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224B1 -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 Google Patents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224B1
KR102241224B1 KR1020200073267A KR20200073267A KR102241224B1 KR 102241224 B1 KR102241224 B1 KR 102241224B1 KR 1020200073267 A KR1020200073267 A KR 1020200073267A KR 20200073267 A KR20200073267 A KR 20200073267A KR 102241224 B1 KR102241224 B1 KR 10224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pair
concave
groov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도근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2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ar supporter enabling a reba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apart from the bottom of a mold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rebar concrete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bar supporter enabling omnidirectional use, capable of supporting a rebar in every direction of a rebar supporter and enabling an efficient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bar supporter includes: a pair of first placement parts having a first concave groove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s, and a pair of first hook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art of the first concave in a hook shape bent downwards towards the first concave groove; a pair of second placement part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lacement parts and having a second concave groove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s, and a pair of second hook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art of the second concave groove in a horizontal plate shape; and a pair of third placement part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cement parts and having a third concave groove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ieces formed in four corners of a lower side of the third concave groove.

Description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 거푸집 바닥으로부터 철근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철근받침대의 전방향에 철근을 지지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제품 제조공정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allows the reinforcing bar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from the formwork floor when constructing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nd in detail,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reinforcing bar in all directions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an efficient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is achieved.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reinforcing bar supports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that can be lost.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는 뛰어나지만 인장강도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내측에 철근을 배근한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취약한 인장강도를 보강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concrete is used. Although concrete has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s tensile strength is weak. Therefore, the weak tensile strength is reinforced by using reinforced concrete with reinforced reinforced inside the concrete.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에 의한 건축물의 시공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struction of such a building using reinforced concrete can be accomplished by installing a formwork, placing reinforcing bars in the formwork, and then pouring concrete.

이때 거푸집에 설치되는 철근은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에 철근의 배근 높이가 설계치에 알맞게 되도록 하는 철근받침대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the formwork uses a reinforcing bar support so that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fits the design value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철근받침대는 철근이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철근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철근 파지부가 구비된다.The reinforcing bar support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that firmly grips the reinforcing ba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그러나, 철근 파지부를 구비한 철근받침대는 다양한 철근의 굵기에 대응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inforcing bar support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por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response to the thickness of various reinforcing bar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271호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66271 "reinforcing bar support by improving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기둥부(1)와, 기둥부(1)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근파지부(2; Holder)로 구성되고, 철근파지부(2)는 철근을 올려놓는 철근재치부(21; Seat)와 철근이 철근재치부(21)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철근을 붙잡는 철근파지구(22; arm)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철근파지구(22)가 대(大)파지구(221)와 대파지구(221) 내측에 설치되는 소(小)파지구(222)의 2개의 파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대파지구는 큰 직경들의 철근들 예컨대 직경 12~14mm의 철근을, 그리고 소파지구는 작은 직경의 철근들 예컨대 직경9~11mm의 철근을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철근받침대의 사용 가능 영역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철근받침대의 선택 및 사용에 큰 편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column part (1) and a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2;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part (1), and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2) includes a reinforcing bar mounting part (21) for placing reinforcing bars; Seat) and a reinforcing bar gripping tool (22; arm) that holds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reinforcing bar does not separate from the reinforcing bar mounting portion (21),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tool (22) and the large gripping tool (221) It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support made by improving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two gripping holes of a small gripping area 222 installed inside the large breaking area 221, wherein the big breaking area is a large-diameter reinforcing bar. For example, reinforcing bars with a diameter of 12 to 14 mm, and sofa strips with small diameter reinforcing bars, such as 9 to 11 mm in diameter, can be gripped, so that the usable area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s can be greatly expan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great convenience for us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양한 굵기의 철근을 파지하는데 용이하나 일방향에만 철근파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철근파지부가 상측으로 가도록 일일히 찾아서 배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easy to grip reinforcing bars of various thicknesses, but since the rebar gripping part is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work is deteriorated because the worker must find and arrange the rebar gripping part to go upward.

