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43B1 -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 Google Patents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43B1
KR102236943B1 KR1020200090864A KR20200090864A KR102236943B1 KR 102236943 B1 KR102236943 B1 KR 102236943B1 KR 1020200090864 A KR1020200090864 A KR 1020200090864A KR 20200090864 A KR20200090864 A KR 20200090864A KR 102236943 B1 KR102236943 B1 KR 102236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einforcing bar
holder
guide surfa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주)선윤티엔씨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윤티엔씨, 김명철 filed Critical (주)선윤티엔씨
Priority to KR102020009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F16B7/02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tubes due to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con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slidingly crimped bodies, which connects two ends of reinforcing bars. The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comprises: a pair of joint pipes directly fastened to each other at the inner ends or in a screw manner with a joint medium pipe therebetween, and having a pressing guide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odie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s, circular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having a plurality of pressing latche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protru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outer end thereof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guide surface, and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nds of reinforcing bars through the pressing latches a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body arrangement is reduced while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contacts the pressing guide surface by fastening of the joint pipes; body holders inserted into the joint pipes to circularly arrange the bodi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sliding guide means provided on the bodies and the body holders to guid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ies so that the same slides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holders in paralle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while the diameter of the body arrangement is reduced by the fastening of the joint pipes.

Description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본 발명은 철근 골조를 이루기 위해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이음하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type piece that connects and connects two reinforcing bar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reinforcing bar frame.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철근을 정해진 형태에 따라 배치한 후 결속선과 소둔선으로 서로 연결 및 고정하여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골조를 시공하고 있다. In general,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n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with a binding line and an annealed line to construct the frame of an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이러한 철근은 제조 효율성과 운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일정길이로 생산됨에 따라 길이와 폭이 상당한 대규모 골조를 시공하고자 할 때는 복수 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다단 연결할 수밖에 없다. As such reinforcing bars are produced in a certain length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ease of transport, when constructing a large-scale frame having a considerable length and wid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must b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복수 개의 철근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다단 연결한 상태에서 그 연결부에는 철근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철근 자체 인장강도와 대등하거나 그 보다 높은 인장강도가 발휘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ensile strength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reinforcing bar itself must be exhibit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not easily separa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철근 연결부에서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결속선과 소둔선을 이용하는 겹이음 방식으로 연결하지 않고 철근 커플러를 이용하는 커플러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ave high tensile strength at the two reinforcing bar connections, the ends of the two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by a coupler method using a reinforcing bar coupler rather than by a lap joint method using a binding line and an annealed line.

이러한 철근 커플러는 크게 두 개의 철근 단부가 일단과 타단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면서 서로 연결되는 나사식 철근 커플러와, 두 개의 철근 단부가 일단과 타단에 수동 조작에 의해 압착 고정되면서 서로 연결되는 수동식 철근 커플러와, 두 개의 철근 단부가 일단과 타단에 자동으로 압착 고정되면서 서로 연결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로 구분할 수 있다. These rebar couplers are largely a screw-type rebar coupl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wo reinforcing bar ends are screw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 manual rebar coupl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two rebar ends are crimped and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by manual operation. Wow, it can be divided into a one-touch rebar coupl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two reinforcing bar ends are automatically crimped and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여기서 나사식 철근 커플러는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나사 가공해야 하므로 철근의 인장강도를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철근의 단부를 이음관에 연결하기 위해 이음관을 회전 조작해야 하므로 현장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Here, the threaded reinforcing bar coupler has the disadvantage of lower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becau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has to be screwed, and the on-site construction is not easy because the joint pipe must be rotated to connect the end of the rebar to the joint pipe. have.

그리고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이음관을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하거나 이음관의 양단에 마개를 나사식으로 체결해야 하므로 철근의 신속한 연결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because the joint pipes must be screwed together or the plugs must be screwed on both ends of the joint pipes.

이러한 나사식 철근 커플러와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바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이다. One-touch type rebar coupler was devis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se screw-type rebar couplers and manual rebar couplers.

한편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이음관과, 이음관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편체와, 이음관의 양단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편체의 배열 직경을 축소시키는 마개와, 이음관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편체를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ne-touch reinforced coupler includes a joint pipe, a plurality of flat bodies install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joint pipe and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 stopper that is screwed to both ends of the joint pipe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and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and consists of an elastic member that presses the pie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diameter is reduced.

