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240B1 -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240B1
KR102246240B1 KR1020160004874A KR20160004874A KR102246240B1 KR 102246240 B1 KR102246240 B1 KR 102246240B1 KR 1020160004874 A KR1020160004874 A KR 1020160004874A KR 20160004874 A KR20160004874 A KR 20160004874A KR 102246240 B1 KR102246240 B1 KR 10224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form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io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352A (ko
Inventor
유한나
박종하
이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0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2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6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characterized by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확인을 수반하여 IoT 단말을 인가된 단말로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IoT 인증 장치는,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부; IoT 단말의 인증을 요청받는 인증 요청 수신부;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부; 조회가 실패되면,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이 사용자의 확인이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확인부; 및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등록된 IoT 단말의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인가된 IoT 단말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거쳐서 인가된 IoT 단말로 전환하고, 인가된 IoT 단말에 한하여 IoT 통신 접속을 허가한다.

Description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Smart device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Io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oT 단말의 인증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장치로 접속하는 IoT 단말에 대해 그 접속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 기술의 활성화로 인해 IoT 단말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까지 IoT 단말은 320억 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IoT 단말의 다양한 접속 환경이 존재하고 있다.
인가된 IoT 단말의 접속 환경의 경우, 사용자가 IoT 인증 서버에 IoT 단말의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IoT 인증 서버는 스마트 장치(예 : G/W, AP, 스마트 단말 등)를 통해 IoT 단말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요청에 대해 기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가 확인될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단하여 스마트 장치로 IoT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허가한다.
비인가된 IoT 단말의 접속 환경의 경우, 스마트 장치는 등록 정보가 없는 비인가된 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특별한 인증 절차 없이 인터넷 접속을 허가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비인가된 IoT 단말과 사용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장치와 하위 IoT 단말이 WiFi 통신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이다. 또한, 스마트 장치는 비인가된 하위 IoT 단말과 사용자의 개입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oT 단말이 Non-IP 장치로서 스마트 장치와 처음 접속시 사용자가 접속을 허가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블루투스 페어링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IoT 단말과 스마트 장치 있는 각각의 버튼을 눌러서 상호 연결시키는 경우이다.
비인가된 IoT 단말이 사용자의 개입 유, 무와 관계없이 인터넷에 접속되면 보안의 취약점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인가된 IoT 단말은 연결된 타 단말에게 악성 코드를 감염시킬 수 있다. 또한, 비인가된 IoT 단말은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도청 및 감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인가된 IoT 단말은 접속 이력이 남지 않으므로 추적 및 관리가 불가하고, 사용자의 개입이 있는 경우라도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남지 않아 추적 및 관리가 불가하다.
한국등록특허 10-0774843(2007.11.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비인가된 IoT 단말이 스마트 장치로 접속하면, IoT 인증 장치가 인증 서버로서 스마트 장치로 접속된 IoT 단말에 대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인증 장치, 스마트 장치 및 IoT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 장치가 IoT 인증 장치로부터 IoT 단말의 상기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아 IoT 단말의 정보를 저장한 이후로, 인가된 IoT 단말이 접속하면 저장된 IoT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로컬 인증을 수행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인증 장치는,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장치에 있어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부; 스마트 장치로부터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요청받는 인증 요청 수신부;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기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부; 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이 