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489B1 -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489B1
KR102241489B1 KR1020200171242A KR20200171242A KR102241489B1 KR 102241489 B1 KR102241489 B1 KR 102241489B1 KR 1020200171242 A KR1020200171242 A KR 1020200171242A KR 20200171242 A KR20200171242 A KR 20200171242A KR 102241489 B1 KR102241489 B1 KR 10224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me
stock
terminal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20017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식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또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가 등락률 빅데이터를 이용한 급등테마주 실시간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big data analyzing method and system among soaring theme stocks by evaluating real-time stock fluctuations}
본 발명은 주식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또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가 등락률 빅데이터를 이용한 급등테마 주식 실시간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식시장에 새로운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해 증권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일이 발생할 때 이런 현상에 따라 움직이는 종목군들이 있다. 이런 움직임으로 보이는 종목군을 테마주라고 한다. 새로운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의 관심이 갑자기 그 쪽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데, 주식시장에서도 증권시장에 영향을 주는 큰 이슈가 생기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특정 재료에 집중해 그 재료와 관련된 종목이 관심주가 되어 상승세를 타게 된다. 그로 인해 테마주가 주가가 치솟고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더 많이 몰리어 테마주라는 요건으로만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흐름으로 인해 테마주는 실제 기업가치보다 주가가 더 오른 만큼 악재에 더 민감하고, 테마주로 인해 개인들이 손해를 보는 현상이 주식시장에서 자주 발생한다.
하지만, 이런 테마주는 해당 종목이 어떤 테마에 어떻게 형성돼 어떤 과정을 거쳐서 투자자들에게 전달이 되는지 정보의 출처를 알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보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묻지마 투자 방식으로 투자자들이 투자하고 손해를 보는 현상이 테마주의 전반전인 문제점이다.
(선행특허문헌1) 국내특허공보 제10-2014-0018532호 (2012.08.02) (선행특허문헌2) 국내특허공보 제10-2000-0054632호 (2000.09.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주식종목의 주가를 증권사 API를 통하여 수집하고, 비슷한 성격을 가진 주식종목을 분류하여 화면에서 주식종목의 등락률을 한꺼번에 보여주는 사용자가 한눈에 해당 종목군의 변화 추세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과거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떠한 종목군이 과거에 급등하였는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최근에 어떤 종목군들이 강세였는지를 기반으로 미래에 어떤 종목군들이 활발하게 움직일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관한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관한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주식 종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주식 빅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 주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 주식에 대한 정보가 상기 웹사이트 및 상기 모바일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 주식 각각에 대해 제1 테마 주식 그룹, 제2 테마 주식 그룹 및 제3 테마 주식 그룹을 각각 설정하되, 상기 제1 테마 주식 그룹은 상기 제2 테마 주식 그룹의 상위 카테고리이고, 상기 제2 테마 주식 그룹은 상기 제3 테마 주식 그룹의 상위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마 주식 그룹의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테마 주식 그룹의 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테마 주식 그룹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테마 주식 그룹, 상기 제2 테마 주식 그룹 또는 상기 제3 테마 주식 그룹에 포함되는 특정 주식 종목에 대한 등락률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제3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 주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달하고, i) 상기 제1 단말의 내부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제2 단말의 내부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제3 단말의 내부 배터리의 충전량이 소정의 제1 조건에 만족되고, ii)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제2 조건에 만족되면, 상기 제1 단말이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 주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 또는 상기 제3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식을 하는 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가의 등락률에 따른 주식 테마를 시스템적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현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어 주식매매정보의 효율적인 확보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식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테마 주식을 체계적으로 표준화 하여 한눈에 파악 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급등 테마 주식의 광범위한 정보를 스스로 판단하고 파악하여, 자신만의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투자 노하우를 쌓는데 도움을 주고, 테마 주식 종목에 따른 정보 분석을 스스로 하여 시장 상황에 맞는 대응을 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이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등테마 주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이 단말을 통하여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는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위한 모바일앱 및/또는 웹사이트가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앱 및/또는 웹사이트는 서버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증권 정보, 투자 정보, 기업 정보, 시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테마주(Thema株)와 관련한 테마 지수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테마 지수들의 등락율 추세 흐름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테마지수 정보, 순위 정보, 순위흐름, 순위흐름 점수, 종합 테마지수, 투자종목 정보 등을 분석 및/또는 제공할 수 있으며, 테마주 그룹 항목의 이름, 전일가, 종가, 증가율, 순위, 순위흐름, 종합점수 별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고, 테마주 그룹 항목설정시 기설정된 주제의 평가기준에 사용자 조건이 지정되는 경우에 사용자 조건을 충족하는 테마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위한 모바일앱 및/또는 웹사이트가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를 나타내는 것에 해당된다. 즉, 도 1은 단말이 컴퓨터(예; 데스크톱, 노트북)에 해당되는 경우 웹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의 정보들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으며,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기에, 도 1에서 표시된 단말이 핸드폰(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경우 모바일앱을 통하여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의 정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주가 등락률에 따른 테마주를 실시간으로 한눈에 파악하고, 같은 테마 내에서 어떤 주식 종목이 급등할지 여부와 테마주의 과거 등락률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테마가 미래에 강세일지 시나리오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주식에 관련된 서비스들은 종목의 등락률 보다는 주식 매매가격을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회적인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몇몇의 주식 종목들이 비슷하게 움직이는데(이를 본 발명에서는 '테마(theme)' 또는 '테마주(theme stock)'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주어 한눈에 알기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종래의 HTS(Home Trading System)에서 제공하는 주식 관련 정보들은 너무 복잡하며, 유사 종목군에 포함된 주식 등락률을 꺾은선 그래프(polygonal line chart)로 한꺼번에 보여주지 않는다(종목별 그래프 분할은 하나의 화면의 크기에 따라 최대 분할 한계가 존재함). 