즉,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두 개의 철근 단부가 마개를 통과하여 이음관의 양단 내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탄성부재의 인장력과 함께 편체와 마개의 작용에 의해 직경이 감소되는 편체에 의해 압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allows two reinforcing bar ends to pass through the plug and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s of both ends of the joint pipe, and are compress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piece body and the diameter of the piece being reduced by the action of the stopper. will be.

그러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철근의 단부를 이음관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완전히 밀어넣은 상태에서 완벽하게 고정되지 않고 타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당겨줘야만 완벽하게 고정되는 초기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is not completely fixed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letely push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joint pipe in one dire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itial slip phenomenon occurs that is completely fixed only when pull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ther direction.

즉, 철근의 단부를 이음관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하면 편체가 철근과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체와 마개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서 편체가 철근의 단부를 완벽하게 압착 고정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 That is, when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joint pipe, the knitted body moves in one direction with the reinforcing bar, creating a gap between the knitted body and the stopper,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annot be completely crimped and fixed.

그리하여 철근을 타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당기면 철근과 함께 편체가 타방향으로 이동하고 편체와 마개의 사이에 틈이 사라지면서 편체가 철근의 단부를 완벽하게 압착 고정한 상태가 된다. Thus, when the reinforcing bar is pull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ther direction, the piece moves along with the reinforcing bar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gap between the piece and the stopper disappears, so that the end of the piece is completely crimped and fixed.

상기와 같이 종래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초기 슬립 현상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주지 못하면서 사용을 기피하게 됨에 따라, 철근의 인장강도를 저하시키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사용을 권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one-touch rebar coupler is avoided while not being structurally stable due to the initial slip phenomenon, so the use of a manual rebar coupler is recommended despite the disadvantages of lower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and poor workability. The number of cases is increasing.

여기서 종래의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서로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이음관, 이음관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편체홀더와, 이음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홀더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편체를 구성되어, 이음관을 임시로 체결한 후 그 단부 내측에 철근의 단부를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이음관을 완전히 체결하면 편체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는 원리이다. Here, the conventional manual reinforced coupler consists of a pair of joint pipes screwed to each other, a flat body holder install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joint pipe, and a flat body each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and on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holder. This is a principle of fixing the pipe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joint pipe is completely fastened while the end of the rebar is inserted inside the end of the pipe temporarily.

그러나 종래의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편체의 일단이 홀더에 고정된 구조임에 따라 이음관을 완전히 체결하면 편체의 타단 내주면만이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고 편체의 일단 내주면이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게 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nual rebar coupler, one end of the piece is fixed to the holder, so when the joint pipe is completely connected, on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ba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piece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bar. Will not be.

즉, 편체 전체가 이음관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단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만이 이음관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In other words, as the whole piece of the knitting body does not move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joint pipe, and only the other end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joint pipe while the one end is fixed in pos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the knitting body is inclined.

이로 인해 철근에 대한 편체의 압착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서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없으므로 기준 인장강도보다 낮은 인장강도에서 철근이 이음관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Because of this, the reinforcing bar cannot be firmly connected while the crimping force of the braided body against the reinforcing bar is not properly exert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inforcing ba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joint pipe at a tensile strength lower than the standard tensile strength.

따라서 편체의 압착력을 강화하여 두 개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편체의 내주면 전체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압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동식 철근 커플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manual rebar coupler that can exert a compressive force while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itted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can be firmly connected by reinforcing the crimping force of the knitted bod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274호, 2004.03.24.자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4-0025274, published on March 24, 20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2967호, 2005.12.01.자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112967, published on December 1, 20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편체의 압착력을 강화하여 두 개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편체의 내주면 전체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강력한 압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can be firmly connected by reinforc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iece, and a slide compression type capable of exerting a strong compression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equipped with a knitted bod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sufficiently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두 개의 철근 단부를 연결하여 이음하는 것으로서; 내측 단부가 서로 직접 또는 이음매개관을 사이에 두고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내주면에 압착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복수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압착래치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 단부 내주면에 상기 압착유도면과 대응되는 내경축소유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따라 상기 내경축소유도면이 상기 압착유도면과 접촉하면서 원형 배열에 따른 배열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압착래치를 통해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편체;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편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는 편체홀더; 및 상기 편체와 상기 편체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편체의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편체의 내주면이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편체홀더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딩되게 안내하는 슬라이딩안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onnect and connect two reinforcing bar ends; A pair of joint pipes whose inner ends are screwed with each other directly or with a joint medium pipe therebetween, and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mpression latches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end.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according to the screw fastening of the joint pipe, and the arrangement diameter according to the circular arrangement is reduc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ressed and fixed through the compression latch; A piece hol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to arrange the pieces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sli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dy holder while being provided in the flat body and the flat body holder, whi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body is paralle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flat body by screwing the joint pipe. It may consist of; sliding guide means for guiding to be.

