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49B1 - Variable Roof Drain - Google Patents

Variable Roof D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49B1
KR102234349B1 KR1020190012670A KR20190012670A KR102234349B1 KR 102234349 B1 KR102234349 B1 KR 102234349B1 KR 1020190012670 A KR1020190012670 A KR 1020190012670A KR 20190012670 A KR20190012670 A KR 20190012670A KR 102234349 B1 KR102234349 B1 KR 10223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socket
lower body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5062A (en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필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산업(주) filed Critical 필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1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49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길이조절관으로 활용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루프 드레인의 높이를 간단하게 정확히 맞출 수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할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길이(높이)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의 소재를 채용토록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또한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change of the insulation layer regardless of the method of drilling a through hole through a temporary pipe for replacement of drainage pipes in the lower formwork when forming the concrete layer on the slab or without drilling through holes in the temporary pipe in the lower formwork. It is about a variable roof drain that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by length and discharged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by condensation to the outside without residual water. It is exposed to the drainage channel on the surface of the finish lay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and A drain cap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therein; An upper body buried in a hea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lange portion formed there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cap, and having a hollow connecting pipe for sending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drain cap to the lower side; A length control pipe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upper end part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of the upper body, and cutting the upper and lower bodies to match the 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accor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 socket par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ngth control pipe and having a drain hole for introducing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send the condensation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to the lower body; Contained in the concrete layer and the second waterproof layer,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at the top and having a hollow connecting pipe coupled to the drain pipe at the lower portion; including, and is made easily in the field without a separate processing operation By using the available closed pipe as a length control pipe, the height of the roof drain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djusted to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lower body is always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ocket without remaining condensation water in the insulation layer. By being able to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side,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eroding various side effects caused by condensation water, the length (height) control means is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of drain and the overall load of the slab is minimized by adopting a lightweight material.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cost redu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In addition, since it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onnects the pipe part and the pipe part in a prefabricated manner, even a beginner who is not a skilled person can install it steadily with only simple operation.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Description

가변형 루프 드레인{Variable Roof Drain}Variable Roof Drai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을 이루는 슬래브에 매설되어 오수나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 drain that is buried in a slab forming a roof or roof of a building to discharge sewage or rain to the outside.In particular, when forming a slab-shaped concrete layer,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temporary pipe for replacement of a drain pipe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formwork. Regardless of the method of construction without drilling or drilling through holes of temporary pipes in the lower formwork,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water condensation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kept externally without residual water. It relates to a variable loop drain that can be discharged.

일반적으로 다가구주택이나 빌딩, 지하구조물, 공동 주택 등의 지붕이나 옥상은 철근이 들어간 콘크리트층 위에 외기의 냉, 온기를 차단하는 단열층과 오수나 빗물과 같은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층을 비롯해 미장층에 이르기까지 여러 층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의 슬래브는 사용 목적, 용도 및 기온차가 심한 지역적 여건 등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두께와, 단열층 및 방수층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단열층을 하나 이상의 복수층으로 겹 형성하고 있다.In general, roofs or rooftops of multi-family houses, buildings, underground structures, and apartment houses are plastered, including an insulation layer that blocks the cooling and warmth of outside air on a concrete layer containing reinforced steel, and a waterproof layer that prevents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such as sewage or rainwater. In general, the roof or roof slab of a building is formed in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concrete layer,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waterproof laye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use, and regional conditions with severe temperature differences, or the insulation layer. Is formed in layers of one or more layers.

이러한 슬래브에는 대기에 노출되어 눈이나 비를 맞게 되는데, 통상 눈 녹은 물이 지붕이나 옥상에 쌓여 있던 대기물과 섞인 오염된 오수나 빗물과 같은 우수를 수집하여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로와 루프 드레인과 같은 배수구조물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These slabs ar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are subject to snow or rain.In general, drainage channels and roof drains are used to collect rainwater such as polluted sewage or rainwater mixed with atmospheric matter accumulated on roofs or rooftops,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quickly. It is required to install drainage structures such as

그러나 슬래브는 대기에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눈이나 빗물을 비롯해 계절별로 각기 다른 온도를 가지게 되기 마련인데, 특히 배수구조물의 루프 드레인이 설치된 슬래브상의 단열층 부근은 장마나 태풍으로 인한 굵은 비를 동반하거나 눈, 등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 있어서는 대기층(미장층)과 콘크리트층 간을 비롯해 내, 외부와 연결되는 루프드레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심한 기온격차가 발생되어 자연적으로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결로현상에 의한 결로수는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과 루프 드레인의 사이를 통해 천정에 도달하게 되어 그 주변을 인체에 해로운 곰팡이로 오염시키고 콘크리트층을 균열시키거나 응집력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because the slab is constantly exposed to the atmosphere, it will have a different temperature for each season, including snow or rain.In particular, in the vicinity of the insulation layer on the slab where the roof drain of the drainage structure is installed, it is accompanied by heavy rain due to rainy season or typhoon or snow. In cold seasons such as in winter, condensation occurs naturally and condensation occur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roof drain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as well as between the atmospheric layer (paste layer) and the concrete layer. Condensation water reaches the ceil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oncrete layer on the slab and the roof drain,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area with mold harmful to the human body, causing problems such as cracking the concrete layer or damaging the cohesion. This will have to be provided.

또한 지붕이나 옥상의 슬래브 역시 사용 목적, 용도 및 기온차가 심한 지역적 여건 등에 따라 현장에 맞게 콘크리트층의 두께와, 단열층 및 방수층의 두께를 더 두텁게 변경 형성할 때에도 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맞출 수 있는 루프 드레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roof drains that can be adjusted to the corresponding length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waterproof layer are changed to fit the sit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use, and regional conditions with severe temperature differences. Will have to be presented.