종래의 다른 주식 서비스들도 대부분 하나의 주식 종목의 기술적 차트 분석에 의존하고 있으며, 연관성 있는 주식들을 함께 그룹화 하여 분석하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주제의 평가기준을 충족하는 연관 주식의 종목군을 테마로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테마별로 주식종목의 등락률을 그래프로 보여주어 동일 테마 내에서 종목들이 개별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려주는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지난 날짜에 대한 주식 테마의 단계별 지속시간을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기간(즉, 지난 날짜)동안 어떤 테마(또는 특정 테마주)가 강세였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테마지수를 생성하여 시장에서 주식테마의 최신 트렌드와 추세를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관점에서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또는 출력(output)할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나타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차세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어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스마트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전 자율 자동차나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어, 마치 인터넷이 공기와 같이 되는데 굳이 인터넷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만 있어서는 안 된다.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ICT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나타낼 수 있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ICT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가치사슬 상의 각 부문간 상호의존 심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N-T(터미널) 가치사슬이 방송플랫폼을 설명하는데 많이 활용되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실상 컴퓨터에 해당되는 기기를 감안하면 C-P-N-D라는 표현이 ICT를 설명하는데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콘텐츠(C) 부문을 살펴보면, 인터넷상에서는 더 이상 사진, 서적, 음악, 동영상 등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종류의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자에 제공되며 콘텐츠 보유자는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제공자와 제휴하거나 직접 플랫폼을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플랫폼 부문은 C-P-N-D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축적, 처리, 저장,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ICT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유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대표적인 플랫폼 제공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원천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은 플랫폼 제공자와 대등한 관계의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는 IP망, 즉 인터넷이다. 서킷방식 전화망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보유자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식별 등의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아카마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업들이 서버 클러스터를 통하여 효율적 트래픽 전송, 보안 등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을 경쟁 시장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기업도 일종의 플랫폼 제공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사실상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구분은 어렵다. 또한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이 직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디바이스 부문은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되고, iOS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갖춘 디바이스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플랫폼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완결한다. 애플은 플랫폼 제공자가 동시에 디바이스 제공자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안드로이드폰의 제조사 간의 제휴관계를 감안하면 과거보다 플랫폼 부문과 디바이스 부문의 관계가 보다 밀접한, 상호의존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 부문과 플랫폼 부문의 제휴, 디바이스 부문의 플랫폼과의 연계, 플랫폼 부문과 네트워크 부문의 경계 모호 등은 모두 C-P-N-D 각 부문의 상호의존성 심화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은 서버(server)(110) 및 제1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130), 제2 네트워크 엔티티(140), 제3 네트워크 엔티티(15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엔티티(130)는 '제2 단말'에 상응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140)는 '제3 단말'에 상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장치(110, 120)가 도시되고, 도 9에서는 다섯 개의 장치(110, 120, 130, 140, 15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안화의 편의를 위해 일 예를 선택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1)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서버(110), 제1 단말(120) 및 복수의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 각각은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로 호칭되거나 네트워크 장치(network apparatus)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제1 단말(120) 및 복수의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 각각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130), 제2 네트워크 엔티티(140), 제3 네트워크 엔티티(150) 각각은 단말, 개인 컴퓨터, 및/또는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 웹 서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제어 모듈(310), 통신 모듈(320), 입력 모듈(330) 및 출력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3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310)은 서버(110)의 저장 모듈(3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및 송수신부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310)은 서버(1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서버(110)의 동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3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33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3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33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34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제어 모듈(3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35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350)은 서버(110),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 제3 단말(14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1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의 외국인 및 기관들의 수급, 원달러환율, 나스닥 선물 지수(나스닥 선물 시세), 상하이종합주가지수 등을 실시간으로 크롤링 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국내 주식 시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HIS(Hang Seng Index), 닛케이 225(JPN225), 선전 종합 지수, DAX(Deutscher Aktien IndeX),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100 지수, DJIA(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110)(및/또는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는 지수 및 데이터를 취합한 데이터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값들을 알고리즘을 통한 자동계산으로 현재 시황(market conditions)이 미리 정의해둔 여러 등급(예; 12 등급) 중에서 어떤 등급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각각의 사용자들이 현 시점에서 어떤 등급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현재 시점이 '매수 타이밍'인지 