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977B1 -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 Google Patents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977B1
KR102239977B1 KR1020190116922A KR20190116922A KR102239977B1 KR 102239977 B1 KR102239977 B1 KR 102239977B1 KR 1020190116922 A KR1020190116922 A KR 1020190116922A KR 20190116922 A KR20190116922 A KR 20190116922A KR 102239977 B1 KR102239977 B1 KR 10223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late
floor
base plat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4939A (en
Inventor
김보현
이두희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코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코,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코
Priority to KR102019011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77B1/en
Publication of KR2021003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9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돔 형태로 상향 돌출되고, 내부가 중공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 방향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된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in a dome shap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drain hole protruding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nterior.

Description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Floor Drainage Plate and Floor Drainage Plate System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본 발명은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층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침투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로가 형성된 바닥 배수판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ainage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drainage plate having a drainage passage capable of discharging permeate water by being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concrete layer.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침투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방수소재로 형성되며 침투수가 집수정 등으로 배수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배수로가 형성되어 구조체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배수판은 용도에 따라 바닥 배수판(즉, 지하침투수처리용), 벽체 배수판, 조경용 배수판 등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the drainage plate is formed of a waterproof material to block the infiltrating water, and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so that the infiltrating water can be drained into a water collecting well and treated to protect the structure. These drainage plates are classified into floor drainage plates (that is, for underground permeable water treatment), wall drainage plates, and landscape drainage plates, depending on their use.

건축물의 지하층의 경우 건축물에 형성되는 크랙을 통해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바, 이러한 지하수를 소정의 집수정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시설 중 하나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상부에 타설된 마감 콘크리트 사이에 연접 형태로 바닥 배수판을 설치하여 반영구적인 배수유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basement floor of a building, ground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cracks formed in the building.As one of the drainage facilities to guide such groundwater to a predetermined collection well, it is a connection between the base concrete floor and the finished concrete poured on the top. The floor drainage plate is installed to form a semi-permanent drainage channel.

통상의 바닥 배수판은 사각 판 형태의 베이스판에 컵 형태의 돌출부가 하향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하향 돌출된 컵 형태의 돌출부에는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돌출부들의 사이사이에는 침투수가 흐르는 배수로가 형성된다.In a typical floor drainage plate, a cup-shaped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on a square plate-shaped base plate, and the cup-shape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is filled with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art, and a drainage passage through which permeate water flows between the protrusions Is formed.

이러한 바닥 배수판 다수개를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 그대로 시공하거나, 바닥 배수판끼리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며, 바닥배수판의 위쪽에 시멘트 몰탈 또는 바닥콘크리트를 시공하게 된다.A plurality of such floor drainage plates are constructed as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ase concrete floor, or they ar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floor drainage plates to each other, and cement mortar or floor concrete is installed above the floor drainage plate.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바닥 배수 판은 베이스판이 바닥 배수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하중의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콘크리트의 타설 중 또는 타설 후에 베이스판의 외곽이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휘어져 전체적으로 들뜸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들뜸 현상으로 인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floor drainage plate formed in this way, the base plate is located above the floor drainage plate, so that the load is not properly distributed,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plate is bent downwards by the load of the concrete during or after the pouring of concrete and is lifted as a whole. A phenomenon may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noise due to the lifting phenomen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베이스판이 휘어져 들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판이 바닥 배수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 drainage plate in which the base plate is located under the floor drainage plate in order to prevent the base plate from being bent and lifted by the load of the poured concrete.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와 바닥 배수판과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결속돌기가 형성된 바닥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drain plate having a bind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oured concrete and the floor drain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example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돔 형태로 상향 돌출되고, 내부가 중공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 방향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된 내부와 연통된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A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in a dome shap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drain hole protruding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nterior.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예정된 패턴을 가지는 홈 형태의 결속패턴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binding pattern groove in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상기 배수구는 예정된 곡률을 가지는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hole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돔 형태로 상향 돌출되고, 내부가 중공된 복수의 돌출부; 및 격자 형태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 형성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이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에는 외측 방향에 배수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들은 이웃하는 상기 돌출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A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on the base plate in a grid shape, protruding upward in a dome shape, and hollow inside; And a plurality of bind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in a grid form to increase a binding force with poured concrete, and disposed at the outermost edge of the base plate. A drain hole is protru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s communicate with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s to form a drainage passage.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되게 돌출된 수직돌기 및 상기 수직돌기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돌기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ing protrusion may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protrusion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protrusion and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vertical protrusion.

