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775B1 -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775B1 KR102240775B1 KR1020190124449A KR20190124449A KR102240775B1 KR 102240775 B1 KR102240775 B1 KR 102240775B1 KR 1020190124449 A KR1020190124449 A KR 1020190124449A KR 20190124449 A KR20190124449 A KR 20190124449A KR 102240775 B1 KR102240775 B1 KR 102240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data
- failure
- unit
- deep learning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3136 deep learning mode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13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6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exciting or detecting vibration or accele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4—Fourier, Walsh or analogous domain transformations, e.g. Laplace, Hilbert, Karhunen-Loeve, transfor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정상 유형의 다운샘플링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TFT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설비의 고장을 판별하기 위한 딥 러닝 모델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의 흐름도이다.
130: 주성분 추출부 140: STFT 처리부
150: 데이터 셋 생성부 160: 딥 러닝 모델 생성부
170: 고장 판별부 180: 타겟 소음 데이터 입력부
Claims (20)
- 전동 설비의 고장 유형별 소음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를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성분 소음 데이터에 대해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의 STFT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STFT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을 판별하기 위한 딥 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딥 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타겟 소음 데이터에 대해 상기 딥 러닝 모델을 통해 분류된 고장 유형들중 가장 많은 횟수로 분류된 고장 유형을 상기 타겟 소음 데이터의 고장 유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TFT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 셋(Training data set)과 평가 데이터 셋(Testing data set)으로 소정 비율로 나누는 단계;
상기 학습 데이터 셋과 평가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상기 딥 러닝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을 판별하기 위한 딥 러닝 모델은 컨벌루션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모델인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를 다운 샘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는 50 kHz이고,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의 다운 샘플링 주파수는 20 kHz인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를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는, 유클리디언 거리 분석으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시간당 유사도를 확인한 후 상기 소정 길이를 3초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를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저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의 STFT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에 대해 STFT 변환을 수행하여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딥 러닝 모델에서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정사각형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의 분산과 거리를 측정하여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설비는 감속기 및 전동기를 포함하는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에 연결된 체인, 체인에 연결된 기어, 및 베어링를 포함하는 전동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 유형은 기어의 이(teeth)에 크랙이 생긴 고장, 감속기의 기어가 0.5개 빠진 고장, 감속기의 기어가 1개 빠진 고장, 베어링의 외륜에 결함이 생긴 고장, 베어링 볼에 결함이 생긴 고장, 전동기 축 기어가 1개 빠진 고장, 전동기에서 편심이 발생한 고장 및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의 고장을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방법. - 전동 설비의 고장 유형별 소음 데이터를 취득하는 소음 센싱부;
상기 소음 데이터를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부;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는 주성분 추출부;
상기 추출된 주성분 소음 데이터에 대해 STFT(Short Time Fourier Transform) 수행하여 상기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의 STFT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STFT 처리부;
상기 STFT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을 판별하기 위한 딥 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딥 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딥 러닝 모델 생성부;
타겟 소음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분할부에 입력하는 타겟 소음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타겟 소음 데이터에 대해 상기 딥 러닝 모델을 통해 분류된 고장 유형들중 가장 많은 횟수로 분류된 고장 유형을 상기 타겟 소음 데이터의 고장 유형으로 결정하는 고장 판별부를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TFT 이미지들을 학습 데이터 셋(Training data set)과 평가 데이터 셋(Testing data set)으로 소정 비율로 나누고, 상기 학습 데이터 셋 및 평가 데이터 셋을 상기 딥 러닝 모델에 입력하는 데이터 셋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을 판별하기 위한 딥 러닝 모델은 컨벌루션 뉴럴 네트워크(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모델인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를 다운 샘플링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샘플링 주파수는 50 kHz이고,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의 다운 샘플링 주파수는 20 kHz인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할부는 유클리디언 거리 분석으로 상기 소음 데이터의 시간당 유사도를 확인한 후 상기 소정 길이를 3초로 설정하는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추출부는 상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저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TFT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단위 소음 데이터에 대해 STFT 변환을 수행하여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딥 러닝 모델에서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정사각형 이미지로 변환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 추출부는 상기 단위 소음 데이터의 분산과 거리를 측정하여 단위 소음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소음 데이터를 추출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전동 설비는 감속기 및 전동기를 포함하는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에 연결된 체인, 체인에 연결된 기어, 및 베어링를 포함하는 전동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설비의 고장 유형은 기어의 이(teeth)에 크랙이 생긴 고장, 감속기의 기어가 0.5개 빠진 고장, 감속기의 기어가 1개 빠진 고장, 베어링의 외륜에 결함이 생긴 고장, 베어링 볼에 결함이 생긴 고장, 전동기 축 기어가 1개 빠진 고장, 전동기에서 편심이 발생한 고장 및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의 고장을 포함하는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49A KR102240775B1 (ko) | 2019-10-08 | 2019-10-08 |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449A KR102240775B1 (ko) | 2019-10-08 | 2019-10-08 |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775B1 true KR102240775B1 (ko) | 2021-04-16 |
