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72B1 - Object come and go device - Google Patents

Object come and go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72B1
KR102238972B1 KR1020190092124A KR20190092124A KR102238972B1 KR 102238972 B1 KR102238972 B1 KR 102238972B1 KR 1020190092124 A KR1020190092124 A KR 1020190092124A KR 20190092124 A KR20190092124 A KR 20190092124A KR 102238972 B1 KR102238972 B1 KR 10223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se plate
joint members
band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4276A (en
Inventor
노홍길
Original Assignee
노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길 filed Critical 노홍길
Priority to KR102019009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7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6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adapted to the use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0Travelling or camp beds adapted to be used in or connected to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출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집안의 벽과 같이 두께가 얇은 내부에 장착하여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실내로 돌출한 후 테이블과 같은 각종 사물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하부로 샤프트(21)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과,
상기 관절부재(20)들이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관절부재(20)들과 함께 이동되는 베이스판(10)의 인출 위치와, 수납 위치에 각각 제1걸림홀(31)(32)과 제2걸림홀(33)(34)들이 마련되는 하우징(30)과,
속이 빈 함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관절부재(20)들중 가장 끝단에 위치되는 관절부재(20)에 고정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각각 홀(41)들이 뚫어지는 케이스(40)와,
이 케이스(40)의 홀(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스트라이커(50)(51)들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핀(61)을 축으로 지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62)에 탄력 지지되는 버튼(60)과,
상기 버튼(60)과 스트라이커(50)(5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과,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으로 연결수단(70)에 의해 연결된 스트라이커(50)(51)를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들의 위치에서 출몰되며 로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수단(80)과,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될 때 연결수단(70)을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appea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mounting it in a thin interior such as a wall of a car or house, protruding into the room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and enabling various objects such as a table to be used,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It was invented to be able to utilize i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e 10,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in a bendable manner by a shaft 21,
The joint members 20 are guided so that they can be switch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respectively, at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10 moved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The housing 30 in which the first locking holes 31 and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are provided,
A case 40 which is mold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fixedly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20 located at the most end of the joint members 20 and through which holes 41 are respectively drill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plurality of strikers 50 and 51 slidably fitted into the hole 41 of the case 40,
A button 60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62 in a state in which a pin 61 is pivotable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A connecting means (70) connecting between the button (60) and the striker (50) (51),
The striker 50, 51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70 by pressing the button 60 appears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holes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34 And the locking release means 80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turn spring (90) for returning the connecting means (70)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60) is released.

Description

사물 출몰장치{Object come and go device} Object come and go device}

본 발명은 사물 출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나 집안의 벽과 같이 두께가 얇은 내부에 장착하여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실내로 돌출한 후 테이블과 같은 각종 사물을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appea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mounting it in a thin interior such as a wall of a car or house, protruding into the room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and enabling various objects such as a table to be used,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It was invented to be able to utilize i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테이블이나 식탁을 포함한 다양한 사물들이 고정식으로 비치되어 있다.In general, various objects, including tables and dining tables, are provided in a fixed manner in homes or offices.

이러한 사물은 대부분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내 공간이 넓지 않은 경우에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많은 불편함과 지장을 주고 있다.Since most of these objects are fixed at a specific location, they occupy a lot of space, and when the indoor space is not large, it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and hindrance to people's movement.

최근, 자동차의 경우 레저용으로 많이 활용되면서 차안에서 취침이나 회의, 서류작성, 식사 등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테이블이 필요로 하고 있다.Recently, in the case of automobiles, as they are widely used for leisure, various activities such as sleeping, meeting, writing documents, and meals are performed in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a table is required.

종래, 자동차의 시트 뒷면에 얇은 판 형상으로 된 테이블을 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시 분리한 후 다시 주로 실내 중앙 위치로 이동하여 공구를 이용해 설치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었다.Conventionally, a structure has been known in which a table in a thin plate shape is closely fixed to the back of a seat of an automobile, separated if necessary, and then moved to a central indoor location and installed using a tool.

이 경우 별도의 공구나 숙련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어려움으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In this case, not only requires a separate tool or skill, but also avoids using it due to difficulty in work.

또, 자동차에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팔걸이가 설치되는 경우나, 트레이가 구비되는 경우 팔걸이 또는 트레이에 절첩식 테이블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접어서 내부 수납공간에 보관하여 공간을 줄이고, 필요시에는 펼쳐서 문서를 작성하거나 레저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었다.In addition, when armrests are installed to allow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posture in the car, or when a tray is provided, a folding table is installed on the armrests or trays and folded in normal times and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to reduce space.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hat allows you to open and write documents or use them for leisure.

