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723B1 -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723B1
KR102233723B1 KR1020200122496A KR20200122496A KR102233723B1 KR 102233723 B1 KR102233723 B1 KR 102233723B1 KR 1020200122496 A KR1020200122496 A KR 1020200122496A KR 20200122496 A KR20200122496 A KR 20200122496A KR 102233723 B1 KR102233723 B1 KR 10223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ata
driving pattern
road
driv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주
서영훈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2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23B1/en
Priority to KR1020210033262A priority patent/KR20220039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60W60/0018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by employing degraded modes, e.g. reducing speed, in response to suboptimal conditions
    • B60W60/00184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by employing degraded modes, e.g. reducing speed, in response to suboptimal conditions related to infrastruc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60W2050/0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40Al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a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thereof to correctly determine a dangerous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receiving driving data provided from autonomous vehicles operating on roads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s; a storage unit storing the received driving data and infrastructure information of the roads; and a control unit extracting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a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analyzing the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the infrastructure information of the road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to accumulate the driving data in the storage unit for a specific period, classifies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for each section of the roads, forms the divided driving data into a data set in a form suitable for the machine learning, extracts the driving pattern by performing clustering through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K-means++ algorithm used for the data set, and analyzes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for each section of the roads by linking the driving pattern and the 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Description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 패턴 관리 서버 및 그것의 운행 패턴 해석 방법{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Operation pattern management server of autonomous vehicle and its operation pattern analysis method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패턴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도로에서의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 정보를 사용하여 운행 패턴을 도출하고 해석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 및 운행 패턴 해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pattern classif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and a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for deriving and analyzing a driving pattern using driving inform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on a real road.

종래의 차량 운행 패턴의 연구는 차량의 운행 패턴을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교통 기준에 따른 위험 운전을 분류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운행 패턴을 속도, 가속도, 회전과 같은 변수들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하여 해당 차량의 운행 패턴이 안전 운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도이다.Conventional studies on vehicle driving patterns have focused on classifying dangerous driving according to predefined traffic standards by analyzing vehicle driving patterns. For example, it is the degree to which the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is analyzed based on variables such as speed, acceleration, and rotation, and the resul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corresponds to safe driving.

