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78B1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278B1
KR102237278B1 KR1020190098781A KR20190098781A KR102237278B1 KR 102237278 B1 KR102237278 B1 KR 102237278B1 KR 1020190098781 A KR1020190098781 A KR 1020190098781A KR 20190098781 A KR20190098781 A KR 20190098781A KR 102237278 B1 KR102237278 B1 KR 10223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cess device
wireless access
radio link
directional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9759A (en
Inventor
김태준
하산 엘사에드 만수르 겐디아 아메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78B1/en
Publication of KR20210019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2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ransmit antennas, e.g. of the amplitude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링크로 형성되는 무선 랜의 빔 포밍을 통한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은,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 장치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through beamforming of a wireless LAN formed as a mobile communication link.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receiving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the And forming a second radio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adio access device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a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Description

이동 통신 링크로 형성되는 무선랜의 빔 포밍을 통한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A wire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through beamforming of a wireless LAN formed as a mobile communication link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아래 실시예들은 이동 통신 링크로 형성되는 무선랜의 빔 포밍을 통한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method through beamforming of a wireless LAN form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link.

무선랜(wireless LAN)은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을 사용한다. 무선랜은 해당 대역 사용에 라이센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ISM 대역을 무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랜을 활용한 수많은 무선 통신 장치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선랜은 다른 통신 장치들과의 간섭 문제를 이유로 이동 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장치에 비하여 매우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도록 규제되고 있다.Wireless LAN uses 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as a frequency band for communication. Wireless LAN is widely used in numer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ing wireless LAN because it uses the ISM band for free, which does not require a license to use the corresponding band. However, a wireless LAN is regulated to use a very low transmission power compared to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due to an interference problem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s.

AP(Access Point)는 무선랜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AP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환경에 많이 설치된다. 이에, 무선랜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많은 AP의 신호들을 탐지할 수 있으나, 강한 신호로 수신되는 AP는 상당히 적은 수이다. 이처럼, 사용자는 무선랜의 낮은 전송 전력 사용의 문제로 자신의 집 근처 또는 사무실 근처에서도 사용자가 접속해야 할 AP의 수신 전력이 너무 미약하여 무선랜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An AP (Access Point) is a device that enables a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wireless LAN and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APs are often installed in an environment such as a general home or office. Accordingl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wireless LAN can detect signals from many APs, but the number of APs received as strong signals is quite small. As such, it is very frequent that the user cannot use the wireless LAN because the reception power of the AP to which the user accesses is too weak even in the vicinity of his home or office due to the problem of low transmission power use of the wireless LAN.