상기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 즉, 결로수 처리와 슬래브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는 종래 기술의 일예시로, 본인이 개발하여 선출원한 공개특허 제10-2009-0078535호의 루프 드레인이 제안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or matching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corresponding to the two problems described above, namely, the condensation water treatment and the thickness change of the slab, the roof drai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078535 It has been proposed.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에 매설되는 제1바디의 플랜지와 단열층에 매설되는 제2바디의 플랜지에 복수의 체결공과 관통공을 형성하고 배수캡의 체결공에 맞추어 장볼트를 끼워 이 장볼트를 조이고 푸는 형태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출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제1바디의 내벽에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는 형태로 드레인의 길이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제1바디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와 다단 높이조절홈이 형성된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여 단열층 두께에 루프 드레인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중공관부의 유입구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of the first body buried in the concrete layer and the flange of the second body buried in the insulation layer, and long bolts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drain cap.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by tightening and releasing the long bolt by inserting it, or by fitting the hollow tube of the second body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body. In addition, the inlet for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and the hollow pipe part of the second body with multi-stage height adjustment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body to adjust the roof drain length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inlet of the hollow pipe part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condensation water through.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예로,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내벽에 나사탭이 형성된 소켓(커플링)에 축결합하여 제2바디를 좌,우 회전하여 루프 드레인의 설치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방안도 제시된 바 있으며, 또한 상기 예시된 방법과는 달리 소켓을 생략하되, 제1바디의 관부 내벽 또는 외벽과, 제2바디의 내벽 또는 외벽에 각각 나사탭을 형성하여 제2바디를 좌, 우회전하는 형태로 하거나 하나 이상의 이음관을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적층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맞게 루프 드레인의 설치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방안도 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it is axially coupled to a socket (coupling) in which a screw tap is formed on the inner wall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is rotated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roof drain. A plan has also been suggested, 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socket is omitted, but the second body is rotated left and right by forming screw tabs on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f the pipe part of the first body, and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f the second body. There has also been proposed a method to adjust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roof drai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by stacking one or more joint pipes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그러나 상기에 종래 기술로 예시된 배수캡의 체결공에 맞추어 장볼트를 조이고 푸는 형태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는 타입이나 제1바디의 내벽에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는 형태,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내벽에 나사탭이 형성된 소켓(커플링)에 축결합하는 형태 및 소켓을 생략하되, 제1바디의 관부 내벽 또는 외벽과, 제2바디의 내벽 또는 외벽에 각각 나사탭을 형성하여 제2바디를 좌, 우회전하는 형태이거나 하나 이상의 이음관을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적층하는 형태는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드레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길이조정을 위한 부대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조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in the form of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long bolts in accordance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drain cap exemplified in the prior art, or the hollow pipe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body. Shape, shaft coupling to a socket (coupling) formed with a screw tap on the inner wall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ocket is omitted, but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f the pipe part of the first body and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of the second body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is in the form of rotating the second body left and right by forming screw tabs on each side, or stacking one or more joint pipes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uxiliary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is complicated, and the length cannot be adjus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나아가 종래 기술들은 단열층에서 형성되는 결로수를 배수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주철형태의 루프드레인을 부식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제1 바디 내지 제2바디에 루프드레인의 길이 조절 수단을 두기 위해 세심한 정밀작업을 통해 가공하거나 구현해야 하는 등, 가공상의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뒤 따르는가 하면, 여러 공정을 통해 제작해야 하므로서 제품단가를 결코 낮출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the prior art lacks a structure for draining the condensation water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which corrodes the cast iron-shaped roof drain to shorten the lifespan, and also provides a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in the first body to the second body. In order to be processed or implemented through meticulous precision wor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can never be lowered because it has to b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es, while the hassle and difficulty of processing are followed.

또한 제1바디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 기능을 겸한 다단 높이조절홈이 형성된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여 제2바디를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단열층 두께에 루프 드레인 길이를 조정하고 유입구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있어서도 제2바디의 중공관부 역시 주철형태로 중량의 두터운 두께로 성형 제작되는데 이러한 중량의 제2바디를 회전시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기는 결코 쉬운 것이 아닌 한편, 등간격으로 다단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높이조절홈 간에 등간격이 어느 정도 존재하여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정밀하게 맞출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단열층의 두께를 더 두텁게 할 경우 복수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도록 하므로서 슬래브상의 하중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hollow pipe part of the second body with a multi-level height adjustment groove that functions as an inlet for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to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body,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is adjusted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is rotated. In the technology that adjusts and allows the condensation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the hollow pipe part of the second body is also molded to a thick thickness of the weight in the form of cast iron, and the roof drai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by rotating the second body of this weight. While it is not easy to match the length of the roof,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cannot be precisely matched to the chang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due to the existence of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and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equal intervals. Further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made thick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on the slab is further increas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of drain by using a plurality of joint pipes.

더욱이 종래 기술은 제2바디의 중공관부 및 이음관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와 다단 높이조절홈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제2바디를 성형시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천공기 등의 2차 작업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작업성을 요하는 만큼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작코스트를 상승시키는 문제점 외에도 다단으로 형성된 높이조절홈의 상단에 제1 바디의 걸림돌기가 위치할 경우, 결로수의 유입구가 방수층 위의 단열층 내에 위치하게 되어 오로지 상단에 위치한 높이조절홈을 통해서만이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단열층과 방수층 사이의 결로수는 완전히 배출할 수 없는 기술적 단점으로 인해 루프 드레인의 제1바디가 매설된 부근의 콘크리트층을 하단의 높이조절홈이 있는데 이르기 까지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다시 방수층을 형성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시공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Moreover, the prior art is not formed together with the second body when forming the second body, even when forming the inlet and multi-stage height adjustment groove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ion water formed in the hollow pipe part and the joint pipe of the second body, but a second body such as a separate perforator. Since it is completed by work,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in a short time as it requires long workability, and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if the first body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ulti-stage height adjustment groove, the condensation water Because the inlet is located in the insulation layer above the waterproof layer, the condensation water between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waterproof layer cannot be completely discharged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condensation water to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located at the top. The concrete layer near where the first body of the drain is buried has a height adjustment groove at the bottom. After removing the concrete by hitting it, it has various construction problems, such as having to form a waterproof layer ag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루프 드레인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 비취된 폐관을 활용하여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따라 상, 하부 바디의 설치간격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gener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oof drain a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use a closed pipe illuminated on the site without a separate processing operation, and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accor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t is to provide a variable loop drain so that it can be accurately matched.

