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66B1 -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66B1
KR102245266B1 KR1020160079277A KR20160079277A KR102245266B1 KR 102245266 B1 KR102245266 B1 KR 102245266B1 KR 1020160079277 A KR1020160079277 A KR 1020160079277A KR 20160079277 A KR20160079277 A KR 20160079277A KR 102245266 B1 KR102245266 B1 KR 10224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ine
state
preset routine
internet
criter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316A (ko
Inventor
본 카프리 아네트 프라인
윈 조우 우
시구두 아달기르슨
크리스틴 카토르
정재우
헨리 홀츠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제어 서비스는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속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하나 이상의 루틴에 대한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 설정된 루틴은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TELEVISION (TV) AS AN INTERNET OF THINGS (IoT) PARTICIPANT}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사물 인터넷(IoT) 자동화를 위한 능동적인 텔레비전(TV)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s), 물리적 장치(예를 들어, 차량, 빌딩 등) 및 전자 기술, 센서 및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그룹과 같은, 물체들 또는 “사물들(things)”의 연결을 제공하는 기존의 인터넷 기반(internet infrastructure)을 이용한다. “사물들”은 인터넷 및 서로에 대해 온/오프 스위치로 연결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사물들”은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마트 온도 조절 장치 시스템과 같은 자동화를 위해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participating) 텔레비전(TV)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를 포함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속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하나 이상의 루틴에 대한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 설정된 루틴은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디바이스의 상태 속성들 및 동작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TV 디바이스는 저장된 디바이스의 상태 속성들 및 동작들에 기초하여 동작들 및 루틴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에 참여하도록 구성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동작들 및 루틴들을 위한 트리거 역할을 한다. TV 디바이스는 상기 저장된 동작들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루틴을 결정하고,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루틴을 활성화한다.
일 실시예는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TV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방법은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제어 서비스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V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는 속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루틴들을 위한 트리거 역할을 한다.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 설정된 루틴은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상기 실시예들, 다른 관점들, 및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장점들은 도면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원리에 대한 예로서 설명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실시예들의 본질 및 장점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TV 디바이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만을 이용하는 가상 현전(presence)을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을 위한 TV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을 위한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에코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a-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을 위한 원격 활성화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에 기초하여 보안 카메라 피드(feed)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원격 접속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와 상호작용하는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된 홈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만을 이용하는 야간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및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야간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웰컴 홈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웰컴 홈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6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시네마 모드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7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시네마 모드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8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에 영화가 재생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만을 이용하는 건강 상태 요약 루틴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과 함께 TV를 이용하는 건강 상태 요약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긴급 경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건강 경보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아기 돌보기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인터컴(intercom)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TV 디바이스를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computing system)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블록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고, 본원에서 청구한 발명의 개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구체적인 특징들은 다양한 가능한 조합 및 치환으로 다른 기재된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다면,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암시되는 의미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의미 및/또는 사전, 논문 등에 정의된 의미를 포함하는 가능한 가장 넓은 해석에 의한다.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TV의 참여에 관한 것이다. TV 디바이스가 감지 또는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및 동작은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더 큰 에코시스템(ecosystem)에 투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속성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루틴에 대한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감지될 수 있고, 기 설정된 루틴은 감지된 TV 디바이스의 상태 속성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TV는 사물 인터넷 홈 또는 네트워크에서 디스플레이로서 동작할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 에코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TV는 존재를 감지할 수 있고 동작들을 시작 또는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TV는 사용자가 집에 돌아온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TV 디바이스의 상태 모니터링 기능은 속성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동작들은 동작 테이블에서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속성 테이블은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TV 디바이스 (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작 테이블은 TV 디바이스 (110)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TV 디바이스 (110)에 저장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TV를 더 큰 사물 인터넷 에코시스템에 통합시키는 것은 TV를 더 강력한 부품으로 만들고, 엔터테인먼트, 보안, 일상업무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나리오를 열 수 있다. TV의 사물 인터넷 기능은 어떤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홈 환경(home environment)과 같은 스마트 환경에서 디바이스들의 더 큰 클라우드(cloud)를 지원하고 향상시키는 특정한 능력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TV 디바이스 (110)의 예시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텔레비전은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 (1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위한 회로 또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 (120)는 시스템 수준의 파라미터(parameters)를 제어하고, TV의 상태를 추적하며,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며,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고, 설정들을 저장하며, 하위 작업을 실행 등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 (120)는 모니터링부 (121), 메시지 송수신부 (122), 2차적 모니터링부 (125), TV 온리 루틴부(TV only routines components) (123) 및 활성화부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 별도의 허브(hub), TV에 통합된 사물 인터넷 허브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는 다른 디바이스들 (140),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들(smart devices), 컴퓨팅 디바이스들(computing devices), 물리적 장치(예를 들어, 차량, 빌딩 등) 및 전자 기술, 센서 및 네트워크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그룹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 (120)와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지상 마이크로파, 무선 통신망, IEEE 802.16, 와이맥스(WIMAX)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 유형은 TV 디바이스 (110)의 특징들의 모니터링을 위한 직접적인 모니터링 유형 (121) 및 간접적인 모니터링 유형 (12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적인 모니터링 유형은 볼륨 상태(예를 들어, 볼륨 레벨 또는 음소거 선택) 및 채널 상태(선택된 현재 채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직접적인 모니터링 유형은 다른 TV 디바이스 (110)의 특징들(예를 들어, 기능 표시: 프로그램 안내, 녹화 목록 등)과 같이, 다른 유형의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접적인 유형은 2차적 모니터링부 (125)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카메라 유형 또는 마이크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간접적인 유형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 이메일, 채팅, 소셜 기반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다른 간접적인 TV 디바이스 (110)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디바이스 (110)는 TV 디바이스 (110) 앞쪽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된 움직임은 간접적인 유형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송수신부 (122)는 어떤 모니터링 유형이 상태 또는 상태의 변경을 모니터링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링부 (121)와 통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 (121)는 모니터링된 유형에 대한 상태 변경을 알리기 위해 메시지 송수신부 (122)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부 (124)는 채널 변경, 화면 모드 설정, TV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종료 등과 같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레벨의 기능들을 작동시키거나 변경시킴으로써 TV 디바이스 (110)에 대한 변경의 작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부 (124)는 성공/실패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TV 디바이스 (110)의 특징의 상태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된 유형 및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메시지 송수신부 (122)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라미터는 숫자, 소스,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는 어떤 TV 상태들이 모니터링되고 모니터링이 중단되는지, 어떤 TV 동작이 수행되는지, 실행 가능한 TV 온리 루틴(예를 들어, 다른 사물 인터넷 연결 디바이스들이 없을 때)은 있는지 등을 전송함으로써 메시지 송수신부 (122)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는 모니터링된 TV 상태의 상태 변경 및 동작들의 성능에 관한 성공 또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메시지 송수신부 (122)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TV의 기능만을 감지 및 작동시키는 루틴에 대한 지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TV만을 이용하는 루틴을 저장하는 프로세스가 사물 인터넷 프로세스(12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속성 테이블은 자신의 상태를 감지하고 특정한 속성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는 TV 디바이스 (110) 자신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상태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속성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속성 ID, 유형, 세부사항, 파라미터, 설명 및 관련된 루틴 또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TV 속성 테이블의 예시이다. 속성 테이블은 디폴트(default) 또는 일반적인 상태 카테고리와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는 임의의 사물 인터넷 루틴에 대한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도 임의의 사물 인터넷 루틴에 대한 트리거로 이용될 수 있다. 추가 카테고리들은 사용자 특정 상태들 또는 컨텐츠 특정 상태들에 중점을 둘 수 있다. 상태들은 관련된 루틴(예를 들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프로세스 또는 기능)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틴은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전화 통화를 하는 것,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등) 현재 컨텐츠가 중지되는, 사용자 참여를 위한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00)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비참여로 상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루틴을 실행할 수 있다.