상기 편체홀더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을 통해 상기 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홀더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편체에는 상기 지지돌편이 삽입되는 돌편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ne-piece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 disk shape; A support pip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holder bod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and a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s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piece.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은 상기 지지돌편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안내면; 상기 지지돌편의 일면과 대향되는 상기 돌편삽입부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과 면접하는 제1슬라이딩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liding guide means includes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The first slid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so that the piece body is circularly arranged by the piece body holder and makes an interview with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Cotton; can be composed of.

상기 홀더몸체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지지관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은 상기 안착돌편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안내면; 및 상기 안착돌편의 일면과 대향되는 상기 편체의 내측 단부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과 면접하는 제2슬라이딩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and the sliding guide means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A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pie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one piece, so that the piece is circularly arranged by the piece holder. 2 sliding surfaces;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편체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편체홀더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돌편 또는 상기 안착돌편의 단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걸이이 절곡 형성되는 분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pieces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assembled to the piece holder, the end of the supporting stone piece or the seating stone piece corresponds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or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so that the piece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parating prevention member formed extending at an inclination angle that is formed at the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돌편삽입부의 타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제2슬라이딩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돌기와,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기가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분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 upper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piece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body holder while the piece body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piece body holder, and a low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sliding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and the lower protrusion is caught.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과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과 상기 제1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슬라이딩면은 서로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내경축소유도면의 경사각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the first sliding surface,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may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nd have a relatively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the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편체를 편체홀더의 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편체의 모든 압착래치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되게 하는 슬라이딩안내수단이 편체와 편체홀더에 구비됨에 따라 철근이 미끄러지는 초기 슬립 현상을 해소하여 철근의 연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First, as a sliding guide means that slides the piece of the pie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piece holder so that all the compression latches of the piece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piece of reinforcing bar, the initial slip phenomenon in which the piece of bar slides is eliminated.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by making the connection of the product more robust.

그리고 편체가 슬라이딩안내수단에 의해 편체홀더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체홀더에 분리방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편체와 편체홀더를 이음관의 삽입홀에 편리하여 삽입하여 조립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iece body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by the sliding guide means, a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in the piece holder. As a result, the piece body and the piece holder can be convenient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joint pipe to be assembled. Ease of use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와 편체홀더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사용 상태에서 편체의 슬라이딩 이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사용 상태에서 편체의 슬라이딩 완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와 편체홀더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al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al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ece of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ece holder of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equipp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itted body and the knitted body holder are assembled of a manual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knitte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manual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sliding of the knitted body in a use state of a manual reinforced coupler equipp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knitte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liding of the knitted body is completed in a use state of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equipp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knitte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itted body and the knitted body holder are assembled of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knitted bod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철근 골조를 이루기 위해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이음하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type piece that connects and connects two reinforcing bar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reinforcing bar fram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는 편체의 압착력을 크게 강화함으로써 초기 슬립 현상을 해소하여 두 개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In particular, the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provided with the slide compression type knit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slip phenomenon is eliminated by reinforcing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knitted body so that the two reinforcing bars can be firmly connected.

이러한 특징은 일체로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이음관과, 이음관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편체홀더와, 이음관의 내측에 설치되고 편체홀더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되어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따라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편체와, 편체가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따라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편체를 편체홀더의 내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슬라이딩시켜 편체의 내주면 전체를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동시에 압착시키는 슬라이딩안내수단을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se features include a pair of joint pipes that are integrally screwed together, a single-body hold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joint pipe, and a single-body hold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joint pipe and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by a single-body holder, and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crewing of the joint pipe. Sliding to simultaneously compress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itted bod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bar by sliding the knitted body at an inclined angle to the inside of the flat body holder while the diameter of the knitted body is reduced and the knitted body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screwing of the joint pipe. It can be achieved by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uid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equipp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100)는 두 개의 철근(R) 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과 편체(20)와 편체홀더(30)와 슬라이딩안내수단(40) 및 분리방지편(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100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wo reinforcing bars (R) 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7 As suc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joint pipe 10, a piece 20, a piece holder 30, a sliding guide means 40,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50.

