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052B1 -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52B1
KR102241052B1 KR1020200069228A KR20200069228A KR102241052B1 KR 102241052 B1 KR102241052 B1 KR 102241052B1 KR 1020200069228 A KR1020200069228 A KR 1020200069228A KR 20200069228 A KR20200069228 A KR 20200069228A KR 102241052 B1 KR102241052 B1 KR 10224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quat
barbell
handl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20006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Abstract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가 개시된다.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는, 양쪽 어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가 결합된 어깨거치대(110)와; 상기 세로거치바(111)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120)와; 상기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에 상기 손잡이(120)의 후방에 구비되며 전방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가 끼워지는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이 함몰 형성된 전방거치고리(130)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벨샤프트(10)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끼워지면 무게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부로 회동되며 상기 바벨샤프트(10)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바벨샤프트(10)의 분리경로를 차단하는 전방락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와 손목에 대한 부담은 줄일 수 있으며, 손으로 전방거치고리를 잡고 있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Squat supporting device in two-way}
본 발명은 양방향 스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백스쿼트와 프론트 스쿼트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어깨와 손목에 무리를 줄여줄 수 있으며 바벨샤프트를 손으로 잡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헬스장을 찾아 다양한 운동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헬스장에서는 유산소 운동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근력운동도 수행하게 된다. 이 중, 스쿼트 운동이 널리 수행되고 있다.
도 1은 백 스쿼트 운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백스쿼트 운동은 희망하는 무게만큼의 바벨(20)이 끼워진 바벨샤프트(10)를 사용자의 목 뒤에 얹은 후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양손으로 바벨샤프트(10)를 잡아 중심이 흔들리지 않는 자세로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백 스쿼트 운동은 바벨샤프트(10)를 잡는 손의 위치가 지나치게 뒤로 가 있어 어깨가 좋지 못한 사람의 경우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운동을 하게 되면 건강한 사람도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손목의 부담 뿐만 아니라 전완근에 지나치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세이프티 스쿼트바가 고안되었다. 세이프티 스쿼트바는 손잡이(30)가 일체로 바벨샤프트(10)에 결합되어 있어 손의 위치가 뒤가 아닌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백 스쿼트 운동에 비해 어깨에 부담이 적은 상태로 하체근력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세이프티 스쿼트바는 기본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바벨(20)이 결합된 바벨샤프트(10)에 손잡이(30)까지 일체형으로 결합되므로 무게가 더 무거워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부피도 커서 힘이 약한 연장자나 여성들이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백 스쿼트 운동 외에 기본적인 프론트 스쿼트 운동이 있다. 프론트 스쿼트는 바벨샤프트를 얼굴 밑의 앞쪽 어깨에 얹어놓고 앉았다 일어나며 운동을 하게 된다. 프론트 스쿼트는 바벨샤프트와 바벨의 무게가 앞으로 쏠려 있어 동작으로 수행하면서 몸의 무게 중심을 백 스쿼트 보다 뒤로 보낼 수 있어서 상체를 세울 수 있으며, 좀 더 고립감을 느낄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프론트 스쿼트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론트 스쿼트 운동 동작 역시 어깨나 손목에 무리가 간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바벨 무게가 증가할수록 어깨에 부과되는 무게 때문에 어깨가 건강한 사람도 무게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프론트 스쿼트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형식의 바벨거치대(50)를 사용자의 상체에 거치하고, 바벨샤프트(10)를 바벨거치대(50)의 거치고리(60)에 거치시켜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바벨샤프트(10)를 거치고리(60)에 거치했을 때, 바벨샤프트(10)를 고정시킬 수단이 없어서 스쿼트 동작 수행시에 바벨샤프트(10)가 상하 또는 전후로 이동되거나 거치고리(6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쿼트 동작 수행시에 바벨샤프트(10)가 거치고리(6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손으로 거치고리(60)를 꽉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11779호, "스쿼트 운동기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53446호, "스쿼트 자세 교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깨거치대를 이용해 사용자의 어깨와 손목에 가중되는 부담은 줄이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더라도 바벨샤프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전방과 후방의 바벨샤프트 거치고리를 동시에 락킹할 수 있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는, 양쪽 어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가 결합된 어깨거치대(110)와; 상기 세로거치바(111)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120)와; 상기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에 상기 손잡이(120)의 후방에 구비되며 전방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가 끼워지는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이 함몰 형성된 전방거치고리(130)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벨샤프트(10)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끼워지면 무게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부로 회동되며 상기 바벨샤프트(10)가 상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바벨샤프트(10)의 분리경로를 차단하는 전방락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와 손목에 대한 부담은 줄일 수 있으며, 손으로 전방거치고리를 잡고 있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전방과 