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64B1 - A distribution box - Google Patents

A distribu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64B1
KR102240264B1 KR1020190106684A KR20190106684A KR102240264B1 KR 102240264 B1 KR102240264 B1 KR 102240264B1 KR 1020190106684 A KR1020190106684 A KR 1020190106684A KR 20190106684 A KR20190106684 A KR 20190106684A KR 102240264 B1 KR102240264 B1 KR 10224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long side
long
shor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6217A (en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주)램코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램코,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램코
Priority to KR102019010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6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세워져 전방측벽 및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장측벽; 및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세워져 좌측측벽 및 우측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측벽을 포함하는 물류박스에 있어서, 상기 장측벽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홀; 상기 바닥판에서 상기 장측벽의 측면을 대면하는 단측받침대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홈; 및 상기 핀홀에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핀홈에 삽입된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측벽이 상기 바닥판의 내측으로 접혀짐에 따라, 상기 핀홀 및 상기 핀홈에서 상기 연결핀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는 물류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comprising: a bottom plate; A pair of long side wall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form a front side wall and a rear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wall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forming a left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the distribution box comprising: a pin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to have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A pin groove formed in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on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bas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in the bottom plate; And a connection pin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wherein the connection pin moves from top to bottom in the pinhole and the pin groove as the long side wall is folded inward of the bottom plate. It is about the logistics box.

Description

물류박스{A distribution box}Distribution box {A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제조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될 수 있는 물류박스에 관하 것으로서, 일측벽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중이 무거운 제조물품을 적재하고, 다시 개방된 일측벽을 폐쇄한 상태에서 적재된 제조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고, 제조물품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은 상태로 최소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일측벽을 바닥판으로 접거나 바닥판에 세우는 작업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제조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물류박스의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that can be transported in a loaded state, wherein a manufactured article with a heavy load is loaded with one side wall open, and a manufactured article loaded with the opened side wall closed again It can be transported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in a minimum volume when the manufactured product is not loaded, and furthermore, the work process of folding one side wall into a floor plate or erecting it on the floor plate can be easily carried out. It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capable of minimizing the distortion of the distribution box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 in a loaded state.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의 제조현장 및 물품 보관창고 등에서는 원료제품이나 반제품 또는 완제품의 적재나 운반시에 그 적재대상 또는 운반대상 물품을 받침대로서의 박스 상에 올려놓은 상태로 물품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박스에 적재된 상태의 제조물품을 박스와 함께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다.In general, in manufacturing sites and warehouses for storage of various goods, when loading or transporting raw materials, semi-finished products, or finished products, the storage of the goods is carried out while the object to be loaded or the goods to be transported is placed on a box as a support. The manufactured goods in the state of being loaded in the box are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box by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forklift.

이와 같은 종래의 물품 운반 및 적재용 박스는 대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자재를 상하 직각으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부위에 못 등의 고정구를 체결하여 고정시킨 구조를 취하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box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goods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width is intersected at right angles up and down, and a fastener such as a nail is fastened to the crossing portion to be fixed.

그러나 종래의 박스는 먼저 그 제작단계에서 상, 하부재를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부위에 일일이 못질을 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제작과정에 번거로움이 따르고, 또한 물품 운반용으로의 사용시 운반 대상 제조물품과 함께 목적지로 이동된 때에는 이를 다시 회수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대개는 폐기처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폐기에 따르는 자원의 낭비 내지는 폐기물 처리의 어려움이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boxes, in the state of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stage, they are nailed and fixed at the intersections one by one, which incurs hass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s also transported when used for transporting goods. When a product is moved to a destination along with a target manufactured product, it is usually disposed of rather than recovered and used. Therefore, the waste of resources or difficulty in disposing of the waste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25681호를 살펴본다.The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looks a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5681.

종래기술은 박스의 측벽 및 바닥판을 절첩식으로 구성하고, 내용물의 보호를 위해 칸막이가 조립식으로 되는 물류이송용 박스의 칸막이를 제공하고 있다.[0003] The prior art provides a partition for a logistic transport box in which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plate of the box are folded and the partition is prefabricated to protect the content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여전히 그 조립에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며, 한번 조립하면 계속 조립된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 바, 물류박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물류박스의 보관 상에 많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ssembly still requires a lot of time, and once assembled, the assembled form must be maintained. If the distribution box is not used, a lot of space may be required for storage of the distribution box. have.

나아가, 어느 한 측벽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중이 무거운 물품을 적재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시 조립된 상태의 물류박스에서 고정수단을 풀고 적재하고, 다시 고정수단으로 개방된 어느 한 측벽을 세우고 고정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폐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어, 물류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Furthermore, when one side wall is open and a heavy load item needs to be loaded, the fixing means is unscrewed and loaded in the reassembled logistic box, and one side wall opened again by the fixing means is erected and fixed by the fixing means. As a result, the hassle of having to be closed is followed, which can be inefficient for logistics.

또한, 하중이 무거운 제조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물류박스에 외부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물류박스에 뒤틀림이 발생되어 적재된 제조물품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tribution box while the manufactured article having a heavy load is loa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tribution box is warped, which may damage the loaded article.

따라서,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 보관상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하중이 무거운 제조물품의 운반에 따른 뒤틀림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어느 한쪽 측벽을 쉽게 개방하고 다시 폐쇄할 수 있는 물류박스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research on a distribution box that can easily open and close either side wall is urgently needed while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in the assembled state, and minimizing the risk of distortion caused by transport of heavy manufactured goods. It is a necessary situation.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도 어느 한쪽 측벽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있어서 용이하고, 제조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뒤틀림이 최소화되어 적재된 제조물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it is easy to open or close either side wall even in the once assembled state, and a distribution box that minimizes damage to the loaded manufactured goods by minimizing distortion in the loaded state of manufactured goods. I want to provide.

