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208B1 -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208B1
KR102234208B1 KR1020200114319A KR20200114319A KR102234208B1 KR 102234208 B1 KR102234208 B1 KR 102234208B1 KR 1020200114319 A KR1020200114319 A KR 1020200114319A KR 20200114319 A KR20200114319 A KR 20200114319A KR 102234208 B1 KR102234208 B1 KR 10223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essure
air volume
frame
volume control
distribu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옥
Original Assignee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1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에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 부;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일정 메쉬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메쉬 부재; 상기 메쉬 부재에 설정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 상기 테두리 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 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및,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 제공기 및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VENTILATING SCREEN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독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과 사무실, 공장, 상가 등 일반 건축물에 설치되는 외부 창호에 설치되는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로서 미세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스크린하여 주고, 모기, 파리 등 각종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강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풍압이 약할 때에는 풍압을 일정한 세기로 증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풍압의 증감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 지열 등 자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최근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라 한반도에서 등검은말벌 등 해로운 생물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농촌 진흥청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추세로 늘어나면 해충의 서식지가 전국 95%로 확대될것이다. 특히 아열대 종인 말벌은 번식력과 환경 적응력이 좋아서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모기나 나방이 실내로 들어오고 밤에는 다양한 날벌레들이 빛을 따라 오곤 한다. 모기는 말라리아의 매개충이고 진드기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쯔쯔가무시병을 유발한다. 대표적 혐오 해충인 바퀴벌레, 파리 등은 외부에서 들어와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한다. 이처럼 해충은 실내에 유입되어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하거나 세균을 옮기는 등 직접 및 간접적인 폐해를 일으키는 해충이므로 박멸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충망을 통해 해충의 유입을 막을 수 있지만 모든 해충의 직접적인 유입을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방충망은 한 겹으로 구성되어 있어 쉽게 찢어지고 구멍이 잘 난다. 또 방충망 안에 먼지가 쌓이고 벌레가 떨어지면 청소하기가 힘들다는 위생 문제도 있다. 해충을 더 잘 막기 위해 방충망의 구멍을 작게 하면 통기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현재 방충망 이외에 해충을 차단하는 제품은 건물 외부에 설치하는 해충 퇴치기가 있는데, 이는 소음이 심하여 가정이 아닌 상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전기 파리채 등을 사용하여 실내로 유입된 벌레를 잡고 있는데 유입 자체를 막기는 어려운 현황이다.
여름철에 창문을 열어두면 강풍이 실내에 유입될 때, 집안 집기가 날아가 깨지거나 여닫이 문짝이 갑작스럽게 굉음과 함께 닫혀 유아를 비롯하여 심장이 약한 사람들에게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외기 바람이 약할 때에는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위하여 에어콘 또는 선풍기를 작동시켜야만 하는 상황이다.
또한 우리나라 대기는 미세 먼지, 황사, 분진, 매연 등으로 오염되는 경우가 많고, 창문을 열어두면 대기중의 먼지 등이 실내에 유입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실내에 쌓여 주거 환경을 해치는 실정이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06115호(공개일: 2017.01.17)가 있다.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독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과 사무실, 공장, 상가 등 일반 건축물에 설치되는 외부 창호에 설치되는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로서 미세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스크린하여 주고, 모기, 파리 등 각종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강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풍압이 약할 때에는 풍압을 일정한 세기로 증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풍압의 증감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 지열 등 자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에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 부;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일정 메쉬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메쉬 부재; 상기 메쉬 부재에 설정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 상기 테두리 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 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및,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 제공기 및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 부에는,
상기 메쉬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부가 배치되되,
상기 풍량 조절부는,
상기 테두리 부의 내측부에 배치되며, 격자상의 유통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유통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판들과,
상기 프레임에 다수의 행을 따르는 유통홀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들과,
상기 회전축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들에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기어가 설치된 모터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부에는, 풍량에 의한 풍압을 측정하는 제 1풍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위험 풍압에 이르면,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들을 설정된 회전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개폐각을 조절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는,
상기 홀들을 통과한 풍량의 풍압을 측정하는 제 2풍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홀들에 연결되는 튜브들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들은, 풍량 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풍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최저 풍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홀들을 개방시키고,
상기 풍량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홀들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테두리 부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상기 먼지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먼지 농도와 동일하거나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 1풍압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홀들을 닫도록 제어하고,
상기 풍량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홀들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일면에는 상기 내장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풍량 조절판들 각각의 일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그 주변 영역에서 스크류 볼트와 같은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씰이 설치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단독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과 사무실, 공장, 상가 등 일반 건축물에 설치되는 외부 창호에 설치되는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로서 미세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스크린하여 주고, 모기, 파리 등 각종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강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풍압이 약할 때에는 풍압을 일정한 세기로 증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풍압의 증감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 지열 등 자연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테두리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메쉬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에 메쉬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이물질 배출부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풍량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풍량 조절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 발생기가 풍량 발생부에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가 구비되는 풍량 발생부에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테두리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메쉬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에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 부(100)와, 상기 테두리 부(100)에 설치되며, 일정 메쉬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메쉬 부재(200)와, 상기 메쉬 부재(200)에 설정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300)와, 상기 테두리 부(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 부재(200)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400)와, 상기 테두리 부(100)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 제공기(300) 및 상기 이물질 배출부(4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부(100)의 측부에는 제 1삽입홈(110)과 제 2삽입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삽입홈(110)에는 메쉬 부재(200)가 삽입된다.