또는 '매도 타이밍'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매수 및/또는 매도를 할 경우에도 '많이 해야 할지' 또는 '적게 해야 할지'에 대한 직관적인 의견(및/또는 조언)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특정 주식 종목 및/또는 특정 테마주 그룹 항목에 대해 '매수 타이밍' 또는 '매도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매수 및/또는 매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즉, 추천 매수량 및/또는 추천 매도량)를 상기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및/또는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는 매수 타이밍을 제1 시각 효과(410)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도 타이밍을 제2 시각 효과(420)로써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각각의 사용자는 지난 시점(즉, 과거 시점)의 시황을 알고 싶은 경우에도 해당 날짜로 돌아가서 실시간 시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예를 들면, 장시작전(예; 08:30 이전 또는 09:00 이전)에 그날 예상되는 시황에 대한 코멘트를 생성하여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은, 예를 들면, 새로운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하여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줄 때 이런 현상에 따라 비슷하게 움직이는 주식의 종목군(본 발명에서는 이를 '테마주 그룹 항목'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을 발굴할 수 있다. 종목군은 기정의된 테마주 그룹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네이버 금융과 다음 금융의 테마를 하여, 하루에 한번씩 그날 나온 모든 뉴스기사를 크롤링(crawling)하여 자동으로 추가하여 생성되며, 기존의 종목군에 주식 종목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해당 종목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버(110)는 새로운 종목군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종목군을 유사성에 따라서 대(大), 중(中), 소(小)로 분류하고, 소종목군의 경우 약 250~300개로 생성될 수 있다(이때 '대(大)'는 '대(大)테마' 또는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중(中)'은 '중(中)테마' 또는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소(小)'는 '소(小)테마' 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호칭될 수 있다.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은 30개 미만의 주식 종목들이 묶여 있다. 이러한 종목군(즉, 테마주 그룹 항목)은 자동 알고리즘으로 매일 하루에 1번 업데이트 된다.
일 예로,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은 '정치', '연예', '레저', '과학기술', '부동산', '질병', '자원개발', '날씨(weath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된 복수의 주식 종목 각각이, 대형주인 경우에는 제3-1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중형주(코스피에서는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순으로 101~300위이면 중형주로 구분됨)인 경우에는 제3-2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소형주인 경우에는 제3-3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동전주(주가가 1000원 미만)인 경우에는 제3-4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에는 '코로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코로나'에 상응하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은 '코로나 언택트', '코로나 치료제', '코로나 백신', '코로나 컨택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장중(예; '09:00부터 15:30까지'(⇔ '제1 시간 범위'라고 칭할 수 있다) 또는 '08:30부터 18:00까지'(⇔ '제2 시간 범위'라고 칭할 수 있다))에는 실시간으로 주식 종목들의 등락률을 증권사 서버로부터(및/또는 증권사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며, 장마감(예; 15:30(⇔ '제1 마감 시간'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는 18:00(⇔ '제2 마감 시간'이라고 칭할 수 있다)) 후에는 시간외 상승률도 수집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특정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에 있는 종목들을 꺾은선 그래프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특정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에 있는 종목들 각각에 대한 꺾은선 그래프가 하나의 페이지 및/또는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특정 제1, 제2, 제3 주식 테마 그룹에 있는 종목들 각각에 대한 꺾은선 그래프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함으로써,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각각의 사용자들이 한눈에 해당 종목군, 즉 해당 테마주 그룹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볼 수 있게 한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급등률(또는 등락률, 상승률)을 우선순위로 하는 소정의 개수 만큼의 우량주(즉, 상승률이 특정 순위까지의 주식 종목)가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및/또는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모듈(4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주식 종목들의 급등률(또는 등락률, 상승률)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각 테마별 상위 3개의 우량주(예를 들면, 서버(110)는 해당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내에서 소정의 기간 내에 상승률이 높은 특정 개수의 주식 종목과 하락률이 높은 특정 개수의 주식 종목을 식별할 수 있다)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으로 분류 후 5개의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해당 테마가 현재 어떤 등급인지에 따라 5개의 다른 색깔을 사용하여 꺾은선 그래프에 신호등 표시(예; 적색등 표시, 황색등 표시, 녹색등 표시)를 하여 알림(alarm)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등급이 높은 테마 그래프를 화면에 먼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동일한 등급의 테마들 중에서도 등락률 점수가 높은 종목군(즉, 테마주 그룹)부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자료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화면에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실시간으로 종목군 순위가 조정되면 꺾은선 그래프 순서가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바뀌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 시점의 종목군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날짜의 실시간 종목군(즉, 테마주 그룹)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예;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사용자가 마우스를 그래프로 드래그 했을 경우에 각 시간별 종목들의 등락률이 화면에 말풍선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테마로 순위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는 특징 기간 내 기준(예; 20일 기준)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서버(110)는, 예를 들면, 특정 기간 동안 i) 특정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서의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ii)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상응하는 대장주의 등락률(또는 상승률)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들 중에서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대한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종목별 대장주에 상응하는 주식 종목의 종목명을 볼드체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대장주는 해당 테마주 그룹 항목에서 특정 기간 내 기준(예; 20일 기준) 급등률 높은 순위(예; 1위 내지 3위)에 해당하는 주식 종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거래량이 소정의 제1 임계치를 넘는 경우 및/또는 거래량의 상승폭(또는 상승률)이 소정의 제2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 VI(Volatility interruption)가 걸리게 됨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종목명을 특정 색상(예; 빨간색) 및/또는 특정 시각 효과로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소정의 조건(또는 소정의 조건식(conditional expression))을 입력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테마 그래프가 표시되도록 및/또는 알람(alarm)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 "KCTC 11/12 상한가")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실시간 시황(market conditions)을 각 보조 지표 별로 크롤링(crawling)하여 데이터화(datafication) 하는 제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10).
