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797B1 -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797B1
KR102241797B1 KR1020190041055A KR20190041055A KR102241797B1 KR 102241797 B1 KR102241797 B1 KR 102241797B1 KR 1020190041055 A KR1020190041055 A KR 1020190041055A KR 20190041055 A KR20190041055 A KR 20190041055A KR 102241797 B1 KR102241797 B1 KR 10224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signal
user input
input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722A (ko
Inventor
정종욱
이창호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Priority to KR102019004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3Record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5/335Record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METHOD OF OPERATION THE APPARATUS}
본 실시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장의 박동에 의해 방출된 혈액을 동맥을 따라 신체 곳곳에 막힘 없이 흘려주고,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혈액을 돌려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로써, 산소와 영양분을 신체의 각 조직에 공급하고 대사를 통해 소비된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심장 상태가 좋지 않아 신체의 특정 부위로 혈액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혈액 내에 혈전이나 색전이 발생하여 혈액이 탁해지면 신체의 특정 조직의 모세혈관을 막아 조직의 괴사를 유발하는 등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심장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하여 임상적 진찰과 더불어 영상검사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조기 진단의 방법으로 심전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여 환자의 심장에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 또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심전도란 심장 근육이 수축하거나 확장하는 등 심장 박동의 기계적 활동에 따라 체표면에서 나타나는 전위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심전도는 측정이 간단하며, 재현성이 있고, 쉽게 반복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검사 비용이 비싸지 않는 비관혈 검사로서,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심장동맥질환)의 진단, 심장 환자들의 경과를 관찰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심전도는 흉부의 상부 좌우와 하부 좌우에 심전도 측정용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의 위치에 따라 감지되는 전위차를 이용하게 측정하게 된다.
심전도측정기기는 심장이 박동하면 심근에 발생한 미세한 활동전위차(1mV의 전압)를 생체표면에 부착한 전극으로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변동곡선(0.1~200Hz 정도의 주파수 성분)을 기록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말하며 이때 얻는 곡선을 심전도(Electrocardiogram)라 한다.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로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변환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변환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게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게시 신호의 응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과 동기화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더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고, k번째 시간 구간 동안 k-1 번째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를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음성 입력, 및 텍스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변환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상기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동기화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는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고, k번째 시간 구간 동안 k-1 번째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를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더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발생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되어 변형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과 동기화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록 하는 단계 이전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고, k번째 시간 구간 동안 k-1 번째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를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삽입하여 상기 지정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음성 입력, 및 텍스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상기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동기화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록하는 단계 이전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시간 구간으로 분할하고, k번째 시간 구간 동안 k-1 번째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를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더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심장 움직임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태그를 연계한 심전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외부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태그를 연계한 심전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면이고, 도 1b 및 도 1c는 심전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심전도 측정 장치와 연계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연계된 심전도 신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10은 태그가 시간 구간 별로 붙은 심전도 신호의 예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심방세동은 임상적으로 가장 흔한 부정맥 중의 하나 이며, 전체적인 유병율은 0.4 ~ 0.9 %에 이른다. 40세 이후의 나이부터 해마다 0.1 ~ 0.2 % 가량 증가하여 60세 이상이 되면 2 ~ 4%로 높아진다. 심방세동이 동반되면 심방-심실 간의 동조성이 소실되고 심실 이완기가 짧아져 호흡 곤란과 심부전이 유발된다. 또한, 심방세동을 가진 환자에서 심방 내 혈전이 만들어져 뇌경색과 같은 전신적인 색전증을 일으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고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심방세동 발생의 증가는 이러한 측면에서 보건사회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발작성 심방세동은 만성 심방세동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발작성 심방세동의 발생위험도 예측 및 진단은 중요하다.
