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82B1 -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282B1
KR102237282B1 KR1020190044710A KR20190044710A KR102237282B1 KR 102237282 B1 KR102237282 B1 KR 102237282B1 KR 1020190044710 A KR1020190044710 A KR 1020190044710A KR 20190044710 A KR20190044710 A KR 20190044710A KR 102237282 B1 KR102237282 B1 KR 10223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unit
fish
fix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008A (ko
Inventor
김소희
이유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4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82B1/ko
Priority to EP20170120.8A priority patent/EP3725219A1/en
Publication of KR2020012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Zo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물고기에 대해 필요한 약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물고기와 전극의 고정이 용이한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고기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물고기에 공급될 약물이 저장된 약물저장유닛; 상기 약물저장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는 약물혼합유닛; 상기 약물혼합유닛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아 각각의 물고기를 향해 약물을 배분하도록 마련된 약물분배유닛; 상기 약물분배유닛으로부터 배분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에 주입하는 바늘유닛; 및 상기 물고기에 부착되어 상기 물고기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유닛을 포함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FISH BIO SIGNAL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물고기에 대해 필요한 약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물고기와 전극의 고정이 용이한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전도 검사(EMG)는 근섬유의 수축시 발생하는 활동전위를 기록하여 근육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으로, 신경 자극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근육 내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근육은 신경의 지배를 받고, 근육 자체에도 미세 전류가 항상 흐르기 때문에 이를 바늘이나 전극 등으로 확인하여 근전도기기로 기록하면, 말초신경에서 근육 자체에 이르기까지 근육이 제대로 활동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근전도 검사는 말초신경 및 근육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근육 위축과 신경장애와 같이 근육 약화를 초래하는 근육의 상태를 찾아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은 근전도 검사를 비롯하여 심전도, 뇌파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의 유전자 정보와 유사한 물고기에 근전도, 뇌파, 심전도 등의 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물고기 중 사람의 유전자 정보와 유사한 척추동물인 제브라피쉬(Zebrafish)에 근전도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물고기용 근전도 검사 시스템은 물고기의 동시다발적 측정이 어려우며, 물고기를 아가로스 겔(agarose gel) 또는 코일 전극에 삽입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물고기에 약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하,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그 점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어류 생체 신호 측정기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어류 생체 신호 측정기(1)는 약물을 변경할 때마다 경구 바늘을 교환해야 했다. 일 예로, 제1 약물(2)을 물고기(F)에 제공하고자 할 경우, 제1 약물(2)과 연결된 제1 경구 바늘(3)을 물고기(F)의 입에 물리고, 전극(6)을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였다. 그 후에, 제2 약물(4)을 물고기(F)에 제공하고자 할 경우, 제1 경구 바늘(3)을 분리하고, 물고기(F)를 제2 약물(4)과 연결된 제2 경구 바늘(5)에 연결해야 했다.
이처럼, 종래에는 약물을 변경할 때마다 물고기(F)와 연결된 경구 바늘을 분리하고 변경해야 했기 때문에, 경구 바늘에 연결되어 접지하고 있는 회로를 수정해야 했다. 또한, 경구 바늘 교체 시, 물고기(F)가 쓰러지거나 부착된 전극이 탈착되어 고정이 어려웠으며, 물고기(F)의 수와 비례하여 약물이 담긴 팩과 경구 바늘을 늘려야 했기 때문에 실험 환경이 복잡하며 잦은 실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085362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물고기에 대해 필요한 약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물고기와 전극의 고정이 용이한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물고기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물고기에 공급될 약물이 저장된 약물저장유닛; 상기 약물저장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는 약물혼합유닛; 상기 약물혼합유닛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아 각각의 물고기를 향해 약물을 배분하도록 마련된 약물분배유닛; 상기 약물분배유닛으로부터 배분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에 주입하는 바늘유닛; 및 상기 물고기에 부착되어 상기 물고기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유닛을 포함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가 고정되도록 마련된 물고기고정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전면에 경구바늘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고정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바늘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고기고정부는, 상기 물고기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물고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물고기의 아가미로부터 배출된 약물을 상기 고정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상기 고정본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는 인접한 상기 고정본체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유닛의 전극패드부를 고정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 패드고정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고정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전선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부는 상기 패드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전극패드부와 연결된 전선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유닛은, 서로 다른 약물을 저장한 복수의 약물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유닛과 상기 약물혼합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약물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약물밸브유닛은,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각 상기 약물저장부가 상기 약물혼합유닛에 공급하는 약물의 공급량 및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약물밸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혼합유닛은, 상기 약물저장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도록 마련된 약물교환부; 및 각각의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약물저장부의 약물을 상기 약물교환부에 제공하는 복수의 약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물분배유닛은, 상기 약물혼합유닛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는 약물분배부; 및 상기 약물분배부로부터 분기되어, 혼합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에 제공하도록 마련된 약물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약물분배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유닛과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약물분배유닛과 연결되어 약물을 제공받고, 상기 물고기의 입에 삽입되어 약물을 주입하도록 마련된 경구바늘부; 및 상기 경구바늘부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바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는, 상기 경구바늘부의 높이 및 삽입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구바늘부에 고정되는 접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는 전극패드부; 및 상기 전극패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고기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수의 물고기에 대해 동시에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약물의 교환을 위해 경구바늘부를 매번 깔아 끼울 필요가 없으며, 접지유닛을 연결하지 않는 실수를 할 가능성도 없다.
