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930B1 - 미술심리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미술심리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930B1
KR102240930B1 KR1020190007051A KR20190007051A KR102240930B1 KR 102240930 B1 KR102240930 B1 KR 102240930B1 KR 1020190007051 A KR1020190007051 A KR 1020190007051A KR 20190007051 A KR20190007051 A KR 20190007051A KR 102240930 B1 KR102240930 B1 KR 10224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eature
cat
fish
fea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021A (ko
Inventor
김영나
Original Assignee
(주)지영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영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지영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9000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9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심리검사를 자동화함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판단에 보조적으로 또는 전문가 판단을 강화하기 위해 전자계산기 및/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검자가 그린 그림이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그림 해석기;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 상기 그림해석기에서 해석된 그림으로부터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특징들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를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판단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 해석기, 분류기, 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학습 및 추론 모델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료 해석, 분류, 추론을 위한 전자계산 시스템(예를 들어, 심층신경망, 이미지프로세서, 알고리즘 연산기 등)으로 구현된다.

Description

미술심리검사 장치 {Apparatus for psychiatric evaluation using art}
본 발명은 심리검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술 또는 그림을 이용한 심리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전자계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리검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미술이나 그림을 통해서 수행하는 심리검사가 있다. 이러한 미술심리검사는 취학 전 유아의 경우는 발달기능검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미술심리검사는 그림 표현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요소인 형, 움직임, 공간사용법에 의해 파악된다. 다양한 심리검사 항목을 반영하도록 연구된 그림을 피검자로 하여금 그리게 함으로써 피검자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는 갈등이나 긴장, 개인적인 심리, 성격, 사회성, 가족화 경향 등을 투사시킨다. 이를 통해 피검자의 무의식에 관한 정보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미술심리검사는, 여타 심리검사도 그러하지만, 전문가가 판독해야 하므로 시간이 소요되며 해석 결과가 불균일한 측면이 있다. 특히 피검자에게 사실상 간단한 판단만 해 줘도 되는 사안의 경우에 전문가가 직접 수행하지 않아도 될 경우도 있다. 즉, 반드시 전문가가 수행해야 할 것도 있는 반면에, 전문가가 직접 행하지 않아도 될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 모바일 등을 통한 대중서비스, 1차적(초벌) 해석, 범죄 프로파일링, 인적성 검사 등에서 심리검사의 본질이 아닌 약식으로 선행검사 자료로 필요한 경우 등이다.
본 발명은 미술심리검사를 필요한 경우에 한정적이나마 자동화함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판단에 보조적으로 또는 전문가 판단을 강화하기 위해 전자계산기 및/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자가 그린 그림이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그림 해석기;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 상기 그림해석기에서 해석된 그림으로부터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특징들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를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판단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 해석기, 분류기, 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학습 및 추론 모델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료 해석, 분류, 추론을 위한 전자계산 시스템(예를 들어, 심층신경망, 이미지프로세서, 알고리즘 연산기 등)으로 구현된다.
상기 그림 해석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 동심원 해석부, 사회성 해석부, 나무그림 해석부, 물고기그림 해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기는 고양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동심원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 사회성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물고기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 및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동심원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 상기 분류기의 사회성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술심리검사를 자동화함으로써 전문가에 의한 판단에 보조적 역할을 함은 물론 전문가의 판단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바일 등을 통한 대중서비스, 초벌 해석, 범죄 프로파일링, 인적성 검사, 약식 심리검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미술심리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좌우뇌 선호도 검사와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고양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3a와 도 3b는 가족화(life space)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동심원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4a와 도 4b는 사회성(social atom)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세모·동그라미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5는 성격, 성향,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나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6a와 도 6b는 가족관계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물고기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시도
도 7은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 및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8a~d는 고양이 그림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9a, 9b는 고양이 그림의 예시도
도 10a~g는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1은 동심원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life space)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를 나타낸다.
도 12a~c는 동심원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3은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나타낸다.
도 14a~i는 사회성 판단용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5는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16a~g는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7은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도 18a~h는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의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미술심리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피검자가 그린 그림이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데, 이 그림을 전처리하는 그림 전처리기(10)가 있다. 그림의 전처리는 이미지 스캐닝에 의해 또는 페인팅툴에의 직접 입력에 의해 입력된 그림으로부터 특징을 해석하기 위해 이후의 자동차 처리 단계에서의 에러를 줄이고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림의 화질이나 선명도, 명도, 채도, 색상, 기울기 등을 보정하는 역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술심리검사에서 필요한 그림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도 2는 좌우뇌 선호도 검사와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고양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3a와 도 3b는 가족화(life space)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동심원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4a와 도 4b는 사회성(social atom)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세모·동그라미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5는 성격, 성향,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나무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도 6a와 도 6b는 가족관계 및/또는 심리 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에게 물고기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지시서의 예를 든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그림 해석기(20)는, 피검자가 그려서 입력한(또는 스캔 입력한) 그림을 전처리기(10)가 전처리한 후에,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feature)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의 미술심리검사 장치는 특히, 고양이그림 해석부(100), 동심원 해석부(200),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 나무그림 해석부(40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를 포함한다. 각 해석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차후에 기술한다. 여기서 그림 해석기(20)는 CNN(컨벌루션신경망), RNN(순환신경망)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그림자료를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학습/추론 신경망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에 그림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석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그림 해석 실적이 쌓이면서 이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
분류기(30)는 그림 해석기(20)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이것도 역시 CNN, RNN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추출된 특징을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본 발명의 미술심리검사에 특화된 신경망 모델(학습 및 추론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에 그림 해석 데이터를 입력하여 라벨별로 분류한다. 점진적으로 분류 실적이 쌓이면서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 분류기(30)는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동심원 해석부(2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 사회성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차후에 기술한다.
