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632B1 -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 Google Patents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632B1
KR102244632B1 KR1020200011482A KR20200011482A KR102244632B1 KR 102244632 B1 KR102244632 B1 KR 102244632B1 KR 1020200011482 A KR1020200011482 A KR 1020200011482A KR 20200011482 A KR20200011482 A KR 20200011482A KR 102244632 B1 KR102244632 B1 KR 10224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duction
iron
working coil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이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규 filed Critical 이인규
Priority to KR102020001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9/00Accessories for hand irons
    • D06F79/02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 D06F79/023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with means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iron
    • D06F79/026Stands or supports neither attached to, nor forming part of, the iron or ironing board with means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iron for cordless ir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에 형성된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다리미구조로서, 상기 가구의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이 마련된 인덕션유닛과, 상기 인턱션유닛의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다리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미부재는 손잡이프레임틀과, 상기 손잡이프레임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피가열패널로 이루어져, 꼬임 현상 및 화재발생위험이 있는 전원케이블에 의한 전력공급구조나, 충전크래틀 탈착방식에 의한 전력공급방식이 아닌 무선방식으로 다리미본체로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 Cabinet drawer induction iron structure }
본 발명은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꼬임 현상 및 화재발생위험이 있는 전원케이블에 의한 전력공급구조나, 충전크래틀 탈착방식에 의한 전력공급방식이 아닌 무선방식으로 다리미본체로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장롱형 인덕션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표면이 편평한 금속재의 다림판으로 가온가압하여 다리기 위한 다리미에는 다리미몸체상에 숯불과 같은 열원을 넣어 다림판을 가열사용하는 수동식 다리미와, 다림판에 전기히터를 내장하여 이 전기히터의 작동으로 다림판을 가열시켜 사용하도록 된 전기다리미 등이 있다.
이중 전기다리미는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이 있어서 다림질할 때 전선이 뒤틀려 꼬이거나 빨래 등과 같이 엉켜 취급하기 아주 불편하였고, 전원선이 뜨거운 발열부에 자주 접촉되어 절연 피복이 녹아 금속선이 노출되면서 감전 또는 합선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늘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축열식 무선 다리미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전원공급장치와 다리미 몸체를 착탈하는 방식으로써, 충분한 축열을 위해서는 다리미 몸체가 커지거나 무거워질 수밖에 없었고, 다림질시에는 몸체에 전원공급이 중단됨으로써 축열된 열이 소진하게 되어 연속적인 다림질이 불가능하였으며, 다림질 처음과 나중의 열판의 온도편차가 심해 옷감을 태우거나 잘 다려지지 않은 등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았다.
근래에는 전기다리미를 대체하도록 다림질시 다리미몸체가 적합한 진동운동을 수행하여 다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안된 진동식 전기다리미가 국내등 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566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5665호 등으로 제안된 전기다리미는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서, 종래의 일반 전기다리미와 같이 전원케이블에 꼬임현상이 발생되어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케이블이 전기히터에 접할 경우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03356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꼬임 현상 및 화재발생위험이 있는 전원케이블에 의한 전력공급구조나, 충전크래틀 탈착방식에 의한 전력공급방식이 아닌 무선방식으로 다리미본체로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장롱형 인덕션 다리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구에 형성된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다리미구조로서, 상기 가구의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이 마련된 인덕션유닛과, 상기 인턱션유닛의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다리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미부재는 손잡이프레임틀과, 상기 손잡이프레임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피가열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다리미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미부재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위킹코일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무게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다리미부재가 움직이지 않고 인덕션유닛의 상면에 배치시 상기 워킹코일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며, 상기 인덕션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워킹코일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미부재에는 다름질하는 과정에서 인덕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며 주름을 펼 수 있도록 된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은 상기 다리미부재에 설치된 삼각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 피가열패널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경사지게 체결경사면이 형성된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경사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체결경사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가압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인덕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가압하는 탄성마찰패널과, 상기 탄성마찰패널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상기 옷감과 마찰되도록 하는 탄성마찰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는 꼬임 현상 및 화재발생위험이 있는 전원케이블에 의한 전력공급구조나, 충전크래틀 탈착방식에 의한 전력공급방식이 아닌 무선방식으로 다리미본체로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케이싱본체와 미리미부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인덕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리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리미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케이싱본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케이싱본체와 미리미부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인덕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리미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리미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리미구조라 명명함)는 장롱과 같은 가구(100)에 형성된 결착홈(200)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다리미구조로서, 이에 이와같은 다리미구조는 케이싱본체(20)와 인덕션유닛(30)과 다리미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본체(20)는 상기 가구(100)의 결착홈(200)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된다.
