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91B1 - Ashtray assembly - Google Patents

Ashtra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91B1
KR102238391B1 KR1020180083293A KR20180083293A KR102238391B1 KR 102238391 B1 KR102238391 B1 KR 102238391B1 KR 1020180083293 A KR1020180083293 A KR 1020180083293A KR 20180083293 A KR20180083293 A KR 20180083293A KR 102238391 B1 KR102238391 B1 KR 102238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ash tray
assembly
housing unit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0456A (en
Inventor
닐스 럽
마틴 크라우스
안드레아스 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1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B60N3/086Ash-trays with refuse evac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8Ash-trays with slidably mounted fals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 가능한 하우징 유닛(2), 및 상기 하우징 유닛(2) 내에서 2개의 단부 위치(12, 22)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이동 가능한 애쉬트레이(3)를 포함하는,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애쉬트레이(3)는 폐쇄 단부 위치(12)에서 하나 이상의 래칭 유닛(4)에 의하여 하우징 유닛(2)에 래칭된다. 개방 단부 위치(22)의 방향으로 애쉬트레이(3)를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래칭 유닛(4)의 래칭 해제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unit (2)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and an ash tray (3) that can be moved in a drawer type between two end positions (12, 22) within the housing unit (2). It relates to an ash tray assembly (1) for doing. In this case, the ashtray 3 is latched onto the housing unit 2 by means of one or more latching units 4 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atching unit 4 by manually pulling the ash tray 3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end position 22.

Description

애쉬트레이 조립체{ASHTRAY ASSEMBLY}Ashtray assembly {ASHTRAY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 및 차량에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 유닛을 가진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애쉬트레이는 하우징 유닛 내에서 2개 이상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an ash tray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And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ash tray and at least one housing unit mountable to the vehicle. The ash tray is movable in a drawer manner between two or more end positions within the housing unit.

자동차 내 애쉬트레이는 종종 서랍식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서, 애쉬트레이는 사용 시 쉽게 접근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용물이 보이지 않고 냄새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애쉬트레이는 종종 복잡하게 구성되고, 따라서 이에 상응하여 비용이 많이 들며 때때로 고장이 잘 나기도 한다.Ashtrays in automobiles are often constructed in a drawer type. Due to this, the ashtray is easily accessible when in use and can be closed so that the contents are not visible and odors do not leak out when not in use. However, known ashtrays are often complexly constructed, and therefore correspondingly expensive and sometimes prone to failure.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구조상 복잡하지 않게 편리하게 개폐될 수 있는,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개선된 애쉬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ash tray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which can be conveniently opened and closed without being particularly complicated in structure.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애쉬트레이 조립체 및 청구항 15의 특징을 갖는 자동차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들에서는 바람직한 개선사항을 다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일반적인 설명 및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an ash tray assembly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 and an automobile having the features of claim 15. The dependent claims deal with desirable improvements. Fur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general descrip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차량에 설치하도록 제공된다.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자동차에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 유닛과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를 포함한다. 서랍식의 애쉬트레이는 하우징 유닛 내에서 2개 이상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폐쇄 단부 위치에 있는 애쉬트레이는, 하나 이상의 래칭 유닛(latching unit)에 의해 하우징 유닛에 래칭된다. 개방 단부 위치 방향으로 애쉬트레이를 당김으로써 래칭 유닛의 래칭 해제가 가능하다.The ash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The ash tray assembly includes one or more housing units and one or more ash trays mountable to a vehicle. The drawer ashtray is movable between two or more end positions within the housing unit. In this case, the ashtray in the closed end position is latched to the housing unit by means of one or more latching units.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atching unit by pulling the ashtra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e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중요한 장점 중 하나가 래칭 메커니즘이다. 래칭 메커니즘으로 인해서, 애쉬트레이는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방될 수 있고, 동시에 신뢰성있게 폐쇄되거나 래칭될 수 있다. 주행 모드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개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안된 래칭 연결은 자동차의 길고 까다로운 작동 기간 동안에 걸쳐서도 작동 안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가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덜 복잡하게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다.The ash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mber of advantages. One of the important advantages is the latching mechanism. Due to the latching mechanism, the ashtray can be opened very simply and conveniently, and at the same time reliably closed or latched. Undesirable opening in the driving mode is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the proposed latching connection can be used safely in operation even during long and demanding operating periods of the vehicle.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ash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n economical manner and can be installed in automobiles with less complexity.

또한, 래칭 연결을 해제하고 애쉬트레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지 애쉬트레이를 당기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주행 모드에서 유리한데, 그 이유는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고, 예를 들어 어떠한 키나 누름 버튼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애쉬트레이의 개방 또는 폐쇄는, 예를 들어 쳐다보지 않고 오직 촉각적으로만 수행될 수도 있다.Also, to release the latching connection and allow the ashtray to open, simply pull the ashtray. This characteristic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driving mode, since the driver's attention is not distracted and, for example, there is no need to operate any keys or pushbuttons.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ashtray may, for example, be performed only tactilely without looking.

바람직하게 래칭 유닛은, 래칭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언더컷(undercut)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래칭 후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래칭 후크는 형상 결합(form-fitting) 방식으로 언더컷 상에 지지된다. 래칭 후크는 특히 하우징 유닛 상에 배치된다. 언더컷은 특히 애쉬트레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래칭 후크는 복잡하지 않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래칭되고 래칭 해제될 수 있다. 역전된 구성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언더컷이 하우징 유닛 상에 배치되고, 래칭 후크는 애쉬트레이 상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latching unit comprises one or more flexible latching hooks that engage one or more undercuts for latching. Preferably the latching hook is supported on the undercut in a form-fitting manner. The latching hook is in particular arranged on the housing unit. The undercut is in particular arranged on the ashtray. These latching hooks can be implemented in an uncomplicated and economical manner, and can be latched and unlatched in a reliable manner. Inverted configurations may also be provided.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undercut is arranged on the housing unit, and the latching hook is arranged on the ashtray.

래칭 유닛은 특히, 애쉬트레이가 하우징 유닛 밖으로 당겨질 때 언더컷으로부터 래칭 후크가 풀리도록 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특히, 하우징 유닛 밖으로 애쉬트레이를 당김으로써, 래칭 후크가 언더컷으로부터 손상 없이 풀릴 수 있다. 언더컷은 특히 하나 이상의 리세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를 가지며, 이들 리세스 및/또는 관통 개구를 관통하여 래칭 후크가 연장된다.The latching unit is particularly suitably configured to disengage the latching hook from the undercut when the ashtray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unit. In particular, by pulling the ashtray out of the housing unit, the latching hook can be released without damage from the undercut. The undercut has in particular one or more recesses and/or one or more through openings through which the latching hook extends.

