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08B1 -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08B1
KR102234008B1 KR1020190058993A KR20190058993A KR102234008B1 KR 102234008 B1 KR102234008 B1 KR 102234008B1 KR 1020190058993 A KR1020190058993 A KR 1020190058993A KR 20190058993 A KR20190058993 A KR 20190058993A KR 102234008 B1 KR102234008 B1 KR 10223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in body
rays
present
trans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570A (ko
Inventor
조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36420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340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글라스
Priority to KR102019005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파장의 광선을 발진시키고, 이들의 차단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각의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고, 상시 본체는 내부에 광 발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수납하고 있으며, 전면으로는 광 발신 종류를 표시하는 발신부가 형성되고, 발신부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수신부를 포함하고, 저면 및 후면으로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파장의 광선을 발진시키고, 이들의 차단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선(visible light, 可視光線)의 녹색 및 적색부분과 적외선 및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등의 파장이 긴 전자파는 인체, 특히 눈에 크게 유해하지 않다.
그러나, 가시광선의 자색 내지 푸른색부분의 청색광이나 자외선 및 X선, 감마선 등의 파장이 짧은 전자파의 경우에는 눈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X선이나 감마선의 경우 태양광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자연광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변에 접근하지 않으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받을 경우가 거의 없으나, 상기 자외선과 가시광선 내 청색광의 경우에는 햇빛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체 중 특히 눈 보호를 위해서는 자외선 및 청색광을 차단하는 전용 차단렌즈를 착용함이 눈에 이롭다.
특히, 상기 가시광선 내에서 푸른빛을 내는 400~500nm의 파장인 청색광(blue light)은 일명 단파장(short wavelength, 短波長)이라고도 하며, 파장이 짧아 망막의 앞쪽에 맺혀서 정확한 상으로 인식되지 않으므로 색이 분산되기 때문에 눈의 피로감을 유발시키며, 또한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높아지는데 그만큼 눈에 있는 시세포(視細胞)를 강하게 자극해서 눈부심과 함께 눈의 피로감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눈에 해로운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경 렌즈(선글래스용 렌즈를 포함한다)에 자외선 즉, UV 광 차단 코팅이 수행됨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안경 렌즈의 투과율은, 광(UV Ray, 자외선)을 안경 렌즈로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안경 렌즈를 통과한 빛을 검출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투과율 측정 모듈로 측정된다.
즉, 피측정 렌즈를 측정 모듈에 올려놓고 광을 조사한 후, 피측정 렌즈를 통과한 광의 세기를 센서로 검출하여, 렌즈의 투과율을 측정하나, 전대역의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광원으로서 제논 전구(Xenon Bulb), 400nm 이하의 단파장 광을 방출하는 ULED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검출된 광의 세기를, 미리 캘리브레이션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측정 렌즈의 투과율을 산출하고 있다.
위와 같은 투과율을 산출하여 보여주는 측정장치로 개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4549호 "안경렌즈용 자외선 측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 4와트의 소형 방전관 중 자외선 중 UV-A 영역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형광등모양의 램프를 사용하여 측정에 필요한 파장영역의 빛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센서에 도달하도록 광학계(1)를 구성하고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또는 숫자, 가변하는 컬러로 그 처리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등록실용신안은 320nm ~ 400nm 사이의 파장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이고, 이는 코팅기술의 발달로 현재 대부분의 안경렌즈에서는 상기 자외선 영역을 차단하고 있어 불필요한 장치에 불과하다.
이에 청색광의 영역 중 400nm~420nm 영역은 HEV(high energy violet)라 불리고, 이러한 빛에 노출될 시에는 470nm의 장파장보다 망막의 손상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망막 변형까지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눈에 해로운 400nm~420nm의 HEV 빛을 차단해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눈에 해로운 400nm~420nm의 HEV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 역시 출시 중이며, 안경 소비자들은 이를 구매하는 즉시 자신의 안경렌즈에 대한 차단능력을 확인받고 싶어하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아직까지 출시되거나 안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04549호 "안경렌즈용 자외선 측정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렌즈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고객이 안경렌즈를 선택하는 경우 근적외선, 청색광, 자외선 등의 차단성능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안경렌즈의 유해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는,
사각의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고, 상시 본체는 내부에 광 발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수납하고 있으며, 전면으로는 광 발신 종류를 표시하는 발신부가 형성되고, 발신부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수신부를 포함하고, 저면 및 후면으로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부와 수신부 사이로 렌즈설치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본체는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체는 본체가 안착되는 경사지지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경사지지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바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에 의하면 탁자 또는 테이블 위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다양한 광선을 렌즈에 투과시켜 유해한 광선의 차단성능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른 광선의 유해 여부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안경렌즈 자외선 차단여부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근적외선, 청색광, 자외선의 차단여부를 보여주는 실시예이고, 도 5는 근적외선, 청색광의 차단여부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는 안경렌즈(100)를 본체(10)에 형성된 렌즈설치부(12)에 위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안경렌즈(100)는 안경원 등에서 구매자가 선택한 렌즈이고, 본 발명은 선택된 렌즈의 다양한 영역대의 차단여부를 본 발명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으로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사각의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2a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3과 같은 광 발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수납하고 있다.
본체(10)의 전면으로는 광 발신 종류를 표시하는 발신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발신부에는 일예로 근적외선, 청색광, 자외선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화살표와 같은 형상이 음각되어 있고, 엘이디 등에 의해서 광의 발진을 표시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근적외선은 빛의 스펙트럼에서 적색 바깥쪽을 적외선이라 하고,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데, 그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0.75~3㎛인 것을 근적외선이라 한다.
이러한 근적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광이 망막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실명의 위험성이 매우 높게 되므로 유해광선에 해당한다.
기타 청색광, 자외선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신부(14)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수신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수신부(16)는 발신부(14)와 연속선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근적외선, 청색광, 지외선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발신부(14)에서 발진된 광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부(16)는 화살표가 음각되어 엘이디를 통해 그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6)에는 안구의 단면을 표시하여 수신된 광이 안구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각성을 배가 시킬 수 있다.
한편, 안경렌즈(100)를 설치하여 발신부(14)에서 발진된 광이 수신부(16)에서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렌즈설치부(12)가 형성된다.
렌즈설치부(12)는 발신부(14)와 수신부(16)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상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체(10)를 세워서 위치시키거나 누워서 위치시켜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들의 눈 높이에서 안경렌즈(100)의 유해광선 투과여부를 확인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저면 및 후면으로는 지지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본체(10)는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지지체(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지지체(20)는 본체(1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본체(10)가 안착되는 경사지지부(2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경사지지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바닥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근적외선, 청색광, 자외선 차단여부를 보여주는 실시예이고, 도 5는 근적외선, 청색광의 차단여부를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를 렌즈설치부에 위치시키면 유해광선의 차단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본체 14: 발신부
16: 수신부 20: 지지체

