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848B1 -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848B1
KR102239848B1 KR1020210034911A KR20210034911A KR102239848B1 KR 102239848 B1 KR102239848 B1 KR 102239848B1 KR 1020210034911 A KR1020210034911 A KR 1020210034911A KR 20210034911 A KR20210034911 A KR 20210034911A KR 102239848 B1 KR102239848 B1 KR 10223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user
layou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filed Critical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Priority to KR102021003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ND STORING CCTV VIDEO BASED ON USER CUSTOMIZED VIDEO LAYOUT FOR SECURING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적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면서 CCT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적으로도 CCTV가 많이 설치된 지역에서 중대범죄 발생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CTV의 범죄 예방 효과 이외에도 실제 발생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증거 확보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CCTV를 이용하여 소정의 지역을 감시 및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 감시 및 관측하고자 하는 지역마다 각각 CCTV 카메라를 설치하고, CCTV 카메라들과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를 연결하여 CCTV 카메라들로부터 수집되는 영상 데이터를 NVR에 저장 및 관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CCTV 영상 저장 및 관리 방법에서, NVR 1대당 연결 가능한 CCTV 카메라의 수가 적기 때문에(예: 16대), 감시 및 관측하고자 하는 지역의 규모가 커서 많은 양의 CCTV 카메라를 구동해야 할 경우에는 CCTV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NVR의 개수 역시 늘려야 하며, 이에 따라 NVR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큰 공간이 필요하고 NVR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NVR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CCTV 영상 모니터링 방법은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 가능한 영상 데이터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니터링 장치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고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용량 CCTV 영상 저장 서버를 이용하여 최대 500대의 CCTV 카메라 모듈과 연결함으로써, NVR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NVR을 사용함에 따른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커스터마이즈된 영상 레이아웃에 따라 CCTV 영상을 배치 및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1대의 영상 출력 장치당 최대 200개의 영상 데이터를 동시 출력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영상 출력 장치의 개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 배치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생성하며,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 각각에 적용할 복수의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분배 및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는 상호 반비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지도 데이터 상의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의 화각(Angle of View) 및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된 고정 객체를 표시하여 상기 제2 영역 상에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어안 카메라 모듈인 경우, 상기 어안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하되, 상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 상에 어느 한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가상의 팬-틸트-줌(Virtual Pan, Tilt, Zoom, VPTZ)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을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은, 저장공간을 포함하며, 소정의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이 재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재개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와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상태 정보 -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과 상기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정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이상 동작 유무 및 저장공간의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시각화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과 함께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버와 각각 연결된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정보 -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 모듈명, IP 주소, 제조사, 모델명, 화질 정보,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복수의 서버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시각화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과 함께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용량 CCTV 영상 저장 서버를 이용하여 최대 500대의 CCTV 카메라 모듈과 연결함으로써, NVR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NVR을 사용함에 따른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커스터마이즈된 영상 레이아웃에 따라 CCTV 영상을 배치 및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1대의 영상 출력 장치 당 최대 200개의 영상 데이터를 동시 출력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영상 출력 장치의 개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출력 장치의 개수를 줄이고, 영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키움으로써,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고, 영상을 고해상도로 저장함으로써,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및 5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영상 레이아웃과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가 어안 카메라인 경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및 10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와 각종 정보가 함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버 각각에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 카메라 모듈(200), 영상 출력 장치(300) 및 외부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과 연결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영상 출력 장치(300)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따라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배치하여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CCTV 영성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이 각각 연결된 복수의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 각각은 200만 화소(Full-HD) 30fps를 지원하고, 200만 화소의 카메라 모듈 최대 200대와 연결(200 채널 구비)되어, 최대 200대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최대 200개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장치(300)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 각각은 내장 그래픽(예: 인텔 Quick Sync)과 외장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을 이용하여 최대 6개의 영상 출력 장치(300)에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영상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의 부하를 경감시켜 보다 빠르게 영상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영상 출력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HD 및 그 이상의 고해상도 영상을 지원하는 내장 그래픽을 사용할 경우, 더 많은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의 