그러나, 팔걸이나 트레이의 크기가 작으므로, 그 내부 수납 공간에 보관하기 위한 테이블의 크기는 매우 작아 레저용이나 사무 및 식사 등을 위한 테이블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armrest or the tray is small, the size of the table for storage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is very small, and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table for leisure, office work, and meals.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384113호 (등록일자 2014년04월0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84113 (Registration Date April 4, 2014)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51257호 (등록일자 1999년04월14일)Registered in Korea, Utility Model No. 20-0151257 (Registration Date April 14, 1999)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47481호 (등록일자 2001년09월10일)Registered in Korea, Utility Model No. 20-0247481 (Registration Date Sep. 10, 200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또는 집 등의 얇은 벽면이나 바닥면에 슬라이드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여 비사용시에는 실내 공간을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출된 상태에서는 보다 충분한 크기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사물 출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n detail, it is installed to be slideable on a thin wall or floor surface such as a car or house, so that the indoor space can be greatly utilized when not in use, and more sufficient in the withdrawn st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bject appearing device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in size.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 사용 없이도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인출이 가능하므로 편리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물 출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bject appea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merchandising since it is possible to withdraw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too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원하는 최적의 제품을 장착하여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물 출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bject appearing device capable of satisfying consumption needs by mounting an optimal product desired by a consum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판(10)과,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se plate 10,

이 베이스판(10)의 하부로 샤프트(21)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과,A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each bend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by a shaft 21,

상기 관절부재(20)들이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관절부재(20)들과 함께 이동되는 베이스판(10)의 인출 위치와, 수납 위치에 각각 제1걸림홀(31)(32)과 제2걸림홀(33)(34)들이 마련되는 하우징(30)과,The joint members 20 are guided so that they can be switch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respectively, at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10 moved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The housing 30 in which the first locking holes 31 and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are provided,

속이 빈 함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관절부재(20)들중 가장 끝단에 위치되는 관절부재(20)에 고정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각각 홀(41)들이 뚫어지는 케이스(40)와,A case 40 which is mold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fixedly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20 located at the most end of the joint members 20 and through which holes 41 are respectively drill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이 케이스(40)의 홀(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스트라이커(50)(51)들과,A plurality of strikers 50 and 51 slidably fitted into the hole 41 of the case 40,

상기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핀(61)을 축으로 지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62)에 탄력 지지되는 버튼(60)과,A button 60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62 in a state in which a pin 61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is rotatable about an axis,

상기 버튼(60)과 스트라이커(50)(5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과,A connecting means (70) connecting between the button (60) and the striker (50, 51),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으로 연결수단(70)에 의해 연결된 스트라이커(50)(51)를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들의 위치에서 출몰되며 로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수단(80)과,The striker 50, 51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70 by pressing the button 60 appears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holes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34 And locking release means 80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될 때 연결수단(70)을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turn spring (90) for returning the connecting means (70)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60) is released.

여기서, 연결수단(70)은 관절부재(20)를 따라 나란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밴드(71)를 위치시키고, 베이스판(10)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버튼로드(72)를 설치하여 그 절곡부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1피니언(73)에 밴드(71)와 버튼로드(72)의 선단에 연결된 제1래크(74)(75)들을 각각 치차 결합되어 있다.Here, the connecting means 70 positions the band 71 in a position that is moved side by side along the joint member 20, and a button rod in a position that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 The first pinion (73), which is pivotably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bent portion (72), is geared together with the band (71) and the first rack (74) (75) connected to the tip of the button rod (72). Has been.

상기 로킹해제수단(80)은 버튼(60)의 일측에 부착된 돌기(63)가 제2피니언(82)의 외측으로 마련된 버튼링크(81)을 가압할 때 제2피니언(82)이 회전되며 버튼로드(72)에 연결된 제2래크(83)가 치차 결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며 버튼로드(72)와 밴드(71)를 당겨지도록 하고,The locking release means 80 is the second pinion 82 is rotated when the protrusion 63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utton 60 presses the button link 81 provided outside the second pinion 82 The second rack 83 connected to the button rod 72 is linearly moved in a tooth-coupled state, and the button rod 72 and the band 71 are pulled,

상기 밴드(71)의 끝단에는 로크기어(84)과 치차 결합되는 제3래크(85)를 마련하고, 이 로크기어(84)의 양쪽에는 스트라이커(50)(51)들에 마련된 래크기어(52)(53)들이 각각 치차 결합되어 밴드(71)가 당겨질 때 로크기어(84)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50)(51)들이 각각 상하로 출몰되도록 구성된다.A third rack 8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71 to be tooth-coupled with the lock gear 84, and rack gears provided on the strikers 50 and 5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ck gear 84. 52) (53) are each gear-coupled so that when the band 71 is pulled, the strikers 50 and 51 are respectively vertically protruding by the rotation of the locker 84.