상기 수직돌기 및 상기 보조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중심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콘크리트리가 충전되어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the concrete refill is filled in the through-hol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최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평탄화를 유지시키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for maintaining the flattening of the base plate by connecting the top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내부가 중공된 돔 형태로 상향 돌출되고, 중공된 내부가 서로 연통된 복수의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의 외측 방향에 돌출 형성된 배수구에 형성되고, 다른 베이스판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을 포함할 수 있다.A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on the base plate in a lattice shape, protruding upward in a hollow dome shape,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bottom drainage plates formed in a drain hole protruding outwardly of the protrusion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and formed of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drain hole formed on another base plate and arranged side by side. can do.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바닥 배수판의 배수구 또는 상기 제2 바닥 배수판의 배수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배수구의 외측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배수구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utside of the drain hole of any one of the drain hole of the first floor drain plate or the drain hole of the second floor drain plate; And a coupling pin formed outside the drain hol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not formed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의 상기 배수구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ins may be provided in the drai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ottom drain plates.

상기 돌출부는 표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예정된 패턴을 가지는 홈 형태의 결속패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 각각의 외곽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결속패턴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충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includes a binding pattern groove in the shape of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n which the concrete poured on the surface is filled,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 drainage plates includes the protrusion. It may include a filling groove having a deeper depth than the binding pattern and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격자 형태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에 돌출 형성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이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ind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in a grid form to increase a binding force with the poured concrete.

상기 제1 바닥 배수판과 상기 제2 바닥 배수판이 결합되어 결합면에 배치된 각각의 돌출부들이 격자의 형태로 배치되고, 격자의 형태로 배치된 돌출부들 간의 중심에는 상기 베이스판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Each of the protrusions disposed on the coupling surface by combining the first floor drainage plate and the second floor drainage plate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and the base plate may not be formed at the center between the protrusions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베이스판이 기저층에 접하고, 내부가 중공되어 배수로 역할을 하는 돔 형태를 갖는 복수의 돌출부가 베이스판으로부터 융기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바닥 콘크리트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들뜸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and the interior is hollow and has a shape of a plurality of dome-shaped protrusions raised from the base pl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load of the floor concrete and prevent the lifting phenomen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돌출부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갖고, 돌출부들의 중심부에 결속돌기가 구비되어 바닥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bind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s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floor concret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돌출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구에 다른 바닥 배수판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다른 바닥 배수판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인접한 바닥 배수판 일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바닥 배수판 사이로 콘크리트가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other floor drainage plates in a drainage hole formed outwardly fro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other floor drainage plates arranged side by side, and some of the adjacent floor drainage plates are coupled to overlap each other.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fundamentally preventing concrete from seeping through the floor drainage plates.

