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87B1 -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 Google Patents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87B1
KR102234987B1 KR1020190112242A KR20190112242A KR102234987B1 KR 102234987 B1 KR102234987 B1 KR 102234987B1 KR 1020190112242 A KR1020190112242 A KR 1020190112242A KR 20190112242 A KR20190112242 A KR 20190112242A KR 102234987 B1 KR102234987 B1 KR 10223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bag
lid
inlet
ba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0729A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19011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87B1/en
Publication of KR2021003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봉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조를 다중 구조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를 구비하고,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에는 뚜껑을 장착하되, 뚜껑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투입구 및 그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고, 쓰레기통 본체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을 따라서 제1거치부를 마련하여 그 제1거치부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투걸이를 장착하는 한편, 상기 뚜껑은 투입구 내벽을 따라서 제2거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봉투걸이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제2봉투걸이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sh can in which various types of bags can be mounted and used in a multi-structure for mounting bags, and includes a trash can body forming an open storage spac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trash can main body. A lid is mounted on the lid, but the lid is provided with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body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a first cradle is prov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trash can body. While mounting a first bag hanger made of a rim shape, the lid forms a second hold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let port and mounts a second bag hanger whose outer diameter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g hanger. By selectively mounting bags on the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and used.

Description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규격화되어진 종량제 봉투나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봉 두 또는 롤상으로 제조된 비닐봉투를 연속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봉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조가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sh can that can be used by continuously drawing out a standardized volume-based bag or a plastic bag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gular rod or a roll that is not standardized, and the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bag is made in a multiple structure. It is designed to be used by placing various types of envelopes.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에는 쓰레기를 쓰레기통에서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쓰레기통의 지저분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 쓰레기통의 상단이 개구되어진 본체의 수납공간에 비닐봉투를 덧씌워서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dispose of the trash from the trash can easily while discharging the trash from the trash can, in general, a plastic bag is cove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where the top of the trash can is opened.

그러나 비닐봉지의 규격에 따라 또는 쓰레기통의 크기에 따라서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 있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나뉘기 때문에 되어 대부분 상대적으로 큰 비닐봉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비닐봉지의 크기에 비하여 충분한 쓰레기를 담지 못하게 된다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because plastic bags can or cannot be 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stic bag or the size of the trash can, most of them use relatively large plastic bags.In this case, sufficient garbage is carried compared to the size of the plastic bag. There is a downside of not being able to do so.

따라서 최근에는 특허등록 제10-1556111호 '종량제 봉투 거치형 휴지통'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종량제 봉투에 맞는 크기로 제작되어 종량제 봉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recently, as prop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56111,'Patent-based bag-mounted trash bin', a plan has been proposed to efficiently utilize the pay-as-you-go bag by being manufactured in a size suitable for the pay-as-you-go ba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량제 봉투 거치형 휴지통은 종량제 봉투만을 사용해야 하고, 만일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시중에서 유통되는 비닐봉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규격에 맞지 않아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volume-based bag-mounted trash bin as described above should only be used with a volume-based bag, and if you do not use a volume-based bag and want to use a plastic bag distributed in the general market, it is inconvenient to use it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standard.

따라서 최근에는 다단으로 구획되어 롤상으로 이루어진 비닐봉투를 쓰레기통의 하단에 위치토록 한 후 연속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잇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롤상으로 권취되어진 비닐지가 떨어졌을 경우에 또는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치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recently, it has been proposed to place a roll-shaped plastic bag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at the bottom of the trash can and then continuously draw it out. If you want to,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such as not being able to use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기 통에 다양한 규격의 비닐봉투를 쓰레기봉투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o be possible to use plastic bags of various standards in the trash can as a trash bag.

또한, 다양한 규격의 비닐봉투를 쓰레기 봉투로 사용을 위하여 교체할 경우에 교체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하고, 쓰레기통의 개폐되는 뚜겅에서의 밀폐성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placing plastic bags of various standards for use as garbage bags,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is provided, and the sealing performance i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of the garbage can be excell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와 쓰레기통 본체의 개폐를 위한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가 개방된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에는 개방된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제1거치부를 마련하여 그 제1거치부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투걸이를 장착하는 한편, 상기 제1거치부를 눌러주게 되는 뚜껑의 투입구 테두리를 따라서 제2거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봉투걸이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제2봉투걸이를 장착함으로써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비닐봉투를 쓰레기봉투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trash can bod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with an open top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ash can main body, and the top of the open top of the trash can body A first holder is provided along the rim, and a first bag hanger having a rim shape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and a second holder is formed along the rim of the inlet of the lid that presses the first holder. By installing the second bag hanger, which has a relatively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1 bag hanger, the bag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double-composed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so that plastic bags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as garbage bags. .