나아가, 제조물품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워진 사방의 측벽이 접힌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그 보관이나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istribution box capable of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because the manufactured goods can be stored or transported in a folded state on all sides of the erected product when the product is not loaded.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는,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에 연결되어 세워져 전방측벽 및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장측벽(200); 및 상기 바닥판(100)에 연결되어 세워져 좌측측벽 및 우측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측벽(300)을 포함하는 물류박스에 있어서,Logistics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bottom plate 100; A pair of long side walls 200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00 to form a front side wall and a rear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walls 300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00 to form a left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홀(220); 상기 바닥판(100)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을 대면하는 단측받침대(130)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홈(133); 및 상기 핀홀(220)에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핀홈(133)에 삽입된 연결핀(250)을 더 포함하며,A pinhole 220 formed vertically in a constant length on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 pin groove 133 formed in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on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support 130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the bottom plate 100; And a connection pin 250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220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상기 장측벽(200)이 상기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짐에 따라, 상기 핀홀(220) 및 상기 핀홈(133)에서 상기 연결핀(250)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된다.As the long side wall 200 is folded into the bottom plate 100, the connection pin 250 moves from top to bottom in the pinhole 220 and the pin groove 133.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홈(133)의 상부에는 삽입된 상기 연결핀(250)의 일단이 상기 핀홈(13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개방홀(134)이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an open hole 134 is formed above the pin groove 133 so that one end of the inserted connection pin 250 is discharged from the pin groove 133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핀홀(220)의 수직단면적에 있어서, 상기 핀홀(220)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둔 아래에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상기 핀홀(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연결핀(250)의 두께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이며, Preferably, i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nhole 220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nhole 220 is narrowed und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pinhole 220. A locking projection 222 protruding inward is formed,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in 250,

상기 핀홀(2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 부분에는 상기 핀홀(220)에 연통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의 관통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In the front por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 which the pinhole 220 is formed, a through hole 2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inhole 220,

상기 핀홀(22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연결핀(250)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240)을 통하여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4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핀결합부(234); 및 상기 핀결합부(234)가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핀위치조절판(232)을 포함하는 핀위치조절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핀위치조절부(230)에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핀홀(220)에서의 상기 연결핀(25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A pin coupling part 234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250 located inside the pinhole 220 and is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through hole 24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40; And a pin position adjusting part 230 including a pin position adjusting plate 232 that can move up and down from the front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in coupling part 234 is coupled to the rear part, the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pin position control unit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on pin 250 in the pinhole 2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돌출부(260); 상기 장측벽(200)에 측면에 대면하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락킹돌출부(26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삽입부(360); 상기 장측벽(20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락킹돌출부(270); 및 상기 장측벽(200)의 상부에 대면하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삽입되거나 추출되도록 형성된 제2락킹삽입부(370)를 더 포함하며,Preferably,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6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having one side protruding downward;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inserts 36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260; A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that moves in a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mounted on the long side wall 200; And a groove shap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ocking insertion portion 370 formed so that one end is inserted or extracted,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상기 제2락킹삽입부(370)에서 추출되고, 이후 상기 장측벽(200)이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제1락킹돌출부(260)가 상기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되면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이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분리된다.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and t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becomes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As extracted from 360,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장측벽(200)의 바닥면이 접하는 일정한 높이의 장측받침대(120); 및 상단이 상기 장측받침대(120)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에서 상기 단측벽(300)의 바닥면이 접하는 일정한 높이의 상기 단측받침대(130)를 포함하며,Preferably, the bottom plate 100 includes a long base 120 having a constant heigh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hort-side support 130 having a constant height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side wall 300 contacts with the upper en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long-side support 120,

외부 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힌지결합된 일단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장측손잡이(280)를 더 포함하며,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exposed to the outside,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long side handle 280 that is rotated vertically about the hinged end,

상기 장측벽(2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측고정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측받침대(120)의 상단에는 다수의 장측받침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측벽(200)이 상기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지는 경우 상기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상기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되며,A plurality of long side fixing protrusions 210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a plurality of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s 122 are at the top of the long side support 120 Is formed,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상기 단측벽(3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단측고정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에는 다수의 단측받침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상기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이다.A plurality of short-side fixing protrusions 310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side wall 300, and a plurality of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s 132 at the top of the one-sided support 130 Is formed, and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short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도 어느 한쪽 측벽을 들어올린 상태로 분리시킬 수 있고, 다시 분리된 측벽을 들어올려 조립할 수 있어 어느 한 장측벽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있어서 용이하고, 제1락킹뿐만 아니라 측벽 상부에서 락킹되는 제2락킹으로 인하여 제조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는 뒤틀림이 최소화되어 적재된 제조물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separate one side wall in a lifted state even once assembled, and it is possible to assemble by lifting the separated side wall again, so that it is easy to open or close any one long side wall. Due to the first locking as well as the second locking that is locked at the top of the side wall, warpage is minimized when the manufactured article is load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loaded manufactured article.

나아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 장측벽 및 단측벽이 바닥판의 내측으로 접힌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그 보관이나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when not in use, the long side wall and the short side wall can be stored or transported in a folded state of the bottom plate,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storage or transpo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어느 한 장측벽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를 보관함에 있어서, 어느 한 장측벽이 바닥판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어느 한 장측벽이 바닥판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상태에서의 핀홀 및 핀홈에서의 연결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바닥판의 단측받침대에 결합된 상태의 단측벽이 접혀지는 상태에서 단측벽과 단측받침대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가 접힌 상태에서 사방의 측벽이 세워지면서 물류박스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a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long side wall is separat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f the long side walls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in the case of storing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pinhole and a connection pin in a pin groove in a state in which one long side wall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5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hort side wall and the short side stand in a state in which the short side wall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short side stand of the bottom plate is folded.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a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side a distribution box while the side walls are erected in all directions when 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는 바닥판(100), 전방측벽 및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장측벽(200) 및 좌측측벽 및 우측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측벽(300)을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100, a pair of long side walls 200 constituting a front side wall and a rear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walls 300 constituting a left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바닥판(100)은 물류박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일정한 면적으로 바닥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상술한 장측벽(200)이 세워지는 장측받침대(120) 및 단측벽(300)이 세워지는 단측받침대(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측받침대(120)는 바닥판(10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태이고, 장측벽(200)의 바닥면이 접하면서 장측벽(200)이 세워지는 부분이다. 단측받침대(130)는 마찬가지로 바닥판(10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상태이고, 단측벽(300)의 바닥면이 접하면서 단측벽(300)이 세워지는 부분이다. The bottom plate 100 is a part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distribution box and has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certain area, and furthermore, the long side base 120 and the short side wall 300 on which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are erected. It includes a single side support (130). The long-side support 120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is a portion in which the long-side wall 200 is erected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side wall 200 is in contact. The short side support 130 is similarly form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is a portion in which the short side wall 300 is erected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is in contact.