후방에 바벨샤프트가 결합되는 전방거치고리와 후방거치고리가 함께 구비되어 프론트 스쿼트와 백 스쿼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전방거치고리와 후방거치고리에는 내부에 수용된 바벨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킹고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스쿼트 동작 수행시에 바벨샤프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접 바벨샤프트를 어깨에 거치하지 않아 어깨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손으로 바벨샤프트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손목과 손에 작용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백스쿼트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세이프트 스쿼트 바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 바벨거치대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의 전방락커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스쿼트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는 사용자의 어깨에 거치되는 어깨거치대(110)와, 어깨거치대(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120)와, 어깨거치대(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프론트 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가 거치되는 전방거치고리(130)와, 전방거치고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거치고리(130)에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전방락커(140)와, 어깨거치대(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백 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가 결합되는 후방거치고리(150)와, 후방거치고리(1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거치고리(150)에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후방락커(160)를 포함한다.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고, 전방거치고리(130)에 바벨샤프트(10)가 결합되어 프론트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방거치고리(150)에 바벨샤프트(10)가 결합되어 백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전방거치고리(130)에 구비된 전방락커(140)와 후방거치고리(150)에 구비된 후방락커(160)가 바벨샤프트(10)와 바벨(20)의 무게에 의해 회동되며 바벨샤프트(10)가 전방거치고리(130) 또는 후방거치고리(15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쿼트 동작시에 손으로 바벨샤프트(10)를 잡지 않아도 되며 손잡이(120)를 잡아 어깨와 손목의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어깨거치대(110)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스쿼트 동작을 위해 바벨샤프트(10)가 사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 어깨에 직접 거치되어 어깨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게 한다.
어깨거치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 폭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와,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의 뒤쪽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연결바(11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와 가로연결바(113) 사이의 공간으로 목을 넣어 어깨거치대(11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에 거치한다.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는 목 뒤쪽부터 앞쪽 가슴까지 이어지게 구비된다.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는 성인의 체형에 맞게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어깨에 거치되었을 때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설계된다. 이 때, 보다 편한 착용감을 위해 세로거치바(111)와 가로연결바(113)에 피부가 닿는 영역에는 쿠션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가로연결바(113)의 상부는 후술할 후방거치고리(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의 전방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스쿼트 동작시에 사용자가 손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손목과 어깨로로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전방거치고리(130)는 한 쌍의 세로거치바(111)의 전방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프론트 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가 거치될 수 있게 지지한다. 전방거치고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거치바(111)의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전방거치고리(130)는 세로거치바(111)에 일체로 결합된다.
전방거치고리(130)는 한 쌍의 판상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판상부재 사이의 거치고리내부(135)에는 전방락커(14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거치고리(130)의 상부에는 하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전방거치고리(130)는 반원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의 일측에는 회동축결합홈(133)이 관통형성된다. 회동축결합홈(133)에는 전방락커(140)의 전방회동축(143)이 결합되어 전방락커(140)가 거치고리내부(135)에서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전방락커(140)는 전방거치고리(130)의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수용된 바벨샤프트(10)가 스쿼트 도중에 전방샤트트수용홈(131)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전방락커(14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샤프트(10)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내부로 바벨샤프트(10)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반면, 전방락커(14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샤프트(10)가 삽입되면, 바벨샤프트(10)와 바벨(20)의 무게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되며 전방샤프트수용홈(131) 내부로 하강된다. 이 과정에서 하강된 전방락커(140)의 전방락킹고리끝단(141b)과 전방샤프트수용홈(131) 사이의 간격(W2)이 바벨샤프트(10)의 직경(r) 보다 작아져 바벨샤프트(10)가 전방샤프트수용홈(131)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방락커(140)는 내부에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이 형성된 전방락킹고리(141)와, 전방락킹고리(141)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전방축결합부재(142)와, 전방축결합부재(142)를 관통하여 회동축결합홈(133)에 결합되는 전방회동축(143)과, 전방회동축(143)과 전방축결합부재(142) 사이에 구비되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전방탄성부재(145)를 포함한다.