CPU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CPU 연산 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더 많은 카메라 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카메라 모듈(200)(예: 서로 다른 제조사, 규격의 카메라 모듈(200))과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드라이버 팩(Driver Pack)을 제공할 수 있고, 드라이버 팩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 뿐만 아니라 엔코더, NVR, 기타 IP 장치들과 연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하며, 스마트폰으로 CCTV 영상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00)은 소정의 지역에 설치되어, 소정의 지역 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은 서로 상이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은 고해상도(HD급, 30fps) 영상 데이터 즉,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 모듈과 저해상도(SD급) 영상 데이터 즉, 저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저성능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은 내부에 별도의 저장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와 네트워크 단절 시 저장공간 내에 영상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고,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재개됨에 따라 저장공간에 임시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은 내부에 별도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메모리(예: SD 메모리 카드)와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메모리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은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된 후에 다시 연결될 때,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로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저장공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은 저장공간에 여유 용량이 있을 경우,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추후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됨에 따라 새로운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저장공간 내에 용량이 부족해질 경우, 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저장된 기간이 오래된 영상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삭제하여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출력 장치(300)는 영상 출력 장치(300)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 장치(300)는 소정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영상 출력 장치(300)는 영상 출력 장치(300)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으며,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설치 및 실행함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영상 레이아웃을 설정하거나, 자신이 설정한 영상 레이아웃에 맞춰 배치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출력 장치(3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4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가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거나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가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400)는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에서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예: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레이아웃에 맞춰 배치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 구비되는 저장 서버인 외부 서버(400)에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서버(400)는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 내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100)(이하,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서버(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를 통해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11을 참조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이 소정의 공간을 실시간 촬영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이 소정의 지역 또는 소정의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영상 스트리밍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0 단계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먼저,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배치할 영상 레이아웃(예: 도 4 및 5)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을 생성하기 위한 UI를 영상 출력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고, 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예: 영상 레이아웃 내에 포함될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 각각의 영상 출력 영역의 속성(예: 크기, 화면비율, 화질 및 해상도 등) 및 영상 출력 영역의 배치 형태 등)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5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1분할, 4분할, 9분할 및 16분할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출력 영역의 수에 기초하여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의 속성 정보(예: 성능, 디스플레이의 크기 등)에 따라 영상 레이아웃에 최대 200개의 영상 출력 영역이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되는 각각의 분할 영역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 영역이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따라 영상 출력 영역들 각각의 크기, 각각의 영상 출력 영역에서 출력하는 영상 데이터의 화면 비율, 화질, 해상도, 출력 방식 등을 결정하되, 각각의 영상 출력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10)이 제1 영상 출력 영역(11), 제2 영상 출력 영역(12), 제3 영상 출력 영역(13), 제4 영상 출력 영역(14) 및 제5 영상 출력 영역(15)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영상 출력 영역(11)은 가장 큰 크기를 가지며 파노라마 형태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며 수 있고, 제2 영상 출력 영역(12)은 두번째로 큰 크기를 가지며 16:9 비율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영상 출력 영역(13)은 세번째로 큰 크기를 가지며 4:3 비율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레이아웃 설정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10)을 설정하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지 않은 설정값에 대해서는 임의의 설정값을 적용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기본값(default)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10) 내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각각에 대한 화면 비율이 개별적으로 설정되었으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각각의 크기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각각의 크기를 동일한 크기(예: 영상 레이아웃의 크기/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상에 영상 데이터를 배치하여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에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가 새롭게 추가되는 것에 따라 새롭게 추가되는 영상 출력 장치(300)에도 동일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영상 출력 장치(300)에 개수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하고, 분할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영상 데이터를 배치하여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300)가 4대인 경우,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4분할하여 영상 출력 장치(300)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의 배치 형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영상 출력 영역을 가지도록 4분할된 형태이고,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가 2대이며, 2대의 영상 출력 