또한 본체의 하단에도 만곡된 홈형상의 카트리지홀더를 구비토록 한 후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는 권취되어진 비닐롤을 위치토록 한 후 선단을 당김토록 하여 개봉된 비닐봉지를 제1,2봉투걸이에 걸어서 쓰레기 봉투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서로 다른 규격의 비닐봉지를 쓰레기봉투로 사용가능함은 물론 서로 다른 비닐롤의 규격을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having a curved groove-shaped cartridge holder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lace the rolled vinyl roll in the cartridge holder and pull the tip to place the opened plastic bag on the 1st and 2nd bag hangers.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plastic bags of different sizes as garbage bags, it is possible to use different sizes of plastic rolls as well.

본 발명의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에 의하면, 규격화되어진 종량제 봉투는 물론,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일반봉투, 또는 롤상으로 제조된 비닐봉투 등 다양한 종류의 봉투를 각각의 봉투의 크기에 맞는 거치부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sh bin that can be used by placing the trash bags of various siz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bags, such as standardized pay-as-you-go bags, non-standardized general bags, or plastic bag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rolls, are used in each bag. It can be used by inserting it into the mounting part that fits the size.

또한, 봉투의 크기에 적합한 봉투걸이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뚜껑이 들리거나 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가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selecting and using an envelope hanger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envelope, the lid is prevented from being lifted or closed less, and the lid is tightly sealed, so that a comfortable use is possible.

또한, 수용공간을 분할하여 분리수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분리수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분리종류에 따라 봉투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봉투의 종류에 구애가 없다.In addition, the receiving space can be divided and used for separate collection, and when used for separate collection purposes, the type of envelope can b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eparation, so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envelope.

또한, 거치부의 구조가 긴밀히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봉투의 내하중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개방된 채로 고정되고, 담을 수 있는 쓰레기 용량을 최대한 담을 수 있음은 물론, 쓰레기를 채우는 과정에서 봉투의 자연스러운 팽창을 허용함으로써 봉투 내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쓰레기를 다 채운 후에는 즉시 편리하게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part is tightly coupled,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ag is improved, and it is fixed in a stable open state, and it can contain the maximum amount of garbage it can hold, as well as allow the natural expansion of the bag during the process of filling the garbage. By doing so, the garbage can be filled in the bag, and after the garbage is filled, it can be conveniently collected and disposed of immediately.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봉투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으로 버려지는 봉투를 쓰레기 봉투로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에 긍정적이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various types of bags can be mounted, the disposable bag can be reused as a garbage bag,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봉투걸이 장착구조도
도 3은는 본 발명의 제1봉투걸이를 사용하여 쓰레기봉투를 거치하는 사용상태도
도 4은 도 3의 쓰레기 봉투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봉투걸이 장착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봉투걸이를 사용하여 쓰레기봉투를 거치하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쓰레기 봉투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쓰레기통 본체에 봉투카트리지를 넣어 사용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쓰레기통의 종단면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통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쓰레기통의 수용공간 구획구조도
도 17는 도 14의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sh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irst bag hang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use state diagram of mounting a garbage bag using the first bag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rbage bag of Figure 3 in a mounting state
Figure 5 is a second bag hang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use state diagram of mounting a garbage bag using the second bag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rbage bag of FIG. 6 in a mounted state
8 and 9 are state diagrams in which an envelope cartridge is put in the trash c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d
Figure 10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trash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longitudinal sectional structural diagrams of the trash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sh can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sh c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block diagram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trash can of FIG. 14
Figure 1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trash can of Figure 1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 본체(100)의 상단에 뚜껑(200)이 구비되는 것으로,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쓰레기가 담겨지는 수용공간(120)이 형성되고, 뚜껑(200)에는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로 연통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투입구(220)가 형성되며, 투입구(220)를 덮개(240)로 덮어 덮개만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9, a lid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trash can main body 100, and the trash can main body 100 has an accommodation space 120 in which trash is contained, and the lid In 200, an inlet 22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opened, and the inlet 220 is covered with a cover 240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cover is opened.

쓰레기통 본체(100)와 뚜껑(200)에는 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봉투걸이가 장착되어 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걸어서 쓰레기통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제1거치부(150)가, 뚜껑(200)에는 제2거치부(250)가 구비되고, 각각의 거치부에 봉투걸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봉투걸이의 크기를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종량제 봉투나, 위생백, 기타 재사용되는 비닐봉투 등 서로 다른 크기의 쓰레기 봉투의 크기에 맞추어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trash can main body 100 and the lid 200 are equipped with a rim-shaped bag hanger so that the trash bag can be mounted on the trash can by hanging the top of the trash bag, and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150. , A second holder 250 is provided on the lid 200, and the bag hanger can be mounted on each of the holders, and by forming different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bag hangers, the user can use a pay-as-you-go bag or, It is possible to mount and use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by selectively mounting the bag on the double-structured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according to the size of different sized garbage bags such as sanitary bags and other reusable plastic bags. do.

