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68B1 -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Google Patents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68B1
KR102234668B1 KR1020180122858A KR20180122858A KR102234668B1 KR 102234668 B1 KR102234668 B1 KR 102234668B1 KR 1020180122858 A KR1020180122858 A KR 1020180122858A KR 20180122858 A KR20180122858 A KR 20180122858A KR 102234668 B1 KR102234668 B1 KR 10223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elastic
frame
springboar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2359A (en
Inventor
장남순
Original Assignee
장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순 filed Critical 장남순
Priority to KR102018012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68B1/en
Publication of KR2020004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이나 놀이기구의 일종인 트램폴린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도약판을 배치하되 도약판의 테두리에는 프레임과 도약판을 탄성밴드로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리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도약판에서 도약시 힘의 방향이 작용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획하여 탄성밴드으로 탄성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탄성밴드으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탄성밴드가 탄성밴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면서도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약판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소를 장착함으로써 프레임과 도약판을 탄성밴드로 간단하게 조립가능하면서도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탄성력을 조절가능토록 함은 물론, 또는 탄성력이 서로 다를 경우에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절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which is a kind of exercise or amusement equipment, comprising a polygonal frame and a legres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or detachably provided by assembly, and a springboard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A plurality of ring means is formed on the rim of the springboard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springboard with an elastic band, and the elastic band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board by dividing an area based on a center point at which the direction of force acts when jumping from the springboard.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bands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While the frame and the springboard can be simply assembled with an elastic band,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or if the elastic force is differen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it.

Description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펄린{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본 발명은 운동이나 놀이기구의 일종인 트램폴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넓이를 갖는 탄성시트의 탄성력을 사용자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조절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which is a kind of exercise or amusement equipment,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sheet having a certain area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a user.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반복적인 점핑동작을 통하여 놀이를 즐기는 놀이기구로서 성장기 아동에게는 재미를 부여하고 신체의 유연성과 균형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최근에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활용하여 건강 다이어트를 위한 성인 운동기구로도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In general, a trampoline is a play equipment that enjoys play through repeated jumping movements, giving fun to growing children and improving physical flexibility and balance.In recent yea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exercise at the same time.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used as an adult exercise device for a healthy diet.

트램펄린의 기본적인 구조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곽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프레임 내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고탄력망인 도약판을 구비하여 도약판의 테두리를 스프링으로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도약판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점핑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trampoline consists of a circular or polygonal outer frame with a certain height, and a spring board, which is a high-elastic mesh made of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i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spring board is fixed to the frame with a spring so that the user is fixed to the fram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repetitive jumping operation using.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약판이 스프링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with the method in which the springboard is fixed to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먼저, 트램펄린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통상 강철소재를 코일링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고가이므로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제공할 수 없으며, 또한 조립방식에 있어서도 도약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스프링을 하나씩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는 제품을 공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First, springs used for trampoline are usually manufactured by processing steel materials in coiling form, so they cannot be provided at low prices because they are expensive. Also, in the assembling method, the springs must be assembled one by one along the edge of the springbo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a product at low cost because there is a difficulty in operation.

또한, 도약판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링 코일링 형태로 가공한 방식이기 때문에 반복작용에 의하여 코일링 된 부분이 늘어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가 물릴 수 있어 부상의 우려가 있고, 스프링의 소재가 강철이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서 어린 아이들이 사용중 부딪힐 경우 충격에 의한 부상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method of processing in the form of spring ring coiling that connects the springboard and the frame, the user's skin may be bitten when the coiled part is stretched due to repetitive action, and the material of the spring is steel. Because of its high strength, there is a risk of injury due to impact if young children collide during use.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스프링 대용으로 탄성밴드나 탄성끈을 사용하여 도약판과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일체로 감아 고정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거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램펄린이 개시된 바 있다.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ampolin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n elastic band or an elastic string is used as a substitute for a spring to be integrally wound and fixed to a spring board and a fram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or preventing injury.