하나의 약물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여러 물고기가 공유하기 때문에 약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어류 생체 신호 측정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늘유닛의 하부바늘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늘유닛의 상부바늘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과 바늘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사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고정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고정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고정유닛의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1000)는 고정유닛(1100), 약물저장유닛(1200), 약물밸브유닛(1300), 약물혼합유닛(1400), 약물분배유닛(1500), 바늘유닛(1600), 접지유닛(1700) 및 전극유닛(18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1100)은 물고기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 고정유닛(1110), 제2 고정유닛(1120), 제3 고정유닛(1130) 및 제4 고정유닛(1140)을 도시하였으나, 고정유닛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고정유닛(1100)은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고기(F)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고정유닛(1110)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유닛(1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은 고정본체부(1111), 물고기고정부(1112), 바늘삽입부(1113), 배수부(1114), 제1 결합홈부(1115a), 제2 결합홈부(1115b), 제1 결합돌출부(1116a), 제2 결합돌출부(1116b), 패드고정부(1117) 및 전선홀부(111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본체부(1111)는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부(1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기고고정부(1112)는 상기 고정본체부(1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F)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고기고정부(1112)는 상기 물고기(F)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물고기(F)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고기(F)는 제브라피쉬(Zebrafish)일 수 있다.
상기 바늘삽입부(1113)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전면에 상기 바늘유닛(1600)의 경구바늘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고정부(11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늘삽입부(1113)는 상기 바늘삽입부(1113)를 통해 삽입된 상기 경구바늘부가 상기 물고기고정부(1112)에 고정된 물고기의 입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114)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F)의 아가미로부터 배출된 약물을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부(1115a) 및 상기 제2 결합홈부(1115b)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출부(1116a), 상기 제2 결합돌출부(1116b)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상기 고정본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돌출부(1116a)는 상기 제1 결합홈부(1115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돌출부(1116b)는 상기 제2 결합홈부(1115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예로,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의 상기 제1 결합돌출부(1116a)는 인접한 상기 제2 고정유닛(1120)의 제1 결합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결합돌출부(1116b)는 상기 제2 고정유닛(1120)의 제2 결합홈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고정유닛(1110) 및 상기 제2 고정유닛(1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는 인접한 상기 고정본체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고정부(1117)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유닛(1800)의 제1 전극패드부(1811)를 고정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선홀부(1118)는 상기 고정본체부(1111)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고정부(1117)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전선홀부(1118)는 상기 패드고정부(1117)에 고정된 상기 제1 전극패드부(1811)와 연결된 전선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은 상기 고정유닛(1100)에 고정된 물고기(F)에 공급될 약물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은 서로 다른 약물을 저장한 복수의 약물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은 제1 약물저장부(1210), 제2 약물저장부(1220), 제3 약물저장부(1230) 및 제4 약물저장부(1240)를 포함하며, 각 약물저장부에는 서로 다른 약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약물저장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에 저장된 약물에는 용존 산소가 더 포함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물고기(F)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동안에도 상기 물고기(F)가 호흡하여 생명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에 포함된 약물저장부 중 어느 하나의 약물저장부는 용존산소를 포함한 액체류로 이루어져 상기 물고기(F)에게 약물을 공급하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용존산소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은 실험이 진행되는 중이나 그렇지 않을 때에도 계속 상기 물고기(F)가 호흡하여 생명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상기 물고기(F)가 계속 호흡하도록 함으로써, 죽은 물고기나 죽어가는 물고기에 대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물밸브유닛(1300)은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과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약물밸브유닛(1300)은,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각 