ID 유형 세부사항 파라미터 설명 관련된 루틴/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디폴트
TA01 채널 ~로 변경된 채널 숫자 RC의 채널에 매핑된 기능; 참고: TV는 셋톱 박스에서 채널을 변경할 수 없음
TA02 볼륨 ~로 변경된 볼륨 숫자
(0=음소거)
RC의 볼륨 및 음소거에 매핑된 기능 볼륨을 TV에 연결된 임의의 스피커에 매핑
TA03 입력 소스 ~로 변경된 입력 소스 소스
(예를 들어, HDMI 1, HDMI 2 등)
RC의 소스 변경과 매핑된 기능
TA04 재생 ~로 변경된 재생 유형 재생;
일시정지; 정지;
RC의 재생 제어와 매핑된 기능 재생 상태에 기초하여 전등을 어둡게 하거나 밝게 함
TA05 전원 ~로 변경된 TV의 전원 상태 웨이크/슬립 RC의 전원에 매핑된 기능
사용자 특정
TB01 TV 움직임 센서 TV 앞의 움직임 예/아니오 움직임이 TV 앞에서 감지됨
TB02 사용자 참여 TV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참여 참여/
비참여/
재참여
사용자가 TV 컨텐츠에 집중을 시작/중지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으면 볼륨을 낮춤
TB03 사용자 오디오 레벨 TV 앞의 오디오 레벨 숫자 방 주위의 오디오가 임계값을 초과함.
예를 들어, 한 그룹의 사람들이 이야기를 시작하면, 컨텐츠를 일시정지. 대화를 인식할 필요 없이 주변 노이즈 레벨을 감지
보안 기능, 아기 돌보기
일 실시예에서, TV 디바이스 (110)는 시나리오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결정하기 위해 동작에 대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들은 TV 디바이스 (110)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로서 수행하는 특정한 시나리오에 관련될 수 있다. 표 2(디폴트) 및 3(어드밴스드(advanced))는 동작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테이블은 동작 ID, 유형, 세부사항, 파라미터, 설명 및 관련된 루틴 또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는 사물 인터넷 에코시스템의 일부로서 다양한 설정 가능한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루틴들은 작동될 수 있다. 루틴들은 보안 루틴(예를 들어, 가상 현전(presence), 보안 카메라 디스플레이/제어), 시각 또는 존재 루틴(예를 들어, 아침, 저녁, 집에 돌아옴 등) 및 엔터테인먼트(예를 들어, 미디어 시청 모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D 유형 세부사항 파라미터 설명 관련된 루틴/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디폴트
AA01 채널 채널을 ~로 설정 숫자 RC의 채널과 매핑된 기능 가상 현전
AA02 볼륨 볼륨을 ~로 설정 숫자
(0=음소거)
RC의 볼륨 및 음소거와 매핑된 기능
AA03 입력 소스 입력 소스 설정 소스
(예를 들어, HDMI1, HDMI2 등)
RC의 소스 변경에 매핑된 기능 가상 현전,
굿 나잇
AA04 재생 재생을 ~로 설정 재생/
일시정지/정지
RC의 재생 제어에 매핑된 기능 영화 시청 중에 전화 수신
AA05 전원 TV의 전원 상태를 ~로 설정 웨이크/슬립 RC의 전원에 매핑된 기능 가상 현전, 굿 모닝,
굿 나잇,
따뜻한 환영, 기어핏
AA06 모드 변경 화면 모드를 설정 역동적/
표준/
자연스러운/시네마
예를 들어, 현재 컨텐츠에 기초하여 화면 모드를 시네마로 변경 시네마 모드
AA07 모드 변경 오디오 모드를 설정 표준/음악/시네마/
잡음 제거/증폭
최고의 경험을 위해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오디오 모드를 변경
AA08 어플리케이션 실행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예를 들어,
넷플릭스(Netflix)/
Hulu/HBO/판도라(Pandora)
TV 시스템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
ID 유형 세부사항 파라미터 설명 관련된 루틴/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어드밴스드
AB01 음성 녹음 마이크로부터 음성 클립을 녹음 TV(또는 RC)의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클립을 녹음 보안 시스템
AB02 비디오 클립 녹화 카메라로부터 비디오 클립을 녹화 TV 카메라로부터 비디오 클립을 녹화
AB03 비디오 스트림 부가 영상 으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 비디오 스트림 부가 영상을 재생.
움직임에 의해 트리거되는 가능한 보안 카메라 피드 또는 아기가 울 때 아기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 부가 영상.
거기 누구십니까?,
열어!,
아기 돌보기
AB04 오디오 재생 클립으로부터 오디오 재생 스피커로부터 오디오 클립을 재생 굿 모닝
AB05 선택에 대한 알림 선택에 대한 알림창을 열음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자 알림을 표시: 예 OR 아니오, 확인 OR 취소.
사용자에게 UI 옵션 응답 요소들에 대한 질문.
다른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TV 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유도.
응답 섹션은 선택적일 수 있음.
알림은 X초 동안의 선택적 시간 제한이 있음.