이러한 단측받침대(130)의 높이는 장측받침대(120)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이다. 적어도 한 쌍이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진 경우, 단측받침대(130)가 장측벽(200)의 측면의 일부를 대면하게 된다. 물류박스를 접을 경우, 장측벽(200)이 접히고, 장측벽(200) 위에 단측벽(3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평평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eight of the short side stand 13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ng side stand 12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air i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a state in which the long side walls 200 are folded inwardly of the bottom plate 100. Accordingly,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short side support 130 faces a part of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When the distribution box is folded, the long side wall 200 is folded, and the short side wall 300 on the long side wall 200 is to be folded flat inside the bottom plate 100.

장측받침대(120)의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 형태의 다수의 장측받침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지는 경우, 장측벽(20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이러한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되면서 세워진다. 하중이 무거운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짐에 따라 장측벽(200)의 바닥면과 장측받침대(120)의 상단이 조립된 상태이다.A plurality of long support insertion grooves 122 in the form of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ng support 120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t a regular interval is in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It is erected as it is inserted. As the long side wall 200 having a heavy load is erected on the long side base 120,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long side base 120 are assembled.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 형태의 다수의 단측받침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지는 경우, 단측벽(20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이러한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진다. 하중이 무거운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짐에 따라 단측벽(300)의 바닥면과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이 조립된 상태이다.A plurality of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s 130 in the form of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ne-sided support 130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short side wall 300 is erected on the short side support 130,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200 at a regular interval is in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It is erected in the inserted state. As the short side wall 300 having a heavy load is erected on the short side base 130,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short side base 130 are assembled.

단측받침대(130)에서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접혀진 상태의 도 5를 참조하여 단측받침삽입홈(132)에 단축고정돌출부(31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ingl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folded in the unilateral support 130.

단측벽(3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단측고정돌출부(310)는 "T" 자가 거꾸로 된 형태이다.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단측받침삽입홈(132)은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경우에 "T" 자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부분만이 걸리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은 접혀질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hort-side fixing protrusions 310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l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side wall 300 have a "T" shape inverted. A plurality of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s 13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one-sided support 130 ar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and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In the case of being folded, only the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T" shape to both sides are caught, and th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have a form that can be folded.

나아가,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되어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진 상태에서, 단측벽(300)이 위로 들려 올려지는 경우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삽입홈(132)에서 추출되지 않도록, 단측받침삽입홈(132)에 대면하는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길이의 제어홈(312)이 형성되어 있되, 이러한 제어홈(312)에는 홈의 깊이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얇아지는 경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일측면에 대면하는 단측받침삽입홈(132)의 일측면에는 상술한 제어홈(312)에 삽입되는 제어돌출부(131)가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short-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one-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so that the short-side wall 300 is erected on the one-side support 130, when the short-side wall 300 is lifted up,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 A control groove 312 of a certain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ne side fixing protrusion 310 facing the on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so that 310 is not extracted from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but such control In the groove 312, an inclined portion 314 that becomes thinner as the depth of the groove goes down may be formed. The control protrusion 131 inserted into the control groove 312 may be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one-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facing one side of the one-side fixing protrusion 310 described above.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측벽(300)이 세워지는 경우 상술한 제어돌출부(131)가 제어홈(312)에 삽입된다. 단측벽(300)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삽입홈(132)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인데, 제어홈(312)에 아래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얇아지는 경사부(314)가 형성된 상태인 바,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위로 이동되면서 제어돌출부(131)가 깊이가 얇아지는 경사부(314)에 이를수록 단측고정돌출부(310)를 바닥판(100)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단측고정돌출부(310)에서 "T" 자가 거꾸로 된 형태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제어된 상태이기에 더 이상 바닥판(100)의 내측 방향으로 밀릴 수 없는 상태가 됨에 따라,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위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세워진 상태의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단측벽(300)을 단측받침대(13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단측벽(300)이 접힌 상태에서 단측고정돌출부(310)를 들어 올려 단측받침삽입홈(132)으로부터 추출해야 한다. 즉, 용이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되, 굳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시킬 필요없는 단측벽(300)을 바닥판(100)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In a state in which the one-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one-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when the short-side wall 300 is erected, the above-described control protrusion 131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groove 312. When the short side wall 300 is lifted,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moved upward from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and the inclined portion whose depth decreases as it goes down to the control groove 312 ( 314) is formed, as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moved upward, as the control protrusion 131 reaches the inclined part 314 whose depth becomes thinner,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mov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100. Push in the direction. Since th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ingle side fixing protrusion 310 in an inverted form is controlled by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it is in a state that it cannot be push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00 anymore. Accordingly, the upward movement of the short-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limited, and as a result, the short-side wall 300 in an erected state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hort-side support 130. In the case where the short side wall 30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hort side support 130,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must be lifted and extracted from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while the short side wall 300 is folded. That is, it is to be easily assembled, but to maintain the short side wall 300, which does not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in a state assembled to the bottom plate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단측받침대(130)의 측면은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진 상태의 장측벽(200)의 측면을 대면하고, 장측벽(200)이 세워진 상태에 단측받침대(130)의 측면과 장측받침대(120)의 하부 측면이 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of the short-side support 130 faces the side of the long-side wall 200 in a state erected on the long-side support 120, and the side and the side of the short-side support 130 when the long-side wall 200 is erected. The lower side of the long base 120 is in contact.