상기 약물저장부가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에 공급하는 약물의 공급량 및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약물밸브부(1310)는 상기 제1 약물저장부(1210)와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약물저장부(1210)가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에 공급하는 약물의 공급량과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약물밸브부(1320), 제3 약물밸브부(1330) 및 상기 제4 약물밸브부(1340)도 각각 상기 제2 약물저장부(1220), 제3 약물저장부(1230) 상기 제4 약물저장부(12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약물밸브부(13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약물밸브유닛(1300)은 복수의 약물밸브부 중 선택적으로 개폐를 수행함으로, 여러 약물의 혼합을 보다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은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도록 마련되며, 약물교환부(1410), 제1 약물수용부(1420), 제2 약물수용부(1430), 제3 약물수용부(1440) 및 제4 약물수용부(1450)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교환부(1410)는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약물수용부는 각각의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약물저장부의 약물을 상기 약물교환부(1410)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약물수용부(1420)는 상기 제1 약물저장부(1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약물저장부(1210)로부터 제공되는 약물을 상기 약물교환부(14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약물수용부(1430), 제3 약물수용부(1440) 및 제4 약물수용부(1450)는 각각 상기 제2 약물저장부(1220), 제3 약물저장부(1230) 상기 제4 약물저장부(12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약물수용부(14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약물분배유닛(1500)은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아 각각의 물고기(F)를 향해 약물을 배분하도록 마련되며, 약물분배부(1510), 제1 약물분기부(1520), 제2 약물분기부(1530), 제3 약물분기부(1530) 및 제4 약물분기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분배부(1510)는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약물분기부(1520), 제2 약물분기부(1530), 제3 약물분기부(1530) 및 제4 약물분기부(1540)는 각각 상기 약물분배부(1510)로부터 분기되어, 혼합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F)에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늘유닛(1600)은 상기 약물분배유닛(1500)으로부터 배분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F)에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늘유닛(1600)은, 상기 약물분배유닛(1500)과 상기 고정유닛(110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유닛(1100)과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늘유닛(1610)은 제1 약물분기부(1520) 및 상기 제1 고정유닛(111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에 고정된 물고기(F)에게 약물을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늘유닛(1620), 제3 바늘유닛(1630) 및 제4 바늘유닛(1640)은 각각 상기 제2 고정유닛(1120), 제3 고정유닛(1130) 상기 제4 고정유닛(1140)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늘유닛(16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늘유닛(1610)은 제1 경구바늘부(1611) 및 제1 바늘고정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는 상기 약물분배유닛(1500)과 연결되어 약물을 제공받고, 상기 물고기(F)의 입에 삽입되어 상기 물고기(F)에 약물을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고정된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상기 물고기(F)의 입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의 구성을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늘유닛의 하부바늘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늘유닛의 상부바늘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과 바늘유닛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하부바늘고정대(1612a)와 상부바늘고정대(1612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바늘고정대(1612a)는 하부고정몸체(1613), 하부고정벽체(1613a), 하부바늘안착홈(1614), 하부결합체(1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몸체(1613)는 상기 하부바늘고정대(1612a)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하부고정몸체(161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고정벽체(1613a)는 상기 하부고정몸체(1613)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고정몸체(1613)의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벽체(1613a)는 상기 하부고정몸체(1613)의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하부고정벽체(1613a)의 사이에는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안착될 수 있는 형태의 하부바늘안착홈(16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결합체(1615)는 상기 하부고정벽체(1613a)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늘고정대(1612b)는 상부고정몸체(1616), 상부고정벽체(1616a), 상부바늘안착홈(1617), 상부결합홈(16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몸체(1616)는 상기 상부바늘고정대(1612b)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상부고정몸체(1616)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고정벽체(1616a)는 상기 상부고정몸체(1616)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고정몸체(1616)의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벽체(1616a)는 