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679B1 -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5679B1 KR102235679B1 KR1020140097313A KR20140097313A KR102235679B1 KR 102235679 B1 KR102235679 B1 KR 102235679B1 KR 1020140097313 A KR1020140097313 A KR 1020140097313A KR 20140097313 A KR20140097313 A KR 20140097313A KR 102235679 B1 KR102235679 B1 KR 102235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 light source
- virtual light
- processor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795 ligh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50 tim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6—Illumination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2—Colour editing, changing, or manipulating; Use of colou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광원이 반영된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광원의 타입(type)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광원이 설정된 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에 설정된 가상 광원 및 가상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광원이 설정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광원에 의한 시각 효과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화면(screen)을 도시한 도면이다.
enum LIGHT_TYPE { LIGHT_SPOT, LIGHT_POINT, LIGHT_DIRECTIONAL, LIGHT_VPL } Class Light { int lightType, bool visible, float position[4], float spotDirection[4], float diffuse[4], float ambient[4], float specular[4], float cutoff, float exponent, Light(LIGHT_TYPE lighttype), ~Light(), void setLightType(LIGHT_TYPE lighttype), void Visible(bool value = true), void setPosition(x, y, z), void setSpotDirection(x, y, z), void setCutoff(value), void setDiffuse(r, g, b, a), void setAmbient(r, g, b, a), void setSpecular(r, g, b, a), void setAttenuation(constant,linear,quad), void setVPLTargetImage(image), void getVPLColorfromImage(), } |
1110: 디스플레이
1120: 프로세서
Claims (28)
-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virtual light source)이 설정된 객체(object)를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색상이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환경에서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을 조명(illuminate)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내부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배제(exclude)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객체 영역에서 격자 형태로 복수의 가상 광원의 위치(position)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의 조명 방향(illuminating orientation) 및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에 대해, 상기 조명 방향을 기준으로 컷오프 각도(cut-off angle) 및 강도 감쇠(intensity attenuation)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환경에서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을 조명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 방향 및 상기 컷오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영역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 주위의 색상 값들의 평균값(average value),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value) 또는 중간값(median value) 중 하나를 상기 색상의 값으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환경에서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을 조명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가상 영역에 영향을 주는 정도(level)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영향을 주는 상기 가상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정지 이미지 객체(still image object) 및 비디오 객체(video objec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 삭제
-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설정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이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조명 효과(illumination effect)가 반영된 가상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내부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배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의 조명 방향, 위치, 컷오프 각도 및 강도 감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조명 방향, 위치, 컷오프 각도 및 강도 감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에 의한 빛이 투사되는 가상 영역을 계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각각의 위치 주위의 색상 값들의 평균값, 가중평균 또는 중간값 중 하나를 상기 색상의 값으로 추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상기 조명 효과의 정도를,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동영상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환경은 상기 동영상 객체가 제공되는 가상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 객체의 프레임마다,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상기 가상 광원에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가상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환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객체가 미리 정한 배치에 따라 제공되는 가상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객체의 각각마다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시각 효과를 상기 가상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객체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객체 중 미리 정한 객체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밝기를 다른 객체에 설정된 가상 광원의 밝기보다 밝게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입체 디스플레이(stereoscopic display)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중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시각 효과는 유지하고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시각 효과를 변경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설정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이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조명 효과(illumination effect)가 반영된 가상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내부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배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시각 효과를 상기 객체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객체에 설정된 복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조명 효과의 정도(level)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시각 효과를 온오프(turn on/off)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여 상기 시각 효과에 반영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동영상 객체의 재생 중 상기 동영상 객체의 프레임마다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시각 