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57B1 -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57B1
KR102236757B1 KR1020200115934A KR20200115934A KR102236757B1 KR 102236757 B1 KR102236757 B1 KR 102236757B1 KR 1020200115934 A KR1020200115934 A KR 1020200115934A KR 20200115934 A KR20200115934 A KR 20200115934A KR 102236757 B1 KR102236757 B1 KR 10223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user
divided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우
심수진
이범찬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발렌타인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발렌타인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발렌타인드림
Priority to KR102020011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 및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VIDEO PROVIDING METHOD, SERVER AND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도 영상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콘텐츠 보안 방법이 적용된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보편화되고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 강의의 대체재로써 온라인 동영상 강의가 떠오르고 있다. 또한, 최근 비대면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온라인을 통한 영상 콘텐츠 제공 사업은 점점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영상 콘텐츠 제공 사업에 있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영상 콘텐츠의 암호화는 필수적이다. 이때 영상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에 더하여 추가적인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 콘텐츠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영상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배포하는 사례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보안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불법적인 영상 콘텐츠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방안이 적용된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상기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바이트 배열을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정보 중 두 가지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두 가지 정보를 각각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두 가지 바이트 배열 중 하나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앞 단에 추가하고, 나머지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뒷 단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재생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 명령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일시 및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와 동일한 수의 저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저장 위치 정보를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설정된 영상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저장 위치 정보와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매칭된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고,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상기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상기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더미 값을 추가하고,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서버와 통신하여 영상 데이터 및 저장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저장 위치 정보와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며, 상기 매칭된 저장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의 위치에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도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사용자마다 서로 다르게 암호화되고 분할 저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 저장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형(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또는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갖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영상 제공을 위한 서버(100)와 서버(100)에서 제공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다양한 영상 데이터(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는 스트리밍, 다운로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불법 복제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DRM 등을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영상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서버(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복호화한 후 재생할 수 있다.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개수로 분할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콘텐츠를 가로채려는 시도로부터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다.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서버(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플래쉬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영상 데이터, 영상 저장 위치 정보, 영상 삭제 제어 명령 등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Zigbee 통신, WiFi, 적외선(InfraRed, IR)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HDMI, LVDS, LA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버(100)의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서버(1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범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로 제작될 수도 있고, 암호화를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암호화 파라미터는 Salt 및 iv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Salt는 단방향 해시 함수에서 다이제스트를 생성할 때 추가되는 바이트 단위의 임의의 문자열을 말한다. 예를 들어, Salt는 해시 함수인 SHA-256을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16 byte 크기를 갖는 숫자일 수 있다. iv(initial vector)란 동일한 평문을 동일한 키에서 암호화하더라도 매번 다른 결과를 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iv는 AEC-CBC 암호화 알고리즘에서 CBC 모드의 첫째 블록에 XOR 연산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16 byte 크기의 숫자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base64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스트링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보안성을 더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한 차례 더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예를 들어, 연월일의 8자리 숫자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와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렇게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할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암호화 파라미터인 salt 및 iv를 각각 base64 방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예를 들어, 다운로드 날짜)를 연과 월일로 각각 구분한 후 byte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각각 변환한 byte 배열을 base64 방식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30)는 인코딩된 연 값에 인코딩된 salt 값을 붙이고, 인코딩된 월일 값에 인코딩된 iv 값을 붙여서, 제2 암호화 파라미터인 변형된 salt 및 iv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보안성이 향상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 완료된 영상에 대해서도 주기적으로 암호화 파라미터를 재생성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 완료된(다운로드된) 영상의 재생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거나, 