상기 상부고정몸체(1616)의 상부 양측에 한 쌍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벽체(1616a)는 상기 하부고정벽체(1613a)와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상부고정벽체(1616a)의 사이에는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안착될 수 있는 형태의 상부바늘안착홈(16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는 상기 하부바늘안착홈(1614)과 상기 상부바늘안착홈(1617)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결합홈(1618)은 상기 상부고정벽체(1616a)에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홈(1618)은 상기 하부결합체(161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바늘고정대(1612a)와 상기 상부바늘고정대(1612b)는 상기 하부결합체(1615)와 상기 상부결합홈(1618)의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는 상기 하부바늘안착홈(1614)과 상기 상부바늘안착홈(1617)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가이드레일(16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619)은 제1 바늘고정부(1612)와 상기 고정유닛(1110)의 상기 고정본체부(1111)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619)은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에 결합된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상기 바늘삽입부(1113)와 대응되는 높이 및 위치에서 일직선 상으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에 고정된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를 상기 바늘삽입부(1113)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 작은 크기의 상기 바늘삽입부(1113)에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를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레일(1619)을 사용하면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가 일측 및 타측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16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상기 바늘삽입부(1113)에 삽입되는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는 상기 가이드레일(1619)을 따라 이동될 때, 정해진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제어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가 1회 움직일 때, 기설정된 일정 간격만큼만 이동하도록 하고, 추가 조작이 없는 한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를 그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바늘고정대(1612a)와 상기 가이드레일(1619) 사이에 톱니 형태의 제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바늘고정대(1612a)를 움직일 때마다 톱니 모양에 따라 한 칸씩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이동제어장치는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상기 물고기(F)의 경구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바늘고정부(1612)은 상기 물고기(F)에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가 적절한 높이 및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안정적인 실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늘유닛(1610)은, 상기 약물저장유닛(1200), 상기 약물밸브유닛(1300), 상기 약물혼합유닛(1400), 상기 약물분배유닛(1500)을 변경할 때에도, 교체 및 변경할 필요가 없이 고정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상기 제2 바늘유닛(1620) 역시, 제2 경구바늘부(1621), 제2 바늘고정부(1622)를 포함하며, 이의 기능은 전술한 제1 바늘유닛(1610)과 동일하다.
상기 접지유닛(1700)은, 상기 경구바늘부에 고정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지유닛(1710)은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에 고정되어 접지를 수행하며, 상기 제1 경구바늘부(16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물을 교체할 때에도 교체할 필요없이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약물 교체시 경구바늘을 교체하고 그에 따라 접지를 하지 않는 실수를 범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실험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접지유닛(1720)은 상기 제2 경구바늘부(1621)에 고정되어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접지유닛(1700)은 각각의 상기 경구바늘부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극유닛(1800)은 상기 물고기(F)에 부착되어 상기 물고기(F)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고정유닛(1100)과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극유닛(1810) 제1 전극패드부(1811) 및 제1 전극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드부(1811)는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패드부(1811)는 상기 제1 고정유닛(1110)의 상기 패드고정부(1117)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극패드부(1811)의 하부로 연장된 전선은 상기 패드고정부(1117)에서 상기 전선홀부(1118)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1812)는 상기 제1 전극패드부(1811) 및 상기 물고기(F)와 연결되어 상기 물고기(F)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고기(F)는 상기 물고기고정부(1112)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1 전극부(1812)를 고정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유닛(1820) 역시 제2 전극패드부(1821), 제2 전극부(18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유닛(18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은 물고기(F)의 생명을 유지시키면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수의 물고기(F)를 고정한 상태에서 동시에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약물 교환을 위해 경구 바늘을 교환해야 했고, 경구바늘에 대해 접지를 하고 있는 회로의 수정이 필요했다. 또한, 경구바늘 교환시 물고기가 쓰러지게 되거나 전극이 탈착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고정유닛(1100), 바늘유닛(1600), 접지유닛(1700)의 변경 없이 약물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실험이 가능하며, 접지를 하지 않는 실수를 범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물고기의 수를 늘리면 이에 비례하여 수액팩과 경구바늘의 수도 늘려야 했기 때문에 실험 환경이 복잡해지고 잦은 실수를 초래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고기(F) 수에 대응하여 약물저장부의 수를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약물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어류 생체 신호 측정기 2: 제1 약물