효과를 변경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설정된 상기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이 반영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조명 효과가 반영된 가상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내부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배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상 광원이 상기 객체 주위의 가상 영역에 미치는 시각 효과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 객체에 설정된 복수의 가상 광원에 의한 상기 시각 효과를 상기 객체의 주위에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 객체의 재생 중, 상기 동영상 객체의 프레임마다,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상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색상을 상기 가상 광원에 반영하여, 상기 객체의 주위에 대한 상기 시각 효과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636,969 US10593113B2 (en) | 2014-07-08 | 2015-03-03 |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object with visual effect |
CN201510334943.2A CN105278905B (zh) | 2014-07-08 | 2015-06-16 | 显示具有视觉效果的对象的装置和方法 |
EP15172704.7A EP2966620A3 (en) | 2014-07-08 | 2015-06-18 |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object with visual effect |
JP2015125252A JP6909554B2 (ja) | 2014-07-08 | 2015-06-23 | 視覚効果を有するオブジェクトを表示する装置及び方法 |
US16/782,518 US11200746B2 (en) | 2014-07-08 | 2020-02-05 | Device and method to display object with visual eff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5024 | 2014-07-08 | ||
KR20140085024 | 2014-07-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087A KR20160006087A (ko) | 2016-01-18 |
KR102235679B1 true KR102235679B1 (ko) | 2021-04-05 |
Family
ID=5530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313A KR102235679B1 (ko) | 2014-07-08 | 2014-07-30 |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56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8405B1 (ko) * | 2016-03-08 | 2022-10-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WO2020242047A1 (en) | 2019-05-30 | 2020-12-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virtual object data in augmented reality |
KR102657877B1 (ko) * | 2019-05-30 | 2024-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증강 현실의 가상 객체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
US12175010B2 (en) | 2019-09-28 | 2024-12-24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9034A (ja) | 2001-09-28 | 2003-04-11 | Namco Ltd |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US20070038944A1 (en) * | 2005-05-03 | 2007-02-15 | Seac02 S.R.I. |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real marker object identification |
US20110012901A1 (en) | 2009-06-29 | 2011-01-20 | Anton Kaplanyan | Method, computer graphics image render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data storage medium for computing of indirect illumination in a computer graphics image of a scene |
KR101270780B1 (ko) | 2011-02-14 | 2013-06-07 | 김영대 |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2701A (ja) * | 1997-02-05 | 1998-08-21 | Toto Ltd | 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の作成方法 |
KR101601687B1 (ko) * | 2009-09-22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KR20120004227A (ko) * | 2010-07-06 | 2012-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KR20120078070A (ko) * | 2010-12-31 | 2012-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7-30 KR KR1020140097313A patent/KR1022356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9034A (ja) | 2001-09-28 | 2003-04-11 | Namco Ltd |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US20070038944A1 (en) * | 2005-05-03 | 2007-02-15 | Seac02 S.R.I. |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real marker object identification |
US20110012901A1 (en) | 2009-06-29 | 2011-01-20 | Anton Kaplanyan | Method, computer graphics image render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data storage medium for computing of indirect illumination in a computer graphics image of a scene |
KR101270780B1 (ko) | 2011-02-14 | 2013-06-07 | 김영대 |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087A (ko) | 2016-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09554B2 (ja) | 視覚効果を有するオブジェクトを表示する装置及び方法 | |
US11619989B2 (en) | Gaze and saccade based graphical manipulation | |
US10719912B2 (en) | Scaling and feature retention in graphical elements defined based on functions | |
KR102004010B1 (ko) | 씨스루 디스플레이를 통한 새도우의 디스플레이 | |
US8345046B2 (en) | Method for adding shadows to objects in computer graphics | |
US10628995B2 (en) | Anti-aliasing of graphical elements defined based on functions | |
US2011008498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 Virtual Environment | |
CN115016642A (zh) | 用于混合现实的现实混合器 | |
KR20170076471A (ko) |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 |
KR102235679B1 (ko) |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
US20080295035A1 (en) | Projection of visual elements and graphical elements in a 3D UI | |
US11936840B1 (en) | Perspective based green screening | |
US20200365114A1 (en) | Controlling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With Transparency Control Using Multiple Sets Of Video Buffers | |
US9483873B2 (en) | Easy selection threshold | |
EP3503083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 |
CN114758051A (zh) | 一种图像渲染方法及其相关设备 | |
CN114746903B (zh) | 虚拟、增强和混合现实系统和方法 | |
US11089282B2 (en) | Blended mode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 |
CN115244494A (zh) | 用于处理扫描对象的系统和方法 | |
TWI732792B (zh) | 控制方法、電腦可讀取媒體及控制器 | |
CN113552942A (zh) | 一种基于光照强度显示虚拟对象的方法及设备 | |
US2021037498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Physical Space with Shadows of Virtual Objects | |
US12002165B1 (en) | Light probe placement for displaying objects in 3D environments on electronic devices | |
CN106560864B (zh) | 用于显示照明的方法和装置 | |
US20240161390A1 (en) |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 based on extended rea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