본 발명은 바닥 배수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돌출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이 마련되어 바닥 배수판의 들뜸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lifting of the floor drainage plate by providing a filling groove in which concrete is filled in the protrusion disposed at the edge of the floor drainage pl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바닥 배수판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결속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floor drainage plat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5 is a side view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7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art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inding protrusion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floor drain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s there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닥 배수판(1000)에 관한 것으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바닥 배수판(1000)들을 연이어 나란하게 배치하고,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의 상부에 마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시공하여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마감 콘크리트 사이의 침투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배수로(301)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배수판(1000)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닥 배수판(100)이 배치되는 바닥면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late to the floor drainage plate 1000, by arranging the floor drainage plates 1000 in a row on the base concrete floor and placing the finished concrete on the top of the base concrete floor It is to provide a floor drain plate 1000 for forming a semi-permanent drainage passage 301 capable of discharging the permeated water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finished concrete. For reference,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floor drain plate 100 to be described below is dispos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disposed on the basic concrete floor surface.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바닥 배수판(10)은 사각 판 형태의 베이스판(1)에 베이스판(1)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컵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2) 형성되고, 컵 형태의 돌출부(2)에는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들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해당 공간은 침투수가 흐르는 배수로(3)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바닥 배수판(10)은 베이스판(1)이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바닥 배수판(10)의 외곽에 해당하는 베이스판(1)이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휘어진 틈 사이로 콘크리트가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바닥 배수판(10)은 바닥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키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들뜸 현상이 더욱더 심화되고, 들뜸 현상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For referenc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bottom drain plate 10 has a plurality of cup-shaped protrusions 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ase plate 1 on the base plate 1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It is formed, and the cup-shaped protrusion 2 may be filled with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art. In addi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2, and the space may serve as a drainage passage 3 through which the seepage water flows. As such, in the conventional floor drain plate 10, since the base plate 1 is located at the top, when concrete is poured, the base plate 1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oor drain plate 10 is mov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bent and concrete can penetrate through the bent gaps.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loor drainage plat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the load caused by the floor concrete, the lifting phenomenon becomes more and more intensified as time pas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lifting phenomen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10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or drain plat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을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3에 예시된 바닥 배수판의 결속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floor drainage plate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floor drainage plate illustrated in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art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inding protrusion of the floor drain plate illustrated in FIG. 3.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베이스판(100), 돌출부(200), 배수구(300), 결속돌기(400) 및 결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8, the floor drainage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plate 100, a protrusion 200, a drain hole 300, a binding protrusion 400, and a coupling part 500. have.

베이스판(100)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밀착되게 배치되어 다른 베이스판(100)들과 나란하게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 전체 또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의 일부 영역에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plate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The base plate 100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concrete floor and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entire base concrete floor or a partial area of the base concrete floor in parallel with the other base plates 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100)은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원형의 판, 삼각의 판 또는 오각의 판 등 다양한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plate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bu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various plates such as a circular plate, a triangular plate, or a pentagonal plate.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판(100)은 PP(POLYPROPVLENE) 소재, PE(POLYETHYLENE)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친환경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계자에 따라 베이스판(100)의 소재는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plate 100 may include a PP (POLYPROPVLENE) material,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PE (POLYETHYLENE) or an eco-friendly material, and the material of the base plate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er. have.

베이스판(100)의 상부에는 돌출부(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0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베이스판(100)과 일체로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된 돌출부(2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정 곡률을 가지는 돔 형태 또는 아치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판(100)에서 복수개 돌출 형성된 돌출부(200)들의 형태를 베이스판(100)의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엠보싱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rotrusion 200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to protrude. The protrusion 200 may have a lower open and an upper protruding upward integrally with the base plate 100. That is, the protrusion 20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plate 100 may have a hollow interior and may be formed in a dome shape or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100 may be formed to have an emboss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base plate 100.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00)는 베이스판(100)에서 예정된 배열을 갖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00)의 배열은 격자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지만 돌출부(200)들의 배열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 the base plate 100,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20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but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200 may be any one. Not limited.

베이스판(100)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00) 각각은 이웃하는 돌출부(200)와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상호 연통된 돌출부(200)들은 배수로(301)를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침투된 침투수 또는 후술할 배수구(300)로 유입된 침투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1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djacent protrusions 200 and the interior thereof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s 200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may form a drainage passage 301, and may guide the seepage water that has penetrated from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or the seepag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drainage hole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water collection well.