또한, 철근파지부가 일방향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파지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 철근받침대 자체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철근받침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is installed only in one direc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gripping part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difficult to use the reinforcing bar base itself, which causes waste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또한, 철근받침대를 제작하는 제품 제조공정시 대파지구(221)와 소파지구(222)에 의해 금형에 걸림이 발생하여 작업자에 의해 강제적인 분리를 실시해야하므로 제품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is degraded because the mold is jammed by the large breaking area 221 and the sofa area 222 during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bar support.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271호 (공고일자 2011.06.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66271 (announcement date 2011.06.17)

본 발명은 제1거치부, 제2거치부, 제3거치부에 다양한 크기의 철근을 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를 간편하게 회전하여 필요한 거치부를 찾아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reinforcing bars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an be easily rotated to find the necessary mounting parts,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work. I want to solve the problem.

또한, 제1거치부, 제2거치부, 제3거치부가 형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거치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또 다른 거치부를 알맞은 크기의 철근에 맞춰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손상에 의해 사용이 불가능하여 철근받침대가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radles are formed, even if any one of the mounts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the other mount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sized reinforcing bars, and thus cannot be used due to damage. Thus,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waste of reinforcing bars.

또한, 제3거치부의 결속편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품 제조 공정시 금형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아 효율적인 제품 제조공정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binding piece of the third cradle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is vertical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no jamming in the mold during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enabling an efficient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I want to solve i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는,
일측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의 양단부에 상기 제1요홈측으로 굴곡진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제1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거치부, 상기 한 쌍의 제1거치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요홈과 상기 제2요홈의 양단부에 수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2후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거치부, 상기 1거치부와 상기 제2거치부의 수직방향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요홈과 상기 제3요홈의 하측 네모서리에 길이방향에 나란한 판 형상인 복수의 결속편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에는 철근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거치부, 한 쌍의 제2거치부 및 한 쌍의 제3거치부는, 각각 철근받침대의 일면과 그 대향면에 형성되어 전방향 사용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제작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는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되어, 제작시 상측 금형에 딸려 올라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above,
A pair of first cradles in which a first concave to one side and a pair of first hooks in the shape of hooks bent toward the first concave groov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cave groove, the one A pair of second cradles in which a secon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radles and is concave to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hooks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plat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ecess As long as a plurality of binding pieces in the shape of a pl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lower square of the part, the first and second cradl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cave to one side of the third recess and the third recess. Including a pair of third cradles,
The reinforcing bar is bound to the binding piece by a force-fitting method,
The pair of first mounting portions, a pair of second mounting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respectively, so that omnidirectional use is possible,
It is manufactured by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so that there is no part to be caught in the direction rising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does not rise with the upper mold during production. It is d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제3거치부는, 상기 제3요홈의 중간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crater has a circular through-hol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hird rec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1거치부, 제2거치부, 제3거치부에 다양한 크기의 철근을 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철근받침대를 간편하게 회전하여 필요한 거치부를 찾아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bar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brackets, so that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an be easily rotated to find a necessary mounting part and efficient construction.

또한, 제1거치부, 제2거치부, 제3거치부가 형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거치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또 다른 거치부를 알맞은 크기의 철근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first cradle, the second cradle, and the third cradle are formed, even if any one of the cradles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use another cradle according to a reinforcing bar of an appropriate size.

또한, 제3거치부의 결속편의 형상이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공정시 금형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아 효율적인 제품 제조공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binding piece of the third cradle is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the mold is not jam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enabling an efficient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c은 도 1a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2a는 또 다른 실시예인 제1후크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인 제2후크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좌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인 제1후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후크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FIG. 1A viewed from the front.
Fig. 1C is a left side view showing Fig. 1A viewed from the left side.
Fig. 1D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Fig. 1A as viewed from abov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n which a first hook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Fig. 2B is a left side view showing Fig. 2A viewed from the left side.
FIG. 2C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top of FIG. 2A.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n which a second hook, which is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in a fan shape.
FIG. 3B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view of FIG. 3A from the left side.
FIG. 3C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top of FIG. 3A.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n another embodiment, wherein the first hook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hook is formed in a fan shape.
FIG. 4B is a top view showing a state of FIG. 4A viewed from the top.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Prior to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가 하기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의 도면은 도면에 참조에 의한 설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어서, 다소 과장된 부분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과 실제 제품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allow the description by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clearly understood, and thus there is a somewhat exaggerated part. Accordingly,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tual produ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a를 참조하여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도 1b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after an overview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with reference to FIG. 1A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cise and clear,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B to 4B.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1)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속되어 철근을 지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reinforcing bar by being bound with the reinforcing bar to be reinforced in the formwork when construct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또한,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1)는 제3거치부(30)에 형성되는 결속편(33)의 형상이 금형틀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품 제조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is formed in a vertical plate shape in which the binding pieces 33 formed on the third holder 30 are not jammed in the mold fram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It can be done efficiently.