제 2삽입홈(120)에는 후술되는 풍량 조절부(600)가 삽입된다.
상기 메쉬 부재(200)는 틀(210)과, 틀(210)에 설치되는 메쉬 망(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틀(210)은 제 1삽입홈(110)에 끼워진다.
상기 메쉬 망(220)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에 메쉬 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이물질 배출부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이물질 배출부(400)는 배출 라인(410)과, 배출 라인(410)에 설치되는 배출 펌프(420)를 갖는다.
상기 배출 라인(410)은 다수를 이루어 메쉬 부재(200)가 삽입된 제 1삽입홈(110)의 바닥에 연결된다.
제 1삽입홈(110)에 떨어져 쌓인 이물질은 배풀 펌프(420)의 작동을 통해 배출 라인(410)으로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는 건축물의 창호의 구조에서 풍량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풍량 조절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테두리 부(100)에는, 상기 메쉬 부재(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부(600)가 배치된다.
상기 풍량 조절부(600)는, 상기 테두리 부(100)의 내측부에 배치되며, 격자상의 유통홀들(611)이 형성되는 프레임(610)과, 상기 유통홀들(611) 각각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판들(620)과, 상기 프레임(610)에 다수의 행을 따르는 유통홀들(6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들(630)과, 상기 회전축들(630)의 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들(640)과, 상기 프레임(610)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들(640)에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체인(650)과, 상기 프레임(610)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650)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기어(662)가 설치된 모터축(661)을 갖는 모터(660)와, 상기 모터(66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6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부에는, 풍량에 의한 풍압을 측정하는 제 1풍압 센서(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70)는, 상기 측정된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위험 풍압에 이르면, 상기 모터(66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들(630)을 설정된 회전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상기 풍량 조절판들(620)의 개폐각을 조절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610)의 내측부에는, 상기 홀들(611)을 통과한 풍량의 풍압을 측정하는 제 2풍압 센서(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70)는, 상기 제 2풍압 센서(14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조절판들(62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 발생기(690)가 풍량 발생부에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프레임(610)에는, 상기 홀들(611)에 연결되는 튜브들(680)이 연결된다.
상기 튜브들(680)은, 풍량 발생기(69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670)는, 상기 제 1풍압 센서(13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최저 풍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모터(660)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620)을 회전시켜 상기 홀들(611)을 개방시키고, 상기 풍량 발생기(690)를 사용하여 상기 홀들(611)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14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69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가 구비되는 풍량 발생부에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제어기(670)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150)와 연결된다.