서버(110)는, 예를 들면, 테마그룹 별 구성 종목(즉,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대한 전체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하는 시가총액 비중방식을 사용하여 시가총액 테마지수(Theme Index)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가 총액은 해당 주식 종목과 관련하여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주식의 시가를 전부 합산한 금액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사용자에 의해 지수보정값이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입력(및/또는 설정)되면, 상기 지수보정값을 이용하여 테마 그룹의 모든 구성 종목을 동일 비중으로 계산하는 동일비중 테마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장중 기준시간(예; 9:00, 12:30, 15:30 등)에 기초하여 기준시간 대비 상기 시가총액 테마지수 또는 동일 비중 테마지수의 등락률(또는 상승률 또는 하락율)을 나타내는 순위 정보를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이 구현되는(즉,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위한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이 실행되는)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순위 정보는 '음봉 상태'의 상기 시가총액 테마지수(또는 동일비중 테마지수)보다 '양봉 상태'의 상기 시가총액 테마지수(또는 동일비중 테마지수)의 순위값이 높아지도록 상기 기준시간 대비 등락률(또는 상승률 또는 하락율)을 정렬한 '순위', 순위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기록하여 상기 시가총액 테마지수(또는 동일비중 테마지수)의 등락(또는 상승 또는 하락)을 나타내는 '순위흐름', 및 순위흐름의 각 구간별 등락율에 소정의 가중치(weight)를 설정하여 수치화한 '순위흐름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지표는 i) 추세지표, ii) 변동성 지표, iii) 모멘텀 지표, iv) 시장강도 지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 추세지표는, 예를 들면, 추세선, 이동평균선,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ROC(Rate Of Change), DM(Directional Movement Index)와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ii) 변동성 지표는, 예를 들면, ATR, 불린저벤드, Envelope, Keltner Channel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ii) 모멘텀 지표는, 예를 들면, 이격도, P&F, 투자심리선, 삼선전환도, AB Ratio, Mass Index, Price 오실레이터, RSI(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스토케스틱, SONAR, TRI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v) 시장강도 지표는, 예를 들면, 거래량, OBV, 거래량 이동평균선, EOM(Ease Of Movement), MFI(Money Flow Index), Volume 오실레이터, Volume Rati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단말(120)의 제1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 제2 단말(130)의 제2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제3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제1, 제2, 제3 사용자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주식을 매도 및/또는 매수한 이력, 평가손익, 수익률, 평가금액, 보유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는 소정의 데이터 수집기간 동안에 제1, 제2, 제3 사용자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주식을 매도 및/또는 매수한 이력, 평가손익, 수익률, 평가금액, 보유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우수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서버(110)는 소정의 데이터 수집기간 동안에 제1, 제2, 제3 사용자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주식을 매도 및/또는 매수한 이력, 평가손익, 수익률이 소정의 기준보다 높은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를 적어도 하나의 우수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10)는 소정의 데이터 수집기간 동안에 제1, 제2, 제3 사용자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하여 주식을 매도 및/또는 매수한 이력(횟수)이 제1 임계치를 넘거나('제1 조건'), 및/또는 평가손익이 제2 임계치를 넘거나('제2 조건'), 및/또는 수익률이 제3 임계치를 넘는 경우('제3 조건')에만 해당 사용자를 적어도 하나의 우수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해당 사용자가 동일한 주식 종목에 대하여 스윙 매매(즉, 1회 매수 및 1회 매도를 순차적으로 한 경우)를 소정의 제4 임계치 이상 수행하여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의 평가손익 및/또는 상기 제3 임계치 이상의 수익률을 낸 경우에만 상기 우수 사용자로써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예를 들면, 일 사용자가 일 주식 종목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 이내에 1회 매수, 1회 매도, 1회 매수 및 1회 매도 (즉, 4회 거래)를 수행한 경우, 상기 첫번째 1회 매수 및 1회 매도부터 기산하여, 한 차례의 '1회 매수 및 1회 매도'를 '1회 스윙 매매'로 산정(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단계에서 데이터화 한 자료들을 자동 알고리즘을 통하여 점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점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등급(예; 10개의 등급, 12개의 등급, N개의 등급)으로 시스템적으로 분류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2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계(S320)에서 평가한 등급에 따라 기 정의된 시장 대응 지침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시장 대응 지침에 관한 정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정보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지난 날짜의 시황(market conditions)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지난 날짜의 시장 대응 지침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GUI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또는 고객)는 단말(120, 130, 140)을 통하여 이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지난 날짜'의 예시로는 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실시간으로 주가 등락률을 데이터화 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3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실시간 시황(market conditions)을 각 보조 지표 별로 크롤링(crawling)하여 데이터화(datafication)한 정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주식 종목들을 제1, 제2 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외부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뉴스 정보, 주식 정보, SNS 정보 등을 수집하여 이를 더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주식 종목들을 제1, 제2 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외부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뉴스 정보, 주식 정보, SNS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학습 데이터로 설정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주식 종목들을 제1, 제2 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소정의 임계치(예; 제1 임계치, 제2 