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547B1 -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47B1
KR102244547B1 KR1020150153037A KR20150153037A KR102244547B1 KR 102244547 B1 KR102244547 B1 KR 102244547B1 KR 1020150153037 A KR1020150153037 A KR 1020150153037A KR 20150153037 A KR20150153037 A KR 20150153037A KR 102244547 B1 KR102244547 B1 KR 10224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rag
touch screen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910A (ko
Inventor
장원일
신덕문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5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상 새로이 정의된 패턴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내 아이템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슬링과 유사한 방식의 던지기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내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원거리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에 대한 이동 또는 축소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내 아이템을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IN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서의 터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상 새로이 정의된 패턴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내 아이템에 대해 슬라이드(slide) 또는 슬링(sling)과 유사한 방식의 던지기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내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원거리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에 대한 이동 또는 축소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내 아이템을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면에서 직접 입력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현하여 화면상 손끝이나 기타 터치 센싱이 가능한 물체가 터치되는 경우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서는 터치 스크린 화면에 미리 표시된 문자나 그림 등의 그래픽 이미지 등을 손으로 터치하면, 터치가 발생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위와 같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성 때문에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 예들 들어,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장소에서 안내용 소프트웨어에 많이 이용되며, 각종 점포에서 판매용 단말기에도 많이 응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업무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최근 들어 더 많은 정보의 디스플레이와 사용상 편리성을 위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지하철, 박람회, 대형 회의장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터치 스크린도 많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터치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위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손이 닿지 않는 영역이 생겨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278606호(등록일자 2013년 06월 19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상 새로이 정의된 패턴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내 아이템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슬링과 유사한 방식의 던지기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내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원거리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에 대한 이동 또는 축소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내 아이템을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터치 제어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터치패턴 인식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는 드래그 인식부와, 상기 드래그의 발생에 따른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와, 상기 위치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또는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터치패턴과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원거리 위치 이동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이 상기 드래그 속도 또는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변형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이 상기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이동할 거리와 축소될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와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턴 인식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하거나, 기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전체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를 위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및 변형 요청으로 인식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제어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고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또는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상 새로이 정의된 패턴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내 아이템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슬링과 유사한 방식의 던지기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내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원거리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에 대한 이동 또는 축소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내 아이템을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경우에도 사용자 위치에 관계없이 터치 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간 인터랙션(interaction)이 용이하게 되어 터치 스크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터치 이동 구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 구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방법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터치 검출부, 터치패턴 인식부, 드래그 인식부, 위치 연산부, 화면 구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 제어 장치의 각 블록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터치 스크린(200)은 별도의 키보드(key) 등과 같은 키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상 표시된 아이템(item)에 사람의 손 또는 터치(touch)를 위한 전용팬 등이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위치의 아이템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등의 화면에서 직접 입력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아이템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문자나 그림 등을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200)상 아이콘(icon) 등의 형태로 표시된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200)은 터치 패널(touch pannel)(202)과 화면 표시 장치(display device)(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202)은 정전식 센서 등이 탑재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를 센싱한다. 화면 표시 장치(204)는 위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200)상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게 아이템을 이동하여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아이템의 실행에 따른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이러한 화면 표시 장치(204)는 예를 들어 PDP,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검출부(252)는 터치 스크린(200)상 사람의 손 또는 전용팬 등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패널(202)과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가 발생한 사실과 터치가 발생한 영역 등을 검출한다.
터치패턴 인식부(256)는 터치 검출부(252)로부터 터치의 발생과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터치 스크린상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 등을 인식한다. 즉, 예를 들어 터치패턴 인식부(256)는 터치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아이템에 대한 원거리 터치 이동 요청인지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 요청인지를 인식한다.
이때, 터치패턴 인식부(256)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00)상 발생된 터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으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한 아이템을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터치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원거리 터치 이동을 요청하는 터치 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원거리 터치 이동은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200)상 아이템의 터치를 통한 이동 구현 시 사람의 손가락 또는 전용팬이 이동한 위치로 아이템을 위치시키는 터치 이동과는 달리,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아 직접 터치가 이루어지 않은 원거리로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터치패턴 인식부(254)는 터치 스크린(200)상 손가락 모두가 동시에 터치되는 등과 같이 기설정된 수 이상의 터치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손바닥 등이 터치되어 터치 영역이 기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터치 스크린 화면 이동/축소를 요청하는 터치 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아이템을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특정 비율로 축소시키는 등의 동작을 말할 수 있다.