상기 하우징(30)에는 관절부재(20)들이 이동되는 궤도를 따라 레일홈(35)이 구비되고, 상기 관절부재(20)들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21)에는 레일홈(35)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도록 헤드(22)를 각각 돌출되게 구비한 상태로 중앙에는 요홈부(23)와 돌출부(24)가 서로 축 결합된다.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35 along the track in which the joint members 20 are moved, and the shaft 21 that connects the joint members 20 to be bent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5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22 is provided to protrude to guide movement, the groove 23 and the protrusion 24 are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center.

상기 밴드(71)의 선단에 연결된 제1래크(75)는 꺽임부(76)를 단층지게 성형하고, 베이스판(10)의 하부로 부착된 지지판(11)에는 걸림턱(12)을 마련하여 상기 꺽임부(76)의 하단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The first rack 75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nd 71 has the bent part 76 formed into a single layer, and the support plate 11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76 is caught.

상기 베이스판(10)에는 제1래크(75)의 측면에 접촉되어 수직 작동을 지지하는 지지살(13)이 마련된다.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support ribs 13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rack 75 to support vertical operation.

상기 각 관절부재(20)들에는 밴드(71)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리브(25)가 구비되어 있다. Each of the joint members 20 is provided with a rib 25 to prevent sagging of the band 71.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는 버튼(60)이 노출되도록 설치홈(101)이 파여지는 커버(100)가 덮어진다.The top of the base plate 10 is covered with a cover 100 in which an installation groove 101 is dug so that the button 60 is expos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의 누름 조작으로 벽면이나 바닥면과 같이 두께가 얇은 공간으로 서로 연결된 관절부재들을 강하게 체결하여 다리 역할을 하거나 또는 굴곡지게 성형된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joint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pace having a thin thickness such as a wall or a floor are strongly fastened to each other by pressing a button to serve as a leg or to be accommodated in a curved housing.

따라서, 본 발명이 테이블에 적용되는 경우 평상시에는 벽면이나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저용이나 회의, 식사, 또는 업무 등을 위해 테이블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슬라이드 이동한 후 위치 고정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able, it is convenient to move the slide and fix the position only when the table is needed for leisure, meeting, meal, or work whil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floor in normal times. It can be used.

그러므로, 비사용시에는 실내 공간을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인출된 상태에서는 보다 충분한 크기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when not in use, the indoor space can be largely utilized, and in the withdrawn state, convenience can be provided with a more sufficient size.

또, 별도의 공구 사용 없이도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출몰 위치 전환이 가능하므로, 편리성과 상품성이 우수한 소비자가 원하는 최적의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appearance and exit location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product desired by consumers with excellent convenience and marke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관절부재들이 베이스판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절부재들이 베이스판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베이스판과 하우징을 제거하여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버튼에 의해 조작되는 당김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버튼과 당김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버튼의 조작으로 당김수단이 동작되는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12a는 밴드와 버튼로드의 절곡부 위치로 설치되는 제1피니언과 제1래크들의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정면도.
도 13은 밴드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래크의 지지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4는 도 4의 일부 확대도.
도 15는 제3피니언의 양쪽으로 래크가 치차 결합되어 스트라이커들이 상하 출몰되는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도 17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18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19는 관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관절부재들을 연결하는 샤프트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joint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ccommodated in a housing while connected to a base plat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drawn from the housing while connected to the base plat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by removing the base plate and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Figure 7;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lling means operated by a button.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tton and a pulling means.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ulling means is operated by operation of a button.
1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first pinion and a first rack installed at a position of a bent portion of a band and a button rod.
Fig. 12B is a front view of Fig. 12A.
1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upport structure of a first rack installed at the tip of the band.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4;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acks are tooth-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hird pinion so that the strikers are vertically protruding.
Fig. 16 is a front view of Fig. 15;
1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1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joint member.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aft connecting the joint member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우선, 본 발명은 예로서 사무용 및 식사용 테이블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면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the drawings an embodiment to which an office table and a dining table are applied as an example.

도면에서는 원형의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원판형의 커버(100)가 베이스판(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두께가 얇은 자동차의 바닥이나 주택 또는 사무실의 바닥 또는 벽면에는 하우징(30)의 대부분이 매립 설치되고, 베이스판(10)의 저면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에 의해 테이블의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drawing, a disk-shaped cover 10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to constitute a circular table, and most of the housing 30 is on the floor or wall of a thin car or house or office. It is installed to be buried, so that it can perform the role of a leg of the table by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또, 테이블 사용이 불필요 한 경우에는 관절부재(20)들을 하우징(30) 내부로 끼워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블이 벽면 또는 바닥면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 of the table is not necessary, the joint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0 so that the tabl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floor as much as possible.

도 1 및 도 2는 커버(100)가 상부에 덮어진 베이스판(10)이 관절부재(20)들과 함께 하우징(30)에 최대한 근접되게 하강시켜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사시도와 단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1 and 2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base plate 10 covered with the cover 100 is lower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ousing 30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so that the table is not used. Each is shown.

