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661B1 -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 Google Patents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661B1
KR102237661B1 KR1020210012120A KR20210012120A KR102237661B1 KR 102237661 B1 KR102237661 B1 KR 102237661B1 KR 1020210012120 A KR1020210012120 A KR 1020210012120A KR 20210012120 A KR20210012120 A KR 20210012120A KR 102237661 B1 KR102237661 B1 KR 10223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user
control signal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형
강현민
Original Assignee
김태형
강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강현민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21001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05G7/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 G05G7/1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 provisions for conveying or converting motion, or for acting at a distance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which can remotely control a robot arm multi-axially configured through movement of a wrist joint, pronation and supination of a wrist, movement of an elbow joint while a user wears the controller on a user's ar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bot comprises: a main controller sensing movement and a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pronation and supination of the wrist, and movement of the wrist joint while worn by the arm portion of the user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nd a multi-axial robot arm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Description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본 발명은 로봇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팔 부위에 착용한 상태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다축으로 구성되는 로봇암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worn on the user's arm for the purpose of robot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he movement of the elbow joint while the user is wearing it on his or her arm, pronation and pronation of the wrist, and wrist. It relates to a wearable remote control that enables remote control of a robot arm composed of multiple axes through joint movement.

일반적으로, 중량의 건설자재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건설 현장이나 화재, 산사태, 재건축, 붕괴사고 등을 이유로 대규모의 작업이 필요한 철거 또는 구조 현장에서는 지게차, 굴삭기 등 중장비의 이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heavy equipment such as forklifts and excavators is essential at construction sites where heavy construction materials are used, or at demolition or rescue sites that require large-scale work due to fire, landslide, reconstruction, collapse, etc. .

그러나 건설, 철거 또는 구조 현장 등 중장비가 이용되는 환경에서는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한 인명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붕괴, 폭발 등 예상하지 못한 돌발상황으로 인해 중장비에 탑승한 작업자가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environments where heavy equipment is used, such as construction, demolition, or rescue sites,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life-threatening accidents due to worker carelessness or mistakes, and the worker who boarded the heavy equipment dies due to unexpected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collapse or explosion. Cases of serious injuries continue to occur.

따라서,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명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3620호의 “조작수단 원격조종 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653호의 “중장비 원격 제어 시스템”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protect workers from various types of human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working with heavy equipment, and related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operation means remote control”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43620 System” and “heavy equipment remote control system”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59653 have been proposed and disclosed.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3620호의 “조작수단 원격조종 시스템 ”에는 중장비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부착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존의 중장비를 개조하지 않은 상태로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First of all, the “operating means remote control system”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43620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heavy equipment, and it is configured to stably control heavy equipment even if a slight error occurs when attaching. As a result, an invention has been proposed for a system including a device that enables remote control of existing heavy equipment without modification.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653호의 “중장비 원격 제어 시스템”에는 복수의 중장비를 동기화시킨 상태로 원격제어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in the “heavy equipment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59653,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trol a plurality of heavy equipment by using a remote control unit in a synchronized stat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accidents. An invention has been proposed for a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personal injury caused by.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중장비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가 레버 등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중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그 원격제어 장치의 크기, 무게 및 형태 등에 따라 휴대가 불편하거나 사용을 위한 설치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장치를 제어중인 작업자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상당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both the above and the conventional inventions are configured so that a user located in a place far from the heavy equipment can control heavy equipmen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a control means such as a lever, so the size, weight, and shap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etc.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s inconvenient to carry or install for use, and significant restrictions may occur in moving the position of a worker who is controlling the device.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발명들과 같이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중장비를 제어할 때에는 작업자가 실제로 중장비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중장비를 제어할 때와는 제어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controlling heavy equipmen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as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inventions, the control direction can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at when the operator actually controls the heavy equipment while boarding the heavy equipment.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due to in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따라서, 상기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여 휴대 및 사용을 위한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중에도 작업자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실제로 중장비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중장비를 제어할 때와는 제어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나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easy to install for portability and use by solving all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is no restriction in moving the location of the operator even during use, and when the operator actually controls the heavy equipment while on board the heavy equipment, Even when the control direction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or a system using the apparatus configu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inexperience in ope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3620호(2013. 03. 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43620 (2013. 03. 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653호(2015. 10. 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59653 (2015. 10. 05.)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The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사고에 의해 작업자가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고,There is a problem in which cases of death or serious injuries of workers due to various types of accidents that can occur in the process of working with heavy equipment continue to occu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중장비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가 레버 등의 제어수단이 구비된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중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그 원격제어 장치의 크기, 무게 및 형태 등에 따라 휴대가 불편하거나 사용을 위한 설치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Conventional inventions for solving this problem are all configured so that a user located in a place far from the heavy equipment can control heavy equipment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a control means such as a lever, so the size and weigh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epending on the shape, etc., there may be problems that are inconvenient to carry or install for use,