그러나 코일링 된 스프링은 균일한 탄성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탄성밴드나 탄성끈은 균일한 탄성강도를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while a coiled spring can maintain a uniform elastic strength,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elastic strength with an elastic band or an elastic strap.

즉, 탄성밴드나 탄성끈을 도약판과 프레임에 일체로 연결할 경우 하나의 탄성밴드나 탄성끈을 연속적으로 감아 연결하는데, 이 경우 작업자의 당기는 힘이나 여러 요인에 의하여 탄성밴드나 탄성끈의 탄성이 어느 한쪽으로 쏠려서 균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an elastic band or elastic strap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pringboard and the frame, one elastic band or elastic strap is continuously wound and connected. In this cas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or elastic strap depends on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or or various factors. It becomes impossible to fabricate it so that it has a uniform elasticity by being pulled to one side.

또한, 설사 탄성력을 균일하게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반복적인 동작에 의하여 탄성력이 어느 한쪽으로 쏠림될 우려가 여전히 상존하며, 특히 성인의 체중을 기준으로 탄성력을 설정한 경우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기에는 탄성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반면에 어린이의 체중을 기준으로 탄성력을 설정한 경우 성인이 사용할 경우에는 도약판이 지면까지 닿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lastic force is uniformly set, there is still a concern that the elastic force may be shifted to either side due to repetitive motions.Especially, when the elastic force is set based on the weight of an adult, the elastic force is too strong to be used by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force is set based on the child's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ringboard reaches the ground when used by an adult.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단지 탄성시트의 직경에 따라서 탄성력을 달리하여 어린용과 어린이용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이럴 경우에는 구매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져다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marketed for children and children only by varying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elastic sheet, but in this case, a problem such as bringing an economic burden to the purchaser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과 도약판을 탄성밴드로 간단하게 조립가능하면서도 사용자의 체중에 맞추어 탄성력을 조절가능토록 함은 물론, 또는 탄성력이 서로 다를 경우에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절 가능토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frame and the springboard can be simply assembled with an elastic band, and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It was made to be adjust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도약판을 배치하되 도약판의 테두리에는 프레임과 도약판을 탄성밴드로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리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도약판에서 도약시 힘의 방향이 작용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획하여 탄성밴드으로 탄성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탄성밴드으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탄성밴드가 탄성밴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면서도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약판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소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rame made of a polygon and a legres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or detachably provided by assembly, and a springboard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On the rim, a plurality of ring means is formed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springboard with an elastic band, and the elastic bands divide an area based on a center point at which the direction of force acts when jumping from the springboard, so that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can be elastically connected thereto. It is divided into elastic bands of, and the user is equipped with an adjustment element capable of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while allow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elastic bands to be connected and fix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The elastic force can be easily adjusted.

본 발명의 트램펄린에 의하면, 도약판의 탄성력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i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nyone of all ages.

또한, 체중에 관계없이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성인이나 아이가 모두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가 다이어트를 할 경우에 체중의 변화에 따라 도약판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늘 동일한 느낌으로 도약운동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highly usable because both adults and children can use it by adjusting the elasticity regardless of the weight, and when the user goes on a diet, the springboard's elasticity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weight to always make a leap forward with the same feeling. can do

또한, 도약판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균형감각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트램펄린을 이용할 경우에 착지지점이 일측으로 치우쳐 탄성력에 쏠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치우치는 부분의 탄성밴드나 탄성끈을 더욱 당겨서 고정함으로써 일측변의 탄성력을 높여 정위치 도약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and when a user with a poor sense of balance uses a trampoline, the landing point may be skewed to one side and the elastic force may be concentrated. By further pulling and fix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one side to enable a jump motion in a fixed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트램펄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램펄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밴드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조절요소의 구조도
도 5는 도 4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조절요소를 이용한 탄성밴드의 길이조절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조절요소의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조절요소의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권취수단의 장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조절요소의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도약판에 인쇄면이 형성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
1 is an exterior perspective view of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elastic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justment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Figure 4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elastic band using the adjustment element of Figure 4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justment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Figure 7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justment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Figure 9
Figure 11 is a state diagram of the mounting of the wind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justment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in which a printing surface is formed on a spring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ate diagram in use of FIG. 13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램펄린은 프레임(100)과, 다리대(200)와 도약판(300)과, 탄성밴드(400)와, 고리수단(500) 및 조절요소(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leg rest 200 and a jump plate 300, an elastic band 400, a ring means 500, and an adjustment element 600. ) Can be included.