사용자의 확인이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확인부; 및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등록된 IoT 단말의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IoT 단말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장치,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스마트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IoT 단말 조회부에 의해 상기 조회가 성공되면, 상기 인증 결과 응답부는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장치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이 응답된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하위 단말의 정보로 추가하고, 상기 스마트 장치로 하위 단말의 정보를 동기화 정보로서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동기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로, 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데 실패하여 로컬 인증이 실패되면,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장치는,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에 있어서, IoT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IoT 접속 수신부; 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에 성공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는 로컬 인증부; 상기 조회가 실패되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요청 전송부;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IoT 인증 장치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위 단말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하위 단말 동기화부; 및 상기 로컬 인증이 성공되거나 또는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IoT 접속 요청에 대해 접속을 허가하는 IoT 접속 허가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인증 방법은, IoT 인증 장치가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방법에 있어서, (a)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 단계; (b)스마트 장치로부터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요청받는 인증 요청 수신 단계; (c)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기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 단계; (d)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이 사용자의 확인이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확인 단계; 및 (e)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등록된 IoT 단말의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 인증 방법은, 스마트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방법에 있어서, (a)IoT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IoT 접속 수신 단계; (b)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에 성공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는 로컬 인증 단계; (c)상기 조회가 실패되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요청 전송 단계; (d)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IoT 인증 장치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위 단말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하위 단말 동기화 단계; 및 (e)상기 로컬 인증이 성공되거나 또는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IoT 접속 요청에 대해 접속을 허가하는 IoT 접속 허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인가 IoT 단말이 스마트 장치에 접속하면, IoT 인증 서버가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서 인가된 IoT 단말로 인증하여 IoT 단말의 스마트 장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oT 인증 서버에 의해 인가된 IoT 단말이 스마트 장치에 접속하면, 스마트 장치가 동기화 처리된 IoT 단말의 정보를 참조하여 로컬 인증의 처리를 수행하고 IoT 단말의 스마트 장치 접속을 허가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장치 및 IoT 인증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장치가 로컬 인증을 처리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IoT 인증 서버가 서버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A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되고, IoT 기능을 수행하는 IoT 단말(2), IoT 단말(2)과 통신하는 스마트 장치(3), 스마트 장치(3)로 IoT 단말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인증 서버(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상기 IoT 단말(2)은 사물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IoT 단말(2)은 센서, 도어락, 가스 밸브, 홈 캠 등일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IoT 단말(2)이 IP 기능을 갖는 경우, IoT 단말(2)은 IP 장치로서 직접 IoT 인증 서버(4)로 액세스한다. 한편, IoT 단말(2)이 IP 기능을 갖지 못한 경우, Non IP 장치로서 스마트 장치(3)를 통해 IoT 인증 서버(4)에 액세스한다. 이때, Non IP 장치의 IoT 단말(2)은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예 : 블루투스 등) 등을 통해 스마트 장치(3)로 접속될 수 있다. IoT 단말(2)의 정보가 IoT 인증 서버(4)에 등록되면, IoT 단말(2)은 인가된 단말로 전환되어 IoT 통신이 허가된다.