임계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저장 모듈(3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서버(110)의 저장 모듈(350)에 저장된 빅데이터 및/또는 상기 외부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뉴스 정보, 주식 정보, SNS 정보 등을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특히, 상술한 상관 관계의 경우, 입력(input)은 저장 모듈(350)에 저장된 빅데이터 및/또는 상기 외부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뉴스 정보, 주식 정보, SNS 정보 등이고, 출력(output)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주식 종목들 각각에 설정(및/또는 분류)되는 제1, 제2 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서버(110)는 인공지능 기반의 테마주 그룹 (항목)의 설정을 시스템 적으로 자동화 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술한 제3 단계(S330)에서 데이터화 한 주식 종목들을 기 정의한 테마별로 그룹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4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소정의 주기 마다 재설정(또는 재그룹핑(re-grouping))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상응하는 주식 종목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 중에 전술한 우수 사용자로 설정된 자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을 재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10)는 아래의 수학식 1,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만족되면 해당 제1, 제2,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의 재설정을 위한 명령어(command, instruction)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33482692-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20133482692-pa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20133482692-pat00003
이때 Num11은 해당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주식 종목들을 소유하는 복수의 제1 사용자들의 수를 나타내고, Num12는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들 중에서 우수 사용자에 해당되는 자들의 수를 나타내고, Num21은 해당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주식 종목들을 소유하는 복수의 제2 사용자들의 수를 나타내고, Num22는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들 중에서 우수 사용자에 해당되는 자들의 수를 나타내고, Num31은 해당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3 주식 종목들을 소유하는 복수의 제3 사용자들의 수를 나타내고, Num32는 상기 복수의 제1 사용자들 중에서 우수 사용자에 해당되는 자들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Ref1, Ref2, Ref3은 소정의 임계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i) 서버(110)에 의해 설정되거나, ii)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ef1은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또는 비례하게 또는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Ref2는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또는 비례하게 또는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Ref3은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또는 비례하게 또는 반비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4 단계(S340)에서 그룹핑된 테마별 실시간 등락률을 꺾은선 그래프로 급등순위가 높은 특정 개수의 종목을 화면에 구현(디스플레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50).
일 예로, 서버(110)는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상응하는 주식 종목들에 대한 꺽은선 그래프의 실시간 정보를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10)는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상응하는 주식 종목들 중에서 급등률(또는 상승률)이 소정의 기준(또는 임계치)를 넘거나 및/또는 급등률(또는 상승률)의 순위가 해당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서 소정의 순위 이내에 드는 주식 종목에 상응하는 꺾은선 그래프의 실시간 정보만이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그룹핑된 테마별 실시간 등락률에 기반하여 급등순위가 높은 7개 종목이 상기 GUI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포함되는 주식 종목들의 등락률(또는 상승률)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10)는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각각에 포함되는 주식 종목들의 급등률(또는 상승률)의 평균이 소정의 기준(또는 임계치)를 넘거나 및/또는 상기 급등률(또는 상승률)의 평균에 대한 순위가 해당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또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서 소정의 순위 이내에 드는 주식 종목에 상응하는 꺾은선 그래프의 실시간 정보만이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5 단계에서 각 테마별 상위순위 우량주를 평가하여 특정 등급으로 분류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6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5 단계(S650)에서 각 테마별 상위 3개 우량주를 평가하여 복수의 등급(예; 10개의 등급, 12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분류된 결과를 상기 GUI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6 단계(S660)에서 등급별 순위가 높은 테마를 먼저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등급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신호등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 시가총액 테마지수, 동일비중 테마지수, 시가총액 테마지수 순위, 동일비중 테마지수 순위, 시가총액 순위 흐름 점수, 동일비중 순위흐름 점수를 합산하여 종합 등락 추세를 수치화한 종합점수를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이 구현되는(및/또는 실행되는)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 테마지수는 시가총액 테마지수와 동일비중 테마지수를 합한 값을 평균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종합 테마지수 또는 순위 정보를 분석하여 상승 추세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목을 추출하여 생성한 투자종목군 정보를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이 구현되는(및/또는 실행되는)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4 단계(S340)에서 연관성이 높은 테마들을 상위 개념인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7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4 단계(S340)에서 연관성이 높은 테마주들에 대해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대(大)테마'),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테마'),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소(小)테마')을 설정 및/또는 분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은 '정치', '연예', '레저', '과학기술', '부동산', '질병', '자원개발', '날씨(weather)'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는,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된 