본 발명에 더한 목적은 단열층에서 내,외 기온차에 의해 수시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roof drain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troducing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from time to tim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layer.

본 발명에 더한 목적은 배출수의 낙차속도를 완충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loop drain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ion and reducing cost by buffering the drop rate of discharged water.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형태로 누구나 손쉽게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성 향상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roof drain in an assembly type so that anyone can easily and firmly install it, improve workability and shorten construction time.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거푸집에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의 유무에 관계없이 시공하는 설치공법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roof drain that can be applied to both the installation method of constr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ain pipe passes through the formwork.

상기한 다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은,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roof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objects includes: a drain cap exposed to a drainage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finish laye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form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 introducing sewage or rain; An upper body buried in a heat insulating layer and having a flange portion formed there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cap, and having a hollow connecting pipe for sending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drain cap to the lower side; A length control pipe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upper end part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of the upper body, and cutting the upper and lower bodies to match the 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accor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A socket par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ngth control pipe and having a drain hole for introducing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to send the condensation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to the lower body; And a lower body which is buried in the concrete layer and the second waterproof layer, and has a hollow connection pip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at the upp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drain pipe at the lower portion.

상기에서 소켓부는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과; 상기 안착관부와 소구관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소구관의 둘레면에 복수의 배수공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ocket portion and a seating pipe portion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A small hole pipe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ipe portion of the low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plate portion protrud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the globular tube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body, and is configured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lobular tube .

또한 상기에서 소구관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은 제2방수층의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globules are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urface of the second waterproof layer.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과; 상기 안착관부와 소구관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부의 원주면에 걸쳐 복수의 배수공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cket portion and a seating pipe portion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A small hole pipe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pipe portion of the low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plate portion protrud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the small hole pipe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drill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t equal intervals 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안착관부는 내둘레에 길이조정관의 하단이 상기 소구관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단턱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ocket portion seating pipe portion to block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from entering the globular pipe side.

상기에서 길이조절관은 현장에 비취된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 또는 합성수지로 피복된 강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길이조절관의 상단내경은 상부 바디의 연결관 외경에 준한 구경이고, 하단의 외경은 소켓부의 안착관부의 내경과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켓부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없는 합성수지가 피복된 금속재이거나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없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the length control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pipe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shed on the site or a steel pipe coated with synthetic resin, and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length control pipe i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of the upper body,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art of the socket part, and the socket par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tha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nd is not corrosive, o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nd is not corrosiv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소구관은 플레이트부가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에는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부의 고정수단은 플레이트부 하부에 원주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레이트부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cke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so as to be supported in the hollow pipe portion of the lower body while the plat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of the lower body in the plate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and the fixing means of the socket part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t equal intervals 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under the plate part, and forming a fastening groove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of the lower body corresponding there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crew holes at equal intervals in the plate portion or by fastening it to a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of the lower body with bolts.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플레이트부와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 사이 및 상기 길이조절관의 상,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바디의 연결관부와 소켓부의 안착관부 간에는 배출수의 역류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접착성 충진재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plate part of the socket part and the receiving groove part of the lower body, an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part of the upper body and the seating pipe part of the socket part coupl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leakage due to the reverse flow of discharged water is prevented and airtightness is ensured betw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iller for holding is appli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상, 하부바디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ccurately match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by cutting the closed pipe,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at the site without a separate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insulation layer remains. As it can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lower body side at all times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ocket part without a box,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side effects caused by condensation water can be encroached.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상,하부바디 간의 간격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화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손쉽게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and reduces the weight of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di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of drain,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load of the slab,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cost reduction. Since it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pipe and the pipe are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n addition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nd firmly install even a beginner who is not an exper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종래의 루프 드레인을 일예시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 조립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를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적용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oop drain as an example.
2 is a block diagram of a variable loop drain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loop drai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loop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lab.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which a socket part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ariable loop drai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loop drain of FIG. 5 is installed on a slab.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erms or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d is not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나아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Furtherm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의 분리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의 조립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separate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riable loop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loop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loop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la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캡(10)과, 상부바디(20)와, 길이조절관(30), 소켓부(40), 하부바디(50)를 포함하고 있다.Variable roof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drain cap 10, the upper body 20,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the socket portion 40, It includes a lower body (50).

상기의 배수캡(10)은 미장층(S1)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른 오수나 우수를 상부바디(20)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둘레 및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배수공(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캡(10)의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볼록한 돔형태나 원통형 또는 납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중, 어떤 형태의 것을 채용하더라도 공통적으로는 하단부에 상부바디(20)와 결합시에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강테(12)가 형성되고, 또 상기 보강테(12)의 외둘레면에는 상기바디(20)의 수납부(23) 갯수와 상응하게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대(13)를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ainage cap 1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drainage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plastering layer S1, so that the drainage holes 11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and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induce sewage or rainwater that has filtered foreign substances to the upper body 20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drain cap 10, it may be configured in a convex dome shape widely used in the art, a cylindrical shape, or a flat shape. A reinforcing frame 12 is formed to prevent shape deformation from occurring when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12 at equal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ceiving portions 23 of the body 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frame 12 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he fixing table (13).

또한 상기한 상부바디(20)는 제1방수층(S2) 및 단열층(S3)에 매설되고 상기 배수캡(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캡(10)의 배수공(11)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에 설치되는 길이조절관(30)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에 배수캡(10)을 수납하고 유입수를 내부로 유도하는 플렌지부(21)와, 하부에 내부가 중공형태로 관통된 연결관(26)을 포함하여 주물형태로 성형 제작된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20 is buried in the first waterproofing layer (S2) and the insulating layer (S3) and installed under the drain cap 10 to reduce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1 of the drain cap 10 to the bottom. It performs the role of transmitting to the side of the length control pipe 30 installed in the upper, the flange portion 21 that accommodates the drain cap 10 and guides the inflow water into the inside, and the inside is penetrated in a hollow shape at the bottom. It is molded and manufactured in a casting form including the connection pipe 26.