이러한 장측벽(200)의 하부 측면에 접하는 단측받침대(130)의 측면에는 상하로 일정한 길이의 핀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홈(133)으로 후술할 연결핀(25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즉, 연결핀(250)이 후술할 장측벽(2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핀홀(220)에 관통된 상태에서, 일단이 핀홈(133)에 삽입된다.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연결핀(250)이 핀홀(220)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면 연결핀(250)의 일단도 핀홈(133)을 따라 내려온다.Pin grooves 133 having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hort-side pedestal 130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ng-side wall 200. The pin groove 133 moves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at is, while the connection pin 250 penetrates the pinhole 22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o be described later,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connection pin 250 descends down along the pinhole 220,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also descends along the pin groove 133.

이러한 핀홈(133)은 단측받침대(130)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측면에는 전방측벽인 장측벽(200)이 접하고 다른 측면에는 후방측벽인 장측벽(200)이 접하면서 각각 연결핀(25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이다.These pin grooves 133 are formed under both side surfaces of the short side support 130. The long side wall 200, which is the front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one side and the long side wall 200, which is the rear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inserted.

이러한 핀홈(133)의 상부에는 삽입된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개방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장측벽(200)을 들어올린 후 바닥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장측벽(200)의 측면과 단측받침대(130)의 측면의 연결수단인 연결핀(250)을 개방홀(1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이러한 연결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에서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An open hole 134 is formed above the pin groove 133 so that one end of the inserted connection pin 250 is discharged from the pin groove 133 to the outside.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and then separated, the connection pin 250, which is a connecting means of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ide of the short side stand 130, is opened. This connection is released b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134, and accordingly, the long side wall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and separated.

장측벽(200)은 바닥판(100)의 장착받침대(120)에 세워지거나, 장착받침대(12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장착받침대(1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mounting base 120 of the base plate 100, or fol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10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ase 120,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ase 120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장측벽(2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위치되고, 장측벽(200)이 장착받침대(120)에 세워지는 경우 이러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장착받침대(120)의 상단에 형성된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Long side fixing protrusions 210 protruding downward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mounting base 120, such long side fixing protrusions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base 120 is as described above.

장측벽(200)이 장착받침대(120)에서 분리되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장측벽(200)이 약간 들어 올려지면서 분리된다. 장측받침삽입홈(122)으로부터 삽입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추출된다.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ase 120 and folded into the bottom plate 100 or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the long side wall 200 is slightly lifted and separated.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nserted from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is extracted.

장측벽(200)의 양쪽 측면 각각의 하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핀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홀(220)은 장측벽(200)의 양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측면에는 좌측측벽이 세워지는 단측받침대(130)가 접하고 다른 측면에는 우측측벽이 세워지는 단측받침대(130)가 접하면서 각각의 연결핀(250)이 관통된 상태이다.Pinholes 220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s of each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o have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These pinholes 220 are formed under both side surfaces of the long side walls 200.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ne side support 130 on which the left side wall is erected,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ne side support 130 on which the right side wall is erected, and each of the connection pins 250 penetrates through it.

이러한 핀홀(220)은 장측벽(200)의 측면에서 장측벽(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250)이 핀홀(220)에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이때 연결핀(250)의 일단은 상술할 핀홈(133)에 삽입된 상태이다.The pinhole 220 is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but is formed in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The connection pin 250 is moved up and down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220, an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to be described above.

장측벽(200)의 측면에서 바라본 수직단면적에 있어서, 핀홀(220)에는 핀홀(220)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둔 아래에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핀홀(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정의 거리는 연결핀(250)의 두께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이다.I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he pinhole 220 has a locking protrusion 222 protruding into the inner side of the pinhole 220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narrowed und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pinhole 220. ) Is formed. This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in 250.

연결핀(250)이 일단 이러한 걸림턱(222) 위로 이동된 경우,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걸림턱(222)에 걸리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장측벽(200)을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켜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핀홀(220)에서 걸림턱(222) 위에 위치된 연결핀(250)이 걸림턱(222)에 걸려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측벽(200)이 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턱(222)에 걸린 연결핀(250)도 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홀(134)로 배출된되면서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in 250 is once moved above the locking projection 222, it is caught in the locking projection 222 unless a certain force is applied and does not move downward.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base 120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the connection pin 250 positioned above the locking projection 222 in the pinhole 220 is the locking projection 222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the long side wall 200 is moved upward, and the connection pin 250 caught on the locking jaw 222 is also It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discharged into the open hole 13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groove 133, the long side wall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하중이 무거운 제조제품이 물류박스에 적재되는 경우, 물류박스의 어느 한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되어 한 측벽이 개방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자동차 범퍼와 같은 부피가 크고 하중이 무거운 제조제품의 경우에 물류박스에 적재하는 경우, 한 쌍의 장측벽(200) 중 어느 하나의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이어야 그 적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a manufactured product with a heavy load is loaded in the distribution box, one of the long side walls 200 of the distribution box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and one side wall needs to be ope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ulky and heavy manufacturing product such as an automobile bumper, when loading in a distribution box, one of the pair of long side walls 2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It must be in a separated state so that the load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상술한 적재 과정 중의 문제점을 고려하건대, 결국 장측벽(200)과 단측받침대(130)에 연결된 연결핀(250)을 단측받침대(130)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데, 연결핀(250)을 단측받침대(1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핀홈(133)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홀(134)로 연결핀(250)을 배출시킬 수 있다.Consider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during the loading process, in the end, the connection pin 250 connected to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hort side stand 130 must be separated from the short side stand 130, and the connection pin 250 is separated from the short side stand 130. The connection pin 250 may be discharged through an open hole 13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groove 133 to separate from ).

핀위치조절부(230)가 장측벽(200)의 전면 부분에 형성되어, 핀홀(220)에 관통된 연결핀(250)를 상하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pin position adjusting part 230 is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long side wall 200, so that the connection pin 250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220 can be manual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핀위치조절부(230)는 핀결합부(234) 및 핀위치조절판(232)을 포함한다.The pin position control unit 230 includes a pin coupling unit 234 and a pin position control plate 232.