도 3은 테이블의 사용을 위해 베이스판(10)이 관절부재(20)들과 함께 하우징(30)으로부터 최대한 당겨지게 하여 자동차 또는 주택의 실내 내측으로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plate 10 is pulled from the housing 30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to be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of a vehicle or house for use of the table.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

상기 베이스판(10)의 대략 중앙 하부에는 자유 곡선상태로 변형 가능하게 샤프트(21)에 의해 동일 구성으로 된 관절부재(20)들이 다수개 연이어서 연결되어 있다.A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of the same configuration are connected in a row by a shaft 21 so as to be deformable in a free curve state at a substantially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상기 하우징(30)은 상측 입구는 개방된 상태로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주로 차량이나 건축물의 바닥에 수평부는 매립 고정되고, 개방된 입구는 실내 공간을 향해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게 된다.The housing 30 has a hollow tube shape with an upper entrance open, and a horizontal part is embedded and fixed to the floor of a vehicle or a building, and the open entrance is installed so as to face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interior space.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하우징(30)의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는 관절부재(20)들이 굴절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성형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joint member 20 is formed to form a smooth curved surface so as to be movable while the joint members 20 are bent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housing 30.

또, 하우징(30)에는 관절부재(20)들과 함께 이동되는 베이스판(10)의 인출되어 테이블로 설치되는 위치와, 관절부재(20)들이 최대한 수납된 위치에 제1걸림홀(31)(32)과 제2걸림홀(33)(34)들이 각각 마련되어 후술하는 스트라이커(50)(51)들이 걸려져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housing 30, the first locking hole 31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base plate 10 is moved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and is installed as a table and the joint members 20 are accommodated as much as possible. 32 and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are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strikers 50 and 51 to be described later are caught and fixed in position.

하우징(30)에 상부와 하부를 향해 뚫어지는 제1걸림홀(31)(32)에 스트라이커(50)(51)들이 걸려진 상태는 예로서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한 커버(100)를 포함한 베이스판(10)이 사용을 위해 인출되어진 상태를 로킹하고 있다.(도 3 및 도 4)The state in which the strikers 50 and 51 are hung in the first locking holes 31 and 32, which are drilled toward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30, is a base plate including a cover 100 for use as a table, for example. (10) Locking the state in which it has been withdrawn for use (Figs. 3 and 4).

또, 하우징(30)에 상부와 하부를 향해 뚫어지는 제2걸림홀(33)(34)에 스트라이커(50)(51)들이 걸려진 상태는 예로서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한 커버(100)를 포함한 베이스판(10)이 실내 공간의 예로서 바닥면에 밀착되어진 상태를 로킹하고 있다.(도 1 및 도 2)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strikers 50 and 51 are hung in the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drill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30 include, for example, a cover 100 for use as a table. The base plate 10 is lock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s an example of an indoor space (Figs. 1 and 2).

베이스판(10)의 중앙 저면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 중에 가장 끝단에 위치되는 관절부재(20)에는 케이스(40)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A case 40 is fixedly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20 located at the most end of the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connected to the center bottom of the base plate 10.

케이스(40)는 속이 빈 함체형으로 성형되어 로크기어(84)의 회전으로 양쪽에서 승강 작용하는 스트라이커(50)(51)들이 홀(41)들을 통해 상하 이동되며,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의 위치에 각각 걸려질 수 있게 된다.The case 40 is molded into a hollow enclosure shape, and the strikers 50 and 51 lifting and lowering from both sides by the rotation of the locker 84 ar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holes 41, and the first locking hole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can be respectively caught.

홀(41)에 안내되어 슬라이드되는 스트라이커(50)(51)가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의 위치에 걸려지게 되면, 예로서 테이블을 실내 공간으로 당겨 설치된 상태에서는 관절부재(20)들에 의해 고정용 다리 역할을 하면서 테이블이 상하로 유동되는 방지하게 된다.When the striker 50, 51, which is guided to the hole 41 and slides, is caught 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hole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 33, 34, for example, the table is placed indoors. In the state of being pulled into the space, the table is prevented from flowing up and down while acting as a fixed leg by the joint members 20.

또,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 관절부재(20)들과 같이 바닥면에 최대한 밀착된 수납 상태에서는 부품들이 유동과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수납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table is not used, the storage position can be firmly maintained so that the components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loor surface, such as the joint members 20, to prevent flow and noise generation.

그리고, 수납상태 및 설치상태에서 서로 테이블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는 버튼(6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트라이커(50)(51)들에 의한 로킹 상태를 해제해야 베이스판(10)과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And, when you want to switch the positions of the tables in the storage state and the installation state, you must release the locking state by the strikers 50 and 51 by operating the button 60. The position of the joint members 20 can be moved.

