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12B1 -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12B1
KR102236912B1 KR1020190082452A KR20190082452A KR102236912B1 KR 102236912 B1 KR102236912 B1 KR 102236912B1 KR 1020190082452 A KR1020190082452 A KR 1020190082452A KR 20190082452 A KR20190082452 A KR 20190082452A KR 102236912 B1 KR102236912 B1 KR 10223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hell
adhesive
adhesive lay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615A (ko
Inventor
정성근
Original Assignee
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근 filed Critical 정성근
Priority to KR102019008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encing, e.g. means for indicating h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33Fake or disarmed practise weapons, i.e. for mimicking combat situations in martial art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코등이 본체, 코등이 본체의 관통홀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이 형성된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의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의 외주면까지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제2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2 접착층, 코등이 본체에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코등이 본체의 일면을 감싸는 제1 외피, 코등이 본체에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코등이 본체의 타면을 감싸는 제2 외피 및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죽도용 코등이를 포함한다.
또한,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은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코등이 본체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각각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코등이 본체의 중심과 제1 외피 및 제2 외피의 중심이 일치되게 접촉시 남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봉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외측 가장자리를 남기고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 봉착홀을 이용하여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봉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외피와 제2 외피에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SWORD GUARD FOR BAMBOO SWO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등이에 다양한 무늬를 가질 수 있는 가죽을 씌우는 것을 통해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코등이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도는 검을 이용하여 상대방을 가격함으로써 승부를 겨루는 투기 스포츠이다. 가격을 할 수 있는 부위는 머리, 목, 손목, 허리 등으로 정해져 있으며, 경기자는 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검도는 신체를 단련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수양과 다이어트, 손발의 지압과 기합 및 타격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검도에 사용되는 검은 검법의 훈련도가 일정 수준 이상 만족된 숙련자들은 진검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죽도이다.
죽도는 대부분 대나무를 소재로 제작되지만, 대나무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카본 소재로도 제작된다. 죽도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칼자루부, 4조각의 대와 4조각의 대를 결합시켜주는 다수의 피혁과 피혁을 이어 죽도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등줄로 이루어지고 상대방의 죽도나 신체를 타격하는 부분인 칼날부, 코등이로 구성된다.
코등이는 중심부에 형성된 끼움홀을 통해 칼자루부의 선단에서 칼날부 측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칼자루를 쥐고 있는 손이 칼날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죽도용 코등이는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카본을 재질로 사용하여 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해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죽도용 코등이는 충격으로부터 부서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만이 중요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외관상 밋밋한 죽도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죽도 간의 외관상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심미성까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9178호, 2009.09.22.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격 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다양한 무늬와 형상을 통해 한층 미관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는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코등이 본체, 코등이 본체의 관통홀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이 형성된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의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의 외주면까지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제2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2 접착층, 코등이 본체에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코등이 본체의 일면을 감싸는 제1 외피, 코등이 본체에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코등이 본체의 타면을 감싸는 제2 외피 및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죽도용 코등이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은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코등이 본체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각각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코등이 본체의 중심과 제1 외피 및 제2 외피의 중심이 일치되게 접촉시 남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봉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외측 가장자리를 남기고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 봉착홀을 이용하여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봉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외피와 제2 외피에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은, 코등이에 가죽을 씌우는 것을 통해 코등이에 가죽의 쿠션감이 더해져 타격 시 전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양한 무늬를 갖는 가죽과 가죽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이음새의 문양을 통해 코등이의 미관을 한층 향상시켜 밋밋한 죽도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죽도간 외관상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착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100)는 코등이 본체(110)와 제1 외피(120), 제2 외피(130), 제1 접착층(140), 제2 접착층(150),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코등이 본체(110)는 원주 내측에 제1 관통홀(111)을 갖는다.
제1 관통홀(111)의 직경은 31 내지 37mm일 수 있다.