상기 플렌지부(21)의 구체적으로는, 배수캡(10)의 보강태(12) 및 고정대(13)가 안치되는 안착부(22) 및 수납부(23)와, 제1방수층(S2)이 포설되는 테두리부(25)와, 오수나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28)와, 상기 안착부(22)와 집수부(28) 사이에 오수나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수직벽(24)을 더 포함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flange portion 21 has a seating portion 22 and a receiving portion 23 on which the reinforcement 12 of the drain cap 10 and the fixing table 13 are placed, and the first waterproof layer S2. A vertical wall (24) that filter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sewage or rainwater between the rim part 25 to be installed, the water collecting part 28 for collecting sewage or rainwater, and the seating part 22 and the collecting part 28 It contains more.

상기에서 플렌지부(21)의 안착부(22)에는 상기 배수캡(10)의 보강테(12)가 놓이도록 설치하고, 수납부(23)에는 상기 보강테(12)의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대(13)를 수납하여 나사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렌지부(21)의 수직벽(24)은 원주에 걸쳐 수납부(23)를 기점으로 3개가 등간격으로 입설되며, 이들 수직벽(24)의 각각마다 상부에 상기 집수부(28)의 면과 일치하는 동일 선상의 홈부(29)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오수나 우수를 상기 홈부(29)를 통해 배수캡(10)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flange portion 21 is installed so that the reinforcing frame 12 of the drain cap 10 is placed, and the receiving portion 23 has a fixing ba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frame 12 (13) is installed so as to be received and fixed with screws, and three vertical walls 24 of the flange part 21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receiving part 23 over the circumference, and these vertical walls 24 It is configured to guide sewage or rainwater to the drainage cap 10 through the groove 29 by forming the same line-like grooves 29 coinciden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28 at equal intervals on each of the upper portions. .

그리고 플렌지부(21)의 테두리부(25)와 안착부(22) 사이의 집수부(28)는 상기 안착부(22)의 바닥면보다 높게 단턱지게 형성하되, 집수된 결로수가 안착부(22)측으로 자연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28 between the rim part 25 and the seating part 22 of the flange part 21 is formed to be stepp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and the number of condensation collected is the seating part 22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it can flow naturally toward the side.

이때 상부바디(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시에 안착부(22)와 연결관(26)이 접하는 위치에 이르기 까지 단열층(S3)에 매설되며, 안착부(22) 및 플렌지부(21)의 외둘레는 미장층(S1) 및 제1방수층(S2)에 매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body 20 is buri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until it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seating portion 22 and the connecting pipe 2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and the seating portion 22 and the flange portion ( The outer circumference of 21) may be configured to be buried in the plaster layer (S1) and the first waterproof layer (S2).

이와 같이 상부바디(20)가 미장층(S1), 제1방수층(S2) 및 단열층(S3)에 설치될 경우, 플렌지부(21)의 테두리부(27)를 비롯해 안착부(22), 수직벽(24)의 홈부(29), 집수부(28)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향후에 배수캡(1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upper body 20 is installed on the plastering layer (S1), the first waterproofing layer (S2) and the insulating layer (S3), the seating portion 22, including the rim portion 27 of the flange portion 21, can be The groove portion 29 and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28 of the direct wall 24 are visual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drain cap 1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the future.

한편,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은 상부바디(20)와 소켓부(40)의 연결매개체이면서, 단열층(S3)에 매설되어 상기 단열층(S3)의 변경두께에 따라 상응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는 길이조절 부재로, 이는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이나 합성수지가 피복된 강관이 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the length control pipe 30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the upper body 20 and the socket part 40, and is buri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and cut into a corresponding length accor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As a length control member to be used, it can be a synthetic resin pipe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r a steel pipe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that can be easily obtained in the field.

이는 일측에 상기한 상부바디(20)의 연결관(26)을 끼움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여기서 길이조절관(30)의 상단내경은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의 외경에 준하거나 0.1 내지 0.2mm 정도 큰 구경으로 이루어지고, 연결관(26)이 끼움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선택되는 길이조절관(30)의 재질에 따라 역류에 의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간의 긴밀성과 견고성을 위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관(30)은 정해진 길이가 아닌 현장의 단열층(S3)의 두께에 따라 상응한 길이로 절단 사용되는 가변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현장에서 단열층(S3)의 설계두께가 아닌 설계두께보다 더 두텁게 시공해야 하거나 더 얇게 변경할 때 그 변경 두께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This is configured in a form of fitting and coupling the connection pipe 26 of the upper body 20 to one side, wherein the upper inner diameter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26 of the upper body 20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length control tube 30 selected, in the part where the connection pipe 26 is fitted and has a large diameter of 0.1 to 0.2 mm, the mutual tightness and mutual tightness are prevented so that leakage due to reverse flow is not generated. For robustness, it can be fixed by adhesive or welding. At this time, the length control pipe 30 may take a variable shape that is cut to a corresponding l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at the site rath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In other words, it is used by cutting to a length suitable for the changed thickness whe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icker than the design thickness rather than the design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S3) at the site, or when changing to a thinner thickness.

또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과 하부바디(50)의 연결매개체로, 상부로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 수납하는 안착관부(41)와, 상기 안착관부(41)보다 구경이 작은 소구관(42)과, 상기 소구관(42)의 외둘레에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걸쳐지는 플레이트부(43)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그 재질은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이거나 주물형태의 금속재로 구성하며, 이때 소켓부(40)를 금속재로 할 경우 물에 쉽게 부식되지 않는 페인트 등으로 피복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cket part 40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nd the lower body 50, and a seating pipe part 41 for inserting and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upward, and the seating Including a globular tube 42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ube part 41 and a plate part 43 spanning the receiving groove 52 of the lower body 50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lobular tube 42 The material may be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or a metal material in the form of a casting. In this case, when the socket portion 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t may be coated with a paint that is not easily corroded by water.