래칭 유닛은 특히, 하우징 유닛과 애쉬트레이 사이에 하나 이상의 래칭 연결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래칭 연결은 특히 폐쇄 단부 위치에서만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추가 래칭 연결이 개방 단부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래칭 유닛은, 상기 단부 위치들 외부에 하나 이상의 래칭 연결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추가 래칭 후크 및/또는 추가 언더컷이 제공될 수 있다.The latching unit is in particular adapted to provide one or more latching connections between the housing unit and the ashtray. The latching connection is provided in particular only in the closed end position. One or more additional latching connections may be provided in the open end position. The latching unit may be adapted to provide one or more latching connections outside the end positions. For this purpose, additional latching hooks and/or additional undercut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바람직하게 래칭 후크는 하우징 유닛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언더컷은 애쉬트레이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운동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또는 차량의 종축과 평행이 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래칭 후크 또는 언더컷은 복잡하지 않게 공간 절약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애쉬트레이의 측벽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바닥부(base)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우징 유닛 및/또는 애쉬트레이의 측벽은 특히 수직으로 연장된다. 하우징 유닛의 측벽은 애쉬트레이의 측벽과 평행하도록 또는 특히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래칭 후크 및/또는 언더컷은 애쉬트레이 및/또는 하우징 유닛의 바닥부 및/또는 상부면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atching hooks can be arranged on one or more sidewalls of the housing unit. Preferably the undercut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idewalls of the ashtray. The side walls extend in particular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shtray or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In this position the latching hook or undercut can be accommodated in an uncomplicated, space-saving manner. The side walls of the ash tray extend in particular transversely to the base of the ash tray.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and/or the ashtray extend in particular vertically.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extend parallel or in particula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 walls of the ashtray. The latching hooks and/or undercuts can also be arranged on the bottom and/or top surfaces of the ashtray and/or housing unit.

특히 바람직하게 래칭 후크는 하우징 유닛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래칭 유닛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서, 특히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래칭 후크는 특히 하우징 유닛의 하나 이상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언더컷은 애쉬트레이와, 특히 애쉬트레이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반대의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래칭 후크가 애쉬트레이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언더컷이 하우징 유닛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래칭 후크 및/또는 언더컷이 하나 이상의 개별 부품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latching hook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unit. Such latching units can be manufactured in a particularly economical manner, for example by means of injection molding methods. The latching hook is in particular configured integrally with one or mor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Preferably, the undercu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sh tray, in particular with the side wall of the ash tray. The opposit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latching hook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sh tray, and/or the undercut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unit. Latching hooks and/or undercuts may be provided by one or more individual parts.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대향 래칭 유닛을 포함한다. 이는 튼튼하면서도 동시에 쉽게 해제 가능한 래칭 연결을 제공한다. 래칭 유닛은 각각 하나 이상의 래칭 후크와 각각 하나 이상의 언더컷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래칭 유닛은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2개의 래칭 후크가 특히 하우징 유닛의 대향 측벽 상에 배치된다. 2개의 언더컷이 특히 애쉬트레이의 대향 측벽 상에 배치된다. 3개 또는 그보다 많은 래칭 유닛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ashtray assembly comprises two or more opposing latching units in a particularly advantageous embodiment. This provides a sturdy yet easily releasable latching connection at the same time. Each latch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latching hook and at least one undercut each. In this specification the latching unit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wo latching hooks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opposit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Two undercuts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opposite side walls of the ashtray. Three or more latching units may be provided.

래칭 유닛들은 특히 상호 대칭이 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칭 유닛들은 차량의 차량 종축 및/또는 차량 수직축과 관련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대향하는 측들에 배치된다. 래칭 유닛들의 비대칭 배치도 가능하다.The latching units can in particular be arranged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 For example, the latching units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s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and/or the vehicle vertical axis of the vehicle. An asymmetric arrangement of latching units is also possibl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하우징 유닛 내에서 애쉬트레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가이드 조립체는 특히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rail guide) 및 상기 레일 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주행 레일(runner rail)을 포함한다. 이는, 애쉬트레이를 매우 편리하게 당겨 빼거나 밀어 넣을 수 있게 해 준다. 주행 레일과 레일 가이드는 평행하게 또는 특히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ashtray assembly comprises one or more guide assemblies for guiding the ashtray within the housing unit. The guide assembly in particular comprises at least one rail guide and at least one runner rail movable along the rail gu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pull out or push in the ash tray very conveniently. The running rail and the rail guide extend parallel or in particular substantially parallel.

주행 레일은 특히 일직선으로 또는 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행 레일은, 작동에 따른 삽입 상태에서 수평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특히, 애쉬트레이는 일직선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주행 레일은 구부러지거나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애쉬트레이는 특히 곡선을 따라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The running rail can in particular be constructed in a straight line or linearly. The running rail is arranged horizontally or preferably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inserted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ashtray can be pulled straight and preferably horizontally. However, the running rail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or curved. In this case, the ashtray can in particular be pulled out along a curve.

주행 레일은 연속되도록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행 레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블록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활주 롤러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적절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running rail may be configured to be continuous or to be at least partially disconnected. The running rail may also comprise one or more sliding blocks and/or one or more sliding rollers or one or more other suitable guiding means, or may be formed as such members.

레일 가이드는 특히 세장형 리세스로서, 예를 들면 가이드 홈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그러한 부재를 포함한다. 레일 가이드는, 주행 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레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rail guide is in particular formed as an elongated recess, for example as a guide groove, or at least comprises such a member. The rail guide may include one or more support rails, or the like, to which the traveling rail can be movably supported.

바람직하게 주행 레일은 애쉬트레이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레일 가이드는 하우징 유닛 상에 배치된다. 주행 레일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외측에 배치된다. 레일 가이드는 특히 하우징 유닛의 내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유닛 또는 애쉬트레이에서 가용한 구성 가능성들에 따라, 상기 실시예는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특정 설치 위치에서는 반대의 배치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행 레일이 특히 하우징 유닛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레일 가이드가 특히 애쉬트레이 상에 배치된다.Preferably the running rail is arranged on the ashtray. Preferably the rail guide is arranged on the housing unit. The running rail is arranged in particular on the outside of the ashtray. The rail guide is arranged in particular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possibilities available in the housing unit or in the ashtray, this embodiment offers a number of advantages. In certain installation locations, the opposite arrangement may be advantageous. In this case, the running rail is arranged in particular on the housing unit, and/or the rail guide is arranged in particular on the ashtray.