제1 관통홀(111)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끼워지지 못할 수 있고,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코등이 본체(110)는 중심부에 제1 관통홀(111)을 갖는 원판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코등이 본체(110)의 소재는 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소재이면 되고, 폴리우레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피(120)는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 외피(130)는 코등이 본체(110)의 타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는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 관통홀(121), 제3 관통홀(131)이 형성되며, 제2 관통홀(121)과 제3 관통홀(131)의 직경은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의 직경과 일치되거나 큰 것일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는 원판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경은 코등이 본체(110)의 외경보다 2 내지 4mm 긴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는 원판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고,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경은 코등이 본체(110)의 외경보다 3mm 긴 것일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경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를 완전히 감싸지 못할 수 있다. 외경이 너무 긴 경우에는 절단 후 발생하는 자투리 부분이 많아 마감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거나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불필요하게 겹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을 감싸고 남은 외측 가장자리 내에는 복수개의 봉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을 감싸고 남은 외측 가장자리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복수개의 봉착홀은 제1 외피(120) 및 제2 외피(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소재는 가죽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는 일면에 악어가죽 무늬나 타조가죽 무늬등 다양한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는 제1 접착층(140)과 제2 접착층(150)에 의해 코등이 본체(110)에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즉, 코등이 본체(110)와 제1 외피(120) 사이 또는 코등이 본체(110)와 제2 외피(130) 사이에는 제1 접착층(140)과 제2 접착층(15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층(140)은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제1 접착체가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제는 접착제의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초 내지 수분으로 극히 짧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순간접착제일 수 있다.
제1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내측에 도포하는 것은 제1 접착제로 인해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내측 부분이 경화되어 죽도용 코등이(100) 사용 시 제1 외피(120)나 제2 외피(130)의 내측 부분이 마찰열이나 땀에 의해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주름이 져서 결과적으로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코등이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150)은 제1 접착층(140)이 형성된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의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제2 접착제가 코등이 본체(110)에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제1 외피(120)나 제2 외피(130)를 손상이나 경화시키지 않고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으나, 용제형 접착제일 수 있다.
용제형 접착제는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에 녹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제1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전체에 도포할 경우 제1 접착제에 의해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일면과 타면 전체가 경화되어 딱딱하게 됨으로써,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쿠션성으로 인한 충격 완화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층(140)은 코등이 본체(110)의 내주에서 외주 사이의 기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1/3 지점)까지 제1 접착제가 코등이 본체(110)에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됨에 따라 형성되고, 제2 접착층(150)은 제1 접착층(140)이 형성된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의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제2 접착제가 코등이 본체(110)에 일면 및 타면에 도포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층(140)이 형성된 면적이 제2 접착층(150)이 형성된 면적보다 좁은 것일 수 있다.
연결부(160)는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160)는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측 가장자리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봉착홀을 수작업 바느질 또는 기계 바느질로 다양한 형태의 실밥이 생성되도록 꿰매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60)는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측 가장자리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봉착홀을 수작업 바느질 또는 기계 바느질로 야구공의 실밥 형태인 V자 형태의 실밥이 생성되도록 꿰매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60)는 다양한 색상과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죽도용 코등이(100)의 미관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죽도용 코등이(100)는 둘레 내측에 제1 관통홀(111),제2 관통홀(121),제3 관통홀(131)이 일치되어 이루어진 끼움홀(101)을 갖는 원반 형태일 수 있다.
죽도용 코등이(100)의 외경은 75 내지 90mm일 수 있고, 내경은 31 내지 37mm일 수 있다.
죽도용 코등이(100)의 외경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죽도용 코등이(100)가 손을 충분히 덮지 못해 상대방의 죽도로부터 손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할 수 있고, 죽도용 코등이(100)의 외경이 90mm보다 큰 경우에는 국제 규격에서 벗어나 검도 규칙을 위반할 수 있다.
죽도용 코등이(100)의 내경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죽도용 코등이(10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끼워지지 못할 수 있고, 내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죽도용 코등이(10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100)는 외경 83mm의 원반 형태이고, 내경은 34mm이며, 중심부에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21), 제3 관통홀(131)이 일치되어 형성된 끼움홀(101)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100)를 제조하기 위한 시계열적인 수행단계들을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도용 코등이(100)의 구성요소는 도면부호를 일치시켜 기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은 재료 준비 단계(S100), 타공 단계(S200), 표면 가공 단계(S300), 접착제 도포 단계(S400), 접착 단계(S500), 이음 단계(S600), 절단 단계(S700), 마감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죽도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111)을 갖는 코등이 본체(110)와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준비한다(S100).
코등이 본체의 제1 관통홀(111)의 직경은 31 내지 37mm일 수 있다.
제1 관통홀(111)의 직경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끼워지지 못할 수 있고,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가 죽도의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사이에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코등이 본체(110)는 중심부에 제1 관통홀(111)을 갖는 원판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코등이 본체(110)의 소재는 타격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소재이면 되고, 폴리우레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피(110)와 제2 외피(120)는 원단을 코등이 본체(110)의 외경보다 2 내지 4mm 긴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재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외피(110)와 제2 외피(120)는 원단을 코등이 본체(110)의 외경보다 3mm 긴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재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경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를 완전히 감싸지 못할 수 있다. 외경이 너무 긴 경우에는 절단 후 발생하는 자투리 부분이 많아 마감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거나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불필요하게 겹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원단의 소재는 가죽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측 가장자리를 타공하여 복수개의 봉착홀을 생성한다(S200).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각각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코등이 본체의 중심과 제1 외피 및 제2 외피의 중심이 일치되게 접촉시 남는 외측 부분일 수 있다.