프레임(100)은 금속재의 원형 파이프로 제작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6등분 또는 8등분되어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00 may be made of a circular pipe made of metal,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at is radially divided into 6 or 8 divis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frame.

다리대(200)는 프레임(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프레임이 지면으로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리대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등분된 모서리부분에 각각 다리대가 구비될 수 있다.The leg rest 200 protrud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0 to keep the frame floating on the ground, and the leg res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gs. A stand may be provided.

또한, 다리대(200)는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다리대(200)가 조립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다리대(200)가 프레임의 하단에 조립된 상태에서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g rest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or the leg rest 200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0 by assembling, or the leg rest 200 is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in the state.

도약판(300)은 탄성작용에 의하여 사용자가 도약판(300)을 밟고 반복적으로 뜀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도약판(300)의 테두리가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도약판(300)이 프레임(10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탄성작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springboard 300 is to enable the user to step on the springboard 300 and repeatedly perform a leap operation by an elastic action, and the border of the springboard 300 is fixed to the frame 100 so that the springboard 300 is framed ( By placing it in the center of 100), it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operated.

상기 프레임(100)과 도약판(300)은 탄성밴드(400)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탄성밴드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일정한 폭을 갖는 형태를 지칭하며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의 탄성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The frame 100 and the springboard 300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band 40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and refers to a shape having a certain width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ncludes an elastic strap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It is interpreted as a concept.

상기 탄성밴드(400)는 프레임(100)과 고리수단(500)을 반복하여 권취하면서 탄성밴드(4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중앙에 도약판(300)을 배치하기 위하여 탄성밴드(400)가 끼워질 수 있게 도약판(300)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고리수단(5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band 400 may be coupled to the elastic band 400 while repeatedly winding the frame 100 and the ring means 500, and in order to place the jump plate 300 in the center of the frame 100, the elastic band A plurality of ring means 50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jump plate 300 so that the 400 can be fitted.

이때, 상기 탄성밴드(400)는 도약판에서 도약시 힘의 방향이 작용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등분되어지게 영역을 구획하여 탄성밴드으로 탄성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탄성밴드(400)가 3등분 또는 4등분 등으로 복수의 탄성밴드로 나누어여 도약판의 테두리를 구획하여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band 400 may be elastically connected by an elastic band by dividing an area so that the area is divid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where the direction of force acts when jumping from the jump plate, and for this purpose, the elastic band 400 is divided into 3 equal parts. Alternatively,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in quarters, etc., the border of the springboard can be divided and fix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탄성밴드(400)는 탄성밴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조절요소(600)가 장착되어 임의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elastic bands 400 divided into a plurality may be provided with adjustment elements 600 at one or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so that the length can be arbitrarily adjusted.

조절요소(600)는 탄성밴드의 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약판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탄성밴드(400)의 일측 단부에만 조절요소(600)가 구비되는 경우 타측단부는 봉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adjustment element 600 fixes the end of the elastic band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When the adjustment element 600 is provided only at one end of the elastic band 400 The other end may be fixed by a bar.

탄성밴드(400)의 양측 단부에 조절요소(600)가 구비되는 경우 양측에 장착되는 조절요소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밴드의 길이만으로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adjustment elements 60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400,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only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fixed to any one of the adjustment elements mounted on both sides.

