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34B1 -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Google Patents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434B1
KR102238434B1 KR1020190058738A KR20190058738A KR102238434B1 KR 102238434 B1 KR102238434 B1 KR 102238434B1 KR 1020190058738 A KR1020190058738 A KR 1020190058738A KR 20190058738 A KR20190058738 A KR 20190058738A KR 102238434 B1 KR102238434 B1 KR 10223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cpr
seat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3483A (en
Inventor
윤병길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34B1/en
Publication of KR2020013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52Struts, spar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용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좌석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좌석; 상기 좌석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등판; 및 상기 좌석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측면을 기준으로 밀착 상태로 접혀져 있고 심폐소생술 수행시에 의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chair for C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seat provided in the seat frame of the frame; A back plate provided on a back plate fram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a footrest provided on a footrest fram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Including, the CPR chair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side and is configured to be transformed into a chair shape when performing CPR.

Description

심폐소생술용 의자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hair for CPR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 형상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심폐소생술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chair shape in a folded state.

급성 심장사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하여 높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인구 10만명 당 60~70대에 300명 내지 700명에게 심정지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그에 따라서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급성 심장사의 위험에 많은 인구가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급성 심정지시 응급 구조 활동인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에 많은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Acute cardiac death is increasing due to an increase 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n aging population. In particular, it is recognized that cardiac arrest can occur in 300 to 700 people in their 60s to 70s per 100,000 population, and accordingly, the rapid progression of Korea into an aging society indicates that a large number of populations are exposed to the risk of acute heart death. I can see that. Therefore,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hich is an emergency rescue activity during acute cardiac arrest.

한편, 심정지 후 6분안에 응급조치가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병원 외 심정지 환자를 목격하는 목격자는 비 의료인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다양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러 나라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활성화에 많은 지원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emergency measures are required within 6 minutes after cardiac arrest, and in general, the witnesses who witness cardiac arrest patients outside the hospital are mostly non-medical personnel.Based on various research results, various countries promote CPR education for the general population. A lot of support and efforts are being made in the country.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는 심폐소생술 기계로 시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위한 보조 장치들도 제안되어 있다.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erform CPR with a CPR machine than artificially performed by a person who has received CPR training, and assistive devices for performing CPR are also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8670에 기재된 자동심폐소생술 제공이 가능한 변환형 구급침대가 개시되어 있다.A convertible first aid bed capable of providing automat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8670 is disclosed.

도 1은 종래의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의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foldable first aid needle capabl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급침대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상체 부위를 받치도록 하며 자동 흉부압박장치(70)가 설치되는 메인베드(10); 상기 메인베드(10)와 수평을 유지하여 환자의 하지를 지지하고, 중간은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진 굴절베드(20); 및 상기 메인베드(10)와 일단부가 힌지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굴절베드(20)와 힌지 조립되어 상기 굴절베드 전체를 상기 메인베드(10)에 대해 수평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시켜 임의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하지거상접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굴절베드(20)는 환자 다리의 무릎 윗 부분을 지지하는 제1단위베드(21)와 무릎 아랫 부분을 지지하는 제2단위베드(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지거상접이수단은 상기 메인베드(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의 후방 양단부에 구비된 제1힌지부(H1)에 일단부가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1단위베드(21)와 제2힌지부(H2)와 조립되는 메인링크(31)와, 상기 메인링크(31)와 제2힌지부(H2)에 일단부가 조립되고 중간에는 제3힌지부(H3)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1단위베드와 제2단위베드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2링크 및 제3링크로 이루어진 굴절링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힌지부에는 상기 굴절베드의 접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각도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first aid bed shown in FIG. 1 includes a main bed 10 that supports an upper body part while the patient is lying down, and in which an automatic chest compression device 70 is installed; A refracting bed (20) made horizontally with the main bed (10) to support the lower limbs of the patient, and to be foldable in the middle; And the main bed 10 and one end are hinge-assembled, and the other end is hinge-assembled with the refractive bed 20 to rotate the entire refractive bed upwar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ed 10 at an arbitrary angle. It includes, and the refractive bed 20 is a first unit bed 21 supporting the upper part of the knee of the patient's leg and a second unit bed 22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knee. Done; One end of the lower limb elevation folding means is assembled to a first hinge portion (H1) provided at both rear ends of the main frame provided under the main bed 10, and the other end is the first unit bed (21) and the first. 2 The main link 31 assembled with the hinge portion H2, one end is assembled to the main link 3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2, and connected to the third hinge portion H3 in the middle. Consisting of a refractive link 32 comprising a second link and a third link respectively supporting a unit b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nit bed; The first to third hinge portions include an angle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folding angle of the refractive bed.