먼저, 상기 이음관(1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내측 단부가 나사 체결되어 서로 직접 연결되거나 이음매개관(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내측 단부가 이음매개관의 양단에 나사 체결되어 이음매개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First, the joint pipe 10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 inner ends are screw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inner end is screwed to both ends of the joint medium pipe with a joint medium pipe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to be connected by a joint medium pipe. I can.

이를 위해 이음관(10)은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삽입홀(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음관(10)의 내측 단부 내주면에는 체결나사(12)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tting tube 10 may be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 along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fastening screw 12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joint pipe 10.

그리고 이음관(10)의 외측 단부 내주면에는 압착유도면(13)이 환설될 수 있다. 단, 압착유도면(13)은 이음관(10)의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이음관(10)의 내경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는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 compression guide surface 13 may be circumscrib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end of the joint pipe 10. However, the compression induction surface 13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that gradually reduces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pipe 10 from the inner end to the outer end of the fitting pipe 10.

즉, 이음관(10)은 외측 단부를 통해 철근(R)의 단부가 삽입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through the outer end of the joint pipe 10.

다음으로, 상기 편체(20)는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도록 각각 구성되어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각각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Next, a plurality of the knitted bodies 20 may be respectively configured to form a group,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1 of the fitting tube 10 in a state arranged to form a circular shape, respectively.

즉, 편체(21)는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서 복수 개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삽입될 수 있다. That is, the piece body 21 may be insert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by being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fitting tube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를 위해 편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배열에 따른 외경(이하 모두 '배열 직경'이라 함)이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외주면에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3)과 대응되는 내경축소유도면(21)이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outer diameter of the piece body 20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inner end to the outer end, so that the outer dia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array diameter') is crimp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21 corresponding to the guide surface 13 may be formed.

이때 내경축소유도면(21)은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3)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은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편체(20)는 원형 배열에 따른 내경이 일정하도록 내주면이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까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small guide surface 21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13 of the joint pipe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20 may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inner end to the outer end so that the inner diameter according to the circular arrangement is constant.

즉, 편체(20)는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따라 내경축소유도면(21)이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3)과 접촉되어 내측방향으로 압입되면서 배열 직경이 축소되어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다. That is,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21 guides the compression of the joint pipe 10 according to the screwing of the joint pipe 10 in the state that the piece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joint pipe 10,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is reduc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rface 13 and press-fitting in the inward direction,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can be compressed.

또한 편체(20)는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내주면을 통해 압착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압착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복수 개의 압착래치(21)가 길이방“‡을 배열되고 이음관(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음관(1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R) is crimped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crimping latches 21 are arrang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crimped and fixed without slipping. It protrudes to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tting pipe (10).

즉, 편체(20)는 배열 직경이 축소됨에 따라 압착래치(21)의 단부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에 소정깊이로 박혀 압착함으로써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삽입된 철근(R)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as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piece 20 is reduced, the end of the compression latch 21 is embedd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compressed, there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joint tube 10. The end of (R) can be firmly fixed.

다음으로, 상기 편체홀더(30)는 편체(20)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도록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Next, the flat body holde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fitting tube 10 so that the flat body 20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이를 위해 편체홀더(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지는 홀더몸체(31)와, 홀더몸체(31)의 외주연을 따라 철근(R)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주면을 통해 편체(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관(32)과, 지지관(32)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홀더몸체(3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편(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iece holder 30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31 and the holder body 31 having a disk shape as shown in FIG. The support pipe 32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body 20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stone pieces 3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32 and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31 ).

단, 편체(20)에는 지지돌편(33)이 삽입되는 돌편삽입부(23)가 홈 또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편체(20)가 편체홀더(30)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piece 20,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23 into which the support piece 33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hole, so that the piece 20 may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piece holder 30.