버튼(6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핀(61)을 축으로 지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62)에 탄력 지지되어 있다.The button 6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62 in a state in which the pin 61 is pivotable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으로 연결수단(70)에 의해 연결된 스트라이커(50)(51)를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의 위치에서 출몰되도록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결수단(70)과, 이 연결수단(70)을 통해 조작력이 전달되면 스트라이커(50)(51)들이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해제 위치로 1회 당겨지게 하는 로킹해제수단(80)이 마련되어 있다.The striker 50, 51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70 by pressing the button 60 appears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hole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 33, 34 Connection means (70)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as possible, and when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means (70), the striker (50) (51) is pulled onc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ing position (80) There is this.

그리고,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연결수단(70)과 로킹해제수단(80)을 포함하여 모두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90)이 연결수단(70)의 단부와 케이스(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도 17 및 도 18)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60 is released, a return spring 90 for automatically returning all including the connecting means 70 and the locking releasing means 8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70 and the case 40 ) Is installed between (Fig. 17 and Fig. 18)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70)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질기면서도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버튼(60)으로부터 스트라이커(50)(51)를 당김 조작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나의 밴드로 연결할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the connecting means 70, it may be connected by a single band from the button 60 to the position for pulling the strikers 50 and 51 made of a tough and flexible material.

그러나 베이스판(10)에 연결된 가장 상단의 관절부재(20)로부터 버튼(60) 위치까지 거의 90도로 급격히 꺾어진 상태에서 밴드(71)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반복하여 밴드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마모에 의해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band 71 is bent in a state where it is bent sharply at almost 90 degrees from the uppermost joint member 20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0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60, the lifespan due to wear when the band is repeatedly slide-moved. This can be shortened.

따라서, 본 발명의 도 12a 및 도 12b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아 급격히 절곡되는 위치에는 하나의 밴드로 연결된 것과 같이 버튼(60) 조작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피니언과 래크가 치차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작하는 것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2A and 12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and the rack are gear-coupled so that the button 60 operation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position where it is rapidly bent, as if it is connected by a single band. Doing this can improve durability.

즉, 본 발명의 연결수단(70)은 관절부재(20)를 따라 나란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밴드(71)를 위치시키고, 베이스판(10)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버튼로드(72)를 각각 분할하여 설치하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means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ition where the band 71 is moved side by side along the joint member 20, and a position which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is Each of the button rods 72 is divided and installed.

그리고, 그 절곡부(연결부) 위치에는 제1피니언(73)을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하고, 밴드(71)와 버튼로드(72)에는 제1래크(74)(75)들을 일체로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견고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피니언(73)에 각각 치차 결합하게 된다.And, the first pinion 73 is pivotably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bent portion (connection), and the first racks 74 and 75 are integrally or separately manufactured on the band 71 and the button rod 72 Thus, in the state of being firmly connected, the teeth are coupled to the first pinion 73, respectively.

따라서, 버튼(60)의 가압으로 밴드(71)가 당겨지도록 당김 조작력이 작용되면 버튼로드(72)의 단부에 형성된 제1래크(74)가 제1피니언(73)을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이 제1피니언(73)에 타측에서 치차 결합된 제1래크(75)가 동시에 직선 이동되면서 밴드(71)를 당겨지도록 버튼로드(72)의 이동거리와 동일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ulling operation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band 71 is pulled by pressing the button 60, the first rack 74 formed at the end of the button rod 72 rotates the first pinion 73 and at the same time , The first rack 75 toothed from the other side to the first pinion 73 can be moved by a distance equal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button rod 72 so that the band 71 is pulled while linearly moving at the same time.

또, 상기 로킹해제수단(80)은 버튼(60)의 일측에 부착된 돌기(63)가 제2피니언(82)의 외측으로 마련된 버튼링크(81)을 가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releasing means 80 presses the button link 81 provided outside the second pinion 82 by the protrusion 63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utton 60.

버튼링크(81)은 제2피니언(82)의 일측에서 고정 부착되어 있다.The button link 81 is fixedly attach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inion 82.

따라서, 버튼(60)의 가압으로 돌기(63)가 버튼링크(81)을 눌러서 회전시키게 되면 제2피니언(82)이 동시 회전되면서 버튼로드(72)의 선단에 연결된 제2래크(83)가 제2피니언(82)과 치차 결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며 버튼로드(72)와 밴드(71)를 동시에 일정 길이 만큼 당겨지게 된다.(도 9 내지 도 11 참조)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63 is rotated by pressing the button 60 by pressing the button link 81, the second pinion 82 is simultaneously rotated and the second rack 83 connected to the tip of the button rod 72 is The second pinion 82 is linearly moved in a tooth-coupled state, and the button rod 72 and the band 71 are simultaneously pull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ee FIGS. 9 to 11).

상기 하우징(30)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관절부재(20)들이 이동되는 궤도를 따라 레일홈(35)이 구비된다.(도 4)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35 along the track in which the joint members 20 are moved in a hollow tubular shape (FIG. 4).