그러나 종래의 자동 흉부압박장치가 설치되는 메인베드는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휴대하거나 차량 내부에 탑재하려면 대형 차량이 필요한 단점이 있으며, 비상시에 휴대나 운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ain bed in which the conventional automatic chest compression device is installed has a large space occupied, and thus requires a large vehicle to be carried or mounted inside a vehicle,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or transport in an emergenc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심폐소생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t is easy to carry and can easily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용 의자로서, 프레임; 상기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석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좌석; 상기 좌석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등판; 및 상기 좌석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측면을 기준으로 밀착 상태로 접혀져 있고 심폐소생술 수행시에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prising: a frame; A seat provided in a seat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A back plate provided on a back plate fram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a footrest provided on a footrest fram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Including, the CPR chair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and is transformed into a chair shape when performing CPR.

상기 프레임은 좌석 프레임; 상기 좌석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어 등판을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 프레임; 및 상기 좌석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 을 포함한다.The frame is a seat frame; A back plate fram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to support a back plate; A footrest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frame to support the footrest; And a leg frame supporting the seat frame. Includes.

상기 다리 프레임은 전방 다리 프레임;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후방 다리 프레임; 및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한다.The leg frame includes a front leg frame; A rear leg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leg frame;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Includes.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회동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프레임에는 바퀴를 고정하는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다.A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respectively, a pivot fram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a connector for fixing a wheel is coupled to the pivot frame.

상기 바퀴는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 내측으로 접혀지는 구조이다.The wheel is a structure that is folded into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상기 바퀴의 폭은 다리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다.The width of the wheel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eg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chair for CPR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피가 작고 콤팩트한 구조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due to its small volume and compact structur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둘째, 접혀진 상태에서 의자 형태로 변형시켜 환자를 의자에 착좌시킨 상태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심폐소생술을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erform CPR in a state where the patient is seated in a chair by transforming it into a chair shape in a folded state,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stably and effectively.

셋째, 환자의 등을 받치는 부분이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 심폐소생술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part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CPR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도 1은 종래의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접이식 구급침상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바퀴 부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각도를 조절한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foldable first aid needle capabl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heel part of the chair for C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4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e in which the angle of the CPR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is adjusted.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chair for C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chematic drawings in order to easily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a form actually implement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바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일부 단면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PR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heel of the CPR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and FIG.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along line AA of 3.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100)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좌석 프레임(112)에 구비되어 있는 좌석(130), 상기 좌석(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판 프레임(113)에 구비되어 있는 등판(150) 및 상기 좌석(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판 프레임(114)에 구비되어 있는 발판(170)을 포함하고, 상기 심폐소생술용 의자(100)는 측면을 기준으로 밀착 상태로 접혀져 있고 심폐소생술 수행시에 의자 형태로 변형되는 구조로서 발판(170)이 위치하는 방향이 전방이며 등판(15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Referring to FIGS. 2 to 4 together, the CPR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nd a seat provided in the seat frame 112 constituting the frame 110 ( 130), the back plate 150 provided in the back plate frame 113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130 and the foot plate 170 provided in the foot plate frame 114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130 Including, the CPR chair 100 is a structure that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side and is transformed into a chair shape when performing CP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rest 170 is positioned is in front and the back plate 150 is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located is the rear.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프레임(110)은 좌석 프레임(112), 상기 좌석 프레임(112)의 후방에 연결되어 등판을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113), 상기 좌석 프레임(112)의 전방에 연결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 프레임(114) 및 상기 좌석 프레임(112)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1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frame 110 is a seat frame 112, a back plate frame 11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112 to support a back plate, and a footres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frame 1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otrest frame 114 for supporting and a leg frame 115 for supporting the seat frame 112.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다리 프레임(115)은 전방 다리 프레임(116),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후방 다리 프레임(117) 및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을 연결하는 세장형 형상의 연결 프레임(1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is structure, the leg frame 115 includes a front leg frame 116, a rear leg frame 11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rear leg frame 117 )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ongated connection frame 118 to connect.

