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544B1 -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544B1
KR102245544B1 KR1020200122273A KR20200122273A KR102245544B1 KR 102245544 B1 KR102245544 B1 KR 102245544B1 KR 1020200122273 A KR1020200122273 A KR 1020200122273A KR 20200122273 A KR20200122273 A KR 20200122273A KR 102245544 B1 KR102245544 B1 KR 10224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ransceiver
bar
wireless
top box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2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5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2Arrangements of multiple bars with or without pivotable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wirelessly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rnet protocol services that can automatically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et-top box, while enabling the installation of wireless connection devices on the interior ceilings of building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circuit splitter (1); an IPTV set-top box (2); and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Description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셋탑박스와의 무선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한편, 건축물의 내부 천장 등으로의 무선연결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wirelessly provid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ternet protocol ser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et-top box, and It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to the interior ceiling of a building.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정보통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익숙한 텔레비전 상에서 인터넷 검색, 쇼핑, 동영상 및 방송 콘텐츠 제공 등 통합 관리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provid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rnet services in both directions using an Internet network,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through integrated management such as Internet search, shopping, and provision of video and broadcasting contents on televisions familiar to users. There is this.

여기서, IPTV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텔레비전과 IPTV 서버 사이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이용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implement the IPTV service, a set-top box connected between the television and the IPTV server may be used.

셋톱박스는 단순히 인터넷 망 등을 방송망으로 이용하여 디지털화된 정보통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제공되는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비용 결제, 쇼핑, 포럼 참여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et-top boxes do not simply use the Internet network as a broadcasting network to provide digitiz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tent to users, but integrate them so that users can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payment for the user's expenses, shopping, and participation in forums in relation to the provided content. Can provide management services.

그러나, 종래에는 회선분배기와 셋탑박스 사이를 유선으로 연결하므로 설치시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 설치를 위한 공사 등 자원 소모 및 실내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line divider and the set-top box are connected by wire, there is a problem in installation, as well as resource consumption such as co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damage to the interior aesthetics.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63161호(2016.10.06.)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무선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partially improves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3161 (2016.10.06.) discloses a'wireless connection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net protocol service wirelessl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연결장치는 건축물의 내부 천장 등으로 무선연결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ireless connec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such as an interior ceiling of a building.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63161호(2016.10.06.)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서비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무선연결장치 및 IPTV 서비스 제공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63161 (2016.10.06.)'Wireless connection device providing wireless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PTV ser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셋탑박스와의 무선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한편, 건축물의 내부 천장 등으로의 무선연결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ternet protocol ser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set-top box, while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to the interior ceiling of a building, etc.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wireless connection device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선분배기(1);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셋탑박스(2); 및 상기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연결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연결장치(100)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및 제2 무선송수신기(100b)를 구비하는 무선연결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상기 회선분배기(1)와 연결되면 상기 회선분배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는, 상기 셋탑박스(2)와 연결되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회선분배기(1)와 연결된 제2 무선송수신기(100b) 또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의 전용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전용채널을 통해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여 상기 셋탑박스(2)로 제공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부 천장(C)으로의 상기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 대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부가 천장(C)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기초바(210); 하부로 상기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기초바(2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지바(220); 상기 기초바(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바(220)로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밀착수단(230); 및 상기 밀착수단(230)이 상기 지지바(220)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수단(230)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바(220)가 상기 기초바(210)로 결속되도록 하는 고정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it divider (1);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t-top box 2; And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for wirelessly connecting between the line divider 1 and the set-top box 2 to provide an IPTV service, wherein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is a first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having a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when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the line divider (1) ) To convert the data packets received from the data packets into a wireless signal form,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when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uses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to output the line divider (1). ) To form a dedicated channel wit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or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extract data packets from the wireles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hannel, and provide them to the set-top box (2)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fixing unit 200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o the interior ceiling (C) of the building. The fixing part 200 includes a base bar 210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ceiling C and an open lower portion thereof; A support bar 220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bar (210); A contact means 230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bar 2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support bar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a fixing means 240 for pressing the contacting means 23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ing mean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so that the support bar 220 is bound to the base bar 210. It provide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셋탑박스와 유선네트워크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IPTV 서비스를 위한 설치가 간편하고 유선연결에 의한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irelessly connecting a set-top box and a wired network using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installation for an IPTV service is easy and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aesthetic problem caused by a wired connection.