바람직하게 주행 레일은 애쉬트레이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바닥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측벽은,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언더컷을 가지거나 래칭 후크를 가진 측벽이다. 이로 인해서, 하우징 유닛 내에서의 애쉬트레이의 기울어짐이 매우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unning rail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idewalls of the ashtray. The side walls extend transversely, in particular at the bottom of the ashtray. In this case, the side wall is, in particular, a side wall with an undercut or a latching hook as described above. Due to this, inclination of the ash tray in the housing unit can be very easily prevented.

주행 레일을 가진 측벽은 특히, 밖으로 당기거나 밀어 넣기 위한 애쉬트레이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주행 레일은 애쉬트레이의 상부면 및/또는 바닥부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레일 가이드는 특히 하우징 유닛의 측벽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 유닛의 측벽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측벽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일 가이드가 하우징 유닛의 상부면 및/또는 바닥부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주행 레일이 하우징 유닛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레일 가이드가 애쉬트레이의 하나 이상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side wall with the running rail extends in particular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shtray for pulling or pushing out. The running rail may be disposed on the top and/or bottom of the ashtray. The rail guide is arranged in particular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unit. Th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are arranged in particular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ide walls of the ash tray. Rail guides may be arranged on the top and/or bottom of the housing unit. A running rail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and/or a rail guide may be disposed on one or more side walls of the ashtray.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주행 레일은 애쉬트레이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매우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 가능하다. 주행 레일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특히, 레일 가이드는 하우징 유닛과,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유닛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그 반대의 구성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행 레일이 하우징 유닛과 특히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레일 가이드가 애쉬트레이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행 레일 및/또는 레일 가이드가 별개의 부품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In one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running rail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shtray. This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in a very economical manner. The running rail is in particular construct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of the ashtray. In particular, the rail guide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unit, and preferably with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unit. The opposite configuration may also be desirable. In this case, the running rail may be configured in particular integrally with the housing unit, and/or the rail guide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shtray. The running rail and/or rail guide may be provided by separate parts.

주행 레일 및/또는 레일 가이드를 윤활하기 위하여 가이드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 레일 및/또는 레일 가이드는 자체 윤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애쉬트레이의 매우 편리하고 부드러운(smooth-running) 개방 또는 폐쇄를 제공한다. 윤활제는 특히 주행 레일과 레일 가이드 사이에 배치된다. 윤활제는 특히 주행 레일과 레일 가이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주행 레일에 윤활제가 도포된다. 레일 가이드에도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주행 레일 및/또는 레일 가이드는 자체 윤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It is preferred that the guide assembly comprises at least one lubricant to lubricate the running rail and/or rail guide. The running rail and/or rail guide may be configured in a self-lubricating manner. This in particular provides a very convenient and smooth-running opening or closing of the ashtray. The lubricant is in particular arranged between the running rail and the rail guide. The lubricant serves in particular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running rail and the rail guide. Preferably, a lubricant is applied to the running rail. Lubricants may also be applied to the rail guides. The running rail and/or rail guide may be made of self-lubricating material.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2개 이상의 대향 가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우징 유닛 내에 매우 안정적이고 튼튼한 애쉬트레이 수용부를 제공하며, 나아가 기울어짐이 없이 매우 부드러운 개방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가이드 조립체들은 특히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In a likewise preferred embodiment, the ashtray assembly comprises two or more opposing guide assemblies. This embodiment provides a very stable and sturdy ashtray receiving portion in the housing unit, and further allows very smooth opening and closing without tilting. In this case, the guide assemblies are in particula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각각 하나 이상의 주행 레일 및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가진 가이드 조립체들이 구비된다. 2개의 주행 레일은 특히 애쉬트레이의 대향 측벽들 상에 배치된다. 2개의 레일 가이드는 특히 하우징 유닛의 대향 측벽들 상에 배치된다. 애쉬트레이와 하우징 유닛이 상응하게 바뀐 반대의 실시예도 가능하다.For example, guide assemblies are provided, each having one or more running rails and one or more rail guides each. The two running rails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opposite side walls of the ashtray. The two rail guides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opposite side walls of the housing unit. The reverse embodiment is also possible, in which the ashtray and housing unit were changed accordingly.

바람직하게 하우징 유닛은 중앙 콘솔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 유닛은 특히 중앙 콘솔의, 주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은 중앙 콘솔의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 유닛은 중앙 콘솔 이외의 다른 차량 부품에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유닛은 전면 콘솔 및/또는 대시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using un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central console. The housing unit can in particular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console facing rear in the direction of travel. The housing unit can also be mounted in other locations on the central console. The housing unit can also be mounted on other vehicle parts other than the central console. For example, the housing unit can be mounted on the front console and/or dashboard.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특히 후방 시트 탑승자가 조작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전방 시트측에서도 조작될 수 있다.The ashtray assembly is particularly adapted to be operated by a rear seat occupant. The ash tray assembly can also be operated on the front seat side.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하우징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중앙 콘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유닛은 중앙 콘솔의, 주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는 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애쉬트레이 조립체가 매우유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은 중앙 콘솔의 하나 이상의 다른 면에, 예를 들어 전방면 및/또는 상부면 상에도 수용될 수 있다. 중앙 콘솔은 하나 이상의 팔걸이 및/또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공기 통풍 개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시거라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shtray assembly comprises one or more central consoles for receiving the housing unit. Preferably the housing unit can be accommodated on a side of the central console facing rear in the driving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ashtray assembly can be used in a very advantageous manner. The housing unit can also be received on one or more other sides of the central console, for example on the front and/or top surfaces. The central console may include one or more armrests and/or one or more air vent openings and/or one or more cigarette lighter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모든 실시예에서, 애쉬트레이를 개방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래칭 유닛이 의도된 작동에 따라서 또는 손상 없이 래칭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칭 유닛은 특히 애쉬트레이를 당기는 동작 만으로 의도된 작동에 따라 풀릴 수 있도록 적합하게 구성된다. 특히, 래칭 유닛을 릴리스하기 위하여 레버나 트리거 등을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래칭 유닛은 특히 폐쇄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애쉬트레이를 밀어넣는 동작에 의해 래칭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In all embodiments, it is preferred that by manually pulling the ashtra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end position, the latching unit can be unlatched according to the intended operation or without damage. The latching unit is particularly suitably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released according to the intended operation by simply pulling the ashtray. In particular, there is no need to operate a lever or a trigger or the like to release the latching unit. The latching unit is particularly adapted to be latched by the action of pushing the ashtray in the direction of the closed end position.