거기 누구십니까?,
열어!,
아기 돌보기, 긴급 경보, 건강 상태 요약, 로컬 경보, 굿 나잇, 시네마 모드
AB06 시청 규제(parental control) 시청 규제 설정 온/오프
AB07 시청 규제 패런털 락 (parental lock) 설정 온/오프
AB08 밝기 변경 ~로 밝기 레벨을 변경 퍼센트 TV의 스크린 밝기 레벨이 변경된다 굿 모닝
도 2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presence)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200)을 나타낸다. TV 디바이스 (110)는 집이 비어있다는 사실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람이 존재하는 것처럼 가장하도록(예를 들어, 보안상의 이유 등)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홈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시간에 집에 없는 경우(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음,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이 없음, 마이크에 의해 감지되는 소리가 없음, 설정 세트 등에 기초하여), TV 디바이스 (110)는 전원이 켜지고 기 설정된 채널로 변경될 수 있다. 볼륨은 기 설정된 평균 시청 볼륨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때때로, TV 디바이스 (110)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자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루틴은 몇 시간 동안 실행된 후에 정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흐름도 (2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날짜 및 시간을 보여준다. 트리거는 특정한 시간 및 날짜 기준의 결정일 수 있고, 표 1에서 나타낸 예시와 같이, 속성 테이블로부터 속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루틴은 특정한 날짜(예를 들어, 5월 5-10일) 및 시간(예를 들어, 오후 8-10시)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날짜 및 시간 기준이 충족되면, 날짜 및 시간 기준에 기초하여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sleep) 상태에서 웨이크(wake) 상태로 변경, 특정한 레벨 X로 볼륨을 설정)은 결정된다(예를 들어, 표 2 및 3과 같이,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tuner)를 포함하는지(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가 별도의 원격 조정 장치를 가지는 위성 셋톱 박스(STB)를 이용하지 않는지 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루틴은 특정한 시간 간격 기준(예를 들어, 30분 후)이 충족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일단 특정한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되면,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채널을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루틴은 또 다른 특정한 날짜 및 시간 기준(예를 들어, 5월 5-10일, 오후 10시 1분)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날짜 및 시간 기준에 도달하면, 또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루틴은 다른 날짜 및 시간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결정을 계속하여 할 수 있다(전술한 것과 같이).
도 3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가상 현전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300)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으면, 초기 트리거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재 및 TV 디바이스 (110)가 동작하고 기 설정된 채널로 변경하는 시간일 수 있다. 볼륨은 특정한 평균 시청 볼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때때로, TV 디바이스 (110)는 사람이 집에서 채널을 변경하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자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은 다양한 시간들에서 일어날 수 있고, 설정된 시간 주기, 채널 변경 간의 임의의 시간 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루틴은 몇 시간 동안 실행된 후에 정지될 수 있다. 루틴의 상황에 관한 알림(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 푸쉬 알림, 이메일 등)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나타날 수 있다. 예시적인 흐름도 (3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날짜 및 시간을 보여준다. 트리거는 특정한 시간 및 날짜 기준 및 도 1에서 나타낸 예시와 같이, 속성 테이블로부터 속성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또는 다른 특정한 장소, 지역 등)을 떠나있는 것이 감지되었는지의 결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특정한 날짜(예를 들어, 5월 5-10일) 및 시간(예를 들어, 오후 8-10시) 기준 및 사용자가 집(또는 사무실과 같은, 다른 지역 네트워크 등)을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었는지가 모두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되지 않은 경우, 가상 현전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된 경우, 동작들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및 3과 같이,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날짜 및 시간 기준 및 사용자가 집을 떠난 것의 감지에 기초하여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상태로 변경, 볼륨을 특정 레벨 X로 설정 및 방안(recipe)/루틴이 시작되고 있다는 알림)이 수행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는지(또는 이용하는지) 여부는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지 않으면, 루틴은 또 다른 날짜 및 시간 기준(예를 들어, 5월 5-10일 오후 10시 1분) 및 사용자가 집을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의 기준이 여전히 충족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두 기준이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기준이 모두 만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일단 두 기준이 모두 만족하면, 다른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및 방안/루틴이 종료되었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이 수행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루틴은 특정한 시간 및 시간 간격 기준(예를 들어, 오후 6시와 오후 10시 사이에 매 30분마다)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및 시간 간격 기준에 도달되면, 또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채널을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루틴은 이후 다른 날짜 및 시간 간격 기준 및 사용자가 집을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의 기준이 충족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전술한 것과 같이).
도 4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을 위한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에코시스템의 예시적인 흐름도(4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초기 트리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선택된 시간대가 될 수 있다. 현전을 위한 트리거에 기초하여, TV 디바이스 (110)는 전원이 켜지고 기 설정된 채널로 변경될 수 있다. 볼륨은 평균 시청 볼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때때로, TV 디바이스 (110)는 사람이 집에 있고 채널을 변경하고 있는 것처럼 자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스피커는 사람이 소리를 켜고 끄는 것처럼 가장하기 위해 하루 동안 간헐적으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고, 전등은 특정한 시간에 켜질 수 있다. 루틴은 몇 시간 동안 실행된 후에 정지될 수 있다. 루틴의 상태에 관한 알림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푸쉬 알림, 이메일 등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예시적인 흐름도 (4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인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낸다. 트리거는 특정한 시간 및 날짜 기준 및 사용자가 집을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고, 표 1에서 나타낸 예시와 같이, 속성 테이블에서 속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루틴은 TV 디바이스 (110) 및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주방 전등 및 침실 전등)의 가상 현전 플로우 (410)를 위해 특정한 날짜(예를 들어 5월 5-10일) 및 시간(예를 들어, 오후 8-10시) 기준 및 사용자가 집(또는 사무실과 같은, 다른 지역 네트워크 등)에서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가 모두 충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디바이스 (110) 및 다른 디바이스들의 가상 현전 플로우 (410)를 위해, 두 기준(특정한 날짜 및 시간 및 사용자가 집에서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이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가상 현전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두 기준이 모두 충족되면, 동작들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표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상태로 변경, 볼륨을 특정 레벨 X로 설정, 주방 및 침실 전등을 켬,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이 켜지고 컨텐츠가 재생되며, 주방 및 침실 전등이 켜졌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이 수행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가 튜너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면, 루틴은 또 다른 날짜 및 시간 기준(예를 들어, 5월 5-10일 오후 10시 1분) 및 사용자가 집에서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의 기준이 충족되는지 계속해서 결정할 수 있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기준이 모두 만족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일단 두 기준이 모두 만족하면, 다른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및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이 꺼졌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이 수행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에 연결된 것으로 결정되면, 루틴은 특정한 시간 및 시간 간격 기준(예를 들어,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및 30분마다 등)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및 시간 간격 기준에 도달하면, 또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채널을 변경)이 수행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튜너를 포함하지 않거나 특정한 시간 및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된 후에 다른 동작들이 수행된 것으로 결정되면, 루틴은 계속해서 다른 날짜 및 시간 간격 기준 및 사용자가 집에서 떠나있는 것으로 감지되는지의 기준이 충족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면, 다른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주방 및 침실 전등을 끔, TV 디바이스 (110), 주방 전등 및 침실 전등이 꺼졌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루틴은 계속해서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a-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전을 위한 원격 활성화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5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가상 현전 루틴을 실행하기 위해 그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또는 사운드 시스템)는 전원이 켜지고 2 시간 동안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2시간 후, 스피커 장치는 재생을 멈추고 TV 디바이스 (110) 및 전등의 전원이 켜진다. TV 디바이스 (110)의 볼륨은 평균 시청 볼륨으로 설정된다. 