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37B1 -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 Google Patents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37B1
KR102234037B1 KR1020210007731A KR20210007731A KR102234037B1 KR 102234037 B1 KR102234037 B1 KR 102234037B1 KR 1020210007731 A KR1020210007731 A KR 1020210007731A KR 20210007731 A KR20210007731 A KR 20210007731A KR 102234037 B1 KR102234037 B1 KR 10223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authentication
information
learning
sec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운
이정아
Original Assignee
(주) 온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온결 filed Critical (주) 온결
Priority to KR102021000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Abstract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복수 개 획득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MULTICHANNEL AUTHENTICATION PLATFORM USING BIO INFORMATION}
본 발명은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등 바이오인식 시스템에서 개인 인증을 위하여는 개인의 식별자 ID 정보에 의한 등록된 바이오인식 템플릿과 인증을 위하여 입력되는 템플릿의 1:1 정합을 통하여 산출되는 유사도 스코어 값이 미리 정해진 Threshold 값 이상일 경우 인증을 허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전에 바이오인식 시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genuine (동일인의 바이오인식정보들간의 유사도) 및 imposter (동일인이 아닌 바이오인식정보들간의 유사도) 시험 데이터에서 유사도(스코어) 값을 구하여, FMR (False Match Rate: 타인 수락율)과 FNMR (False Non-Match Rate) 분포에 기반한 Threshold 값을 결정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사도 값의 편차가 크지 않은 경우 Threshold 값에 따라 인증 성능이 민감하게 변화하며, 등록된 다양한 종류(센서, 해상도, 나이, 포즈, 조명 등이 상이한)의 템플릿이 성능을 향상하는데 영향력을 반영하기 어려운 점 등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라 Threshold 값에 의한 성능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템플릿 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코어는 원거리 개인식별, 얼굴인식, 검색기반 시스템 등에 적용하는데 있어 유사도 값의 편차가 크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Threshold 값이 성능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수의 바이오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이 탑재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바이오 정보 획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는 인증 부스를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는,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복수 개 획득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이 탑재되어 실행된다.
한편, 사용자의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및 목소리를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 상기 바이오 정보 수집부에서 획득하는 복수의 바이오 정보를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는 바이오 정보 학습부; 및 상기 신경망 모델에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정보 학습부는, 소정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바이오 정보로부터 각각 특성 벡터를 추출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의 벡터값을 더한 입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ID 정보를 분류하도록 상기 신경망 모델을 학습하고,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폐쇄된 환경을 구축하는 인증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부스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박스;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가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과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의자; 및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경을 형성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롤 형태로 감긴 스크린을 수용하고, 상기 스크린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벽면 상부에 소정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 바아; 상기 설치 바아의 양단에 상기 설치 바아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면을 형성하는 상부 구동부; 상기 상부 구동부의 수직 하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상기 본체 박스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핀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면을 형성하는 하부 구동부; 상기 설치 바아 및 상기 회전 핀과 연결되어 상기 설치 바아 및 상기 회전 핀을 동일하게 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에 형성되는 기어면에 맞물려 마련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가 정회전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가 역회전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체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체인부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 박스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인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 박스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는,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1 탄성 블록이 형성된 제1 관통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블록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관통 핀이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제1 관통 핀의 타단에 상기 체인부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제2 탄성 블록이 형성된 제2 관통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 블록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탄성 블록과 맞닿도록 상기 제2 관통 핀이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제2 관통 핀의 타단에 상기 체인부의 타 