실시예들은 이동 통신 링크인 상향 링크를 이용하여, 무선랜 링크인 하향 링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이 AP의 신호가 미약하여 무선랜에 접속하기 힘든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빔 포밍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지는 AP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by forming a downlink, which is a wireless LAN link, using an uplink,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link, even when the user's terminal is in a loc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wireless LAN due to a weak signal from the AP, a certain level through beamforming is performed. A technology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an AP having the above signal quality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은,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 장치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receiving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the And forming a second radio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adio access device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a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may include receiving a user's ID/Password together with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a user list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radio link, and when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he first It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beamforming request to the terminal through a radio link.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ming may include outputting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nd the measurement It may include the step of adjusting and outputting the power and the phase of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수신 파워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reception power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al beam.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에 따른 포트 번호(port number)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nd an Internet Protocol (IP) of the radio access device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cond radio link in the first packet.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second packet into which the (port number) is inserted,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cket.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는, 다중 배열 안테나와, 상기 다중 배열 안테나를 제어하여 지향성 빔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 장치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한다.A wireless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ulti-array antenna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multi-array antenna to output a directional beam, wherein the processor comprises: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 second radio link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adio access device by receiving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user's ID/Password together with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a user list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radio link, and when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he first radio link The acceptance message for the beamforming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vi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하고,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outputs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ation request message, receives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nd receives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power and phase of the beam can be adjusted and output.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수신 파워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reception power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al beam.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에 따른 포트 번호(port number)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receives a fir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nd includes an Internet Protocol (IP) of the radio access device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cond radio link in the first packet. number) may be inserted, and the second packet may be trans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접속 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접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shown in FIG. 1.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of a wireless access system.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access system.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embodiment,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wireless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기지국(100), 단말(200), 무선 접속 장치(30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includes a base station 100, a terminal 200, and a wireless access device 300.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 링크인 상향 링크를 이용하여, 무선랜(wireless LAN) 링크인 하향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링크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랜 링크는 AP와 단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랜 링크는 빔 포밍(baem-forming)을 통해 지향성 빔을 출력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may form a downlink that is a wireless LAN link by using an uplink that is a mobile communication lin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link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WLAN link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AP and the terminal. The WLAN link may be formed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through beamforming.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단말이 AP의 신호가 미약하여 무선랜에 접속하기 힘든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빔 포밍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품질을 가지는 AP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향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사용료가 부과되지 않는 무선랜의 사용 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provides a downlink to receive an AP signal having a signal quality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rough beamforming even when the user's terminal is in a loc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ccess a wireless LAN due to a weak AP signal. Can be formed. 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can greatly expand the range of use of a wireless LAN in which a usage fee is not charged, and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can be greatly increased.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단말로부터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된 패킷에 AP의 IP(Internet Protocol) 및 포트 번호(port number)를 삽입하여 외부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단말의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가 분리되어 동일한 링크가 아니더라도, 외부 서버(2000) 입장에서는 같은 IP 및 포트 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패킷에 AP의 IP 및 포트 번호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may insert an Internet Protocol (IP) and a port number of an AP into a packet transmitted from a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link and transmit it to the external server 2000. That is, 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includes the IP and port of the AP in the packet so that the external server 2000 can communicate with the same IP and port number even i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f the terminal are separated and not the same link. It can be transmitted by inserting a number.

기지국(100)은 단말(200)과 이동 통신을 위한 제1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단말(200)로부터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무선 접속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 may establish a first radio link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The base station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The base station 100 may receive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200. The base station 100 may transmit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단말(200)은 이동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신호가 미약한 무선 접속 장치(300)와 지향성 빔 형성을 통해 무선랜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form a wireless LAN link by forming a directional beam with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having a weak sig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link.

단말(200)은 기지국(100)과의 이동 통신을 위한 제1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 접속 장치(300)와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단말(200)은 제1 무선 링크 및/또는 제2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establish a first radio link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The terminal 200 may establish a second wireless link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e terminal 200 may communicate through a first radio link and/or a second radio link.

단말(200)은 무선 접속 장치(300)의 신호가 미약한 경우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200)은 빔 형성 요청 메시지 및/또는 사용자의 ID/Password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generate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when the signal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is weak. The terminal 200 may transmit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and/or a user's ID/Password to the base station 100.

단말(200)은 무선 접속 장치(300)가 출력하는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정보는 지향성 빔에 대한 수신 파워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측정 정보를 무선 접속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directional beam output from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For exampl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reception power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al beam. The terminal 200 may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무선 접속 장치(300)는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200)에 지향성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300)는 지향성 빔을 출력하여 단말(200)과 무선 접속 장치(300)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링크는 무선랜 통신을 위한 링크일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300)는 AP일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output a directional beam to the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beam formation request message.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output a directional beam to form a second wireless link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Fo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link may be a link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be an AP.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접속 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shown in FIG. 1.

무선 접속 장치(300)는 다중 배열 안테나(310), 프로세서(330) 및 메모리(35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includes a multiple array antenna 310, a processor 330, and a memory 350.

다중 배열 안테나(310)는 출력하는 빔이 단말(200)에 집중되도록 하는 빔 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The multi-array antenna 310 may perform beam-forming so that the output beam is concentrated on the terminal 200.

프로세서(33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프로세서(330)는 무선 접속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소프트웨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an operation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of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execute an application and/or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350.

프로세서(330)는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3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33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실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process the received data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350. The processor 330 may process data stored in the memory 350. The processor 330 may execute computer-readable code (eg,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350 and instructions induced by the processor 330.