루틴은 몇 시간 동안 실행된 후에 정지된다. 루틴의 상태에 대한 알림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푸쉬 알림, 이메일 등을 통해) 나타난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루틴을 정지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원격으로 가상 현전 루틴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명령 또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름도 (500)는 활성화를 위한 가상 현전 플로우 (510) 및 비활성화를 위한 플로우 (5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전 루틴 활성화 플로우 (51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활성화 신호 또는 명령을 수신함으로써(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 또는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에 의해) 시작된다. 활성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첫 번째 동작(예를 들어, 2시간 동안 음악이 재생된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이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및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두 번째 동작(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의 전원을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상태로 변경, 볼륨을 특정한 레벨 X로 설정, 음악을 스트림(stream))이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시간 간격 기준(예를 들어, 2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이 충족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되면, 루틴은 동작(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를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을 수행하고 또 다른 동작(음악이 더 이상 재생되지 않고, TV 디바이스 (110) 및 주방 및 침실의 전등의 전원이 켜진다는 알림;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 볼륨을 특정 레벨 X로 설정, 주방 및 침실 전등을 켬)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루틴은 또 다른 특정한 시간 간격 기준(예를 들어, 3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특정한 시간 간격이 충족되면, 루틴은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 주방 및 침실 전등의 전원이 꺼지고, 가상 현전 루틴이 종료되었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주방 및 침실 전등을 끔)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특정한 시간 간격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그 상태를 유지하고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확인을 계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현전 루틴 비활성화 플로우 (52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로서 비활성화 신호 또는 명령을 수신함으로써(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 또는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에 의해) 시작된다. 비활성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첫 번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및/또는 스피커 장치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 주방 및 침실 전등의 전원을 끔)이 결정되고 수행되고, 두 번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 및/또는 스피커 장치, 주방 전등 및 침실 전등의 전원이 꺼졌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이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에 기초하여 보안 카메라 피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6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카메라 피드는 부가 영상(PnP) 디스플레이로서 TV 디바이스 (110) 스크린 상에 보여질 수 있고, 일반적이지 않은 움직임(예를 들어, 특정한 위치, 예를 들어 현관 등에 위치한 카메라 또는 광학 움직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또는 움직임(카메라 또는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비디오 피드를 원격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루틴은 동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어떠한 동작들도 수행하지 않고 루프를 되돌아가거나 동작이 감지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동작이 감지되면, 이후 첫 번째 동작(예를 들어, 알림을 디스플레이 및 TV 디바이스 (110) 상에 부가 영상으로서 카메라(예를 들어, 현관에 위치한)로부터 영상을 스트림)이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또는 3과 같이,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두 번째 동작(예를 들어, 알림을 디스플레이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카메라(예를 들어, 현관에 위치한)로부터 영상을 스트림)이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7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원격 접속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7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위치(예를 들어, 현관)에 있는 보안 카메라는 스마트 락(smart rock)과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 또는 모바일 폰 상에서 알림은 움직임 감지에 의해 트리거된 문제에 대해 보여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락 장치를 이용하여(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 락에게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전송) 원격으로 문을 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흐름도 (700)는 특정한 위치(예를 들어, 현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움직임이 특정한 위치에서 감지되면, 이후 첫 번째 동작(예를 들어, 스마트 락이 잠금 해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묻는 알림을 디스플레이 및/또는 TV 디바이스 (110) 상의 부가 영상으로서 카메라(예를 들어, 현관에 있는)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이 결정(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되고 수행될 수 있고, 두 번째 동작(예를 들어, 현관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지 질문)도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락(예를 들어, 현관의 도어 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에 의해)되면, 동작은 스마트 락을 잠금 해제(예를 들어, 20 초와 같은, 특정한 시간 동안)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락을 열지 말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문은 계속 잠겨있게 된다. 스마트 락을 열어야 하는지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TV 디바이스 (110) 상에 미결인 알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동작은 비디오를 스트림하기 위해 수행되고 문을 잠금 해제할지에 대한 질문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지 말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알림은 종료된다.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지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미결인 알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스마트 락이 원격으로 잠금 해제되어야 할 지가 결정될 수 있다. 스마트 락(예를 들어, 현관의 도어 락)을 잠금 해제하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동작은 스마트 락을 잠금 해제(예를 들어, 20초와 같은, 특정한 시간 동안)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락을 열지 말라는 신호 또는 명령이 수신되면, 문은 잠긴 채로 있게 된다. 스마트 락을 열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응답이 없는 경우, 미결인 알림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문은 잠긴 채로 있게 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8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TV 디바이스 (110)(예를 들어, 침실에 위치한)는 잔잔한 자연의 소리(예를 들어, 자연의 소리 소스는 TV 디바이스 (110)에 저장된 파일일 수 있다.)를 재생하거나 특정한 채널로 맞춰지면서, 스케줄에 기초하여 서서히 방을 밝힘으로써 새벽의 조명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동안, TV 디바이스 (110)은 전원이 켜지고 교통, 뉴스 및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스케줄(예를 들어, 특정 요일 동안 특정한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흐름도 (800)는 특정 요일 동안의(예를 들어, 월요일-금요일) 특정한 시간(예를 들어, 오전 7시) 기준이 TV 디바이스 (110)에 의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기준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감지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기준이 감지되면, 이후 첫 번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 TV 디바이스 (110)의 스크린이 서서히 밝아지고, 자연 또는 다른 소리가 재생)이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또 다른 특정한 요일 동안의(예를 들어, 월요일-금요일) 특정한 시간(예를 들어, 오전 7시 15분) 기준과 같은, 또 다른 트리거가 선택되면, 두 번째 기준이 TV 디바이스 (110)에 의해 감지되었는지 결정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번째 기준이 감지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감지되면, 이후 두 번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가 웨이크 상태로 변경되고, 모닝 브리핑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날짜, 뉴스, 교통 등)이 실행되며 TV 디바이스 (110)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됨)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9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굿 모닝 루틴(TV 디바이스 (110)의 스위치를 켜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알람 시계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스누즈(snooze)를 선택한 것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모닝 알람 소리 또는 신호가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계속해서 기준이 발생하는지를 기다릴 수 있다. 