타공 시 봉착홀은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외측 가장자리에 제1 외피(120) 및 제2 외피(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 시 복수개의 봉착홀이 3 내지 4mm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타공하는 것일 수 있다.
타공 시 봉착홀의 크기는 봉착홀이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코등이 본체(110)의 외측 가장자리 내에 존재하도록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을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평평하게 가공한다(S300).
표면 가공 단계(S300)은 연마지를 이용하여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을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연마하는 단계일 수 있다.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을 가공하여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됨으로써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될 수 있고,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깨끗하게 부착될 수 있다.
표면 가공 단계(S300)는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 가공시 발생한 분진을 코등이 본체(1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부착하기 위해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S400).
접착제를 도포할 때는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의 외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 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제1 접착체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하고, 제1 접착제가 도포된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제2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등이 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1 접착제의 도포 면적이 제2 접착제의 도포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도록 기설정된 길이 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도포하고, 제1 접착제가 도포된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제2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등이 본체(110)의 내주에서 외주 사이의 기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1/3 지점)까지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접착제가 도포된 지점 또는 제1 접착제가 도포된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제2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제는 접착제의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초 내지 수분으로 극히 짧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순간접착제일 수 있다.
제1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내측에 도포하는 것은 제1 접착제로 인해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내측 부분이 경화되어 죽도용 코등이(100) 사용 시 제1 외피(120)나 제2 외피(130)의 내측 부분이 마찰열이나 땀에 의해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주름이 져서 결과적으로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코등이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제1 외피(120)나 제2 외피(130)를 손상이나 경화시키지 않고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으나, 용제형 접착제일 수 있다.
제2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제1 접착제를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 전체에 도포할 경우 제1 접착제에 의해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일면과 타면 전체가 경화되어 딱딱하게 됨으로써,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쿠션성으로 인한 충격 완화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
용제형 접착제는 고분자 물질을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유기 용제에 녹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은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스티렌에칠렌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부틸고무, 폴리설파이드, 폴리우레탄, 아크릴수지, 초산비닐수지, 합성고무 그라프트, 니트로셀룰로스, PVC수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기 용제는 톨루엔, 헥산, 사이크로헥사논,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부틸아세테이트, 부틸알코올, 클로로포름, 크레졸,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에틸렌글리콘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테일에테르,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이소부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자일렌, 및 이소포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등이 본체(110)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접착시킨 후 상온 또는 고온에서 완전히 건조한다(S500).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일면에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의 타면을 접착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각각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접착 시에는 제1 외피(120) 및 제2 외피(130)의 중심과 코등이 본체(1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를 각각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접착 시에는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가 코등이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을 감싸고 남은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연결부(160)를 형성한다(S600).
이음 단계(S600)는 외측 가장자리를 타공하는 단계(S200)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봉착홀을 수작업 바느질 또는 기계 바느질로 꿰매어 연결부(160)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음 단계(S600)는 외측 가장자리를 타공하는 단계(S200)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봉착홀을 야구공을 꿰매는 기법인 야구공 스티치 기법으로 꿰매어 연결부(160)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꿰매는 방식에 따라 외부로 드러난 실이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어 죽도용 코등이(100)의 미관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에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각각 제2 관통홀(121)과 제3 관통홀(131)을 형성한다(S700).
코등이 본체(110)를 감싸고 있는 제1 외피(120)와 제2 외피(130)에 코등이 본체(110)의 제1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죽도용 코등이(100)를 칼자루부(10)의 선단으로부터 칼날부(20)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접착층(140)의 접착이 미흡한 부분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고, 죽도용 코등이(100)의 내주면을 돌출된 부분없이 평평하도록 가공하여 마감한다(S800).
죽도용 코등이(100)의 내주면 가공은 연마지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단계일 수 있다.
