세척(소독) 제거하여 친환경적으로 애견의 살균 등 세척이 가능한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애견하우스에 흡배기팬 및 미세먼지센서, 습도센서, 암모니아 감지센서, 온도센서 등을 설치하고 필요시 이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애견을 보다 위생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대향되어 상부측에 형성되면서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플레이트(120);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하우스벽(131)과 애견이 출입하도록 출입구(132a)가 구비되는 내부공간부(132)를 형성하는 신축성 연결벽부(1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로부터 상기 지붕플레이트(120)까지의 높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가 신축(伸縮)되도록 하는 신축지지대(140);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통(121)와 상기 액체저장통(121)에 연결되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플라즈마를 상기 내부공간부(132)로 분무하여 애견의 몸체에 묻은 먼지나 균을 제거하는 플라즈마발생기(122)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하부암(141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상부암(141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회동링크부(141c)로 된 전방지지대(14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하부암(142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상부암(142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회동링크부(142c)로 된 후방지지대(142), 및 일단은 상기 전방회동링크부(14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회동링크부(142c)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톱니형 요홈(143a)이 형성되는 신축조절레버(143)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123)와,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24),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암모니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센서(125), 및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6)가 더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 및 이들을 측면에서 상하 신축성 연결벽부로 연결함으로써 벽부와 내부에 애견이 출입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여행시 신축성 연결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로 애견을 수납하여 차량 등에 적재 이동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측면을 신축적으로 지지하는 신축지지대를 더 구비하여, 애견을 데리고 여행하는 경우 신축지지대를 통해 신축성 연결벽부를 애견의 크기(신장)에 맞추어 신축시켜 내부공간부를 애견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애견의 성장과 연동하여 실내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효용성이 배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지지대와 신축성 연결벽부를 통해 하우스를 구성하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연결 높이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시에 수납공간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견하우스의 신축성 연결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로 플라즈마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주거지에서는 물론 여행지에서 애견의 외부활동 후 애견의 몸체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플라즈마이온의 분무로 세척(소독) 제거할 수 있어 물 사용없이 애견을 위생적으로 세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견하우스에 흡배기팬 및 미세먼지센서, 습도센서, 암모니아 감지센서, 온도센서 등을 설치하고 필요시 이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애견을 보다 위생적으로 기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의 내부가 노출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a,b)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에 구비된 지붕플레이트의 평면도(a)와 저면도(b)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도(a)와 중간정도로 수축된 상태도(b) 및 보관을 위해 최소로 축소된 상태도(c)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에 수납된 애견을 플라즈마를 통해 세척하는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10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대향되어 상부측에 형성되면서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플레이트(120);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하우스벽(131)과 애견이 출입하도록 출입구(132a)가 구비되는 내부공간부(132)를 형성하는 신축성 연결벽부(1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로부터 상기 지붕플레이트(120)까지의 높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가 신축(伸縮)되도록 하는 신축지지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애견’이란 반려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야외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양이’‘돼지’등과 이구아나, 카멜레온 등 파충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애견을 기르는 가정에서는 정기적으로 애견을 데리고 야외에서 산책이나 운동을 시킨 후 실내로 들어올 경우가 있고 또 여행시에는 애견을 데리고 가는 경우가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 야외에서 애견의 몸(털)에 묻은 각종 먼지나 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목욕을 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 가정에서는 화장실 등에서 물로 애견을 세척하면 별 문제가 없으나 물을 싫어하는 애견이나 여행지 등에서는 물로 애견을 세척(목욕)시키는 것이 여건상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을 싫어하는 애견이나, 간단하게 살균을 통한 세척 또는 물을 이용하기 어려운 여행지 등에 적합도록 물을 사용하지 않고 후술하는 플라즈마를 통해 애견을 세척하여 애견에 묻은 각종 먼지나 균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세척’은 물로 목욕하는 형태보다 광범위하며 몸에 붙은 각종 이물질 또는 세균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행위를 통합적으로 지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애견하우스(100)는 하우스 내부로 애견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신축지지대(140)를 신장시켜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를 펼치고 이로 인해 형성된 내부공간부(132)에 애견을 수납한 후 후술하는 플라즈마를 통해 미스트를 분무하여 애견에 묻은 먼지나 각종 세균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세척작업이 끝난 다음 상기 애견하우스(100)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신축지지대(140)를 수축시키면서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를 줄여 부피를 최소화한 후 보관함으로써 보관 관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시키는 배기팬(1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팬(11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오염공기를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바닥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바닥면 각 코너부에는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바닥지지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111)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 공기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바닥하면과 상기 바닥지지구(112)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 사이의 