판단기(40)는 그림해석기(20)의 각 고양이그림 해석부(100), 동심원 해석부(200), 사회성 해석부(300), 나무그림 해석부(400),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되고 분류기(30)의 각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동심원(가족화) 특징 분류부(250),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들로부터 다양한 심리상태,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가족화 등의 관심사항을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판단기(40)는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성격, 성향, 심리상태, 가족관계 등을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Life Space(가족화)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와, 분류기(30)에서 분류된 특징(예를 들어,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포함한다.
판단기(40)도 또한 CNN, RNN 등의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축할 수 있다. 분류된 특징들을 학습데이터로서 신경망에 다수 입력하여 학습시켜서 학습/추론 신경망 모델을 구축한 후에 이 신경망 모델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판단 실적이 쌓이면서 이 신경망 모델의 성능은 진화될 것이다. 역시 더 자세한 내용은 차후에 기술한다.
도 7은 고양이그림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600) 및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먼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7에서 보듯이 고양이의 정적모습과 동적모습, 개념적(구체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 고양이 크기의 대소, 좌측 응시방향과 우측 응시방향, 하향 꼬리방향과 상향 꼬리방향, 많은 세부묘사와 적은 세부묘사,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 있음과 없음, 물체 크기의 대소, 표현의 입체성과 평면성, 입의 묘사와 불묘사, 색경계 표현과 불표현, 고양이 수가 1마리 또는 1마리 초과, 지문 또는 표시의 유무이다.
이상의 각 라벨별로 분류된 고양이그림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 피검자의 뇌 선호도를 판단하여 좌뇌선호도 판단결과(610) 또는 우뇌선호도 판단결과(620)로서 출력된다.
도 7에 나타낸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좌우뇌 선호도(피검자가 좌뇌 스타일인지 또는 우뇌 스타일인지)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도 8a와 같이 감정이 없는 무표정의 고양이 그림은 좌뇌 스타일로 판단하고, 도 8b와 같이 감정이 보이는 표정이 있는 고양이 그림은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인간의 희로애락을 관장하는 것은 우뇌이다. 그러므로 고양이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을 수 있다면 우뇌 스타일이며, 좌뇌 스타일은 고양이의 감정을 읽을 수 없는 무표정한 얼굴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색이 적은 고양이 그림은 좌뇌 스타일을 나타내고, 도 8d와 같이 색이 많은 고양이 그림은 우뇌 스타일을 나타낸다. 좌뇌 스타일은 사용하는 색의 양이 적고 단순한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우뇌 스타일은 사용하는 색의 수가 많아 화면이 풍성하게 보인다.
이상의 도 8a, 8b, 8c, 8d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들과 각 특징에 대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의 좌우뇌 선호도 판단에 필요한 특징은 고양이 모습 특징(152), 표현정도 특징(154), 세부묘사 정도 특징(162), 고양이 주변의 스토리 또는 물체 특징(164), 물체 크기 특징(166), 입체 표현 특징(168)이다.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고양이 모습 특징(152)이 정적인 경우에는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는 좌뇌 스타일로 판단하고, 동적인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a에 나타낸 것은 정적인 고양이 모습의 예이다.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는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정적/동적인 고양이 모습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고양이의 표현정도 특징(154)은 개념적(구체적)인 경우와 추상적인 경우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좌뇌 스타일로, 후자의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는 판단한다. 여기서, 개념적 고양이 표현 특징의 예를 들자면, 머리는 앞 모습, 수염은 좌,우 각 3개, 몸은 옆 모습, 다리는 4개, 꼬리는 1개를 갖는 고양이 그림이다.
세부묘사 정도 특징(162)은 많음과 적음으로 분류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로, 후자의 경우에는 좌뇌 스타일로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는 판단한다. 여기서, 세부묘사의 정도는 고양이의 발이 보이고 발가락이 분화되어 있는 등의 모습을 예로 들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고양이의 세부묘사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고양이 주변의 스토리 또는 물체 특징(164)의 유무에 따라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서는 피검자의 뇌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우뇌 스타일,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없으면 좌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b는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그려져 있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책상 위에 고양이가 올라가 있고, 책상 좌측에 네모난 가구(냉장고로 판단해도 무방함)가 있고 우측에는 문이 있으며 벽에는 그림이 붙어 있다. 특징 추출 모델은 먼저 학습된 고양이의 형상을 추출하고, 그 주변에 다른 물체, 나아가서는 스토리가 존재하는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고양이 주변에 있는 물체의 크기 특징(166)이 큰지 작은지도 또한 좌우뇌 선호도 판단의 기준이 된다. 전체적인 면적에 비해 물체가 큰 경우는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책상, 냉장고, 문 등의 물체 크기는 크고, 나머지 물체는 작게 그리는 등 물체 크기 차에 민감한 그림의 경우에도 우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입체 표현 특징(168)을 추출하여 입체적으로 그림이 표현된 경우는 우뇌 스타일로, 평면적으로 표현된 경우는 좌뇌 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9b의 그림에 대해서 특징 추출 모델은 냉장고와 책상이 겹쳐 있는 화면구성으로부터 원근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입체적 그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다시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검사를 이른바, '고양이 심리검사'라고 부른다. 도 7에 나타낸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
도 10a의 왼쪽과 같이 밤의 풍경 속에 고양이의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오른쪽과 같이 차 밑에 숨어 있는 고양이는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 경향과 자존감이 부족하고 열등감이 많을 확률이 있다. 도 10b와 같이 쓰레기통을 뒤지는 길고양이 그림도 역시 피검자가 자존감이 부족한 사람일 확률이 크다. 도 10c와 같이 고양이의 형체가 너무 약하여 눈에 잘 보이지 않아도, 자존감이 약하고 열등감이 심할 가능성이 많다. 도 10d와 같이 고양이의 모습이 작은 경우에는, 자존감이 적다고 볼 수 있으며 열등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도 10e와 같이 몸은 안에 있지만 밖을 동경하는 경향을 보이는 아이의 대부분은 사회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갖는다.