프로세서(33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implemented in hardware having a circuit having a physical structure for executing desired operations. For example, desired operations may include code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implemented in hardware is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a processor core, a multi-core processor, and a multiprocessor. ,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프로세서(330)는 단말(200)과 기지국(100)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the user's ID/Password together with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의 ID/Password가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의 ID/Password가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check whether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a user list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radio link. When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a beamforming request acceptance message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프로세서(330)는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다중 배열 안테나(310)의 제어를 통해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단말(200)과 무선 접속 장치 사이(300)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form a second radio link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through the control of the multiple array antenna 310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프로세서(330)는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다중 배열 안테나(310)의 제어를 통해 지향성 빔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output a directional beam through control of the multi-array antenna 310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The processor 330 may adjust and output the power and phase of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프로세서(330)는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1 패킷에 무선 접속 장치(300)의 IP 및 제2 무선 링크에 따른 포트 번호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2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the fir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The processor 330 may generate a second packet in which the IP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cond wireless link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acket.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the second packet.

메모리(3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50)는, 무선 접속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50 may include volatile and/or nonvolatile memory. The memory 350 may store commands and/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도 3은 무선 접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무선 접속 장치(300)는 단말(200)과 기지국(100)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 및/또는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할 수 있다(31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receive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and/or a user's ID/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 31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사용자의 ID/Password가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2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check whether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a user list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wireless link (32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사용자의 ID/Password가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330).When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transmit a beamforming request acceptance message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link (330).

무선 접속 장치(300)는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다중 배열 안테나(310)의 제어를 통해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단말(200)과 무선 접속 장치 사이(300)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34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form a second wireless link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through the control of the multiple array antenna 310 in response to the beam formation request message. There is (34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5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receiv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link (35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36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adjust and output the power and phase of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360).

도 4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of a wireless access system.

단말(200)과 기지국(100) 사이에는 제1 무선 링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무선 링크는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랜을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200)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실내에 위치한 AP에서 매우 약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A first radio link may be formed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The first radio link may be in a state in which normal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terminal 200 may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However, when the terminal 200 is located outdoors,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a very weak signal or a signal cannot be received from an AP located indoors.

즉, 사용자가 집이나 사무실 근처에 위치할 때, 단말(200)은 사용자가 주로 접속하지만 실내에 위치하는 AP의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단말(200)은 1) 정상적으로 AP의 신호가 검색되고 수신 신호의 세기가 양호한 경우, 2) AP의 신호가 검색되지만 수신 신호의 세기가 매우 낮아서 사용이 힘든 경우, 및 3) 자신이 주로 사용하던 AP의 신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s located near a home or office, the terminal 200 may search for a signal of an AP that is mainly accessed by the user but located indoors. At this time, the terminal 200 is 1) when the signal of the AP is normally searched and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good, 2) the signal of the AP is searched, but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very low and thus it is difficult to use, and 3) it is mainly used by itself.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signal of the used AP is not searched.

단말(200)은 1)의 경우 무선랜을 통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200)은 2) 및 3)의 경우에는 무선랜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어렵다.In the case of 1), the terminal 200 may communicate through a wireless LA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terminal 200 to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in the case of 2) and 3).

무선 접속 시스템(10)에서, 사용자는 단말(200)을 통해 자신이 주로 접속하는 무선 접속 장치(300)의 신호를 선택하여 무선랜 접속을 강화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단말(200)을 통해 자신이 최근에 접속한 무선 접속 장치(300)의 리스트 중에서 근처에 있는 무선 접속 장치(300)를 선택하여 무선랜 접속을 강화할 수 있다.In 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the user can strengthen the wireless LAN connection by selecting a signal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o which he or she mainly accesses through the terminal 200.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inforce wireless LAN access by selecting a nearby wireless access device 300 from a list of wireless access devices 300 that he recently accessed through the terminal 200.