쓰레기통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거치부(15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수용공간 내벽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단턱(152)이 형성되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봉투걸이(300)에 쓰레기 봉투를 걸어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150 formed in the trash can main body 100 has a stepped 152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main body 100 so as to protrude inward.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ated by hanging the garbage bag on the bag hanger 300.

그리고 제1거치부(150)에 안착되는 제1봉투걸이(300)는 림의 형태로 이루어져 단턱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폭은 단턱의 폭에 대응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봉투걸이(300)가 제1거치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수직 내벽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g hanger 300 mounted on the first holder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m and is mounted on the stepped jaw, and the width thereof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tepped part, so that the first bag hanger 300 is 1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vertical inner wall without a protruding portion while seated on the cradle 150.

제1봉투걸이(30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외곽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쓰레기통 본체(100)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봉투걸이(300)도 그에 대응하게 원형테 또는 사각테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거치부(150)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bag hanger 3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rim of the trash can main body 100, and when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s made of a circular shape or a square shape, the first bag hanger 300 is also circular corresponding thereto.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frame or a square frame and be fastened to the first holder 150.

또한, 상기 는 제1봉투걸이(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쓰레기 봉투를 거치한 상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턱(152)의 내벽에 인접하게 상부측으로 직립된 가이드(154)가 형성되어 제1봉투걸이(300)의 내면을 지지하여 임의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긴밀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154 upright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stepped 152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rash bag mounted state without causing torsion while the first bag hanger 300 is seated. Is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ag hanger 300 to prevent it from being lifted arbitrarily, and to be tightly fitted and fixed.

한편, 상기 뚜껑(200)은 덮개(240)를 개폐시켜 투입구(220)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투입구(22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수용공간의 개구된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봉투걸이의 크기를 달리 구성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lid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220 is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40, and the inlet 220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than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main body 100. 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gure the size of the envelope hanger differently.

이를 위하여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뚜껑의 중앙부분에 봉투가 삽입되게 투입구(220)를 형성하게 되며, 투입구(220)는 내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거치부(250)는 그 투입구(220)의 내벽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면(252)과 받침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벽체(254)로 구성되어 삽입홈(256)을 형성하고, 제2봉투걸이(400)에 쓰레기 봉투를 걸어 삽입홈(256)에 가압하여 끼워 고정함으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봉투걸이와는 다른 크기의 봉투를 끼워 거치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lid 200 forms an inlet 220 so that the envelop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y the spacer 210, and the inlet 220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second mounting part 250 is composed of a receiving surface 252 formed under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fitting wall 254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urface,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256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s. 6 and 7 by holding the garbage bag on the second bag hanger 400 and pressing it into the insertion groove 256, a bag having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ag hanger can be inserted and mounted. You will be able to.

따라서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뚜껑의 중앙에 봉투가 삽입되는 투입구를 가지면서도 투입구가 봉투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봉투걸이(400)를 구비하여 봉투의 상부를 말아서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제2봉투걸이(400)는 투입구의 내주면을 따라서 일체로 삽입 설치되므로 간편하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spacer 210 has an inlet port into which the bag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lid, the inlet port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o fix the top of the bag, and a second bag hanger 40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ag. In this case, the second bag hanger 400 is integrally inserted and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o it can be easily inserted and used.

이때, 상기 스페이서부(21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직경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되어 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봉투의 확장공간을 쓰레기통 본체의 수용공간에 형성할 수 잇게 되며, 이에 따라 투입구(220)에 봉투를 삽입한 상태에서 이후에 쓰레기가 일정량 이상으로 차면서 봉투의 외경이 측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게 되며, 많은 양의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pacer unit 210 has a constant wid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rash can body 100 so that an expansion space of the bag can b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body by a corresponding size. Accordingly, the inlet 220 In the state where the bag is insert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bag increases laterally as the trash fills more than a certain amount, expanding the space to accommodate the trash,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trash.

이때, 상기 제1봉투걸이(300) 또는 제2봉투걸이(40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종량제 봉투 사이즈에 적합한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종량제 봉투를 포함한 여러 봉투를 걸어 사용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제2봉투걸이의 크기를 음식물 종량제 봉투의 크기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one of the first bag hanger 300 or the second bag hanger 400 in a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pay-as-you-go bag so that you can hang several bags including the pay-as-you-go bag.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ize of the second bag hanger to the size of a food-based pay-as-you-go bag.