죽도용 코등이(100)의 내주면을 가공해 돌출된 부분을 평평하게 만듦으로써, 죽도용 코등이(100)를 칼자루부(10)의 선단에서 칼날부(20) 방향으로 끼울 때 돌출된 부분에 의해 칼자루부(10)와 칼날부(20)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칼자루부
20: 칼날부
100: 죽도용 코등이
101: 끼움홀
110: 코등이 본체
111: 제1 관통홀
120: 제1 외피
121: 제2 관통홀
130: 제2 외피
131: 제3 관통홀
140: 제1 접착층
150: 제2 접착층
160: 연결부
S100: 재료 준비 단계
S200: 타공 단계
S300: 표면 가공 단계
S400: 접착제 도포 단계
S500: 접착 단계
S600: 이음 단계
S700: 절단 단계
S800: 마감 단계

Claims (9)

  1.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내경이 31 내지 37mm 이고 외경이 75 내지 90mm인 코등이 본체;
    상기 코등이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에 1/3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순간접착제인 제1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이 형성된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의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코등이 본체의 외주면까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고분자 물질을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제조되는 용제형 접착제인 제2 접착제를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제2 접착층;
    직경이 상기 코등이 본체의 외경보다 2 내지 4mm 길고,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등이 본체에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을 감싸고,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을 감싸고 남은 외측 가장자리 내에 복수개의 봉착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3 내지 4mm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1 외피;
    직경이 상기 코등이 본체의 외경보다 2 내지 4mm 길고, 일면에 무늬가 형성된 가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등이 본체에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을 통해 접착되어 상기 코등이 본체의 타면을 감싸고, 상기 코등이 본체의 타면을 감싸고 남은 외측 가장자리 내에 복수개의 봉착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3 내지 4mm의 간격으로 형성된 제2 외피; 및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
    인 죽도용 코등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죽도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내경이 31 내지 37mm이고 외경이 75 내지 90mm인 코등이 본체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외경보다 2 내지 4mm 긴 직경을 가지고 일면에 무늬가 형성된 가죽으로 이루어지는 제1 외피와 제2 외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를 각각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상기 코등이 본체의 중심과 상기 제1 외피 및 상기 제2 외피의 중심이 일치되게 접촉시 남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3 내지 4mm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봉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등이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에 1/3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까지,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순간접착제인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접착제가 도포된 지점 또는 경계로부터 상기 코등이 본체의 외주면까지 고분자 물질을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제조되는 용제형 접착제인 제2 접착제를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 및 타면에 도포 하는 단계;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를 외측 가장자리를 남기고 상기 코등이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봉착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의 외측 가장자리를 봉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외피와 상기 제2 외피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분에 홀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봉착홀을 수작업 바느질 또는 기계 바느질로 꿰매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도용 코등이의 제조 방법.



KR1020190082452A 2019-07-09 2019-07-09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52A KR102236912B1 (ko) 2019-07-09 2019-07-09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52A KR102236912B1 (ko) 2019-07-09 2019-07-09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15A KR20210006615A (ko) 2021-01-19
KR102236912B1 true KR102236912B1 (ko) 2021-04-05

Family

ID=7423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452A KR102236912B1 (ko) 2019-07-09 2019-07-09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593A (ja) * 2005-08-05 2007-03-15 Hasegawa Kk 竹刀用又は木刀用の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78A (ko) 2008-03-17 2009-09-22 송유미 죽도용 코등이 커버
KR102000154B1 (ko) * 2018-09-12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593A (ja) * 2005-08-05 2007-03-15 Hasegawa Kk 竹刀用又は木刀用の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15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8157A (en) Football
US8033936B2 (en) Sports ball
US7841025B1 (en) Jaw pad cover
US20090044306A1 (en) Direct Molded Accents For Protective Gloves
US20150164174A1 (en) Helmet with external protective scales
EP1680194B1 (en) Panel of a ball for a ball game, a bal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335770A1 (en) Sportsball with sculptural ball surface
US7836839B2 (en) Sewn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006573A1 (en) Protective hand cov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80111024A1 (en) Method of Producing Sportsball with Sculptural Ball Surface
US20120329587A1 (en) Sports ball
US20230285837A1 (en) Athletic gear with a printed cover
US20190351312A1 (en) Leg pads for a hockey goalkeeper
JP6170278B2 (ja) 補強インサート付グローブ
US20150164173A1 (en) Helmet with external scales
US8475304B2 (en) Stitchingless baseball, softball or the lik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183263A (en) Pass-football
KR102236912B1 (ko) 죽도용 코등이 및 그 제조 방법
WO2006108238A1 (en) Training aid
WO2020044101A1 (en) Sport glove
CA2847132C (en) Leg pads for a hockey goalkeeper
US11583015B1 (en) Exposed edge stitched ballglove
US9839832B2 (en) Ball glove
KR102625351B1 (ko) 방수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74383Y1 (ko) 당구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