애쉬트레이는 특히 폐쇄 단부 위치와 개방 단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애쉬트레이는 특히 상기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 가능하다. 애쉬트레이는 특히 손으로 당겨지고, 그리고/또는 밀어 넣어짐으로써 이동 가능하다. 특히, 애쉬트레이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래칭 유닛도 래칭 해제될 수 있다.The ashtray is in particular movable between a closed end position and an open end position. The ashtray is in particular manually movable between the end positions. The ashtray is movable, especially by being pulled and/or pushed in by hand. In particular, the latching unit can also be unlatched by pulling the ash tray by hand.

폐쇄 단부 위치에서 애쉬트레이는 특히 멈춤쇠까지 하우징 유닛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바람직하게, 폐쇄 단부 위치에서 애쉬트레이는 하우징을 폐쇄한다. 개방 단부 위치에서 애쉬트레이는 특히 멈춤쇠까지 하우징 유닛 밖으로 당겨진다.In the closed end position, the ashtray is pushed into the housing unit, especially as far as the detent. Preferably, in the closed end position the ashtray closes the housing. In the open end position the ashtray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unit, in particular up to the detent.

애쉬트레이를 비우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애쉬트레이는 개방 단부 위치를 넘어서, 또는 개방 단부 위치의 멈춤쇠를 넘어서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It can be removed from the housing to empty the ashtray. To this end, the ashtray can be pulled out beyond the open end position or beyond the detent in the open end position.

의도된 작동에 따른 장착 위치에서 애쉬트레이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유닛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수평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애쉬트레이는 상향으로도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애쉬트레이는 기울어져서 이동될 수도 있다.In the mount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intended operation the ashtray is preferably movable horizontally or substantially horizontally between the end positions of the housing unit.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ashtray is movable either upward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The ashtray can also be moved by tilting.

애쉬트레이는, 예를 들어 서랍함으로서 형성되거나, 적어도 그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쉬트레이, 특히 서랍함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대해 용기 형태로 배치된 벽부를 포함한다. 벽부는 바람직하게 4개 이상의 측벽을 포함한다. 애쉬트레이의 형태에 따라서, 더 많거나 더 적은 측벽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ashtray is formed, for example, as a drawer box, or contains at least such components. The ashtray, in particular the drawer box,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a bottom portion and a wall portion arrang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relative to the bottom portion. The wall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four side wall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shtray, more or less sidewalls may be provided.

하나의 측벽, 특히 전방면은 하나 이상의 트림 패널(trim panel)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러한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측벽에, 특히 트림 패널 상에, 애쉬트레이를 밖으로 당기거나 밀어 넣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리퍼 유닛(gripper unit)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퍼 유닛은, 예를 들어, 그리퍼 오목부(gripper concavity) 및/또는 손잡이로서 형성된다. 폐쇄 단부 위치에서는 트림 패널이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또는 하우징 개방부를 폐쇄한다. 특히, 트림 패널은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폐쇄한다.One side wall, in particular the front face, may comprise one or more trim panels or may be formed as such a component. On one side wall, in particular on the trim panel, one or more gripper units can be arranged for pulling or pushing the ashtray out. The gripper unit is formed, for example, as a gripper concavity and/or a handle. In the closed end position the trim panel preferably closes the housing or housing opening for receiving the ashtray. In particular, the trim panel closes the housing so that it is at least partially coplanar.

애쉬트레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측벽들 및 특히 바닥부도, 특히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여러 부재들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트림 패널은 특히 애쉬트레이와 일체형으로, 그리고 특히 측벽 및/또는 바닥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트림 패널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ashtray, and preferably the side walls and in particular the bottom, are also, in particular, constructed integrally. An embodiment consisting of several members is also possible. The trim panels are constructed in particular integrally with the ashtray and in particular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s and/or the bottom. The trim panel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재(ash)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 팬(pa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 팬은 애쉬트레이 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걸쇠(catch)를 가진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애쉬트레이는 바람직하게 걸쇠를 통해 애쉬트레이 내에 구속될 수 있거나 로킹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구조상 복잡하지 않은, 애쉬트레이 팬의 이탈 방지 장치를 가능케 한다.Preferably the ashtray assembly includes one or more ashtray pans for receiving ash. Preferably, the ash tray fan is arranged to be retractable in the ash tray. Preferably the ashtray assembly comprises one or more lock assemblies with one or more movable catches. In this case, the ashtray can preferably be constrained or locked in the ashtray via a clasp. This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ashtray fan from separating, which is not complicated in structure.

특히 애쉬트레이는 적어도 애쉬트레이의 개방 단부 위치에서 인출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애쉬트레이 팬을 로킹하기 위한 잠금장치 조립체는, 특히 차량 종방향에서의 가속 시 애쉬트레이 팬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로킹 위치에 있는 걸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쉬트레이 팬 위로 변위된다. 특히, 걸쇠는 애쉬트레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ash tray can be withdrawn at least at the position of the open end of the ash tray. Preferably, the locking device assembly for locking the ashtray fan serves to prevent the ashtray fan from disengaging during acceleration, particul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clasp in the locked position is at least partially displaced over the ashtray fan. In particular, the clasp is supported to be movable on the ash tray.

특히, 걸쇠는 로킹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걸쇠는 특히 차량의 종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애쉬트레이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clasp is movable between a locked position and an unlocked position. The clasp is movable in particu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or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shtray.

바람직하게 걸쇠는 하나 이상의 걸쇠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게 지지되어 있다. 걸쇠 가이드는 특히 2개 이상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한다. 걸쇠 가이드는 특히 차량 횡축 방향 및/또는 차량 수직축 방향으로의 애쉬트레이 팬의 운동을 방지한다. 슬라이딩 레일은 특히 애쉬트레이에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걸쇠는 걸쇠 가이드에, 특히 슬라이딩 레일에 래칭된다. 이는 신뢰성 있는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걸쇠의 매우 신속한 조립을 제공한다.Preferably the clasp is movably supported within one or more clasp guides. The clasp guide in particular comprises at least two sliding rails. The latch guide prevents movement of the ashtray fan in particular in the vehicle transverse direction and/or in the vehicle vertical axis direction. The sliding rail is in particular fixed to the ashtray. Particularly preferably, the clasp is latched to the clasp guide, in particular to the sliding rail. This allows for a reliable sliding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very quick assembly of the clasp.