이는 후술하는 수용공간이 분할된 다른 실시 예의 쓰레기통 구조에서는 제2봉투걸이(400) 상단 덮개(240)에 구비된 보조패킹에 의하여 밀폐가 긴밀히 이루어짐으로써 냄새나 악취가 밖으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trash ca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described later is divided, the secondary packing provided on the second bag hanger 400 and the top cover 240 is tightly sealed, so that odors or odor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Because.

또한, 상기 제2봉투걸이(400)는 외주면을 경사면(402)으로 형성하고, 상단부가 돌출갓(404)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봉투걸이(400)를 제2거치부(250)에 가압하여 끼울 때 더욱 긴밀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잇으며, 특히 봉투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내하중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돌출갓(404)에 의하여 끼움벽체(254)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제2봉투걸이에 감싸여진 쓰레기 봉투가 다중 절곡구조로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g hanger 40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402,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ding shade 404 to press the second bag hanger 400 to the second holder 250. It can be fixed more tightly when inserting,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the bag with the inlet open and improve the load-bearing capacity, as well as press the upper end of the fitting wall 254 by the protruding shade 404 Thus, the garbage bag wrapped in the second bag hanger can be mounted in a multi-bending structure.

따라서 쓰레기 봉투가 투입구에 더욱 긴밀히 밀폐됨은 물론, 봉투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봉투의 내하중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garbage bag is more tightly sealed to the inlet, and the inlet of the bag is stably installed without falling out in an open state, and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bag can be strengthened.

또한,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 본체의 하단에 비닐롤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만곡된 홈 형상의 카트리지 홀더(180)를 형성하여 롤 형상으로 말려진 형태의 봉투가 이미 쓰레기통 내부에 구비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s rolled into a roll shape by forming a curved groove-shaped cartridge holder 180 so that the vinyl roll can be s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sh can main body as shown in Figs. It is possible to have the bag of the trash already provided inside the trash can.

따라서 사용자가 봉투를 별도로 끼울 필요가 없이 상부측으로 인출된 쓰레기 봉투를 잡아당기면 이의 하단에 위치한 쓰레기 봉투가 끌려나오게 되기 때문에 봉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trash bag drawn to the upper side without having to insert the bag separately, the trash bag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sh bag is pulled out, so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bag, so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또한, 서로 다른 규격의 비닐봉지를 쓰레기봉투로 사용가능함은 물론 서로 다른 비닐롤의 규격을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plastic bags of different sizes can be used as garbage bags, as well as different sizes of plastic rolls can be used.

한편,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쓰레기통의 공간을 분할하여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FIGS. 14 to 1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provided as a trash bin that can be separated and collected by dividing the space of the trash bin.

이를 위하여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수용공간에 격판(140)을 장착하여 수용공간을 분할 하고, 뚜껑(200)에는 이에 대응하게 덮개(240)를 분할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쓰레기를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ash ca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partition plate 140 in the receiving space to divide the receiving space, and the lid 2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dividing the cover 240 corresponding thereto to separate and dispose of trash. It can be provided to be able to.

쓰레기통의 공간분할은 쓰레기통의 외관 형상에 따라서 장방형인 경우 2공간, 원형인 경우 3공간, 정사각형인 경우 4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분할 할 수 있으며, 공간분할 또한 등분 또는 편심된 구조의 공간분할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2공간으로 양분 쓰레기통에 적용하여 설명한다.Depending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trash bin, the trash bin can be divided into 2 spaces, 3 spaces for a round shape, and 4 spaces for a square shape, and space division can be divided into equal or eccentric structur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it to the nutrient waste bin in two space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 본체(100)가 장방형의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격판(140)이 삽입되어 수용공간의 공간분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격판(14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쓰레기통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홈(101)과 제1거치부(150)에 마련된 끼움홈(151)에 조립되게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trash can body 1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partition plate 140 is inserted in the center to divide the sp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artition plate 140 is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by inserting i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trash can, but in order to prevent flow, to be assembled in the fitting groove 10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sh can body and the fitting groove 151 provided in the first cradle 150. have.

이때,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 삽입된 격판(140)은 상단부에 제1거치부(150)와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1봉투걸이(3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안착부(142)가 마련되며, 제1봉투걸이(300)는 분할된 공간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수용공간에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140 inserted into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first holder 150 at the upper end, and a seating portion 142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bag hanger 300 can be mounted. , The first bag hanger 300 is configured in plural to fit the size of the divided space, and can be used by placing a garbage bag in each receiving space.

