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716B1 -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716B1
KR102235716B1 KR1020160170477A KR20160170477A KR102235716B1 KR 102235716 B1 KR102235716 B1 KR 102235716B1 KR 1020160170477 A KR1020160170477 A KR 1020160170477A KR 20160170477 A KR20160170477 A KR 20160170477A KR 102235716 B1 KR102235716 B1 KR 10223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agnosis
healing
conten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611A (ko
Inventor
장민혁
김치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7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컨텐츠 제공부; 가상현실의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행위정보 측정부; 측정된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학습장애 진단부; 및 학습장애 진단부에 의해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치유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LEARNING DISORDER DIAGNOSING/CURE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학습장애를 진단함으로써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에 구애받지 않으며,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의 주 대상인 아동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하고, 전문병원이나 상담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조기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습장애라 함은 신경학적 장애에 기인하여 개인이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며 창출하는 데 장애가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학습장애는 문자 및 기호의 인식장애, 문법의 이해와 적용 또는 문장 구조의 분석능력 결여, 단어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읽기, 쓰기, 셈하기에 장애를 보이게 되며, 구두의 언어나 글자로 쓰는 언어 능력, 조정 능력, 자기 조절(self-control), 주의 집중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주의 집중력의 결핍과 자기 통제 능력의 결여로 발생하는 장애를 주의력 결핍 장애라고도 하는데, 아동에게 있어서의 주의력 결핍 장애는 종종 학습장애로 이어지므로, 이하에서는 학습장애는 주의력 결핍 장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장애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취급되며, 그에 대한 진단 및 치료는 전문 병원이나 상담기관의 방문을 통해 전문가와 1:1 대면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으로 진단 또는 치료를 회피하거나, 시간 또는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방법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 대상인 아동의 관심을 제대로 끌지 못하여 그 실효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8145호 (공개일자: 2002. 07. 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학습장애를 진단함으로써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에 구애받지 않으며,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의 주 대상인 아동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하고, 전문병원이나 상담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조기 치료를 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컨텐츠 제공부; 진단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행위정보 측정부; 측정된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학습장애 진단부; 및 학습장애 진단부에 의해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치유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는,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생체신호 분석부에 의해 판단되는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진단 컨텐츠 제공부에 재 진행 신호를 전송하는 재진행 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행위정보 측정부는, 시선 및 안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안구측정센서,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하는 음성측정센서,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측정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치유방법은,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장애 진단/치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가상현실의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사용자의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학습장애 진단/치유방법은, 설정된 제2시간 동안 판단되는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다시 제공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인에게 마치 게임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나 편견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하기 때문에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의 주 대상인 아동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스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문병원이나 상담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학습장애에 대한 조기 치료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진단 컨텐츠 제공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행위정보 측정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상현실 진단 컨텐츠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 행위정보 측정부(120), 학습장애 진단부(130), 치유 컨텐츠 제공부(140), 생체신호 분석부(150) 및 재진행 지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는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MD(Head Mounted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3차원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함과 동시에 귀로 입체감이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의 형태는 예를 나타낸 것일 뿐이며, 안경의 형태, 3차원 디스플레이의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한다. 이때,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joystick)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진단 컨텐츠에 따라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움직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안구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및 안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음성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패치, 밴드, 벨트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움직임 측정센서를 구비하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거나, 진단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땀, 신체의 온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학습장애 진단부(130)는 행위정보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는 화면의 중앙으로 움직임의 동작이 크며 눈에 띄는 색상을 가진 중심 대상체(10)가 움직이고 있고, 화면의 우측 하단에 움직임의 동작이 작으며 비교적 눈에 띄는 색상을 가진 동물 대상체(20)가 움직이고 있으며, 화면의 좌측 상단에 움직임의 동작이 가장 작으며 눈에 가장 띄지 않는 색상의 식물 대상체(30)가 움직이고 있는 영상이라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에 대하여, 정상인의 시선은 중심 대상체(10)에 머무르며, 동물 대상체(20) 또는 식물 대상체(30)로 시선이 움직이더라도 해당 대상체에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은 비교적 짧다.