복수의 주식 종목 각각이, 대형주인 경우에는 제3-1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중형주(코스피에서는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순으로 101~300위이면 중형주로 구분됨)인 경우에는 제3-2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소형주인 경우에는 제3-3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하고, 동전주(주가가 1000원 미만)인 경우에는 제3-4 테마주 그룹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7 단계(S670)에서 그룹핑된 테마들을 보기 쉽게 나무 구조(Tree structure) 또는 노드 구조(Node structure)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8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4 단계(S340)에서 그룹핑된 테마들을 모든 종목의 등락률을 꺾은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9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과거 데이터(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의 일일 등락률의 누적합산을 표시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0).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4 단계(S340)에서 그룹핑된 테마에 종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신규로 테마를 생성할 수 있는 제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7 단계에서 그룹핑된 테마들을 각 등급 별로 지속시간을 특정 시간 단위(예; 5분 단위)로 계산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2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2 단계에서 계산한 자료를 기반으로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대(大)테마'),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테마'),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소(小)테마')을 꺾은선 그래프(및/또는 막대 그래프)로 각 등급의 지속 시간을 데이터 화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1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3 단계(S730)에서 전술한 데이터와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테마 랭킹을 산출하는 제1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40).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3 단계(S730)에서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테마 랭킹을 지수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일 테마주 그룹 항목과 다른 테마주 그룹 항목 간의 상대적 점수를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10 내지 S740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그 순서는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S610 내지 S740 중 일부 만이 본 발명의 다른 기재(방법)와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서 표시되는 테마 전광판(700)에서 테마 그래프를 클릭하게 되면, 테마 종목군 페이지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화면 왼쪽에는 기 정의된 테마를 유사그룹으로 상위그룹으로 묶어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대(大)테마')(710),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테마')(720),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소(小)테마')(730)으로 분류되고, 나무구조로 종목군 목록이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대(大)테마')(710) 중 어느 하나를 클릭(선택)하면, 클릭된 제1 테마주 그룹 항목(710)에 상응하는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테마')(720)가 표시되고, 제2 테마주 그룹 항목(720)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소(小)테마')(730)이 표시되고, 제3 테마주 그룹 항목(730)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테마주 그룹 항목(730)의 주식 종목들(740)과 꺾은선 그래프(75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경우, 테마 전광판에서 상위 7개의 종목을 표시하였지만, 테마 종목군 페이지 에서는 해당 테마에 있는 전체 종목을 보여줄 수도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주식 종목들을 검색하여 종목군에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종목명 옆에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여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종목명 왼쪽의 라디오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110)는 해당 종목을 꺾은선 그래프(75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꺾은선 그래프(750)는 1일, 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 등 과거 데이터들을 한눈에 볼 수 있어 과거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를 표현할 때는 그래프가 인터렉티브 하게 변하여 등락률을 수치를 자유 자재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테마 전광판(700)의 실시간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해당 그래프를 마우스를 드래그 하면 해당 날짜의 등락률(시작점을 기준으로 하는 등락률의 누적 합계)를 각 종목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분류된 테마의 5개의 등급의 각 등급 별 지속 시간을 5분단위로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테마 지수 순위를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대(大) 테마'),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 테마'), 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소(小) 테마') 각각의 다른 막대 바 그래프로 나타낸다. 막대바에는 해당 종목군이 현재 어떤 등급인지 5개 등급 각각을 다른 색깔을 사용하여 나타내며, 점수별로 막대 바 크기와 비례하여 표현될 수 있다. 제1 단말(120) 내지 제3 단말(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예를 들면, 대(大) 테마(⇔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중(中) 테마(⇔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에서 항목을 각각을 클릭하면, 서버(110)는 해당되는 테마의 순위를 나타내는 하위 테마의 막대 바 그래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각 테마별로 테마지수가 계산되어 지는데, 서버(110)는 각 테마의 등급이 지속된 시간을 수치화 할 수 있다. 서버(110)는, 예를 들면, "등급 × 지속시간"의 전체 총합을 최근 20일 평균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10)가 테마의 등급을 10개로 분류하고, 1등급인 테마에 대해 '10'의 등급점수, 2등급인 테마에 대해 '9'의 등급점수, 3등급인 테마에 대해 '8'의 등급점수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A 주식 종목에 관한 테마가 7일간 1등급, 5일간 2등급, 8일간 3등급을 유지한 경우라면, 서버(110)는 상기 A 주식 종목에 관한 테마(또는 테마주 그룹 항목)의 테마 지수를 (10*7+9*5*8*8)/20=8.95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예를 들면, 상기 테마 지수 및/또는 수치화된 상대적 순위가 테마 전광판(700)의 테마그래프 상단의 테마 이름 옆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값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므로, 각 주식 종목들 혹은 종목군들의 평균 점수(즉, 전체 평균 테마 지수)로 표현될 수 있다(예; 전체 종목의 테마 지수의 합 * 1 / 종목수).