이와 같은,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1)는 제1거치부(10), 제2거치부(20), 제3거치부(30)를 포함한다.As such,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10, a second mounting portion 20, and a third mounting portion 30.

이하, 도 1b 내지 4b를 참조하여,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components constituting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B to 4B.

한 쌍의 제1거치부(1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요홈(11)과 제1요홈(11)의 상단부 양측에 제1요홈(11)측으로 하향 굴곡진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제1후크(13)를 포함한다.The pair of first cradles 10 is a pair of hooks curved downward toward the first concave groove 11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1 It includes a first hook (13).

제1거치부(10)에는 철근이 결속될 수 있다. 제1거치부(10)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요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요홈(11)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철근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이 제1요홈(1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Reinforcing bars may be bound to the first cradle 10. A first recess 11 having a shape concave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radle 10. The first concave groove 11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bar by being concave downward. Accordingly, the reinforcing bar may be sea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groove 11.

제1요홈(11)의 상단부 양측에는 제1후크(13)가 형성된다. 제1후크(1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된다.First hooks 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11. The first hook 13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a pair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따라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후크(13)에 의해서 제1요홈(11)에 안착되는 철근이 파지되어 철근받침대(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 seated in the first groove 11 from being gripped by the first hook 13 formed in a hook shap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즉, 철근은 제1후크(13)을 통과하여 끼움 결합되어 제1요홈(11)에 안착되어 결속될 수 있다.That is, the reinforcing bar may pass through the first hook 13 and be fitted together to be seated in the first groove 11 and bound.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후크(13)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후크(13)의 형상과 다르게 제1요홈(11)의 중앙부 양측에 상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의 한 쌍의 끼움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2A to 2C, the first hook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pward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groove 11,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first hook 1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formed by a pair of fitting pieces in the shape of a vertical plate.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1후크(13)는 제1요홈(11)의 중앙부 양측에 상측으로 길이가 긴 판 형상의 한 쌍의 끼움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ok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pair of fitting pieces having a long plate shape upwar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groove 11.

한 쌍의 끼움편의 사이에는 철근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어 파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끼움편의 사이에 철근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시키면 끼움편이 철근 외측의 돌기 등에 의해 뭉개져 철근의 돌기와 일체화되고 이에 따라 끼움편과 철근의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이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철근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Between a pair of fitting pieces, a reinforcing bar may be bound and held in a force fitting manner.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a pair of fitting pieces in a force-fitting method, the fitting piece is crushed by a protrusion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and is integrat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bar, there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fitting piece and the reinforcing b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einforcing bar from flowing, thereby firmly holding the reinforcing bar.

또한, 끼움편은 상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철근받침대(1)의 제품 제조공정시 걸림이 발생하는 부분이 없게됨으로써 작업자가 금형으로부터 완성된 철근받침대(1)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iece is formed in a plate shape vertical to the top, so that there is no part where jamming occurs during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the process of forcibly separating the finished reinforcing bar support 1 from the mold is performed. Since it does not have to be carried out,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ncreased.

한 쌍의 제1거치부(10)의 사이에는 한 쌍의 제2거치부(20)가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2거치부(20)는 제1결합부와 동일축상이면서 한 쌍의 제1거치부(10)의 사이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다.A pair of second cradles 20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radles 10. That is, the pair of second cradles 20 are coaxial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radles 10.

제2거치부(2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요홈(21)과 제2요홈(21)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후크(23)를 포함한다.The second cradle 20 includes a second groove 21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and a pair of second hooks 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roove 21.

제2거치부(20)에는 철근이 결속될 수 있다. 제2거치부(20)의 제2요홈(21)은 전술한 제1거치부(10)의 제1요홈(11)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되고 넓이와 길이는 넓고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1거치부(10)에 결속되는 철근보다 큰 직경과 길이를 가진 철근이 결속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may be bound to the second cradle 20. The second concave groove 21 of the second cradle 20 may be formed to have a shallower depth than the first concave groove 11 of the first cradle 10 described above, and have a wider and wider width and length. Accordingly, a reinforcing bar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 length than that of the reinforcing bar bound to the first cradle 10 may be relatively bound.

제2거치부(20)의 제2요홈(21)의 상단부 양측에는 한 쌍의 제2후크(23)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hooks 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roove 21 of the second cradle 20.