이때, 격판(140)의 상단에는 제1봉투걸이(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쓰레기 봉투를 거치한 상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부(142)에 인접하게 상부측으로 직립된 가이드(144)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the upper end of the diaphragm 140, the first bag hanger 300 is mounted, without causing any torsion, and standing upright to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mounting portion 142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rash bag mounted. A guide 144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분할된 수용공간의 상측에 대응하게 투입구(220)가 형성되되, 각각의 투입구에는 분할된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뚜껑의 중앙에 봉투가 삽입되게 투입구(220)를 형성하되, 투입구(220)는 내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거치부(250)는 그 투입구(220)의 내벽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면(252)과 받침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벽체(254)로 구성되어 삽입홈(256)을 형성하고, 제2봉투걸이(400)에 봉투를 걸어 삽입홈에 가압 끼움하여 봉투를 거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 200 has an inlet 22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divided by the spacer part 210, and each inlet is equipped with a cover to allow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vided receiving space. , The lid 200 forms an inlet 220 so that the envelope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lid by the spacer part 210, and the inlet 220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second The mounting part 250 is composed of a receiving surface 252 formed under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fitting wall 254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urface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56, and a second envelope Hang the envelope on the hook 400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mount the envelope.

한편, 상기 쓰레기통은 패킹이 장착되어 밀폐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쓰레기통 본체(100)는 플랜지(160)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에 대향하여 쓰레기통 본체의 테두리와 뚜껑의 테두리가 대응되는 테두리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뚜껑의 하부측에 패킹(202)이 장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뚜껑(200)의 투입구(220) 상단에 대향하여 뚜껑과 덮개가 서로 대응되는 테두리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덮개(240)의 하부측에 보조패킹(242)을 장착함으로써 쓰레기통이 이중 밀폐구조로 이루어져 쓰레기 냄새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sh bi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aling structure by mounting a packing, and the trash bin body 100 has a flange 160 formed thereon, and the rim of the trash bin body and the rim of the lid correspond to the flange. A packing 202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d so as to block the gap therebetween, so that the sealing is made, and the gap between the lid and the li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made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inlet 220 of the lid 200. By installing the auxiliary packing 242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240 so as to block it, the trash can has a double sealing structure, so that the smell of trash or odo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플랜지(160)의 외곽테두리에는 밀폐돌륜(162)을 형성하여 패킹(280)의 하단을 상부측으로 가압 고정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쓰레기통 본체와 뚜껑의 연결부위가 더욱 긴밀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ealing ring 162 is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flange 16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280 is pressurized to the upper side so that sealing is achieved,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trash can body and the lid is more tightly fixed. I can.

이때, 쓰레기통을 세척하거나 내부에 쓰레기봉투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쓰레기통 본체(100)로부터 뚜껑(200)을 분리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뚜껑(200)이 쓰레기통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패킹(202)의 밀폐성능에 의하여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washing the trash can or replacing the trash bag inside, the lid 200 must be separated from the trash can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d 200 is coupled to the trash can main body 100, packing Separation may be difficult due to the sealing performance of (202).

따라서 상기 뚜껑(200)의 테두리벽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커트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하여 스커트부를 잡고 외부측으로 벌리면 뚜껑의 테두리벽이 외부측으로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패킹(202)의 밀폐상태를 해제함은 물론, 뚜껑(200)의 테두리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가 쓰레기통 본체의 플랜지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여 쓰레기통 본체(100)와 뚜껑(200)을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a skirt part is formed on the rim wall of the lid 200 so as to protrude outward, and when the user uses it as a handle to hold the skirt part and spread it outward, the rim wall of the lid is finely opened to the outside and the sealing state of the packing 202 is released. Of course, by releasing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rim of the lid 200 is caught by the flange of the trash can body, the trash can body 100 and the lid 200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이때, 상기 패킹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뚜껑(200)이 쓰레기통 본체(100)의 플랜지로부터 떨어져 나가면서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d 200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the lid 200 is separated from the flange of the trash can body 100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acking.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커트부를 벌릴 때 뚜껑이 눌려지도록 압력을 받게 되면 뚜껑(200)이 가이드에 의하여 걸림된 상태를 상,하로 더욱 이격시킴으로써 분리가 더욱 용이해지고, 패킹의 탄성 반발력은 더욱 증가되므로 뚜껑을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subjected to pressure so that the lid is pressed when the skirt portion is opened, the lid 200 is further separat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tate that the lid is locked by the guide, making it easier to separate, and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acking is further increased. Can be separated more easily.

또한, 상기 투입구(220) 상단에는 보조패킹(242)과 맞물림되게 안착돌부(222)가 형성되고, 그 안착돌부에는 내입면이 형성되어 보조패킹(242)의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protrusion 2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let 2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auxiliary packing 242, and an inner elevation is formed at the seating protrusion, so that the auxiliary packing 242 can be properly seated. have.