종목군 순위도 1일, 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 과거 데이터들을 한눈에 볼 수 있어 과거 추세를 종목군 별로 한꺼번에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데이터 값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므로, 각 주식 종목들 혹은 테마들의 지수의 평균점수로 표현될 수 있다(예; 테마지수 * 1 / 일수). 예를 들면, '대(大) 테마'의 경우에는 해당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을 스파이더 웹 차트(Spider Web Chart)로 나타내어 1일, 5일, 20일, 60일 상기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의 추세가 어떠 한지 한눈에 전체성을 볼 수 있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종목군 별로 어떤 종목들이 대세였는지 보여주어 사용자들이 어떤 테마주 그룹 항목들(또는 종목들)이 강세였는지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서버(110), 제1 단말(120),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및 외부 서버(150)(예;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제2 단말(130)'과 '제3 단말(140)'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120) 및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 기술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단말(120)은, 복수의 비콘 신호를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20)은 상기 복수의 비콘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각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신호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 테마주(즉, 제1/제2/제3 테마주 그룹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주식 종목)에 대한 제2 사용자 및/또는 제3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및/또는 제3 사용자의 선택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 테마주 중 일부 특정 상품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비콘 신호 각각은 급등 테마주(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1/제2/제3 테마주 그룹 (항목))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자(ID; identifier) 및/또는 상기 급등 테마주와 관련되는 사용자(제1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자(ID; identifier)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단말 간 통신은 3GPP에서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D2D communication)을 정의한 링크(전송 통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LTE 단말 두 개 사이에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기존 LTE(계열) 표준을 변형시켜 만든 통신 방식이며 공공 안전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120)과, 상기 제1 단말(120)에 인접하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상기 제1 단말(120)의 사용자(즉, 제1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들(즉,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상기 제1 단말(120)과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을 통하여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간 통신은 국제통신표준 기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 표준 내용(예; TS 36.300, 36.311 내지 36.214 등) 또는 5G 표준 내용(예; TS 38.300, 38.311 내지 38.214 등)에 기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상기 제1 단말(120)에게 제1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110)에게 제2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20)은 제1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제1 응답 신호(예; ACK/NACK)를 회신할 수 있다. 여기서 ACK(ACKnowledge)은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과의 동기화를 허용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고, NACK(Non-ACKnowledge)은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과의 동기화를 허용하지 않는(또는 거절하는)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말(120)은 i) 상기 제1 단말(120)의 내부 배터리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지 여부, 또는 ii)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중에 내부 배터리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iii)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매수 이력)이 있는지 여부, 또는 iv)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매수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ACK을 포함시킬 지 또는 NACK을 포함시킬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제2 응답 신호(예; ACK/NACK)를 회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110)는 i)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중에 내부 배터리 전력이 소정의 기준을 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ii)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이 소정의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을 이용한 이력(또는 매수 이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ACK을 포함시킬 지 또는 NACK을 포함시킬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 및/또는 서버(110)로부터 ACK을 포함하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상기 제1 단말(120) 및/또는 서버(110)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된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이 있는 경우, 서버(110)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직접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닌, 상기 제1 단말(120)을 중계 장치(relay device)로써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버(110)가 상기 제1 단말(120)에게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1/제2/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해당 제1/제2/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의 등급, 테마지수, 등락률 등)를 전송하면, 상기 제1 단말(120)은 상기 수신된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120)에 의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가, 서버(110)에 전달되는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제1 단말(120)이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급등테마주가 동기화된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과 관련되는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은 자신의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을 다른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게 단말 간 통신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단말 간 통신을 통하여 공유된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기반하여 상기 급등테마주가 (서버(110)가 아닌) 상기 제1 단말(120) 스스로 선택(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근 고사양화되는 단말의 성능을 적극 활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버(110)의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에 의해 소정의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130, 140)과 동기화를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130, 140)과 관련되는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기반하여 급등테마주를 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120)의 사용자(즉, 제1 사용자)와 생활 반경(또는 생활 영역 또는 생활 패턴)이 유사한 고객의 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보다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다만 전술한 단말 간 통신 기반의 급등테마주가 실제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은 상기 급등테마주를 결정하기 위해 참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130, 140)에 대한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대한 정보를 초기화시키는 버튼(또는 배너 또는 객체)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110)는 관련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버튼(또는 배너 또는 객체)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패드)를 통하여 선택함으로써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130, 140)에 대한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수집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130, 140)에 대한 매도 이력 및/또는 매수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급등테마주를 결정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 즉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가 운용하는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에 기반하여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의 개수(즉, 리스트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의 개수)를 제어하고 출력(output)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는,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내부배터리 전력정보를 상기 서버(11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1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내부배터리 전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10)는 