잠금장치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멈춤쇠를 포함한다. 멈춤쇠는 특히, 애쉬트레이가 폐쇄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걸쇠를 잠금위치로 슬라이딩시키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애쉬트레이 팬은 애쉬트레이가 폐쇄될 때 자동으로 다시 로킹될 수 있다. 멈춤쇠는 특히 하우징 유닛 상에 배치된다. 멈춤쇠는 특히, 폐쇄 단부 위치 방향으로의 애쉬트레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애쉬트레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The lock assembly preferably includes one or more detents. The detent is particularly adapted to slide the clasp into the locked position when the ashtray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losed end position. Thus, the ashtray fan can be automatically re-locked when the ashtray is closed. The detent is in particular arranged on the housing unit. The detent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ash tray,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sh tray in the direction of the closed e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 조립체를 구비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one or more ashtray assemblie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신뢰성 있고 편리하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애쉬트레이 조립체를 통해 마찬가지로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likewise offers a number of advantages through an ashtray assembly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reliab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과 특징들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실시예를 참조한다.Fur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중앙 콘솔을 구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킹 위치에 있는 잠금장치 조립체를 구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를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는 잠금장치 조립체를 구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모습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애쉬트레이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애쉬트레이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ash tr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sh tray assembly with a central console.
Fig. 3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shtray assembly with a locking device assembly in a locked posi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sh tray assembly with the locking device assembly in the unlocked posi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h tray assembly of FIG. 3.
6 is a front view of the ash tray assembly of FIG. 3.

도 1은 하우징 유닛(2) 및 애쉬트레이(3)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1)를 도시한다. 애쉬트레이(3)는 서랍식으로 하우징 유닛(2)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 또는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운동 방향이 양방향 파선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1 shows an ash tray assembly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a housing unit 2 and an ash tray 3. The ash tray 3 is movable within the housing unit 2 in a drawer type. Here, the direction of movement for movement or opening and closing is indicated by a double-sided dashed arrow.

여기에 도시된 도면에서, 애쉬트레이(3)는 개방 단부 위치(22)에 있다. 애쉬트레이(3)는 바깥쪽으로 더 당겨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여기 도시된 위치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가 된다.In the figure shown here, the ashtray 3 is in the open end position 22. The ashtray 3 may be pulled further outward, in which case the position shown here becomes a partially open position.

애쉬트레이(3)가 하우징 유닛(2) 내의 멈춤쇠까지 완전히 밀어 넣어지면, 상기 애쉬트레이(3)는 (여기서는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폐쇄 단부 위치(12)에 있게 된다.When the ashtray 3 is fully pushed into the detent in the housing unit 2, the ashtray 3 is 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not shown in more detail here).

여기서 애쉬트레이(3)는 용기 형태로 또는 서랍함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 바닥부(13) 및 상기 바닥부(13)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는 벽 상에 트림 패널(33)이 배치되어 있다. 애쉬트레이의 운동 방향 또는 차량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벽들은 측벽들(23)이다.Here, the ash tray 3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or as a drawer box,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13 and four walls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bottom portion 13 for this purpose. Here, the trim panel 33 is disposed on the wall facing the rear in the driving direction. The walls extend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shtray or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are the side walls 23.

트림 패널(33)은 측벽(23)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애쉬트레이(3)와도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트림 패널(33)은 여기서 애쉬트레이(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손잡이 또는 그리퍼 오목부로서 기능한다.The trim panel 33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23, and preferably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entire ash tray 3. The trim panel 33 here functions as a handle or gripper recess for opening or closing the ashtray 3.

여기에 도시된 애쉬트레이(3)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sh tray 3 shown here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애쉬트레이(3)는 폐쇄 단부 위치(12)에서 하우징 유닛(2)과 래칭된다. 래칭 기능을 위해 여기서는 2개의 래칭 유닛(4)이 제공된다. 각각의 래칭 유닛(4)에 대해 각각 하나의 래칭 후크(14)가 제공된다.The ashtray 3 is latched with the housing unit 2 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Two latching units 4 are provided here for the latching function. One latching hook 14 is provided for each latching unit 4 each.

래칭 후크들(14)은 하우징 유닛(2)의 대향 측벽들(32) 상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측벽들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유닛은 여기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hooks 14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 walls 32 of the housing unit 2 and are in particular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s. The housing unit can here be configured integrally.

나아가, 각각의 래칭 유닛(4)에 대해 각각 하나의 (여기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보이지 않는) 언더컷(24)이 제공된다. 이들 언더컷(24)은 각각 애쉬트레이(3)의 측벽(23) 상에 배치된다.Furthermore, one undercut 24 (not visible in the position shown here) is provided for each latching unit 4 each. These undercuts 24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ide walls 23 of the ash tray 3.

폐쇄 단부 위치(12)에서 래칭 후크들(14)은 언더컷들(24)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래칭된다. 이로 인해서, 애쉬트레이(3)는 하우징 유닛(2) 내에 구속된다.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the latching hooks 14 are latched in the undercuts 24 in a form-fitting manner. Due to this, the ash tray 3 is constrained in the housing unit 2.

개방을 위해 간단히 애쉬트레이(3) 또는 트림 패널(33)이 당겨질 수 있다. 이때, 래칭 후크들(14)이 언더컷으로부터 릴리스되어 래칭 연결이 해제된다. 애쉬트레이가 다시 폐쇄 단부 위치(12)로 밀어넣어지면, 래칭 후크들(14)은 다시 래칭된다.The ashtray 3 or the trim panel 33 can simply be pulled out for opening. At this time, the latching hooks 14 are released from the undercut and the latching connection is released. When the ashtray is pushed back into the closed end position 12, the latching hooks 14 are latched again.