제2후크(23)는 수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후크(23)는 직경이 큰 철근이 결속되더라도 넓은 면적의 수평판인 제2후크(23)가 큰 직경이 철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후크(23)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다.The second hook 23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te shape. That is, even if the reinforcing bars having a large diameter are bound together, the second hook 23, which is a horizontal plate having a large area, can easily grip the reinforcing bars having a large diame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bind reinforcing bars of various sizes by the second hook 23.

또한, 제2후크(23)는 소정의 탄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철근이 제2후크(23)를 통과할 때 제2후크(23)가 탄력에 의해 제2요홈(21)측으로 소정만큼 휘어지게 되고 철근이 통과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거치부(20)에 철근이 용이하게 결속됨과 동시에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ok 23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bar passes through the second hook 23, the second hook 23 is bent toward the second groove 21 by a predetermined amount due to elasticity, and after the reinforcing bar passes,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the reinforcing bar is easily bound to the second cradle 20 and can be firmly gripped at the same time.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후크(23)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걸림부(231)와 제1걸림부(2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부(233)를 포함한다.3A to 3C, the second hook 2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ir of first locking portions 231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s 231 formed in a fan shape.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233 formed small.

본 실시예의 제2후크(23)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2후크(23)의 형상과 다르게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후크(23)의 제1걸림부(231)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부채꼴 형상의 제1걸림부(231)의 하측이 철근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걸림부(231)와 철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철근이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철근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The second hook 23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fan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second hook 2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since the first locking portion 231 of the second hook 23 is formed in a fan shape, the lower side of the fan-shaped first locking portion 231 may contact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31 and the reinforcing bar is increas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and the reinforcing bar can be firmly gripped.

제1걸림부(231)의 하측에는 제2걸림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233)는 제1걸림부(2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locking part 233 may be formed under the first locking part 231. The second locking part 233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locking part 231.

따라서, 제1걸림부(231)에 파지되는 철근보다 작은 크기에 철근도 제2걸림부(233)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Accordingly, a reinforcing bar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reinforcing bar gripped 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231 can also be easily gripped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33.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후크(23)는 크기가 다양한 철근들도 용이하게 결속하여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2후크(23)와 철근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철근의 파지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hook 2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bind and grip reinforcing bars of various size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hook 23 and the reinforcing bars is increased to further grip the reinforcing bars. You can do it easily.

제1거치부(10)와 제2거치부(20)의 수직방향에는 한 쌍의 제3거치부(30)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third cradles 30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radle 10 and the second cradle 20.

제3거치부(30)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요홈(31)과 제3요홈(31)의 하측에 형성되는 결속편(33)을 포함한다.The third cradle 30 includes a third concave groove 31 formed downwardly and a binding piece 33 formed below the third groove 31.

제3거치부(30)에는 철근이 결속될 수 있다. 제3거치부(30)의 제3요홈(31)은 전술한 제1거치부(10)의 제1요홈(11)과 동일한 깊이와 길이로 형성되고 넓이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1거치부(10)에 결속되는 철근보다 큰 직경을 가진 철근이 결속될 수 있다Reinforcing bars may be bound to the third cradle 30. The third concave groove 31 of the third cradle 3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pth and length as the first concave groove 11 of the first cradle 10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a wide width. Therefore, a reinforcing bar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reinforcing bar bound to the first cradle 10 can be bound.

제3거치부(30)의 제3요홈(31)의 하측에는 결속편(33)이 형성될 수 있다.A binding piece 33 may be formed under the third recess 31 of the third cradle 30.

결속편(33)은 제3요홈(31)의 하측이면서 4방향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편(33)에는 이형철근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결속편(33)에 의해 철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inding piece 33 may b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third concave groove 31 and in the four directions. The binding piece 33 may take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eformed reinforce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 from being separated by the binding piece 33.

또한, 결속편(33)에는 철근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어 파지될 수 있다. 결속편(33)들의 사이에 철근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시키면 결속편이 철근 외측의 돌기 등에 의해 뭉개져 철근의 돌기와 일체화되고 이에 따라 결속편(33)과 철근의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이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철근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may be bound and gripped in the binding piece 33 in a force-fitting manner.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binding pieces 33 by a force-fitting method, the binding pieces are crushed by a protrusion on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and are integrat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bar, there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inding pieces 33 and the reinforcing ba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einforcing bar from flowing, thereby firmly holding the reinforcing bar.