내부배터리 전력에 대한 제1 임계값,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제3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내부배터리 전력정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은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가 제1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리스트에 포함되는 급등테마주들에 대한 정보(예; 요약 정보, 광고 등)에 대한 동적 이미지(또는 동영상)를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내부배터리 전력정보가 상기 제1 임계값 미만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가 제2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기준(예; 판매 지수 n, 또는 판매량 n개 등)을 만족하는 상품만을 포함하는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로써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10)는 더 적은 개수의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내부배터리 전력을 나타내는 내부배터리 전력정보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가 제3 동작 모드로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 개인정보를 갖는 기존 고객들에 의해 생성된 매수 이력이 존재하는 상품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상품만을 추천 상품에 대한 리스트로써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개인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결혼 유무, 자녀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기존의 고객들 중에서 제2 단말(130) 및/또는 제3 단말(140)의 사용자와 관련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고객에 의해 어느 정도 매수 이력이 존재하는 상품만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기에, 전술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가장 적은 개수의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써 출력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저전력 모드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 서버(110), 제1 단말(120)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130, 140, 15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31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관한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운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
    제3 사용자의 제3 단말; 및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 관한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주식 종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주식 빅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에 대한 정보가 상기 웹사이트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식 빅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등테마주 각각에 대해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및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을 각각 설정하되, 상기 제1 테마주 그룹 항목은 상기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의 상위 카테고리이고, 상기 제2 테마주 그룹 항목은 상기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의 상위 카테고리이고,
    상기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상기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또는 상기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포함되는 특정 주식 종목에 대한 등락률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3 사용자 각각의 상기 주식 정보 제공 플랫폼에서의 매수 이력, 매도 이력, 평가 손익 및 수익률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제3 사용자 중에서, 상기 매수 이력 또는 상기 매도 이력이 제1 임계치를 넘고, 상기 평가 손익이 제2 임계치를 넘고, 상기 수익률이 제3 임계치를 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를 우수 사용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상기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또는 상기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에 상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대비 상기 우수 사용자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비율과 제4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테마주 그룹 항목, 상기 제2 테마주 그룹 항목 또는 상기 제3 테마주 그룹 항목의 재설정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생성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1242A 2020-12-09 2020-12-09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4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42A KR102241489B1 (ko) 2020-12-09 2020-12-09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42A KR102241489B1 (ko) 2020-12-09 2020-12-09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489B1 true KR102241489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42A KR102241489B1 (ko) 2020-12-09 2020-12-09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02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이노핀 주식 트레이딩 자동매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32A (ko) 2000-06-15 2000-09-05 주태건 인터넷을 이용한 주식투자 서비스 방법
KR20000063621A (ko) * 1999-07-31 2000-11-06 원종호 가상주식거래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1450A (ko) * 2001-08-03 2003-02-11 (주)델타 익스체인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주식 매매 지원 방법
KR20140018532A (ko) 2012-08-02 2014-02-13 케이티비투자증권 주식회사 테마 및 연관 주식종목 설정 방법
KR20190033144A (ko) * 2017-09-21 2019-03-29 (주) 뉴시스 시장심리지수 전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주식거래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21A (ko) * 1999-07-31 2000-11-06 원종호 가상주식거래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4632A (ko) 2000-06-15 2000-09-05 주태건 인터넷을 이용한 주식투자 서비스 방법
KR20030011450A (ko) * 2001-08-03 2003-02-11 (주)델타 익스체인지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주식 매매 지원 방법
KR20140018532A (ko) 2012-08-02 2014-02-13 케이티비투자증권 주식회사 테마 및 연관 주식종목 설정 방법
KR20190033144A (ko) * 2017-09-21 2019-03-29 (주) 뉴시스 시장심리지수 전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주식거래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02A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이노핀 주식 트레이딩 자동매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17169B1 (ko) 2021-06-29 2023-04-04 주식회사 이노핀 주식 트레이딩 자동매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7807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analytics model selection for real-time data visualization
US20140172751A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social-financial investment risk avoidance, opportunity identification, and data visualization
CN102737334B (zh) 微细分定义系统
US9021429B1 (en) Recommending applications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607273B2 (en) Optimal time to post for maximum social engagement
CN107851231A (zh) 基于活动模型的活动检测
CN110199276A (zh) 用方面标记查询
US20150172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riching geographically delineated content
US20120229625A1 (en) Providing affinity program information
US20150170300A1 (en) Real estate agent relationship management
Aaldering et al. Analyzing the impact of industry sectors on the composition of business ecosystem: A combined approach using ARM and DEMATEL
CN103631851A (zh) 推荐好友的方法及其服务器和终端
US201501696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geographically delineated content incongruities
Lee et al. Determinants of dining satisfaction
KR102147999B1 (ko)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ibb Changing times for social marketing segmentation
US20160299639A1 (en)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geographically delineated content
Keisler et al. Environment models and decisions
KR102241489B1 (ko) 주식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급등테마 주식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39267B1 (ko) 급등테마주를 분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ent et al. Predicting window view preferences u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riteria
US10586163B1 (en) Geographic locale mapping system for outcome prediction
CN116762070A (zh) 用于提供图像推荐的系统、方法、计算平台和存储介质
KR102250127B1 (ko) 테마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그 시스템
JP7239124B1 (ja) 地域関心度測定システム、地域関心度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