도 10f와 같이 유난히 큰 고양이와 유난히 작은 고양이는 큰 고양이를 상징하는 사람에게 의존적인 경우일 가능성이 많다.
도 10g와 같이 의자 위에 혹은 방석 위에 앉은 교만한 자태의 고양이는 잘난 척하거나 왕자병, 공주병일 확률이 크고 자기중심적 사고를 가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상의 도 10a~g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양이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 상태 또는 성격 등을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7로 돌아가,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 분류된 특징들과 각 특징에 대한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심리 판단부(700)에서의 판단에 필요한 특징은, 좌우뇌 선호도 판단부(600)에 필요한 특징들과 일부 겹치는 고양이 모습 특징(152)에 덧붙여, 고양이 크기 특징(156), 응시방향 특징(158), 꼬리방향 특징(160), 고양이 입 묘사 특징(170), 색경계 특징(172), 고양이 수 특징(174), 지문 또는 표시 특징(176)이다.
각 특징에 대한 심리 판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양이 모습 특징(152)이 정적이면(도 9a 참조) 심리 판단부(700)에서는 이 피검자의 심리 상태가 수동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150)에서는 많은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특징 추출 모델을 이용하여 정적인 고양이 모습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고양이 크기 특징(156)으로부터 고양이 크기가 작은 경우는 큰 경우에 비해 자존감이 떨어지고 열등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고양이 크기의 기준은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표현 면적이 그림 전체 면적의 30% 미만인 경우를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응시방향 특징(158)은 고양이의 얼굴 또는 눈이 좌측을 향하는지 우측을 향하는지로 분류되는데, 응시방향이 좌측방향일 때는 과거지향적, 우측방향일 때는 미래지향적으로 피검자의 심리 내지는 성격을 판단한다. 응시방향은 고양이 형상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얼굴, 눈, 귀, 코, 입, 수염 등의 요소의 몸체에 대한 위치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꼬리방향 특징(160)은 상향이냐 하항이냐로 분류된다. 꼬리방향이 아래쪽이면 순종적, 위쪽이면 불순종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고양이 입 묘사 특징(170)으로, 고양이의 입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피검자의 말수가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한다.
색경계 특징(172)은 경계선 영역을 잘 지켜서 색칠을 했느냐 아니냐의 특징인데, 색 표현의 경계선이 잘 지켜져 있으면 협응력이 좋고 섬세한 것으로 판단한다.
고양이 수 특징(174)은 형제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마리의 고양이가 그려져 있으면 1자녀의 형제 관계를 나타내고, 1마리가 넘는 고양이가 그려져 있으면 다자녀의 형제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고양이 그림 중에 포함된 지문 또는 표시 특징(176)은 식탐, 욕심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동심원 해석부(1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life space)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를 나타낸다.
먼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1에서 보듯이 부모표현 특징(252), 동심원내 부모 기재여부 특징(254), 나와 부모간 거리 특징(256),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258), 선의 형태 특징(260)이다.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동심원 특징들은 판단기(40)의 가족화 판단부(800)에서 피검자의 가족화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
도 11에 나타낸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와 가족화 판단부(8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동심원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도 12a는 동심원 그림으로 자존감.열등감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내(그림을 그린 피검자)가 집 밖으로 나가있는 경우는 부모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는 사람으로 열등감이 클 확률이 크다. 그래서 가족이라는 의미가 이 피검자에게는 많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도 12b는 동심원 그림으로 의존성을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나와 함께 중심에 같이 있는 사람은 나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것은 그 사람과 내가 비슷한 성향의 가졌을 확률이 높으며, 혹은 그 사람에게 의존적일 가능성이 있다.
도 12c는 동심원 그림으로 자기 과시욕, 자기 중심적 사고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자신의 모습에 장식을 하거나 나를 중심에 두고도 문구 등으로 강조를 하는 것은 자기 과시욕이나 강한 자기애에 대한 표현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피검자들은 나의 위치를 반드시 중앙에 그리며, 자기 중심적인 성향을 가지는 경향이 많다.
이상의 도 12a~c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동심원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 관련 성향,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1로 돌아가,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 관련 심리, 성향을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8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동심원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한 특징들 중의 부모 표현 특징(252)에서 부모 표현이 있는 경우에는 가족화 판단부(800)에서는 부모 중심 가정이며 부부 갈등이 적다고 판단하고, 없는 경우에는 그 반대의 판단결과가 가족화 판단부(800)에서 출력된다.