전방락킹고리(141)는 내부에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이 형성된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전방락킹고리(14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축결합부재(142)를 중심으로 양측의 길이가 비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일단이 길고 전방락킹고리끝단(141b) 쪽의 길이가 좀 더 짧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바벨샤프트(10)가 삽입되기 전에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을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막아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이 전방을 향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 때, 외부로 노출된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의 폭(W1)은 전방락킹고리(141) 양측의 비대칭 길이에 의해 바벨샤프트(10)의 직경(r) 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바벨샤프트(10)를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에 거치시킬 수 있다.
전방축결합부재(142)는 전방락킹고리(141)의 하부 가운데 영역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가운데 영역에 전방회동축(143)이 관통삽입된다. 전방회동축(143)은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거치고리(130)의 회동축결합홈(133)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거치고리(13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후방거치고리(150)는 가로연결바(113)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반원형상의 관 형태로 결합된다. 후방락커(160)는 후방거치고리(150)의 후방샤프트수용홈(1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락커(160)는 후방거치고리(150)에 결합되는 바벨샤프트(10)의 무게에 의해 회동되며 바벨샤프트(10)를 고정한다.
후방거치고리(150)와 후방락커(160)는 바벨샤프트(10)가 결합되는 방향이 전방거치고리(130) 및 전방락커(140)와 상이할 뿐, 구성과 동작과정은 전방거치고리(130)와 전방락커(14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를 이용한 스쿼트 동작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를 어깨에 착용한다. 바벨샤프트(10)를 거치하지 않은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락커(140)는 전방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거치고리(130)의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의 상부에 돌출되며 전방샤프트삽입홈(141a)이 전방을 향해 노출되게 구비된다. 이 때, 전방락킹고리끝단(141b)과 전방샤프트수용홈(131) 사이의 간격(W1)은 바벨샤프트(10)의 직경(r)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방탄성부재(145)는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샤프트수용홈(131)의 상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전방탄성부재(145)는 토션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방탄성부재(145)는 전방락킹고리(141)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경사진 각도로 위치될 수 있게 탄성력이 조절된다.
사용자는 프론트 스쿼트를 위해 바벨샤프트(10)를 외부로 노출된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결합시킨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벨샤프트(10)가 전방샤프트수용홈(131)에 끼워지면 바벨샤프트(10)의 무게가 전방탄성부재(145)의 탄성한계를 넘어서므로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거치고리(130) 내부로 하강된다. 이 과정에서 전방락킹고리(141)가 전방회동축(14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전방샤프트수용홈(131)과 전방락킹고리끝단(141b) 사이의 간격(W2)이 바벨샤프트(10)의 직경(r) 보다 좁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락킹고리(141)가 바벨샤프트(10)가 분리되는 방향의 경로를 차폐하게 되어 스쿼트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를 손으로 잡고 앉았다 일어서며 프론트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전방거치고리(130)에 결합된 바벨샤프트(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바벨샤프트(10)를 잡고 바벨샤프트(1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바벨샤프트(10)를 들어올리면 바벨샤트프(10)의 하중이 사라지면서 전방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락킹고리(14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전방락킹고리끝단(141b)과 전방샤프트수용홈(131) 사이의 간격이 다시 벌어지면서 바벨샤프트(10)를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백스쿼트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어깨거치대(110)를 어깨에 착용하고 바벨샤프트(10)를 후방거치고리(150)에 결합시킨다. 이 때, 후방거치고리(1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방락커(160)가 회전되며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100)는 전방거치고리(130)와 후방거치고리(150)에 각각 전방락커(140)와 후방락커(160)가 구비되고, 전방락커(140)와 후방락커(160)가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200)는 손잡이(220)를 들어올렸다 내리는 하나의 동작으로 전방거치고리(211)와 후방거치고리(213)를 동시에 닫아 전방거치고리(211) 또는 후방거치고리(213)에 결합된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200)는 어깨 폭에 대응되게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방거치고리(211)와 후방거치고리(213)가 구비된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와, 어깨거치대(2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220)와, 한 쌍의 손잡이(220)의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거치고리(213)를 닫는 후방락킹부재(2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는 바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거치고리(211)는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의 전방에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후방거치고리(213)는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의 후방을 서로 연결하는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바벨샤프트(10)가 거치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손잡이(220)는 손잡이축(221)의 단부에 구비된다. 손잡이축(221)은 손잡이회동축(22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어깨거치대(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손잡이축(221)의 단부에는 원통형의 기어지지원통(227)이 구비되고, 기어지지원통(227)을 관통하여 손잡이회동축(223)이 결합된다. 손잡이축(2210의 하부에는 전방거치고리(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방고리덮개(225)가 구비된다.