바닥 배수판(1000)에 복수의 돌출부(200)가 격자 형태의 배열로 돌출 형성되면 돌출부(200)와 돌출부(200)의 외측 사이에는 돌출부(200)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지는 오목한 홈 형태의 충전구역(201)이 형성될 수 있다. 충전구역(201)에는 바닥 배수판(1000)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00)의 중공된 내부에는 침투수가 흐를 수 있는 배수로(301)가 형성되고, 돌출부(200)와 돌출부(200)의 외측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구역(201)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protrude from the floor drain plate 1000 in a grid-like arrangement, between the protrusion 200 and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200, a concave groove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00 is formed. A filling zone 201 may be formed. The filling zone 201 may be filled with concrete poured on the top of the floor drain plate 1000. That is, a drainage passage 301 through which penetration water can flow is forme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and concrete is filled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nd the outer sides of the protrusions 200. A filling zone 201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00) 각각의 부피는 크게 형성되고, 충전구역(201)의 부피는 돌출부(20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200)의 부피가 커지면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분산하는데 유리하여 지지력이 커지고 배수로(301)의 면적이 넓어져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반대로 충전구역(201)의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면 타설될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olume of each of the protrusions 200 may be large, and the volume of the filling area 201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200. For example, when the volume of the protrusion 200 is increased, it is advantageous in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poured concrete, thus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and increasing the area of the drainage passage 301, so that drainage may be facilitated. Conversely, if the volume of the filling zone 201 is formed relatively small, there is an advantage of saving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한편, 돌출부(200)의 상부 표면에는 홈 형태의 결속패턴(2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패턴(210)에는 돌출부(200)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돌출부(200)와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Meanwhile, a binding pattern 210 in a groove shap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00. The binding pattern 210 is filled with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00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rotrusion 200 and the concrete.

본 실시예에서, 결속패턴(210)은 돌출부(200)의 상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결속패턴(210)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binding pattern 210 may be formed radially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00, but the shape of the binding pattern 210 is not limited to any one.

복수의 돌출부(200)의 사이에 해당하는 베이스판(100)에는 결속돌기(4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200)들이 격자의 형태로 배열되면 돌출부(200)들 간의 중심에는 오목한 형태의 충전구역(20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구역(201)에 위치된 베이스판(100)에는 결속돌기(400)가 형성될 수 있다.A binding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For example, as mention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a concave charging zone 20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nd is located in the charging zone 201. The binding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00.

결속돌기(4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와 베이스판(100)의 결속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수직돌기(410) 및 보조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nding protrusion 400 may serv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base plate 100 when concrete is poured, and may include a vertical protrusion 410 and an auxiliary protrusion 420.

수직돌기(410)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격자로 배열된 돌출부(200)들 간의 사이에 해당하는 베이스판(100)에서 상향 돌출 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돌출부(200)들이 격자 무늬로 배열되면 돌출부(200)의 사이에는 충전구역(201)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돌기(410)는 충전구역(201)의 베이스판(100)에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수직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rotrusion 41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late 100 corresponding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rranged in a grid. In more detail, when the protrusions 200 are arranged in a grid pattern, a filling area 201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nd the vertical protrusion 410 is the base plate 100 of the charging area 201.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격자로 배열된 돌출부(200)들 간의 사이에 해당하는 베이스판(100)에서 돌출된 수직돌기(410)의 길이는 돌출부(200)의 돌출 높이와 같거나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베이스판(100)을 바닥에 설치하기 전에 복수의 베이스판(100)들은 겹쳐서 보관할 때, 수직돌기(410)의 길이가 돌출부(200)보다 높게 돌출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수직돌기(410)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length of the vertical protrusions 410 protruding from the base plate 100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rranged in a grid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low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s 20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00 are stacked and stored before the base plate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length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protrudes higher than the protrusion 200 and the vertical protrusion ( It is to prevent damage of 410).