또한, 건축물의 내부 천장 등으로의 무선연결장치에 대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to the interior ceiling of a build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서 무선송수신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서 고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transceiver in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unit is provided in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은 회선분배기(10), 셋탑박스(2) 및 무선연결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distributor 10, a set-top box 2, and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공동주택의 각 가정 내에는 회선분배기(1), 셋탑박스(2), 디스플레이장치(3), 단말(4) 및 무선연결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연결장치(10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및 제2 무선송수신기(100b)를 포함한다. A line divider (1), a set-top box (2), a display device (3), a terminal 4, and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each home of the apartment house. It includes one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회선분배기(1)는, 회선인입부(a)를 통하여 가정 내로 연결되는 유선 네트워크망(n)의 회선을 분배하여 가정 내에 정보통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line divider 1 may provid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in the home by distributing a line of a wired network network n connected to the home through the line inlet unit a.

가정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으나, 가정 내에 형성된 네트워크들은 결국 상기 회선분배기(1)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망(n)과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인터넷 등 외부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Various types of wired or wireless networks may be formed in the home, but the networks formed in the home are eventually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network (n) through the line distributor (1), and through thi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s performed. can do.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선분배기(1)와 직접 연결되어 유선 네트워크망(n)에 연결되는 단말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무선연결장치(100)의 제1 무선송수신기(100a)도 상기 회선분배기(1)에 연결되어, 분배된 회선으로부터 데이터 패킷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erminals directly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and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network n may be included, and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f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is also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By being connected, data packets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distributed lines.

단말(4)에는 유선단말, 무선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유선단말에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등이 포함되고, 무선단말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폰, GSM 폰, GPRS 폰, WCDMA 폰, UMTS 폰, MBS 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4 may include a wired terminal, a wireless terminal, etc.,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Notebook-sized Personal Computer), etc. are included in the wired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phone , IMT-2000 phone, GSM phone, GPRS phone, WCDMA phone, UMTS phone, MBS phone, etc. may be included.

이외에도, 무선단말은 서로 다른 단말이나 서버, 시스템 등과 무선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wireless terminal may be includ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wirelessly performing voice or data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terminals, servers, and systems.

유선단말은 회선분배기(1)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단말들은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송수신기(100a)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 망(n)과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d terminal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and the wireless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network n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00a.

디스플레이장치(3)는 영상이나 이미지, 음향 등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는 셋탑박스(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셋탑박스(2)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에 따라 영상이나 이미지, 음향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3 may be a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an image, or a sound. The display device 3 may b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and may output an image, image, or sound according to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set-top box 2.

디스플레이장치(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 Ray Tube)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가능하다. The display device 3 can be implemented through LCD (Liquid Crystal Display), LED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 (Plasma Display Panel), CRT (Cathode Ray Tube), etc. Anything that can visually output an image or image can be used.

셋탑박스(2)는 디스플레이장치(3)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가 출력하는 영상이나 이미지, 음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t-top box 2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3 to control an image, image, sound, etc.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3.

셋탑박스(2)는 디지털 방송, 아날로그 방송,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을 제공하는 IPTV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IPTV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et-top box 2 may be connected to an IPTV server that provides digital broadcasting, analog broadcasting, video on demand (VOD), etc., and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IPTV server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3. Can be printed.

셋탑박스(2)는 종래의 방송시스템 등과 같이 일방적으로 컨텐츠를 방송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3)를 시청하는 사용자와의 양방향 소통을 수행하면서 상기 컨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t-top box 2 does not unilaterally broadcast content as in a conventional broadcasting system, but can provide the content while perform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a user watching the display device 3.

즉, 상기 셋탑박스(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3)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를 통하여 인터넷 검색, 쇼핑, 동영상 및 방송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t-top box 2, the display device 3 can operate as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can be provided.

무선연결장치(100)는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의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종래에는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를 유선으로 직접 연결하였으나, 각각의 가정 내 설치환경이 상이하므로, 회선인입부(a)의 위치가 사용자가 지정한 디스플레이장치(3)의 위치와 멀리 떨어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may wirelessly connect a network between the line divider 1 and the set-top box 2. Conventionally, the line divider 1 and the set-top box 2 were directly connected by wire. 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n each home is different, the location of the line entry part a is the location of the display device 3 designated by the user. There may be cases far away from it.