여기서 애쉬트레이 조립체(1)는 2개의 대향 가이드 조립체(5)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서, 애쉬트레이(3)의 양 측벽(23)에 각각 하나의 주행 레일(15)이 구비된다. 주행 레일들(15)은 각각 하나의 레일 가이드(25) 내에서 안내된다. 레일 가이드들(25)은 여기서 하우징 유닛(2)의 각각의 측벽(32) 상에 배치된다.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하여, 애쉬트레이(3)가 자신의 주행 레일(15)을 이용해서 하우징 유닛(2)의 레일 가이드(25)를 따라 슬라이딩한다.Here, the ash tray assembly 1 has two opposing guide assemblies 5. To this end, one running rail 15 is provided on each side wall 23 of the ash tray 3. Each of the running rails 15 is guided within one rail guide 25. Rail guides 25 are here arranged on each side wall 32 of the housing unit 2. For opening or closing, the ashtray 3 slides along the rail guide 25 of the housing unit 2 with its own running rail 15.

주행 레일들(15)은 여기서 윤활제(35)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윤활제로 도포된다.The running rails 15 here are provided with a lubricant 35 and are applied, for example, with a lubricant.

애쉬트레이(3)가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래칭 유닛을 통해서 개방 단부 위치(22)에서도 래칭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ashtray 3 can also be latched in the open end position 22 via a latching unit (not shown here).

도 2에서는 앞서 설명한 하우징 유닛(2)이 중앙 콘솔(6) 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애쉬트레이(3)는 하우징 유닛(2)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부분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애쉬트레이(3)는 여기서 각각 선형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하우징 유닛(2)으로부터 밖으로 당겨지고, 하우징 유닛(2)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In FIG. 2, the housing unit 2 described above is mounted in the central console 6. Here, the ash tray 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2 and is shown in a partially open state. The ashtray 3 can here be pulled out from the housing unit 2 linearly and horizontally, respectively, and pushed into the housing unit 2.

중앙 콘솔(6)은 여기서, 주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는 면(16)이 도시되어 있다. 이 면(16) 상에 애쉬트레이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을 위해 접근 가능하다. 여기에 도시된 설치 위치에서, 애쉬트레이(3)는 뒷좌석의 탑승자가 사용하도록 기능한다.The central console 6 is shown here with a face 16 facing rea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An ashtray assembly is installed on this side 16 and is accessible for use.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shown here, the ash tray 3 functions to be used by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중앙 콘솔(6)은 여기서, 예를 들어 팔걸이(26), 공기 조화 시스템을 위한 공기 통풍 개구(36), 및 시가라이터(46)를 포함한다.The central console 6 here comprises, for example, an armrest 26, an air vent opening 36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cigarette lighter 46.

도 3에는, 재를 수용하기 위한 애쉬트레이 팬(7)이 삽입되어 있는 애쉬트레이(3)를 구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애쉬트레이 팬(7)은 필요 시, 그리고 예를 들어 비우기 위해, 애쉬트레이(3)로부터 인출 가능하다. 하우징 유닛(2)의 트림 패널(42)이 여기 도시되어 있다. 애쉬트레이(3)는 여기서 개방 단부 위치(22)에 있다.In Fig. 3, an ash tray assembly 1 is shown having an ash tray 3 into which an ash tray fan 7 for accommodating ash is inserted. The ashtray pan 7 can be withdrawn from the ashtray 3 when necessary and for example to empty. The trim panel 42 of the housing unit 2 is shown here. The ashtray 3 is here in the open end position 22.

애쉬트레이 팬(7)을 구속하거나 로킹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걸쇠(27)를 가진 잠금장치 조립체(17)가 제공된다. 걸쇠(27)는 여기서 로킹 상태(47)에 도시되어 있다. 걸쇠(27)는 여기서 애쉬트레이 팬(7)의 가장자리 영역 위로 슬라이딩되어 있다. 따라서 애쉬트레이 팬(7)은, 특히 방향(X) 또는 차량 종방향으로의 가속을 시도하는 경우에,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To restrain or lock the ashtray fan 7 a lock assembly 17 with a movable clasp 27 is provided. The clasp 27 is shown here in a locked state 47. The clasp 27 is here slid over the edge area of the ashtray fan 7. Thus, the ashtray fan 7 is fixed so as not to deviate, especially when attempting to accelerate in the direction X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4에는, 도 3의 애쉬트레이 조립체(1)가 로킹 해제 위치(57)에 있는 걸쇠(27)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하여, 걸쇠(27)는 작동에 따른 주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또는 차량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제 걸쇠(27)는 더 이상 애쉬트레이 팬(7) 위에 걸쳐있지 않기 때문에, 애쉬트레이 팬이 애쉬트레이(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In FIG. 4 the ashtray assembly 1 of FIG. 3 is shown with the clasp 27 in the unlocked position 57. For unlocking, the clasp 27 slides forward in the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actuation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Now that the clasp 27 is no longer over the ash tray pan 7, the ash tray pan can be withdrawn from the ash tray 3.

도 5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잠금장치 조립체(17)를 매우 잘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 조립체는 로킹 위치(47)에 있다. 여기서 애쉬트레이(3)는 폐쇄 단부 위치(12)에 있다.5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h tray assembly 1. Here the lock assembly 17 can be identified very well, which is in the locked position 47. Here the ashtray 3 is 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잠금장치 조립체(17)는 하우징 유닛(2)에 배치된 멈춤쇠(37)를 포함한다. 멈춤쇠(37)는 여기서 애쉬트레이(3)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애쉬트레이(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멈춤쇠(37)는, 걸쇠(27)가 로킹 위치(47) 외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 애쉬트레이(3)가 폐쇄될 때 걸쇠(27)가 로킹 위치(47)로 슬라이딩되록 정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애쉬트레이 팬(7)이 비워진 경우에 걸쇠(27)가 다시 자동으로 구속된다.The locking device assembly 17 includes a detent 37 disposed on the housing unit 2. The detent 3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ash tray 3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sh tray 3 here. Here, the detent 37 is aligned so that the clasp 27 slides to the locked position 47 when the ash tray 3 is closed, when the clasp 27 is located outside the locking position 47. For this reason, when the ash tray fan 7 is emptied, the clasp 27 is automatically restrained again.

도 6은 도 5의 애쉬트레이 조립체(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애쉬트레이 팬(7)은 여기 도시된 단면 평면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본 도면에서는, 걸쇠(27)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잠금장치 조립체(17)의 걸쇠 가이드를 매우 잘 확인할 수 있다.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h tray assembly 1 of FIG. 5. The ashtray pan 7 is not visible because it is located outside the cross-sectional plane shown here. In this figure, the clasp guide of the locking device assembly 17, on which the clasp 27 is movably supported, can be seen very well.