그리고, 상기 관절부재(20)들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21)에는 레일홈(35)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도록 헤드(22)가 각각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조립한다.In addition, the shaft 21 that connects the joint members 20 to be bent is assembled so that the heads 22 protru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ds 2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s 35 to guide the movement.

이때, 샤프트(21)의 조립성을 위해 2개가 분할된 상태로 각각 동일 구조로 서로 결합되는 중앙부 위치에 요홈부(23)와 돌출부(24)가 마련되어 서로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요홈부(23)와 돌출부(24)가 각각 결합되어 하나의 축으로 연결된다.(도 20 참조)At this time, for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shaft 21, the grooves 23 and the protrusions 24 are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where the two are divided into the same structure, respectively, and pressurize each oth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groove 23 and the protrusion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one axis (see Fig. 20).

한편, 상기 밴드(71)의 끝단에는 로크기어(84)과 치차 결합되는 제3래크(85)를 마련하고, 이 로크기어(84)의 양쪽에는 스트라이커(50)(51)들에 마련된 래크기어(52)(53)들이 각각 치차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third rack 8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71 to be tooth-coupled with the locker 84, and rack sizes provided on the strikers 50 and 51 on both sides of the locker 84 Each of the fish 52 and 53 is tooth-coupled.

이 로크기어(84)과 스트라이커(50)(51)들은 케이스(40)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로크기어(84)은 정위치에서 회전 자유롭게 축 설치되고, 스트라이커(50)(51)들은 홀(41)을 통해 상하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된다.The locker 84 and the striker 50, 51 are housed in the case 40, and the locker 84 is installed on a shaft freely to rotate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strikers 50, 51 are provided with a hole ( 41), each slide is moved up and down.

따라서, 로킹해제수단(80)의 조작으로 연결수단(70)을 통해 밴드(71)가 당겨지게 되면, 제3래크(85)가 로크기어(8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로크기어(84)에 동시에 양쪽에서 각각 치차 결합된 스트라이커(50)(51)들은 동시에 각각 상하로 출몰되어 제1걸림홀(31)(32)들 및 제2걸림홀(33)(34)들 중에 걸려져 있던 로킹상태를 해제하여 설치 상태와 보관상태로 서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and 71 is pull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70 by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means 80, the third rack 85 rotates the locker 84, and the locker 84 At the same time, the strikers 50, 51, which are gear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re protruding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nd are locked among the first locking holes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34. By releasing the stat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ocation to the installed state and the storage state.

이러한 본 발명은 예로서 테이블을 실내 공간으로 당겨서 설치한 상태에서 다리를 형성하게 되는 각 관절부재(20)들은 샤프트(21)에 의해 굴절 될 수 있는데, 도 4에서 시계반대방향(좌측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은 각 관절부재(20)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굴절되지 못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each joint member 20 forming a leg in a state in which the table is pulled into an indoor space can be bent by the shaft 2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Refraction is prevented because the joint member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시계방향(우측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밴드(71)의 선단에 연결된 제1래크(75)는 꺽임부(76)를 단층지게 성형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bend in the clockwise direction (right direction), the first rack 75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nd 71 as shown in FIG. 13 forms the bent portion 76 in a single layer.

또,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로 부착된 지지판(11)에는 걸림턱(12)을 마련하여 상기 꺽임부(76)의 하단이 걸려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1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76 is caught.

따라서, 시계방향(우측방향)으로 굴절되려는 힘이 작용될 때 꺽임부(76)가 걸림턱(12)에 걸려진 상태로 밴드(71)가 관절부재(20)들이 굴절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흔들림 없이 견고한 다리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orce to be b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right direction) is applied, the band 71 prevents the joint members 20 from being bent while the bent part 76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2,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of a solid leg without shaking.

또, 상기 베이스판(10)에는 제1래크(74)의 측면에 접촉되어 수직 작동을 지지하고 유동되지 못하도록 받쳐주는 지지살(13)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support ribs 13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rack 74 to support vertical operation and prevent flow.

상기 각 관절부재(20)들에는 밴드(71)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리브(25)가 한개 또는 복수개 구비되어, 특히 관절부재(20)들이 곡면부 위치에서 밴드(71)가 리브(25)들에 접촉되어 쳐지지 않도록 받쳐줄 수가 있다.Each of the joint members 20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ribs 25 to prevent sagging of the band 71, and in particular, the band 71 is formed of the ribs 25 at the position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joint members 20 It can be supported so that it does not get in contact with and hit.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는 버튼(60)이 노출되도록 설치홈(101)이 파여지는 커버(100)가 덮어진다.The top of the base plate 10 is covered with a cover 100 in which an installation groove 101 is dug so that the button 60 is exposed.