핀홀(2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장측벽(200)의 전면 부분에는 핀홀(220)에 연통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의 관통홀(240)이 형성되어 있는데, 핀홀(220)의 내측에 위치된 연결핀(250)에 결합된 핀결합부(234)는 관통홀(240)을 통하여 관통된 상태에서 관통홀(240)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In the front por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pinhole 220 is formed, a through hole 240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vertic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inhole 220, which is located inside the pinhole 220. The pin coupling portion 234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250 is movable up and down in the through hole 240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40.

후면부에 상술한 핀결합부(234)가 결합된 핀위치조절판(232)은 장측벽(2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The pin position control plate 232 to which the above-described pin coupling portion 234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핀위치조절부(230)에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핀홀(220)에서의 연결핀(25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진 상태에서 연결핀(250)을 핀홀(220)의 걸림턱(222) 위 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핀위치조절판(232)에 위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핀위치조절판(232)에 가해진 힘은 핀위치조절판(232)에 결합된 핀결합부(234)에 전달되고, 관통홀(240)을 관통된 상태의 핀결합부(234)에 전달된 힘은 결국 핀홀(220)에 관통된 연결핀(250)에 전달된다.As a force is applied to the pin position control unit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on pin 250 in the pinhole 2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base 120, a force is applied to the pin position control plate 232 in an upward direction to move the connection pin 25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222 of the pin hole 220. do. The force applied to the pin positioning plate 232 is transmitt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234 coupled to the pin positioning plate 232, and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pin coupling portion 234 through the through hole 240 is Eventually, it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in 250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220.

장측벽(200)의 양쪽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락킹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락킹돌출부(260)는 일측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다시 꺾어져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6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 side wall 200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protrudes downward. That is, it may protrude from th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end again to protrude downward.

이러한 다수의 제1락킹돌출부(260)는 단측벽(3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삽입부(360)에 삽입된다. 즉, 장측벽(200)의 측면에 대면하는 단측벽(300)의 측면에는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장측벽(2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1락킹돌출부(26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삽입부(360)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제1락킹삽입부(36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 형태이거나 하부가 폐쇄된 홈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6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insertion portions 360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hort side walls 300. That is,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insertion portions 360 formed to be inserted are position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 groove form in which the lower part is closed.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진 상태에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되어 장측벽(200)의 바닥면이 고정된다. 장측벽(200)의 측면의 경우, 상술한 다수의 제1락킹돌출부(260)가 다수의 제1락킹삽입부(36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fixed. In the case of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60 described above are fix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locking insertion parts 360.

제1락킹돌출부(260)가 단측벽(300)의 측면을 대면하고, 제1락킹삽입부(360)가 장측벽(200)의 측면을 대면한다. 제1락킹돌출부(260)가 제2락킹삽입부(3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측벽(200)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 효율적으로 대항할 수 있으나, 장측벽(200) 및 단측벽(300)이 뒤틀릴 수 있는 장측벽(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효율적인 대항이 어려울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faces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and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ortion 360 faces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6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unter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but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hort sid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which the side wall 300 can be twisted, effective countermeasure may be difficult.

이에 따라, 장측벽(200)의 상부에는 제2락킹돌출부(270)가 장착된다. 제2락킹돌출부(27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락킹돌출부(270)는 단측벽(30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일단이 단측벽(300)의 측면에 형성된 홈 형태의 제2락킹삽입부(370)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락킹삽입부(370)는 장측벽(200)의 상부에 대면하는 단측벽(300)의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제2락킹돌출부(27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삽입되거나 추출되도록 형성된다. 장측벽(200)의 상부에서 장측벽(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효율적으로 대항할 수 있으며, 하중이 무거운 제조물품이 물류박스의 상부까지 적재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장측벽(200)의 상부와 단측벽(300)의 상부 간의 연결에서의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unted on the long side wall 20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v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ort side wall 300,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One end of the protrusion 270 is formed to be inserted or extracted. It can effectively counter the force applied from the top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can be generated as a product with a heavy load is loaded to the top of the distribution box.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stortion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hort side wall 300.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지는 경우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되고, 장측벽(200) 측면의 제1락킹돌출부(260)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면서 단측벽(300) 측면의 제1락킹삽입부(360)에 삽입되고, 장측벽(200)의 상부에 장착된 제2락킹돌출부(27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측벽(300) 측면에 형성된 제2락킹삽입부(370)에 삽입되면서, 물류박스의 내측에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on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from top to bottom. The short side wall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on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while moving to,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ortion 370 formed on the side, a load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distribution box.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하기 위해 장측벽(200)을 단측벽(3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도 4 참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제2락킹삽입부(370)에서 추출되고, 이후 장측벽(200)이 들어 올려지면서 제1락킹돌출부(260)가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되면서, 장측벽(200)의 측면이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분리된다. 이때, 연결핀(250)은 여전히 핀홀(220)과 핀홈(133)에 위치된다.When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short side wall 300 in order to contact the long side wall 200 inwardly of the bottom plate 100 (see FIG. 4), 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It is extracted from the locking insertion part 370, and then, as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extracted from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and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becomes the short side wall. Separated from the side of 3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n 250 is still located in the pinhole 220 and the pin groove 133.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장측벽(200)을 단측벽(3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도 2 참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제2락킹삽입부(370)에서 추출되고, 이후 장측벽(200)이 들어 올려지면서 제1락킹돌출부(260)가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되고, 나아가 장측벽(200)이 더 올려지면서 연결핀(250)이 핀홈(3132)의 상부의 개방홀(134)까지 이동된 이후 연결핀(250)의 일단이 개방홀(1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핀(250)을 통한 단측받침대(130)와 장측벽(200)의 측면의 연결이 해제되어,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가능하다.When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short side wall 300 in order to separate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bottom plate 100 (see FIG. 2), 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After being extracted from the part 37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extracted from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as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thereafter, and further, the long side wall 200 is further raised and the connection pin After 250 is moved to the open hole 134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groove 3132,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hole 134.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ort side support 130 and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hrough the connection pin 250 is released, so that the long side wall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100.