장치를 제어중인 작업자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상당한 제약이 발생할 수 있고,Significant restrictions may occur in mov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controlling the device,

작업자가 실제로 중장비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중장비를 제어할 때와는 제어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ince the contro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n when the operator actually boards the heavy equipment and controls the heavy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is to suggest a solution to this. It is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며 작동하는 다축의 로봇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시한다.A main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the pronation and the pronation of the wrist,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joint while being worn on the user's arm; And a multi-axis robot arm that is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It proposes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로봇암이 장착되는 이동 로봇; 및,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이동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서브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robot to which the robot arm is mounted; And a sub-controller that is controlled in a state held by a user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는,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중장비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한 상태로 그 중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붕괴, 폭발 등 예상하지 못한 돌발상황으로 인해 중장비에 탑승한 작업자가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게되는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와 중장비와 작업자의 충돌에 의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Sinc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heavy equipment while located in a place far away from the heavy equipment, it is effective to prevent death or serious injuries to the worker on board the heavy equipment due to unexpected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collapse or explosion.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life-threatening accidents caused by collisions between heavy equipment and workers,

중장비의 원격 제어를 위한 메인 컨트롤러를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을 위한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중에도 작업자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제약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며,By configuring the main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of heavy equipment in the form of wearing it on the user's arm, it is easy to install for portability and us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no restriction occurs in mov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even during use.

작업자가 실제로 중장비에 탑승한 상태에서 그 중장비를 제어할 때와는 제어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Even when the control direction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n when the operator actually boards the heavy equipment and controls the heavy equipment, the effect of remarkab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due to inexperience in operation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암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허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기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봇암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봇암이 이동 로봇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서브 컨트롤러를 이용한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1 is a bas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using 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gear constituting the gea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bot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bot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robot.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embodiment using the sub-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로봇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worn on the arm of a use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 robot,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러(100);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며 작동하는 다축의 로봇암(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A main controller 1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by sensing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pronation and pronation of the wrist, and movement of the wrist joint while worn on the user's arm; And a multi-axis robot arm 200 that is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It relates to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메인 컨트롤러(100)는 상기 로봇암(2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용 장치이며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First, the main controller 100 shown in FIG. 1 is a control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the robot arm 200 and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arm,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if necessa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while moving freely.

이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를 이용한 로봇암(200)의 원격 제어방식으로는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상태인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곧 본 발명이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만으로 로봇암(200)을 제어하여 사람을 대신한 작업에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t this time, as a remot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arm 200 using the main controller 100, the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of the user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pronation and pronation of the wrist, and the wrist joint. It is configured to use a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movement, which mean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obot arm 200 only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and is used for work on behalf of a person. Means you can.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는 사용자의 팔의 상박 중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전면부를 감싸는 끈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팔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사용자의 팔의 전박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부(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연결부(120) 그리고 연결부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2a, the main controller 100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arm of the user's arm, and is fixed to the user's arm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trap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110), a first connector 120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arm of the user's arm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a first connector 120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2 connection parts 130.

이에 더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는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조이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 연결부(130)의 말단부에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파지부(140)와, 사용자의 팔 운동에 의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로봇암(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50) 그리고 신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로봇암(200)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main controller 100 includes a joystick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or 130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arm 200 by detecting the branch 140 and the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due to the user's arm movement, the pronation and pronation of the wrist,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joint.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mission unit 160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150 to the robot arm 200.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팔의 상박이 고정부(110)에 밀착되고, 팔의 전박이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0)에 둘러싸이며, 손으로 파지부(140)를 파지하는 형태로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하되 끈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의 팔에 고정할 수 있으며, 팔꿈치 관절과 손목을 움직임으로써 로봇암(200)에 대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3,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rm of the ar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110, and the forearm of the arm is surrounded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The main controller 100 is worn in the form of gripping the gripping part 140 by hand, but can be fixed to the own arm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strap, and the robot arm 200 is moved by moving the elbow joint and the wrist. ) Can be controlled.