Family
ID=7574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4449A Active KR102240775B1 (ko) | 2019-10-08 | 2019-10-08 |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77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2687A (ko) | 2021-08-09 | 2023-02-1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교로봇의 운전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KR102638802B1 (ko) * | 2022-12-06 | 2024-02-21 | 한국자동차연구원 | 회전체의 고장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KR20240028657A (ko) * | 2022-08-25 | 2024-03-05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음원을 이용한 소모품 교환 주기 예측 장치 및 방법 |
KR20240041102A (ko) | 2022-09-22 | 2024-03-2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에너지 시계열 데이터 기반 설비 이상상황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KR102767811B1 (ko) * | 2024-09-25 | 2025-02-12 | 김영복 | Ai를 이용한 굴착기 소음 기반 고장진단 시스템 |
KR102820020B1 (ko) * | 2024-01-10 | 2025-06-11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베어링 고장 진단 장치 및 고장 진단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8085A (ko) * | 2015-02-03 | 2017-09-26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이상음 진단 장치, 이상음 진단 시스템, 이상음 진단 방법 및 이상음 진단 프로그램 |
-
2019
- 2019-10-08 KR KR1020190124449A patent/KR1022407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8085A (ko) * | 2015-02-03 | 2017-09-26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이상음 진단 장치, 이상음 진단 시스템, 이상음 진단 방법 및 이상음 진단 프로그램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2687A (ko) | 2021-08-09 | 2023-02-1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교로봇의 운전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KR20240028657A (ko) * | 2022-08-25 | 2024-03-05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음원을 이용한 소모품 교환 주기 예측 장치 및 방법 |
KR102820577B1 (ko) | 2022-08-25 | 2025-06-12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 음원을 이용한 소모품 교환 주기 예측 장치 및 방법 |
KR20240041102A (ko) | 2022-09-22 | 2024-03-29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에너지 시계열 데이터 기반 설비 이상상황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KR102638802B1 (ko) * | 2022-12-06 | 2024-02-21 | 한국자동차연구원 | 회전체의 고장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KR102820020B1 (ko) * | 2024-01-10 | 2025-06-11 |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 베어링 고장 진단 장치 및 고장 진단 방법 |
KR102767811B1 (ko) * | 2024-09-25 | 2025-02-12 | 김영복 | Ai를 이용한 굴착기 소음 기반 고장진단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0775B1 (ko) | 딥러닝 기반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전동 설비의 고장 판별 장치 및 방법 | |
Soualhi et al. | Pattern recognition method of fault diagnostics based on a new health indicator for smart manufacturing | |
Bafroui et al. | Application of wavelet energy and Shannon entropy for feature extraction in gearbox fault detection under varying speed conditions | |
Li et al. | Fault features extraction for bearing prognostics | |
Jaramillo et al. | Condition monitoring of distributed systems using two-stage Bayesian inference data fusion | |
Senanayaka et al. | Multiple classifiers and data fusion for robust diagnosis of gearbox mixed faults | |
Alonso-González et al. | Bearing fault diagnosis with envelop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using CWRU dataset | |
KR20200101507A (ko) | 기계학습을 이용한 회전기계 고장 진단 및 예측시스템 | |
CA2874991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fect diagnosis in a mechanical system | |
Saeki et al. | Visual explanation of neural network based rotation machinery anomaly detection system | |
JP4412306B2 (ja) | 異常判定方法および異常判定装置 | |
Haroun et al. | Misalignment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using AR model of torque signal | |
Cao et al. | Remaining useful life prediction of wind turbine generator bearing based on EMD with an indicator | |
Senanayaka et al. | Multiple fault diagnosis of electric powertrains under variable speed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
CN119150154A (zh) | 螺栓故障诊断模型的构建方法及诊断方法、系统和设备 | |
Yang et al. | Self-attention parallel fusion network for wind turbine gearboxes fault diagnosis | |
Yousaf et al. | Review of Advanced Approaches and Vibration Signature Analysis for Fault Detection, Diagnosis, and Prognosis of Rolling Element Bearings | |
Souad et al. | Fault diagnosis of rolling element bearing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
Mishra et al. | Realistic condition-based anomaly detection of multi-faults in rotating machines | |
Koukoura et al. | Wind turbine intelligent gear fault identification | |
Mandava | A novel lightweight customized convolution neural network for bearing fault classification | |
Tastimur et al. | Defect diagnosis of rolling element bearing using deep learning | |
Magadán et al. | Explainable and interpretable bearing fault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under limited data | |
Koukoura et al. | A diagnostic framework for wind turbine gearboxes using machine learning | |
Saxena et al. | Predictive maintenance of planetary gearboxes using FFT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