상기 등판 프레임(113), 발판 프레임(114), 전방 다리 프레임(116) 및 후방 다리 프레임(117)은 각각 U자형상을 이루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 프레임(112)과 등판 프레임(113) 및 등판 프레임(113)과 발판 프레임(114)은 각각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The back plate frame 113, the foot plate frame 114,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rear leg frame 117 are preferably combined while forming a U-shap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at frame 112 and the back frame 113, and the back frame 113 and the footrest frame 114 are each coupled by a hinge capable of adjusting a rotation angle.

여기서 연결 프레임(118)의 일단은 심폐소생술용 의자(100)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후방 다리 프레임(11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17-1)에 연결되어 있다. Here,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118 is connected to a slider 117-1 that slides along the rear leg frame 117 while the CPR chair 100 is folded.

또한 상기 슬라이더(117-1)에는 고정구(117-2)가 구비되어 있고, 좌석 프레임(112)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에는 상기 고정구(117-2)가 삽입되는 구멍들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lider 117-1 is provided with a fastener 117-2, and holes into which the fasteners 117-2 are inserted are respectively perforated in the seat frame 112 and the rear leg frame 117.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에는 의자 형태로 변형되면 지면을 지지하도록 지지 프레임(121)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121)에는 회동 프레임(122)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프레임(122)에는 바퀴(190)를 고정하는 연결구(12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123)는 회동 프레임(122)을 축으로 바퀴(190)가 회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rear leg frame 117 are deformed into a chair shape, each support frame 121 is coupled to support the ground, and the support frame 121 has a rotating frame 122 ) Is connected. In addition, a connector 123 for fixing the wheel 190 is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122, and the wheel 190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frame 122.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121)에는 가이드부(121-1)가 형성되어 있어 회동 프레임(122)이 가이드부(121-1)를 따라 회전한 후에 고정 지지된다.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the support frame 121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121-1 so that the rotating frame 122 is fixedly supported after rotating along the guide portion 121-1.

또한 상기 바퀴(190)는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 내측으로 접혀지는 구조로서, 측면을 기준으로 프레임(110)의 두께(t)보다 작은 폭(w)을 가져 측면을 기준으로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 내부에 각각 접혀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 프레임(122)과 연결구(123)의 폭도 프레임(110)의 두께(t)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heel 190 is a structure that is folded into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rear leg frame 117, and has a width (w)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frame 110 based on the side surface. As a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rear leg frame 117 are folded and positioned,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rotating frame 122 and the connector 123 is also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frame 110.

한편 상기 좌석(130)과 발판(170)은 각각 메쉬 또는 쿠션과 같은 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등판(150)은 심폐소생술 시행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at 130 and the footrest 170 are each made of a cloth material such as a mesh or a cushion, and the back plate 15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performing CPR.

본 발명에 따른 등판 프레임(113)은 신축이 가능하고 등판(150)은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등판 프레임(113)과 등판(150)이 신축되는 구조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plate frame 1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retched and the back plate 15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so that the back plate frame 113 and the back plate 150 are stretched and contracted.

도 5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각도를 조절한 경우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angle of the CPR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is adjusted,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the CPR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도 5 및 도 6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100)는 등판 프레임(113)과 발판 프레임(114) 및 좌석 프레임(112)과 발판 프레임(114)의 각도를 조절하면 환자를 누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ogether with FIGS. 2 to 4, the chair 100 for CP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frame 113, a footrest frame 114, and a seat frame 112.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ootrest frame 114, the patient can be maintained in a lying state.

상기 헤드부 지지 프레임(119)을 등판 프레임(113)으로부터 회전시켜 지면에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 지지 프레임(119)도 등판 프레임(113)과 마찬가지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이때 발판 프레임(114)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협소한 공간에서도 환자가 다리를 들고 누운 상태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support frame 119 is rotated from the back plate frame 113 to support i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head portion support frame 119 can also be adjusted in length like the back plate frame 113. Meanwhile, if the scaffolding frame 114 is rotated upward at this time, CPR can be performed while the patient is lying with his leg up, even in a narrow space.