이때, 팔의 상박과 전박 그리고 손은 일체로 사용자의 팔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것이고, 고정부(110), 제1 연결부(120), 제2 연결부(130) 및 파지부(140) 또한 메인 컨트롤러(100)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것으로써 고정부(110)가 팔의 상박 중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라고 하여 팔의 전박에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0) 또한 마찬가지이며, 사용자에 신체 특성이나 메인 컨트롤러(100)의 크기 등에 따라 일정범위의 겹침이나 중복 등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arm, forearm, and hand of the arm are a continuous one constituting the user's arm integrally, and the fixing part 110,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nd the gripping part 140 are also the main controller As a continuous thing constituting 100, the fixing part 110 is not related to the forearm of the arm at all because it is a form that wraps the rear part of the upper arm of the arm,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are also The same is the case, and overlapping or overlapping of a certain range may occur in the user according to the body characteristics or the size of the main controller 100.

한편,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고정부(110)에 대한 제1 연결부(120)의 회전에 따른 제1 제어신호, 고정부(110)와 제1 연결부(12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제2 제어신호, 제1 연결부(120)에 대한 제2 연결부(130)의 회전에 따른 제3 제어신호, 그리고 파지부(140)를 구성하는 조이스틱의 작동에 의한 제4 제어신호로 분류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100)에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가변저항이나 자이로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필요한 위치마다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is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to the fixing unit 110, the fixing unit 110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1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120, a thir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constituting the gripping part 140 It can be classified as a fourth control signal by, and a sensor unit composed of a variable resistor or a gyro sensor for generating each control signal may be installed at each required position.

즉, 제1 연결부(120)가 고정부(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구조에는 제1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고, 고정부(110)에는 제2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2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30)가 제1 연결부(12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구조에는 제3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3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고, 파지부(140)의 조이스틱에는 제4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4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part 110, a first sensor part for gener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installed, and the fixing part 110 2 A second sensor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may be installed, and a third sensor for generating a third control signal in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 additional device may be installed, and a fourth sensor part for generating a fourth control signal may be installed on the joystick of the gripping part 140.

이때, 제1 센서부에는 가변저항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가변저항은 사용자의 팔꿈치 바깥 쪽에 위치한 위관절융기(epicondyle)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variable resistance may be used for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variable resistance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picondyle located outside the user's elbow.

또한, 제2 센서부에는 자이로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자이로센서는 상완골의 바깥 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yro sensor may be used for the second sensor unit, and the gyro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humerus.

또한, 제3 센서부에는 가변저항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가변저항은 자뼈의 붓돌기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variable resistance may be used for the third sensor unit, and the variable resistance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rush protrusion side of the ulna.

따라서, 제1 센서부는 고정부(110)에 대해 제1 연결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센서부는 팔꿈치, 상완골 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3 센서부는 제1 연결부(120)에 대해 제2 연결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4 센서부는 조이스틱의 회전이나 눌림에 따라 제4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ensor unit may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as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ing unit 110, and the second sensor unit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lbow and the humerus. May be generated, and the third sensor unit may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as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120, and the fourth sensor unit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rotation or push of the joystick. 4 Can generate control signals.

이때, 사용자의 팔꿈치, 상완골 등의 위치 변화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 센서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부(220) 뿐만 아니라 본체부(210)까지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larg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s elbow, humerus, etc. occurs, not only the link unit 220 but also the main body 210 may be rotated by a secon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3 센서부를 구성하는 각 가변저항의 축에 고정 허브(170)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원형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반원홈이 중심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막대부로 구성되는 고정 허브(170)는 그 관통홀이 가변저항의 축에 의해 관통되거나 가변저항의 축이 내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ed hub 170 is installed on the axis of each variable resistance constituting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third sensor unit, as shown in FIG. The fixed hub 170 composed of a pair of rod portions in which a semicircular groove forming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may b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penetrated by the axis of the variable resistance or the axis of the variable resistance is inserted. .