ECG 신호 성분 중에서도 P파 성분은 이와 같은 심방세동에 대한 예측 및 진단에 중요한 정보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심전도측정기기에서 P파 성분이 잘 표현된 ECG 신호를 발생하도록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최근 대형 병원은 고가의 초음파 의료기기들을 이용하여 심장 상태를 정밀하게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측정기기의 활용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P파 성분은 대형 병원 등에 비치된 초음파 의료기기들을 통해서도 측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되는 아날로그 ECG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ECG 신호 성분 중에 P파 성분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PR 구간(PR interval 구간)의 신호와 나머지 구간의 신호에 서로 다른 보상값을 적용함으로써, P파 성분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신호 게인(Gain)은 아날로그 입력 ECG 신호 성분을 디지털 ECG 신호 성분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ECG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PR 구간의 보상값은 0x66으로, 나머지 구간의 보상값은 0x33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PR 구간의 보상값은 나머지 구간의 보상값 보다 큼에 따라 P파 성분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ECG 신호 전체 구간에서 Gain 값을 일정하게 설정하게 되면, 신체 노이즈, 움직임에 따른 노이즈 등 다양한 노이즈에 대한 신호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의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는 대상체(obj)에 비침습적 또는 침습적으로 장착되어 대상체의 심장 박동에 따른 심전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obj)는 사람이나 동물 또는 흉부와 같이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 일부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심전도를 감지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면 모두 대상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심근의 수축/확장과 같이 심장 박동의 기계적 활동에 따라 체표면에서 나타나는 전위변화를 그래프로 기록하는 것으로서, '심전도를 감지한다'는 의미는 대상체의 심장 박동에 따라 체표면에 발생하는 '전위를 감지한다'는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심전도 측정 장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이동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통신부(120)는 상술한 바 외에 다른 형태의 통신 모듈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밴드 타입의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표면의 곡면에 맞추어 변형 가능한 유연한 재질 예를 들어, 탄성 즉 신축성의 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는 패치형 또는 착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를 통한 착용으로 인해 대상체의 체표면에 접촉되어 체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위를 감지할 수 있으면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입력부(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입력부(11)를 통해 소정의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케이스(21, 22)로 덮여 있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21, 22)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21, 22)는 열을 전달이 잘 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열차단 물질이 코팅된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21, 22)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이나, 3D 프린팅 방식이나 사출형성으로 제작된 소형 부속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난 실시 예에 관한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서 케이스(21, 22)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케이스(21, 22)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입력부(11)가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온오프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청각 데이터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터치 입력의 감도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온오프 입력 및 청각 데이터 입력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온오프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에 청각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의 입력의 형식은 온오프 입력, 터치 입력, 청각 데이터 입력 외에, 다양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복수의 형식의 입력들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케이스(21)를 제거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 버튼(12)가 노출된다. 케이스(21)를 제거하면 심전도 측정 장치의 동작을 위한 신호 감지부(110), 신호 변환부(120), 프로세서(130), 입력부(140), 전원부(150), 메모리(160), 센서부(170), 통신부(180) 등과 대응되는 요소들이 노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신호 감지부(110), 신호 변환부(120), 프로세서(130), 입력부(140), 전원부(150), 메모리(160), 센서부(170),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감지부(110)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변환부(120)는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기록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부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부를 통해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삽입 위치에 사용자 입력을 동기화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한다.
프로세서(13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단위 구간의 단위 심전도 신호로 분할하고 단위 구간 별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단위 구간 안에 수신된 사용자 입력들은 제1 단위 구간에 삽입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된 정보와 대응되는 태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된 정보는 심박동수, 성분 정보, 최대 크기 값, 변곡점의 시간 정보, 변곡점의 크기 정보 등 일 수 있다. 최대 크기 값은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신호 크기 중에서, 크기의 최대값을 말한다. 변곡점은 심전도 디지털 신호의 미분 값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 음에서 양으로 변하는 지점을 말한다. 프로세서(13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된 심박동수, 최대 크기 값, 변곡점의 시간 정보, 변곡점의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대상체의 운동량을 획득하고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를 더 생성하고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고, 현재의 시간 구간 보다 앞선 이전 시간 구간의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터치 입력, 온오프 입력, 청각 데이터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입력의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정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터치 여부, 터치의 정도 등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온오프 입력이 수신된 경우, 입력부(140)는 온오프 여부, 시간당 온오프 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청각 데이터 입력이 수신된 경우, 입력부(140)는 입력된 청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의 입력 시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신호 감지부(110), 신호 변환부(120), 프로세서(130), 입력부(140), 메모리(160), 센서부(170), 통신부(180)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5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일회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심전도 측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 측정 시간, 측정된 심전도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60)는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발생되는 입력, 입력 관련 태그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 및 태그와 동기화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한다. 