예를 들어, 가정 내의 회선인입부(a)는 신발장, 부엌, 방 안 등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장치(3)는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line entry part a in the home is located in a shoe rack, a kitchen, a room, etc. and the display device 3 is located in a living room.

이 경우 UPT(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의 재배치 공사 등을 수행하여 회선인입부(a)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가정 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UPT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회선인입부(a)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3)까지 UTP 케이블을 연장하여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line entry (a) is changed by performing relocation work of UPT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s, or from the line entry (a) by fixing the UPT cable to the floor or wall of the home. It is necessary to extend and connect the UTP cable to the display device 3.

즉, 종래에는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를 유선으로 연결하였으므로 설치시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며, 설치를 위한 공사 등 자원 소모 및 가정 내의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무선연결장치(100)를 활용하면,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결이 용이하고 가정 내 미관을 유지하는 등의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line distributor 1 and the set-top box 2 were connected by wire, there was a difficulty in installation,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resource consumption such as construction for installation and damage to the aesthetics of the home. On the other hand, if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is used,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nnect the line divider 1 and the set-top box 2, so that the connection is easy and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maintaining the aesthetics in the home can be obtained. I can.

무선연결장치(10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및 제2 무선송수신기(10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회선분배기(1)와 연결되고, 제2 무선송수신기(100b)는 셋탑박스(2)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be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may b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회선분배기(1)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무선신호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receive a data packet from the line divider 1, and may convert the received data packet into a wireless signal format and output it.

제2 무선송수신기(100b)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가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신호에서 추출한 데이터 패킷을 셋탑박스(2)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3)가 IPTV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can receive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ransmits a data packet extracted from the wireless signal to the set-top box 2 so that the display device 3 provides an IPTV service. Can be made to provide.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가정 내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4)들에 대하여도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 대하여는 전용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can provide network services by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to other terminals 4 located in the home. In particular, f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 data packet can be provided through a dedicated channel. Can be transmitted.

한편, 도 1에서는 셋탑박스(2)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서로 다른 구성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무선송수신기(100b)와 셋탑박스(2)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Meanwhile, in FIG. 1, the set-top box 2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re shown in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nd the set-top box 2 are combined. Thus,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on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제2 무선송수신기(100b)는 상기 셋탑박스(2) 내에 포함된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may be implemented as one module included in the set-top box 2 and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무선송수신기는 유선통신부(110), 무선통신부(120), 제어부(130), 변환부(140) 및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transceiver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conversion unit 140, and an authentication unit 150.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송수신기(100a, 100b)는 각각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구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동작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먼저, 제1 무선송수신기(100a)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wireless transceivers (100a, 100b) can be classified into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respectively, each opera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irs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will be described.

유선통신부(110)는 회선분배기(1)와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n)와 유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with a wired network n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즉, 회선분배기(1)를 통하여 전송되는 유선 네트워크(n)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유선 네트워크(n)로 전송할 수 있다. 회선분배기(1)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유선통신부(11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data packet of the wired network n transmitted through the line divider 1 may be received, and then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d network n.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ing the data packet from the line divider 1 may transmit the data packet to the control unit 130.

무선통신부(120)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 또는 가정 내 위치하는 단말(4) 등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or a terminal 4 located in the home.

즉, 유선통신부(110)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들은, 무선통신부(120)를 통하여 각각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제2 무선송수신기(100b) 또는 단말(4) 전송될 수 있다.That is, data packets received by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verted into wireless signal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or the terminal 4.

무선통신부(12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한 데이터 패킷들을 각각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가 상기 무선통신부(120)를 활용하여, 다른 단말(4) 등에 대한 무선신호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공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nvert received data packets into wireless signals each having a preset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converted data packet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operate as a router that performs a wireless signal relay function for another terminal 4 or the lik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IPTV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2 무선송수신기(100b)와 전용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form a dedicated channel wit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n order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IPTV.

즉, 무선통신부(120)가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가정 내에 전송할 때, 제2 무선송수신기(100b) 측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는 전용채널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IPTV 서비스의 QoS를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달리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용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each data packet in the home,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s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channel, thereby ensuring the QoS of the IPTV service. Specifically, the dedicated channel may be set by differently setting a frequency band of a radio signal transmitting each data packet.

예를 들어,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경우에는 5GHz의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하는 전용채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는 2.4GHz의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하여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channel utilizing a frequency bandwidth of 5 GHz, and a ra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using a frequency bandwidth of 2.4 GHz. .