상기 스마트 장치(3)는 IoT 단말(2)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장치로서 게이트웨이, AP(Access Point), 스마트 단말(예 :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 등에 해당된다. 스마트 장치(3)는 본 발명의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300)을 실행한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300)에 의해, 스마트 장치(3)가 IoT 단말(2)과 통신 접속되면, 로컬 인증을 통해 IoT 단말(2)을 인증하고, 로컬 인증이 실패되면 IoT 인증 서버(4)를 상대로 IoT 단말(2)의 서버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IoT 인증 서버(4)는 본 발명의 IoT 인증 장치에 해당된다. IoT 인증 서버(4)는 스마트 장치(3)의 사용자 정보와 IoT 단말(2)의 정보를 등록받고,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IoT 인증 서버(4)는 스마트 장치(3)를 통해 IoT 단말(2)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된 사용자 및 IoT 단말(2)일 경우, 인증 성공을 응답한다. 또한, IoT 인증 서버(4)는 상기 인증 요청에 대해 등록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지만 IoT 단말(2)이 비인가된 경우, 등록된 사용자에게 IoT 단말(2)의 사용 확인을 요구하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면 비인가 IoT 단말(2)의 정보를 등록한 후 인증 성공으로 응답한다. 한편, IoT 인증 서버(4)는 비등록 사용자이거나 또는 등록된 사용자가 IoT 단말(2)의 사용 확인을 거부하면, 인증 실패를 스마트 장치(3)로 응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IoT 인증 서버(4)는 등록된 사용자 및 인가된 IoT 단말(2)에 대해서만 IoT 단말(2)의 사물 인터넷 통신을 허가한다. 만약, IoT 단말(2)이 비 인가된 경우라면, IoT 인증 서버(4)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사용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사용 확인을 승인하면, 사물 인터넷 통신을 허가하고, IoT 단말(2)의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인가된 IoT 단말(2)로 전환한다. IoT 인증 서버(4)에 의해 IoT 단말(2)의 인증이 성공되면, 성공된 IoT 단말(2)의 정보가 스마트 장치(3)에 전송되어 상기 정보가 동기화된다. 동기화가 완료된 이후로, IoT 단말(2)은 스마트 장치(3)에 의해 로컬 인증이 성공되므로 IoT 인증 서버(4)의 인증 처리가 생략된다. 그러면, IoT 인증 서버(4)는 스마트 장치(3)의 로컬 인증에 의해 인증 처리의 부하가 줄어든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장치(3) 및 IoT 인증 서버(4)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장치(3)는 IoT 단말(2)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IoT 접속 수신부(31), IoT 단말(2)을 로컬 인증하는 로컬 인증부(32), 로컬 인증이 실패된 IoT 단말(2)에 대해 IoT 인증 서버(4)로 서버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전송부(33), 서버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에 대해 IoT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하위 단말 동기화부(34) 및 인증 결과를 응답하는 IoT 접속 응답부(3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300)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서버(4)는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부(41), 스마트 장치(3)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인증 요청 수신부(42), 요청된 IoT 단말(2)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부(43), 조회가 실패된 IoT 단말(2)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확인부(44), 인증 결과를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부(45) 및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의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동기화 정보 전송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IoT 접속 수신부(31)는 Non IP 장치의 IoT 단말(2)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로컬 인증부(32)는 수신된 접속 요청의 IoT 단말(2)의 정보를 키로 하여 로컬 저장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로컬 인증을 수행한다. 조회에 성공되면 로컬 인증이 성공된다. 로컬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은 인가된 단말로서 IoT 접속 응답부(35)로부터 접속 허가의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로컬 인증에 실패되면, 로컬 인증부(32)는 IoT 단말(2)의 정보를 IoT 인증 서버(4)로 전송하여 서버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서버 인증이 성공될 경우, 상기 하위 단말 동기화부(34)는 IoT 인증 서버(4)로부터 서버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의 정보에 해당되는 하위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여 로컬 저장된 하위 단말의 정보로 갱신하는 동기화 처리를 수행한다. 동기화 처리된 IoT 단말(2)은 로컬 인증이 성공되므로 서버 인증이 생략된다.
상기 IoT 접속 응답부(35)는 IoT 단말(2)의 인증 결과를 IoT 단말(2)로 응답한다. 로컬 인증 또는 서버 인증의 성공에 의해, IoT 접속 응답부(35)는 접속 허가를 응답한다. 또한, 서버 인증의 실패에 의해, IoT 접속 응답부(35)는 접속 불허를 응답한다.
상기 IoT 단말 등록부(41)는 사용자로부터 IoT 단말(2)의 정보를 등록받는다. IoT 인증 서버(4)는 홈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 가입 정보 및 IoT 단말(2)의 정보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는 스마트 장치(3)의 정보를 등록하여 회원 가입한다. 그러면, IoT 단말 등록부(41)는 홈 페이지에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에 해당하는 IoT 단말(2)의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IoT 단말(2)의 정보가 등록되면, 비인가 IoT 단말(2)은 인가된 IoT 단말(2)로 전환된다.
상기 인증 요청 수신부(42)는 스마트 장치(3)의 인증 요청 전송부(33)로부터 IoT 단말(2)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IoT 단말 조회부(43)는 수신된 인증 요청의 IoT 단말(2)의 정보를 키로 하여 DB를 조회한다. 조회에 성공되면 서버 인증에 성공된 것으로서, 인증 결과 응답부(45)에 인증 성공의 결과가 응답된다.