걸쇠 가이드는 예를 들어 4개의 슬라이딩 레일(67)을 포함한다. 로킹 해제 시 또는 로킹 시 걸쇠(27)의 이동 방향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들(67)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The clasp guide comprises for example four sliding rails 67.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lasp 27 when unlocking or when locking is predetermined by the sliding rails 67.

여기서 걸쇠(27)는 2개의 슬라이딩 레일(67)에 래칭되어 있다. 이를 위해 걸쇠(27)는 여기서 2개의 래칭 후크(77)를 가지며, 이들 래칭 후크는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레일(67)의 적절한 언더컷 내에 맞물린다. 또한, 여기서는 걸쇠(27) 상에 슬라이딩 레일(67)과 부합하는 레일 타입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Here, the clasps 27 are latched onto the two sliding rails 67. To this end the clasp 27 here has two latching hooks 77 which each engage in a suitable undercut of one sliding rail 67. In addition, a rail-type guid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rail 67 is disposed on the clasp 27 here.

여기 도시된 실시예는 안전하고 튼튼한, 나아가 구조상 많이 복잡하지 않게, 예를 들어 스프링이나 유사한 부품과 같은 추가 부재 없이, 구현될 수 있는 잠금장치 조립체(17)를 가능하게 한다.The embodiment shown here enables a locking device assembly 17 that can be implemented securely and robustly and further without much complexity in construction, for example without additional elements such as springs or similar parts.

여기 도시된 도면에서는 애쉬트레이(3)의 가이드 조립체(5)도 특히 잘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측면뿐만 아니라 바닥부(13)의 영역에도 주행 레일(15) 및 레일 가이드(25)가 제공되어 있다.In the drawings shown here, the guide assembly 5 of the ash tray 3 can also be seen particularly well. Here, a running rail 15 and a rail guide 25 are provided not only on the side surface but also in the area of the bottom 13.

1 애쉬트레이 조립체
2 하우징 유닛
3 애쉬트레이
4 래칭 유닛
5 가이드 조립체
6 중앙 콘솔
7 애쉬트레이 팬
12 단부 위치
13 바닥부
14 래칭 후크
15 주행 레일
16 면
17 잠금장치 조립체
22 단부 위치
23 측벽
24 언더컷
25 레일 가이드
26 팔걸이
27 걸쇠
32 측벽
33 트림 패널
35 윤활제
36 공기 통풍 개구
37 멈춤쇠
42 트림 패널
46 시가라이터
47 위치
57 위치
67 슬라이딩 레일
77 래칭 후크
1 Ash tray assembly
2 housing unit
3 Ash tray
4 latching unit
5 guide assembly
6 central console
7 Ashtray pan
12 end positions
13 bottom
14 latching hook
15 running rail
16 side
17 Lock assembly
22 end position
23 side wall
24 undercut
25 rail guide
26 armrest
27 shackle
32 side wall
33 trim panel
35 lubricant
36 air vent opening
37 Detent
42 trim panel
46 Cigar Lighter
47 positions
57 positions
67 sliding rail
77 latching hook

Claims (15)

차량에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 유닛(2), 및 상기 하우징 유닛(2) 내에서 2개 이상의 단부 위치(12, 22)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3)를 포함하는,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애쉬트레이 조립체(1)에 있어서,
애쉬트레이(3)는 폐쇄 단부 위치(12)에서 하나 이상의 래칭 유닛(4)을 통해 하우징 유닛(2)에 래칭되고, 개방 단부 위치(22)의 방향으로 애쉬트레이(3)를 당김으로써 래칭 유닛(4)의 래칭 해제가 가능하고,
애쉬트레이(3) 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애쉬트레이 팬(7)을 포함하고, 애쉬트레이 팬(7)은 하나 이상의 걸쇠(27)를 가진 하나 이상의 잠금장치 조립체(17)에 의해서 애쉬트레이(3) 내의 위치에 로킹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걸쇠(27)는 로킹 해제 위치(57)와 로킹 위치(47)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쇠 가이드에 지지되며,
잠금장치 조립체(17)는, 애쉬트레이(3)가 폐쇄 단부 위치(12)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걸쇠(27)를 로킹 위치(47)로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멈춤쇠(37)를 포함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housing unit (2) mountable to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ash tray (3) drawable between two or more end positions (12, 22) within the housing unit (2). In the ash tray assembly (1) for installation,
The ashtray 3 is latched to the housing unit 2 via one or more latching units 4 in the closed end position 12 and by pulling the ashtray 3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end position 22, the latching unit (4) latching release is possible,
It comprises one or more ash tray fans (7) retractably arranged in the ash tray (3), the ash tray fan (7) by means of one or more lock assembly (17) having one or more clasps (27). (3) It can be locked in a position within, and one or more clasps 27 are supported on the clasp guid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unlocking position 57 and the locking position 47,
The lock assembly 17 includes one or more detents 37 configured to slide the clasps 27 into the locked position 47 when the ashtray 3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closed end position 12. That, the ash tray assembly (1).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유닛(4)은, 래칭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언더컷(24)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래칭 후크(14)를 포함하며, 래칭 후크(14)는 하우징 유닛(2) 상에 배치되고, 언더컷(24)은 애쉬트레이(2) 상에 배치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1,
The latching unit 4 comprises one or more flexible latching hooks 14 that engage one or more undercuts 24 for latching, the latching hooks 14 disposed on the housing unit 2, and the undercut ( The ash tray assembly (1), 24) is disposed on the ash tray (2).
제2항에 있어서,
래칭 후크(14)가 하우징 유닛(2)의 하나 이상의 측벽(23)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언더컷(24)이 애쉬트레이(3)의 하나 이상의 측벽(23) 상에 배치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2,
Ash tray, in which latching hooks 14 are arranged on one or more side walls 23 of the housing unit 2 and/or undercuts 24 are arranged on one or more side walls 23 of the ash tray 3 Assembly (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래칭 후크(14)는 하우징 유닛(2)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latching hook 14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unit 2, the ash tray assembly (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 이상의 래칭 후크(14) 및 각각 하나 이상의 언더컷(24)을 가진 2개 이상의 대향 래칭 유닛(4)을 포함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 ashtray assembly (1) comprising two or more opposing latching units (4) each having one or more latching hooks (14) and one or more undercuts (24) each.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2) 내에서 애쉬트레이(3)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조립체(5)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25) 및 상기 레일 가이드(25)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주행 레일(15)을 포함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ne or more guide assemblies (5) for guiding the ash tray (3) within the housing unit (2), the guide assembly being movable along one or more rail guides (25) and the rail guides (25) Ash tray assembly (1) comprising the above running rail (15).
제6항에 있어서,
주행 레일(15)은 애쉬트레이(3) 상에 배치되고, 레일 가이드(25)는 하우징 유닛(2) 상에 배치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6,
The running rail 15 is disposed on the ash tray 3 and the rail guide 25 is disposed on the housing unit 2, the ash tray assembly 1.
제6항에 있어서,
주행 레일(15)은 애쉬트레이(3)의 하나 이상의 측벽(23) 상에 배치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6,
An ashtray assembly (1), wherein the running rail (15) is disposed on one or more side walls (23) of the ashtray (3).
제6항에 있어서,
주행 레일(15)은 애쉬트레이(3)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6,
The running rail (15)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sh tray (3), the ash tray assembly (1).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 조립체(5)가 주행 레일(15) 또는 레일 가이드(25)를 윤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윤활제(35)를 포함하거나, 주행 레일(15) 또는 레일 가이드(25)가 자체 윤활식으로 구성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6,
Ash, wherein the guide assembly 5 comprises one or more lubricants 35 for lubricating the running rail 15 or the rail guide 25, or the running rail 15 or the rail guide 25 being self-lubricating. Tray assembly (1).
제6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 이상의 주행 레일(15) 및 각각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25)를 가진 2개 이상의 대향 가이드 조립체(5)를 포함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of claim 6,
An ashtray assembly (1) comprising at least two opposing guide assemblies (5) each having at least one running rail (15) and at least one rail guide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행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는 면(16)에, 하우징 유닛(3)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중앙 콘솔(6)을 포함하는, 애쉬트레이 조립체(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ashtray assembly (1) comprising at least one central console (6) for accommodating a housing unit (3) on a side (16) facing rear in the running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쉬트레이 조립체(1)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자동차.A motor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ash tray assembly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80083293A 2017-07-21 2018-07-18 Ashtray assembly KR1022383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6479.0A DE102017116479A1 (en) 2017-07-21 2017-07-21 ashtray facility
DE102017116479.0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56A KR20190010456A (en) 2019-01-30
KR102238391B1 true KR102238391B1 (en) 2021-04-09