장치(300)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경우,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을 세로로 2분할 하여, 1열에 포함된 2개의 영상 출력 영역이 좌측에 배치된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공되도록 하고, 2열에 포함된 2개의 영상 출력 영역이 우측에 배치된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의 배치 형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도록 분할하여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영상 레이아웃에 맞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에 따라 분할하되,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각각의 속성(예: 출력 방식, 화면 비율, 화질 및 해상도)과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 각각의 속성(예: 성능, 제원 등)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 화면 비율 및 출력 방식이 설정된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을 가지도록 비대칭 분할된 형태인 경우,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 중 가로로 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1 영상 출력 영역(11)이 출력되도록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을 분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에 대한 최적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배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3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의 수에 기초하여, 영상 레이아웃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100개인 경우, 100개의 영상 출력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는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 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영상 레이아웃에 포함된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에 따라 결정되고, 각각의 영상 출력 영역의 속성(예: 크기, 화면비율, 해상도 등)은 각각의 영상 출력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화질, 해당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카메라 모듈의 성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소정의 공간의 크기 및 이벤트 발생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목적(예: 방법용, 이벤트 발생 감지용, 유동인구 확인용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소정의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정의 지역에 대한 특성 정보(예: 소정의 지역의 규모, 형태, 유동인구 등)를 추출하고, 추출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선택하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추천 영상 레이아웃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기 저장된 지역별 영상 레이아웃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특성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레이아웃을 추천 영상 레이아웃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 레이아웃을 사용자에게 추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예: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자동적으로 생성된 영상 레이아웃 및 추천 영상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의 레이아웃) 상에 영상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가 수집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영상 데이터별 배치 위치가 별도로 설정된 경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배치 위치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는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예: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의 수 또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값)와 영상 레이아웃에 포함된 영상 출력 영역의 수가 상이한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에 맞춰 영상 레이아웃을 재생성하거나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 상에 포함된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가 100개이나,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50개인 경우, 영상 레이아웃 내에 포함된 50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삭제(또는 제거)하거나,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가 50개인 영상 레이아웃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 상에 포함된 영상 출력 영역의 개수가 50개이나,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100개인 경우, 영상 레이아웃 내에 영상 출력 영역 각각을 2분할하여 100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만들거나, 100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레이아웃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M)가 기 설정된 한계치(N)(예: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영상 데이터의 개수의 한계치(예: 200개))를 초과할 경우, M개의 영상 데이터 중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M)가 기 설정된 한계치(N)를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주기마다 M개의 영상 데이터 중 임의의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 이전에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재선택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이전에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재선택될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가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위치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M)가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영상 출력 개수의 한계치(N)를 초과할 경우, 기 설정된 우선 순위(예: 수집된 시간,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중요도, 카메라 모듈(200)이 설치된 영역의 크기(관측 영역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M개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영상 출력 개수의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레이아웃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영상 데이터는 상기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며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인구가 많은 영역이나 이벤트 발생이 잦은 지역의 경우, 다른 영역보다 주의 깊게 모니터링을 해야한다. 따라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이러한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선택받아 영상 레이아웃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선택받지 않은 영상 데이터들 즉,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상 데이터들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영상 출력 개수의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을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한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레이아웃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가 영상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영상 출력 개수의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모두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예: 영상 출력 장치(300)의 개수 등)에 대한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각각에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배치하여 영상 출력 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레이아웃이 영상 출력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UI를 영상 출력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UI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영상 레이아웃과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가 제공하는 UI(20)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화면의 상하방향에 위치하며, 크기가 상호 