3: 제1 경구 바늘 4: 제2 약물
5: 제2 경구 바늘 6: 전극
1000: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100: 고정유닛 1110: 제1 고정유닛
1111: 고정본체부 1112: 물고기고정부
1113: 바늘삽입부 1114: 배수부
1115a: 제1 결합홈부 1115b: 제2 결합홈부
1116a: 제1 결합돌출부 1116b: 제2 결합돌출부
1117: 패드고정부 1118: 전선홀부
1120: 제2 고정유닛 1130: 제3 고정유닛
1140: 제4 고정유닛 1200: 약물저장유닛
1210: 제1 약물저장부 1220: 제2 약물저장부
1230: 제3 약물저장부 1240: 제4 약물저장부
1300: 약물밸브유닛 1310: 제1 약물밸브부
1320: 제2 약물밸브부 1330: 제3 약물밸브부
1340: 제4 약물밸브부 1400: 약물혼합유닛
1410: 약물교환부 1420: 제1 약물수용부
1430: 제2 약물수용부 1440: 제3 약물수용부
1450: 제4 약물수용부 1500: 약물분배유닛
1510: 약물분배부 1520: 제1 약물분기부
1530: 제2 약물분기부 1540: 제3 약물분기부
1550: 제4 약물분기부 1600: 바늘유닛
1610: 제1 바늘유닛 1611: 제1 경구바늘부
1612: 제1 바늘고정부 1612a: 하부바늘고정대
1612b: 상부바늘고정대 1613: 하부고정몸체
1613a: 하부고정벽체 1614: 하부바늘안착홈
1615: 하부결합체 1616: 상부고정몸체
1616a: 상부고정벽체 1617: 상부바늘안착홈
1618: 상부결합홈 1619: 가이드레일
1620: 제2 바늘유닛 1621: 제2 경구바늘부
1622: 제2 바늘고정부 1630: 제3 바늘유닛
1640: 제4 바늘유닛 1700: 접지유닛
1710: 제1 접지유닛 1720: 제2 접지유닛
1800: 전극유닛 1810: 제1 전극유닛
1811: 제1 전극패드부 1812: 제1 전극부
1820: 제2 전극유닛 1821: 제2 전극패드부
1822: 제2 전극부 F: 물고기

Claims (14)

  1. 물고기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물고기에 공급될 약물이 저장된 약물저장유닛;
    상기 약물저장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는 약물혼합유닛;
    상기 약물혼합유닛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아 각각의 물고기를 향해 약물을 배분하도록 마련된 약물분배유닛;
    상기 약물분배유닛으로부터 배분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에 주입하는 바늘유닛; 및
    상기 물고기에 부착되어 상기 물고기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약물저장유닛은,
    서로 다른 약물을 저장한 복수의 약물저장부를 포함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본체부;
    상기 고정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가 고정되도록 마련된 물고기고정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전면에 경구바늘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고기고정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바늘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고기고정부는, 상기 물고기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물고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물고기의 아가미로부터 배출된 약물을 상기 고정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인접한 다른 상기 고정본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는 인접한 상기 고정본체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유닛의 전극패드부를 고정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 패드고정부; 및
    상기 고정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드고정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전선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홀부는 상기 패드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전극패드부와 연결된 전선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유닛과 상기 약물혼합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약물밸브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약물밸브유닛은,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각 상기 약물저장부가 상기 약물혼합유닛에 공급하는 약물의 공급량 및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약물밸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혼합유닛은,
    상기 약물저장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약물을 혼합하도록 마련된 약물교환부; 및
    각각의 상기 약물저장부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약물저장부의 약물을 상기 약물교환부에 제공하는 복수의 약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분배유닛은,
    상기 약물혼합유닛으로부터 혼합된 약물을 제공받는 약물분배부; 및
    상기 약물분배부로부터 분기되어, 혼합된 약물을 각각의 물고기에 제공하도록 마련된 약물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약물분배유닛과 상기 고정유닛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유닛과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약물분배유닛과 연결되어 약물을 제공받고, 상기 물고기의 입에 삽입되어 약물을 주입하도록 마련된 경구바늘부; 및
    상기 경구바늘부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바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고정부는, 상기 경구바늘부의 높이 및 삽입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바늘부에 고정되는 접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는 전극패드부; 및