기준이 감지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이 웨이크 상태로 변경되고, 모닝 브리핑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날씨, 뉴스, 교통 등)이 실행되며 TV 디바이스(110)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됨)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와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장치가 상호작용하는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000)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편안한 잠을 깨우는 음악이 집안의 모든 스피커 장치들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각각의 스피커 장치는 자연의 교향곡을 만들기 위해 하나의 오디오 트랙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닝 알람을 위한 특정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결정하는 첫 번째 기준을 포함할 수 있고, 두 번째 트리거는 또 다른 특정한 시간(예를 들어, 알람이 울린 후)을 결정하는 두 번째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첫 번째 기준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첫 번째 기준이 발생할 때까지 계속해서 기다릴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감지되면, 동작(예를 들어, 집 또는 다른 위치 곳곳에 있는 스피커 장치들이 각각 자연과 같은, 소리의 교향곡을 만들기 위해 별개의 트랙을 재생)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결정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번째 기준의 감지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예를 들어, 오전 7시 15분이 됨), 또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이 웨이크 상태로 변경되고, 모닝 브리핑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날씨, 뉴스, 교통 등)이 실행되며 TV 디바이스 (110)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됨)이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된 홈 모닝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1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알람이 울렸는지 결정하는 기준을 포함하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는 걷어지고, 커피 머신 또는 온수기의 전원이 켜지고 에어컨(AC)/히터가 적절한 온도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이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발생할 때까지 계속해서 기다릴 수 있다. 기준이 감지되면, 동작들(예를 들어, 커피 메이커는 전원이 켜지고 끓이기 시작, 에어컨은 적절한 온도(예를 들어, 20도)로 설정,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가 웨이크 상태로 변경되고 모닝 브리핑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날씨, 뉴스, 교통 등)이 실행되며, 전동 블라인드가 걷어지고, 침실에 있는 스피커 장치는 웨이크 상태로 변경되고 TV 디바이스 (110)의 교통 정보로부터 소리가 스트리밍됨)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동작 테이블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만을 이용하는 야간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200)를 보여준다. 침실의 TV 디바이스 (110)의 스피커는 잔잔한 음악을 재생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점점 소리를 낮출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잠에 들 준비가 되도록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특정한 시간 및 요일 기준 및 굿 나잇(good night) 루틴이 활성화되었는지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특정한 요일(예를 들어, 월요일-금요일) 및 특정한 시간(예를 들어, 오후 11시 30분) 기준이 모두 충족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두 기준이 모두 충족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의 전원을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 시간이 지남에 따라(예를 들어, 매 30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볼륨으로 TV 디바이스 (110) 스피커로부터 음악을 재생)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기준(예를 들어, 30분 후)이 도과하였는지 결정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기준이 도과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일단 기준이 충족되면, 또 다른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음악이 재생되는 것을 정지)이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야간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3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침실 TV 디바이스 (110)의 스피커 장치는 잔잔한 음악을 재생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걸쳐 점점 조용해질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잠에 들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집은 아직 내려지지 않은 모든 전동 블라인드를 내리고, 전등을 끄며, 스마트 락(예를 들어, 현관)을 잠그고, 닫혀야 할 문 또는 창문이 열려있는지(예를 들어, 자석 경보 타입 센서와 같은, 창문/문 센서를 이용하여)를 TV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알릴 수 있다. 사용자가 보안 경보 시스템을 구비한 경우, 경보는 “대기” 모드(예를 들어, 주변 센서들은 활성화되고, 움직임 센서는 비활성화됨)로 설정될 수 있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특정한 시간 및 요일 기준 및 굿 나잇 루틴이 활성화되었는지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특정한 요일(예를 들어, 월요일-금요일) 및 특정한 시간(예를 들어, 오후 11시 30분) 기준을 모두 충족하였는지 결정할 수 있다. 두 기준 모두를 충족하지 않으면,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하고, 시간에 걸쳐(예를 들어, 매 30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볼륨으로 TV 디바이스 (110) 스피커로부터 음악을 재생하며, TV 디바이스 (110) 상에 임의의 열려 있는 문 및 창문에 관해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고, 모든 전동 블라인드를 내리며, 현관 스마트 락을 잠그고, 모든 선택된 전등을 끔)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시간 기준(예를 들어, 30분 후)이 도과하였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기준이 도과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시간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일단 기준이 충족되면, 또 다른 동작이 결정(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웨이크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음악을 재생하는 것을 정지)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웰컴 홈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4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집에 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TV 디바이스(110)는 선호 채널 또는 컨텐츠 제공자를 킬 수 있다. 사용자가 집으로 돌아오면 스피커 장치는 사용자의 즐겨찾는 방송, 음악 서비스, 재생 목록, 앨범 또는 트랙을 재생할 수 있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사용자가 집(또는 임의의 다른 장소 또는 위치)에 온 것을 감지하는 결정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하고, 선호하는 제공자로부터의 컨텐츠 또는 특정 녹화 컨텐츠를 재생하며, 주방의 스피커를 켜고 음악을 스트림)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웰컴 홈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5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집에 돌아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를 통해 감지되고, TV 디바이스 (110)는 선호 채널 또는 컨텐츠 제공자를 킬 수 있다. 추가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레인지, 온도 조절 장치, 전등, 자동 벽난로 등과 같은, 많은 다른 디바이스를 수반하는 정교한 웰컴 홈 자동화는 구성될 수 있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사용자가 집(또는 임의의 다른 장소 또는 위치)에 온 것이 감지되었는지 결정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수행되지 않는다.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전원을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변경하고 선호하는 제공자로부터의 컨텐츠 또는 특정 녹화 컨텐츠를 재생하고, 주방 스피커를 켜서 음악을 스트림하며, 온도 조절 장치를 특정한 온도(예를 들어, 20도)로 설정하고, 복도 및 주방 전등을 켜고, 밥솥을 켬)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6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시네마 모드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6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영화 모드가 활성화되면, TV 디바이스 (110)의 화면 및 오디오 설정은 “시네마”로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음으로 설정되고, 알림은 연기될 수 있다. 비상 수준의 알림만이 전달될 수 있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첫 번째 기준 및 영화가 TV 디바이스(110)에서 재생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는 자동 컨텐츠 인식(ACR)/다채널 방송(EPG)에 대한 두 번째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루틴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화면 및 오디오 설정이 “시네마” 모드로 설정되고, 비상 알림을 제외한 알림들(예를 들어, TV, TV 어플리케이션 알림 등)이 연기되고,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무음으로 설정됨)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연기되었던 알림들이 전달될 수 있다. 비활성화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시네마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영화가 감지되었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고, 시네마 모드를 활성화할 것인지 요청)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루틴은 시네마 모드가 유저에 의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거절되면, 동작(예를 들어, 알림을 종료)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알림은 일정한 시한(예를 들어, 10초) 후에 종료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선택되면, 루틴은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트리거가 감지되었을 때의 상황에 관한 전술한 동작들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7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시네마 모드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7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면, TV 디바이스 (110)의 화면 및 오디오 설정은 “시네마”로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음으로 설정되고, 알림은 연기되며, 비상 수준의 알림들만이 전달될 수 있다. 