전송 완료된 일시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도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횟수 초과나 기간 도과가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 명령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정 이용 조건이 만료된 영상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재전송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재전송 요청이 들어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프로세서(130)는 새로운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암호화를 다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주기적으로 암호화 파라미터를 갱신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더미 값을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더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아이디나 닉네임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텍스트를 바이트 배열로 생성하여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더미 값을 추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프로세서(130)는 텍스트 정보뿐 아니라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더미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를 활용하여 더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등록한 이미지가 없다면 디폴트 이미지)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변환된 바이트 배열을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삽입하여 더미 값을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 전체를 이용할 수도 있고, 난수 값에 기초하여 프로필 이미지의 일부 영역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더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용자 정보 중 두 가지 정보를 임의로 선택하고, 선택된 두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두 가지 더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임의로 선택된 두 가지 정보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각각 생성된 두 가지 더미 값은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프로필 이미지와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더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프로필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더미 값은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앞 단에 추가하고, 사용자 아이디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더미 값은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뒷 단에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영상 데이터가 분할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추출을 통한 콘텐츠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데이터를 분할한 후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영상 데이터가 분할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저장 위치 정보를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저장 위치 정보를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면 사용자마다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분할 저장하더라도, 저장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다른 위치에 영상 데이터가 분할 저장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일시, 영상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와 동일한 수의 저장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저장 위치 정보를 더미 값이 추가된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분할 저장 동작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메모리(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10)에는 서버(10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가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저장 위치에 분할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플래쉬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1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 횟수나 전송된 후 경과된 기간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블루투스, Zigbee 통신, WiFi, 적외선(InfraRed, IR)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HDMI, LVDS, LA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 횟수나 전송된 후 경과된 기간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서버(100)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저장 위치 정보와 앞서 분할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저장 위치 정보와 분할 영상 데이터의 개수는 동일하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매칭된 저장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메모리(210)의 위치에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 위치 정보는 메모리(210) 상의 특정 위치 대신에 분할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각각의 폴더를 지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파일 분할 저장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예에서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일자는 1999년 8월 18일이고,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다운로드 날짜)는 2020년 8월 1일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송된 영상 데이터의 파일 명은 test.mp4이며, 8개로 이를 분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8개로 분할하고, 분할 순번과 아이디 생성 일자,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자를 활용하여 분할된 각각의 파일 명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파일 중 첫 번째 파일은 '분할 전 파일 명' + '순번' + '아이디 생성 일자의 첫 두 자리'를 base64로 인코딩한 것일 수 있다. 즉, 'test.mp4119'를 base64로 인코딩한 것이 첫 번째 파일의 파일 명으로 결정된다. 분할된 파일 중 두 번째 파일은 ''분할 전 파일 명' + '순번' +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자의 첫 두 자리'를 base64로 인코딩한 것일 수 있다. 즉, 'test.mp4220'을 base64로 인코딩한 것이 두 번째 파일의 파일 명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파일 명뿐 아니라 분할된 영상 데이터 각각이 저장될 저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영상 수신 및 재생 등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폴더가 'C:\video'라고 가정한다. 첫 번째 파일인 'test.mp4119(base64 인코딩)'은 아이디 생성 일자의 첫 두 자리인 19를 활용해 저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두 번째 파일인 'test.mp4220(base64 인코딩)'은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자의 첫 두 자리인 20을 활용해 저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두 파일의 저장 위치는 각각 'C:\video\19\test.mp4119(base64 인코딩)'과 'C:\video\20\test.mp4220(base64 인코딩)'이다. 이와 같이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파일 명을 인코딩 함으로써 같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분할 파일임을 쉽게 알 수 없도록 하고, 저장 폴더 위치도 상이하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영상 콘텐츠가 유출(또는 추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 각각의 정보를 암호화에 활용함으로써 알고리즘만을 활용한 암호화 기법에 비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DRM 설치와 같은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충분한 정도의 보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S510-Y), 서버(100)는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할 수 있다(S520). 제1 암호화 파라미터는 Salt 및 iv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base64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S530).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는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한 차례 더 변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S540). 