단부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고정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탄성 블록 사이와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탄성 블록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바이오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한 가지의 바이오 정보만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에 비해 보안 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바이오 정보 입력 과정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 패턴 분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증 부스를 포함하여 소정 화면을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바이오 정보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의 인증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시큐어 페이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인증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스크린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네트워크 통신망 환경의 온라인 상에서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지정맥, 지문, 홍채, 얼굴, 목소리 등을 포함하는 멀티-팩터를 이용한 자각 인증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디지털 자각 인증 및 바이오 정보를 활용한 바이오 페이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프로토콜 상의 바이오 시큐페어페이 및 셀피시큐어 ID를 통한 해킹 시도를 원천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얼굴, 홍채, 키보드 키인패턴, 마우스 입력 정보(지문 또는 지정맥 센서, 마우스 확대 기능) 등을 포함하는 무자각 멀티-팩터를 이용한 비접촉 및 무자각 인증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자각 멀티-팩터를 AI 페이스러닝 및 AI 패턴러닝을 통해 지속 감지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대리시험 및 부정행위 방지, 재택 근무 인증, 비대면 계좌 개설 무자각 인증을 통한 보안 강화 및 딥페이크에 의한 위조 방지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상업인증 수단에 대한 보안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업인증 수단에서 기존 활용 중인 모바일 Face ID, 홍채 및 지문 등에 기반한 인증 방법에 더하여 멀티-팩터 기반의 인증 처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해킹 및 피싱 등을 원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인증 및 지급결제에 대한 해킹시도를 모니터링 및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인증 및 지급결제 서비스를 사용중인 단말에서 발생할 수 있는 IAB(In App Billing) 또는 IAP(In App Purchase), 스피드해킹, 스파이웨어 등 해킹 시도를 모니터링하여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멀티-팩터에 기반한 자각 인증 및 무자각 지속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의 인증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멀티-팩터 시큐어 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다. 멀티-팩터 시큐어 러닝 알고리즘은 지정맥, 지문, 홍채, 얼굴 및 목소리를 포함하는 멀티-팩터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요소를 인증 수단으로 획득할 수 있다. 멀티-팩터 시큐어 러닝 알고리즘은 획득한 복수의 인증 수단의 벡터값 Mix를 통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AI 페이스 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다. AI 페이스 러닝 알고리즘은 얼굴, 홍채 및 눈 깜박임 등을 포함하는 페이스 정보를 무자각 인증 수단으로 획득하고, 무자각 인증 수단에 대한 딥러닝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AI 모션패턴 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다. AI 모션패턴 러닝 알고리즘은 노트북 키보드 이용 패턴, 마우스 이용 패턴, 모바일 이용 패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용도구 정보를 모션 패턴 인증수단으로 획득하고, 모션 패턴 인증 수단에 대한 딥러닝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AI 해빗 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다. AI 해빗 러닝 알고리즘은 AI 페이스 러닝 알고리즘 및 AI 모션패턴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무자각 인증 수단 및 모션 패턴 인증 수단을 추출하고, 무자각 인증 수단 및 모션 패턴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무자각 지속인증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복수의 바이오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한 가지의 바이오 정보만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에 비해 보안 인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바이오 시큐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이오 시큐어 인증 서비스는 생체 인증을 통한 고객 알기 제도(KYC)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익명성을 이용한 범죄 가능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강화된 생체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바이오 시큐어 페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시큐어 페이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이오 시큐어 페이 서비스는 AI 안면인식 기술에 기반하여, 기존 결제 수단과 시큐어 인증이 융합된 지급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 시큐어 페이 서비스는 구내식당이나 매점 등의 결제 진입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셀프시큐어 ID는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목소리 등 바이오 인증 수단에 대해 Ogdesk의 Securing Link 및 USEcube, vSE token 등 보안 클러스터를 적용한 본인/고객/실명인증 대체 가능 ID를 의미한다.
블라인드 시큐어S는 얼굴/홍채/눈깜박임 등의 페이스 모션, 모바일 및 PC(노트북 포함) 등 키보드, 마우스(터치패드 포함) 등의 사용 패턴, 페이스/사용 패턴에 의한 개인 습관 등을 통한 무자각 지속인증 서비스를 의미한다.
바이오시큐어페이는 셀프시큐어ID, 블라인드 시큐어S와 상용 지급결제 수단과의 융합을 통한 광학/반도체/초음파 방식의 바이오시큐어 프로토콜 기반의 디지털 지급결제 수단을 의미한다.
인증시큐어 컨버터(converter)는 기존 상용인증 수단(페이스ID, 패턴인식, 안면인식, 지정맥 등), 일반 지급결제 수단(제로페이, 각종 페이, 카드결제, PG서비스 등)에 대한 시큐어 인증 전환 도구를 의미한다.
시큐어 디텍터(detector)는 시큐어 토큰 및 프로토콜, 패킷 등 OGdeskTM Securing Link 해킹 시도에 대한 모니터링 및 해킹 대응 도구를 의미한다.
AI Processing은 Multi-Factor 인증 벡터 믹싱 시큐어 러닝, AI페이스 러닝, AI모션패턴 러닝, AI해빗 러닝에 필요한 data, vector 수집/가공/실시간 연계/전처리 프로세싱 도구를 의미한다.
API 레이어(Layer)는 은행, 카드, 이커머스, 통신 등 외부와의 인증 및 지급결제 연계를 위한 API 개발 및 관리 도구를 의미한다.