이때, 상기 고정 허브(17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막대부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볼트 체결 방식 등에 의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변저항의 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대부분 해소시킴으로써 그 수직 응력에 의한 가변저항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rod portions constituting the fixed hub 17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maintain a certain shape by a bolt fastening method, and most of the stres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variable resistance is relie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due to vertical str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연결부(120)에 대한 상기 제2 연결부(130)의 회전량을 제3 센서부를 구성하는 가변저항에 전달함과 동시에 가변저항의 회전각이 360° 이내로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 연결부(120)에 인접하는 제2 연결부(130)의 말단부를 기어 형상으로 구성하고, 제2 연결부(130)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기어부(180)를 제1 연결부(120)에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to the variable resistance constituting the third sensor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variable resistance is limited to within 360°.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130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120 is configured in a gear shape, and the gear part 180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art. It can be provided in (120).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180)는 기어 형상인 제2 연결부(130)의 말단부에 직접 대응하는 제1 기어(181), 제1 기어(181)에 직접 대응하여 제1 기어(181)와의 기어비를 1:1로 형성하는 제2 기어(182), 제2 기어(182)에 직접 대응하여 제2 기어(182)와의 기어비를 2:1로 형성하는 제3 기어(183), 제3 기어(183)에 직접 대응하여 제3 기어(183)와의 기어비를 2:1로 형성하는 제4 기어(184), 제4 기어(184)에 직접 대응하여 제4 기어(184)와의 기어비를 2:1로 형성하는 제5 기어(185), 제5 기어(185)에 직접 대응하여 제5 기어(185)와의 기어비를 3:2로 형성하며 가변저항을 회전시키는 제6 기어(1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A, the gear unit 180 directly corresponds to the first gear 181 and the first gear 181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0 having a gear shape. A second gear 182 forming a gear ratio of 1:1 with the first gear 181, a third gear forming a gear ratio of 2:1 with the second gear 182 in direct correspondence to the second gear 182 (183), a fourth gear (184) that directly corresponds to the third gear (183) and forms a gear ratio of 2:1 to the third gear (183), and a fourth gear ( The fifth gear 185 and the fifth gear 185 forming a gear ratio of 2:1 and the fifth gear 185 are formed to have a gear ratio of 3:2 and a sixth that rotates the variable resistan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186).

이때, 제1 기어(181)와 제6 기어(186)는 단일의 기어 형태로 구성되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인 제2 기어(182), 제3 기어(183), 제4 기어(184) 및 제5 기어(185)는 다른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가부(a)와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b)로 구성되되, 인가부(a)와 전달부(b)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2중의 구조로 구성되어 기어비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6 기어(186)의 회전량은 제1 기어(181)의 회전량에 비해 1/12로 감소함으로써 가변저항의 회전각이 360°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gear 181 and the sixth gear 186 are configured in a single gear shape, but as shown in FIG. 5B, the remaining second gear 182, third gear 183, and fourth gear The gear 184 and the fifth gear 185 are composed of an application unit (a) that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another gear and a transmission unit (b)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and the application unit (a) and the transmission unit (b) It is composed of a double structure with different sizes so that the gear ratio can be changed, a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sixth gear 186 is reduced to 1/12 compared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first gear 181 By doing so, the rotation angle of the variable resistor can be formed within a range of 360°.

또한, 도 1에 도시된 로봇암(200)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로봇이며, 건설, 철거 또는 구조 현장 등의 각종 현장에 투입된 상태로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며 작동함으로써 작업자를 대신하여 건설, 철거 또는 구조 등을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arm 200 shown in FIG. 1 is a robot that is remote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100, and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in a state of being put into various sites such as construction, demolition or rescue sites. By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various tasks for construction, demolition or structure can be performed on behalf of the operator.

이때, 상기 로봇암(200)은 5축 등 다축의 구조로 구성되어 다양한 위치의 대상물에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용이하게 접근하여 필요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축의 연결부위인 관절에는 일정각도의 축회전을 위한 서보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bot arm 200 is composed of a multi-axis structure such as 5-axis, and can easily access objects in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to perform necessary types of work. Servo motor for axial rotation of the angle may be mounted.

또한, 상기 로봇암(200)의 말단부에는 그 대상물을 잡거나 걸기위한 집게 형상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나, 타격 방식의 장치나 굴삭 장치 등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장치가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200, a clamp-shaped device for holding or hanging the object may be provided, but other types of devices may be mounted and used as necessary, such as a striking device or an excavation device.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암(200)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대상물에의 접근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는 다관절 형태의 링크부(220) 그리고 링크부(220)의 말단에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대상물을 잡거나 걸기위해 펴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집게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6, the robot arm 200 is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upward or downward on the main body 210 installed on the ground in a rotatable form, and Multi-joint type link unit 220 that implements various motions for accessing the object, and forceps that are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at the end of the link unit 220 to perform an unfolding or retracting operation to hold or hang the objec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nit 230.

이에 더하여, 상기 로봇암(200)은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240)와, 수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본체부(210), 링크부(220) 및 집게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집게부(230)는 다른 종류의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arm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4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and a body unit 210, a link unit 220, and a clamp unit us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5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230, and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unit 230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type of device.