이때, 도약판(300)의 테두리(310) 이면이나 상면으로 탄성밴드(400)가 프레임에 연결될 경우 수직으로 끼워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수단(500)이 봉착되어지고, 상기 고리수단(500)에 의하여 프레임(100)과 연결된 탄성밴드(4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는 조절요소(6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elastic band 400 is connected to the frame on the back or upper surface of the rim 310 of the springboard 300, the ring means 500 is sealed so that it can be vertically inserted and connected, and the frame by the ring means 500 One or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400 connected to the 100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adjustment element 600.

이때, 상기 탄성밴드(400)는 프레임(100)과 고리수단(500)을 교차하여 연속 반복적으로 권취되되 탄성밴드가 조절요소(600)에 고정되기 이전에는 권취된 부분이 엇갈리게 맞물림되어 도약판에 하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탄성밴드이 쏠리면서 탄성력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가 균일한 탄성력을 유도할 수 있게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band 40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wound by crossing the frame 100 and the ring means 500, but before the elastic band is fixed to the adjustment element 600, the wound portion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load the springboard. Even if this occurs repeatedly, the elastic band may be shifted and the elastic force may not be biased to any one side, and a uniform elastic force may be induced as a whole.

또한, 상기 조절요소(600)는 도약판(300)에 봉재수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절요소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약판의 테두리에 보강띠(330)를 형성하여 그 보강띠에 함께 봉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element 600 is connected to the jump plate 300 by a sewing means, an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adjustment element, a reinforcing strip 330 is formed on the rim of the jump plate to be seal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strip. have.

즉, 본 발명에서의 조절요소(600)는 도약판(300)에 후술하는 고정띠(622)에 의하여 봉재수단으로 연결되어지는 밴드타입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조절요소(600)의 보강이 가능하게 도약판(300)의 테두리(310)에 보강띠(330)를 형성한 상태에서 조절요소(600)를 고정띠(622)를 이용하여 봉착토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요소(600)에 고정되는 탄성밴드(400)는 일측 또는 양측의 단부가 끼움되어 후술하는 걸림편(630), 클램퍼(640) 등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adjustment element 60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jump plate 300 in a band type connected by a bar means by a fixing band 622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this time, the adjustment element 600 can be reinforced.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strip 330 is formed on the rim 310 of the springboard 300, the control element 600 can be sealed using the fixing strip 622, and is fixed to the control element 600. The elastic band 4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in a state in which one or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400 are fitted and fixed by a locking piece 630, a clamper 640, or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보강띠(330)는 탄성력이 없는 것 즉 신축되지 않는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조절요소(6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등의 강도가 높은 다양한 소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strip 330 may be made of a fabric that does not have elasticity, that is, does not stretch, and the control element 6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a met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as a raw material.

조절요소(600)의 상세한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측판(610)이 구비되고, 그 양측의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봉재편(620) 및 걸림편(630)이 구비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adjustment element 600 is provided with side plates 610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bar piece 620 and a locking piece 630 to connect the frames on both sides thereof. Can be.

상기 봉재편(620)에는 고정띠(622)가 말려 고정되며 고정띠는 도약판(300)의 테두리에 구비된 보강띠(330)에 일체로 봉재될 수 있다. A fixing strip 622 is rolled and fixed to the bar piece 620, and the fixing strip may be integrally sealed with a reinforcing strip 330 provided on an edge of the jump plate 300.

봉재편(620)의 타측으로는 탄성밴드(40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편(6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밴드(400)를 걸림편(630)에 말아서 고정함으로써 도약판(300)의 탄성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임의로 탄성밴드(400)가 풀려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밴드(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rod piece 62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630 for fixing the elastic band 40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300 by rolling and fixing the elastic band 400 on the locking piece 630 In the adjusted state,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prevent the elastic band 400 from being loosened and stretched, and at the same time, if necessar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400 to adjust the elastic force.