하지만, 이러한 운행 패턴의 분석은 차량이 주행하는 실제 도로의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운행 패턴 분석에서는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의 시설물이나 기하 구조, 환경과 같은 실도로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운행 패턴에 대한 분석 기법은 차량의 안전 운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실도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방식으로는 높은 안정성을 요구하는 자율 주행차의 안전 운행 기준이나 레벨 4(Level 4) 이상의 자율화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nalysis of the driving pattern does not reflect the actual road environment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That is, in the conventional driving pattern analysis, the actual road characteristics such as facilities, geometry, and environment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are not reflected at all. The conventional analysis technique for the driving pattern does not reflect the actual road environment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With this analysis method,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ting autonomous data of level 4 or higher safety driving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that require high st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실도로 환경에서 획득된 운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을 생성하고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analyzing a driving pattern of an autonomous vehicle using driving data acquired in a real road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는, 상기 자율 주행차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운행 데이터 및 도로의 인프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누적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을 통해서 도로 구간별 운행 패턴으로 도출하고, 상기 운행 패턴을 상기 인프라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행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특정 기간 동안 누적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고, 누적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상기 도로의 구간별로 구분하며, 구분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에 대한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 및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집화하여 운행 패턴을 도출하고, 그리고 상기 운행 패턴과 상기 도로 인프라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자율 주행차의 상기 도로의 구간별 운행 특성을 해석한다.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receiving driving data provided from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the received driving data, and 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a control unit for deriving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a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analyzing the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the infrastructure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driving data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are controlled to accumulate in the storage unit for a specific period,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is divided by section of the road, and the classified driving data is configured as a data set in a form suitable for machine learning, and the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a K-means++ algorithm for a data set are used to derive a driving pattern by clustering, and by linking the driving pattern and the 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the autonomous vehicle operates by section of the roa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운행 데이터는 상기 자율 주행차의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과, 상기 자율 주행차의 휠브레이크 신호, 방향 지시등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value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wheel brake signal and a turn signal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브레이크 신호 및 상기 방향 지시등 신호와 상기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을 부분 집계 근사(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셋을 구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configures the data set by processing the wheel brake signal, the turn signal signal, and th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values with a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범주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휠브레이크 신호 및 상기 방향 지시등 신호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통해서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상기 부분 집계 근사(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wheel brake signal and the turn sign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tegorical data into numeric data through One-Hot Encoding and then approximates the partial aggregation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의 운행 패턴을 해석 방법은, 상기 자율 주행차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운행 데이터를 특정 기간 동안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상기 도로의 구간별로 구분하며, 구분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셋에 대한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 및 K-mean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운행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행 패턴과 상기 도로의 인프라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자율 주행차의 상기 도로의 구간별 운행 특성을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analyzing a driving pattern of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for a specific period, and the collected driving Dividing the data for each section of the road, and configuring the divided driving data into a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applying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a K-means++ algorithm to the data set to determine a driving pattern And analyz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for each section of the road by linking the driving pattern with the infrastructure information of the roa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을 실도로에 맞게 정밀하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행 패턴을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위험 운전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대표적인 운행 패턴에 기반하여 사고 예방 및 이상 주행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riving pattern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generate a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according to an actual road. Therefore, by using the driving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angerous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o prevent accidents and to quickly respond to abnormal driving based on a representative driving patter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행 패턴 관리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운행 패턴 관리 유닛에서 수행하는 운행 패턴 분석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운행 패턴 분석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도로 맵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데이터의 수집 및 구성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언급된 본 발명의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예를 간략히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범주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 내지 도 5의 운행 패턴 도출 단계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링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도로 상의 도로 구간들과 클러스터와의 맵핑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군집화된 각 클러스터들과 해석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btaining and analyz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vehicl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by way of example.
4 is a flowchart briefly showing a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performed by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unit of FIG. 3.
5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of FIG.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road map for collect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llecting and configuring dr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brief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in FIG. 7.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data set for categorical data by way of exampl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cluster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derivation step of FIGS. 4 to 5 by way of exampl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road sections on an actual road and a cluster by way of example.
12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clustered clusters and analysis result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elem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10)은 차량 모듈(100), 통신망(200), 그리고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btaining and analyz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ystem 10 for acquir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includes a vehicle module 100,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차량 모듈(100)은 자율 주행차에 설치된다. 자율 주행차는 운행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실도로를 운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자율 주행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일 수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된 차량 모듈(100)은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vehicle module 100 is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may be a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various types of vehicles capable of driving on real roads for acquiring driving data. The vehicle module 100 mounted on the autonomous vehicle generates driving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using various sensors.

예를 들면, 차량 모듈(100)은 자율 주행차의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회전율(Yaw rate) 센서, 그리고 고도값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센서들로부터 운행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차량 모듈(100)은 자율 주행차의 속도 휠브레이크 동작이나 방향 지시등의 신호를 샘플링하여 운행 데이터로서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module 100 may include a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yaw rate sensor, and an altitude sensor of an autonomous vehicle. In addition, driving data from these sensors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addition, the vehicle module 100 may sample a signal of a speed wheel brake operation or a direction indicator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transmit it to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as driving data.

통신망(200)은 차량 모듈(100)과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 간의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통신망(200)은 차량 모듈(100)이나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와 같은 각각의 노드(Node)들 간에 정보의 교환을 위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통신망(200)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모바일 기기, 도로 등의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차량사물통신(V2X, Vehicle to Everyth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망(200)은 3GPP(3rd Generation 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5G, 6G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provid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vehicle module 100 and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refers to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structure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the vehicle module 100 or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V2X)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objects such as other vehicles, mobile devices, and roads.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3rd Generation 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3G, 4G, 5G, 6G, et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인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을 생성하고 해석한다. 즉,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자율 주행차로부터 실도로 주행시에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다.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수집된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한다.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구성된 데이터에 대한 비지도 학습을 사용하여 도로 구간별 운행 패턴을 생성한다.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nd interprets a driving pattern of an autonomous vehicle, which is a cor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driving data transmitted when driving on a real road from an autonomous vehicle.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configures the collected driving data into data in a form for apply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by using unsupervised learning on the configured data.