따라서, 상기 로봇암(200)은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상태인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과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 및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팔꿈치 관절과 손목의 움직임에 따른 로봇암(200)의 작동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robot arm 200 can implement the user's intended motion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elbow joint and wrist while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lbow joint and the wrist of is as follows.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는 제1 내지 제4 제어신호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제1 제어신호는 다관절 형태인 링크부(220)의 전진과 후진, 제2 제어신호는 링크부(220)의 상방과 하방 그리고 측방으로의 움직임, 제3 제어신호는 집게부(230)의 회전 그리고 제4 제어신호는 집게부(230)의 오므리거나 펴는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이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may be classified into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is forward and backward of the link unit 220 in the form of an articulated joint. ,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the upward, downward and lateral movement of the link unit 220, the third control signal is the rotation of the clamp unit 230, and the fourth control signal is the retract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clamp unit 230. It is a signal to generate.

즉, 제1 내지 제4 제어신호는 상기 로봇암(200)의 제어를 위해 순차적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별개의 신호들이나 결과적으로는 집게부(230)의 위치 변화와 동작의 제어로 귀결된다.That is,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are separate signals that may b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generated for the control of the robot arm 200, but consequently result in a change in the position and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clamp unit 230.

따라서, 상기 로봇암(200)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잡거나 걸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팔에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그 팔을 펴거나 구부림으로써 다관절 형태인 링크부(220)가 제어되도록 하여 집게부(230)가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도록 하고, 팔을 펴거나 구부릴때의 높낮이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링크부(220)가 제어되도록 하여 집게부(230)의 위치가 상방과 하방 또는 측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 user who wants to hold or hang an object using the robot arm 200 extends or bends the arm while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on his arm, so that the link unit 220 in the form of a multi-joint is Control so that the clamp unit 23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and the link unit 220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when the arm is stretched or be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lamp unit 23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Or it can be made to move in either direction of the side.

이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손목을 회내 또는 회의시킴으로써 대상물을 잡거나 걸기 용이한 자세가 갖춰지도록 집게부(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이스틱을 제어함으로써 집게부(230)가 대상물을 잡거나 걸도록 할 수 있고, 그 대상물이 집게부(23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rotates the claw unit 230 so that an easy posture to hold or hang the object is established by protruding or meeting the wrist as necessary, and by controlling the joystick using a finger, the claw unit 230 It can be made to hold or hang, and the object can be separated from the clamp unit 230.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상기 로봇암(200)을 고정된 장소에 설치한 상태로만 이용 가능하게 되어 실시 가능한 작업의 종류 및 형태에 상당한 제약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봇암(200)이 장착되는 이동 로봇(300)과,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로 제어되어 이동 로봇(3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서브 컨트롤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lone, the robot arm 200 can be used only when it is installed in a fixed place, thereby causing considerable restrictions on the types and types of tasks that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7 and 8.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obot 300 on which the robot arm 200 is mounted, and a sub-controller 500 that is controlled in a gripped state by a user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30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즉, 상기 로봇암(200)은 본체부(210)가 이동 로봇(3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그 이동 로봇(3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시 가능한 작업의 종류 및 형태를 확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양팔 중 어느 하나에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하고, 다른 하나의 손으로 서브 컨트롤러(500)를 파지하여 로봇암(200)과 이동 로봇(300)에 대한 제어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That is, the robot arm 200 is configured so that the main body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obile robot 300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bile robot 300 to expand the types and types of tasks that can be performed. The user may wear the main controller 100 on one of his arms and hold the sub-controller 500 with the other han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robot arm 200 and the mobile robot 300. You can do it.

이에 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 방향을 다방향으로 전환 가능한 형태로 상기 로봇암(200) 또는 상기 이동 로봇(300)에 장착되는 카메라(400)와,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4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는 서브 컨트롤러(500)를 통해 생성 및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400 mounted on the robot arm 200 or the mobile robot 300 in a form in which the photographing direction can be switched in multiple directions, and the camera 40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600 that receives the capture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mera 400 may be configured to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ub-controller 500. have.

즉, 사용자는 상기 이동 로봇(300)과 상기 로봇암(200)을 근거리에서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며 메인 컨트롤러(100)와 서브 컨트롤러(5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나, 작업이 실시되는 현장의 상황 등에 따라 원거리에서 제어하여야 하거나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어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mobile robot 300 and the robot arm 200 with the naked eye at a short distance and control it through the main controller 100 and the sub-controller 500, but the situation at the site where the work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necessary to control it from a distance or to control it in a situation that can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400)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해 확인하며 상기 이동 로봇(300)과 상기 로봇암(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서브 컨트롤러(500)를 통해 카메라(400)의 각도 및 방향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이동 로봇(300)과 로봇암(200)의 제어에 필요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user can check a real-tim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400 through the display device 600 and control the mobile robot 300 and the robot arm 200, and the user By directly controll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camera 400 through the sub-controller 500, images required for control of the mobile robot 300 and the robot arm 200 may be obtained.