상기 걸림편(6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610) 내에서 복수의 걸림편(630)이 형성되어 탄성밴드(400)가 권취되는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밴드(400)가 걸림편(630)에 걸려 고정될 때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cking piece 630 is formed in the side plate 610 as shown in Figs. 7 and 8, a plurality of locking pieces 630 are formed so that the elastic band 400 can be wound in various shapes and elasticity When the band 400 is caught and fixed by the locking piece 630, it can be fixed more firmly.

그리고 상기 걸림편(630)은 탄성밴드(400)의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편(630)이 탄성밴드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6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cking piece 630 has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elastic band so that it does not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400 is adjusted.

따라서 탄성밴드(400)가 프레임과 도약판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는 탄성밴드와 거의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되어 탄성밴드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밴드(4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조절요소(600)를 기울여 젖혀서 탄성밴드가 장착된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면 탄성밴드(400)가 조절요소(600)로부터 풀려져 느슨하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탄성밴드의 단부를 잡아당겨서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lastic band 400 is pulled toward the frame and the springboard, it is supported so as to be almost horizontal to the elastic band, so that the elastic band can be prevented from loosening arbitrarily, and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400 is to be adjusted, the user can adjust it. When the element 600 is tilted and tilt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n which the elastic band is mounted, the elastic band 400 is released from the adjustment element 600 and becomes loose, and in that state, the user can remove the end of the elastic band. By pulling it, you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이때, 상기 걸림편(630)에는 탄성밴드(400)와 맞닿은 면에 요철부(6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요철부(632)에 의하여 걸림편(630)과 탄성밴드(400)의 마찰되는 표면사이에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더욱 밀착된 상태로 긴밀히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iece 630 may have an uneven portion 632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and 400, and friction between the engaging piece 630 and the elastic band 400 by the uneven portion 632 It prevents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surfaces and can be tightly fixed in a tighter state.

상기 조절요소(600)에는 탄성밴드(400)의 길이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보조적인 수단으로써 클램퍼(640)가 장착될 수 있다.The adjusting element 600 may be equipped with a clamper 640 as an auxiliary means to fix the length-adjusted state of the elastic band 400.

클램퍼(640)는 탄성밴드(400)가 걸림편(630)에 고정된 상태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클램퍼(640)에 의하여 탄성밴드(400)의 표면을 더욱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며,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amper 640 is provided to more firmly fix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400 is fixed to the locking piece 630 or release the fixed state, and the surface of the elastic band 400 is further improved by the clamper 640. It is fixed by pressing and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by a hinge means,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user's one-touch operation.

또한, 상기 조절요소의 측판(610)은 도 12와 같이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612)가 형성되어 탄성밴드이 걸림편에 말아 고정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시 탄성밴드을 인출한 상태에서 쉽게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610 of the adjustment element may be mounted so as to be able to be pulled out in a lateral direction while a partially cut-out cutout 612 is formed as shown in FIG. 12 so that the elastic band is rolled and fixed to the locking piece. Therefore, the length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the elastic band is pulled out during length adjustment.

또한, 상기 조절요소(600)는 도 11과 같이 탄성밴드(400)의 말단에 구비되는 권취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권취수단(650)은 길이 조절을 한 이후에 남겨지는 탄성밴드(400)의 여유부분이 너덜거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탄성밴드(400)이 걸림편에 말려 고정될 때 진입되는 부분과 인출되어진 부분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탄성밴드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임의로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element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nding means 650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band 400 as shown in FIG. 11. This winding means 650 prevents the excess part of the elastic band 400 left after the length adjustment is tattered, or when the elastic band 400 is rolled and fixed on the locking piece, the entry part and the extracted part are It can be used to make the fixed state of the elastic band more rigid and prevent it from loosening arbitrarily by being interconnected.

상기 권취수단(650)은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리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밴드(400)의 말단에 장착되어 탄성밴드의 여유분을 말아서 정리할 수 있다.The winding means 650 may be provided with a ring made of an annular shape, and may be mounted on the end of the elastic band 400 to roll up the margin of the elastic band.

