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06B1 - 빈병 수거 용기 - Google Patents

빈병 수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06B1
KR102246306B1 KR1020190082392A KR20190082392A KR102246306B1 KR 102246306 B1 KR102246306 B1 KR 102246306B1 KR 1020190082392 A KR1020190082392 A KR 1020190082392A KR 20190082392 A KR20190082392 A KR 20190082392A KR 102246306 B1 KR102246306 B1 KR 10224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bottle
buffer unit
buffer
empty
coll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591A (ko
Inventor
강동수
Original Assignee
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수 filed Critical 강동수
Priority to KR102019008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B65F2240/1123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로 형성된 빈병을 수거하는 용기에 있어서, 빈병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빈병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빈병 수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는 내부에 빈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걸림턱을 통해 거치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낙하되는 빈병을 가이드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완충부,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완충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빈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빈병 수거 용기{Empty bottle collec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빈병 수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로 형성된 빈병을 수거하는 용기에 있어서, 빈병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빈병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빈병 수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지구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은 전세계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무분별한 자원 채취와 개발을 지양하고, 대기·해양·하천·토양 등을 오염시키는 각종 오염원은 적절한 조치를 통해 충분히 무해화된 이후에 배출토록 하며, 전 지구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프레온 가스의 사용을 금지하고 화석연료의 소모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는 등 여러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자연자원의 일차적인 소비를 억제하는 것은 물론 이미 사용된 물품을 재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새로운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다만, 한 번 사용된 물품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품을 재질별로 분리를 잘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 처리과정에서 분리작업을 하거나 또는 수거 당시부터 분리하여 모으는 작업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을 법률적으로 강제하거나 지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취지에서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산업체가 아닌 일반 주거시설이나 공공시설에서도 쓰레기 분리수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쓰레기의 재질에 따른 재활용 용도에 맞춰 플라스틱 제품, 유리 제품, 금속 제품, 음식물 쓰레기, 가연 쓰레기 등으로 세분하여 수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아파트 단지, 빌라 등에서는 재활용을 위한 분리 수거 용기 즉, 종이, 의류, 합성수지류, 병, 캔, 고철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들은 별도로 구분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수거된 재활용품들은 귀중한 자원이 되는 것이므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수거 용기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거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거 용기들에 투입되는 재활용품들은 주로 수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투입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병과 같은 경우에는 수거 용기에 투입된 후 낙하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로 형성된 빈병을 수거하는 용기에 있어서, 빈병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빈병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자원 재활용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여 사회 경제적 이익 도모와 함께 친환경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빈병 수거 용기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는 내부에 빈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걸림턱을 통해 거치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낙하되는 빈병을 가이드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완충부,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빈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완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완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낙하되는 빈병이 상기 제2 완충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내부표면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형성되어, 내부표면을 따라 낙하하는 빈병의 낙하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완충부를 통과한 빈병과의 접촉 거리를 조절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완충부는 패트병으로 대체되어, 상기 결합홈에 거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는 유리로 형성된 빈병을 수거하는 용기에 있어서, 빈병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빈병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자원 재활용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여 사회 경제적 이익 도모와 함께 친환경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의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의 수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100)는 유리병을 수거하는 용도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패트병, 캔 등 다양한 재활용품을 수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의 분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의 수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100)는 몸체부(10), 제1 완충부(20), 제2 완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는 내부에 빈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는 내부에 빈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사각통형, 육각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는 상부에 걸림턱(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1)은 제1 완충부(2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몸체부(10)의 높이가 10 이라고 가정할 때, 하부면으로부터 7 ~ 9 정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는 플라스틱,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빈병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부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10)는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몸체부(10)를 포개서 보관하도록 하고, 운반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완충부(20)는 몸체부(10)의 걸림턱을 통해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완충부(2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완충부(20)는 깔대기 형태로 윗 부분은 넓고 아랫 부분은 좁은 원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완충부(20)는 몸체부(10) 내부로 낙하하는 빈병을 가이드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1 완충부(20)는 낙하되는 빈병이 제2 완충부(30)로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완충부(20)는 하부면의 중심부가 제2 완충부(30)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부(20)는 내부표면에 복수의 완충 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완충 돌기(21)는 내부표면을 따라 낙하하는 빈병의 낙하속도를 지연시켜 완충 작용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완충 돌기(21)는 반원 형태로 제1 완충부(20)의 내부표면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1 완충부(20)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100)는 걸림턱(11)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 완충부(20)가 결합되어 제1 완충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40)는 몸체부(10)의 걸림턱(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걸림턱(11) 또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림 부재(4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걸림턱(11)에 걸릴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걸림턱(11)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걸림 부재(40)는 측면의 높이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걸림 부재(40)의 높이에 따라 제1 완충부(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부(20)는 측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된 측부가 걸림 부재(4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걸림 부재(40)의 높이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완충부(30)는 몸체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완충부(30)는 제1 완충부(2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빈병의 충격을 2차로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완충부(20)를 통과한 빈병이 바닥으로 바로 낙하하게 되면, 이미 수거된 빈병들과 충돌하거나, 바닥면과 충돌하여 깨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완충부(30)는 제1 완충부(20)와 몸체부(10)의 바닥면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닥면으로 빈병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완충부(30)는 몸체부(10)의 높이가 10 이라고 가정할 때, 하부면으로부터 2 ~ 4 정도의 위치 까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완충부(30)는 결합 돌기(31) 및 보조 완충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31)는 몸체부(10)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기(31)는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31)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몸체부(10)를 서로 포개서 보관할 경우, 하부에 있는 빈병 수거 용기의 바닥 돌기가 상부에 있는 빈병 수거 용기의 바닥 돌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완충부(32)는 결합 돌기(31)에 결합되어, 제1 완충부(10)를 통과한 빈병과의 접촉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보조 완충부(32)는 높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 결합 돌기(31)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결합 돌기(31)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결합 돌기(31)와 대응되는 형상 즉,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완충부(32)는 다양한 높이로 제작되어, 결합 돌기(31)에 손쉽게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완충부(32)의 상부면에는 고무 패킹(33)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무 패킹(33)은 보조 완충부(3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1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130)는 결합 돌기(131) 및 보조 완충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 돌기(131)는 상부면에 보조 완충부(132)가 결합되는 결합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완충부(132)는 패트병으로 대체되어, 결합홈(131a)에 거꾸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완충부(130)는 결합 돌기(131)의 상부에 결합홈(131a)을 형성하여, 패트병을 재활용하여 보조 완충부(132)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패트병은 뚜껑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홈(131a)을 규격에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뚜껑이 결합홈(131a)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결합홈(131a)의 내부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패트병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로 결합홈(131a)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빈병 수거 용기(100)는 유리로 형성된 빈병을 수거하는 용기에 있어서, 빈병의 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빈병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자원 재활용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여 사회 경제적 이익 도모와 함께 친환경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 몸체부 20 : 제1 완충부
21 : 완충 돌기 30 : 제2 완충부
31, 131 : 결합 돌기 32, 132 : 보조 완충부
33 : 고무 패킹 40 : 걸림 부재
100 : 빈병 수거 용기