상기 케이싱본체(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방열 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 플라스틱 이외에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이면 어느 재질의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케이싱본체(2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인덕션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인덕션유닛(30)은 상기 케이싱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31)과 상기 워킹코일(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2)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상기 제어부(32)와 상기 워킹코일(31)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을 상기 워킹코일(31)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케이싱본체(20)에 설치되는 구동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구동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워킹코일(31)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워킹코일(31)은 상기 제어부(3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정해진 유도가열 주파수(X ㎑)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피가열체인 상기 다리미부재(40)의 피가열패널(43)이 유도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다리미부재(40)는 상기 인턱션유닛의 워킹코일(3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된다.
상기 다리미부재(4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의 손잡이프레임틀(41)과, 상기 손잡이프레임틀(41)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베이스패널(42)과, 상기 베이스패널(42)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워킹코일(3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피가열패널(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가열패널(43)의 재질은 강자성체인 무쇠 또는 강철 대비2.5~3배로 열 방출 효율이 높은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패널(42)의 상면에는 양내측면에 걸림패널을 갖는 결착홈(20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틀(41)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패널에 걸림되게 상기 결착홈(200)에 끼움되는 결착패널이 형성된다. 다르게는 상기 손잡이프레임틀(41)과 상기 베이스패널(42)을 상호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하거나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가열패널(43)은 상기 베이스패널(42)에 나사체결 또는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본체(20)에는 상기 다리미부재(40)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1)가 부착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21)가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32)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32)가 상기 워킹코일(31)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다리미의 피가열패널(43)이 가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리미부재(40)의 피가열패널(43)에는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감지센서(44)가 부착되어,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32)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워킹코일(31)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본체(20)의 상면에는 상기 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게감지센서(22)가 부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상기 다리미부재(40)가 움직이지 않고 인덕션유닛(30)의 상면에 배치시 상기 제어부(32)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워킹코일(31)의 작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다림질할 옷감이 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인덕션유닛(30)의 내부에는 상기 워킹코일(31)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상기 다리미부재(40)의 피가열패널(43)을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본체(20)의 상면에는 송풍팬을 더 설치하여, 바람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싱본체(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옷감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펼 수 있어, 골곡진 주름이 펴진 상태에서 다람질하는 과정에서 열기를 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20)을 감싸면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틀을 더 끼움 후 나사체결 또는 접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틀에 옷감을 걸친 후 잡아당기면서 다림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틀에는 옷감과 마찰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걸림돌기들을 더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미부재(40)에는 다름질하는 과정에서 인덕션유닛(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며 주름을 펼 수 있도록 된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50)은 상기 다리미부재(40)에 설치된 삼각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 피가열패널(43) 양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의 고정패널(51)과, 상기 고정패널(51)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경사지게 체결경사면(521)이 형성된 고정돌부(52)와, 상기 고정돌부(52)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경사면(521)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53)과, 상기 체결경사면(521)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3)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의 가압패널(54)과, 상기 가압패널(54)의 하단부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게 고정되어,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인덕션유닛(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마찰패널(55)과, 상기 탄성마찰패널(55)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옷감과 마찰되도록 하는 탄성마찰돌기(56)로 이루어져, 다리미부재(40)는 옷감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이동시켜 