제3거치부(30)는 전술한 제1거치부(10), 제2거치부(20)와 다르게 제3요홈(31)의 하측에 결속편(33)을 형성함으로써 제3요홈(31)의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요홈(31)의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거치부(10)와 제2거치부(20)에 결속되지 못하는 더 큰 직경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The third cradle 3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radle 10 and the second cradle 20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binding piece 33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concave groove 31, thereby forming a third concave groove 31. The upper side of the can be formed to be open. Accordingly, since the upper side of the third recess 31 is opened and formed, reinforcing bars having a larger diameter that cannot be bound to the first cradle 10 and the second cradle 20 can be easily bound.

결속편(33)은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받침대(1)의 제조공정시에 사용되는 금형에 걸림이 발생하는 부분이 없게됨으로써 작업자가 금형으로부터 완성된 철근받침대(1)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binding piece 3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Therefore, there is no part where the mold us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is jammed,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perform the process of forcibly separating the finished reinforcing bar support 1 from the mold.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즉, 상하로 형성되는 상하 금형으로 철근받침대(1)를 제작하는 경우 상금형과 하금형이 상하측으로 왕복운동이 실시되어 철근받침대(1)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이 분리될 때 상측금형에 걸림이 발생하게 되면 철근받침대(1)가 상측금형에 딸려 올라가게 되고 후속 제조공정을 위해서는 딸려 올라간 철근받침대(1)를 상측금형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제품 제조공정에서 불필요한 공정 단계가 추가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품 제조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image side mold and the lower side mold when fabricating a reinforced base (1) in the top-bottom mold which is formed by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is carried out toward the top and bottom will produce a reinforced base (1). At this time, if the upper mold is jammed wh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separated,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is lifted up with the upper mold, and for the subsequ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upper mold. The process of doing must be don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cannot be efficiently performed due to the addition of unnecessary process steps in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delaying manufacturing.

따라서, 제1거치부(10)와 제3거치부(30)에 형성되는 철근 이탈 방지 구성을 금형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에서 상측금형에 철근받침대(1)가 걸림이 발생하지 않아 분리 공정이 생략되어 제품 제조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reinforcing bar separation prevention configuration formed in the first and third mounting portions 10 in a shape that does not cause jamming in the mold,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is caught in the upper mol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it does not occur, the separation process may be omit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product manufacturing.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1후크(13)는 전술한 상측으로 수직한 판 형상인 걸림편으로 형성되고 제2후크(23)는 부채꼴 형상인 한 쌍의 제1걸림부(231)와 제1걸림부(2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부(233)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a to 4c,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ok 13 is formed as a locking piece in the shape of a plat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hook 23 is a pair of a fan shape. It may be formed of a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233 that ar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231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231.

따라서, 제품 제조공정에서 상측금형에 철근받침대(1)가 걸림이 발생하지 않아 분리 공정이 생략되어 제품 제조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is not jammed in the upper mold in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the separation process is omit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of product manufacturing.

또한, 제3거치부(30)의 제3요홈(31)에 중간에는 원형 형상의 관통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5)은 철근받침대(1)의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관통홀(35)의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콘크리트와 철근, 철근받침대(1)가 일체화 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35 having a circular shape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hird recess 31 of the third cradle 30. The through hole 35 may allow concrete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Therefore, when concrete is poured, the concrete flows into the through hole 35, so that the concrete,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can be integrated.

또한, 콘크리트의 경화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켜줄 수 있어 콘크리트 경화 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콘크리트의 강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s generated by the hardening action of concret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hardening action of concrete is made easier, thereby preventing loss of strength of the concre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 철근받침대
10: 제1거치부
11: 제1요홈
13: 제1후크
20: 제2거치부
21: 제2요홈
23: 제2후크
231: 제1걸림부
233: 제2걸림부
30: 제3거치부
31: 제3요홈
33: 결속편
35: 관통홀
1: reinforcing bar support
10: first cradle
11: the first groove
13: first hook
20: second cradle
21: the second groove
23: second hook
231: first jamming part
233: second jamming part
30: third cradle
31: 3rd groove
33: unity
35: through hole