이때, 상기 서브 컨트롤러(5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이동 로봇(300)의 전진과 후진 그리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코너링을 제어하기 위한 제5 제어신호 및 카메라(400)의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6 제어신호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5 제어신호 및 제6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은 서브 컨트롤러(500)의 종류나 구성 등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user holding the sub-controller 500 is a fifth control signal and a camera 400 for controlling the moving robot 300 forward and backward, and cornering to the left or right. It can be classified as a sixt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and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fifth control signal and the sixth control signal can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r configuration of the sub-controller 500. have.

즉, 사용자는 상기 서브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자신의 검지와 중지로 이동 로봇(300)을 제어하기 위한 제5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엄지로 카메라(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6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서브 컨트롤러(500)의 종류나 구성 등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may generate a fift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300 with his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using the sub-controller 500, and control the camera 400 with his thumb. 6 A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ut this method may be embodied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type or configuration of the sub-controller 500.

한편, 본 발명은 상당한 중량의 로봇암(20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므로 부주의나 실수, 조작 미숙 등을 이유로 하는 인명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며, 이러한 인명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조이스틱을 이용한 안전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trolling the robot arm 200 of considerable weight,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personal accident due to carelessness, mistake, inexperience in operation, etc., and as a means for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uch personal accidents, the above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tting of the safe mode using a joystick.

즉, 상기 로봇암(200)은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즉시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움직임을 구현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등에 의한 팔의 불필요한 움직임이 인명사고 등의 사고를 유발하게 될 가능성이 상당하다.That is, since the robot arm 200 immediately implements the same or similar degree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rm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unnecessary movement of the arm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or mistake, etc.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an accident.

이와 같은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상기 조이스틱은 사용자의 검지로 제어되는 제1 조이스틱과 사용자의 엄지로 제어되는 제2 조이스틱으로 구분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조이스틱은 집게부(230)의 제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조이스틱은 안전 모드의 발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n accident, the joystick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first joystick controlled by the user's index finger and a second joystick controlled by the user's thumb. The first joystick is controlled by the clamp unit 230 And the second joystick may be used for generation of the safe mode.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자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조이스틱을 전방 등의 방향으로 미는 상태에서는 집게부(230)의 오므리거나 펴는 동작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조이스틱을 반대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는 링크부(220)의 작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조이스틱을 수직 하방으로 누른 상태에서는 집게부(23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retracting or unfolding operation of the tongs 23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second joystick in a direction such as the front, and the second joystick is reversed. In a state pulled in the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220 may be limited, and when the second joystick is pressed vertically downward, the rotation of the clamp unit 230 may be limited.

따라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와 상기 서브 컨트롤러(5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이동 로봇(300)을 제어하는 과정 중에 제2 조이스틱을 당김으로써 링크부(220)의 작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고, 로봇암(200)을 제어하는 과정 중에 제2 조이스틱을 밀어냄으로써 대상물을 잡거나 걸기 위한 집게부(230)의 작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조이스틱을 수직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집게부(23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and the sub-controller 500 can limit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220 by pulling the second joystick during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300, During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bot arm 200, by pushing the second joystick, the operation of the clamp unit 230 for grabbing or hanging the object may be restricted, and by pressing the second joystick vertically downward, the clamp unit 230 is Rotation can be restricted.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이스틱의 움직임이 발생한 상태에서는 링크부(220) 또는 집게부(230)의 작동 제한이 발생하게 되며, 제2 조이스틱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링크부(220) 또는 집게부(230)의 작동 제한 또한 해제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movement of the second joystick by the user occurs, the operation of the link unit 220 or the clamp unit 230 is restricted, and when the user's control of the second joystick is released, the link unit (220) or the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clamp unit 230 may also be released.