드래그 인식부(256)는 터치 검출부(252)를 통해 터치가 발생된 것이 검출된 이후,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가 발생한 임의의 제1영역(300)에서 계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200)상 일정 거리 이격된 제2영역(302)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드래그 발생을 인식하고, 드래그되는 터치의 이동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
위치 연산부(258)는 드래그의 발생에 따른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상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한다.
즉, 위치 연산부(258)는 터치 스크린(200)상 드래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된 제1영역(300)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영역(302)까지의 드래그 속도와 드래그 거리, 드래그 방향 등의 드래그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드래그 패턴에 따라 위와 같이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영역(300)내 위치한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과 터치 스크린(200)상 위치 이동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위치 연산부(258)는 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까지의 거리와 터치가 이동된 시간을 이용하여 드래그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제1영역(300)과 제2영역(302)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드래그 거리와 드래그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연산부(258)는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아이템의 원거리 위치 이동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아이템이 드래그 속도 또는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게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위치 연산부(258)는 위와 같은 드래그 패턴에 따른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의 산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3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0)상 표시된 임의의 아이템에 대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한 빠른 속도로 드래그하여 마치 아이템을 슬라이딩시키는 형태의 제1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이러한 제1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한다. 이어, 위치 연산부(258)는 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으로의 이동에 따른 드래그 속도를 검출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검출된 속도에 대응되게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연산부(258)는 예를 들어 도 3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0)상 표시된 임의의 아이템을 이동시키고자하는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기준속도 미만의 속도로 드래그하여 마치 아이템에 대해 고무줄을 튕기는 형태의 제2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이러한 제2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한다. 이어, 위치 연산부(258)는 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으로 이동한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드래그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연산부(258)는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아이템의 변형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아이템이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게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거리와 축소될 비율을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와 변형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위치 연산부(258)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를 수행한 후,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를 원하는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된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한쪽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형태의 제3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이러한 제3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한다. 이어, 위치 연산부(200)는 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으로 이동한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터치 스크린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으로 이동한상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게 이동하거나 축소되는 비율을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이동되거나 축소되어 표시될 때의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아이템에 대한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화면 구성부(260)는 위치 연산부(200)를 통해 연산된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되게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켜 새로운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성한다.
즉, 화면 구성부(260)는 위치 연산부(258)로부터 계산된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아이템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200)의 전체 화면을 이동 요청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비율로 축소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새로운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성한다. 이어, 화면 구성부(260)는 위와 같이 구성된 새로운 터치 스크린 화면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204)로 제공하여 터치 스크린(200)상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면 구성부(26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2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 아이템이 손가락 등에 의해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고무줄이 당겨지는 형태의 화면을 표시하여 아이템이 고무줄의 탄성력에 의해 원거리로 이동하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구성부(260)는 도 4에서와 같이 제3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200)의 전체 화면이 손바닥 등에 의해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아이템이 화면이 축소되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 구성부(260)는 원래 크기의 터치 스크린(200)상 원본 아이템에 대해서는 원래 있던 영역(400)에 그대로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자신의 위치에 근접하게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조작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는 원래 크기의 터치 스크린(200)상 영역(400)에서 원본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면 구성부(260)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손바닥 등을 터치 스크린(2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축소된 터치 스크린(200)의 전체 화면을 원래 크기의 전체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장치에서 원거리 터치 제어 방법의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중대형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이동시키거나, 손이 닿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설정된 터치 패턴으로 터치 스크린상 터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원거리 터치 이동 요청, 즉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한 아이템을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터치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요청인 경우, 이러한 터치패턴은 예를 들어 아이템을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으로 터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 요청, 즉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요청인 경우, 이러한 터치패턴은 터치 스크린(200)상 손가락 모두를 동시에 터치하는 등과 같이 기설정된 수 이상의 터치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터치하는 것 또는 손바닥 등을 터치하여 터치 영역이 기설정된 면적 이상이 되도록 터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 터치 제어 장치(250)의 터치 검출부(252)는 터치 패널(202)과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가 발생한 영역을 검출한다(S500).