또한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와 소구관(42)이 접하는 위치에 단턱부(44)를 형성하여 길이조절관(30)의 단부가 소구관(42)측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고,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단열층의 결로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수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42a)를 통해 단열층(S3)에서 발생된 결로수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stepped portion 44 at a position where the seating pipe portion 41 and the globular tube 42 of the socket portion 40 contact each other, th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tube 30 is prevented from proceeding to the globular tube 42 any more.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a for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in the insulating layer at equal intervals are formed around the small hole pipe 42, and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insulating layer S3 through the drain hole 42a is removed from the lower body.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o the side of the hollow tube portion (50) (53).

또한 상기에서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관통된 복수의 배수공(42a)는 시공시에 제2방수층(S4)의 표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거나 상기 제2방수층(S4)의 표면보다 0.1mm 내지 0.3mm 정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설치하여 결로수의 잔수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배출을 이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42a penetr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globular pipe 42 at equal intervals are installed on the same line as the surface of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during construction, or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By installing it so that it is located at a position about 0.1mm to 0.3mm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condensation water, it can achieve complete discharge even to the residual water of condensation water.

또한 상기한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는 제2방수층(S4) 보다 낮은 위치에 매설되며, 하부바디(50)의 수납홈(51)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해체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수단과, 콘크리트층(S5)의 철근 등에 철사나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부(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portion 43 of the above-described socket portion 40 is buri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and is not disassembled at random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51 of the lower body 50 and is sturdy.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45 for fixing means to be fixed in such a manner as to be fixed using a wire or a fixing string, such as a reinforcing bar of the concrete layer (S5).

여기서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43)에 복수의 나사공(43a)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나사로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와 마주하는 플레이트부(43)의 저면에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상응하는 복수의 고정핀(43b)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끼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means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plate portion 43 of the socket portion 40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holes 43a in the plate portion 43 of the socket portion and Fastening grooves 52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torage grooves 52 of the lower body 50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fastened with screws, or a plate portion facing the storage grooves 52 of the lower body 50 A plurality of fixing pins 43b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s 52a of the storage grooves 52 are formed on the bottom of 43 to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52a of the storage grooves 52. have.

또한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결합하는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의 내경은 길이조절관(30)의 외경과 같거나 0.1 내지 0.3mm 정도 크게 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보다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열층(S3)의 두께에 길이조절관(30)의 길이가 크거나 짧을 경우에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거나 끼움 결합된 길이조절관(30)을 빼서 남는 길이를 절단한 후 다시 결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 of the socket portion 40 that fits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in the above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or about 0.1 to 0.3 mm,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pip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lower end of (30) to be able to fit more easily. This is,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control pipe 30 is large or short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S3), it is replaced with a new pipe, or the remaining length is cut by removing the fitted length control pipe 30 and then recombined. To be able to help.

그리고 소켓부(40)의 소구관(4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4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에 위치하되, 중공관부(53) 내에서 아무런 간섭 받지 않고 부양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이격 설치하여 소켓부(40)의 소구관(42)을 통해 내려오는 유입수가 소량이면 상기 하부바디(50)의 연결관(54)을 통해 직접 내려 갈 수도 있으나 많은 량의 유입수이라면 상기 연결관(54)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관부(53)의 바닥면(연결관의 주변)에 낙차되어 낙차된 유입수가 새로이 유입된 유입수를 완충시켜 연결관(54)측으로 서서히 배출하도록 유도하므로서 유입수로 인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다.And the small hole pipe 42 of the socket part 40 is a hollow pipe part of the lower body 50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rt 43 is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as shown in FIG. 4. It is located in (53), but installed spaced apart so as to take the form of being lifted without any interference within the hollow pipe part 53, and if the inflow water descending through the small hole pipe 42 of the socket part 40 is small, the lower body ( 50) may go directly down through the connector 54, but 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inflow water, it is dropped on the bottom surface (periphery of the connector) of the hollow tube part 53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or 54. Since the influent water buffers the newly introduced influent water and induces it to be gradually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ipe 54 side, noise caused by the inflow water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40)의 소구관(42)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가 접하는 결합부분은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중공관부(53) 내의 배출수나 역류수가 플레이트부(43)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는 물론 나사공(43a)을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부재를 넣거나 실리콘 또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coupling part where the small hole pipe 42 of the socket part 40 and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contact each other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loosen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to prevent leakage. It is preferable to adhere with silicone or adhesive, and also, the discharged water or reverse flow water in the hollow pipe part 53 leaks through the screw hole 43a as well as between the plate part 43 and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member is inserted so as not to be formed or a silicone or adhesive is filled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하부바디(50)는 콘크리트층(S5)에 매설되고, 상부로 소켓부(40)를, 하부에 배수관 또는 받침관(60)과 결합되는 매체개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를 장착하기 위한 수납홈부(52)가 형성된 플렌지부(51)와, 중간에 배출수를 완화시켜 배수하는 중공관부(53) 및 하부에 배수관(P)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54)을 포함하여 주물형태로 일체로 성형제작되며, 이는 상기 플렌지부(51)의 하부에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보다 구경이 큰 중공관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부(53)의 아래에 상기 중공관부(53)보다 구경이 작으면서 배수관(P)의 내경에 준한 외경을 갖는 연결관(54)이 형성된다.Next, the lower body 50 is buried in the concrete layer (S5), and is a medium unit coupled with the socket portion 40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drain pipe or the support pipe 60 at the lower portion. Specifically, the flange portion 51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for mounting the plate portion 43 of the socket portion 40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hollow pipe portion 53 and the lower portion which relieves and drains the discharged water in the middle It is integrally molded and manufactured in a casting form, including a connection pipe 54 for connecting the drain pipe (P) to the flange, which has a diameter greater than the small hole pipe 42 of the socket part 40 at the lower part of the flange part 51. This large hollow pipe portion 53 is formed, and a connection pipe 54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P whi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hollow pipe portion 53 is formed under the hollow pipe portion 53 .