API UI 레이어(Layer)는 API 개발 및 관리를 위한 UI/UX 시각화 지원 도구를 의미한다.
Multi-Factor 믹싱 시큐어 러닝은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목소리 등 인증 도구 수단 별 vector/factor/ID 믹싱을 통한 융합 인증도구에 대한 생성, 변환, 비교, 클러스터링, 믹싱인증 등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AI 페이스 러닝은 얼굴, 홍채, 눈깜박임 등의 지속적인 트래킹 및 모니터링을 통한 무자각 지속 인증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의미한다.AI 모션패턴 러닝은 사용자의 이용 도구(키보드 키인, 마우스 움직임, 모바일 터치 등)에 대한 지속적인 트래킹 및 모니터링을 통한 무자각 지속 인증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AI 해빗러닝은 AI페이스 및 AI모션패턴 러닝을 통해 학습된 결과에서 사용자의 습관(눈깜박임, 키보드 키인 패턴 등)을 추출하고 학습하기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인증 클러스터(Cluster)는 상용 인증도구 (안면인식, Face ID, 지정맥, 목소리 등)에 대한 연계를 하기 위한 Docker 기능 제공 영역을 의미한다.
지급결제 클러스터(Cluster)는 일반 지급결제 수단(제로페이, 카드결제, 각 유형별 페이, PG서비스 등)에 대한 연계를 하기 위한 Docker 기능 제공 영역을 의미한다.
서비스 융합 클러스터(Cluster)는 바이오 시큐어 인증 및 지급결제 플랫폼과 연계한 상용서비스를 개발하여 연계하기 위한 Docker 기능 제공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은행, 카드, e커머스, 통신 등 지급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를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바이오 시큐어러닝 서비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 시큐어러닝 서비스 모델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원격 화상회의 및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 화상회의 및 온라인 강의 서비스는 안면인식 AI 기술을 통해 실제 참석자 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화면 응시 여부에 따른 참석자 집중도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안전 및 구호체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및 구호체계 서비스는 경로 통제 상황이나 비상상태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람 공지로 설정된 경로로 대피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은 칩 기반의 통합보안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칩 기반의 통합보안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컴퓨터, 클라우드,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IoT 기기를 통해 PTT(Push To Talk), VC(Video Call)과 같은 다양한 비대면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는 다양한 운영체제, 예컨대, Window, iOS 등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을 설치하여 운영체제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 장치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110),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 및 사용자 인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복수의 바이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오 정보는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목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부(110)는 장치(100)에 부착되거나 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의 기능 등을 통해 복수의 바이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ID 정보를 복수의 바이오 정보와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110)에서 획득하는 복수의 바이오 정보에 대한 기계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바이오 정보를 나타내는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고유의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바이오 정보로부터 특성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특성 추출 모델은 일반적인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모델로, 예컨대, 오토인코더와 같은 모델일 수 있다. 오토인코더는 입력층과 은닉층 구간을 인코더(encoder)라고 하고, 은닉층과 출력층 구간을 디코더(decoder)라고 한다. 오토인코더의 주요한 동작은 입력 벡터의 차원을 축소하는 것이다. 특성 추출 모델은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에 해당하는 특성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의 벡터값을 더하여 딥러닝 학습 모델의 입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의 벡터값을 더한 입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ID 정보를 분류하도록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입력 데이터를 클래스별로 분류하고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신경망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뉴런의 시냅틱(synaptic)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신경망은 신경망 모델에서 발전한 딥 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깊이(또는,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예에는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신경망 모델이 소정의 입력 데이터의 클래스를 어떻게 분류할지에 관한 판단 기준을 갖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입력 데이터를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획득한 특징 벡터를 특징 공간의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ID를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획득한 실제 특징 벡터가 클래스별로 특징 공간에 위치하도록 신경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입력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판단 기준으로 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는, 별다른 지도 없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상황의 판단을 위한 판단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에 따른 상황 판단의 결과가 올바른 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오류 역전파법(error back-propagation) 또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포함하는 학습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바이오 정보 학습부(120)는 신경망 모델이 학습되면,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획득하고, 획득한 바이오 정보를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고, 신경망 모델의 출력값이 사용자의 ID 정보인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구한 서비스 플랫폼으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는 인증 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부스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폐쇄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인증 부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증 부스(500)는 본체 박스(510), 의자(520), 테이블(530) 및 스크린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박스(5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 도어부 및 판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직육면체로 조립 유지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 프레임, 받침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을 유지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판넬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판넬부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외부에서도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부는 판넬부의 적어도 일측에 내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의자(520)는 테이블(530)과 한 쌍으로 구비되어, 화상회의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테이블(530)은 장치(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의자(520) 및 테이블(530)은 본체 박스(510)의 내측 공간에 마련되되, 일측벽에 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장치(100)은 테이블(530) 상에서 본체 박스(510)의 내측 공간의 타측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부(540)는 본체 박스(510)의 내측 공간의 타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부(540)는 장치(100)과 연결되어 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부(540)는 단색의 배경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부(540)는 장치(10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즉, 영상 획득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센싱하는 경우, 스크린부(540)에서 출력하는 화면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바이오 정보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스크린부(540)는 본체 박스(510)의 벽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부(540)는 케이스부(541), 설치 바아(542), 상부 구동부(543), 하부 구동부(544), 모터부(545), 체인부(546) 및 탄성부(54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541)는 롤 형태로 감긴 스크린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을 포함하여 장홀을 통해 스크린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설치 바아(542)는 본체 박스(510)의 내측 벽면 상부에 소정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회전할 수 있다.