이에 비하여, 학습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시선이 중심 대상체(10)에 머무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정 대상체(10, 20 또는 30)에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도 안정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진단 컨텐츠에 대하여 반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또는 안구의 움직임, 움직임의 방향, 특정 대상체를 향해 시선의 움직임이 정지된 시간 등을 측정하며, 학습장애 진단부(130)는 행위정보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시선 또는 안구의 움직임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현신의 진단 컨텐츠에서 영상의 한쪽 구석에서 갑자기 움직이는 대상체가 있거나, 갑자기 발생된 음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또한 각각 상이하다. 이 경우, 행위정보 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신체의 생체반응, 사용자의 음성의 변화 등을 측정하며, 학습장애 진단부(130)는 행위정보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음성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고 설명한 진단 컨텐츠 및 그에 기초한 학습장애 진단의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진단 컨텐츠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진단 컨텐츠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유 컨텐츠 제공부(140)는 학습장애 진단부(130)에 의해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치유 컨텐츠 제공부(140)는 사용자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집중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에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치유 컨텐츠의 종류는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가장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사용자의 추억 영상물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치유 컨텐츠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 장치(100)는 바이오 피드백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장애로 판단된 사용자의 심신을 치료한다. 여기서, 바이오 피드백은 신경생리학적으로 측정된 신호들을 이용한 심신수련 치료방법으로서,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패치, 밴드, 벨트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의 변화, 피부전류의 변화, 피부저항, 땀의 발생 여부 등과 같은 생리적 신호(바이오(Bio) 신호라고도 한다)를 측정하며, 측정되는 생리적 신호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시청각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변환된 시청각적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며, 사용자의 마음이 안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변환된 시청각적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장애의 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몸을 통해서만 느낄 수 있었던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시청각적으로 제공되는 생리적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의 근육의 이완상태, 호흡 수련상태, 피부온도 측정을 통한 순환장애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면서 치유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의 변화, 피부전류의 변화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변화를 분석하는 기술은 공지된 심리분석 기술을 이용하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제1시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분석부(150)는 1시간 간격으로 10분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24시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재진행 지시부(160)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생체신호 분석부(150)에 의해 판단되는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에 재 진행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분석부(150)가 1시간 간격으로 10분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였을 때에 5시간 동안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계속해서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재진행 지시부(16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다시 진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에 재 진행 신호를 전송한다. 그 이유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학습장애 치유를 지속하는 경우에 대체적으로 학습장애가 치유될 것이지만, 만일 제2시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한 단계 높은 학습장애의 진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는 복수의 단계로 분류된 진단 컨텐츠를 구비하며, 재진행 지시부(160)로부터 수신한 재 진행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일 현재 제공된 진단 컨텐츠가 최상위의 진단 컨텐츠인 경우, 진단 컨텐츠 제공부(110)는 재진행 지시부(160)로부터 수신한 재 진행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전문가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방법은 도 1에 나타낸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한다(S110).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HMD의 형태로 사용자의 눈으로 3차원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함과 동시에 귀로 입체감이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는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한다(S120).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조이스틱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진단 컨텐츠에 따라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움직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안구측정센서를 통해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및 안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된 음성측정센서를 통해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패치, 밴드, 벨트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움직임 측정센서를 통해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거나, 진단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땀, 신체의 온도 등을 측정할 수도 있다.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측정된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한다(S130).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진단 컨텐츠에 대하여 반응하는 사용자의 시선 또는 안구의 움직임, 움직임의 방향, 특정 대상체를 향해 시선의 움직임이 정지된 시간 등을 측정하며, 측정된 시선 또는 안구의 움직임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신체의 생체반응, 사용자의 음성의 변화 등을 측정하며,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의 움직임, 음성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도 있다.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학습장애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면(S140),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한다(S150).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피부저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한다(S160).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시청각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165). 이 경우,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변환된 시청각적 신호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청각적 신호를 참조하여 학습장애의 치유 활동을 지속하도록 돕는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시청각적 신호를 기준신호인 정상인에 대한 시청각적 신호와 비교하며, 기준신호에 대해 측정된 생체신호가 어느 정도의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한다(S170).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기준신호와 사용자에 대한 시청각적 신호의 차이를 수치, 그래프 등으로 표현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학습장애의 치유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경생리학적으로 측정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학습장애의 치유 정도를 판단하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학습장애의 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치유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바이오 피드백 방법이라고 명명한다.