따라서 편체홀더(30)는 편체(20)를 외측에서 감싸고 편체(20)의 돌편삽입부(23)에 지지돌편(33)이 삽입되면서 편체(20)를 서로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iece holder 30 surrounds the piece body 20 from the outside, and the support piece 33 is inserted into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23 of the piece body 20, so that the piece body 20 can be arranged in a circle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40)은 편체홀더(30)와 편체(20)에 구비되어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따라 편체(20)의 내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편체(20)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향하여 편체홀더(30)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슬라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Next, the sliding guide means 40 is provided in the flat body holder 30 and the flat body 20 so that the flat body 20 is reduced in the heat-resistant diameter of the flat body 20 according to the screwing of the joint pipe 10. The reinforcing bar (R) may be guided so that it slides obliquely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iece holder 30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즉, 슬라이딩안내수단(40)은 편체(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모든 압착래치(21)가 동시에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편체(20)의 내주면이 철근(R)의 단부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편체(20) 전체가 편체홀더(30)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That is, the sliding guide means 40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R) so that all the pressing latches 21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20 can simultaneously press the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R). It is possible to guide the entire piece 20 to slide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piece holder 30 while being paralle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그러면 편체(20)의 모든 압착래치(21)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동시에 압착할 수 있으므로 철근(R)의 단부가 이음관(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n, since all the pressing latches 21 of the knitted body 20 can simultaneously com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joint pipe 10.

따라서 편체(20)의 내측 단부가 위치가 고정되고 편체(20)의 외측 단부만이 철근(R)의 단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체(20)의 모든 압착래치(21)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지 못하면서 철근(R)의 단부가 이음관(10)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종래의 폐단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inner end of the piece 20 is fixed, and only the outer end of the piece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and all the compression latches 21 of the piece 20 are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olve the conventional closed end in which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is not properly fixed to the joint pipe 10 while not being able to com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를 위해 슬라이딩안내수단(4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안내면(41)과 제1슬라이딩면(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liding guide means 40 may include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and a first sliding surface 42 as shown in FIGS. 4 to 6.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41)은 편체홀더(30)의 지지돌편(33) 일면에 철근(R)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면(42)은 지지돌편(33)의 일면과 대향하는 편체(20)의 돌편삽입부(23) 일면에 철근(R)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33 of the piece holder 30.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on one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23 of the piece body 20 that faces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33.

그리고 제1슬라이딩안내면(41)과 제1슬라이딩면(42)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딩면(42)과 제1슬라이딩안내면(41)은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서 편체(20)가 편체홀더(30)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면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and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may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That is,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and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ar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body 20 is circularly arranged by the flat body holder 30 in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joint tube 10 Can be.

따라서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의해 편체(20)의 배열 직경이 축소된 후 편체(20)의 제1슬라이딩면(42)이 편체홀더(30)의 제1슬라이딩안내면(41)을 따라 그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편체(20) 전체가 편체홀더(30)의 중심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8 and 9, after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flat body 20 is reduced by screwing of the joint pipe 10,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of the flat body 20 is By sliding along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the entire piece 20 can b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iece holder 30.

그러면 편체(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편체(20)의 모든 압착래치(21)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더욱 균일하게 압착하게 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R)의 연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Then, as the knitted body 20 slides, all the compression latches 21 of the knitted body 20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more evenly, thereby improv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inforcing bar R as shown in FIG. 7. You can make it more solid.

여기서 슬라이딩안내수단(4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체(20)의 슬라이딩을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제2슬라이딩안내면(43) 및 제2슬라이딩면(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sliding guide means 40 further includes a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a second sliding surface 44 to guide the sliding of the piece 20 more stably and smoothly, as shown in FIGS. 4 to 6 It can be configured.

이를 위해 편체홀더(30)의 홀더몸체(31) 외주연부에는 지지관(32)의 내측에서 지지관(32)의 내주면을 따라 철근(R)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편체(20)의 내측 단부를 받쳐주는 안착돌편(34)이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ody 31 of the piece holder 30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ipe 3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3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A seating stone piece 34 supporting the inner end of 20) may be provided.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43)은 안착돌편(43)의 일면에 철근(R)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면(44)은 편체(20)의 내측 단부면에 철근(R)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one piece 43.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on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piece 20.

이때 제2슬라이딩안내면(43)과 제2슬라이딩면(44)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슬라이딩안내면(41)과 제1슬라이딩면(42)과 제2슬라이딩안내면(43)과 제2슬라이딩면(44)과 모두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may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In addition,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may all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즉, 제2슬라이딩안내면(43)과 제2슬라이딩면(44)은 각각 제1슬라이딩안내면(41)과 제1슬라이딩면(42)과 동일하게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서 편체(20)가 편체홀더(30)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면접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are the same as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and the first sliding surface 42, respectively, in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joint pipe 10. (20) can be interview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arranged in a circle by the piece holder (30).