방안의 스피커는 서라운드 오디오를 재생함으로써 영화 경험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시작되면, 전등은 어둡게 되고 전동 블라인드는 내려질 것이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첫 번째 기준 및 TV 디바이스 (11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것을 감지하는 ACR/EPG에 대한 두 번째 기준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화면 및 오디오 설정이 “시네마” 모드로 설정되고, 비상 알림들을 제외한 알림들(예를 들어, TV, TV 어플리케이션 알림 등)은 연기되며,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무음으로 설정되고, 스피커는 서라운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설정되며, 방안의 전등은 어두워지고 전동 블라인드는 내려진다)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영화가 감지되었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고 시네마 모드를 활성화할 것인지 요청)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루틴은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거절되면, 동작(알림이 종료된다)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알림은 시한(예를 들어, 10초) 후에 종료될 수 있다.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이 선택되면, 루틴은 시네마 모드가 활성화되는 트리거가 감지되었을 때의 상황에 관한 전술한 동작들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8a-b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18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 디바이스 (110) 상에서 수신 전화가 있다는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전화가 응답되면, 영화 컨텐츠는 일시 정지되고, 실시간 생방송은 무음(mute) 처리된다. 통화가 종료되면, 영화는 다시 시작하고, 생방송은 이전의 볼륨 레벨로 되돌아간다.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사용자가 영화 시청하는 동안의 전화통화 루틴을 활성화하는 첫 번째 기준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수신 전화가 감지되는 두 번째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첫 번째 기준 및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 중 어느 하나만이 충족되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기준 모두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첫 번째 기준 및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수신 전화에 대한 알림이 TV 디바이스 (110) 상에 디스플레이)은 검색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루틴은 수신 전화가 받아들여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전화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통화는 거부되고 알림은 종료될 수 있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리가 울리는 것이 멈췄을 때 알림이 종료된다. 전화가 받아들여지면, TV 디바이스 (110)가 방송을 재생, 비디오를 스트리밍, 녹화된 컨텐츠를 재생, DVD를 재생하는지 등이 결정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 (110)가 라이브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TV 디바이스 (110)는 전화가 종료될 때까지 무음 처리될 수 있다. 통화가 종료되면, 이후 TV 디바이스 (110)는 무음 처리를 해제하고 볼륨은 이전의 설정으로 되돌아간다. TV 디바이스 (110)가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거나 DVD를 재생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컨텐츠는 전화가 종료될 때까지 일시 정지되고, 이후 컨텐츠의 재생이 재개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만을 이용하는 건강 상태 요약 루틴에 대한 흐름도 (1910) 및 연결된 디바이스와 함께인 TV 디바이스를 위한 대한 흐름도 (192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19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은 피트니스 웨어러블 디바이스(fitness wearable device)를 증진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 데이터는 동작들을 트리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흐름도 (1910)는 TV 디바이스 (110)만을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 또는 루틴의 활성화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흐름도 (1920)는 TV 디바이스 (110) 및 모바일/웨어러블 디바이스(mobile/wearable device)를 이용하고, 어느 위치(예를 들어, 집)에 도착 시에 TV 디바이스 (110) 상에 건강 정보를 표시하도록 TV 디바이스(110)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910)에서, 루틴은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를 웨이크로 변경하고 TV 디바이스 (110) 상에 건강 정보를 디스플레이)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920)에서, 루틴은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되었는지 및 사용자가 집(또는 TV 디바이스 (110)가 위치한 임의의 다른 장소 및 위치)에서 감지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집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감지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건강 상태 요약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집에 온 것이 감지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를 웨이크로 변경하고 TV 디바이스 (110) 상에 건강 정보를 디스플레이)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긴급 경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2000)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연기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홍수 센서, 유리 파손 감지기 등은 불, 이산화탄소 감지, 홍수, 유리 파손 등과 같은 사고가 있으면 집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 모바일 및 스피커는 부가적인 알림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는 연기 감지 또는 습기 감지(moisture detection)(예를 들어, 홍수 센서로부터)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연기가 감지되었거나 습기가 감지되었는지에 대한 기준이 충족되었는지(또는 배치되었던 임의의 다른 센서들)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웨이크로 변경(웨이크 상태가 아니었다면)하고 TV 디바이스 (110) 상에 긴급 경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긴급 경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 장치(또는 모든 스피커 장치들)의 상태를 변경하며 알람 소리 또는 메시지를 재생)들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건강 경보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21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측정 센서, 움직임 센서, 수면 센서 등은 임의의 위치(또는 특정한 방 또는 방들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노인의 건강 및 활동을 모니터하고 그들의 가족 또는 간호인에게 적절하게(원격으로 또는 동일한 위치에서) 알리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장치는 추가적인 알림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는 비정상적인 건강 및 일상 활동의 감지(예를 들어, 건강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발생한 적 없던 정상적인 활동 또는 취미 등으로부터)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기준이 충족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기준이 충족되면,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웨이크 상태로 변경하고(웨이크 상태가 아니었다면) TV 디바이스 (110)에 경보(예를 들어, 현관이 1 시간 동안 열려 있음 등)를 디스플레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련 경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 장치(또는 모든 스피커 장치들)의 상태를 변경하고 알람 소리 또는 메시지를 재생)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및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아기(또는 병약자 등) 돌보기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22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의 마이크는 자고 있는 아기,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 병약자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의 마이크는 또한 비정상적인 소리 또는 놀이/정상 활동을 하는 동안의 정적을 감지하고 부모 또는 간병인이 모니터링되고 있는 사람을 적절하게 확인하도록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아기 돌보기 루틴이 활성화되었는지에 대한 기준 및 비정상적인 소리 또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에 대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기준 중 어느 하나가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기준 모두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기준 모두 충족되면, 동작들(예를 들어,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웨이크로 변경하고(웨이크 상태가 아니었다면)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는(카메라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면)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며,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련된 알람을 디스플레이하고 스트리밍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요청)은 결정되고(예를 들어, 표 2 또는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이 요청되면,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은 수행될 수 있다.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이 거절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알림은 종료될 수 있다.