서버 인증에 실패되면, 상기 사용자 확인부(44)는 스마트 장치(3)의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2)의 정보를 제공하여 IoT 사용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단말이라 가정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에 해당되는 스마트 장치(3)로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한다. 스마트 장치(3)의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사용자의 확인 응답이 수신되면, 사용자 확인부(44)는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것으로 간주하고, IoT 단말(2)의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IoT 단말(2)을 인가된 단말로 전환한다. 만약, 사용자의 응답이 없거나 사용자가 거절한 경우, 서버 인증은 실패로서, IoT 단말(2)의 스마트 장치(3) 접속은 거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IoT 인증 서버(4)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3)에 대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회원 사용자가 등록한 IoT 단말(2)에 대해서 IoT 접속을 허가한다. 만약, 회원 가입된 스마트 장치(3)로부터 비인가 IoT 단말(2)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IoT 인증 서버(4)가 사용자의 명시적인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비인가 IoT 단말(2)을 인가된 IoT 단말(2)로 전환하여 IoT 접속을 정식으로 인가한다.
상기 인증 결과 응답부(45)는 서버 인증의 결과를 스마트 장치(3)의 인증 요청 전송부(3)로 응답한다. IoT 단말 조회부(43)에 의해 조회가 성공되거나 또는 사용자 확인부(44)에 의해 사용자 확인이 수신된 경우, 서버 인증의 성공의 결과가 응답된다. 한편, 사용자 확인부(44)에 의해 사용자 확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 인증이 실패된 결과가 응답된다.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경우, 상기 동기화 정보 전송부(46)는 서버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의 정보를 동기화 정보로서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 동기화부(34)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 장치(3)를 통해 로컬 인증이 성공될 경우, IoT 인증 서버(4)의 서버 인증은 생략된다. 따라서, IoT 인증 서버(4)는 IoT 단말(2)의 최초 인증의 경우에만 인증 처리가 수반되므로 처리 효율이 향상되고 통신 트래픽도 줄어든다. 또한,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 한하여 로컬 인증이 성공되므로, 복제 단말 또는 악의 단말에 해당되는 IoT 단말(2)은 인증에 실패되어 스마트 장치(3)로의 IoT 접속이 불허된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장치(3)가 로컬 인증을 처리하는 예시도이다.
스마트 장치(3)는 하위 단말 동기화부(35)에 의해 동기화 처리가 수행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300)의 IoT 접속 수신부(31)가 IoT 단말(2)의 접속을 수신하면, 로컬 인증부(32)가 수신된 IoT 단말(2)의 정보를 키로 하여 동기화 처리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한다. 조회가 성공되면, IoT 접속 응답부(35)는 로컬 인증의 성공의 응답을 IoT 단말(2)로 접속하여 IoT 접속을 허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인증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IoT 단말(2)은 단말 정보를 스마트 장치(3)로 전송하여 접속 요청하고, 스마트 장치(3)는 IoT 단말(2)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31).
스마트 장치(3)의 어플리케이션(300)은 접속 요청한 IoT 단말(2)에 대해 로컬 인증을 수행한다(S32). 로컬 인증은 수신된 IoT 단말(2)의 정보를 키로 하여 로컬 저장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것이다.
조회의 성공에 의해 로컬 인증이 성공되면, 어플리케이션(300)은 접속 허가를 응답하고 스마트 장치(3)는 IoT 단말(2)과 IoT 접속이 유지된다(S35). 로컬 인증의 성공은 IoT 인증 서버(4)가 처리하는 서버 인증의 부하를 줄인다.
로컬 인증이 실패되면, 어플리케이션(300)은 IoT 단말(2)의 정보를 IoT 인증 서버(4)로 전송하여 서버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S33). 서버 인증의 처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버 인증이 성공되면, 어플리케이션(300)은 IoT 인증 서버(4)로부터 서버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동기화 처리한다(S34). 동기화 처리에 의해 스마트 장치(3)와 IoT 인증 서버(4)의 하위 단말 정보는 일치된다.
로컬 인증 또는 서버 인증이 성공되면, 어플리케이션(300)은 IoT 단말(2)의 접속을 허가한다(S35).
만약, 서버 인증이 실패되면, 어플리케이션(300)은 IoT 단말(2)의 접속을 불허한다(S36). 서버 인증이 실패된 IoT 단말(2)은 사용자의 확인을 받지 못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IoT 단말(2)의 접속을 불허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르는 미확인 IoT 단말(2)의 접속 또는 불법 접속 등으로 의심되어 사용자가 확인을 안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5는 도 4에서 IoT 인증 서버가 서버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A의 순서도이다.