따라서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의해 편체(20)의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편체(20)의 제1,2슬라이딩면(42,44)이 편체홀더(30)의 제1,2슬라이딩안내면(41,43)을 따라 그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됨으로써 편체(20) 전체가 편체홀더(30)의 중심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piece 20 by screwing the joint tube 10,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42 and 44 of the piece 20 are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piece holder 30. By sliding along the sliding guide surfaces 41 and 43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the entire piece 20 can b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piece holder 30.

그러면 편체(20)를 두 개의 지점에서 동시에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함에 따라 편체(20)의 모든 압착래치(21)가 철근(R)의 단부 외주면을 더욱 더 균일하게 압착하게 됨으로써 철근(R)를 더욱 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Then, as the knitted body 20 is guided to slide at two points at the same time, all the pressing latches 21 of the knitted body 20 pres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R more evenly, thereby further compressing the reinforcing bar R more and more. It can be connected firmly.

이에 따라 철근(R)이 제대로 편체(20)에 의해 제대로 압착되지 않아 철근(R)이 소정거리 미끄러지면서 고정되는 초기 슬립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reinforcing bar R is not properly compressed by the piece 20, the initial slip phenomenon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R slides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ixed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편체(20)가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따라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제1,2슬라이딩면(42,44)과 제1,2슬라이딩안내면(41,43)의 작용에 따라 편체홀더(3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1,2슬라이딩면(42,44)과 제1,2슬라이딩안내면(41,43)은 편체(20)의 내경축소유도면(2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42 and 44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uide surfaces 41 and 43 finally act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piece body 20 according to the screwing of the joint pipe 10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42 and 44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uide surfaces 41 and 43 are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s 21 of the flat body 20 so that they can slide obliquely into the inside of the flat body holder 30 according to the )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angle of inclination.

마지막으로, 상기 분리방지부재(50)는 편체(20)를 편체홀더(30)에 원형으로 배열하여 조립하거나 편체(20)와 편체홀더(30)를 조립하여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편체(20)가 편체홀더(30)에서 분리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Finall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is assembled by arranging the piece 20 in a circular shape in the piece holder 30, or by assembling the piece 20 and the piece holder 30 to insert a hole ( In the process of inserting into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sing of the knitted body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knitted body holder 30.

즉, 분리방지편(50)은 편체(20)가 제1,2슬라이딩면(42,44)과 제1,2슬라이딩안내면(41,43)의 경사각도에 의해 편체홀더(30)에서 미끄러지면서 편체홀더(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편체홀더(30)의 내측에서 편체(20)를 받쳐줄 수 있다. That is,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50 is as the piece 20 slides in the piece holder 30 by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42 and 44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uide surfaces 41 and 43. The piece 20 may be supported from the inside of the piece holder 30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30.

이를 위해 분리방지편(5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체홀더(30)의 지지돌편(33) 또는 안착돌편(43)의 단부에 제1슬라이딩안내면(41) 또는 제2슬라이딩안내면(43)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경사편(51)과, 연장경사편(51)의 단부에 철근(R)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분리방지걸이(52)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50 is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or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1 at th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piece 33 or the seating protrusion piece 43 of the piece holder 30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n extension slope piece 51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slope piece 51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R). It may be configur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hanger (52).

즉, 편체(20)를 편체홀더(30)의 내측에 원형으로 배열한 후 편체(20)와 편체홀더(30)를 이음관(10)의 삽입홀(11)에 삽입할 때나 삽입한 상태에서 편체(20)가 자중의 작용과 함께 제1,2슬라이딩면(42,44)과 제1,2슬라이딩안내면(41,43)의 작용에 의해 편체홀더(30)에서 연장경사편(51)의 길이만큼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더라도 편체(20)의 내측 단부가 분리방지걸이(52)에 걸릴 수 있다. That is, after arranging the flat body 20 in a circular shape inside the flat body holder 30, when inserting the flat body 20 and the flat body holder 30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joint pipe 10 or in the inserted state By the 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surfaces 42 and 44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uide surfaces 41 and 43 together with the action of their own weight, the flat body 20 Even if the length is sli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ner end of the piece 20 may be caught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hanger 52.

따라서 편체(20)가 분리방지걸이(52)에 걸리면서 편체(20)는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아 편체홀더(30)에서 분리되지 않고 편체홀더(30)와의 조립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편체(20)의 조립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Therefore, while the piece 20 is caught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hanger 52, the piece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30 because it does not slide anymore, and the assembly state with the piece holder 30 is maintained as it is. Discomfort caused by assembly can be eliminated.