이격부를 통해 배출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액체를 담지하는 액체저장통(121)와 상기 액체저장통(121)에 연결되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플라즈마를 포함한 미스트(이하 '플라즈마'라 함)를 상기 내부공간부(132)로 분무하여 애견의 몸체에 묻은 먼지나 균 등을 제거하는 플라즈마발생기(1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저장통(121)에서 플라즈마발생기(122) 사이에는 액체의 이동을 위한 배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기(122)는 전극을 통해 플라즈마 미스트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원리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 제10-1800421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애견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즈마발생기(122)로 플라즈마를 분무하게 되면 애견에 묻은 먼지나 유해균 등을 세척 및 제거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으로 애견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123)와,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24),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암모니아 상태를 측정하는 암모니아센서(125),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6), 및 상기 내부공간부(132)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외기를 공급하는 흡기팬(12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온도를 높여 줄 수 있도록 열전소자(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플라즈마발생기(122)로 플라즈마를 분무하거나, 흡기팬(127)과 배기팬(111)을 가동시켜 내부공간부(132) 내에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에 애견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애견이 내부공간부(132)에 들어 있는 상태에서 미세먼지가 포착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팬과 플라즈마를 가동시켜 애견의 몸체 등에 묻은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124)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습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흡기팬(127)과 상기 배기팬(111)을 가동하여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곰팡이 등이 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애견의 분변 등으로 인해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암모니아센서(125)에 의해 감지되면서 상기 흡기팬(127)과 상기 배기팬(111)을 가동하여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온도가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온도센서(126)가 이를 감지하여 열전소자(미도시)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견이 머물기에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흡기팬과 배기팬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동일 위치가 아닌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흡기된 공기가 내부공간부(132)를 통과한 후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은 내부공간부(132) 내부에서의 플라즈마 이동에 구동력을 주어 내부공간부에서 플라즈마가 넓게 이동하며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는 제어 및 통신모듈(1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및 통신모듈(128)은 각종 측정된 센서값의 획득, 플라즈마 분사, 팬 동작의 제어와 더불어 센서값과 그 동작 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표출하도록 하고, 스마트폰을 통한 동작 제어 명령을 이행하여 팬과 플라즈마를 가동시키게 하여 상기 애견하우스(100)의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은 신축이 가능한 섬유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바라 등과 같은 신축부재로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신축성 연결벽부(130)의 내측은 플라즈마가 묻지 않고, 각종 세균이 고착되지 않도록 친환경 소재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흡기팬(127), 배기팬(111), 플라즈마발생기(122) 등에 공급하는 전원은 배터리(미도시) 또는 여행시에 차량의 시가잭 등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신축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가 신축된 상태로 조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신축지지대(140)가 완전히 신장된 상태와 완전히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애견의 크기(신장)에 따라 상기 신축지지대(140)를 적절히 신축하여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크기를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신축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하부암(141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상부암(141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회동링크부(141c)로 된 전방지지대(14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하부암(142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상부암(142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회동링크부(142c)로 된 후방지지대(142), 및
일단은 상기 전방링크부(14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링크부(142c)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톱니형 요홈(143a)이 형성되는 신축조절레버(143)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상기 출입구(132a)가 형성된 방향을 말하고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신축지지대(14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조절레버(143)를 이용해 상기 전방지지대(14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서 상기 전방링크부(141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후방지지대(14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서 상기 후방회동링크부(142c)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요홈(143a)에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지지대(141) 및 상기 후방지지대(142)가 각각 승강(昇降)하면서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가 신축(伸縮)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신축지지대(140)를 이용해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를 완전히 신장시키고 그 내부공간부(132)로 애견을 수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발생기(122)을 통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킴으로써 플라즈마가 분무되어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있는 애견을 세척시켜 애견 몸체에 묻은 먼지나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일측면 또는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상면부 등에는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동손잡이(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는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 이들을 측면에서 상하 연결하여 벽부와 내부에 애견이 출입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신축성 연결벽부, 및 바닥플레이트와 지붕플레이트의 측면에 연결되어 이들을 신축적으로 지지하는 신축지지대로 구성하여, 애견을 데리고 여행하는 경우 신축성 연결벽부를 신장시켜 내부공간부에 애견을 수납하는 애견하우스로 활용하고 보관시에는 이를 축소하여 수납공간의 효율화를 꾀하는 동시에 애견하우스 내부로 플라즈마를 분사하여 애견의 외부활동 후 애견의 몸체에 묻은 각종 먼지나 위해균 등을 세척(목욕,소독)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애견을 기를 수 있다.