즉 등판 프레임(113)과 발판 프레임(114) 및 좌석 프레임(112)과 발판 프레임(114)을 수평 상태로 하여 환자를 누운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등판 프레임(113)을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발판 프레임(114)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환자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심폐소생술용 의자(100) 전체를 90도 회전시키면 환자가 다리를 들고 누운 상태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back frame 113, the footrest frame 114, the seat frame 112, and the footrest frame 114 are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to move the patient in a lying state. Subsequently, if the back frame 113 is rotated upward and the footrest frame 114 is rotated downward, the patient can be moved to a seated state. At this time, if the entire CPR chair 100 is rotated 90 degrees, CPR can be performed while the patient is lying with his leg raised.

이는 아파트 및 빌라에서 심정지 환자 발생 시 현재 구급대원들이 사용하는 구급차용 들것 및 선행연구에 보고된 들것은 크기 때문에 주택용 엘리베이터에 들어갈 수 없으므로, 주택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 심정지 환자 발생 시 협소한 공간에서 환자 이동 및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제공을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ambulance stretchers and stretcher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currently used by paramedics in apartments and villas cannot enter residential elevators because they are larg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patient mobility and cardiac arrest.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의자(1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밀착된 상태에서 의자 형태로 펼쳐지되, 좌석 프레임(112)은 환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을 유지하도록 펼쳐진다. 상기 좌석 프레임(112)은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이때 다리 프레임(115)도 펼쳐지되,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전방 다리 프레임(116)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후방 다리 프레임(117)의 하부가 벌어지면서 지면을 지지하게 된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PR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unfolded in the form of a chair in a close contact, but the seat frame 112 is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atient. It is unfolded to keep it in a horizontal orientation. The seat frame 112 is connected to the front leg frame 116 and rotates, and at this time, the leg frame 115 is also unfolded, but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front leg frame 116 and the one end are connected to the rear leg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7 is open to support the ground.

이와 함께 연결 프레임(118)의 일단은 심폐소생술용 의자(100)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후방 다리 프레임(11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17-1)에 연결되어 후방 다리 프레임(11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117-1)가 후방 다리 프레임(117)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117-1)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구(117-2)를 좌석 프레임(112)과 후방 다리 프레임(117)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들에 함께 삽입되어 고정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118 is connected to a slider 117-1 that slides along the rear leg frame 117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CPR chair 100 to follow the rear leg frame 117. When the slider 117-1 moves upward along the rear leg frame 117, the fastener 117-2 provided on the slider 117-1 is moved to the seat frame 112 and the rear leg frame. It is inserted and fixed together in the holes drilled in (117).

계속해서 전방 다리 프레임(116)에 구비되어 있는 바퀴(190)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회동 프레임(122)을 회전시킨다. 또한 후방 다리 프레임(117)에 구비되어 있는 바퀴(190)도 지면을 지지하도록 회동 프레임(122)을 회전시킨다.Subsequently, the rotation frame 122 is rotated so that the wheels 190 provided on the front leg frame 116 support the ground. In addition, the wheel 190 provided on the rear leg frame 117 also rotates the rotating frame 122 to support the ground.

이어서 좌석 프레임(112)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등판 프레임(113)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좌석 프레임(112)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발판 프레임(114)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한다.Subsequently, the angle of the back plate frame 113 hinged to the seat frame 112 is adjusted and fixed, and the angle of the foot plate frame 114 hinged to the seat frame 112 is adjusted and fixed.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사람이 수행하는 인위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심장 마비시 제어된 심폐소생술을 위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를 위한 보조 장치들도 제안되고 있다.In general, CPR is an artificial method performed by humans, as well as devices for controlled CPR in the event of a heart attack, and auxiliary devices for this are also proposed.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위한 장치와 위한 보조 장치는 위급시에 사용할 수 있어야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부피가 작고 콤팩트한 구조로 휴대가 용이하고, 접혀진 상태로 휴대하여 사용시에는 의자 형태로 변형시키며,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때 환자의 등을 받치는 부분이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심폐소생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Since such a device for CPR and an auxiliary device for CPR should be used in an emergency, the foldable CPR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structure that is small in volume and is easy to carry. When performing CPR, the part supporting the patient's bac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rigidity, so that CP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to select and present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s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presented embodiments. ,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심폐소생술용 의자
110: 프레임
112: 좌석 프레임
113: 등판 프레임
114: 발판 프레임
115: 다리 프레임
116: 전방 다리 프레임
117: 후방 다리 프레임
117-1: 슬라이더
117-2: 고정구
118: 연결 프레임
119: 헤드부 지지 프레임
121: 지지 프레임
121-1: 가이드부
122: 회동 프레임
123: 연결구
130: 좌석
150: 등판
170: 발판
190: 바퀴
100: CPR chair
110: frame
112: seat frame
113: back frame
114: scaffolding frame
115: leg frame
116: front leg frame
117: rear leg frame
117-1: slider
117-2: fixture
118: connection frame
119: head support frame
121: support frame
121-1: guide part
122: rotating frame
123: connector
130: seat
150: back
170: scaffold
190: wheel