따라서, 5G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만이 전송되므로, IPTV 서비스의 QoS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20)가 각각의 데이터 패킷에 적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무선통신부(12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제어신호는 제어부(130)가 입력한 것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only data packets for IPTV service are transmitted in the frequency band of 5 GHz, it is possible to keep the QoS of the IPTV service constant. Here, the frequency band appli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o each data packet is se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input by the control unit 130.

제어부(13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1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무선통신부(120)가 전송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o determine the frequency band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set.

제어부(130)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설정된 목적지 주소를 이용하여 IPTV 데이터 패킷을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판별된 IPTV 데이터 패킷을 전용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IPTV data packet using the destination address set in the received data packet, and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o transmit the determined IPTV data packet through a dedicated channel. have.

제어부(130)는 IPTV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는 기 설정된 전용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무선통신부(120)는 상기 IPTV 데이터 패킷을 전용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IPTV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전용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전용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IPTV data packet to generate a radio signal having a preset dedicated frequency band, and by the control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IPTV data packet to a dedicated frequency band. It can be transmitted as a wireless signal. Accordingly, the IPTV data packet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channel using the dedicated frequency band.

한편,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및 제2 무선송수신기(100b) 사이의 전용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서로 간의 연결을 위한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set a dedicated channel between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t is necessary to perform setting for connection with each other in advance.

이를 위하여, 먼저 제어부(13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의 고정 MAC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To this end, first, the controller 130 may set a fixed MAC address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와의 통신을 위한 전용채널과 나머지 가정 내의 단말(40) 등과의 통신을 위한 기본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전용채널과 기본채널을 위한 MAC 주소가 각각 존재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have a dedicated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nd a basic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40 in the rest of the home, and the MAC address for the dedicated channel and the basic channel Each can exist.

여기서, 전용채널을 위한 MAC 주소는 고정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도 고정 MAC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MAC address for the dedicated channel may be set as a fixed MAC address, and the fixed MAC address may also be set i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따라서,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 사이의 전용채널은, 기 설정된 고정 MAC 주소를 가지는 장치에 한하여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a dedicated channel between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may be set to allow connection only to devices having a preset fixed MAC address.

즉,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 이외의 다른 무선장치 등에 대하여는 전용채널을 통한 연결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 사이의 전용채널을 활용하면, 보안성 향상 및 고품질의 IPTV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That is, since connection through a dedicated channel is not allowed for other wireless devices other than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By using the dedicated channel of, it is possible to improve security and provide high-quality IPTV service.

제어부(13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정보 생성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when a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djacent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인증정보는 인증부(150)가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정보에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의 ID(Identification), 비밀번호, 암호방식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150,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 ID, a password, and an encryption method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이후,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전송한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에 접속가능한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게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30 can determine that there is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ccessible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 respons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이후,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한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부터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30)가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상기 인증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upon receiving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따라서, 이후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무선송수신기(100a)에 접속하면,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와의 사이에 전용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ccesses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dedicated channel can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제어부(130)는 상기 유선통신부(110)가 수신한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IPTV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는 최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set priorities for data packets received by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and in particular, may assign the highest priority to IPTV data packets.

제어부(130)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향하는 IPTV 데이터 패킷에 최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다른 데이터 패킷보다 먼저 처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IPTV 서비스에 대한 QoS를 보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guarantee QoS for an IPTV service by setting the highest priority on the IPTV data packet destined f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nd processing it before other data packets.

제어부(130)는 회선분배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이 멀티캐스트(multicast) 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만약 멀티캐스트 패킷에 해당하면, 유니캐스트(unicast) 타입의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an determine whether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circuit divider 1 corresponds to a multicast packet, and if it corresponds to a multicast packet, converts it into a unicast type packet. can do.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별도로 구비된 변환부(140)의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타입의 데이터 패킷을 유니캐스트 타입의 패킷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multicast type data packet into a unicast type packet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ly provided conversion unit 140.

멀티캐스트 타입의 채널 스트림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경우에는 품질저하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상기 멀티캐스트 타입의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타입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multicast type channel stream data is converted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ted, quality deterioration may occur. To prevent this,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the multicast type data into a unicast type and transmits it. can do.