동심원내 부모위치 특징(254)은 가부장적 가정인지를 또는 모친의 순종성을 판단하기 위한 특징이다. 부모를 중심에 그린 경우에는 부모 중심의 가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부모는 부부간의 갈등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부모를 집안의 중심에 그리면서도 만일 부친이 위에, 모친이 아래에 위치한다면 이 가정은 가부장적 가정으로 모친이 순종적인 가정이며, 만일 모친이 위에, 부친이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면 이 가정은 모친 위주의 가정이라고 판단한다.
나와 부모간 거리 특징(256)이 나와 부모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나에 대한 부모의 지지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멀다면 지지도가 낮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나와 부모의 거리에 비해 동생과 부모의 거리가 더 가까운 것으로 그려져 있다면, 부모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동생이라고 판단한다.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258)이 나와 형제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나와 형제간의 관계가 좋다고 판단하고, 멀다면 관계가 나쁘다고 판단한다.
선 형태 특징(252)이 직선이라면 우호적인 것으로, 점선이라면 적대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나와 동생의 거리가 멀고 나와 동생 사이를 점선으로 표시한 경우는 동생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사회성(social atom) 해석부(3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를 나타낸다.
먼저, 사회성 특징 분류부(2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3에서 보듯이 인원수 특징(352), 도형 겹침 특징(354), 도형 크기 특징(356), 도형간 크기 편차 특징(356), 형제표시 특징(356), 나와 형제간 거리 특징(356)이다.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사회성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사회성 판단부(900)에서 피검자의 사회성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
도 13에 나타낸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와 사회성 판단부(9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사회성 판단용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도 14a와 같이 세모와 동그라미의 크기가 일정하면 이성주의자이며 좌뇌스타일로 자기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도 14b와 같이 세모나 동그라미의 크기의 차가 심하면 감정주의자이며 우뇌스타일로 판단한다.
도 14c와 14d처럼, 좋아하는 사람들은 유난히 크고 겹치게,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유난히 작고 멀게, 즉 크기나 거리의 구분이 정확하게 두 가지로 양분되도록 그리는 피검자는 감정주의자인 우뇌 스타일의 사람으로, 좋고 싫음에 대한 선호도가 심한 사람일 확률이 높으며, 이런 이유로 심한 감정의 기복을 나타내거나 심한 고집을 부리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도 14e와 같이 다른 사람에 비하여 내가 유난히 작다면 자존감이 약한 사람일 확률이 높다.
도 14f와 같이 7~8명 미만의 사람을 그리면 사회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도 14g와 같이 7~8명 이상의 사람을 그리면 사회성이 원만하다고 판단한다.
도 14h와 같이 다른 사람 속에 내가 있으면 그 사람과 고착된 상태를 의미하며 의존적인 경우일 가능성이 많다. 피검자가 어린 아이일 때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하나, 혹 피검자가 고학년이거나 성인이라면 어린 아이와 같은 사고를 지닌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
도 14i와 같이 다른 사람에 비하여 내가 유난히 크고, 별, 하트, 왕관 등과 같은 요소로 치장을 했다면 자기 과시욕이 큰 사람일 확률이 높다. 자기 중심적일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도 14a~i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성검사를 위한 세모/동그라미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3으로 돌아가, 사회성 특징 분류부(3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 성향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9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인원수 특징(352)으로 도출된 인원수(피검자가 그린 세모나 동그라미의 수)가 7, 8명 기준 이상이면 사회성이 양호하고, 그 미만이면 좋지 않다고 판단한다. 만일 도형의 수가 7개 또는 8개를 그렸다면 사회성이 비교적 원만하다고 볼 수 있으나 사회성이 아주 높다고 판단하지는 않는다.
도형 겹침 특징(354)을 볼 때 도형간 겹침(중첩)이 많은 사람은 선호도가 명확하고 감정기복이 크며 고집이 세다고 판단한다. 도형 겹침이 적고 도형간 분리된 양상일 때에는 그 반대 성향의 사람이라고 판단한다.