Claims (3)

  1. 사각의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내부에 광 발신 회로 및 수신 회로를 수납하고 있으며, 본체의 전면으로는 광 발신 종류를 표시하도록 엘이디를 통해 표시하는 발신부와, 발신부와 수평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발신부를 통해 수신된 광의 종류를 엘이디를 통해 표시하는 수신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신부와 수신부 사이로는 간격을 두고 상면에서 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렌즈설치부가 형성되며, 서로 수평을 이루며 형성된 발신부로부터
    수신부에는 안구의 단면을 표시하여 수신된 광이 안구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각성을 배가 시킬 수 있으며, 저면 및 후면으로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지지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지체는 본체가 안착되는 경사지지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경사지지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바닥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KR1020190058993A 2019-05-20 2019-05-20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KR10223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3A KR102234008B1 (ko) 2019-05-20 2019-05-20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3A KR102234008B1 (ko) 2019-05-20 2019-05-20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0A KR20200133570A (ko) 2020-11-30
KR102234008B1 true KR102234008B1 (ko) 2021-03-30

Family

ID=7364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93A KR102234008B1 (ko) 2019-05-20 2019-05-20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590B1 (ko) 2021-12-27 2022-07-06 주식회사 성심광학 안경렌즈용 유해광선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559B1 (ko) 2021-01-05 2021-06-14 민준기 기능성 렌즈의 확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212A (ja) * 1998-08-31 2000-03-14 Nikon Corp 顕微鏡装置
KR200261579Y1 (ko) * 2001-10-15 2002-01-23 최영근 휴대폰 받침대
KR101689498B1 (ko) * 2016-01-22 2016-12-23 김재목 안경렌즈의 고주파 영역 차단율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549Y1 (ko) 1999-12-07 2000-12-01 김기수 안경렌즈용 자외선 측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212A (ja) * 1998-08-31 2000-03-14 Nikon Corp 顕微鏡装置
KR200261579Y1 (ko) * 2001-10-15 2002-01-23 최영근 휴대폰 받침대
KR101689498B1 (ko) * 2016-01-22 2016-12-23 김재목 안경렌즈의 고주파 영역 차단율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590B1 (ko) 2021-12-27 2022-07-06 주식회사 성심광학 안경렌즈용 유해광선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0A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3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an “integrated index” of a material medium
US1081639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light
US9000390B2 (en) Eyeglass rating with respect to protection against UV hazard
KR102234008B1 (ko) 안경렌즈의 유해 광선 차단여부 검사장치
KR20170016852A (ko) 근시 예방 물품
US8379195B2 (en) Visualization of the ultraviolet radiation reflecting power of a spectacle lens
CN111684266A (zh) 用于测量透明制品的光学特性的方法
US6816246B2 (en) Method for measuring light transmittan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89498B1 (ko) 안경렌즈의 고주파 영역 차단율 검사장치
CN205317347U (zh) 一种蓝光危害测量装置
CN102175315A (zh) 一种基于瞳孔大小与环境亮度关系的光危害测量仪器
KR200492363Y1 (ko) 안경렌즈 테스트 박스기
KR101811127B1 (ko) 안경렌즈의 고주파 영역 차단여부 검사장치
KR101746791B1 (ko) 자외선 차단 테스트를 위한 렌즈의 수직 거치대
Masili et al. Blue-light transmittance in sunglasses over long-term irradiation within a solar simulator
CN210893620U (zh) 一种便捷式眼镜片有害光线隔断能力检测装置
TW201326775A (zh) 能量光學檢測儀
TWM586363U (zh) 眼鏡稜鏡度差測試系統
KR101244637B1 (ko) 안경 렌즈의 uv 투과율 측정 장치 및 방법
RU183435U1 (ru) Прибор для проверки качества солнцезащитных очков
KR102417590B1 (ko) 안경렌즈용 유해광선 테스트 장치
CN104236864B (zh) 眼镜检测仪
KR102645084B1 (ko)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 분석 방법
Mou et al.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of eye safety for optical radiation of LED products
JPH0559297U (ja) 眼鏡レンズの紫外線遮断率計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2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506

Effective date: 2021020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14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415

Effective date: 20210913

Z121 Withdrawal of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