여기서, 제1 무선송수신기(100a)가 회선분배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전송하는 내용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제1 무선송수신기(100a)가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 등을 회선분배기(1)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가정 내에 위치하는 단말(4)들에 대한 무선신호중계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only the contents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line divider (1)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s presented, but on the contrary,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is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data packet or the like received from (100b) to the circuit divider (1). 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be implemented using a wireless access point that performs a wireless signal relay function for terminals 4 located in the home.

한편, 제2 무선송수신기(100b)의 경우에는 유선통신부(110), 무선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d may be included.

무선통신부(12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가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전용채널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using a dedicated channel.

제1 무선송수신기(100a)는 기 설정된 전용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120)는 상기 전용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무선통신부(120)는 수신한 무선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may transmit a radio signal having a preset dedicated frequency ban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a ra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edicated frequency band. Thereaft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o the control unit 130.

제어부(130)는, 상기 수신한 무선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데이터 패킷을 유선통신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extract a data packet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and provide the extracted data packet to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한편,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의 전용채널 설정을 위하여, 제어부(130)는 상기 제2 무선송수신기(100b)의 고정 MAC 주소를 설정하고, 이후 제1 무선송수신기(100a)의 고정 MAC 주소로 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et a dedicated channel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the controller 130 sets a fixed MAC address of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and thereafter, the fixed MAC address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Confirmation signals can be transmitted periodically.

또한, 제1 무선송수신기(100a)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에게 인증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무선송수신기(100a)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면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제1 무선송수신기(100a)로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Then, it is possible to perform access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유선통신부(110)는 셋탑박스(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가 추출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셋탑박스(2)로 제공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and may provide the data packet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130 to the set-top box 2.

또한, 셋탑박스(2) 측이 제공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은 이후 제어부(130), 무선통신부(120)를 통하여 제1 무선송수신기(100a)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ata packet provided by the set-top box 2 may be received, and the received data packet may the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한편, 무선연결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구성에 따라 각각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및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구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nclud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device. 2 It can be distinguished as a wireless transceiver (100b).

즉, 회선분배기(1)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로 동작하고, 셋탑박스(2)에 연결되면 제2 무선송수신기(100b)로 동작할 수 있다.That is, when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it can operate as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when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it can operate as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제2 무선송수신기(100b)를 각각 전용의 장치로 구별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by dividing them into dedicated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 천장(C)으로의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 대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o the interior ceiling (C)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ures 4 to 5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200 to enable installation.

고정부(200)는 건축물의 내부 천장(C)에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무선연결장치(100)의 설치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주변 공간활용과 함께 무선연결장치(100)에 대한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part 200 allows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o be installed on the interior ceiling (C) of the building,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difficulty of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while utilizing the surrounding space. Together with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so that the installation can be made smoothly.

고정부(200)는 상부가 천장(C)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기초바(210), 하부로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결합되며 상부가 기초바(2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지바(220), 기초바(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동에 따라 지지바(220)로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밀착수단(230) 및 밀착수단(230)이 지지바(220)로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수단(230)을 가압하여 지지바(220)가 기초바(210)로 결속되도록 하는 고정수단(240)을 포함한다.The fixing part 200 has a base bar 210 having an upper part fixed to the ceiling C and an open lower part,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coupled to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is a base bar ( The support bar 2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2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bar 210, and the contact means 230 and the contact means 230 are in close contact with or release from the support bar 220 according to the rotation.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it includes a fixing means 240 for pressing the contacting means 230 so that the support bar 220 is bound to the base bar 210.

기초바(210)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11)가 형성되면서 앵커볼트 등에 의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The base bar 2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a flange 211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may be fixed to the ceiling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지지바(2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바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가 기초바(210)의 하부 내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upport bar 220 forms a circular bar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ase bar 210.

기초바(210)는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바(220)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기초바(210)로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간을 통과한 후에는 직선 이동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The base bar 210 has a thread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upport bar 220 is coupled by screwing to the base bar 210 while a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tion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Is moved up and down by linear movement.

즉, 지지바(22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 대한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하강시,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기초바(2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접하면서 기초바(2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support bar 22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can be adjus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screw thread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 separation from the base bar 210 may be prevented.

그리고, 지지바(220)는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기초바(21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접한 상태에서 풀림 회전에 따라 하강되면서 기초바(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foundation bar 210 while lowering the screw thread formed in contact with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foundation bar 210 and descending according to the loosening rotation.