이때,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패치, 밴드, 벨트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의 변화, 피부전류의 변화, 땀의 발생 여부 등을 측정하며,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마음이 안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제1시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1시간 간격으로 10분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24시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설정된 제2시간 동안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재 진행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진단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지시한다(S180). 예를 들어,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가 1시간 간격으로 10분동안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였을 때에 5시간 동안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계속해서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다시 진단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학습장애 진단 및 치유장치(100)는 복수의 단계로 분류된 진단 컨텐츠 중에서 재 진행 신호에 따라 한 단계 위의 진단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00;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110: 진단 컨텐츠 제공부
120: 행위정보 측정부 130: 학습장애 진단부
140: 치유 컨텐츠 제공부 150: 생체신호 분석부
160: 재진행 지시부

Claims (6)

  1.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진단 컨텐츠 제공부;
    상기 진단 컨텐츠에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행위정보 측정부;
    측정된 상기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상기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학습장애 진단부; 및
    상기 학습장애 진단부에 의해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치유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컨텐츠 제공부는 HMD(Head Mounted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크기, 동작 및 색상을 가진 복수의 대상체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움직이는 영상과 함께 입체감이 있는 음향이 포함된 상기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행위정보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진단 컨텐츠에 따라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움직임정보를 측정하는 조이스틱;
    상기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및 안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안구측정센서; 및
    상기 HMD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하는 음성측정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하는 생체신호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상기 생체신호 분석부에 의해 판단되는 학습장애 치유 정도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진단 컨텐츠 제공부에 재 진행 신호를 전송하는 재진행 지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4. 삭제
  5.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장애 진단/치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단 컨텐츠에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행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상기 행위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학습장애가 진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가상현실의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치유 컨텐츠에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 변화, 피부온도 변화, 피부전류 변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학습장애 치유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의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HMD를 통하여 서로 다른 크기, 동작 및 색상을 가진 복수의 대상체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움직이는 영상과 함께 입체감이 있는 음향이 포함된 상기 진단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행위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진단 컨텐츠에 따라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움직임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HMD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및 안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HMD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 컨텐츠에 따라 반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사용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시청각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학습장애 치유 방법에 있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생체신호 상태를 시청각적 신호로 제공하여 치유 활동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0170477A 2016-12-14 2016-12-14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77A KR102235716B1 (ko) 2016-12-14 2016-12-14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77A KR102235716B1 (ko) 2016-12-14 2016-12-14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11A KR20180068611A (ko) 2018-06-22
KR102235716B1 true KR102235716B1 (ko) 2021-04-05

Family

ID=6276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77A KR102235716B1 (ko) 2016-12-14 2016-12-14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98B1 (ko) * 2018-12-28 2020-12-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산림 치유 프로그램 평가 방법 및 산림 치유 프로그램 평가 시스템
KR102512570B1 (ko) * 2020-07-15 2023-03-22 주식회사 이모코그 대화기반 정신장애선별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93B1 (ko) * 2002-02-25 2004-10-08 (주)블루미디어텍 정신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가상 환경 장치
KR101239483B1 (ko) * 2010-04-20 2013-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심리치료장치 및 그 방법,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심리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7748B1 (ko) * 2011-05-04 2013-03-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집중도 분석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45A (ko) 2000-12-29 2002-07-12 신성웅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020068825A (ko) * 2001-02-23 2002-08-28 학교법인 한양학원 가상 현실과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집중력 향상 시스템및 방법
KR20040037608A (ko) * 2002-10-29 2004-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게임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9569A (ko) * 2013-01-31 2014-08-1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소아정신질환 검사 및 치료 시스템 및 소아정신질환 검사 및 치료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93B1 (ko) * 2002-02-25 2004-10-08 (주)블루미디어텍 정신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가상 환경 장치
KR101239483B1 (ko) * 2010-04-20 2013-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심리치료장치 및 그 방법,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심리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7748B1 (ko) * 2011-05-04 2013-03-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집중도 분석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11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8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rain activity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734896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neu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ion conditions
US10524715B2 (en) Systems, environment and methods for emotional recogni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aching
CN109414164B (zh) 用于用户健康分析的增强现实系统和方法
KR102050917B1 (ko)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재활 훈련 시스템 및 장치
JP5320543B2 (ja) 脳機能亢進支援装置および脳機能亢進支援方法
US20230106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invasive and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Kouris et al. HOLOBALANCE: An Augmented Reality virtual trainer solution forbalance training and fall prevention
KR102379132B1 (ko) 디지털 컨텐츠 기반 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35716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애 진단/치유장치, 및 그 방법
Morales et al. An adaptive model to support biofeedback in AmI environments: a case study in breathing training for autism
JP5870465B2 (ja) 脳機能訓練装置および脳機能訓練プログラム
JP2013173035A (ja) 脳機能亢進支援装置および脳機能亢進支援方法
Kumar et al. Check for updates Assistive Blood Pressure Monitor for Senile Population
WO2024050650A1 (es) Sistema para diagnóstico y gestión de ansiedad o dol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