수직돌기(4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돌기(42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돌기(420)는 수직돌기(4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봉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돌기(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돌기(420)는 2 개수 형성되어 각각 수직돌기(4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보조돌기(420)는 1 개수 또는 3개수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protrusion 42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The auxiliary protrusion 42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In this embodiment, two auxiliary protrusions 4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vertical protrusions 410, but the auxiliary protrusions 420 may be formed in one number or three or mo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돌기(400)는 위에서 설명한 수직돌기(410) 및 보조돌기(420)로 이루어진 형태 외에도, 수직돌기(410)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수직돌기(410)의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예정된 패턴을 가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돌기(4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이 증가될 수 있다. 수직돌기(4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은 “+”의 형태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of only the vertical protrusion 410 in addition to the form consisting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420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 groove having a pattern predetermined inwar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That is, concrete is pour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so that the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may be increased.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rotrusion 410 may have a “+” shape.

베이스판(100)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돌출부(200)의 외측면에는 배수구(30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drain hole 300 may protrude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0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100.

배수구(300)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형성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200)로부터 외측 방향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300)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외주면이 배수구(300)의 내측을 향해 일정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hole 300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formed vertically from the base concrete bottom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rotrusion 200. In addition, the drain hole 300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is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inside of the drain hole 300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예컨대, 복수의 베이스판(100)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 배수구(300)와 다른 베이스판(100)의 배수구(300)의 외주면은 서로 위 아래로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배수구(300)는 다른 베이스판(100)의 배수구(300)와의 겹쳐진 접촉면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도 베이스판(100)과 다른 베이스판(100)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ain hole 300 and the drain hole 300 of the other base plate 100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each other above and below. That is, the drain hole 300 is a base plate 100 different from the base plate 100 even if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because the overlapping contact surface with the drain hole 300 of the other base plate 100 form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It can prevent concrete from penetrating between).

배수구(300)는 다른 배수구(300)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배수구(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부(500)에 의해 접촉면이 서로 떨어지는 않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부(500)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drain hole 300 may be coupled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fall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oupling portion 50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in a state overlapping with the other drain hole 300, and the coupling portion 500 is again later I will explain.

그리고 바닥 배수판(1000)의 배수구(300)는 나란하게 배치된 다른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돌출부(200)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어 침투수가 베이스판(100)에서 다른 베이스판(100)으로 흐를 수 있다.And the drain hole 300 of the bottom drain plate 1000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interior of the protrusion 200 formed on the other base plate 100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penetration water from the base plate 100 to the other base plate 100 It can flow.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300)의 형태는 일정 곡률을 갖는 아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배수구(300)의 형태는 사각 등 다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drain hole 3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h having a certain curvature, but the shape of the drain hole 300 may be formed in multiple angles such as a square.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1000)은 배수구(300)가 베이스판(100)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돌출부(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 배수판(1000)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배수구(300)의 상부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즉, 배수구(300)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바닥 배수판(1000)의 외곽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을 향해 가압하여 바닥 배수판(100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floor drain plat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rain hole 30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rotrusion 20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100,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of the floor drain plate 1000. If so, concrete may be poured on the top of the drain 300.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floor drain plate 1000 from being lifted by pressing the outer edge of the floor drain plate 1000 toward the base concrete floor under the load of the concrete poured on the drain hole 30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300)의 외측면에는 나란하게 배치된 다른 바닥 배수판(10000)에 형성된 배수구(3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a coupling part 5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to be coupled to the drain hole 300 formed in another floor drain plate 10000 disposed in parallel.

결합부(500)는 배수구(3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나란히 배치된 베이스판(100)들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부(500)는 결합홈(510) 및 결합핀(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500 may serve to couple the base plates 100 whic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and arranged side by side. The coupling part 500 may be composed of a coupling groove 510 and a coupling pin 520.