여기서 분리방지부재(50)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기(53)와 하부돌기(54) 및 걸림돌기(55)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may include an upper protrusion 53, a lower protrusion 54, and a locking protrusion 55 a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상기 상부돌기(53)는 편체(20)의 돌편삽입부(23)의 타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54)는 편체(20)의 제2슬라이딩면(44)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55)는 편체홀더(30)의 제2슬라이딩안내면(43)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돌기(54)가 걸림되는 수 있다. The upper protrusion 53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23 of the piece body 20. The lower protrusion 5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of the piece 20. The locking protrusion 55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of the piece holder 30 to engage the lower protrusion 54.

이때 하부돌기(54)와 걸림돌기(55)는 각각 제2슬라이딩안내면(43)과 제2슬라이딩면(44)에 접촉되면서 제2슬라이딩안내면(43)과 제2슬라이딩면(44)을 대신하여 편체(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protrusion 54 and the locking protrusion 55 contact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respectively, and replace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3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4.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iece 20 can be guided.

따라서 편체(20)를 편체홀더(30)에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돌기(54)가 걸림돌기(55)에 걸림되면서 편체(20)가 편체홀더(30)에서 분리되지 않고 편체홀더(30)와의 조립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편체(20)의 조립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piece 20 is assembled to the piece holder 30, the lower protrusion 54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55, so that the piece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30 and By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as it is,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ssembly of the piece 20 may be eliminated.

단, 하부돌기(54)와 걸림돌기(55)는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에 따라 편체(20)가 편체홀더(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이음관(10)의 나사 체결시 발생하는 편체(20)의 회전토크에 의해 하부돌기(54)가 걸림돌기(55)를 넘어가면서 편체(20)가 편체홀더(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However, the lower protrusion 54 and the locking protrusion 55 may have a height capable of sliding the side body 20 into the side body holder 30 according to the screw fastening of the joint pipe 10. Then, the lower protrusion 54 passes over the locking protrusion 55 by the rotation torque of the piece 20 generated when the joint pipe 10 is screwed, so that the piece 20 slides into the inner side of the piece holder 30. I can.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other embodiments variously modified therefrom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 modified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 이음관
11: 삽입홀
12: 체결나사
13: 압착유도면
20: 편체
21: 내경축소유도면
22: 압착래치
23: 돌편삽입부
30: 편체홀더
31: 홀더몸체
32: 지지관
33: 지지돌편
34: 안착돌편
40: 슬라이딩안내수단
41: 제1슬라이딩안내면
42: 제1슬라이딩면
43: 제2슬라이딩안내면
44: 제2슬라이딩면
50: 분리방지부재
51: 연장경사편
52: 분리방지걸이
53: 상부돌기
54: 하부돌기
55: 걸림돌기
100: 수동식 철근 커플러
R: 철근
10: joint pipe
11: Insertion hole
12: fastening screw
13: Pressure induction drawing
20: flat body
21: inner diameter reduction drawing
22: compression latch
23: stone piece insertion part
30: single body holder
31: holder body
32: support tube
33: support stone
34: Settlement stone
40: sliding guide means
41: first sliding guide surface
42: first sliding surface
43: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44: second sliding surface
50: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1: Extended slope
52: separation prevention hanger
53: upper protrusion
54: lower protrusion
55: stumbling block
100: manual rebar coupler
R: rebar

Claims (7)