Claims (5)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받침대(1)에 있어서,
일측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요홈(11)과 상기 제1요홈(11)의 양단부에 상기 제1요홈(11)측으로 굴곡진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제1후크(13)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거치부(10);
상기 한 쌍의 제1거치부(10)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요홈(21)과 상기 제2요홈(21)의 양단부에 수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2후크(23)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거치부(20);
상기 1거치부(10)와 상기 제2거치부(20)의 수직방향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요홈(31)과 상기 제3요홈(31)의 하측 네모서리에 길이방향에 나란한 판 형상인 복수의 결속편(3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3거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편(33)에는 철근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속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거치부(10), 한 쌍의 제2거치부(20) 및 한 쌍의 제3거치부(30)는, 각각 철근받침대(1)의 일면과 그 대향면에 형성되어 전방향 사용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제작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는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형성되어, 제작시 상측 금형에 딸려 올라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
In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A pair of first hooks 13 in the shape of hooks bent toward the first groove 11 at both ends of the first groove 11 and the first groove 11 concave to one side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first cradles 10 formed;
A pair of horizontal plate-shaped second concave grooves 21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radles 10 and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cave to one sid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concave grooves 21 A pair of second cradles 20 on which second hooks 2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quare of the third groove 31 and the third groove 3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cradle 10 and the second cradle 20 and concave to one side Including; a pair of third mounting portions 30 in which a plurality of binding pieces 33 in the shape of a side by side plate are formed,
The reinforcing bar is bound to the binding piece 33 in a force-fitting method,
The pair of first cradles 10, a pair of second cradles 20, and a pair of third cradles 3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1 an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I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It is manufactured by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so that there is no part to be caught in the direction rising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sid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does not rise with the upper mold during production.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거치부(30)는,
상기 제3요홈(31)의 중간에 원형의 관통홀(35)이 형성되는 전방향 사용이 가능한 철근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cradle (30),
A reinforcing bar support capable of omnidirectional use in which a circular through hole 35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hird concave groove 31.
삭제delete
KR1020200073267A 2020-06-16 2020-06-16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KR102241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67A KR102241224B1 (en) 2020-06-16 2020-06-16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67A KR102241224B1 (en) 2020-06-16 2020-06-16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224B1 true KR102241224B1 (en) 2021-04-16

Family

ID=7574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67A KR102241224B1 (en) 2020-06-16 2020-06-16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2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0U (en) * 1993-08-02 1995-03-21 김길자 Rebar pedestal
JP3053678U (en) * 1998-04-30 1998-11-04 株式会社ユハラコーポレーション Rebar support spacer
KR20100085477A (en) * 2009-01-20 2010-07-29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Suport for reinforcing rod
KR20110066271A (en)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Reinforcing bar supporter improved 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0U (en) * 1993-08-02 1995-03-21 김길자 Rebar pedestal
JP3053678U (en) * 1998-04-30 1998-11-04 株式会社ユハラコーポレーション Rebar support spacer
KR20100085477A (en) * 2009-01-20 2010-07-29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Suport for reinforcing rod
KR20110066271A (en)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Reinforcing bar supporter improved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224B1 (en)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used in all directions
JP2016216958A (en) Concrete mold support tool used with precast construction method, and beam construction method
KR20090117224A (en) Device for supporting slave
CN203334669U (en) Triangular clamping device for concrete formwork
KR200481132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assembly of framework
JP4395434B2 (en) In-situ hollow concrete slab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20167B1 (en) Reinforcing bar Pedestal
JP2000240207A (en) Installation of void member of hollow slab
CN209380995U (en) A kind of top beam prefabricated-member mould
JP7322696B2 (en) Hanging jig for anchor bolts
JP2022028326A (en) Beam bottom molding frame
JP3029332B2 (en) Reinforcement cage structure and spacer used for it
KR101183644B1 (en) Device for support wheeler plywood of a ceil mold
KR101744790B1 (en) Unit table for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31375Y1 (en) Installation die of supporter for steel reinforcing concrete
KR102653620B1 (en) Antenna support block with nuts
CN210342452U (en) Steel bar positioning clamp
JP4158048B2 (en) Rebar holding method during block manufacturing process
KR20190134332A (en) Structure for forming cut-off sttopper in concrete boundary wall
KR100583773B1 (en) supporter for form of concrete structure
JP3132634U (en) Spacer for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KR100914045B1 (en) A support for reinforcing steel equipment
JP2005282008A (en)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reinforcement material support tool used in concrete construction, binding pin tool and lightening buried body
KR101117804B1 (en) Concrete roof of a mold
JP4437679B2 (en) Wide rebar rod and method for producing block-shaped semi-cured body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