이어, 위와 같이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터치 제어장치(250)의 터치패턴 인식부(254)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터치패턴 인식부(254)에서는 터치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아이템에 대한 원거리 터치 이동 요청인지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 요청인지를 인식한다.
이때, 터치패턴 인식부(254)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00)상 발생된 터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으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는 곳에 위치한 아이템을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터치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원거리 터치 이동을 요청하는 터치 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터치패턴 인식부(254)는 터치 스크린(200)상 손가락 모두가 동시에 터치되는 등과 같이 기설정된 수 이상의 터치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손바닥 등이 터치되어 터치 영역이 기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200)상 손이 닿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아이템을 터치를 통해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터치 스크린 화면 이동/축소를 요청하는 터치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위와 같이 원거리 터치 이동 요청 또는 터치 스크린 화면 이동/축소를 요청하는 터치 패턴을 입력한 사용자가 터치 입력 후, 터치 스크린(200)상 원하는 화면으로의 제어를 위해 특정 패턴의 드래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드래그 인식부(256)에서는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가 발생한 임의의 영역에서 계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져 터치 스크린(200)상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드래그 발생을 인식하고, 드래그되는 터치의 이동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S502).
이어,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드래그가 발생하는 경우 위치 연산부(258)는 도 3 및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터치가 발생된 제1영역(300)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영역(302)까지의 드래그 속도와 드래그 거리, 드래그 방향을 산출하고, 드래그 패턴에 따라 위와 같이 산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영역(300)내 위치한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과 터치 스크린(200)상 위치 이동 정보를 산출한다(S504). 이때, 이러한 드래그 속도는 제1영역(300)에서 제2영역(302)까지의 거리와 터치가 이동된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드래그 거리와 드래그 방향은 제1영역(300)과 제2영역(302)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 표시된 임의의 아이템에 대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한 빠른 속도로 드래그하여 마치 아이템을 슬라이딩시키는 형태의 제1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위치 연산부(258)는 이러한 제1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고, 드래그 속도를 검출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검출된 속도에 대응되게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00)상 표시된 임의의 아이템을 이동시키고자하는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기준속도 미만의 속도로 드래그하여 마치 아이템에 대해 고무줄을 튕기는 형태의 제2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위치 연산부(258)는 이러한 제2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고,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드래그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200)상 이동할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 요청에 대응하는 터치를 수행한 후,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를 원하는 방향으로 터치 스크린(200)상 터치된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손바닥 등을 한쪽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형태의 제3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 위치 연산부(258)는 이러한 제3방식의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고,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터치 스크린(200)상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게 이동하거나 축소되는 비율을 연산하고, 드래그 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이동되거나 축소되어 표시될 때의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아이템에 대한 위치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어,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아이템의 위치 이동에 대한 연산이 수행된 경우, 터치 제어 장치(250)의 화면 구성부(260)는 위치 연산부(258)로부터 계산된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아이템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을 이동 요청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비율로 축소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새로운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성한다(S506).
이어, 화면 구성부(260)는 위와 같이 구성된 새로운 터치 스크린 화면에 대한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204)로 제공하여 터치 스크린(200)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508).
즉, 위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아이템의 위치 이동 연산이 수행된 경우, 터치 제어 장치(250)의 화면 구성부(260)는 위치 연산부(258)로부터 계산된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아이템을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200)의 전체 화면을 이동 요청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는 비율로 축소시켜 표시시킨다.
이때, 화면 구성부(260)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원거리 터치 이동 요청인 경우 드래그 패턴에 대응하여 위치 연산부(258)로부터 연산된 아이템의 위치 이동값을 제공받아, 도 3의 (a), (b)에서와 같이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200)상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원거리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시킨다.