밀착수단(230)은 상단부가 기초바(2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전바(231) 및 회전바(231)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바(220)를 감싸는 밀착바(232)를 포함한다.The contact means 23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rotation bars 231 and the rotation bar 231, the upper end is rotat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se bar 210, the contact bar ( 232).

기초바(210)는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212)이 형성되고, 한 쌍의 회전바(231)는 각각 상단부가 힌지축(232)에 의해 고정편(2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바(231a) 및 일단부가 상부바(231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밀착바(232)에 연결되는 하부바(231b)로 이루어진다.The base bar 210 is formed with fixing pieces 212 protruding outward on both sides, and each of the pair of rotating bars 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iece 212 by a hinge shaft 232 at its upper end. The upper bar (231a)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ar (231a)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lower bar (231b)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ar (232).

밀착바(232)는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면서 지지바(220)의 둘레를 감싼다.The contact bar 232 surrounds the support bar 220 while the inner surface forms a curved surface.

밀착수단(230)은 밀착바(23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압착부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means 230 may further include a press member 23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ar 232.

압착부재(233)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수단(240)의 고정에 따라 밀착바(232)와 지지바(220) 간에서 압착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rimping member 233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and is crimped between the contact bar 232 and the support bar 220 according to the fixing of the fixing means 240 so that stable fixing is achieved.

고정수단(240)은 밀착수단(2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기초바(21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링(241)을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240 includes a fixing ring 241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ar 2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ntact means 23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고정링(241)은 밀착수단(230)이 지지바(220)로 밀착됨에 따라 한 쌍의 회전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밀착수단(230)을 가압하여 지지바(220)가 기초바(210)로 고정되도록 한다.The fixing ring 24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rotating bars 231 as the contacting mean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and presses the contacting means 230 so that the support bar 220 is applied to the base bar. It should be fixed at (210).

회전바(231)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링(24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회전바(2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ng bar 231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ixing ring 241 may be screw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ar 231 whil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ar 231.

밀착수단(230)은 상부바(231a)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링(241)이 안착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means 23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234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r 231a and prevents separation while the fixing ring 241 is seated.

스토퍼(234)는 밀착수단(230)이 지지바(220)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강에 의해 한 쌍의 회전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링(241)이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도록 한다.The stopper 234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ing mean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and the lowering is stopped while the fixing ring 241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rotating bars 2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ing .

이로 인해, 고정부(200)는 건축물의 내부 천장(C)에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연결장치(100)의 설치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주변 공간활용과 함께 무선연결장치(100)에 대한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part 200 eliminates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by allowing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o be installed on the interior ceiling C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along with the use of the surrounding spac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implemented.

1: 회선인입부 2: 셋탑박스
3: 디스플레이장치 4: 단말
100: 무선연결장치 110: 유선통신부
120: 무선통신부 130: 제어부
140: 변환부 150: 인증부
200: 고정부 210: 기초바
220: 지지바 230: 밀착수단
240: 고정수단
1: Line inlet 2: Set-top box
3: display device 4: terminal
100: wireless connection device 110: wired communication unit
1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conversion unit 150: authentication unit
200: fixing part 210: foundation bar
220: support bar 230: adhesion means
240: fixing means

Claims (1)