IoT 인증 서버(4)는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서버 인증의 요청을 수신한다(S42).
IoT 인증 서버(4)는 IoT 단말(2)의 정보와 수신된 스마트 장치(3)의 정보를 키로 하여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 정보를 조회한다(S43). 사용자가 IoT 단말(3)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 두거나 또는 IoT 단말(2)의 확인 요청을 수신하여 확인의 응답을 한 경우, 조회가 성공되어 서버 인증은 성공된다.
서버 인증이 실패되면, IoT 인증 서버(4)는 수신된 스마트 장치(3)의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2)의 접속 요청에 대해 확인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한다(S44). 물론, IoT 인증 서버(4)로부터 확인 요청을 통보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IoT 단말(2)이거나 또는 IoT 단말(2)의 접속을 이미 인지한 경우 등에 한하여 IoT 단말(2)의 접속에 대한 확인을 응답할 수 있다.
IoT 인증 서버(4)는 사용자의 응답 결과를 스마트 장치(3)로 전송한다(S45). 상기 단계(S43)에서 조회에 성공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44)에서 사용자의 확인 응답이 수신된 경우,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것으로서, IoT 인증 서버(4)는 인증 성공의 결과를 어플리케이션(300)으로 응답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확인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서버 인증이 실패된 것으로서, IoT 인증 서버(4)는 인증 실패의 결과를 어플리케이션(300)으로 응답한다. 또한,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경우, IoT 인증 서버(4)는 인증이 성공된 IoT 단말(2)의 정보를 DB에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의 정보로서 저장하여 등록된 단말로 전환한다.
서버 인증이 성공된 경우, IoT 인증 서버(4)는 스마트 장치(3)의 하위 단말의 정보를 동기화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300)으로 전달한다(S46). 어플리케이션(300)은 상기 단계(S34)를 수행하여 수신된 동기화 정보로 로컬 저장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후, 동기화 정보에 포함된 IoT 단말(2)은 서버 인증 대신에 스마트 장치(3)의 로컬 인증으로 처리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스마트 장치(3) 및 IoT 인증 서버(4)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IoT 인증 시스템 2 : IoT 단말
3 : 스마트 장치 4 : IoT 인증 서버

Claims (12)

  1.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장치에 있어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부;
    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의해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이용한 하위 단말의 정보의 조회에 실패한 스마트 장치로부터,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요청받는 인증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기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부;
    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이 사용자의 확인이면 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확인부;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등록된 IoT 단말의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부; 및
    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하위 단말의 정보로 추가하고, 상기 스마트 장치로 하위 단말의 정보를 동기화 정보로서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동기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IoT 단말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장치,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스마트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 조회부에 의해 상기 조회가 성공되면,
    상기 인증 결과 응답부는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로, 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데 실패하여 로컬 인증이 실패되면,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장치.
  6.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IoT 접속 수신부;
    상기 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로컬 인증부;
    상기 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요청 전송부;
    상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IoT 인증 장치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단말의 정보가 추가된 하위 단말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하위 단말 동기화부; 및
    상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해 접속 허가의 응답을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IoT 접속 응답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인증부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로 상기 IOT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동기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 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에 성공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IoT 접속 응답부는,
    상기 로컬 인증이 성공하면 접속 허가를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장치.
  7. IoT 인증 장치가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방법에 있어서,
    (a)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받는 IoT 단말 등록 단계;
    (b)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의해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이용한 하위 단말의 정보의 조회에 실패한 스마트 장치로부터,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요청받는 인증 요청 수신 단계;
    (c)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기 등록된 IoT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IoT 단말 조회 단계;
    (d)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스마트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자 단말로 IoT 단말의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이 사용자의 확인이면 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확인 단계;
    (e)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등록된 IoT 단말의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인증 결과 응답 단계; 및
    (f)상기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하위 단말의 정보로 추가하고, 상기 스마트 장치로 하위 단말의 정보를 동기화 정보로서 전송하여 업데이트시키는 동기화 정보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IoT 단말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장치,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스마트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인 상기 스마트 장치가 IoT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조회가 성공되면,
    상기 단계(e)는 인증 결과를 성공으로 응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방법.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로, IoT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데 실패하여 로컬 인증이 실패되면,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방법.