또한, 화면 구성부(26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화면의 이동/축소 요청인 경우 드래그 패턴에 대응하여 위치 연산부(258)로부터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이동되거나 축소될 시의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아이템에 대한 위치값을 제공받아, 도 4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200)상 전체 화면을 드래그가 발생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특정 비율로 축소시켜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향해 터치 스크린(200)상 표시된 아이템들이 근접되도록 표시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상 새로이 정의된 패턴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영역내 아이템에 대해 슬라이드 또는 슬링과 유사한 방식의 던지기 동작으로 터치 스크린내 손이 닿지 않는 영역으로 원거리 이동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에 대한 이동 또는 축소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내 아이템을 손이 닿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반경보다 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경우, 중대형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중대형 터치 스크린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200 : 터치 스크린 202 : 터치 패널
204 : 화면 표시 장치 250 : 터치 제어장치
252 : 터치 검출부 254 : 터치패턴 인식부
256 : 드래그 인식부 258 : 위치 연산부
260 : 화면 구성부

Claims (7)

  1.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터치패턴 인식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는 드래그 인식부와,
    상기 드래그의 발생에 따른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와,
    상기 위치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변형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상기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도록 이동할 거리 및 축소될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하거나 축소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전체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및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터치 제어 장치.
  2.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터치패턴 인식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는 드래그 인식부와,
    상기 드래그의 발생에 따른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와,
    상기 위치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원거리 위치 이동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이 상기 드래그 속도 및 상기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연산하는 터치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턴 인식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하거나, 기설정된 면적을 초과하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전체 화면의 이동 또는 축소를 위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및 변형 요청으로 인식으로 하는 터치 제어 장치.
  6.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고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변형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전체 화면이 상기 드래그 거리에 대응되도록 이동할 거리 및 축소될 비율을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하거나 축소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전체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몇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터치 제어 방법.
  7.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위치 이동 또는 변형 요청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발생을 인식하고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와,
    드래그 패턴 정보와 터치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연산된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 또는 변형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키거나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제2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 속도,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포함하는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아이템의 원거리 위치 이동 요청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아이템이 상기 드래그 속도 및 상기 드래그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의 이동할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드래그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의 위치 이동 정보를 연산하는 터치 제어 방법.
KR1020150153037A 2015-11-02 2015-11-02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4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37A KR102244547B1 (ko) 2015-11-02 2015-11-02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37A KR102244547B1 (ko) 2015-11-02 2015-11-02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10A KR20170050910A (ko) 2017-05-11
KR102244547B1 true KR102244547B1 (ko) 2021-04-26

Family

ID=5874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37A KR102244547B1 (ko) 2015-11-02 2015-11-02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638A (ja) * 2007-12-21 2009-07-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606B1 (ko) 2013-01-16 2013-06-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대형 벽면 활용형 대화형 영상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90964B1 (ko) * 2013-02-22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136393A (ko) * 2013-05-20 2014-11-28 조홍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KR20150098366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하이딥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638A (ja) * 2007-12-21 2009-07-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10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14B1 (ko)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1068149B2 (en) Indirect user interaction with desktop using touch-sensitive control surface
Olwal et al. Rubbing and tapping for precise and rapid selection on touch-screen displays
US7441202B2 (en) Spatial multiplexing to mediate direct-touch input on large displays
US9389722B2 (en) User interface device that zooms image in response to operation that presses screen, image zoom method, and program
JP5456529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を操作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8276085B2 (en) Image navigation for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10331219B2 (en) Identification and use of gestures in proximity to a sensor
US20150220150A1 (en) Virtual touch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US20060288314A1 (en) Facilitating cursor interaction with display objects
TWI658396B (zh) 介面控制方法和電子裝置
CN104317452B (zh) 一种操控大屏幕智能设备的方法
US20130257734A1 (en) Use of a sensor to enable touch and type modes for hands of a user via a keyboard
JP2014241139A (ja) 仮想タッチパッド
KR20130052749A (ko)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US20150363037A1 (en) Control method of touch panel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KR20160097410A (ko) 동작 인식을 통한 비접촉식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I615747B (zh) 虛擬鍵盤顯示系統及方法
EP2400379A1 (en) Graphical control of a computer by a user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CN108132721B (zh) 生成拖动手势的方法、触控装置以及便携式电子设备
KR102244547B1 (ko)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484117B (zh) 人机交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