손잡이축(221)이 손잡이회동축(223)에 대해 수평하게 회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고리덮개(225)가 전방거치고리(211)의 상부를 덮개 된다. 이에 의해 전방거치고리(211)에 결합된 바벨샤프트(10)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손잡이회동축(223)은 회동축결합바(22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회동축결합바(229)는 기어지지원통(227)이 어깨거치대(1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손잡이회동축(223)을 지지한다.
어깨거치대(110)와 기어지지원통(227) 사이의 이격간격에 후술할 직선가이드축(231)이 직선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후방락킹부재(230)는 손잡이축(221)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어깨거치대(110)의 상면을 직선이동하며 후방거치고리(213)를 덮어 후방거치고리(150)에 수용된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한다.
후방락킹부재(230)는 어깨거치대(110)와 기어지지원통(227) 사이에 배치된 직선가이드축(231)과, 직선가이드축(231)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락킹고리(233)와, 직선가이드축(231)의 상면에 형성된 랙기어(235)와, 기어지지원통(227)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39)를 포함한다.
직선가이드축(231)은 상면에 형성된 랙기어(235)가 기어지지원통(227)의 피니언기어(239)와 맞물려 기어지지원통(227)의 회전방향에 따라 어깨거치대(210)를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축(221)이 상방향으로 들려있을 때는 직선가이드축(231)은 어깨거치대(210)의 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락킹고리(233)는 후방거치고리(213)와 이격된다.
반면, 손잡이축(221)이 하부로 내려졌을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축(231)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락킹고리(233)는 후방거치고리(213)와 접근된다. 이 때, 후방락킹고리(233)와 후방거치고리(213) 사이의 간격이 바벨샤프트(10)의 직경 보다 좁아 바벨샤프트(10)가 외부로 분리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어깨거치대(210)의 상부에는 직선가이드축(231)이 외부로 이동되지 않고 직선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축고정부재(237)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직선가이드축(231)은 피니언기어(239)와 가이드축고정부재(237) 사이에서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손잡이(22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아래로 내리는 한 번의 동작으로 전방거치고리(211) 또는 후방거치고리(213) 중 어느 한 쪽에 바벨샤프트(10)가 결합되더라도 양쪽 거치고리(211,213)에 전방고리덮개(225)와 후방락킹고리(233)가 함께 결합되어 바벨샤프트(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전방과 후방에 바벨샤프트가 결합되는 전방거치고리와 후방거치고리가 함께 구비되어 프론트 스쿼트와 백 스쿼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전방거치고리와 후방거치고리에는 내부에 수용된 바벨샤프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락킹고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스쿼트 동작 수행시에 바벨샤프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접 바벨샤프트를 어깨에 거치하지 않아 어깨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손으로 바벨샤프트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손목과 손에 작용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110 : 어깨거치대
111 : 세로거치바 113 : 가로연결바
120 : 손잡이 130 : 전방거치고리
131 : 전방샤프트수용홈 133 : 회동축결합홈
135 : 거치고리내부 140 : 전방락커
141 : 전방락킹고리 141a : 전방샤프트삽입홈
141b : 전방락킹고리끝단 142 : 전방축결합부재
143 : 전방회동축 145 : 전방탄성부재
150 : 후방거치고리 151 : 후방샤프트수용홈
160 : 후방락커 161 : 후방락킹고리
161b : 후방락킹고리끝단 162 : 후방축결합부재
163 : 후방회동축 200 :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210 : 어깨거치대 211 : 전방거치고리
213 : 후방거치고리 220 : 손잡이
221 : 손잡이축 223 : 손잡이회동축
225 : 전방고리덮개 227 : 기어지지원통
229 : 회동축결합바 230 : 후방락킹부재
231 : 직선가이드축 233 : 후방락킹고리
235 : 랙기어 237 : 가이드축고정부재
239 : 피니언기어

Claims (8)

  1. 양쪽 어깨에 거치되며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거치고리(211)와 후방거치고리(213)가 구비된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와;
    상기 한 쌍의 어깨거치대(210)의 상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손잡이(220)와;
    상기 어깨거치대(210)의 상면에 상기 손잡이(2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후로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후방거치고리(213)에 접근 또는 이격되며 상기 후방거치고리(213)에 결합된 바벨샤프트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후방락킹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0)는,
    상기 어깨거치대(210)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손잡이축(221)과;
    상기 손잡이축(221)의 단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기어지지원통(227)과;