다만,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조이스틱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링크부(220) 또는 집게부(230)의 작동 제한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형태로만 발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제2 조이스틱을 당김으로써 집게부(230)의 작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등의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link unit 220 or the clamp unit 230 generated by the user's control of the second joystick does not necessarily occur in the above fo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econd joystick. It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such as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clamp unit 230 by pull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조이스틱에 의한 작동 제한이 발생하기 직전의 로봇암(200)의 자세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작동 제한이 해제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그 로봇암(200)의 자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자세를 구현하는 경우에만 다시 메인 컨트롤러(100)에 의한 제어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emorize the posture of the robot arm 200 immediately before the operation restriction by the second joystick occurs, and after the operation restriction is released, the user is the same as the posture of the robot arm 200.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control by the main controller 100 can occur again only when a similar posture is implemented.

즉, 상기 제2 조이스틱에 의한 작동 제한이 발생하기 직전의 로봇암(200)의 자세는 메인 컨트롤러(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팔의 자세와 연계되는 것이므로, 그 사용자의 팔의 자세가 변경된 상태로 작동 제한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로봇암(200)의 자세가 급격하게 크게 변화할 수 있고, 이는 인명사고 등의 각종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osture of the robot arm 200 immediately before the operation restriction by the second joystick occurs is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user's arm wearing the main controller 100, the posture of the user’s arm is changed. When the operation restriction is released, the posture of the robot arm 200 may change drastically and greatly, which may cause various accidents such as personal accid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로봇암(200)의 급격하고 큰 변화에 따른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구성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idents caused by sudden and large changes of the robot arm 200 to be prevented by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is configuration can be replaced with other configurations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introduced above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elements.

100 : 메인 컨트롤러 → 110 : 고정부
→ 120 : 제1 연결부
→ 130 : 제2 연결부
→ 140 : 파지부
→ 150 : 신호 생성부
→ 160 : 전송부
→ 170 : 고정 허브
→ 180 : 기어부 → 181 : 제1 기어
→ 182 : 제2 기어
→ 183 : 제3 기어
→ 184 : 제4 기어
→ 185 : 제5 기어
→ 186 : 제6 기어
200 : 로봇암 → 210 : 본체부
→ 220 : 링크부
→ 230 : 집게부
→ 240 : 통신부
→ 250 : 제어부
300 : 이동 로봇
400 : 카메라
500 : 서브 컨트롤러
60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main controller → 110: fixed part
→ 120: 1st connection part
→ 130: 2nd connection part
→ 140: gripping part
→ 150: signal generator
→ 160: Transmission part
→ 170: fixed hub
→ 180: gear unit → 181: first gear
→ 182: 2nd gear
→ 183: 3rd gear
→ 184: 4th gear
→ 185: 5th gear
→ 186: 6th gear
200: robot arm → 210: main body
→ 220: Link part
→ 230: clip part
→ 240: Ministry of Communication
→ 250: control unit
300: mobile robot
400: camera
500: sub controller
600: display device

Claims (5)

사용자의 팔 부위에 착용된 상태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러(100);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며 작동하는 다축의 로봇암(200);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는, 사용자 팔의 상박중 후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전면부를 감싸는 끈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팔에 고정되는 고정부(110); 사용자 팔의 전박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연결부(120); 상기 제1 연결부(120)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연결부(130);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조이스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130)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파지부(140); 사용자의 팔 운동에 의한 팔꿈치 관절의 움직임과 전박의 위치 변화, 손목의 회내와 회외 그리고 손목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로봇암(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150); 및, 상기 신호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로봇암(200)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봇암(200)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지면이나 이동 로봇(300)에 설치되는 본체부(210); 상기 본체부(210)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대상물에의 접근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는 다관절 형태의 링크부(220); 상기 링크부(220)의 말단에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대상물을 잡거나 걸기위해 펴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집게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이스틱은 사용자의 검지로 제어되는 제1 조이스틱과 사용자의 엄지로 제어되는 제2 조이스틱으로 구분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조이스틱은 상기 집게부(230)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2 조이스틱은 안전 모드의 발생을 위한 용도로 것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
A main controller 1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by sensing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elbow joint, pronation and pronation of the wrist, and movement of the wrist joint while worn on the user's arm; And a multi-axis robot arm 200 that is remotely controlled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Including,
The main controller 100 includes a fixing part 110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ar part of the upper arm of the user's arm, and fixed to the user's arm by a fixing means such as a string surrounding the front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120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arm of the user's arm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110 in a rotatable form; A second connection part 130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n a rotatable form; A gripper 140 configured to include a joystick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130; Signal generation unit 15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arm 200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elbow joint and the position change of the forearm by the user's arm movement, the pronation and the pronation of the wrist, and the movement of the wrist joint ; And a transmission unit 160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150 to the robot arm 200. Consisting of including,
The robot arm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mobile robot 300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A multi-joint type link unit 220 installed on the main body 210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upward or downward to implement various motions for accessing an object; A clamp unit 230 installed in a form capable of axial rotation at the end of the link unit 220 and performing an opening or retracting operation to hold or hang an object; Consisting of including,
The joystick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first joystick controlled by a user's index finger and a second joystick controlled by a user's thumb, and the first joystick is used for controlling the clamp unit 230, and the second joystick Is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purpose for the occurrence of a safe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200)이 장착되는 이동 로봇(300); 및,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로 제어되어 상기 이동 로봇(3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서브 컨트롤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According to claim 1, Mobile robot (300) to which the robot arm (200) is mounted; And a sub-controller 500 that is controlled in a state held by a user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300;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2항에 있어서, 촬영 방향을 다방향으로 전환 가능한 형태로 상기 로봇암(200) 또는 상기 이동 로봇(3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카메라(400); 및, 상기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브 컨트롤러(500)는 상기 카메라(4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amera (400) mounted on either the robot arm (200) or the mobile robot (300) in a form in which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s switchable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display device 600 for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400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A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nd wherein the sub-controller 5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mera 4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200)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1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240); 및, 수신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210), 상기 링크부(220) 및 상기 집게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어를 위한 착용형 리모트 컨트롤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bot arm (200)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24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00); And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210, the link unit 220, and the clamp unit 230 us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KR1020210012120A 2021-01-28 2021-01-28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KR102237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20A KR102237661B1 (en) 2021-01-28 2021-01-28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20A KR102237661B1 (en) 2021-01-28 2021-01-28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61B1 true KR102237661B1 (en) 2021-04-08