상부 구동부(543)는 설치 바아(542)의 양단에 설치 바아(54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구동부(544)는 상부 구동부(543)의 수직 하방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 박스(5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부(545)는 설치 바아(542)와 연결되어 설치 바아(5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다. 모터부(545)에 의해 설치 바아(542)가 회전하는 경우, 상부 구동부(543) 또한 회전할 것이다.
모터부(545)는 회전 핀과 연결되어 하부 구동부(544)를 상부 구동부(543)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체인부(546)는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를 연결할 수 있다.
체인부(546)는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에 형성되는 기어면에 맞물려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체인부(546)는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가 정회전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 구동부(543) 및 하부 구동부(544)가 역회전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부(541)는 양단이 이러한 체인부(546)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부(541)는 체인부(54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본체 박스(5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고, 체인부(5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본체 박스(51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사용자는 모터부(545)를 조작하여 케이스부(54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그 설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케이스부(54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케이스부(541)를 내려서 케이스부(541)의 청소 또는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547)는 체인부(546)의 적어도 일 부분에 설치되어 케이스부(541)가 체인부(546)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케이스부(541)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부(547)는 제1 플레이트(5471), 제2 플레이트(5472), 연결 기둥(5473) 및 탄성 부재(54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471)는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면에 체인부(546)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5471)는 일단에 제1 탄성 블록(5471a)이 형성된 관통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탄성 블록(5471a)은 제1 플레이트(547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플레이트(5471)를 관통한 타단에 체인부(546)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472)는 제1 플레이트(5471)와 대응하는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면에 체인부(546)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플레이트(5472)는 일단에 제2 탄성 블록(5472a)이 형성된 관통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탄성 블록(5472a)은 제1 탄성 블록(5471a)과 맞닿도록 제2 플레이트(547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플레이트(5472)를 관통한 타단에 체인부(546)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기둥(5473)은 제1 플레이트(5471) 및 제2 플레이트(5472)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연결 기둥(5473)의 양단은 각각 제1 플레이트(5471)의 하측면과 제2 플레이트(5472)의 상측면 사이를 연결하여 제1 플레이트(5471) 및 제2 플레이트(547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부재(5474)는 제1 플레이트(5471)의 하측면 및 제2 플레이트(5472)의 상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5474)는 제1 플레이트(5471) 및 제1 탄성 블록(5471a)을 연결하고, 제2 플레이트(5472) 및 제2 탄성 블록(5472a)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547)는 체인부(546)가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을 반동시켜 케이스부(541)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탄성 부재(5474)의 신축작용을 통해 소음 및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

Claims (2)

  1.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복수 개 획득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을 이용한 지급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급 결제 서비스는,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및 목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바이오 인증 수단인 셀프시큐어 ID:
    얼굴, 홍채 및 눈깜박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페이스 모션 또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 패턴을 이용한 무자각 인증 수단인 블라인드 시큐어S;
    상기 셀프시큐어 ID 및 상기 블라인드 시큐어S를 융합한 디지털 지급결제 수단인 바이오 시큐어 페이;
    상용 인증수단을 상기 셀프시큐어 ID 또는 상기 블라인드 시큐어S로 전환하는 인증시큐어 컨버터;
    상기 시큐어 페이에 대한 해킹 시도를 모니터링하는 시큐어 디텍터;
    상기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의 인증 벡터 믹싱 시큐어 러닝, AI페이스 러닝, AI 모션패턴 러닝 및 AI 해빗 러닝을 위한 처리 프로세서;
    외부 서버와의 인증 및 지급 결제 연계를 위한 API 관리 도구를 포함하는 API 레이어;
    상기 API 레이어의 시각화 지원 도구를 포함하는 API UI 레이어;
    상기 바이오 인증 수단 또는 상기 무자각 인증 수단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멀티 팩터 믹싱 시큐어 러닝;
    상용 인증수단을 연계하기 위한 도커(Docker) 기능을 제공하는 인증 클러스터;
    상용 지급결제 수단을 연계하기 위한 도커 기능을 제공하는 지급결제 클러스터; 및
    상기 바이오 인증 수단 또는 상기 무자각 인증 수단을 이용한 상용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도커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융합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얼굴, 홍채, 지문, 정맥 및 목소리를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 정보 수집부;
    상기 바이오 정보 수집부에서 획득하는 복수의 바이오 정보를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는 바이오 정보 학습부; 및
    상기 신경망 모델에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정보 학습부는,