먼저, 결합홈(510)은 배수구(300)의 외주면에서 홈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510)은 배수구(30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coupling groove 51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in the form of a groove.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5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결합핀(520)은 결합홈(510)과 인접한 배수구(300)의 내주면에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배수구(300)에는 결합홈(510) 및 결합핀(520)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핀(520)은 나란하게 배치되어 마주하는 바닥 배수판(1000)의 결합홈(510)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워져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in 52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ase concrete floo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300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510. In other words, a coupling groove 510 and a coupling pin 520 may be formed together in one drain hole 300. In addition, the coupling pins 520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re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510 of the bottom drain plate 1000 facing each other in a top-down direc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바닥 배수판(1000)은 돌출부(200)들을 연결하는 보강리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ttom drain plat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einforcing ribs (not shown) connecting the protrusions 200.

보강리브는 봉의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에 상향 돌출 형성된 돌출부(200)들의 최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보강리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판(1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베이스판(100)과 함께 휘어질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와 휘어진 베이스판(100)을 평탄화 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d and may connect the uppermost ends of the protrusions 20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plate 100. The reinforcing rib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may be bent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100 to which an external force was applied to the base plate 100, and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to flatten the curved base plate 100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보강리브는 바닥 배수판(1000)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모두 설치된 후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타설된 콘크리트와 베이스판(100)의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may also serv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oured concrete and the base plate 100 when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after the floor drain plate 1000 is all installed on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바닥 배수판(1000)은 베이스판(100)의 가장 외곽에 배치된 돌출부(200)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충전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oor drain plat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l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poured concrete is filled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20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100.

충전홈은 돌출부(200)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부(200)의 예정된 깊이까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홈의 깊이는 결속패턴(210)의 깊이보다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ll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from the top of the protrusion 200 toward the inside to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protrusion 200. The depth of the filling groove may be formed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binding pattern 210.

충전홈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충전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외곽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을 향해 가압시켜 베이스판(100)을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ling groove is filled with poured concret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late 100 is pressed toward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by the load of the filled concrete, so that the base plate 1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have.

즉, 충전홈의 하중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베이스판(100) 외곽의 기밀성이 높아져 베이스판(10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airtightness of the base concrete floor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late 100 is increased by the load of the filling groove, so that the lifting of the base plate 100 can be preven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다.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floor drain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10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1000)이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바닥 배수판(1000A, 1000B)은 특정된 구역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에 나란하게 연속 배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floor drain plat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loor drain plates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lurality of floor drain plates 1000A and 1000B is a base concrete floor in a specified area. They can be placed side-by-side in succession and bond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복수의 바닥 배수판(1000)은 제1 바닥 배수판(1000A) 및 제2 바닥 배수판(1000B)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floor drainage plates 1000 will be defined as a first floor drainage plate 1000A and a second floor drainage plate 1000B.

참고로, 바닥 배수판 시스템에 포함된 제1 바닥 배수판(1000A) 및 제2 바닥 배수판(1000B)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닥 배수판(1000)의 다른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floor drain plate 1000B included in the floor drain plate system include all other components of the floor drain plate 10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바닥 배수판(1000A) 및 제2 바닥 배수판(1000B)은 각각 외곽에 배치된 돌출부(200)의 배수구(300)가 서로 위에서 아래로 겹쳐진 상태에서 결합부(500)에 의해 결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are combined by the coupling part 500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holes 300 of the protrusions 200 disposed on the outer sides overlap each other from top to bottom. Can be.

이때,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배수판(1000A, 1000B)은 각각의 배수구(300)가 서로 위에서 아래로 겹쳐지게 결합되고, 각각의 배수구(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510) 및 결합핀(5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loor drainage plates 1000A and 10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rain holes 300 overlap each other,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drain hole 300 It may be coupled by the 510 and the coupling pin 520.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바닥 배수판(1000A)의 배수구(300) 중 어느 하나의 배수구(300)에는 결함홈(510) 및 결합핀(520)으로 이루어진 결합부(5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500)가 형성된 배수구(300)와 맞닿는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배수구(300)에도 결합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a coupling part 500 made of a defect groove 510 and a coupling pin 52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drain holes 300 of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 The coupling portion 500 may also be formed in the drain hole 300 of the second floor drain plate 1000B that contacts the drain hole 300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500 is formed.