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에 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결인 알림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디바이스 (110), 모바일 디바이스 및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인터컴(intercom) 루틴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도 (2300)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컴 시스템은 TV 디바이스 (110) 리모컨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모든 또는 선택된 스피커 세트에 의해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을 위한 트리거는 첫 번째 사용자가 TV 디바이스 (110) 리모컨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인터컴 시스템을 활성화하는지에 대한 첫 번째 기준 또는 두 번째 사용자가 스피커 장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인터컴 시스템을 활성화하는지에 대한 두 번째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첫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첫 번째 사용자는 TV 디바이스 (110)의 마이크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향해 말하고 동작들(예를 들어, 주방과 같은 특정한 위치(두 번째 사용자가 위치한)에 있는 스피커에서 소리를 출력하고, 세 번째 사용자가 위치한 침실(또는 다른 위치)에 있는 스피커에서 소리를 출력)은 결정되며(예를 들어, 표 2 및 3과 같은 동작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틴은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루틴은 되돌아가거나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두 번째 기준이 충족되면, 두 번째 사용자는 스피커의 마이크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향해 말하고 동작(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110)에 서 소리를 출력(첫 번째 사용자 위치))은 결정되고 수행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TV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TV 디바이스 (110))에 대한 프로세스 (2400)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2410 단계에서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 (130))는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예를 들어, 슬립, 웨이크, 소스 입력 등)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단계 2420에서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속성 테이블(예를 들어, 표 1)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고,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루틴들(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적인 루틴들)을 위한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다. 단계 2430에서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예를 들어, 표 2 또는 3)을 이용하여 결정되고,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루틴은 감지된 TV 디바이스 (110)의 상태 속성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2400)는 기 설정된 루틴은 동작 테이블로부터 일련의 동작들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2400)는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과정은 수행 가능한 동작들을 디스플레이하고(예를 들어, TV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동작 선택들을 수신하며(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동작 선택들을 결합하여(연쇄 동작 선택들로부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루틴은 추천된 방안들의 목록을 둘러보고 선택 후에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또는 설정 절차를 통해 사용자를 안내하는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추가될 수 있다. 루틴은 또한 스마트 폰(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TV 디바이스 (110)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이콘 또는 다른 심볼은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 다양한 사용자들 및 선택된 날짜 및 시간(반복되거나 그렇지 않거나)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스케줄들을 표현할 수 있다. 아이콘 또는 심볼은 선택되고 함께 놓여질 수 있고(예를 들어, 드래그되고 놓아지거나, 클릭되거나, 음성 명령을 통해 선택되거나 리모컨 등), 아이콘 또는 심볼의 결합으로 인해 루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루틴은 요일, 시각 또는 요일 및 시각에 기초하여 제한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은 가상 현전 및 건물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2400)는 기 설정된 루틴이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TV 디바이스 및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특징들의 자동 조정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루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TV의 동작 및 특징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500)을 나타내는 하이레벨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2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2501) (예를 들어, ASIC, CPU 등)를 포함하고,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2502) (그래픽, 텍스트 및 다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주 메모리 (2503) (예를 들어, RAM, 캐쉬 장치 등), 기억 장치 (2504)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리무버블(removable) 기억 장치 (2505) (예를 들어, 리무버블 저장 드라이브, 리무버블 메모리,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그 안에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506)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스크린, 키패드, 리모컨) 및 통신 인터페이스 (2507) (예를 들어, 모뎀, 무선 트랜시버(wireless transceiver)(예를 들어, Wi-Fi, 지상 마이크로파, 이동 통신, IEEE 802.16, WIMAX 등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더넷 카드와 같은), 통신 포트, 또는 PCMCIA 슬롯 및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2507)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인터넷,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서버, 네트워크 등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 및 외부 디바이스들 간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 (2500)은 전술한 디바이스/인터페이스 (2501)부터 (2507)까지가 연결되는 통신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2508)(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버스(communications bus), 크로스 바(cross bar) 또는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2507)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신호를 수반하는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 (2507)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전자, 전자기, 광 또는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의 형태일 수 있고, 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이동 통신망, 라디오 주파수(RF) 링크 및/또는 다른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중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2500)은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처 장치 및 마이크와 같은 음성 캡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2500)는 MMS 인터페이스, SMS 인터페이스, 이메일 인터페이스, 소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 오디오/비디오(AV) 플레이어,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움직임 감지기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전술한 예시적인 구성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소프트웨어 패키지, 마이크로 코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아날로그/논리 회로, ASIC, 펌웨어, 가전제품, AV 장치, 무선/유선 송신기, 무선/유선 수신기,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만의 실시예,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둘 다 포함하는 실시예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각각의 도해/도면 또는 그 결합에서 각각의 블록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을 생성하고,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명시된 기능/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흐름도/블록도에서 각각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블록도에 기재된 기능들은 도면에 기재된 순서와 다른 순서, 동시 등에 일어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컴퓨터 이용 가능 매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라는 용어들은 주 메모리, 보조 메모리, 리무버블 저장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매체를 일반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부터 데이터, 명령어, 메시지 또는 메시지 패킷 및 다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이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쉬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적인 매체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예를 들어, 데이터 및 컴퓨터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 간에 전송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명시된 기능/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실행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처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다시 말해, 컴퓨터 제어 로직)은 주 메모리 및/또는 보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및/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활성화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특징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컨트롤러를 나타낸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유형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그것의 특정한 버전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버전들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본질 및 범위는 본 개시에 포함되는 바람직한 버전에 대한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에 연결하는 단계;
    속성 테이블(attribute table)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는 하나 이상의 루틴들에 대한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하는 단계;
    동작 테이블(actions table)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루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루틴들은 상기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상기 동작 테이블로부터 일련의 동작들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루틴 생성 단계는:
    상기 TV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TV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동작 선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연쇄 동작 선택들의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기 위해 동작 선택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요일, 시각 또는 요일 및 시각에 의해 제한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가상 현전(presence) 및 건물 보안 기능의 작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 및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특징들의 자동 조정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의 작동 및 특징들을 제어하는 방법.