    상기 전극패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고기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0190044710A 2019-04-17 2019-04-17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23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10A KR102237282B1 (ko) 2019-04-17 2019-04-17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EP20170120.8A EP3725219A1 (en) 2019-04-17 2020-04-17 Fish bio signal meas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10A KR102237282B1 (ko) 2019-04-17 2019-04-17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08A KR20200122008A (ko) 2020-10-27
KR102237282B1 true KR102237282B1 (ko) 2021-04-07

Family

ID=7029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10A KR102237282B1 (ko) 2019-04-17 2019-04-17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725219A1 (ko)
KR (1) KR102237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75B1 (ko) * 2021-02-02 2022-12-08 주식회사 제핏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362A (ja) 2000-09-12 2002-03-26 Osaka Gas Co Ltd 生体電位計測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信号処理装置
JP3936264B2 (ja) * 2001-09-11 2007-06-27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注射装置
CA2469601A1 (en) * 2004-06-02 2005-12-02 Jeffrey Harrison An off-shore aquaculture system
CN105962927B (zh) * 2016-04-22 2018-10-23 山东师范大学 一种基于游动状态的鱼类心电的在线采集方法及装置
KR101994341B1 (ko) * 2017-07-31 2019-07-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트랩유닛을 구비한 생체신호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서의 뇌파 및 근전도 측정 기술 개발, 대구경북과학기술원(2017.08.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08A (ko) 2020-10-27
EP3725219A1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Flexible and implantable microelectrodes for chronically stable neural interfaces
Hamilton et al. Parabrachial area as mediator of bradycardia in rabbits
Tehovnik et al. Stimulation-evoked saccades from the dorsomedial frontal cortex of the rhesus monkey following lesions of the frontal eye fields and superior colliculus
Willis et al. Inhibition of spinothalamic tract cells and interneurons by brain stem stimulation in the monkey
Huerta et al. Frontal eye field as defined by intracortical microstimulation in squirrel monkeys, owl monkeys, and macaque monkeys: I. Subcortical connections
Darian-Smith et al. Somatotopic organization within the brain-stem trigeminal complex of the cat
CN101296654B (zh) 电极组
Li et al. Neurons in rabbit caudal ventrolateral medulla inhibit bulbospinal barosensitive neurons in rostral medulla
Ritz et al. Morphological features of lamina V neurons receiving nociceptive input in cat sacrocaudal spinal cord
Yates et al. Vestibular inputs to the lateral tegmental field of the cat: potential role in autonomic control
KR101994341B1 (ko)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트랩유닛을 구비한 생체신호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동물의 생체신호 측정방법
Nord et al. Responses of trigeminal units in the monkey bulbar lateral reticular formation to noxious and non-noxious stimulation of the face: Experimental theotheoretical considerations
Fisk et al. Pressor and depressor sites are intermingled in the cingulate cortex of the rat
KR102237282B1 (ko) 물고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
Galashan et al. A new type of recording chamber with an easy-to-exchange microdrive array for chronic recordings in macaque monkeys
Wasilczuk et al. High-density electroencephalographic acquisition in a rodent model using low-cost and open-source resources
Ludvig et al. An implantable triple-function device for local drug delivery, cerebrospinal fluid removal and EEG recording in the cranial subdural/subarachnoid space of primates
Dinse et al. Optical imaging of cat auditory cortex cochleotopic selectivity evoked by acute electrical stimulation of a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
CN110013346A (zh) 一种用于大鼠脑区给药及神经电信号记录的一体化装置
Woldring et al. Site and extension of bulbar respiratory centre
Bakker et al. Patterns of primary afferent termination in the external cuneate nucleus from cervical axial muscles in the cat
Greenberg et al. Noninvasive localization of brain-stem lesions in the cat with multimodality evoked potentials: correlation with human head-injury data
Winter et al. Transmembrane potentials of odontoblasts
Ivica et al. Design of a high-density multi-channel electrode for multi-structure parallel recordings in rodents
SAEKI et al. Participation of ventrolateral medullary neurons in the renal-sympathetic reflex in rab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