그리고 제2 바닥 배수판(2000B)의 배수구(300)는 제1 바닥 배수판(1000A)의 배수구(300)의 상부 방향에서 서로 겹쳐지는데 이 과정에서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결합핀(520)은 제1 바닥 배수판(1000A)의 결합홈(510)에 끼워져 제1 바닥 배수판(1000A)과 제2 바닥 배수판(1000B)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hole 300 of the second floor drain plate 2000B overlaps each other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ain hole 300 of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pin 520 of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is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may b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0 of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한편, 제1 바닥 배수판(1000A)과 제2 바닥 배수판(1000B)이 결합되면, 제1 바닥 배수판(1000A)의 결합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200)와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결합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200)는 격자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are couple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disposed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are combine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00 disposed on the surface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a grid.

제1 바닥 배수판(1000A)과 제2 바닥 배수판(1000B)이 결합되면 결합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의 돌출부(200)들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바닥 배수판(1000A)과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돌출부(200)들은 결합면을 기준으로 격자로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ottom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are coupled, each of the protrusions 200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urface. That is, the protrusions 200 of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may be arranged in a grid based on the coupling surface.

이 때, 격자로 배치된 돌출부(200)들 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제1 바닥 배수판(1000A) 및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베이스판(10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바닥 배수판(1000A)과 제2 바닥 배수판(1000B)이 결합되어 격자로 배치된 돌출부(200)들 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이 노출된 공간(101)이 형성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plate 100 of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bottom drain plate 1000B may not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rranged in a grid. In other words, a space 101 in which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is expose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protrusions 200 arranged in a grid by combining the first floor drainage plate 1000A and the second floor drainage plate 1000B. Can be.

이와 같이, 제1 바닥 배수판(1000A) 및 제2 바닥 배수판(1000B)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이 노출된 공간(10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노출된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타설된 콘크리트가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바닥 배수판들(1000A, 1000B)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면과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면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concrete is poured in the space 101 where the foundation concrete floor surface of the first floor drain plate 1000A and the second floor drain plate 1000B is exposed, the exposed foundation concrete floor surface and the poured concrete will contact each other. The floor drainage plates 1000A and 1000B may be fixed between the base concrete floor surface and the concrete surface poured there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바닥 배수판
100: 베이스판
200: 돌출부
210: 결속패턴
300: 배수구
400: 결속돌기
410: 수직돌기
420: 보조돌기
500: 결합부
510: 결합홈
520: 결합핀
1000: floor drain plate
100: base plate
200: protrusion
210: binding pattern
300: drain
400: binding protrusion
410: vertical projection
420: minor protrusion
500: coupling portion
510: coupling groove
520: coupling pin

Claims (11)