연결핀(250)은 핀홀(220)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핀홈(133)에서 일단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세워진 상태에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양단의 직경이 중앙 부분의 직경보다 큰 형태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in 250 may be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moved up and down in the pinhole 220 and one end of the pin groove 133 can be moved up and down, but preferably 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n erect state. Alternatively, 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s of both ends ar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물류박스는 외부 방향으로 노출된 장측벽(200)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힌지결합된 일단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장측손잡이(280)를 더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ng-side handle 280 that rotates up and down on an axis with one end hinged to the front of the long side wall 200 exposed to the outside. .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는 경우, 사용자는 상하로 회동가능한 장측손잡이(280)를 잡고 접혀지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접혀진 장측벽(200)을 세우는 경우에도 장측손잡이(280)를 잡고 장측벽(200)을 잡아당길 수 있다(도 3 및 도 7 참조). 이러한 장측손잡이(280)는 장측벽(200)의 전면에서 세로 방향의 중앙선 부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When folding the long side wall 200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the user can adjust the folding speed by holding the long side handle 280 that can be rotated up and down, and even when erecting the folded long side wall 200, the long side handle It is possible to hold the 280 and pull the long side wall 200 (see Figs. 3 and 7).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side handle 280 is located at a center lin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ng-side wall 200.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거나 또는 장측벽(200)을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제1락킹돌출부(260)를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그리고 장측고정돌출부(210)를 장측받침삽입홈(122)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하여 장측벽(200)을 어느 정도 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이에, 장측벽(2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어 올릴때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측전면손받침대(290)가 다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장측전면손받침대(290)는 상술한 장측손잡이(280)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old the long side wall 200 in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or separate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base 12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removed from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In order to extract, and in order to extract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from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it is necessary to lift the long side wall 200 to some extent. Accordingly, in the front of the long side wall 200, a plurality of long side front hand rests 290 may be formed in order to facilitate when a user lifts it by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side front handrest 290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ng-side handle 280 described above.

단측벽(300)은 바닥판(100)의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진다.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지는 경우, 단측벽(3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에 형성된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추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제어홈(312) 및 경사부(212), 그리고 단측받침삽입홈(132)의 제어돌출부(131)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short side wall 300 is erected on the short side support 130 of the bottom plate 100. When the short side wall 300 is erected on the short side support 130,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is in the short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hort side support 130. The inserted state i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ontrol groove 312 and the inclined portion 212 of the one-sided fixing protrusion 310 configured so that the short-side wall 300 is not extracted while being lifted from the one-sided support 130, and the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protrusion 131 is as described above.

단측벽(300)의 양쪽 측면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측면(2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제1락킹삽입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제1락킹삽입부(360)에 제1락킹돌출부(260)가 삽입됨에 따라 단측벽(300)의 측면과 장측벽(200)의 측면이 결합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On both sides of the short side wall 300, a first locking insertion portion 360 formed in a state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surface 200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and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ortion 360 ), a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inserted,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또한, 단측벽(3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락킹삽입부(370)로 장측벽(200)의 상부에 장착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락킹돌출부(270)가 삽입되어, 단측벽(300)의 상부와 장측벽(200)의 상부가 결합되어, 하중이 무거운 제조물품의 적재에 따라 단측벽(300)의 상부 및 장측벽(200)의 상부에 가해지는 힘에 따른 뒤틀림을 최소화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mounted on the long side wall 200 and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and the short side wall 300 ) And the upper part of the long side wall 200 are combined to minimize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ort side wall 300 and the upper part of the long side wall 200 according to the loading of the manufactured product with a heavy load. As described above.

도 6을 참조하여 장측벽(200) 및 단측벽(3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in which the long side walls 200 and the short side walls 300 are folded into the bottom plat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2락킹돌출부(270)가 제2락킹삽입부(370)로부터 추출된 이후, 장측벽(200)이 어느 정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장측받침삽입홈(122)으로 추출되고, 제1락킹돌출부(260)가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된다. Afte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locking insert 370,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to some extent, and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extracted into the long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Th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extracted from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단측벽(300)에 있어서,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의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단측벽(300)이 접혀지고, 단측받침삽입홈(132)의 제어돌출부(131)가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제어홈(312)로부터 분리된다.In the short side wall 300,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end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short side wall 300 is folded, and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The control protrusion 131 of 132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groove 312 of the one-side fixed protrusion 310.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지되, 장측손잡이(290)를 잡고 천천히 접혀지도록 한다. 한 쌍의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단측벽(300)이 접혀지면서 장측벽(200) 위에 위치된 상태로 접혀진다.The long side wall 200 is fold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100, but is folded slowly while holding the long side handle 290.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long side walls 200 are fol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100, the short side wall 300 is folded and folded in a state positioned on the long side wall 200.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측벽(200)이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젖혀지면서 연결핀(250)이 핀홀(220)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측벽(200)이 젖혀진다 하더라도 연결핀(250)의 일단이 수직으로 형성된 핀홈(133)에 걸리기 때문에, 걸림턱(222) 위에 위치된 연결핀(250)이 장측벽(200)과 함께 젖혀지지 않고, 젖혀지는 장측벽(200)의 하중에 따라 핀홈(133)에 삽입된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연결핀(250)이 걸림턱(222)을 벗어나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장측벽(200)이 완전히 젖혀진 상태에서, 연결핀(250)이 핀홀(2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연결핀(250)의 일단도 핀홈(133)의 하부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4, while the long side wall 200 is bent inward of the bottom plate 100, the connection pin 250 is moved downward from the pinhole 220. That is, 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even if the long side wall 200 is ben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caught in the pin groove 133 formed vertically. (222) The connection pin 250 located above is not bent together with the long side wall 200,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bent is the pin groove It is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133, and accordingly, the connection pin 250 is moved downwardly away from the locking protrusion 222. In a state in which the long side wall 200 is completely bent, the connection pin 250 is located under the pinhole 220,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also located under the pin groove 133.