도형간 크기 및 편차 특징(356)에서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크기가 작거나 크다면 피검자는 무난한 사회성을 가지며 이성적이고 통제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실례로, 좋아하는 사람들은 유난히 크고 겹치게,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유난히 작고 멀리, 즉 크기나 거리의 구분이 정확하게 두 가지로 양분되도록 그린 경우, 좋고 싫음에 대한 선호도가 심한 사람일 확률이 높으며, 이런 이유로 심한 감정의 기복을 나타내거나 심한 고집을 부리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형제표시 특징(356)을 추출하여 모든 형제가 표현되었으면 관계가 좋고, 그리지 않은 형제가 있으면 배척하거나 관계가 나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가족 중 동생을 그리지 않을 때에는 동생을 배척하려는 모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나와 형제/부모간 거리 특징(356)에서 형제/부모와의 거리가 가까우면 친밀한 관계이지만 멀면 갈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5는 나무그림 해석부(4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먼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5에서 보듯이, 압력부재 특징(452), 열매 표시 특징(454), 줄기 특징(456), 선 중첩도 특징(458), 가지의 짝 형태 특징(460), 가지의 3차원 표현 특징(462), 가지 방향 특징(464), 관 완성도 특징(466), 잎 특징(468), 뿌리 특징(470), 관부 강조위치 특징(472), 관부 위 줄기표현 특징(474)이다.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나무그림 특징들은 판단기(40)의 심리 판단부(700)에서 피검자의 심리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
도 15에 나타낸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도 16a와 같이 곧고 각진 형태의 가지는 저항력, 적응곤란, 고집이 센, 다루기 곤란한, 불평주의자, 흥분하기 쉬운 감정 주의자로 판단한다. 도 16b와 같이 그늘지거나 음영이 있는 관은 감정에 의해 좌우되는, 감정이입, 분위기에 좌우되는, 정확성의 결여, 쾌락 추구형, 색깔에 기쁨을 느끼는, 색에 예민한 부드러운, 여자 같은 성향 또는 심리로 판단한다. 도 16c처럼, 떨어지고 있는, 떨어진 열매는 상실, 어떤 것을 희생함, 어떤 것을 포기함, 산만, 집중력 부족, 열등감의 심리로 판단한다. 도 16d와 같이 상하로 대칭되어 그려진 가지는 의욕적, 순종하지 않는, 불평하고 제멋대로, 적응성 결핍, 사회성 부족으로 판단한다. 도 16e와 같이 고정되고 반복된 열매나 잎은 지체된 발달, 독립심이 없는, 의존적인, 자기 표현능력의 결여로 판단한다. 도 16f와 같이 나무 몸통 주위에 말뚝 등의 지지를 받고 있는 가지는 안전에 대한 욕구, 불안정성, 독립성의 결여, 자기 신념의 결여, 지지를 구하는 심리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6g와 같이 꽃이 그려져 있으면, 자기 존경, 아름다운 것에 집착하는, 자기 자신을 장식하는, 가면적인, 그럴듯하게 꾸미는, 기울어진 지면선, 불안정, 의지가 약한, 적응하려고 하지 않는, 불신임, 억제의 심리로 판단한다.
이상의 도 16a~g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나무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5로 돌아가,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4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압력부재 특징(452)은 화면이 비어 있는 정도인데, 압력이 부재한 경우(여)는 민감한, (실제에 발을 딛고 있지 않은) 현실 부적응, (정신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르는) 혼란의 심리를 가진 것으로 판단한다.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부)는 그 반대 성향의 심리로 판단한다.
열매 표시 특징(454)에서 열매가 표시된 경우는 시각적 재능, 관찰하려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줄기(몸통) 특징(456)에서 피검자가 표현한 몸통부의 상부와 하부(밑둥)가 일치하는 경우와 상부보다 하부(밑둥)가 더 넓게 표현된 것을 파악하여, 후자의 경우에는 억제, 또는 사고에 있어서 봉쇄적인 심리로 판단한다.
선 중첩도 특징(458)에서는 여러 선의 중복이나 겹침의 차이, 선의 흩어진 정도를 본다. 선이 겹치지 못하고 흩어진 표현일수록 민감성, 예민성, 강한 감정 이입, 성격의 상실, 영역을 분명하게 느끼지 못함(나/너, 자아/대상)으로 판단한다.
가지의 짝 형태 특징(460)에서는 짝을 이루는 가지 형태와 그렇지 않은 형태를 고려한다. 서로 짝 맞춘 형태의 가지로 표현된 경우에 피검자는 적응이 잘 안 되는, 사고와 판단의 결여, 현실감 결여, 지속성 결여, 정리되지 못한 사고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가지의 3차원 표현 특징(462)에서 3차원으로 가지가 표현(가지를 공간적으로 표현)된 경우에는 생산적 재능. 발명가적 재능, 독창적 사고, 고집이 센 것으로 판단한다.
가지 방향 특징(464)은 가지가 위. 하향, 옆으로 뻗은 특징을 포함하는데, 가지가 위로 뻗은 특징일 때에는 감정적 흥분, 갑자기 분노, 현실감 결여의 심리로 판단한다.
관 완성도 특징(466)에서 관이 완성된 특징과 관이 윗줄기와 단절된 특징을 고려하여, 후자의 경우에 열등감, 약한 의지, 자존감 결여인 것으로 판단한다.
잎 특징(468)이 있는 경우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잎이 없는 나무인 경우에는 열등감, 약한 의지, 자존감 결여의 심리를 보여준다. 반면에 잎이 무성한 특징의 경우에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판단한다.
뿌리 특징(470)이 땅 위에 보이는 경우에는 피검자가 보수적이며 정확한 스타일일 확률이 크다.
관부 강조위치 특징(472)이 좌측이 강조된 특징인 경우에는 내향적, 냉정함, 침묵의 심리로 판단한다.
관부 위 줄기표현 특징(474)이 관부 위 줄기를 세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면 피검자는 개척자이며 현실에 대해 솔직한 심리를 가진 것으로 판단한다.
도 17은 물고기그림 해석부(500)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소정의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를 나타낸다. 물고기그림 검사는 가족간의 역동성에 관련된 심리 검사이다.
먼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하는 라벨은 도 17에서 보듯이, 필압정도 특징(552), 물고기외 장식 특징(554), 물고기 크기 특징(556), 물고기 형태 특징(558), 물고기 이빨 특징(560), 돌의 개수 특징(562), 돌의 크기 특징(564), 구조물 특징(566), 풍선 특징(568)이다.
이러한 각 라벨별로 분류된 물고기그림 특징들은 판단기(50)의 심리 판단부(700)에서 피검자의 심리 판단결과로서 출력된다.