구체적인 제2 암호화 파라미터 생성 예시는 앞서 서버(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S550). 이어서 서버(100)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더미 값을 추가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고, 변환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추출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서버(100)는 사용자의 아이디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고, 변환된 바이트 배열을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100)는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 아이디, 닉네임, 아이디 생성 일자 등의 복수의 사용자 정보 중 두 가지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각각 바이트 배열로 변환한 후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더미 값이 추가된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70).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분할 저장될 때 활용될 저장 위치 정보, 분할 파일 명 등은 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일시,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 분할 파일의 순번 등을 활용하여 분할될 파일의 명칭이나 각각 분할된 파일이 저장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송 받은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영상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하고, 전송된 위치 정보와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된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로직, 논리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서버
110: 메모리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장치
1000: 영상 제공 시스템

Claims (9)

  1.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상기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 저장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재생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 명령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하는 영상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값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를 제외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정보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 및 상기 선택된 정보가 변환된 바이트 배열 중 하나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앞 단에 추가하고, 나머지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뒷 단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생성 일시 및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일시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와 동일한 수의 분할 저장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분할 저장 위치 정보를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기설정된 영상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분할 저장 위치 정보와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매칭된 분할 저장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8.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난수를 이용하여 제1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인코딩하고, 상기 전송 요청을 수신한 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상기 인코딩된 제1 암호화 파라미터와 상기 인코딩된 일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요청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더미 값을 추가하고, 상기 더미 값이 추가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 저장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횟수를 확인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확인된 재생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 명령 및 영상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프로필 이미지를 바이트 배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바이트 배열의 일부를 상기 암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일 영역에 추가하는 서버.
  9.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서버와 통신하여 영상 데이터 및 저장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영상 데이터 분할 저장 개수로 분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분할 저장 위치 정보와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며, 상기 매칭된 분할 저장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의 위치에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재생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영상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200115934A 2020-09-10 2020-09-10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23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34A KR102236757B1 (ko) 2020-09-10 2020-09-10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34A KR102236757B1 (ko) 2020-09-10 2020-09-10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57B1 true KR102236757B1 (ko) 2021-04-06

Family

ID=7547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34A KR102236757B1 (ko) 2020-09-10 2020-09-10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7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618A (ko) * 2015-10-23 2017-05-08 김정훈 데이터 암호화를 통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2830A (ko) * 2015-07-24 2017-12-04 구글 엘엘씨 서버 로그들로부터의 식별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매치 식별자들 생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830A (ko) * 2015-07-24 2017-12-04 구글 엘엘씨 서버 로그들로부터의 식별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매치 식별자들 생성
KR20170047618A (ko) * 2015-10-23 2017-05-08 김정훈 데이터 암호화를 통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754B2 (en) Authenticator device facilitating file security
WO2016033365A1 (en) Distributing protected content
JP2020508619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記憶媒体ならびにサーバ
CN103295046A (zh) 生成和使用安全二维码的方法和设备
CN102334124A (zh) 文件的保护方法及装置
CN101771680B (zh) 一种向智能卡写入数据的方法、系统以及远程写卡终端
CN112135086B (zh) 一种会议录制加密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US816613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ent-side encoding of user-generated content
CN101651714A (zh) 下载方法及相关系统和设备
KR101625785B1 (ko) 이동 단말 정보 보안 관리 방법, 장치 및 이동 단말
CN112788012A (zh) 日志文件加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108245B (zh) 一种智能电视支付密钥系统以及基于智能电视的支付方法
CN101916350B (zh) 终端阅读内容的保护方法及系统
CA2891610C (en) Agent for providing security cloud service and security token device for security cloud service
CN109005196A (zh) 数据传输方法、数据解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592927A (zh) 一种通过license绑定产品服务器及业务功能的方法
JP4684714B2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120576B (zh) 数据分享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236757B1 (ko) 영상 제공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
JP7449341B2 (ja) 暗号化式マルチメディア情報管理方法
CN116366289A (zh) 无人机遥感数据的安全监管方法及装置
CN103838986A (zh) 一种多媒体文件加密方法及装置
KR102062377B1 (ko) 전자서명을 은닉서명으로 변환하는 암호화 방법
CN106921644B (zh) 客户端数据文件的验证方法及装置
CN113259438B (zh) 模型文件的发送方法和装置及模型文件的接收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