Family

ID=7548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20A KR102237661B1 (en) 2021-01-28 2021-01-28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3976A1 (en) * 2022-03-18 2023-09-21 宿州赛尔沃德物联网科技有限公司 Hydraulic engineering machinery manipul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20B1 (en) 2010-11-16 2013-03-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operating means
KR101559653B1 (en) 2014-02-05 2015-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KR20170054074A (en) * 2015-11-09 2017-05-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ulti purpose robot arm having camera stabilizing function
KR20180036414A (en) * 2016-09-30 2018-04-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aster arm
KR20200091238A (en) * 2019-01-22 2020-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Master device fo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20B1 (en) 2010-11-16 2013-03-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operating means
KR101559653B1 (en) 2014-02-05 2015-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KR20170054074A (en) * 2015-11-09 2017-05-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ulti purpose robot arm having camera stabilizing function
KR20180036414A (en) * 2016-09-30 2018-04-0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aster arm
KR20200091238A (en) * 2019-01-22 2020-07-30 한국원자력연구원 Master device fo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3976A1 (en) * 2022-03-18 2023-09-21 宿州赛尔沃德物联网科技有限公司 Hydraulic engineering machinery manipu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578B2 (en) Robot system
US20080193260A1 (en) Remote Control Device
US10993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rgical mechatronic assistance system by means of a holding arm for medical purposes
CN102076276B (en) Medical robotic system providing an auxiliary view of articulatable instruments extending out of a distal end of an entry guide
US9122275B2 (e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364947B1 (en) Master slave manipulator system
JP5974668B2 (en) Manipulation system
KR101738098B1 (en) Electric Prosthesis based on EMG(Electromyogram) method and the Remote Control Appraratus thereof
CN110039547B (en) Man-machine intera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operation of flexible mechanical arm
US20100332087A1 (en) Remote Vehicle Controller
KR102237661B1 (en) Wearable remote controller for robot control
CN206551039U (en) A kind of remote operation line trailer-type machine hand
KR101213452B1 (en) Master-slave system using 4-dof parallel mechanism
CN107297738B (en) Mechanical arm control system
Naidu et al. A 7 DOF exoskeleton arm: Shoulder, elbow, wrist and hand mechanism for assistance to upper limb disabled individuals
CN108145713A (en) Mechanical arm, its control method and operating robot
CN112828916B (en) Remote operation combined interaction device for redundant mechanical arm and remote operation system for redundant mechanical arm
KR101801302B1 (en) Robot hand and surface robot system using of the same for working
KR102168774B1 (en) Master device for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CN110539315B (en) Construction robot based on virtual reality control
KR101993902B1 (en) Robot arm and control system thereof
DE102018109326B4 (en) Multi-unit actuated kinematics, preferably robots, particularly preferably articulated robots
KR101485075B1 (en) Remote robot system
JP3312098B2 (en) Backhoe remote control
JPH054095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