여기서 상기한 연결관(54)의 다르게는 배수관(P)의 외경에 준한 내경으로 형성하여 배수관(P)를 연결관(54)의 내둘레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연결관(54)의 끼움형태가 어떤 형태로 하던 배수관(P)과 연결관(54)의 끼움결합시에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또는 배수관(P)과 연결관(54)의 결합부분에 나사탭을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on pipe 54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P so that the drain pipe P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54, an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54 When the drain pipe (P) and the connector (54) are inserted in any form,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or loosened from each other, and are adhered with adhesive silicone or adhesive to maintain airtightness to prevent leakage, or Alternatively, a screw tab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ain pipe P and the connection pipe 54 to be fixed.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51)의 수납홈부(52)에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를 장착할 경우, 제2방수층(S4)이 울퉁불퉁함이 없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43)와 플렌지부(51)의 테두리부(51a)는 콘크리트층(S5)의 표면과 서로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설치함이 바람직 하다.And when the plate portion 43 of the socket portion 4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flange portion 51,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can be uniformly applied without uneven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43 of the socket part and the rim part 51a of the flange part 51 are installed so as to form the same line as the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S5.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기 배수관(P)은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이 슬래브상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해당되나, 이는 슬래브의 콘크리트층(S5)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실질적 사용 배수관과 교체하기 위한 임시 배수관(관통구를 천공한 거푸집 적용)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를 천공하지 않은 거푸집(S6) 상면에 실질적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태의 배수관 결합구 일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rain pipe (P) shown in FIGS. 3 and 4 corresponds to a drain pipe that is substantially used when the variable roof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ab, but it forms the concrete layer (S5) of the slab. It may be a temporary drainage pipe (applied with a formwork having a through hole perforated) to replace it with a drainage pipe that is practically used when pouring concrete, or to connect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ainage pipe passes with a substantial drainage pi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perforated formwork (S6). It may be a hollow drainage pipe fitting for.

한편 본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은 상기한 소켓부(40)를 하기와 같이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를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적용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이다.Meanwhile, the variable roof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configuring the socket part 40 as follows. That is,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socket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ariable loop drai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loop drain of FIG. 5 is installed on a slab.

이는, 앞서 설명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이 포함하고 있는 배수캡(10), 상부바디(20), 길이조절관(30), 하부바디(5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의 생략과 동일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cap 10, the upper body 20,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nd the lower body 50 included in the variable roof drain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mark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 will explain.

즉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관(30)과 하부바디(50)의 연결매개체로,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과;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 사이의 외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를 포함하고 있다.That is, the socket portion 40 of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the variable roof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nd the lower body 5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the length A seating pipe portion 411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pipe 30; A small hole pipe 422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art 411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art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It includes a plate portion 43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and the small hole pipe 422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는 내둘레의 상, 하 두께를 달리하여 단턱부(444)를 일체로 형성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이 상기 단턱부(444)에 의해 소구관(422)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도록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forms a stepped portion 444 integrally by varying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inner circumferen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is The stepped portion 444 is configured to block entry to the globular tube 422 side.

또한 상기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고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결합부분은 누수발생방지를 위해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의 연장선상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450)을 갖도록 구성하여 안착관부(411)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소구관(422)측으로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구관(422)의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결로수 배수공(42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mall hole pipe 422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ipe portion 53 of the lower body 50 extends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an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ortion and the hollow pipe portion of the lower body 50 It is made of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53), but these coupling portions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maintain airtightness by bonding with adhesive silicone or adhesive to prevent leakage, and also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and the small hole pipe The extension line of 422 is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450 having an inclina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so that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seating pipe part 411 flows smoothly toward the globular pipe 422, and the globular pipe ( A plurality of condensation water drainage holes 422a are formed around the 422 at equal intervals.

또한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는 상기 소구관(422)이 접하는 안착관부(411)의 외둘레면에 수평형태로 연장하여 일체로 구성하되, 이의 상부면에 상기 안착관부(411)의 외둘레에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원주에 걸쳐 제2방수층(S4)이 포설되는 돌턱부(460)를 형성하고, 상기 돌턱부(460)의 내측으로 결로수를 집수하는 집수부(435)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435)에는 원주에 걸쳐 단열층(S3)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복수의 배수구(433a)가 등간격으로 관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집수부(435)의 배수구(433a)를 통해 유입된 결로수는 소구관(42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천공된 복수의 배수공(422a)을 통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late portion 433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extends in a horizontal shap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in contact with the small hole pipe 422 and is integrally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tone jaw portion 460 in which a second waterproof layer (S4) is installed is formed over a circumferen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ndensation water inside the stone jaw portion 460 The water collecting part 435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435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433a through which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from the insulating layer S3 flows through the circumference are penetrated at equal intervals. , The condensation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433a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435 is a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through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2a perforat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small hole pipe 422. )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43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설치되면 플레이트부(433)의 배수구(433a) 하부와 하부바디(50)의 플랜지부(51)의 사이에 결로수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소구관(422)의 배수공(422a)에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late portion 433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the condensation water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hole 433a of the plate portion 433 and the flange portion 51 of the lower body 50 A flowing space is formed, and it is configured to flow into the drain hole 422a of the small hole pipe 422 through this space.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433)의 저면에는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해체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수단과, 콘크리트층(S5)의 표면 주변에 철사나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핀(433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plate part 433, a fixing means that is securely fixed without any disassembly in the state received in the storage groove 52 of the lower body 50, and a wire arou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S5.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xing pins (433b) for fixing using a fixing strap.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433)에 복수의 나사공(433d)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나사로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와 마주하는 플레이트부(433)의 저면에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상응하는 복수의 고정핀(433b)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끼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ans for receiving and fixing in the plate portion 433 of the socket portion 40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433d in the plate portion 433 of the socket portion and Fastening grooves 52a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torage grooves 52 of the lower body 50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fastened with screws, or a plate portion facing the storage grooves 52 of the lower body 50 ( A plurality of fixing pins 433b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s 52a of the storage grooves 5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grooves 433 and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s 52a of the storage grooves 52. .