이 커버(100)가 본 발명이 테이블에 적용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is cover 100 plays a ro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able.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은 예로서 TV나 선풍기, 스피커 등 자동차는 물론 주택이나 사무실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의 저면판 역할을 수행하여 필요로 하는 경우 바닥면에 전자기기들을 하강 하여 밀착시키고, 필요시에만 적정 높이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용도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base plate 10 serves as a bottom plate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quired in homes and offices as well as cars such as TVs, fans, speakers, etc.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be applied to applications that can be drawn out to an appropriate height and used only when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 - 베이스판 20 - 관절부재
21 - 샤프트 30 - 하우징
31,32 - 제1걸림홀 33,34 - 제2걸림홀
35 - 레일홈 40 - 케이스
50,51 - 스트라이커 60 - 버튼
70 - 연결수단 71 - 밴드
72 - 버튼로드 73 - 제1피니언
74,75 - 제1래크 80 - 로킥해제수단
81 - 버튼링크 82 - 제2피니언
83 - 제2래크 84 - 로크기어
85 - 제3래크 90 - 리턴스프링
100 - 커버
10-Base plate 20-Joint member
21-shaft 30-housing
31,32-1st jamming hole 33,34-2nd jamming hole
35-Rail groove 40-Case
50,51-Striker 60-Button
70-connecting means 71-band
72-button rod 73-first pinion
74,75-Rack 1 80-Low kick release means
81-Button Link 82-Second Pinion
83-Second Rack 84-Losizeer
85-3rd rack 90-Return spring
100-cover

Claims (8)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하부로 샤프트(21)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절부재(20)들과,
상기 관절부재(20)들이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전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관절부재(20)들과 함께 이동되는 베이스판(10)의 인출 위치와, 수납 위치에 각각 제1걸림홀(31)(32)과 제2걸림홀(33)(34)들이 마련되는 하우징(30)과,
속이 빈 함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관절부재(20)들중 가장 끝단에 위치되는 관절부재(20)에 고정 부착되며 상부와 하부를 향해 각각 홀(41)들이 뚫어지는 케이스(40)와,
이 케이스(40)의 홀(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스트라이커(50)(51)들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핀(61)을 축으로 지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62)에 탄력 지지되는 버튼(60)과,
상기 버튼(60)과 스트라이커(50)(5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0)과,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으로 연결수단(70)에 의해 연결된 스트라이커(50)(51)를 제1걸림홀(31)(32) 및 제2걸림홀(33)(34)들의 위치에서 출몰되며 로킹상태를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수단(80)과,
상기 버튼(6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될 때 연결수단(70)을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base plate 10,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2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in a bendable manner by a shaft 21,
The joint members 20 are guided so that they can be switch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respectively, at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10 moved together with the joint members 20 The housing 30 in which the first locking holes 31 and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and 34 are provided,
A case 40 which is mold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nd fixedly attached to the joint member 20 located at the most end of the joint members 20 and through which holes 41 are respectively drill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plurality of strikers 50 and 51 slidably fitted into the hole 41 of the case 40,
A button 60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62 in a state in which a pin 61 is pivotable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A connecting means (70) connecting between the button (60) and the striker (50) (51),
The striker 50, 51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ans 70 by pressing the button 60 appears 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locking holes 31, 32 and the second locking holes 33, 34 And the locking release means 80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An object appearing device comprising a return spring (90) for returning the connecting means (70)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60) is relea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0)은 관절부재(20)를 따라 나란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밴드(71)를 위치시키고, 베이스판(10)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되는 위치로는 버튼로드(72)를 설치하여 그 절곡부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1피니언(73)에 밴드(71)와 버튼로드(72)의 선단에 연결된 제1래크(74)(75)들을 각각 치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70) positions the band (71) as a position to be moved side by side along the joint member (20), and to a position that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The first rack (74) (75)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nd (71) and the button rod (72) to the first pinion (73), which is pivotally installed at the bent position by installing the button rod (72). Objects appe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coupled to each of th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수단(80)은 버튼(60)의 일측에 부착된 돌기(63)가 제2피니언(82)의 외측으로 마련된 버튼링크(81)을 가압할 때 제2피니언(82)이 회전되며 버튼로드(72)에 연결된 제2래크(83)가 치차 결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며 버튼로드(72)와 밴드(71)를 당겨지도록 하고,
상기 밴드(71)의 끝단에는 로크기어(84)과 치차 결합되는 제3래크(85)를 마련하고, 이 로크기어(84)의 양쪽에는 스트라이커(50)(51)들에 마련된 래크기어(52)(53)들이 각각 치차 결합되어 밴드(71)가 당겨질 때 로크기어(84)의 회전으로 스트라이커(50)(51)들이 각각 상하로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locking means 80 is a second pinion when a protrusion 63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utton 60 presses the button link 81 provided outside the second pinion 82. 82) is rotated and the second rack 83 connected to the button rod 72 is moved linearly in a toothed state, and the button rod 72 and the band 71 are pulled,
A third rack 8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71 to be tooth-coupled with the lock gear 84, and rack gears provided on the strikers 50 and 5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ck gear 84. 52) (53) are gear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band 71 is pulled, the striker 50 and 51 are configured to appear vertically and vertically by the rotation of the locker 84 when the band 71 is pu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에는 관절부재(20)들이 이동되는 궤도를 따라 레일홈(35)이 구비되고, 상기 관절부재(20)들을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샤프트(21)에는 레일홈(35)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도록 헤드(22)를 각각 돌출되게 구비한 상태로 중앙에는 요홈부(23)와 돌출부(24)가 서로 축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30)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35) along a track in which the joint members (20) are moved, and a rail groove (21) in a shaft (21) that connects the joint members (20) to be bent. The object protru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23 and the protruding portion 24 are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provided with the head 22 protruding, respectively,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guided by movem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밴드(71)의 선단에 연결된 제1래크(75)는 꺽임부(76)를 단층지게 성형하고, 베이스판(10)의 하부로 부착된 지지판(11)에는 걸림턱(12)을 마련하여 상기 꺽임부(76)의 하단이 걸려지도록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rack (75)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nd (71) has a bent portion (76) formed into a single layer, and the support plate (11)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has a locking jaw ( 12), the object appea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ng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7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에는 제1래크(75)의 측면에 접촉되어 수직 작동을 지지하는 지지살(13)이 마련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13) that contacts a side surface of the first rack (75) to support a vertic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관절부재(20)들에는 밴드(71)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리브(25)가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rib (25) is provided at each of the joint members (20) to prevent sagging of the band (7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에는 버튼(60)이 노출되도록 설치홈(101)이 파여지는 커버(100)가 덮어져 테이블로 사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사물 출몰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ver (100) in which an installation groove (101) is dug so as to expose the button (60)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10) to be used as a table.