100: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110:바닥플레이트 111:배기팬 112:바닥지지구
120:지붕플레이트
121:액체저장통 122:플라즈마발생기 123:미세먼지센서
124:습도센서 125:암모니아센서 126:온도센서 127:흡기팬
128:제어부 및 통신모듈
130:신축성 연결벽부
131:하우스벽 132:내부공간부 132a:출입구
140:신축지지대
141:전방지지대 141a:전방하부암 141b:전방상부암
141c:전방회동링크부
142:후방지지대 142a:후방하부암 142b:후방상부암
142c:후방회동링크부
143:신축조절레버 143a:요홈
150:이동손잡이

Claims (5)

  1. 지면에 지지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대향되어 상부측에 형성되면서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플레이트(120);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하우스벽(131)과 애견이 출입하도록 출입구(132a)가 구비되는 내부공간부(132)를 형성하는 신축성 연결벽부(1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바닥플레이트(110)로부터 상기 지붕플레이트(120)까지의 높이를 신축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신축성 연결벽부(130)가 신축(伸縮)되도록 하는 신축지지대(140);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통(121)와 상기 액체저장통(121)에 연결되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플라즈마를 상기 내부공간부(132)로 분무하여 애견의 몸체에 묻은 먼지나 균을 제거하는 플라즈마발생기(122)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지지대(14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하부암(141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방상부암(141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회동링크부(141c)로 된 전방지지대(141)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하부암(142a)과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의 후방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상부암(142b) 및 이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회동링크부(142c)로 된 후방지지대(142), 및
    일단은 상기 전방회동링크부(14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회동링크부(142c)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다수의 톱니형 요홈(143a)이 형성되는 신축조절레버(143)로 구성되는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내부공간부(132)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123)와,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24),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암모니아를 측정하는 암모니아센서(125), 및 상기 내부공간부(13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6)가 더 설치되는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5. 삭제
KR1020180159378A 2018-12-11 2018-12-11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KR10224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78A KR102246354B1 (ko) 2018-12-11 2018-12-11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78A KR102246354B1 (ko) 2018-12-11 2018-12-11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36A KR20200071536A (ko) 2020-06-19
KR102246354B1 true KR102246354B1 (ko) 2021-04-29

Family

ID=711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78A KR102246354B1 (ko) 2018-12-11 2018-12-11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35A (ja) 2000-11-27 2002-06-04 Iris Ohyama Inc 折畳式ペットキャリーボックス
KR200348686Y1 (ko) 2004-02-04 2004-05-03 주식회사 피드팩 조립식 애완동물용 집
KR200483979Y1 (ko) * 2016-03-11 2017-07-18 (주)아이지베스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99A (ko)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해광 전도성 그레이트 패널의 제조공정 및 제품
KR200408093Y1 (ko) 2005-11-14 2006-02-07 도상혁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는 애견용 견사
KR100819456B1 (ko) 2007-08-29 2008-04-04 김학준 온도조절 애견집
KR101886931B1 (ko) * 2016-12-15 2018-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려동물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235A (ja) 2000-11-27 2002-06-04 Iris Ohyama Inc 折畳式ペットキャリーボックス
KR200348686Y1 (ko) 2004-02-04 2004-05-03 주식회사 피드팩 조립식 애완동물용 집
KR200483979Y1 (ko) * 2016-03-11 2017-07-18 (주)아이지베스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536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37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zing Feet and the External Surfaces of Footwear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JP2013156014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KR101710184B1 (ko) 먼지털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장
US20130008388A1 (en) Pet Brush and Integrated Spray
KR102112815B1 (ko) 양변기 탈착형 반려 동물 배변 자동처리장치
KR102246354B1 (ko) 물 사용없이 애견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애견하우스
KR102040866B1 (ko) 애완 동물용 하우스
CN107616112B (zh) 种牛角间的清洗方法
JP2013000040A (ja) 家畜の排泄物回収具および排泄物回収装置とそれらを用いた無臭牛舎
KR20190056271A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CN212589496U (zh) 一种具有排风杀菌功能的智能猫砂盆
KR20200058003A (ko) 애완동물 케어용 브러시
CN214628871U (zh) 养殖系统的外围结构和养殖系统
JP2017023115A (ja) 持ち運び可能及び使い捨て可能な生きた草のペット用トイレ
KR20120050886A (ko) 이동 형 클린룸 살균장치
CN213663093U (zh) 用于宠物的皮毛处理一体机及皮毛处理系统
CN214206727U (zh) 养殖系统
CN215582852U (zh) 养殖系统
US20060054020A1 (en) Toy having air purification features
KR20220023375A (ko) 반려동물 살균 및 위생 관리기
KR200328637Y1 (ko) 모피의류 및 애완동물용 자외선 살균 브러쉬
CN214047022U (zh) 饲料中转系统和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