  12. 스마트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IoT 단말을 인증하는 IoT 인증 방법에 있어서,
    (a)상기 IoT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IoT 접속 수신 단계;
    (b)상기 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는 로컬 인증 단계;
    (c)상기 조회가 실패되면, 상기 IoT 단말의 정보를 IoT 인증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고,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요청 전송 단계;
    (d)상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IoT 인증 장치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단말의 정보가 추가된 하위 단말의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하위 단말 동기화 단계;
    (e)상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접속 요청에 대해 접속을 허가하는 응답을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IoT 접속 허가 단계;
    (f)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 단말의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로 상기 IOT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접속 요청에 의해 수신된 IOT 단말의 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동기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 된 하위 단말의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에 성공하면 로컬 인증의 성공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g)상기 로컬 인증이 성공하면 접속 허가를 상기 IoT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인증 방법.
KR1020160004874A 2016-01-14 2016-01-14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KR10224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74A KR102246240B1 (ko) 2016-01-14 2016-01-14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874A KR102246240B1 (ko) 2016-01-14 2016-01-14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52A KR20170085352A (ko) 2017-07-24
KR102246240B1 true KR102246240B1 (ko) 2021-04-28

Family

ID=5942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874A KR102246240B1 (ko) 2016-01-14 2016-01-14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220B1 (ko) * 2018-02-27 2020-04-2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56858B1 (ko) 2020-04-29 2022-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IoT 시스템의 서버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10152073A (ko) 2020-06-05 2021-12-15 배상환 IoT기반의 스마트 통합 객실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85B1 (ko) * 2003-08-20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통합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43B1 (ko) 2006-06-30 2007-1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안전한 rfid 서비스를 위한 상호 인증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1990882B1 (ko) * 2012-10-09 2019-09-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인증 방법과 그를 위한 디바이스 및 인증 장치
WO2015065013A1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85B1 (ko) * 2003-08-20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통합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52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73822B (zh) 智能门锁管控方法、智能门锁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742903B2 (ja) 分散認証システム及び分散認証方法
US11252142B2 (en) Single sign on (SSO) using continuous authentication
US98424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k access management using wireless signals
US9025769B2 (en) Method of registering smart phone when accessing security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of granting access permission to registered smart phone
JP6337642B2 (ja) パーソナルデバイスからネットワークに安全にアクセスする方法、パーソナル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サーバ、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US20050266798A1 (en) Linking security association to entries in a contact directory of a wireless device
DK2924944T3 (en) Presence authentication
JP5571854B2 (ja) ユーザアカウント回復
US11429802B2 (en) Obtaining device posture of a third party managed device
CN101919221A (zh) 用于属于不同机构的用户的无需证书复制的认证方法
JP2007535047A (ja) 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ユーザ端末に対してジェネリック認証アーキテクチャーを応用して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067183A (ko) 사용자 생체정보와 관련된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폐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775A (ko) 모바일 단말과 IoT기기간 제3자 보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7612949B (zh) 一种基于射频指纹的无线智能终端接入认证方法及系统
US20200304995A1 (en) Distributed ledger systems for authenticating lte communications
KR102246240B1 (ko) IoT 단말을 인증하는 스마트 장치, IoT 인증 장치 및 IoT 인증 방법
WO2023142773A1 (zh) 一种设备控制方法、设备和分布式数字钥匙系统
CN104869121A (zh) 一种基于802.1x的认证方法及装置
KR20190130206A (ko) 분실 보안이 강화된 IoT기기 제3자 보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30849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암호 및 스마트카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방법.
KR101133167B1 (ko)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9055417A (ja) 無線端末を認証する認証システム、その認証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0577390B1 (ko) 인증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와 시스템 및 상기 장치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인증방법
EP3433784A1 (en) Credential for a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