반비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22)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버튼(21b)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제2 영역(22)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제2 영역(22)의 크기가 증가된 만큼 제1 영역(2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21)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버튼(22d)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제1 영역(21)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제1 영역(21)의 크기가 증가된 만큼 제2 영역(22)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UI(20)는 제1 영역(21)만을 출력하거나, 제2 영역(22)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I(20)에 포함된 제1 영역(21)은 영상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1)은 복수의 영상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레이아웃 선택 영역(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 선택 영역(21a)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레이아웃을 선택받는 경우, 현재 출력중인 영상 레이아웃을 선택된 영상 레이아웃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I(20)에 포함된 제2 영역(22)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과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의 화각(Angle of View)(22b) 및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된 고정 객체(22c)(예: 가구, 문 등)를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은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카메라 모듈(200)에 대응되는 카메라 아이콘(22a)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카메라 모듈(200)에 대응되는 카메라 아이콘(22a)만을 표시할 수 있고, 추후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되는 영상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이에 따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되는 카메라 아이콘(22a)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을 선택받는 경우, 제1 영역 상에 출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에 특수 효과(예: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과 매칭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으로 연결, 영상 데이터의 출력 크기를 증가시켜 강조 등)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가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을 선택받았으나, 선택받은 카메라 아이콘(22a)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인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팝업창의 형태로 제1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의 크기가 조절됨에 따라 UI(20)를 통해 제2 영역(22)만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로부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을 선택받는 경우,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팝업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22a)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을 선택받는 경우, 제1 영역 상에 출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22a)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되, 해당 카메라 모듈(200)이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 가능한 카메라 모듈(예: 어안 카메라 모듈)인 경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어안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는 카메라 아이콘(22a)을 선택받는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안 카메라 모듈을 통해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 상에 어느 한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가상의 팬-틸트-줌(Virtual Pan, Tilt, Zoom, VPTZ)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을 제1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및 10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와 각종 정보가 함께 출력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UI(2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과 서버(100) 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정보,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 이상 동작 유무 및 저장공간의 사용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 상태 정보 출력 영역(23a, 23b, 23c)를 포함하는 UI(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UI(2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 상태 정보 출력 영역(23a, 23b, 23c)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별 연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예: 정상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200)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이상이 있는 카메라 모듈(200)을 적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100)는 UI(2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 상태 정보 출력 영역(23a, 23b, 23c)을 통해 카메라 모듈(200)별 이벤트 발생 상태나 이상 동작 상태(예: 화질 저하, 대역폭 저하 등)를 출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UI(2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200)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의 상태 및 기능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를 시각화하여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과 함께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UI(20)는 이벤트 출력 영역(23d)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벤트 출력 영역(23d)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에 따라 감지되는 이벤트(예: 유동인구 증가 등)를 시각화(예: 그래프화, 숫자 표시 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UI(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용객 증가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벤트를 시각화 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소정의 지역에 대한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통계화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통계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버 각각에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 카메라 모듈(200)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복수의 서버(100) 각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 카메라 모듈(200)에 대한 정보는 카메라 모듈명, IP 주소, 제조사, 모델명, 화질 정보,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서버(100)를 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서버(100)와 연결된 카메라 모듈의 주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복수의 서버(100)를 통합 관리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서버(100)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의 주요 정보를 리스트로 제공받음에 따라 서버(100)별 카메라 모듈(200) 등록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맞춰 배치하고,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영상 데이터 등 일부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과의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된 이후 다시 네트워크 연결이 재개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200)의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과거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과거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맞춰 배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영상 데이터 각각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으로 많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