Family

ID=6495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293A KR102238391B1 (en) 2017-07-21 2018-07-18 Ashtray assembl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238391B1 (en)
CN (1) CN109278617B (en)
DE (1) DE102017116479A1 (en)
RU (1) RU2686269C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786A (en) * 2001-10-26 2003-05-08 Meiwa Kogyo Kk Interior furnishing equipment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08605U (en) * 1972-03-27 1972-06-22 Gebr Happich Gmbh ASCHER IN PARTICULAR ASCHER IN VEHICLES
DE7906735U1 (en) * 1979-03-10 1979-06-07 Sidler Gmbh & Co, 7400 Tuebingen ASCHER FOR VEHICLES
JPS5945228A (en) * 1982-09-07 1984-03-14 Nissan Motor Co Ltd Mounting construction for ashtray of vehicle
DE4038324A1 (en) * 1990-11-30 1992-06-04 Happich Gmbh Gebr CONTAINER LIKE ASCHER, STORAGE COMPARTMENT OR THE LIKE ESPECIALLY FOR VEHICLES
KR0119564B1 (en) * 1995-07-26 1997-10-22 김태구 Ash-tray for a vehicle
KR100211318B1 (en) * 1995-12-30 1999-08-02 정몽규 A variously useful ashtray
DE10228359A1 (en) * 2002-06-25 2004-01-15 Volkswagen Ag Door cladding with stowage compartment in vehicle has ash tray with holder arranged in housing on rear wall of stowage compartment on side facing away from vehicle's interior
KR100602673B1 (en) * 2004-10-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liding strcuture of tray in car
DE202006004516U1 (en) * 2006-03-22 2007-08-02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Fitting for motor vehicle, e.g. stowage compartment, drinks holder or ashtray, has laterally deployable lock bar for engaging corresponding recess in motor vehicle in rear region facing away from passenger compartment of motor vehicle
KR101163892B1 (en) * 2010-07-12 2012-07-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Tray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202320110U (en) * 2011-11-08 2012-07-11 宁波华路汽车电器有限公司 Front panel assembly of auxiliary fascia console
CN203995848U (en) * 2014-04-16 2014-12-1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Vehicle ashtray assembly
CN205005902U (en) * 2015-09-24 2016-02-0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On -vehicle ashtray and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7786A (en) * 2001-10-26 2003-05-08 Meiwa Kogyo Kk Interior furnishing equipmen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16479A1 (en) 2019-01-24
CN109278617B (en) 2022-02-01
BR102018014233A2 (en) 2019-03-06
BR102018014233A8 (en) 2023-01-03
RU2686269C1 (en) 2019-04-24
CN109278617A (en) 2019-01-29
KR20190010456A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722B2 (en) Storage bin double track system
US7591498B2 (en) Sliding console
US5065920A (en) Stowage tray
US7258381B2 (en) Modular vehicle interior component system and release latch mechanism for use with the system
US6135529A (en) Multi-position sliding center console
US5284314A (en) Modular dual mug and cup holder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KR20070104930A (en) Console storage enclosure
GB2427651A (en) Door operating device comprising two parallel racks and associated gear mechanisms
CN101298236A (en) Vehicle seat with a storage compartment
JP2003276516A (en) Guiding mechanism, opening/closing mechanism of lid body using guiding mechanism, and on-vehicle interior part using guiding mechanism
US20220134959A1 (en) Vehicle system
CN111356613A (en) Parking device for a vehicle
JP2001055091A (en) Slide type console box
KR102238391B1 (en) Ashtray assembly
US20020135194A1 (en) Storage for vehicles
KR101707803B1 (en) The drawer type furniture in which the secession of the drawer is prevented
US8491028B2 (en) Console sliding lid locator
KR20050120112A (en) Floor console armrest device for automobile
US9944232B2 (en) Latching mechanism for automotive under seat drawer
BR102018014233B1 (en) ASHTRAY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1685066B1 (en) Ashtray for vehicle
WO2021060429A1 (en) Armrest device for vehicular seat
KR101685347B1 (en) Ashtray for vehicle
JP2020131849A (en) Vehicle con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