Claims (6)

심폐소생술용 의자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석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좌석;
상기 좌석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등판; 및
상기 좌석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판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좌석 프레임;
상기 좌석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어 등판을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 프레임; 및
상기 좌석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등판 프레임은 상기 등판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어 지면에 수직하게 지지되는 헤드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전방 다리 프레임;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후방 다리 프레임; 및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의 일단은 심폐소생술용 의자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후방 다리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회동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프레임에는 바퀴를 고정하는 연결구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심폐소생술용 의자는 측면을 기준으로 밀착 상태로 접혀져 있고 심폐소생술 수행시에 의자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의자.
As a CPR chair,
frame;
A seat provided in a seat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A back plate provided on a back plate fram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A footrest provided on a footrest fram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 Including,
The frame,
Seat frame;
A back plate fram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to support a back plate;
A footrest fram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frame to support the footrest; And
A leg frame supporting the seat frame; Including,
The back plate frame includes a head portion support frame rotated from the back plate frame and support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The leg frame,
Front leg frame;
A rear leg fram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leg frame;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Includ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frame is connected to a slider that slides along the rear leg frame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CPR chair,
A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respectively, a pivot fram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a connector for fixing a wheel is coupled to the pivot frame,
The CPR chair is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respect to the side and is transformed into a chair shape when performing CPR.
CPR 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전방 다리 프레임과 후방 다리 프레임 내측으로 접혀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folded into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CPR chai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폭은 다리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5,
The width of the wheel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leg frame
CPR chair.
KR1020190058738A 2019-05-20 2019-05-20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2238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38A KR102238434B1 (en) 2019-05-20 2019-05-20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738A KR102238434B1 (en) 2019-05-20 2019-05-20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3A KR20200133483A (en) 2020-11-30
KR102238434B1 true KR102238434B1 (en) 2021-04-09

Family

ID=7364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38A KR102238434B1 (en) 2019-05-20 2019-05-20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12B1 (en) * 2021-04-05 2023-08-1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Ambulance be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745U (en) * 1985-03-28 1986-10-04
KR940002032Y1 (en) * 1991-12-12 1994-04-02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Folding chair
JPH0838296A (en) * 1994-07-29 1996-02-13 Yutei Color Niigata Kk Chair
KR100957868B1 (en) * 2008-06-13 2010-05-14 (주)엠씨텍 A folding device of medical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483A (en)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597B1 (en) Multi-function adaptable lift system
US3589715A (en) Convertible foldable exercise cot
US4157089A (en) Physiotherapy table
US6101652A (en) Stirrups
JP4582426B2 (en) Patient lifting device
KR102238434B1 (en) Chai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109045586A (en) A kind of leg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KR101808670B1 (en) emergency bed installed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20110035876A1 (en) Human body supporting apparatus
KR102027334B1 (en) Integrated functional stretcher-cart platform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emergency resuscitation care
CN117618195A (en) Walking-aid robot with leg training function
JP3003091B2 (en) Assisted wheelchair for patient mounting and stretcher for patient mounting
JPH09192176A (en) Frame structure for bed
EP1920747A1 (en) Couch for physiotherapeutic treatment of persons
JP3525283B2 (en) Blood flow promotion reverse suspension device
JP4399511B1 (en) First aid bed
CN114948589A (en) Lower limb recovery exercise device for orthopedics clinic
JP2023528497A (en) Protective barriers for physical insp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d recreational use
KR20110043357A (en) A foldable type bed
RU176648U1 (en) FOLDING MEDICAL STRETCHERS
RU223739U1 (en) BED FOR SEDENTARY PATIENTS
CN114344824B (en) Recovered branch of academic or vocational study is with recovered device after shank muscle atrophy
CN215459834U (en) Special shank auxiliary bending device of nursing administrative or technical offices
CN215459477U (en) Nursing bed frame with lifting type
CN216294410U (en) Energy-saving self-heating massage arm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