도 17에 나타낸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와 심리 판단부(700)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피검자가 그린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전문가가 판단하는 방식에 대해서 소개한다.
도 18a와 같이 모양이나 무늬, 색 등으로 화려한 물고기를 그리는 경우는 감정주의인 우뇌 스타일로 정이 많고 감각적인 성향의 소유자일 확률이 크며, 때론 화려하거나 유행에 민감함, 적개심의 경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8b와 같이 지나치게 많은 물풀 속에 물고기가 숨어 있는 것은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 경향과 열등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8c처럼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작으면 자존감이 낮고 내향적 성향을 가진 소유자일 확률이 높고, 자아축소, 우울의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도 18d와 같이 내 자신을 그리지 않은 사람은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아 존중감이 낮을 확률이 높다. 또 가족 내에서 불안감을 느끼거나 소속감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도 18e와 같이 주변장식에 너무 많이 치중하면 사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도 18f와 같이 주변장식을 하지 않고 물고기만 그리는 경우는 인간관계의 관심도나 고민을 나타내며, 인간관계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한다. 도 18g와 같이 산소공급기가 있으면 의존적인 상태나 성격의 경향을 갖는 사람으로 판단한다. 도 18h와 같이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크면 자기 중심적이며 외향적인 성격의 소유자일 확률이 크고, 때론 공격적, 조급함, 화를 잘 냄, 과장, 부적절한 보상적 방어 감정, 심한 과잉행동 자기확대욕구, 공상적 자아의 경향을 띠기도 한다.
이상의 도 18a~h의 경우는 전문가에 의한 판단 방식인데,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전자계산이 가능하며 그 판단 결과가 재현가능성 있고 지속가능할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물고기 그림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구성과 작용을 도 17로 돌아가,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550)에서 분류한 특징들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700)의 판단 결과를 설명한다.
필압 특징(552)이 정돈되지 않았거나 밀도가 약한 상태의 필압 특징이면 소극적이고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라고 보여지며 우울한 경향을 띠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외 장식 특징(554)이 주변장식을 하지 않고 물고기만 그린 특징인 경우에는 인간관계에 있어 고민이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 크기 특징(556)이 물고기의 형태가 지나치게 작게 표현된 특징인 경우에 자존감이 낮고 내향적 성향을 가진 소유자일 확률이 높고, 자아축소, 우울의 경향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의 크기는 어항 대비 물고기의 상대적 크기로 판단가능하다. 또한, 물고기 크기 특징에는 물고기 간의 상대적 크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부모 중 큰 물고기가 가족 내 권력의 중심이며 권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표현은 대개 중심에 부모 물고기가 크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아빠 물고기만 유독 크게 표현되어 있다면, 이는 아빠의 힘이 제일 세다는 상징적 표현이며, 이런 아빠는 권위주의적인 사람일 확률이 크다.
물고기 형태 특징(558)은 먹이를 먹고 있는 형태, 어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어항 위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물고기간 대화하는 형태의 특징을 포함한다. 먹이를 먹고 있는 물고기의 표현인 경우는 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 경제적인 면에 열심인 부모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가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부터는 피검자가 사고적 성격의 소유자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물고기가 어항 위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부터는 행동적인 면을 중시하는 사람일 확률이 많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물고기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가령, 그 대화 내용이 부모 물고기가 자식 물고기에게 지시를 하고 자식이 그에 대해 대답을 하고 있는 경우라면 피검자의 부모가 지시적인 부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대화 내용이 단절되어 있는 경우라면 가족간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고기 이빨 특징(560) - 이빨을 드러낸 물고기 또는 이빨이 크게 표현된 물고기가 그려져 있다면 부정적이며 억압 혹은 욕구 불만으로 인한 정서의 공격적 상태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돌의 개수 특징(562)은 어떠한 걱정거리나 문제의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돌 또는 자갈이 많으면 많을수록 걱정이나 문제가 큰 것을 의미한다. 돌의 개수는 사전에 설정된 개수(가령, 3개) 이상인지 그보다 적은지로 파악할 수 있다.