이때, 상기 덮개(24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패킹(242)의 정위치 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덮개(240)는 후방측의 힌지가 양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그 힌지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탄성부재가 배치함으로써 덮개에 탄성복원력이 작용할 때 균일한 힘으로 작용되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상,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보조패킹(242)이 어긋남이 없이 상,하방향으로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덮개 개폐가 이루어져 보조패킹의 정위치 안착을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24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so that the auxiliary packing 242 can be placed in a correct posi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cover 240 has a hinge on the rear side spaced to both sides. It is configured so that it is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and the elastic members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space between the hinges, so that whe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ver, it acts as a uniform force and opens and closes up and down without bias to either side. ,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packing 242 is maintained vertical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out misalignm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auxiliary packing.

이때, 상기 안착돌부(222)는 내입면에 보조패킹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벽을 만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보조패킹(242)이 내입면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ting protrusion 222 may have both side walls configured as curved or inclined surfaces so as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packing on the inner elevation so that the auxiliary packing 242 is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elevation.

따라서 덮개(240)에 보조패킹을 완전히 끼우지 않더라도 위치만 잡은 상태에서 덮개를 닫으면 서로 밀착되는 힘에 의하여 부드럽게 끼워지고 내입면에 의하여 보조패킹이 정위치 안내 유도가 이루어지면서 보조패킹 전체가 균일한 압력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보조패킹의 압력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기 때문에 덮개의 테두리 전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auxiliary packing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ver 240, if the cover is closed while only holding the position, it is smoothly fitted by the force that adheres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packing is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inner surface, and the entire auxiliary packing is under uniform pressure. It is possible to be fitted with, and because of this, assembly is very simple, and since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packing is not eccentric to either side, the pressure of the entire rim of the cover can be uniformly maintained and the sealing force can be improved.

100: 쓰레기통 본체 101: 끼움홈
120: 수용공간
140: 격판 142: 안착부 144: 가이드
150: 제1거치부 151: 끼움홈 152: 단턱 154: 가이드
160: 플랜지
180: 카트리지 홀더
200: 뚜껑 202: 패킹
210: 스페이서부
220: 투입구
240: 덮개 242: 보조패킹
250: 제2거치부 252: 받침면 254: 끼움벽체 256: 삽입홈
300: 제1봉투걸이
400: 제2봉투걸이 402: 경사면 404: 돌출갓
100: trash can body 101: fitting groove
120: accommodation space
140: diaphragm 142: seat 144: guide
150: first mounting portion 151: fitting groove 152: stepped 154: guide
160: flange
180: cartridge holder
200: lid 202: packing
210: spacer part
220: slot
240: cover 242: auxiliary packing
250: second mounting portion 252: support surface 254: fitting wall 256: insertion groove
300: first bag hanger
400: second bag hanger 402: inclined surface 404: protruding shade