또한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결합하는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1)의 내경은 길이조절관(30)의 외경과 같거나 0.1 내지 0.3mm 정도 크게 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보다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열층(S3)의 두께에 길이조절관(30)의 길이가 크거나 짧을 경우에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거나 끼움 결합된 길이조절관(30)을 빼서 남는 길이를 절단한 후 다시 결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of the socket portion 40 that fits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or about 0.1 to 0.3 mm,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pip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lower end of (30) to be able to fit more easily. This is,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control pipe 30 is large or short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S3), it is replaced with a new pipe, or the remaining length is cut by removing the fitted length control pipe 30 and then recombined. To be able to help.

그리고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43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에 위치하되, 중공관부(53) 내에서 아무런 간섭 받지 않고 부양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이격 설치하여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을 통해 내려오는 유입수가 소량이면 상기 하부바디(50)의 연결관(54)을 통해 직접 내려 갈 수도 있으나 많은 량의 유입수이라면 상기 연결관(54)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관부(53)의 바닥면(연결관의 주변)에 낙차되어 낙차된 유입수가 새로이 유입된 유입수를 완충시켜 연결관(54)측으로 서서히 배출하도록 유도하므로서 유입수로 인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다.And the small hole pipe 422 of the socket part 40 is a hollow pipe part of the lower body 50 in a state where the plate part 433 is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as shown in FIG. 5. It is located in (53), but installed spaced apart so as to take the form of being lifted without any interference within the hollow pipe part 53, and if the inflow water flowing down through the small hole pipe 422 of the socket part 40 is small, the lower body ( 50) may go directly down through the connector 54, but 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inflow water, it is dropped on the bottom surface (periphery of the connector) of the hollow tube part 53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or 54. Since the influent water buffers the newly introduced influent water and induces it to be gradually discharged to the connection pipe 54 side, noise caused by the inflow water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40)의 소구관(422)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이 접하는 결합부분은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중공관부(53) 내의 배출수나 역류수가 플레이트부(433)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는 물론 배수구(433a)를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부재를 넣거나 실리콘 또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coupling part where the small hole pipe 422 of the socket part 40 and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contact each other is not easily separated or relaxed from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to prevent leakage. It is preferable to adhere with silicone or adhesive, and also, the discharged water or reverse flow water in the hollow pipe part 53 does not leak through the drain hole 433a as well as between the plate part 433 and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It is preferable that a packing member is inserted or a silicone or adhesive is filled so as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each other.

참고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배수관(P)은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이 슬래브상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해당되나, 이는 슬래브의 콘크리트층(S5)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실질적 사용 배수관과 교체하기 위한 임시 배수관(관통구를 천공한 거푸집 적용)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를 천공하지 않은 거푸집(S6) 상면에 실질적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태의 배수관 결합구일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drain pipe (P) shown in FIGS. 5 and 6 corresponds to a drain pipe substantially used when the variable roof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lab, but this is to form the concrete layer (S5) of the slab. It may be a temporary drainage pipe (applied with a formwork having a through hole perforated) for replacing with a drainage pipe that is actually used when placing concrete, or for connecting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ainage pipe passes with a substantial drainage pi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perforated formwork (S6). It may be a hollow drain pipe fitt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obvious that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thought.

10 : 배수캡 20 : 상부바디
30 : 길이조절관 40 : 소켓부
41,411 : 안착관부 42,422 : 소구관
42a,422a : 배수공 43,63, 433 : 플레이트부
43a,433d: 나사공 43b,433b : 고정핀
44,444 : 단턱부 45 : 돌기부
50 : 하부바디 51 : 플렌지부
52 : 수납홈부 52a : 체결홈
53 : 중공관부 54 : 연결관
435 : 집수부 450 : 경사면
460 : 돌턱부 P : 배수관
10: drain cap 20: upper body
30: length adjustment pipe 40: socket part
41,411: Settlement Building 42,422: Sogu Building
42a,422a: drain hole 43,63, 433: plate part
43a,433d: screw hole 43b,433b: fixing pin
44,444: stepped portion 45: protrusion
50: lower body 51: flange portion
52: storage groove 52a: fastening groove
53: hollow pipe part 54: connector
435: collecting part 450: slope
460: stone jaw part P: drain pipe

Claims (11)