돌의 크기 특징(564)도 또한 어떠한 걱정거리나 문제의식을 표현하는데, 돌이 크면 클수록 걱정이나 문제가 큰 것을 의미하며 그 크기가 매우 크면 비사회화적 성향을 의미하기도 한다. 돌의 크기도 어항의 크기에 대비하여 크다/작다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구조물 특징(566) - 집 등의 구조물이 있다면 휴식을 원하거나 보호받고 싶은 욕구, 안정된 집에 대한 소원을 갖는 성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말풍선 특징(568)이 추출되었다면, 이는 곧 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족간 소통의 심리인 것으로 판단한다. 말풍선에 기재된 설명을 문자인식하여서 그 대화의 내용도 추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기능(function) 또는 과정(process)을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specific IC), 프로그래머블 로직소자(FPGA 등), 기타 전자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는 하드웨어 요소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하드웨어 요소와 결합되어 또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로써도 구현 가능한데, 이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피검자가 그린 미술심리검사의 기초자료가 되는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그림 해석기;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그림의 내용을 해석하여 추출한 특징을 사전에 정해놓은 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특징 분류기; 및 상기 그림 해석기에서 해석된 그림으로부터 상기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특징들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리, 성격, 성향, 가족관계, 좌우뇌 선호도, 사회성, 및 가족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판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판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그림 해석기, 특징 분류기, 판단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학습 및 추론 모델을 포함하되,
    상기 그림 해석기는 고양이그림을 해석하는 고양이그림 해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 분류기는 상기 고양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사전 설정된 라벨별로 분류하는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를 포함하고 - 여기서, 사전 설정된 라벨에는 고양이의 표현이 정적인지 동적인지의 고양이 모습 특징; 고양이의 표현이 구체적인지 추상적인지의 표현정도 특징; 고양이의 세부 묘사의 많고 적음의 세부묘사 정도 특징; 고양이 주변에 스토리 또는 물체가 표현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물체 유무 특징; 고양이 주변에 표현된 물체의 크기가 고양이그림 전체 면적에 비해 사전설정값보다 큰지 작은지의 대소 특징; 고양이그림의 표현이 입체적인지 평면적인지의 입체표현 특징; 고양이 크기가 고양이그림 전체 면적에 비해 사전설정값보다 큰지 작은지의 대소 특징; 고양이가 좌측을 응시하는지 우측을 응시하는지의 응시방향 특징; 고양이 꼬리가 상향인지 하향인지의 꼬리방향 특징; 고양이 입이 묘사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고양이 입 묘사 특징; 색칠이 경계선 영역에 맞도록 표현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색경계 특징; 고양이 수가 1마리인지 1마리 초과인지의 고양이 수 특징; 및 그림 중에 포함된 지문 또는 표시가 있는지의 지문 또는 표시 특징이 포함됨,
    상기 판단기는 상기 고양이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좌우뇌 선호도를 판단하는 좌우뇌선호도 판단부 및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그림 해석기는 나무그림을 해석하는 나무그림 해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특징 분류기는 상기 나무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사전 설정된 라벨별로 분류하는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 여기서, 사전 설정된 라벨에는, 나무그림의 화면이 비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압력의 부재 및 존재에 관한 압력부재 특징; 열매가 표시되어 있는지의 열매 표시 특징; 표현된 줄기, 즉, 몸통부의 상부와 하부가 일치하는지 상부보다 하부가 더 넓게 표현되어 있는지의 줄기 특징; 선의 중첩 및 흩어진 정도의 선 중첩도 특징; 가지가 짝을 이루는지 여부의 가지의 짝 형태 특징; 가지가 3차원으로 표현되었는지 여부의 가지의 3차원 표현 특징; 가지가 위. 하향, 및 옆 중의 어느 방향으로 뻗어 있는지의 가지 방향 특징; 관의 표현이 완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관이 윗줄기와 단절되어 있는지의 관 완성도 특징; 나무의 잎이 표현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잎 특징; 뿌리가 표현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뿌리 특징; 관부의 일측이 강조되어 표현되어 있는지 여부의 관부 강조위치 특징; 및 관부에 줄기가 표현되어 있는지 여부의 관부 위 줄기표현 특징이 포함됨,
    상기 판단기는 상기 나무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그림 해석기는 동심원그림을 해석하는 동심원 해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특징 분류기는 상기 동심원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사전 설정된 라벨별로 분류하는 동심원 특징 분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 여기서, 사전 설정된 라벨에는, 상기 동심원그림에 부모가 표현되어 있는지 여부의 부모표현 특징; 동심원 내에 부모를 기재하였는지 여부의 동심원내 부모 기재여부 특징; 피검자와 부모간 거리의 원근에 관한 피검자와 부모간 거리 특징; 피검자와 형제간 거리의 원근에 관한 피검자와 형제간 거리 특징; 및 표현된 선이 직선인지 점선인지에 관한 선의 형태 특징이 포함됨,
    상기 판단기는 상기 동심원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가족화(life space)를 판단하는 가족화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그림 해석기는 사회성(social atom) 그림을 해석하는 사회성 해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특징 분류기는 상기 사회성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사전 설정된 라벨별로 분류하는 사회성 특징 분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 여기서, 사전 설정된 라벨에는, 사회성그림에서 도출된 인원수가 사전설정값 이상인지 미만인지의 인원수 특징; 도형간의 겹침 및 분리의 도형 겹침 특징; 도형의 크기가 사전설정값보다 큰지 작은지의 도형 크기 특징; 도형의 크기의 편차가 사전설정값보다 큰지 작은지의 도형간 크기 편차 특징; 피검자의 형제가 표현되었는지 여부의 피검자의 형제 표시 특징; 및 피검자와 형제간 거리의 원근에 관한 피검자와 형제간 거리 특징이 포함됨,
    상기 판단기는 상기 사회성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사회성을 판단하는 사회성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그림 해석기는 물고기 그림을 해석하는 물고기그림 해석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특징 분류기는 상기 물고기그림 해석부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사전 설정된 라벨별로 분류하는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 여기서, 사전 설정된 라벨에는, 물고기그림의 필압에 관한 필압정도 특징; 물고기그림에서 물고기 이외의 장식 표현 유무에 관한 물고기외 장식 특징; 어항 대비 물고기의 상대적 크기로 판단되는 물고기 크기 특징; 물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 형태, 어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어항 위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 및 물고기간 대화하는 형태에 관한 물고기 형태 특징; 물고기 이빨의 표현 유무에 관한 물고기 이빨 특징; 돌의 개수가 사전설정값보다 많은지 적은지에 관한 돌의 개수 특징; 어항의 크기에 대비하여 사전설정값보다 큰지 작은지에 관한 돌의 크기 특징; 물고기그림에 표현된 구조물의 유무에 관한 구조물 특징; 및 물고기그림에 표현된 말풍선의 유무에 관한 말풍선 특징이 포함됨,
    상기 판단기는 상기 물고기그림 특징 분류부에서 분류된 특징으로부터 피검자의 심리를 판단하는 심리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심리검사 장치.