한편, 상기 도약판(3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반복 도약시 착지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유도하기 위하여 도약판의 중심부에 인쇄면(340)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pringboard 300 may be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340 at the center of the springboard in order to visually check and guide the landing point when the user repeatedly leaps, as shown in FIGS. 13 and 14.

즉, 균형감각이 떨어지는 어린아이가 트램펄린을 이용할 경우 일측으로 치우치게 착지하게 되는 데 이때 트램펄린의 바깥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어린아이가 중심점에 인쇄된 인쇄면(340)를 확인하여 다음 착지지점을 중심으로 뛸 수 있게 도움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뜀놀이를 가능토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child with a low sense of balance uses the trampoline, it lands lean to one side.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child from being bounced out of the trampoline, the child checks the printing surface 340 printed on the center point and determines the next landing point. By helping them to run around the center, they made it possible to stably jump.

또한, 인쇄면(340)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트램펄린에 새로운 미감을 부여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printing surface 340, it is possible to give a new aesthetic sense to the trampoline and provide a variety of designs.

100: 프레임
200: 다리대
300: 도약판 310: 테두리
330: 보강띠 340: 인쇄면
400: 탄성밴드
500: 고리수단
600: 조절요소 610: 측판
620: 봉재편 622: 고정띠
630: 걸림편 632: 요철부
640: 클램퍼 650: 권취수단
100: frame
200: leg rest
300: springboard 310: border
330: reinforcement strip 340: printing side
400: elastic band
500: ring means
600: adjustment element 610: side plate
620: sewing piece 622: fixed strip
630: jamming piece 632: irregularities
640: clamper 650: winding means

Claims (7)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0)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대(20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도약판(300)이 배치되되 도약판의 테두리에는 프레임과 도약판을 탄성밴드(400)로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고리수단(50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400)는 도약판에서 도약시 힘의 방향이 작용하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획하여 탄성밴드으로 탄성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탄성밴드으로 분할되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탄성밴드(400)는 탄성밴드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연결 고정되되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약판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소(600)가 장착되어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펄린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600)는 도약판(300)의 테두리에 보강띠(330)를 덧대어 봉재수단으로 연결되고, 조절요소(600)는 측판(610)의 일단에 고정띠(622)을 이용하여 말아서 프레임을 도약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봉재편(620)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타단에는 탄성밴드(400)를 말아 고정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걸림편(630)이 형성되어 탄성밴드(400)를 선택적으로 말아 고정하고,
상기 탄성밴드(400)는 도약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등분되어지게 영역을 구획한 상태에서 탄성밴드(400)가 프레임(100)과 고리수단(500)을 교차하여 연속 반복적으로 권취되되 탄성밴드이 조절요소(600)에 고정되기 이전에는 권취된 부분이 엇갈리게 맞물림되어 도약판에 하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탄성밴드가 쏠리면서 탄성력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가 균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유도하고,
상기 걸림편(630)은 탄성밴드(400)의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편(630)이 탄성밴드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밴드(400)가 양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는 수평을 이룬 상태로 당겨 고정되어 탄성밴드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밴드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조절요소(600)를 기울여 젖혀서 탄성밴드가 풀린 상태에서 탄성밴드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펄린.
A frame 100 made of a polygon and a leg 200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or detachably provided by assembly are provided,
A jump plate 30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100, and a plurality of ring means 500 is formed at the rim of the jump plate to connect the frame and the jump plate with an elastic band 400, and the elastic band 400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so as to be elastically connected by an elastic band by dividing an area based on a center point where the direction of force acts when jumping from the spring board, and each elastic band 4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is one side of the elastic band. Alternatively, in the trampoline, which is connected and fixed to both ends, but is equipped with an adjustment element 600 capable of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boar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so that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The adjustment element 600 is connected by a sewing means by attaching a reinforcing strip 330 to the rim of the jump plate 300, and the adjusting element 600 is rolled using a fixing strip 622 at one end of the side plate 610. A bar piece 620 is formed to fix the frame to the springboard, and a locking piece 630 is formed to adjust the length while rolling and fixing the elastic band 400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to selectively select the elastic band 400 Roll it up and fix it,
The elastic band 40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wound by crossing the frame 100 and the ring means 500 while the elastic band 400 crosses the frame 100 and the ring means 500 in a state in which the area is divide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spring board. Before being fixed to the adjustment element 600, the wound par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load is repeatedly generated on the springboard, the elastic band is pulled and the elastic force is not biased to any one side, and the whole is induced to have a uniform elastic force,
The locking piece 630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elastic band so that the locking piece 630 does not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400 is adjusted, so that the elastic band 400 is horizontal when the elastic band 400 is pulled to both sides. It is pulled and fixed in a state to prevent the elastic band from loosening arbitrarily, and only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the user tilts the adjustment element 600 and tilts the elastic band so that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is adjusted while the elastic band is released. A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요소(600)에는 탄성밴드(400)의 길이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퍼(6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펄린.The trampol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lamper (640) for fixing the length-adjusted state of the elastic band (400) is formed on the adjustment element (60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판(300)은 사용자가 반복 도약시 착지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유도하기 위하여 도약판의 중심부에 인쇄면(3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트램펄린.The trampol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board 300 is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340 in the center of the springboard in order for the user to visually check and guide the landing point during repeated leaps.
KR1020180122858A 2018-10-15 2018-10-15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KR102234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8A KR102234668B1 (en) 2018-10-15 2018-10-15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858A KR102234668B1 (en) 2018-10-15 2018-10-15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59A KR20200042359A (en) 2020-04-23
KR102234668B1 true KR102234668B1 (en) 2021-03-31