  8. TV 디바이스의 상태 속성들 및 동작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TV 디바이스의 상태 속성들 및 동작들에 기초하여 루틴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에 참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태는 상기 루틴들에 대한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동작들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루틴을 결정하고,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활성화하고,
    상기 루틴들은 상기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일련의 연결된 동작들을 포함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동작 선택들 및 동작 선택들의 결합의 수신에 의해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제한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가상 현전 또는 보안 기능의 작동을 포함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재생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 및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특징들의 자동 조정을 제공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의 작동 및 특징들을 제어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
  15.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텔레비전(TV)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태를 조정하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제어 서비스에 연결하는 단계;
    속성 테이블(attribute table)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TV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는 하나 이상의 루틴들에 대한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하는 단계;
    동작 테이블(actions table)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루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TV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속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루틴들은 상기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상기 동작 테이블로부터 일련의 동작들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루틴 생성 단계는:
    상기 TV 디바이스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TV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동작 선택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연쇄 동작 선택들의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을 생성하기 위해 동작 선택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스케줄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가상 현전 또는 건물 보안 기능의 작동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TV 및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특징들의 자동 조정을 제공하는 기록 매체.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루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TV 디바이스의 작동 및 특징들을 제어하는 기록 매체.
KR1020160079277A 2015-08-11 2016-06-24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 KR102245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3847P 2015-08-11 2015-08-11
US62/203,847 2015-08-11
US15/087,813 2016-03-31
US15/087,813 US10027920B2 (en) 2015-08-11 2016-03-31 Television (TV) as an internet of things (IoT) Particip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316A KR20170019316A (ko) 2017-02-21
KR102245266B1 true KR102245266B1 (ko) 2021-04-27

Family

ID=5799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277A KR102245266B1 (ko) 2015-08-11 2016-06-24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27920B2 (ko)
KR (1) KR102245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0177B2 (en) 2013-12-11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US9769522B2 (en) 2013-12-16 2017-09-1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US9824578B2 (en) 2014-09-03 2017-11-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control using context sensitive menus
US9989507B2 (en) 2014-09-25 2018-06-05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9511259B2 (en) 2014-10-30 2016-12-06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83011B2 (en) 2014-10-30 2018-05-29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US9967614B2 (en) 2014-12-29 2018-05-0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4847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US994685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11720571B2 (en) 2015-08-17 2023-08-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escription scheme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US10742739B2 (en) 2015-08-18 2020-08-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latform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US9960980B2 (en) * 2015-08-21 2018-05-0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US9996066B2 (en) 2015-11-25 2018-06-1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US10101717B2 (en) 2015-12-15 2018-10-16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10091017B2 (en) 2015-12-30 2018-10-0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10060644B2 (en) 2015-12-31 2018-08-2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10073428B2 (en) 2015-12-31 2018-09-1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9882736B2 (en) 2016-06-09 2018-01-3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294600B2 (en) 2016-08-05 2019-05-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US10049515B2 (en) 2016-08-24 2018-08-1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CN106422374B (zh) * 2016-11-22 2018-03-13 深圳市环球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数字影院的动态视觉效果增强系统及控制方法
US11303964B2 (en) * 2017-02-13 2022-04-12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event quick access queue
CN106878787B (zh) * 2017-03-08 2020-02-1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视影院模式实现方法及装置
US11502869B2 (en) 2017-05-09 2022-11-15 Vivint, Inc. Smart doorbell
US20180331845A1 (en) * 2017-05-09 2018-11-15 Vivint, Inc. Adjusting devices upon detecting occupant is asleep
KR20180137913A (ko) * 2017-06-20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68882B2 (en) * 2017-11-01 2021-11-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ehavior inducement system, behavior induc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493484A1 (en) * 2017-12-04 2019-06-05 Thomson Licens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in an iot environment
WO2019190486A1 (en) * 2018-03-27 2019-10-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network-connected devices to provide device functions for an event
US11237796B2 (en) * 2018-05-07 2022-02-01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11694287B2 (en) * 2018-05-18 2023-07-04 Edst, Llc Intelligent property management system
KR20190141576A (ko) * 2018-06-14 2019-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규칙 기반의 블록 체인을 이용하는 군집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930284B2 (en) 2019-04-11 2021-02-23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20220321961A1 (en) * 2019-09-19 2022-10-06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mounted display device
KR102295085B1 (ko) * 2020-07-01 2021-08-27 주식회사 와이티티코퍼레이션 다기능 구현이 가능한 모듈식 tv 보드
US11954774B2 (en) 2021-08-29 2024-04-09 Snap Inc. Building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with IoT devices
US11941231B2 (en) * 2021-08-29 2024-03-26 Snap Inc. Camera interfaces to interact with IoT devices
US20230244437A1 (en) * 2022-01-28 2023-08-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adjust loudness of connected and media source devices based on contex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246A1 (en) * 2010-09-17 2012-03-22 Eldon Technolog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television located in a premises to simulate occupation of the premises
US20140047487A1 (en) * 2012-08-10 2014-02-13 Qualcomm Incorporated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1099B2 (en) 2011-12-28 2014-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ustering device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KR101392868B1 (ko) 2012-07-11 2014-05-09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US9680726B2 (en) 2013-02-25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and extensible universal schema for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EP3005659B1 (en) 2013-05-28 2019-07-10 Convida Wireless, LLC Load balancing in the internet of things
US9989942B2 (en) 2013-12-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Preemptively triggering a device a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based on a motion-based prediction of a user initiating the device action
US9448631B2 (en) 2013-12-31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haptics and pressure sensing
US20150199610A1 (en) 2014-01-10 2015-07-1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indoor location using pattern matching of proximal peer-to-peer devices
US9635124B2 (en) 2014-01-15 2017-04-25 Qualcomm Connected Experiences, Inc. Conveying state changes using connectionless messaging and a store-and-forward cache
CN106416130B (zh) 2014-02-14 2019-09-27 英特托拉斯技术公司 网络安全系统和方法
US9647888B2 (en) 2014-05-30 2017-05-09 Belkin International Inc. Network addressable appliance interfac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246A1 (en) * 2010-09-17 2012-03-22 Eldon Technolog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television located in a premises to simulate occupation of the premises
US20140047487A1 (en) * 2012-08-10 2014-02-13 Qualcomm Incorporated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316A (ko) 2017-02-21
US10027920B2 (en) 2018-07-17
US20170048476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66B1 (ko) 사물 인터넷 참여자로서의 텔레비전
US11395030B2 (en) Premises automation control
US9798309B2 (en)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 profiling using audio sensor data
US111506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television management of smart homes
CN108141637B (zh) 用于在智能媒体显示环境中控制媒体显示的方法和系统
US9838736B2 (en) Home automation bubble architecture
US9632746B2 (en) Automatic muting
US20170054615A1 (e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US10091017B2 (e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9495860B2 (en) False alarm identification
US8719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ynamic event data in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ystem
US20160203700A1 (en) Methods and systems to make changes in home automation based on user states
US20170064412A1 (en) Device-based ev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surfacing
US20160191912A1 (en) Home occupancy simulation mod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US201701916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201701916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100280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media output based on user proximity
EP3884625B1 (en) Selecting a destination for a sensor signal in dependence on an active light setting
Homes SMAR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