두 개의 철근 단부를 연결하여 이음하는 것으로서;
내측 단부가 서로 직접 또는 이음매개관을 사이에 두고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내주면에 압착유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복수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되며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압착래치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 단부 내주면에 상기 압착유도면과 대응되는 내경축소유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따라 상기 내경축소유도면이 상기 압착유도면과 접촉하면서 원형 배열에 따른 배열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압착래치를 통해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편체;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편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는 편체홀더; 및
상기 편체와 상기 편체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이음관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편체의 배열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편체의 내주면이 상기 철근의 단부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편체홀더의 중심을 향하여 슬라이딩되게 안내하는 슬라이딩안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편체홀더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을 통해 상기 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홀더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편체에는
상기 지지돌편이 삽입되는 돌편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은
상기 지지돌편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안내면과, 상기 지지돌편의 일면과 대향되는 상기 돌편삽입부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과 면접하는 제1슬라이딩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
As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ends of two reinforcing bars;
A pair of joint pipes whose inner ends are screwed with each other directly or with the join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compression latches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end.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mpression guide surface according to the screw fastening of the joint pipe, and the arrangement diameter according to the circular arrangement is reduc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ressed and fixed through the compression latch;
A piece hol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to arrange the pieces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And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flat body by screwing of the joint pipe and being provided on the flat body and the flat body hold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body is parallel to the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and slides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dy holder. It consists of; sliding guide means for guiding,
The single body holder is
A holder body having a disk shape, a support pip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der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ce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nstant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It consists of a support stone piece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at intervals,
In the above body
A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stone piece is inserted is formed,
The sliding guide means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and a first sliding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and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ortion facing one surface of the support stone piece A hand-operated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eve is configured as a first sliding surface for an interview with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sieves are arranged in a circle by the piece hol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지지관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편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수단은
상기 안착돌편의 일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안내면; 및
상기 안착돌편의 일면과 대향되는 상기 편체의 내측 단부면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의해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과 면접하는 제2슬라이딩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body
A seating stone piec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ip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The sliding guide means
A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one piece; And
A second inclined downwardly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on an inner end surface of the pie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ating stone piece so that the piece is arranged in a circle by the piece holder, and makes an interview with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A sliding surface; a manual reinforced coupler provided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 원형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돌편 또는 상기 안착돌편의 단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 또는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경사각도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철근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탈방지걸이이 절곡 형성되는 분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4,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an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or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at an end of the support stone piece or the seating stone piece so that the piece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body holder while the piece body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piece body holder.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slide compression typ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med extending into the road and bend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hook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at the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상기 편체홀더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편체가 상기 편체홀더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돌편삽입부의 타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와, 상기 제2슬라이딩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돌기와,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기가 걸림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분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tone piece insertion part so that the piece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piece body holder while the piece body is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assembled to the piece body holder,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protrudes downwardly. A manual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slide compression typ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wer protrus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compris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and engaging the lower protru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안내면과 상기 제2슬라이딩안내면과 상기 제1슬라이딩면과 상기 제2슬라이딩면은
서로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내경축소유도면의 경사각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압착형 편체가 구비된 수동식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liding guide surface, the second sliding guide surface, the first sliding surface,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are
A hand-operated reinforced coupler with a slide compression type pie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ngle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r inclination angle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diameter reduction guide surface.
KR1020200090864A 2020-07-22 2020-07-22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KR1022369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64A KR102236943B1 (en) 2020-07-22 2020-07-22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64A KR102236943B1 (en) 2020-07-22 2020-07-22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43B1 true KR102236943B1 (en) 2021-04-06

Family

ID=7547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64A KR102236943B1 (en) 2020-07-22 2020-07-22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74A (en)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Connector of steel reinforcing
KR20050112967A (en)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Manufacturing process of fragment for biting iron rod and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KR20100109829A (en) * 2009-04-01 2010-10-11 박영훈 Reinforcing rod coup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74A (en)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Connector of steel reinforcing
KR20050112967A (en)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Manufacturing process of fragment for biting iron rod and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KR20100109829A (en) * 2009-04-01 2010-10-11 박영훈 Reinforcing rod cou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383B2 (en) Self gauging insertion coupling coaxial connector
KR101813377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CN101855786B (en) Stirrup-type power util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734217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324815B1 (en) Key unit for Steel Connecting coupler
KR102069667B1 (en) Pressure type coupler with means for individually pressing the wedge
KR102236943B1 (en) Manual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CN100363576C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170059840A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2187018B1 (en)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059233B1 (en) Reinforcing rod jointer
KR20190033369A (en) Coupler for prestressing strand
KR102325248B1 (en) One touch rebar coupler with slide crimp
KR101595327B1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20190131676A (en)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using flat plate spring
KR20090105609A (en) One-Touch Type an Iron Rod Connection Coupler for Iron Rod Concrete Construction
KR102163540B1 (en) One-touch type steel easy coupler for biting iron rod
KR101920670B1 (en) Connection coupler for steel distribution poles
KR200286101Y1 (en)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KR102180951B1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KR20200119963A (en) Coupler for reinforcing bar
KR102438126B1 (en) One-touch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KR102220916B1 (en)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2209223B1 (en) One touch rebar coupler with locking device
CN1095043C (en) Connector for two drywall corner finish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