바닥면에 위치되는 사각판 형태의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내부가 중공된 돔 형태로 상향 돌출되고, 중공된 내부가 서로 연통된 복수의 돌출부;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의 외측 방향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수구;
격자 형태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에서 상기 돌출부와는 이격되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높이는 복수의 결속돌기; 및
다른 베이스판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돌기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되게 돌출된 수직돌기 및 상기 수직돌기의 상부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돌기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돌기 및 상기 보조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중심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 각각의 상기 배수구의 외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서부터 상기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핀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바닥 배수판에 형성된 상기 결합핀은 인접하는 상기 바닥 배수판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는 표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예정된 패턴을 가지는 홈 형태의 결속패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닥 배수판 각각의 외곽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결속패턴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충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닥 배수판과 상기 제2 바닥 배수판이 결합되어 결합면에 배치된 각각의 돌출부들이 격자의 형태로 배치되고, 격자의 형태로 배치된 돌출부들 간의 중심에는 상기 바닥면이 노출된 공간이 형성되는 바닥 배수판 시스템.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on the base plate in a lattice shape, protruding upward in a hollow dome shape,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 drain hole formed to protrud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disposed at an edge of the base plate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A plurality of binding protrusions that protrude from the base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in a grid form and protrude apart from the protrusions, thereby increasing a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placed on the base plate;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bottom drain plates made of coupling portions for coupling with the drain holes formed on the other base plate,
The binding protrusion includes a vertical protrusion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protrusion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protrusion and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among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At least one or mor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the through-hole is filled with concrete,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 drainage plates, and a coupling pin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groove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in one of the bottom drainage plates The formed coupling pi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adjacent bottom drain plate,
The protrusion includes a binding pattern groove in the shape of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n which the concrete poured on the surface is filled, 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loor drainage plates includes the protrusion. A filling groove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depth deeper than the binding pattern,
The first floor drainage plate and the second floor drainage plate are combined, and each of the protrusions arranged on the coupling surface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and a space in which the floor surface is exposed is formed at the center between the protrusions arranged in the form of a grid. Floor drainag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6922A 2019-09-23 2019-09-23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KR102239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22A KR102239977B1 (en) 2019-09-23 2019-09-23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22A KR102239977B1 (en) 2019-09-23 2019-09-23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39A KR20210034939A (en) 2021-03-31
KR102239977B1 true KR102239977B1 (en) 2021-04-19

Family

ID=7523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922A KR102239977B1 (en) 2019-09-23 2019-09-23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006B1 (en) * 2021-06-21 2023-06-01 주식회사 호반건설 Drainage plate containing ferronickel slag powder and drainage plat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0313A1 (en) * 2014-03-12 2015-09-17 Joseph S. Miskovich Modular construction conduit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714Y2 (en) * 1991-06-28 1997-06-04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Building floor structure
JPH093912A (en) * 1995-06-22 1997-01-07 Okabe Co Ltd Plate anchor construction method
KR200462427Y1 (en) * 2010-07-15 2012-09-11 이중규 Draining Plate Assembly for Bottom of Underground
KR101285329B1 (en) * 2010-10-26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oard, drain board and structure for planting in building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0313A1 (en) * 2014-03-12 2015-09-17 Joseph S. Miskovich Modular construction condui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939A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77B1 (en) Drainage plate and drainage plate system
KR20120135566A (en) Hollow core slab for improving appended concrete union
JP5294439B1 (en) Structural members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KR101285774B1 (en) Drain board and structure for planting in building using the same
KR101976087B1 (en) Earth-pressure resistance type horizontal drain boar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horizontal drain board
KR102059055B1 (en) fanel for sound insulation
KR10108688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lot of concrete blocks
KR20190006651A (en) Breakwat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44178B1 (en) Structural member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KR101157098B1 (en) The Protection Plate of Underground Cable
CN206916790U (en) A kind of structure of free from flaw, ne-leakage overlarge area basement terrace
JP6604763B2 (en) Foundation packing
KR102539006B1 (en) Drainage plate containing ferronickel slag powder and drainage plate system
KR102464707B1 (en) Insulated floor drainboard
KR101123955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KR100799697B1 (en) Draining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KR102211097B1 (en) Sofa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576257B1 (en) Pavement structure having water permeable and water storage fuction
CN217629923U (en) Concrete surface course template structure and concrete surface course
KR101325717B1 (en) draining plate assembly
CN213952512U (en) Upper and lower connected node of prefabricated module
KR102599307B1 (en) Block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CN219441705U (en) Assembled filler bearing plate with high bearing capacity
CN211420050U (en) Self-positioning checker brick for coke oven regenerator
KR101795869B1 (en) Drainage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