상기 먼지 센서(150)는 상기 테두리 부(100)의 외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70)는, 상기 측정되는 상기 먼지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먼지 농도와 동일하거나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 1풍압 센서(13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모터(660)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620)을 회전시켜 상기 홀들(611)을 닫도록 제어하고, 상기 풍량 발생기(690)를 사용하여 상기 홀들(611)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14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69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단독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과 사무실, 공장, 상가 등 일반 건축물에 설치되는 외부 창호에 설치되는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로서 미세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스크린하여 주고, 모기, 파리 등 각종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과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강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풍압이 약할 때에는 풍압을 일정한 세기로 증가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풍압의 증감에 필요한 에너지는 태양광, 지열 등 자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일면에는 상기 내장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풍량 조절판들 각각의 일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그 주변 영역에서 스크류 볼트와 같은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씰이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판들은 풍량 조절을 비롯하여 단열의 기능을 일부 수행할 수도 있고, 단열재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테두리 부
200 : 메쉬 부재
300 : 전류 제공기
400 : 이물질 배출부
500 : 전원 제공부
600 : 풍량 조절부

Claims (3)

  1. 건축물의 창호에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의 테두리 부;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일정 메쉬로 이루어지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메쉬 부재;
    상기 메쉬 부재에 설정된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제공기;
    상기 테두리 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쉬 부재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및,
    상기 테두리 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 제공기 및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부의 내측부에는 격자상의 유통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는, 상기 유통홀들을 통과한 풍량의 풍압을 측정하는 제 2풍압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기는,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유통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판들 회전각을 제어하되,
    상기 테두리 부에는,
    상기 메쉬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풍량 조절부가 배치되되,
    상기 풍량 조절부는,
    싱기 프레임과,
    상기 풍량 조절판들과,
    상기 프레임에 다수의 행을 따르는 유통홀들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축들과,
    상기 회전축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어들에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인의 일단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기어가 설치된 모터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부에는, 풍량에 의한 풍압을 측정하는 제 1풍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위험 풍압에 이르면,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들을 설정된 회전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개폐각을 조절하되,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는,
    상기 유통홀들을 통과한 풍량의 풍압을 측정하는 제 2풍압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회전각을 조절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유통홀들에 연결되는 튜브들이 연결되고,
    상기 튜브들은, 풍량 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풍압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최저 풍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유통홀들을 개방시키고,
    상기 풍량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통홀들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기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테두리 부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상기 먼지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먼지 농도와 동일하거나 이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 1풍압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풍량 조절판들을 회전시켜 상기 유통홀들을 닫도록 제어하고,
    상기 풍량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통홀들로 풍량을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제 2풍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풍압이 기설정되는 기준 풍압을 이루도록 상기 풍량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풍량 조절판들의 일면에는 내장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풍량 조절판들 각각의 일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되, 그 주변 영역에서 스크류 볼트와 같은 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테두리와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3. 삭제
KR1020200114319A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KR10223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19A KR102234208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19A KR102234208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208B1 true KR102234208B1 (ko) 2021-03-31

Family

ID=7523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319A KR102234208B1 (ko) 2020-09-08 2020-09-08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42A (ko) * 2016-06-29 2018-0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루버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루버장치 제어방법
KR20200025133A (ko) * 2018-08-29 2020-03-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42A (ko) * 2016-06-29 2018-01-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루버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루버장치 제어방법
KR20200025133A (ko) * 2018-08-29 2020-03-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6096C (zh) 门窗幕墙及其空气调节装置
CN201952950U (zh) 一种通风换气幕墙结构
AU2010210580A1 (en) Adjustable air vent for sliding door frames
CN201567700U (zh) 龙骨通风式双层玻璃幕墙
CN205137683U (zh) 一种自清洁空气净化系统
KR101160082B1 (ko) 공동주택 환기 시스템
CN210135666U (zh) 一种建筑节能用的通风散热装置
CN101429821B (zh) 一种新型健康型节能建筑
CN103835416A (zh) 一种内循环呼吸式双层幕墙
KR102234208B1 (ko) 건축물의 다기능 통풍막 구조체
KR101237714B1 (ko) 환기장치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CN1974974A (zh) 一种内外双循环双层幕墙
CN2716382Y (zh) 门窗幕墙及其空气调节装置
TWI693883B (zh) 農業用屋舍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374308Y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JP2003120975A (ja) 太陽電池利用型ペリメータ熱移動システム及びペリメータ熱移動システム用窓部
JPH11148693A (ja) 住宅の換気構造
CN214740850U (zh) 一种嵌入通风系统的防蚊防霾净化窗
CN210395627U (zh) 一种静音且通风的建筑物
CN209908342U (zh) 具有纱窗功能的百叶窗
JPS60251327A (ja) 通気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EP0922829A2 (en) Reversible ventilated glazing system
KR10142463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친환경 건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