Family

ID=7047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858A KR102234668B1 (en) 2018-10-15 2018-10-15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6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907A (en) * 1999-07-30 2001-02-13 Akabane Kogyo Kk Jumping boad
JP2013504392A (en) * 2009-09-14 2013-02-07 マーク ダブリュー パブリカバー Rebounding device with tensioned elastic cord
US20180290007A1 (en) * 2017-04-10 2018-10-11 DV LV Limited Adjustable exercise suspens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68A (en) * 1991-09-27 1993-04-20 모리 히데오 Novolak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907A (en) * 1999-07-30 2001-02-13 Akabane Kogyo Kk Jumping boad
JP2013504392A (en) * 2009-09-14 2013-02-07 マーク ダブリュー パブリカバー Rebounding device with tensioned elastic cord
US20180290007A1 (en) * 2017-04-10 2018-10-11 DV LV Limited Adjustable exercise suspens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59A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532B2 (en) Trampolin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US20050148433A1 (en) Water trampoline
EP2540353B1 (en) Trampoline equipped with a protective circular net
EP2359912B1 (en) Trampoline with collapsible enclosure assembly
US20060148620A1 (en) Trampoline system with systematically phased spring elements
US7850575B1 (en) Trampoline surrounding net bracing structure
CN210331490U (en) Trampoline
EP0640306A2 (en) Swing
US20160089565A1 (en) Support Belt
US8936533B2 (en) Trampoline with dual spring elements
KR102234668B1 (en) Trampoline with adjustable elasticity
KR101999475B1 (en) Trampoline
KR20210081373A (en) Stable movable trampoline
WO2020254717A1 (en) A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trampoline and a trampoline
CN203043394U (en) Trampoline system, safe fence and edge protection element
US3372926A (en) Playground and gymnastic equipment for tumbling exercises
GB2235389A (en) Trampoline
EP3746189B1 (en) Safety net for a trampoline and a trampoline having a safety net
EP3417916B1 (en) Trampoline enclosure system
AU2019387146B2 (en) Trampoline
CN213220832U (en) Be applied to basketball hoop of trampoline
KR200490424Y1 (en) Trampoline combined desk
KR200495328Y1 (en) Trampoline with removable connections
WO1987006480A1 (en) Rebound exerciser
KR200281072Y1 (en) Vaulting ho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