KR1020190007051A 2019-01-18 2019-01-18 미술심리검사 장치 KR10224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ko) 2019-01-18 2019-01-18 미술심리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ko) 2019-01-18 2019-01-18 미술심리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021A KR20200090021A (ko) 2020-07-28
KR102240930B1 true KR102240930B1 (ko) 2021-04-15

Family

ID=7183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051A KR102240930B1 (ko) 2019-01-18 2019-01-18 미술심리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93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04B1 (ko)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WO2023033241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의 증강과 효율적 관리 방법
WO2023033245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KR20230034666A (ko) *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미술 기반 심리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결과 제공 방법
KR102514357B1 (ko) 2022-12-06 2023-03-27 김미양 스티커 부착을 통한 피검사자의 심리 상태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4361B1 (ko) 2022-12-26 2023-03-27 김미양 스티커 부착을 통한 피검사자의 심리 검사를 제공하는 교재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리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41B1 (ko) * 2020-07-29 2021-04-01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KR102240485B1 (ko) *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통합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CN112674769B (zh) * 2020-12-10 2023-07-18 成都探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心理投射的心理测试方法
KR102442434B1 (ko) * 2021-11-11 2022-09-14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의 생성과 사용자의 심리상태 정보제공 방법
CN114860922B (zh) * 2022-03-25 2023-04-18 南京脑科医院 心理测评量表的分类模型获取方法、筛查方法及系统
KR20240043947A (ko)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이미지분석을 통한 어린이 심리분석 시스템
KR20240070996A (ko) * 2022-11-15 2024-05-2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리 검사용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성격 유형 예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ko)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2987B1 (ko)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스캔 이미지를 이용한 심리검사결과 제공 방법
KR101926836B1 (ko)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심리 스크리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631B1 (ko) * 2016-07-28 2020-04-02 (주) 나무와 숲 비정형데이터 분석기술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1B1 (ko) 2006-04-28 2007-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림을 이용한 심리증상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2987B1 (ko) 2017-02-28 2017-08-31 (주)코뮤즈 스캔 이미지를 이용한 심리검사결과 제공 방법
KR101926836B1 (ko) * 2018-02-09 2018-12-07 (주)마인드엘리베이션 심리 스크리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회금, "좌우뇌기능분화와_좌우뇌선호도가_MBTI_심리유형에_미치는_영향", 석사졸업논문, 연세대, 2003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241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술 심리분석용 데이터의 증강과 효율적 관리 방법
WO2023033245A1 (ko) * 2021-09-03 2023-03-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KR20230034666A (ko) * 2021-09-03 2023-03-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미술 기반 심리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결과 제공 방법
KR102533225B1 (ko) 2021-09-03 2023-05-26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미술 기반 심리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결과 제공 방법
KR102403704B1 (ko) 2021-11-11 2022-05-31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그림 실력 평가 및 미술교육과 글쓰기교육이 연계된 시너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
KR102423852B1 (ko) 2021-11-11 2022-07-22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인공지능모델을 기초로, 맞춤형 미술 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그림 실력을 평가하는 시스템
KR102423853B1 (ko) 2021-11-11 2022-07-22 주식회사 파블로아트컴퍼니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로부터 표현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 , 사용자와의 피드백을 통해 이를 보완하여 사용자의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인공지능 시스템
KR102514357B1 (ko) 2022-12-06 2023-03-27 김미양 스티커 부착을 통한 피검사자의 심리 상태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4361B1 (ko) 2022-12-26 2023-03-27 김미양 스티커 부착을 통한 피검사자의 심리 검사를 제공하는 교재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리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021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930B1 (ko) 미술심리검사 장치
Grethlein et al. Homer’s vividness: an enactive approach
Kleege Sight unseen
Danziger-Russell Girls and their comics: Finding a female voice in comic book narrative
Apter The myth of maturity: What teenagers need from parents to become adults
Ray et al. The weekend novelist
Bishop Pursuing" It" Through" Kew Gardens"
Hering Writing to wake the soul: Opening the sacred conversation within
Grethlein In the Philostratus trap: an enactive and embodied perspective on the Imagines and their enargeia
Gowins Practical Sufism: A guide to the spiritual path based on the teachings of Pir Vilayat Inayat Khan
Higgin What do we do when we draw?
Coyne Painting Pictures with Words-From Theory to System
Konečni Paintings and emotion: a nonemotivist reevaluation
Yolen Wizard's Hall
Khudayberdievich The Necessity of Studying Physiognomics in Portrait Drawing
Green AQA Poetry Anthology-Love and Relationships: York Notes for GCSE (9-1) ebook edition
Khudayberdievich The Role of Physiognomics in Teaching Students to Draw Portraits
Greenwood Predicting Head Pose From Speech
Hammer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the personalities of creative adolescent art students
Gage The Siren of San Francisco
Belser Loving Our Own Bones: Rethinking disability in an ableist world
Moats Speak, Hands
Baert KAIROS. NACHLEBEN, ICONOGRAPHY, HERMENEUTICS
Cannon Apostle Paul: A Novel
Scarrow TimeRiders: Day of the Pred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