KR1020190092124A 2019-07-30 2019-07-30 Object come and go device KR102238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24A KR102238972B1 (en) 2019-07-30 2019-07-30 Object come and go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124A KR102238972B1 (en) 2019-07-30 2019-07-30 Object come and go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276A KR20210014276A (en) 2021-02-09
KR102238972B1 true KR102238972B1 (en) 2021-04-09

Family

ID=7455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24A KR102238972B1 (en) 2019-07-30 2019-07-30 Object come and go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87Y1 (en) 1999-12-22 2000-05-15 차석출 Locking device of height regulation in a armrest
KR101008888B1 (en) 2008-12-09 2011-01-1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Armrest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KR200462982Y1 (en) 2010-05-04 2012-10-11 주식회사 동원테크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KR101545833B1 (en) 2015-03-19 2015-08-19 강권중 Support stand for bathroo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257Y1 (en) 1995-11-20 1999-07-15 정몽규 Table fixing device for a car
KR200247481Y1 (en) 1998-03-10 2001-12-28 판 기 윤 Car armrest including table
JP3172244U (en) * 2011-09-28 2011-12-08 株式会社ナナミ Lifting device for top plate on table
KR101384113B1 (en) 2013-05-13 2014-04-10 조국환 Multi-function hinge means and in-out type chair integral table using the hinge mea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87Y1 (en) 1999-12-22 2000-05-15 차석출 Locking device of height regulation in a armrest
KR101008888B1 (en) 2008-12-09 2011-01-1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Armrest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KR200462982Y1 (en) 2010-05-04 2012-10-11 주식회사 동원테크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KR101545833B1 (en) 2015-03-19 2015-08-19 강권중 Support stand for bathroo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7224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276A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039A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rest
US6336680B1 (en) Height-adjustment mechanism for armrest
US8960104B2 (en) Table
US20040040480A1 (en) Height-adjustable table
US20160135602A1 (en) Expandable Chair
US10059241B2 (en) Sliding table system for a vehicle
ZA200501761B (en) Item of transformable furniture
KR102238972B1 (en) Object come and go device
EP1647211A1 (en) Movable writing tablet for a chair
EP1366692B1 (en) Retractable folding step stool
JP4335284B2 (en) High and low adjustable table
US20080096463A1 (en) Expandable Play Set
US11473340B2 (en) Door stop mechanism
JPH09118166A (en) Storage type simple table
KR100696936B1 (en) A decoration furniture having a table
KR20200002000U (en) Sofa Mattress
JP3022654B2 (en) Changeable dining kitchen room by application
JP3675104B2 (en) Chair armrest device
JP3797671B2 (en) Double drawer structure and kitchen stand provided with the same
CN219277296U (en) Locking system of rotary chassis and child safety seat
JP6593906B1 (en) Chair
CN211473148U (en) Foldable multipurpose television background wall
JPH0324102Y2 (en)
JP2516555Y2 (en) Dressing table
JPH04166107A (en) Kitche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