마감층(S1)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11)이 형성되는 배수캡(10)과;
단열층(S3)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10)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2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10)의 배수공(11)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 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26)을 구비한 상부 바디(20)와;
상기 단열층(S3)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S3)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20)(50)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30)과;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S3)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42a)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50)로 보내는 소켓부(40)와;
제2방수층(S4) 및 콘크리트층(S5)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40)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P)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53)을 구비한 하부 바디(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A drain cap 10 which is exposed to the drainage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finishing layer S1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has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 for introducing sewage or rainwater;
It is buri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a flange portion 21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cap 10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influent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1 of the drain cap 10 is An upper body 20 having a hollow connector 26 for sending to the lower side;
It is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but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26) of the upper body (20),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20, 50)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S3)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nd cut to fit;
A drain hole 42a is formed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ength control pipe 30 and introduces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heat insulating layer S3, so that the condensation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42a is transferred to the lower body 50. A sending socket part 40;
The lower part is buried in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and the concrete layer (S5),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40) at the upper portion, and has a hollow connector (53) coupled to the drain pipe (P) at the lower portion Body 50; variable loop drai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4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과; 상기 안착관부(41)와 소구관(42)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 복수의 배수공(42a)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ocket part 40 includes a seating pipe part 41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 small hole pipe 42 form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ortion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ortion 41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ipe portion 53 of the lower body 50; A plate portion 43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between the seating pipe part 41 and the small hole pipe 42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mall hole pipe 42 ) A variable loop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2a) are perforat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periphe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관(42)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42a)은 제2방수층(S4)의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2,
A variable roof drai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a formed around the globular pipe 42 at equal intervals are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urface of the second waterproof layer S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공(422a)이 형성되며,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과;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 사이의 외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부(433)의 원주면에 걸쳐 복수의 배수구(433a)를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ocket part 40 includes a seating pipe part 411 receiving and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22a are form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seating pipe part 411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art,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periphery,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A globular tube 422 and; A plate portion 433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seating pipe portion 411 and the small hole pipe 422 to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plate portion 433 ) Variable loop d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433a at equal intervals 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1)는 내둘레에 길이조절관(30)의 하단이 상기 소구관(422)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단턱부(44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nting pipe portion 411 of the socket portion 40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ped portion 444 that blocks the low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from entering the small hole pipe 422 is further formed at the inner periphery. Variable loop dr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관(30)은 상단부 내경이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 외경에 준한 구경이고, 하단부의 외경은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의 내경과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is made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art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26 of the upper body 2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art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pipe part 41 of the socket part 40. Features Variable Loop Dr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은 플레이트부(4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ll hole pipe 42 of the socket part 40 is supported in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while the plate part 43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Variable roof d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은 플레이트부(43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ll hole pipe 422 of the socket part 40 is supported in the hollow pipe part 53 of the lower body 50 while the plate part 433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0. Variable roof d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플레이트부(43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ocket part 40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plate part 433 in the receiving groove 52 of the lower body 5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고정수단은 플레이트부(433) 저면에 원주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핀(433b)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하부 바디(5)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레이트부(433)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구(433a)를 형성하여 볼트로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형성된 체결홈(52a)에 체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means of the socket part 40 forms a plurality of fixing pins 433b at equal intervals 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433, and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52 of the lower body 5 corresponding thereto. Fastening groove 52a formed by forming a fastening groove 52a, or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52 of the lower body 50 by bolts by form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433a at equal intervals in the plate part 433 ) A variable loop drain,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fast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43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 및 상기 길이조절관(30)의 상,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과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411)의 사이는 배출수의 역류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접착성 충진재가 더 도포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ipe 26 of the upper body 20 that is coupled between the plate portions 43 and 433 of the socket portion 40 and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body 50 an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gth adjustment pipe 30 ) And the mounting pipe portion (41, 411) of the socket portion (40) is a variable roof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iller is further applied to block leakage due to the reverse flow of the discharged water and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each other.
KR1020190012670A 2019-01-31 2019-01-31 Variable Roof Drain KR102234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en) 2019-01-31 2019-01-31 Variable Roof D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en) 2019-01-31 2019-01-31 Variable Roof D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62A KR20200095062A (en) 2020-08-10
KR102234349B1 true KR102234349B1 (en) 2021-03-31

Family

ID=7204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en) 2019-01-31 2019-01-31 Variable Roof D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039B1 (en) * 2020-12-21 2023-02-10 일산종합건설(주) Drain structure of a building
CN116669402B (en) * 2023-07-26 2023-10-03 中国海洋大学 Ocean current environment observation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37Y1 (en) 2005-10-14 2006-01-11 박영주 Rayer roof and floor drain system
KR200486752Y1 (en) 2016-01-19 2018-06-26 최한솔 Prefabricated roof dra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206U (en) * 2008-08-21 2010-03-04 박영주 Rayer roof drain system
KR20100007082U (en) * 2008-12-31 2010-07-08 박영주 Rayer roof drain system
KR20170125633A (en) * 2016-05-04 2017-11-15 노벨콘(주) Roof drain on the rooftop's waterproofing, insulation spray coat and protecting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KR101925206B1 (en) * 2017-02-14 2018-12-04 심국진 Method of Repair for Rooftop Drain Using Drain Units for Roofto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37Y1 (en) 2005-10-14 2006-01-11 박영주 Rayer roof and floor drain system
KR200486752Y1 (en) 2016-01-19 2018-06-26 최한솔 Prefabricated roof d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62A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518A (en) Lined manhole assembly and liner
KR102234349B1 (en) Variable Roof Drain
CN102482871A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100758560B1 (en) Presloped precast trench structure
US7882856B2 (en) Separated sanitary and storm sewer system
CN103410318B (en) Washroom pipe well water-leakage construction method
KR101925206B1 (en) Method of Repair for Rooftop Drain Using Drain Units for Rooftop
KR102234355B1 (en) Variable Roof Drain and Method for Installing Underbody Thereof
US9708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undation slab liquid collection and management
KR200405437Y1 (en) Rayer roof and floor drain system
KR200383565Y1 (en) Sewer Water Separation Panel for Sewer Culvert
KR100938853B1 (en) Precast panel with holes and connective structure and con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1907404B1 (en) Drain Device of Bathroom Slab
KR100581015B1 (en) Device for draining of balcony
KR100931929B1 (en) Manipulator for variable inverter type with FRP reinforcement and manhole using the same
KR102337379B1 (en) Drainage Equipment for Underground Parking Lot
KR100801890B1 (en) A plastic flange for rain water and sewage collection unit with metal ring and sealed ring
KR101215873B1 (en) Storm water attenuation and combined sewer overflows tank in best performance for anti-corrosion and leakage prote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37414B1 (en) The Sewage Disposal
KR100642983B1 (en) Reclamation Type Trench and Execution Method for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98039B1 (en) Drain structure of a building
CN219364714U (en) Novel rainwater-proof well cover plate assembly for inspection and repair
KR100580443B1 (en) Waterway structure for installed in rooftop of building
KR200393830Y1 (en) Water proof clrain
KR200323998Y1 (en) A filter drain type 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