200 : 카메라 모듈
300 : 영상 출력 장치
400 : 외부 서버
500 : 네트워크

Claims (5)

  1. 복수의 카메라 모듈;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영상 레이아웃에 배치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와 상기 영상 레이아웃에 포함된 영상 출력 영역의 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에 맞춰 영상 레이아웃을 재생성하거나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를 변경하되, 상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수(M)가 기 설정된 한계치(N)를 초과할 경우 상기 영상 레이아웃이 N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태를 변경하고, 기 설정된 우선 순위 - 상기 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영상 데이터의 수집 시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중요도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에 기초하여 M개의 영상 데이터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N개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N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레이아웃 상에 배치하며,
    상기 수집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출력 장치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영상 레이아웃의 형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영상 출력 장치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제1 영상 출력 장치 및 제2 영상 출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레이아웃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영상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영상 출력 장치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할 것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영상 레이아웃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영상 출력 영역을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영상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영상 출력 장치를 상하로 나란히 배치할 것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영상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소정의 공간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는 상호 반비례하게 조절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지도 데이터 상의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각각의 화각(Angle of View) 및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 배치된 고정 객체를 표시하여 상기 제2 영역 상에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카메라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 모듈이 어안 카메라 모듈인 경우, 상기 어안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하되,
    상기 소정의 공간을 360도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 데이터 상에 어느 한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얻는 경우, 가상의 팬-틸트-줌(Virtual Pan, Tilt, Zoom, VPTZ)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을 상기 제1 영역 상에 출력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0210034911A 2021-03-17 2021-03-17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23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11A KR102239848B1 (ko) 2021-03-17 2021-03-17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911A KR102239848B1 (ko) 2021-03-17 2021-03-17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960A Division KR102231795B1 (ko) 2020-12-18 2020-12-18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848B1 true KR102239848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911A KR102239848B1 (ko) 2021-03-17 2021-03-17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CN117499601A (zh) * 2024-01-02 2024-02-02 上海励驰半导体有限公司 用于SoC的调用多摄像头数据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3267A (ja) * 2006-03-06 2007-09-20 Sony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プログラム
KR20190024934A (ko) * 2019-02-26 2019-03-08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 영상 관리 서버, 다중 영상 표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90105494A (ko) * 2018-03-05 2019-09-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3267A (ja) * 2006-03-06 2007-09-20 Sony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プログラム
KR20190105494A (ko) * 2018-03-05 2019-09-1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24934A (ko) * 2019-02-26 2019-03-08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 영상 관리 서버, 다중 영상 표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250A1 (en) * 2021-12-22 2023-06-29 Tv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view service
KR20230095297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티빙 멀티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4561B1 (ko) * 2021-12-22 2023-12-19 주식회사 티빙 멀티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7499601A (zh) * 2024-01-02 2024-02-02 上海励驰半导体有限公司 用于SoC的调用多摄像头数据的方法
CN117499601B (zh) * 2024-01-02 2024-04-05 上海励驰半导体有限公司 用于SoC的调用多摄像头数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795B1 (ko) 대용량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CN107871308B (zh) 用于处理广角图像的方法和设备
KR102239848B1 (ko)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239851B1 (ko)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한 이벤트 발생 감지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1718373B1 (ko) 비디오 재생 방법, 단말 및 시스템
JP534727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16220173A (ja) 追跡支援装置、追跡支援システムおよび追跡支援方法
CN106303390B (zh) 图像采集方法及其装置,图像传输方法及其装置
KR20190014092A (ko) 이미지 천이들 사이에서의 원하는 줌 레벨 및 관심 오브젝트로의 이미지들의 그룹의 록킹
CN107333165A (zh) 多画面位置调整的控制方法和装置
US20150113582A1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239850B1 (ko) 전기 에너지 절감을 위한 모니터링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천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CN111212246B (zh) 视频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515446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64894A1 (en) Video processing
CN113949821A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100512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KR102239846B1 (ko) 전력 절감을 위한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239847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가변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239852B1 (ko)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cctv 영상에 최적화된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2239849B1 (ko)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cctv 영상 모니터링의 목적에 따른 맞춤형 영상 레이아웃 기반의 cctv 영상 제공 및 저장 시스템
KR10108284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폰 영상 제공 시스템
CN112437237B (zh) 拍摄方法及装置
CN110858890A (zh) 视频监控多画面显示的方法、装置及系统
KR20240069953A (ko) 에너지 절감 대상 파악하여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