단말(200)은 단말(200)과 기지국(100) 사이에 형성된 이동 통신 링크인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접속 장치(300)로 빔 형성 메시지 및 사용자의 ID/Password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단말(200)과 무선 접속 장치(300) 사이의 신호가 미약하고 불안정할 때, 단말(200)과 기지국(100) 사이의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하여 빔 형성 메시지 및 사용자의 ID/Password를 무선 접속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transmit a beamforming message and a user's ID/Password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rough a first radio link, which is a mobile communication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That is, when the signal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is weak and unstable, the terminal 200 transmits a beamforming message and a user's messag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The ID/Password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사용자의 ID/Password가 무선랜 링크인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단말(200)로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s ID/Password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wireless link, which is a wireless LAN link,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accepts a beamforming request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link. Can be transmitted.

무선 접속 장치(300)는 빔 형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200)로 지향성 빔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장치(300)는 미리 정해진 조합에 따라 지향성 빔을 형성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output a directional beam to the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message. For example,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form a directional bea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bination.

단말(200)은 지향성 빔의 수신 파워 및 채널을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200)은 측정 정보를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접속 장치(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generat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reception power and channel of the directional beam. The terminal 200 may repeat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link.

무선 접속 장치(3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 안테나의 파워 및 위상을 변경하여 지향성 빔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무선 접속 장치(3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한 지향성 빔 조정을 반복함으로써, 단말(200)에 유리한 지향성 빔의 신호 게인(gain) 및 위상을 판단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adjust the directional beam by changing the power and phase of each antenna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hat is,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determine a signal gain and a phase of the directional beam advantageous to the terminal 200 by repeating the directional beam adjust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무선 접속 장치(3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한 지향성 빔 조정을 일정 횟수 반복한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품질이 확보되면 하향 링크인 제2 무선 링크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As a result of repeating the directional beam adjust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complete the second wireless link connection, which is a downlink, when signal quality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is secured.

무선 접속 장치(300)는 측정 정보에 기초한 지향성 빔 조정을 일정 횟수 반복한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 품질이 확보되지 않으면 하향 링크인 제2 무선 링크 연결을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repeating the directional beam adjust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wireless link connection as a downlink is failed if signal quality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is not secured.

도 5는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access system.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단말(200)과 무선 접속 장치(300) 사이에 하향 링크(DL)가 형성된 이 후에도 단말(200)에서 무선 접속 장치(300)로 전송되는 상향 링크(UL)의 통신 품질은 열악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단말(200)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안테나를 장착하기 어렵고, 배터리 소모에 민감하여 높은 송신 전력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접속 시스템(10)은 하향 링크(DL)는 무선랜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고, 상향 링크(UL)는 이동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4, 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even after a downlink (DL)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e communication quality of the uplink (UL) may become inferior. This may be because in the case of the terminal 200,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mount several antenna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high transmission power because it is sensitive to battery consump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access system 10 may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LAN in the downlink (DL) and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link in the uplink (UL).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장치(300)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로 단말(200)과 접속하는 경우, 무선 접속 장치(300)에 IP가 부여되고, 단말(200)은 무선 접속 장치(300) 하위에 포트 번호를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connects to the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an IP is assigned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and the terminal 200 is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It can be classified through the lower port number.

단말(200)은 상향 링크(UL)를 통하여 기지국(100)에 제1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410). 기지국(100)은 제1 패킷을 인터넷(1000)을 통해 무선 접속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520, 530).Th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first packet to the base station 100 through an uplink (UL) (410). The base station 100 may transmit the first packet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rough the Internet 1000 (520, 530).

무선 접속 장치(300)는 제1 패킷에 무선 접속 장치(300)의 IP 및 하향 링크(DL)에 따른 포트 번호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장치(300)는 제2 패킷을 인터넷(1000)을 통해 외부 서버(2000)로 전송할 수 있다(540, 550).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generate a second packet in which the IP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downlink (DL)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acket.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transmit the second packet to the external server 2000 through the Internet 1000 (540, 550).

외부 서버(2000)는 제2 패킷에 응답하여 인터넷(1000)을 통해 무선 접속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560, 570). 이때, 외부 서버(2000) 입장에서는 단말(200)의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가 분리되어 동일한 링크가 아니더라도, 단말(200)과 통신할 때 같은 IP 및 포트 번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external server 2000 may transmit data to 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through the Internet 1000 in response to the second packet (560, 570). In this case, from the viewpoint of the external server 2000,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f the terminal 200 are separated,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can be performed using the same IP and port number, even if they are not the same link.