도 7을 참조하여 장측벽(200) 및 단측벽(300)이 장측받침대(120) 및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지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in which the long side walls 200 and the short side walls 300 are erected on the long side base 120 and the short side bas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장측벽(200) 위에 접혀진 상태의 단측벽(300)이 단측받침대(130)에 세워지는데, 단측고정돌출부(310)가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워지며, 이때 단측받침삽입홈(132)의 제어돌출부(131)가 단측고정돌출부(310)의 제어홈(214)에 삽입되면서 세워진다.The short side wall 300 in a folded state o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short side support 130, and the short side fixing protrusion 310 is built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and at this time, the single side support is inserted. The control protrusion 131 of the groove 132 is erec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trol groove 214 of the one-side fixed protrusion 310.

이후 장측벽(200)이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지는데, 세워진 상태에서 장측벽(200)이 어느 정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장측받침삽입홈(122)으로 삽입되고, 제1락킹돌출부(260)가 제1락킹삽입부(360)로 삽입된다. 이후, 제2락킹돌출부(270)가 제2락킹삽입부(370)에 삽입된다.After that,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and in a state where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to some extent in the erected state,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360. Thereafte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장측벽(200)을 세우는 과정 중, 장측손잡이(290)를 잡고 천천히 세워지도록 한다. During the process of erecting the long side wall 200, the long side handle 290 is held and slowly erected.

장측벽(200)이 세워지면서 연결핀(250)이 핀홀(220)의 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걸림턱(222)을 지나 핀홀(220)의 상부에 위치된다. 핀홈(133)에 삽입된 연결핀(250)의 일단도 마찬가지이다.As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the connection pin 250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nhole 220 and is positioned above the pinhole 220 by passing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222. The same applies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연결핀(250)의 위 방향으로의 이동은 핀홀(220)의 하단의 높이와 핀홈(133)의 하단의 높이를 조절하여, 장측벽(200)이 세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장측벽(2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술한 핀위치조절부(230)에 힘을 가하여 위로 이동시켜서 연결핀(250)이 핀홀(220)에서 걸림턱(222)을 지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in 250 in the upward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ove while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inhole 220 and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in groove 133. Of course there is. In addition, while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the pin position control unit 230 is moved upward by applying a force so that the connection pin 250 is located at the top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222 in the pinhole 220.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기 위하여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와,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장측벽(200)을 들어 올리는 높이가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base 120 in order to fold inward of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case of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base 120 in order to separate from the bottom plate 100 In a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long side walls 200 are lifted may be different.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기 위하여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측벽(200)을 들어 올리되, 장측고정돌출부(210) 및 제1락킹돌출부(260)가 추출되지만,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에 형성된 개방홀(134)까지 올라오지 않은 상태이다.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support 120 in order to fold it inward of the bottom plate 100,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but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Is extracted, but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is in a state that does not come up to the open hole 134 formed in the pin groove 133.

장측벽(200)을 바닥판(10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장측받침대(1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측벽(200)을 들어 올리되 접기 위해 들어 올리는 경우보다 더 들어 올린다. 장측고정돌출부(210) 및 제1락킹돌출부(260)가 추출되고, 연결핀(250)의 일단이 핀홈(133)에 형성된 개방홀(134)까지 올라와 개방홀(13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장측벽(200)의 측면과 단측받침대(130)의 연결이 해제된다.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long side wall 200 from the long side support 120 in order to separate from the bottom plate 100,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but lifted more than the case of lifting it to fold.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are extracted,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250 rises to the open hole 134 formed in the pin groove 13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hole 134 , The connection between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hort side support 130 is released.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xample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바닥판
120: 장측받침대 122: 장측받침삽입홈
130: 단측받침대
131: 제어돌출부 132: 단측받침삽입홈
133: 핀홈 134: 개방홀
200: 장측벽 210: 장측고정돌출부
220: 핀홀 222: 걸림턱
230: 핀위치조절부 232: 핀위치조절판 234: 핀결합부 240: 관통홀
250: 연결핀 260: 제1락킹돌출부 270: 제2락킹돌출부
300: 단측벽 310: 단측고정돌출부
312: 제어홈 314: 경사부
100: bottom plate
120: long support 122: long support insertion groove
130: single side base
131: control protrusion 132: single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33: pin groove 134: open hole
200: long side wall 210: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20: pinhole 222: locking jaw
230: pin position control unit 232: pin position control plate 234: pin coupling unit 240: through hole
250: connection pin 260: first locking protrusion 270: second locking protrusion
300: single side wall 310: single side fixing protrusion
312: control groove 314: slope