센서부(170)는 x, y, z 축 방향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장치의 운동량, 장치의 온도 값, 장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연계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라면 족하고, 단말 또는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장과 관련된 비정상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를 기록하고 태그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의 변화, 입력부(음성 입력부, 텍스트 입력부, 버튼 입력부, 영상 입력부 등)를 통해 획득된 입력,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심전도 신호와 연계시켜 생성한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태그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동기화된 심전도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심박동수 등과 같은 심전도 정보와 대응되는 태그, 운동량 정보와 대응되는 태그 등을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심전도 신호 또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된 심전도 신호, 동기화된 심전도 신호,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태그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게시 신호와 대응하여 심전도 신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부터의 아무런 신호 없이 심전도 신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들의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측정된 심전도를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맞춰서 측정된 심전도를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측정 시작 신호 또는 측정 종료 신호에 따라서 심전도 신호의 측정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데이터 삭제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검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검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그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검출 사용자 입력으로 임계 심박동수를 수신한 경우, 임계 심박동수 이상의 심전도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전원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전원부의 용량에 대한 알람, 전원부의 교체 여부, 충전 여부 등을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정해진 시간 동안 심전도 측정 장치(100)가 동작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알람이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측정이 정해진 시간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설정되거나 심전도 측정 장치(100) 내의 입력부를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4시간, 48시간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센싱된 움직임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센싱된 움직임이 과도한 범위를 벗어나거나 심전도가 기록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에 대한 알람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설명의 편이상, 입력부(140)가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만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200)에 있는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을 당연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청각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트가 입력될 경우,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서 기록된 time-stamp와 비교하여 그 데이트를 심전도 측정기기(100)에서 출력된 데이트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0)는 소정의 등록 과정을 통해 등록된 것일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심전도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동작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심전도 측정 장치(100)들로부터 수신한 심전도 측정 데이터 및 심전도 측정 장치의 사용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데이터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를 통해 심전도 및 심전도를 가공한 심전도 가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 측정 데이터는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의 심전도 데이터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로서, 심전도가 측정된 시간 정보, 누적 시간 정보, 심전도가 측정되지 않는 시간 정보, 비정상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를 대상체와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제1 대상체의 심전도 데이터를 제1 대상체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제1 대상체의 데이터(심전도 신호, 사용자 입력, 비정상 이벤트, 전원 관련 정보 등)를 제1 대상체에 대해서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대상체에 대해서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는 의료 종사자, 법적 책임자, 관리를 위해 고용된 자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의료 종사자의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대상체의 심전도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정황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더 수신할 수 있다. 심전도 관리 서버(300)는 심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 리포트는 심전도를 통해 획득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는 심장 움직임과 관련된 이벤트,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이벤트, 음성 인식의 방식으로 기록된 이벤트, 터치 입력의 방식으로 기록된 이벤트, 사용자의 움직임, 운동량, 기기의 온도값, 심박동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 리포트는 심장에 대한 이상 징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리포트는 사용자 입력, 또는 비정상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 등을 이용하여 심장에서 느껴지는 이상 징후의 발생 시점, 발생 시점의 심전도 등을 별개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심전도 데이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측정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외부의 충전 장치(400)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충전 장치(400)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심전도 측정 장치(100)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장치(400)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탠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충전 장치(400)는 복수의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 전원을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여 전원의 용량이 충전된 경우 자동적으로 충전이 중단되도록 구현 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가 충전되는 상태 정보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심전도 측정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알람(notification, alert)이 발생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전원 레벨 별로 전원 소모를 달리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의 전원 레벨이 기 설정된 제1 최저 값 이하인 경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데에만 전원을 사용하고 다른 장치로 데이터 등을 전달하는 데에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부의 전원 레벨이 기 설정된 제2 최저 값 이하인 경우,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의 측정 및 기록 주기를 더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10).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120).
S13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4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한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메시지를 삽입하도록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변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210).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220).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부터 비정상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시점과 대응되는 측정 데이터의 구간을 검출하고 측정 데이터의 구간과 연계하여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를 삽입한다(S230).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기초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측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한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부터 비정상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시점과 대응되는 측정 데이터의 구간을 검출하고 측정 데이터의 구간과 연계하여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를 삽입하고 태그가 삽입된 측정 데이터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비정상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감지된 정황 데이터를 기초로 심장과 관련한 고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화상 데이터, 터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On/off 버튼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는 감지된 시점에 감지된 정황 데이터를 기초로 심장과 관련한 고통, 생활 불편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비정상 이벤트와 관련하여 정황 데이터를 더 수집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센서부를 통해 정황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정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정황 데이터는 비정상 이벤트의 감지 시점과 인접한 사용자의 움직임의 변화, 입력부를 통한 입력값,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이벤트와 관련된 태그가 삽입된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40).
이를 통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의 측정과 동시에 심장 활동에 발생된 비정상 이벤트가 포함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봐와 같이, S31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저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S32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S33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입력, 텍스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은 심전도 측정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등록 절차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심전도 측정 장치로 전달할 텍스트 입력, 음성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입력한다.