Claims (10)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100)가 구비되고,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에는 뚜껑(200)이 장착되되, 뚜껑(200)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투입구(220) 및 그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40)가 구비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을 따라서 제1거치부(150)가 마련되어 그 제1거치부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투걸이(300)가 장착되고,
상기 뚜껑(200)은 투입구(220) 내벽을 따라서 제2거치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봉투걸이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제2봉투걸이(4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거치부(15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내벽에 돌출되게 단턱이 형성되어 제1봉투걸이(300)를 이용하여 봉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뚜껑의 중앙에 봉투가 삽입되게 투입구(220)를 형성하되, 투입구(220)는 내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거치부(250)는 그 투입구(220)의 내벽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면(252)과 받침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벽체(254)로 구성되어 삽입홈(256)을 형성하고, 제2봉투걸이(400)에 봉투를 걸어 삽입홈에 가압 끼움하여 봉투를 거치할 수 있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A trash can main body 100 forming an open upper receiving space is provided, and a lid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the lid 200 has an inlet 22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A cover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provided,
The trash ca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er 150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bag hanger 300 having a rim shape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In the lid 200, a second holder 250 i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second bag hanger 400 having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g hanger is mounted, so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double. Envelopes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The first mounting portion 150 is provided with a stepped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trash can body 100 so that the bag can be mounted using the first bag hanger 300,
The lid 200 forms an inlet 220 so that the envelope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lid by the spacer 210, and the inlet 220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second mounting part 250 is composed of a receiving surface 252 formed under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fitting wall 254 protruding to an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urface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56, A trash bi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sized trash bag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g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bag hanger 400 by pressing and inserting the bag into the insertion groove.
삭제delete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100)가 구비되고,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에는 뚜껑(200)이 장착되되, 뚜껑(200)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투입구(220) 및 그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40)가 구비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을 따라서 제1거치부(150)가 마련되어 그 제1거치부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투걸이(300)가 장착되고,
상기 뚜껑(200)은 투입구(220) 내벽을 따라서 제2거치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봉투걸이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제2봉투걸이(4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수용공간에 격판(140)이 장착되어 수용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분할된 수용공간의 상측에 대응하게 투입구(220)가 형성되되, 각각의 투입구에는 분할된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가 장착되며,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 삽입된 격판(140)은 상단부에 제1거치부(150)와 수평으로 배치되어 제1봉투걸이(3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안착부(142)가 마련되며, 제1봉투걸이(300)는 분할된 공간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수용공간에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A trash can main body 100 forming an open upper receiving space is provided, and a lid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the lid 200 has an inlet 22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A cover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provided,
The trash ca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er 150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bag hanger 300 having a rim shape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In the lid 200, a second holder 250 i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second bag hanger 400 having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g hanger is mounted, so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double. Envelopes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partition plate 140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divide the accommodation space,
The lid 200 has an inlet 22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divided by the spacer part 210, and each inlet is equipped with a cover to allow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vided receiving space,
The diaphragm 140 inserted into the trash can main body 100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first mounting part 150 at the upper end, and a mounting part 142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bag hanger 300 can be mounted. One bag hanger 300 is a trash ca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sizes of trash bag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plural to fit the size of the divided space and can be used by placing a trash bag in each accommodation sp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40)은 쓰레기통 본체(100)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쓰레기통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홈(101)과 제1거치부(150)에 마련된 끼움홈(151)에 조립되고, 격판(140)의 상단에는 제1봉투걸이(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쓰레기 봉투를 거치한 상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착부(142)에 인접하게 상부측으로 직립된 가이드(1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According to claim 3, The diaphragm 140 is assembled by insert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trash can body 100, but to prevent the flow, the fitting groove 101 and the first crad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sh can body It is assembled in the fitting groove 151 provided in the part 150, and the first bag hanger 300 is seated at the top of the plate 140, and the shape of the trash bag mounted thereon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twisted. A trash bi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sizes of trash bag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144 that is erected to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142 is formed so that it may be us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150)는 쓰레기통 본체(100)의 내벽에 돌출되게 단턱이 형성되어 제1봉투걸이(300)를 이용하여 봉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뚜껑(200)은 스페이서부(210)에 의하여 뚜껑의 중앙에 봉투가 삽입되게 투입구(220)를 형성하되, 투입구(220)는 내경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거치부(250)는 그 투입구(220)의 내벽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면(252)과 받침면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벽체(254)로 구성되어 삽입홈(256)을 형성하고, 제2봉투걸이(400)에 봉투를 걸어 삽입홈에 가압 끼움하여 봉투를 거치할 수 있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holder 150 is provided with a stepped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trash can body 100 so that the bag can be mounted using the first bag hanger 300,
The lid 200 forms an inlet 220 so that the envelope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lid by the spacer 210, and the inlet 220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second mounting part 250 is composed of a receiving surface 252 formed under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fitting wall 254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urface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56, and 2 A trash bi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sizes of trash bag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g can be mounted on the bag hanger 400 by pressing and inserting the bag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투걸이(400)는 봉투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내하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봉투걸이(400)의 외주면은 경사면(402)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은 끼움벽체(254)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제2봉투걸이에 감싸여진 쓰레기 봉투가 다중 절곡구조로 거치되도록 돌출갓(4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second bag hanger 400 is stably installed with the inlet of the bag ope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ag hanger 400 is an inclined surface (402) to improve the load-bearing load. ),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ressurizes the upper end of the fitting wall 254 so that the garbage bag wrapped in the second bag hanger is mounted in a multi-bending structure. A trash can that can be mounted and used.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는 플랜지(160)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에 대향하여 쓰레기통 본체의 테두리와 뚜껑의 테두리가 대응되는 테두리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뚜껑의 하부측에 패킹(202)이 장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200)의 투입구(220) 상단에 대향하여 뚜껑과 덮개가 서로 대응되는 테두리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덮개(240)의 하부측에 보조패킹(242)이 장착되어 이중 밀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The li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trash can body 100 has a flange 160 formed thereon, and opposite the flange, the rim of the trash can body and the rim of the lid block a gap between the corresponding rim. The packing 202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to be sealed, and the lower side of the cover 240 so that the lid and the cover block the gap between the corresponding rims facing the top of the inlet 220 of the lid 200 A trash bi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sizes of trash bag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acking 242 is mounted on it and double seal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0)의 외곽테두리에 밀폐돌륜(162)이 형성되어 패킹(280)의 하단을 상부측으로 가압 고정하여 밀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aling dowel ring 162 is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flange 160, and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280 is pressuriz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to seal it. Garbage cans that can be us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20) 상단에는 보조패킹(242)과 맞물림되게 안착돌부(222)가 형성되고, 그 안착돌부에는 내입면이 형성되어 보조패킹(242)의 정위치 안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eating protrusion 22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let 2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auxiliary packing 242, and an inner elevation is formed at the seating protrusion, so that the auxiliary packing 242 is properly seated. A trash can that can be used by placing a trash bag of various sizes, characterized in that.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쓰레기통 본체(100)가 구비되고, 쓰레기통 본체의 상부에는 뚜껑(200)이 장착되되, 뚜껑(200)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투입구(220) 및 그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40)가 구비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100)에는 수용공간의 내벽을 따라서 제1거치부(150)가 마련되어 그 제1거치부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봉투걸이(300)가 장착되고,
상기 뚜껑(200)은 투입구(220) 내벽을 따라서 제2거치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봉투걸이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제2봉투걸이(4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중으로 구성되는 제1봉투걸이 또는 제2봉투걸이에 봉투를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쓰레기통 본체의 하단에 만곡된 홈형상의 카트리지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는 권취되어진 비닐롤을 위치토록 한 후 선단을 당김토록 하여 개봉된 비닐봉지를 제1,2봉투걸이에 걸어서 쓰레기 봉투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서로 다른 규격의 비닐봉지를 쓰레기봉투로 사용가능함은 물론 서로 다른 비닐롤의 규격을 사용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A trash can main body 100 forming an open upper receiving space is provided, and a lid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the lid 200 has an inlet 22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sh can main body, and A cover 2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provided,
The trash ca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holder 150 alo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bag hanger 300 having a rim shape is mounted on the first holder,
In the lid 200, a second holder 250 i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let 220, and a second bag hanger 400 having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bag hanger is mounted, so that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double. Envelopes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irst bag hanger or the second bag hanger,
A trash bag with a curved groove-shaped cartridge holder at the bottom of the trash can body, and pulling the end after placing the wound vinyl roll in the cartridge holder to hang the opened plastic bag on the first and second bag hangers.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plac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characterized in that plastic bags of different sizes can be used as garbage bags as well as different sizes of plastic rolls can be used.
KR1020190112242A 2019-09-10 2019-09-10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KR102234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42A KR102234987B1 (en) 2019-09-10 2019-09-10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42A KR102234987B1 (en) 2019-09-10 2019-09-10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29A KR20210030729A (en) 2021-03-18
KR102234987B1 true KR102234987B1 (en) 2021-04-01