무선 접속 장치(300)는 하향 링크(DL)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access device 300 may transmit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to the terminal 200 through a downlink (DL).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2)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접속 장치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
I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Receiving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Forming a second radio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adio access device by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forming step,
Outputting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nd
Adjusting and outputting power and phase of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step,
Receiving a user's ID/Password together with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Checking whether the ID/Password of the user is included in a list of users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radio link; And
When the ID/Password of the user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ransmitting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beamforming reques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수신 파워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reception power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al beam.
Communication method of wireless acces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에 따른 포트 번호(port number)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의 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fir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Generating a second packet in which an Internet Protocol (IP)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cond wireless link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acke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acces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다중 배열 안테나;
상기 다중 배열 안테나를 제어하여 지향성 빔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형성된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빔 형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단말과 무선 접속 장치 사이에 제2 무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지향성 빔을 출력하고,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파워 및 위상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무선 접속 장치.
Multiple array antennas;
Processor for outputting a directional beam by controlling the multiple array antennas
Including,
The processor,
Receiving a beamforming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form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Forming a second radio link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adio access device by outputting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Outputting the directional beam in response to the beam forming request message,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directional beam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Adjusting and outputting power and phase for the directional beam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Wireless access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형성 요청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ID/Password를 수신하는
무선 접속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rocessor,
Receiving the user's ID/Password together with the beamforming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Wireless access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제2 무선 링크의 접속을 허용하는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ID/Password가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빔 형성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접속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ocessor,
Checking whether the ID/Password of the user is included in the list of users allowing access to the second radio link,
When the ID/Password of the user is included in the user list, transmitting an acceptance message for the beamforming reques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Wireless access devic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지향성 빔에 대한 수신 파워 정보 및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es reception power information and channel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al beam.
Wireless access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패킷에 상기 무선 접속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에 따른 포트 번호(port number)를 삽입한 제2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패킷을 전송하는
무선 접속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rocessor,
Receiving a firs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radio link,
Generating a second packet in which an Internet Protocol (IP)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and a port number according to the second wireless link are inserted into the first packet,
Transmitting the second packet
Wireless access device.
KR1020190098781A 2019-08-13 2019-08-13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KR102237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81A KR102237278B1 (en) 2019-08-13 2019-08-13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81A KR102237278B1 (en) 2019-08-13 2019-08-13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59A KR20210019759A (en) 2021-02-23
KR102237278B1 true KR102237278B1 (en) 2021-04-07

Family

ID=7468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81A KR102237278B1 (en) 2019-08-13 2019-08-13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7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2897A (en) * 2015-11-17 2017-05-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JP2017168922A (en) * 2016-03-14 2017-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2897A (en) * 2015-11-17 2017-05-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JP2017168922A (en) * 2016-03-14 2017-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59A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0220B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fault recovery
US100640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bea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73617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e and transmit beam pairing in full duplex systems
CN102017442B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and tracking communication directions with asymmetric antenna systems
US8634393B2 (en) Channel scanning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access points
CN103444254B (en) Transmission power and modulation and encoding scheme selection are managed during Stochastic accessing in TV idle frequency spectrums
CN110381490B (en)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earphone,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equipment
US7948914B2 (en) Power learning security in wireless routers
KR1019744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wireless devices
KR20190034298A (en) RANDOM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1700449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 forming operation in millil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
WO2021041859A1 (en) Deep learning aided fingerprint based beam alignment
CN108370303A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with the Selective long-range DEPT of radio signal
CN110771061B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of wireless stations having fixed locations
US10135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wireless devices
KR1022372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hrough beam-forming of wireless lan formed by mobile communication link
CN104105215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ite equipment
KR102635665B1 (en) Uplink beam training method, terminals and network devices
EP3406032B1 (en) Cell-specific signal generation
KR102254670B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training therein
KR102360264B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02856B1 (en) Small cell management method for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performing the method
CN111082838B (en) Automatic selection of codebooks
KR101976482B1 (en)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 thereof
US202401378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ynchronization of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reflection patter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