Claims (5)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에 연결되어 세워져 전방측벽 및 후방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장측벽(200); 및 상기 바닥판(100)에 연결되어 세워져 좌측측벽 및 우측측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측벽(300)을 포함하는 물류박스에 있어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홀(220);
상기 바닥판(100)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을 대면하는 단측받침대(130)의 측면에 상하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핀홈(133); 및
상기 핀홀(220)에 관통되고, 일단이 상기 핀홈(133)에 삽입된 연결핀(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측벽(200)이 상기 바닥판(100)의 내측으로 접혀짐에 따라, 상기 핀홀(220) 및 상기 핀홈(133)에서 상기 연결핀(250)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며,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핀홀(220)의 수직단면적에 있어서, 상기 핀홀(220)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를 둔 아래에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상기 핀홀(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연결핀(250)의 두께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이며,
상기 핀홀(220)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 부분에는 상기 핀홀(220)에 연통되도록 상하로 일정한 길이의 관통홀(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22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연결핀(250)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240)을 통하여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4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핀결합부(234); 및 상기 핀결합부(234)가 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핀위치조절판(232)을 포함하는 핀위치조절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핀위치조절부(230)에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핀홀(220)에서의 상기 연결핀(25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물류박스.
A bottom plate 100; A pair of long side walls 200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00 to form a front side wall and a rear side wall; And a pair of short side walls 300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00 to form a left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A pinhole 220 formed vertically in a constant length on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 pin groove 133 formed in a constant length vertically on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support 130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the bottom plate 100;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in 250 penetrating through the pinhole 220 an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133,
As the long side wall 200 is folded inside the bottom plate 100, the connection pin 250 moves from top to bottom in the pinhole 220 and the pin groove 133,
I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nhole 220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the pinhole 220 protrudes inwardly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unde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pinhole 220. The locking jaw 222 is form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in 250,
In the front por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 which the pinhole 220 is formed, a through hole 24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pinhole 220,
A pin coupling part 234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250 located inside the pinhole 220 and is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through hole 240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40; And a pin position adjusting part 230 including a pin position adjusting plate 232 that can move up and down from the front of the long side wall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in coupling part 234 is coupled to the rear part,
Distribution box in which the connection pin 250 in the pinhole 2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force is applied to the pin position control unit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홈(133)의 상부에는 삽입된 상기 연결핀(250)의 일단이 상기 핀홈(13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개방홀(134)이 형성되어 있는 물류박스.
The method of claim 1,
A distribution box in which an open hole 134 opened so that one end of the inserted connection pin 250 is discharged from the pin groove 133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groove 133.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일측이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돌출부(260);
상기 장측벽(200)에 측면에 대면하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락킹돌출부(26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락킹삽입부(360);
상기 장측벽(20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락킹돌출부(270); 및
상기 장측벽(200)의 상부에 대면하는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삽입되거나 추출되도록 형성된 제2락킹삽입부(3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락킹돌출부(270)의 일단이 상기 제2락킹삽입부(370)에서 추출되고, 이후 상기 장측벽(200)이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제1락킹돌출부(260)가 상기 제1락킹삽입부(360)로부터 추출되면서, 상기 장측벽(200)의 측면이 상기 단측벽(300)의 측면에서 분리되는 물류박스.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6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having one side protruding downward;
A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a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wall 3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inserts 36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260;
A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that moves in a left-right direction while being mounted on the long side wall 200; And
It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cking insertion portion 370 formed to be inserted or extracted,
One end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70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locking insertion part 370, and t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lifted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60 becomes the first locking insertion part. As extracted from 360, the side of the long side wall 200 is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short side wall 30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장측벽(200)의 바닥면이 접하는 일정한 높이의 장측받침대(120); 및 상단이 상기 장측받침대(120)의 상단보다 높은 상태에서 상기 단측벽(300)의 바닥면이 접하는 일정한 높이의 상기 단측받침대(130)를 포함하며,
외부 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장측벽(200)의 전면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힌지결합된 일단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되는 장측손잡이(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측벽(2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측고정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측받침대(120)의 상단에는 다수의 장측받침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측벽(200)이 상기 장측받침대(120)에 세워지는 경우 상기 장측고정돌출부(210)가 상기 장측받침삽입홈(122)에 삽입되며,
상기 단측벽(30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단측고정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측받침대(130)의 상단에는 다수의 단측받침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측고정돌출부(310)가 상기 단측받침삽입홈(132)에 삽입된 상태인 물류박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bottom plate 100 includes a long side support 120 having a constant heigh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the short-side support 130 having a constant height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side wall 300 contacts with the upper en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long-side support 120,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exposed to the outside, the other end further includes a long side handle 280 that is rotated vertically about the hinged end,
A plurality of long side fixing protrusions 210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 side wall 200, and a plurality of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s 122 are at the top of the long side support 120 Is formed, when the long side wall 200 is erected on the long side support 120, the long side fixing protrusion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side support insertion groove 122,
A plurality of short-side fixing protrusions 310 protruding downwar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rt-side wall 300, and a plurality of on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s 132 at the top of the one-sided support 130 Is formed, the distribution box in a state in which the single-sided fixing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the single-sided support insertion groove 132.
KR1020190106684A 2019-08-29 2019-08-29 A distribution box KR102240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84A KR102240264B1 (en) 2019-08-29 2019-08-29 A distribu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84A KR102240264B1 (en) 2019-08-29 2019-08-29 A distribution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17A KR20210026217A (en) 2021-03-10
KR102240264B1 true KR102240264B1 (en) 2021-04-14

Family

ID=7514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84A KR102240264B1 (en) 2019-08-29 2019-08-29 A distribution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037A (en) 2021-06-17 2022-12-27 주식회사 스마트이앤에스 Standardized smart logistics box and shipping and delivering method thereof
KR20220168791A (en) 2021-06-17 2022-12-26 주식회사 스마트이앤에스 Pallet for shipping the smart logistics box and relocating method in the cargo truck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150Y1 (en) * 2010-08-30 2011-06-17 김태호 Folding carrying box
CN208485096U (en) * 2018-06-26 2019-02-12 大连中集特种物流装备有限公司 Pallet box
KR102015378B1 (en) * 2018-10-17 2019-08-28 엔피씨(주) Box having detachable side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150Y1 (en) * 2010-08-30 2011-06-17 김태호 Folding carrying box
CN208485096U (en) * 2018-06-26 2019-02-12 大连中集特种物流装备有限公司 Pallet box
KR102015378B1 (en) * 2018-10-17 2019-08-28 엔피씨(주) Box having detachable sid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17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4041B1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8561824B2 (en) Assembly box and plate material connecting structure
US5538153A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KR102240264B1 (en) A distribution box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MX2014011321A (en) Container with inclined walls, stacking tabs and reinforced corners.
CN110641849A (en) Tray box
US2782936A (en) Tierable nesting receptacle
KR102283520B1 (en) A folding type distribution box
AU2019257405A1 (en) A transportable harp rack for panels
NZ517444A (en) Collapsible stackable container with pins at lower corners to locate transversely on top of another collapsed container
US10315801B2 (en) Collapsible box
KR101484758B1 (en) Side wall for assembly box and assembly box comprising the same
JPH0720019Y2 (en) Variable area pallet
JP2004010129A (en) Pallet box
KR101010705B1 (en) Box type pallet assembly
CN110641850A (en) Tray box
JP6942349B2 (en) Lid member
JP2002362554A (en) Pallet container
JP7361768B2 (en) container construct
JPH0619460Y2 (en) Two-stage folding frame palette
KR102328833B1 (en) The assembly type pallet
JP6938023B2 (en) Container with lid and transportation unit
KR20230139121A (en) Box Type Pallet Assembly
JPH02258553A (en) Box type knockdow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