Family

ID=7523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42A KR102234987B1 (en) 2019-09-10 2019-09-10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72B1 (en) * 2023-06-21 2023-11-15 이관희 Trash can with dehumidifying and seal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596B1 (en) * 2023-02-10 2023-07-06 주식회사 비스비바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rash bin with low noise and waterproof function compatible with bags of various specif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839U (en) * 2008-11-29 2010-06-08 (주)은혜인더스트리 The interior separate collection wastebas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172B1 (en) * 2023-06-21 2023-11-15 이관희 Trash can with dehumidifying and seal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29A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987B1 (en) Garbage bins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garbage bags of various sizes
US5440978A (en) Reduced volume trash collection system
EP1993940A1 (en) Receptacle with vent
US20080000911A1 (en) Waste container with garbage bag retainer and reservoir
US5881900A (en) Waste receptacle and garbage bag holding device
KR101079199B1 (en) garbage can
US9033177B2 (en) Wastebasket
US20090179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pressure in a container
US5269435A (en) Garbage pail
KR200446629Y1 (en) Crimping Bag Holder
KR20010002070A (en) Dust box
KR20130019692A (en) Garbage bag support
KR102015461B1 (en) Waste bins using the trash bag
KR20070078039A (en) A waste press of plastic garbage bag
KR200414110Y1 (en) A waste press of plastic garbage bag
KR102234982B1 (en) Trash bin with airtight structure
KR102578459B1 (en) food waste bin
KR100734423B1 (en) A waste press of plastic garbage bag
KR200414434Y1 (en) Garbage compactor
KR101548723B1 (en) waste basket for compressing trash
KR20130093904A (en) Trash can for standard trash bag
JP5388178B2 (en) Garbage can
KR20200071946A (en) Expanded Entrance trash can using magnet and wire
CN212100347U (en) Classification garbage can
KR101879638B1 (en) Press type waste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