    상기 손잡이축(221)의 하부에 상기 전방거치고리(211)에 대응되는 위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220)가 하부로 회동될 때 상기 전방거치고리(211)를 덮는 전방고리덮개(225)와
    상기 기어지지원통(227)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손잡이회동축(223)과;
    상기 어깨거치대(210)에 상기 기어지지원통(227)이 직선가이드축(231)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상기 손잡이회동축(22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결합바(2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가이드축(231)은,
    후방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후방락킹고리(233)와;
    상면에 형성되는 랙기어(235)와;
    상기 기어지지원통(227)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회동축(223)의 회동시에 상기 랙기어(235)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69228A 2020-06-08 2020-06-08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KR10224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28A KR102241052B1 (ko) 2020-06-08 2020-06-08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28A KR102241052B1 (ko) 2020-06-08 2020-06-08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052B1 true KR102241052B1 (ko) 2021-04-15

Family

ID=7544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28A KR102241052B1 (ko) 2020-06-08 2020-06-08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8100A (en) * 1990-10-17 1992-06-02 Sungaila Alexander F Weight supporting frame for weightlifters
US5211615A (en) * 1992-02-14 1993-05-18 Sides Charles H Weight lifting harness apparatus
US5472398A (en) * 1995-02-14 1995-12-05 Silverman; Steven B. Athletic harness for front squats
KR20160053446A (ko) 2014-11-04 2016-05-13 세메스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213966A1 (en) * 2015-01-23 2016-07-28 Cheng I. Chou Weight Bar Locking Mechanism
US20180318633A1 (en) * 2017-05-04 2018-11-08 Marrs-Bar, LLC Weight lifting bar,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KR20190011779A (ko) 2016-05-28 2019-02-07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유체를 위한 필터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8100A (en) * 1990-10-17 1992-06-02 Sungaila Alexander F Weight supporting frame for weightlifters
US5211615A (en) * 1992-02-14 1993-05-18 Sides Charles H Weight lifting harness apparatus
US5472398A (en) * 1995-02-14 1995-12-05 Silverman; Steven B. Athletic harness for front squats
KR20160053446A (ko) 2014-11-04 2016-05-13 세메스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213966A1 (en) * 2015-01-23 2016-07-28 Cheng I. Chou Weight Bar Locking Mechanism
KR20190011779A (ko) 2016-05-28 2019-02-07 하이댁 프로세스 테크놀로지 게엠바하 유체를 위한 필터 디바이스
US20180318633A1 (en) * 2017-05-04 2018-11-08 Marrs-Bar, LLC Weight lifting bar,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0486B2 (ja) 運動補助具
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MXPA02003707A (es) Un aparato y metodos para ejercicios intensificados y alivio de dolor de espalda.
KR102241052B1 (ko) 양방향 스쿼트 보조기구
KR101629724B1 (ko)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이동방법
CN211215232U (zh) 一种神经内科用自主训练装置
US11019932B2 (en) Modular sexual assistance apparatus
KR200393369Y1 (ko) 스윙 및 틸팅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KR101787532B1 (ko) 노약자용 지팡이
KR200257056Y1 (ko) 의자 밑판의 슬라이드장치
CN210583513U (zh) 一种骨折病患卧式康复治疗仪
CN209863627U (zh) 扶手装置
CN112137826A (zh) 按摩机
KR101975563B1 (ko) 스쿼트 운동 장치
JP2005137810A (ja) 整体手技方法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CN205586449U (zh) 一种运动健身器材
CN212036794U (zh) 一种具有手机夹持机构的电竞椅
CN213697780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手部锻炼装置
US20220370281A1 (en) Crutch and sitting device
GB2118849A (en) Exercise bench
CN214181647U (zh) 一种下肢分合训练器
JP3219388U (ja) 運動器具
JP7434429B2 (ja) 手摺装置
CN220002065U (zh) 一种急诊重症体位约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