선택적 실시 예에서,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부를 통한 삽입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S34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삽입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및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동기화시켜 메모리에 기록한다. 이때, 발생 시간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심전도 측정 장치(100)에서의 삽입 입력이 발생되는 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
S35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이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S330 단계 없이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심전도 디지털 신호는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삽입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S42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S43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거나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S44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태그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입력 시점, 입력 길이, 입력 강도 등을 고려하여 터치 입력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S450에서는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태그와 연계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터치 입력의 입력 시점, 입력 길이, 입력 강도 등에 따른 태그를 심전도 신호와 동기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 터치의 입력 길이, 입력 강도에 따라서, 심장에 느껴지는 고통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장치(100)는 태그가 시간 구간 별로 붙은 심전도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심전도 측정 장치

Claims (27)

  1.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변환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입력, 음성 입력,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메시지를 삽입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발생 시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사용자 단말 내의 시간 정보인,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2.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입력, 음성 입력,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상기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메시지를 삽입한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변환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 시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사용자 단말 내의 시간 정보인,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게시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게시 신호의 응답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더 삽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삽입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심전도 측정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입력, 음성 입력,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메시지를 삽입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 시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사용자 단말 내의 시간 정보인,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6. 심전도 측정 장치가 대상체의 심장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심전도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심전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측정 장치가 상기 전기 신호를 검출하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위치에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메시지를 삽입한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 시간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는 사용자 단말 내의 시간 정보인,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7. 삭제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하는 단계 이전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장치 온도 값과 대응되는 태그,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운동량과 대응되는 태그, 및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산출된 심박동수와 대응되는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19. 삭제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의 터치 감도와 대응되는 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태그를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에 삽입하고, 상기 심전도 디지털 신호를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90041055A 2019-04-08 2019-04-08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KR10224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55A KR102241797B1 (ko) 2019-04-08 2019-04-08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55A KR102241797B1 (ko) 2019-04-08 2019-04-08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22A KR20200118722A (ko) 2020-10-16
KR102241797B1 true KR102241797B1 (ko) 2021-04-19

Family

ID=730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55A KR102241797B1 (ko) 2019-04-08 2019-04-08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3174A1 (en) * 2019-10-07 2022-10-06 Huinno, Co., Ltd.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36B1 (ko) * 2012-05-11 2014-04-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널 심전도 데이터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20140148719A1 (en) * 2012-11-23 2014-05-29 Vales And Hills Biomedical Tech. Ltd. Multi-touch approach for ECG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20B1 (ko) * 2006-10-24 2008-09-09 주식회사 바이오넷 휴대용 심전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36B1 (ko) * 2012-05-11 2014-04-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널 심전도 데이터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20140148719A1 (en) * 2012-11-23 2014-05-29 Vales And Hills Biomedical Tech. Ltd. Multi-touch approach for ECG measur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3174A1 (en) * 2019-10-07 2022-10-06 Huinno, Co., Ltd.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US11826179B2 (en) * 2019-10-07 2023-11-28 Huinno, Co., Ltd.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22A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95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physiological or biological state or condition of a subject
US1009857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ing system
US101827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hemodynamic status
US20080208069A1 (en) System and methods of hierarchical cardiac event detection
US107293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pressure (LVEDP) measurement
JP2010284532A (ja) 患者の生理的パラメータを確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US20230172517A1 (en) Sensor apparatuses, methods of operating same, and systems including sam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sensing and analyzing electr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 heart
KR102241796B1 (ko) 심전도 측정 장치, 심전도의 부분 별로 다른 보상값을 적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
US200402301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trial fibrillation
Kenny et al. Implantable loop recorder: evaluation of unexplained syncope
KR102241797B1 (ko) 사용자 입력과 연계하여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심전도 측정 장치
US10327648B2 (en) Blood vessel mechanical signal analysis
CN105326482B (zh) 记录生理信号的方法和装置
KR20210024874A (ko) 인체 삽입형 모니터링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1877855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method of recording ECG signals merged with user input
JP7043723B2 (ja) ユーザ入力と併合された心電図信号を記録する方法及びその心電図測定装置
EP3960082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method of recording ecg signals merged with user input
US11291399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method of operation the apparatus
US20220330872A1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 section in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heart sound data related to electrocardiogram data, and bio-signal measuring method
EP3777669B1 (en) Anaerobic threshold estimation method and device
US10251564B2 (en) Thermal patient signal analysis
US10028677B2 (en) Quantitatively differentiating cardiac from non-cardiac related chest pain and other cardiac diagnostics
KR102418544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41798B1 (ko)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정해진 방법으로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 생체신호 측정 기기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용 장치
US20220330924A1 (en) Biosignal measuring device for converting and transmitting biosignal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bio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