다림질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3)과 상기 탄성마찰패널(55) 및 상기 탄성마찰돌기(56)의 탄성과 마찰에 의해 다리미부재(40)가 이동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옷감을 외측으로 밀어내어(가압하여) 주름을 사전에 펼수 있어, 다림질하는 과정에서 옷감의 주름에 다리미부재(40)가 걸림되거나 별도로 옷감을 펴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코일스프링(53)과 상기 탄성마찰패널(55) 및 상기 탄성마찰돌기(56)의 탄성과 마찰에 의해 옷감을 케이싱본체(20)에의 상면에 밀착시켜 옷감이 들뜨는 것을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다림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패널(54)의 상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탄성마찰패널(55)과 탄성마찰돌기(56)를 통해 옷감에 전달되어, 상기 탄성마찰패널(55)과 상기 탄성마찰돌기(56)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옷감의 구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인덕션 다리미구조
20 : 케이싱본체
21 : 위치감지센서
22 : 무게감지센서
30 : 인덕션유닛
31 : 워킹코일
32 : 제어부
40 : 다리미부재
41 : 손잡이프레임틀
42 : 베이스패널
43 : 피가열패널
44 : 온도감지센서
50 :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
51 : 고정패널
52 : 고정돌부
521 : 체결경사면
53 : 가압코일스프링
54 : 가압패널
55 : 탄성마찰패널
56 : 탄성마찰돌기
100 : 가구
200 : 결착홈

Claims (4)

  1. 가구에 형성된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다리미구조로서,
    상기 가구의 결착홈에 인출가능하게 끼움되는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코일이 마련된 인덕션유닛; 및
    상기 인덕션유닛의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다리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부재는 손잡이프레임틀과,
    상기 손잡이프레임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피가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미부재에는 다름질하는 과정에서 인덕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며 주름을 펼 수 있도록 된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주름가이드수단은,
    상기 다리미부재에 설치된 삼각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진 피가열패널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경사지게 체결경사면이 형성된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경사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체결경사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가압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인덕션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옷감을 가압하는 탄성마찰패널과,
    상기 탄성마찰패널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상기 옷감과 마찰되도록 하는 탄성마찰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다리미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부재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워킹코일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무게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다리미부재가 움직이지 않고 인덕션유닛의 상면에 배치시 상기 워킹코일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며,
    상기 인덕션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워킹코일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4. 삭제
KR1020200011482A 2020-01-31 2020-01-31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KR10224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82A KR102244632B1 (ko) 2020-01-31 2020-01-31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82A KR102244632B1 (ko) 2020-01-31 2020-01-31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632B1 true KR102244632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482A KR102244632B1 (ko) 2020-01-31 2020-01-31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6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613Y1 (ko) * 2001-02-27 2001-07-03 이광영 전기 다리미
KR100335665B1 (ko) 1993-07-29 2002-11-20 아베시아 리미티드 프탈로시아닌
KR100385084B1 (ko) * 2000-10-31 2003-05-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티 다리미 및 다리미판을 구비하는 유도가열 다리미 세트
KR200434595Y1 (ko) * 2006-09-27 2006-12-22 주식회사 송림 다림질 기구가 구비된 가구 서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665B1 (ko) 1993-07-29 2002-11-20 아베시아 리미티드 프탈로시아닌
KR100385084B1 (ko) * 2000-10-31 2003-05-22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티 다리미 및 다리미판을 구비하는 유도가열 다리미 세트
KR200231613Y1 (ko) * 2001-02-27 2001-07-03 이광영 전기 다리미
KR200434595Y1 (ko) * 2006-09-27 2006-12-22 주식회사 송림 다림질 기구가 구비된 가구 서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608742U (zh) 蒸汽装置
US7681342B2 (en) Induction iro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44632B1 (ko) 장롱인출형 인덕션 다리미구조
EP1852545A2 (en) Induction ironing apparatus and method
CN213804513U (zh) 一种可变温熨烫衣物的装置
JP6887137B2 (ja) スチーム噴出器およびスチームアイロン
KR101328406B1 (ko) 무선 인덕션 다리미
CN211395096U (zh) 一种可以快速出蒸汽的熨烫机
US7637041B2 (en) Electric iron
CN207699906U (zh) 一种安全电熨斗
CN216693489U (zh) 一种便携式蒸汽座
CN201265116Y (zh) 一种无电源熨斗
CN113123102A (zh) 一种可以快速出蒸汽的熨烫机
US20120024015A1 (en) Iron with detachable soleplate
KR101185467B1 (ko) 헤어롤용 인덕션 가열기
CN108411598B (zh) 一种电熨斗的震动底板
WO2019096487A1 (en) An iron providing induction heating
CN203661327U (zh) 磁条固定装置和电加热器具
KR950005355Y1 (ko) 다리미 가열장치
CN212955865U (zh) 一种定位压条板
JPH07213799A (ja) アイロン台
WO2015028102A1 (en) Improved ironing board for use with a cordless clothes iron
CN204780379U (zh) 冷却烫斗
KR19990018123U (ko) 유도가열식 무선다리미
WO2020222085A1 (en) Electronic iron for ironing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