회선분배기(1); IPTV의 셋탑박스(2); 및 회선분배기(1)와 연결되는 제1 무선송수신기(100a)와 셋탑박스(2)와 연결되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를 포함하면서 상기 회선분배기(1)와 셋탑박스(2)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연결장치(100)로 구성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부 천장(C)으로의 상기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에 대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부가 천장(C)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기초바(210);
하부로 상기 제1 무선송수신기(100a) 또는 제2 무선송수신기(100b)가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기초바(210)의 하부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간을 통과한 후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하강시,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기초바(2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접하면서 상기 기초바(2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바(220);
상단부가 상기 기초바(2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전바(231)와, 상기 회전바(231)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바(220)를 감싸는 밀착바(232)와, 상기 밀착바(23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압착부재(233)와, 상기 회전바(231)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234)를 포함하면서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바(220)로 밀착 또는 상기 지지바(220)로부터 밀착해제되는 밀착수단(230); 및
상기 밀착수단(2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초바(210)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밀착수단(230)이 상기 지지바(220)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회전바(2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밀착수단(230)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바(220)가 상기 기초바(210)로 결속되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234)에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는 고정링(241)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
Circuit divider 1; IPTV set-top box (2); And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connected to the line divider (1)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connected to the set-top box (2), and wirelessly between the line distributor (1) and the set-top box (2).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nsisting of a wireless connection device 100 that connects to and provides an IPTV servic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200 to enable installation of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to the interior ceiling (C) of the building,
The fixing part 200,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C),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base bar 210 is formed with a threa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100a) or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100b) is coupled to the bottom,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being screw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ase bar 210, passing through the section where the thread is formed. A support bar 220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after being moved,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bar 210 while the thread formed on the upper part contacts the thread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bar 210 when descending;
A pair of rotation bars 231 that are rotat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base bar 210, and the support bar 220 is provided under the rotation bar 231 and the inner surface forms a curved surface. It is rotated while including a sealing contact bar 232, a pressing member 233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ar 232, and a stopper 234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ar 231. A contact means 23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or released from the support bar 220; And
It is coupled to be lifted and lower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ar 21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ntacting means 230, and the contacting mean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220,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rotating bars 231, the contact means 230 is pressed so that the support bar 220 is bound to the base bar 210, and the descent is stopped while contacting the stopper 234. Consisting of a retaining ring 241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240).
KR1020200122273A 2020-09-22 2020-09-22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102245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73A KR102245544B1 (en) 2020-09-22 2020-09-22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273A KR102245544B1 (en) 2020-09-22 2020-09-22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544B1 true KR102245544B1 (en) 2021-04-28

Family

ID=7572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273A KR102245544B1 (en) 2020-09-22 2020-09-22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5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655B1 (en) * 2021-09-30 2022-05-03 홍성우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igh-spee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06A (en) * 2005-06-07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aplay supporting device
KR20070095734A (en) * 2006-03-21 2007-10-01 김권희 Fixture for fixing objects on the ceiling
KR20150051485A (en) * 2013-11-04 2015-05-13 구성회 Architecture supporting device for fixing hanging member
KR101663161B1 (en) 2015-06-10 2016-10-0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nnect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47025B1 (en) * 2018-10-23 2019-02-12 박흥순 Communication internet circuit connectio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KR101989568B1 (en) * 2018-12-07 2019-06-18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Safety railing apparatus of scaffold for plant
KR102156638B1 (en) * 2020-06-15 2020-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hous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06A (en) * 2005-06-07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aplay supporting device
KR20070095734A (en) * 2006-03-21 2007-10-01 김권희 Fixture for fixing objects on the ceiling
KR20150051485A (en) * 2013-11-04 2015-05-13 구성회 Architecture supporting device for fixing hanging member
KR101663161B1 (en) 2015-06-10 2016-10-06 주식회사 케이티 Wireless connect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47025B1 (en) * 2018-10-23 2019-02-12 박흥순 Communication internet circuit connectio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KR101989568B1 (en) * 2018-12-07 2019-06-18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Safety railing apparatus of scaffold for plant
KR102156638B1 (en) * 2020-06-15 2020-09-16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655B1 (en) * 2021-09-30 2022-05-03 홍성우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igh-spee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025B1 (en) Communication internet circuit connectio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US10142182B2 (en) Allocating processing bandwidth at a residential gateway utilizing transmission rules
KR1007825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Contents of Broadcasting in DLNA Network
KR101663161B1 (en) Wireless connecting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US9554089B2 (en) Smart LED lighting device and remote video chat system thereof
US8701144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5100848B (en) Intelligent device, intelligent device control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US8330789B2 (en) Integrated devices for multimedia content delivery and video conferencing
KR102231502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system of architecture for apartment house
US117166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s
KR102245544B1 (e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102156638B1 (e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house
CN111246310A (en) 5G-based interactive television interactive network access method
KR102204658B1 (e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architecture communication facility
KR101980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Audio Streaming Service
US8355718B2 (en) RF4CE-based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20080016250A (en) System for triple play services using an ip settop box with an access point and an ip sharing device embedded therein
KR102193585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architecture
KR102393655B1 (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igh-speed service provid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KR20100069380A (en) Iptv settop box remote control equipped with contents display unit and iptv settop box
KR102406853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of apartment house using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P3160107B1 (en) Intercom system, ser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210569B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linked to mobile in apartment house
KR20100042907A (en) Iptv remote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ptv control server
KR101852147B1 (en) Home router having audio transmitting function and audio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is ro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