Claims (7)

  1. 내부에 빈병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걸림턱을 통해 거치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낙하되는 빈병을 가이드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완충부;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빈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는,
    내부표면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형성되어, 내부표면을 따라 낙하하는 빈병의 낙하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완충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완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상기 낙하되는 빈병이 상기 제2 완충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 돌기;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완충부를 통과한 빈병과의 접촉 거리를 조절하는 보조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부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완충부는 패트병으로 대체되어, 상기 결합홈에 거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병 수거 용기.
KR1020190082392A 2019-07-09 2019-07-09 빈병 수거 용기 KR10224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2A KR102246306B1 (ko) 2019-07-09 2019-07-09 빈병 수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92A KR102246306B1 (ko) 2019-07-09 2019-07-09 빈병 수거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591A KR20210006591A (ko) 2021-01-19
KR102246306B1 true KR102246306B1 (ko) 2021-04-29

Family

ID=7423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92A KR102246306B1 (ko) 2019-07-09 2019-07-09 빈병 수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32B1 (ko) * 2009-09-01 2014-03-04 주식회사 미랜 악취유출 방지와 결로 현상을 예방하는 음식물 처리기 뚜껑의 구조
CN206813749U (zh) * 2016-10-21 2017-12-29 上海市同济医院 医用废弃玻璃容器安全回收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32B1 (ko) * 2009-09-01 2014-03-04 주식회사 미랜 악취유출 방지와 결로 현상을 예방하는 음식물 처리기 뚜껑의 구조
CN206813749U (zh) * 2016-10-21 2017-12-29 上海市同济医院 医用废弃玻璃容器安全回收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591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174B2 (en) Residential recycling bin
US20100132311A1 (en) Crate for containers
US3840143A (en) Threaded nestable container
WO1997036789A1 (en) Reinforced central base structure for a plastic container
US8256633B2 (en) Multipurpose plastic bottle made in one piece
US20110278313A1 (en) Threaded finish for nonremovable closures
KR102246306B1 (ko) 빈병 수거 용기
MXPA03011437A (es) Depuracion de acetaldehido por la adicion de depuradores activos a tapas de botellas.
US10676254B2 (en) Lid having an inbuilt spout for drinking
KR102177073B1 (ko)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CN210048075U (zh) 一种瓶盖自动上料装置
KR200405175Y1 (ko) 접이식 쓰레기 분리수거함
JP4984227B2 (ja) 内容物容器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容器本体
US5937747A (en) Container crusher and method of crushing
Romer Can I recycle this?: a guide to better recycling and how to reduce single-use plastics
US20150238988A1 (en) Fitment for polymeric bag within fiber shell container
CN206485834U (zh) 新型生态环保装置
JP2002068156A (ja) 合成樹脂製液体容器
KR200324873Y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CN202440037U (zh) 一种具有可分类回收投放口的垃圾桶
CN218705771U (zh) 一种容积可调节的分类垃圾桶
KR102032688B1 (ko) 음료 용기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CN106731114A (zh) 一种垃圾固液分离器
CN205132061U (zh) 一种可解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