    소정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바이오 정보로부터 각각 특성 벡터를 추출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이오 정보의 벡터값을 더한 입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ID 정보를 분류하도록 상기 신경망 모델을 학습하고,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폐쇄된 환경을 구축하는 인증 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부스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 박스;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가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의 타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과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의자; 및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공간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멀티 채널 인증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경을 형성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롤 형태로 감긴 스크린을 수용하고, 상기 스크린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홀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본체 박스의 내측 벽면 상부에 소정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설치 바아;
    상기 설치 바아의 양단에 상기 설치 바아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면을 형성하는 상부 구동부;
    상기 상부 구동부의 수직 하방에 나란히 마련되고, 상기 본체 박스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핀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면을 형성하는 하부 구동부;
    상기 설치 바아 및 상기 회전 핀과 연결되어 상기 설치 바아 및 상기 회전 핀을 동일하게 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에 형성되는 기어면에 맞물려 마련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가 정회전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부 구동부 및 상기 하부 구동부가 역회전하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체인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체인부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 박스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인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 박스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장치.
  2. 삭제
KR1020210007731A 2021-01-19 2021-01-19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KR10223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31A KR102234037B1 (ko) 2021-01-19 2021-01-19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731A KR102234037B1 (ko) 2021-01-19 2021-01-19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037B1 true KR102234037B1 (ko) 2021-03-30

Family

ID=7526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731A KR102234037B1 (ko) 2021-01-19 2021-01-19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73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73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394B2 (en) Pointing device biometrics for continuous user authentication
Sayed et al.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mouse gesture dynamics
Saxena et al. Smart home security solutions using facial authentication and speaker recognition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s
Dahia et al. Continuous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An advanced review
Amin et al. Biometric and traditional mobile authentication techniques: Overviews and open issues
Prakash et al. A biometric approach for continuous user authentication by fusing hard and soft traits.
US11494474B2 (en) Brain activity-based authentication
Fenu et al. Controlling user access to cloud-connected mobile applications by means of biometrics
Li et al. Enhanced free-text keystroke continuous authentication based on dynamics of wrist motion
US11921831B2 (en) Enrollment system with continuous learning and confirmation
Liu et al. A behavioral authentication method for mobile gesture against resilient user posture
Lian et al. Smart home safety handwriting pattern recognition with innovative technology
Ma et al. A kind of mouse behavior authentication method on dynamic soft keyboard
KR102234037B1 (ko)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인증 플랫폼
Alsellami et al. The recent trends in biometric traits authentic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Sharma et al. Behavioral biometrics: past, present and future
US20230045699A1 (en) Machine learning assisted intent determination using access control information
Yaacob et al. Decision making process in keystroke dynamics
Sayed A static authentication framework based on mouse gesture dynamics
Trojahn et al. Towards coupling user and device locations using biometrical authentication on smartphones
Xu Biometrics in FinTech: A Technological Review
WO2021151947A1 (en) Method to generate training data for a bot detector module, bot detector module trained from training data generated by the method and bot detection system
US20230064150A1 (en) Machine learning assisted identification based on learned user attributes
Das et al. Biometric detection using stroke dynamics
Elmi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bedded Biometric-Bas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Electronic Lock using Raspberry 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