더불어,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도출한 운행 패턴을 도로 구간의 기하 구조나 시설물과 같은 도로 인프라와 연계하여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구간별 운행 패턴과 도로 인프라와의 인과 관계를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후,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해석 결과를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정상/이상 운행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운행 패턴의 실도로와 연계된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알고리즘을 보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 function of interpreting the derived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a road infrastructure such as a geometric structure or facility of a road section.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may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us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pattern for each section and the road infrastructure. Thereafter,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 operates normally or abnormally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Alternatively, it may be used to supplement the driving algorithm of the autonomous vehicle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associated with the actual road of the driving pattern.

이상에서 설명된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 따르면, 실도로에서의 주행시 생성되는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이 도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출된 운행 패턴을 처리하여 실도로 인프라와 운행 패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도로의 안정성 평가나 등급화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해석된 운행 패턴을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보험료 산정이나, 자율 주행차의 이상 운행의 발생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도로 인프라의 제어에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described above, a driving pattern of an autonomous vehicle may be derived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when driving on an actual road.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road safety evaluation or rating research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road infrastructure and the driving pattern by processing the derived driving pattern. In addition, the analyzed driving pattern can be used for calculating insurance premiums for autonomous vehicles, or for controlling road infrastructure to minimize accident damage in the event of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도 2는 자율 주행차에 장착될 수 있는 차량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모듈(100)은 자율 주행차에 장착되어 운행 데이터를 생성하여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모듈(100)은 센서부(110), 센서 허브(130), 그리고 차량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vehicle module that can be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Referring to FIG. 2, the vehicle module 100 may be mounted on an autonomous vehicle to generate driving data and transmit it to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The vehicle module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10, a sensor hub 130, and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150.

센서부(110)는 자율 주행차의 운행시에 감지되는 속도나 가속도, 고도, 회전율과 같은 정보를 센싱한다. 더불어, 센서부(110)는 휠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와 방향 지시등의 점멸 여부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차의 움직임 특성을 센싱하기 위해 센서부(110)는 속도 센서(111), 가속도 센서(112), 고도 센서(113), 회전율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0 senses information such as speed, acceleration, altitude, and rotation rate detected when the autonomous vehicle is operating.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0 may sense whether the wheel brake is operated and whether the direction indicator flashes. In order to sense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speed sensor 111, an acceleration sensor 112, an altitude sensor 113, and a rotation rate sensor 114.

그리고 센서부(110)는 휠브레이크 동작 센서(115) 및 방향 지시등 동작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휠브레이크 동작 센서(115)는 자율 주행차의 감속을 위한 휠브레이크의 작동 여부를 센싱하여 전기적 신호로 생성한다. 더불어, 방향 지시등 동작 센서(116)는 방향 지시등의 점멸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자율 주행차 주변의 사물이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레이더나 라이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wheel brake motion sensor 115 and a direction indicator motion sensor 116. The wheel brake motion sensor 115 senses whether the wheel brake is operated for decel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In addition, the direction indicator motion sensor 116 may detect information on the blinking of the direction indicator and provide an electric signal. The sensor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radar or lidar sensor for recognizing objects or situations around the autonomous vehicle.

센서 허브(130)는 센서부(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들(111~116)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한다. 센서 허브(130)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랜덤하게 전달되는 센싱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11~116) 각각의 센싱 데이터는 센서 허브(130)에 의해서 취합된다. 센서 허브(130)는 센서부(110)에서 전달되는 센싱 데이터를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센서 허브(130)는 프로세서나 다양한 연산 코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or hub 130 receives and processes sensing data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111 to 116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The sensor hub 130 ma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ceive sensing data random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The sensing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111 to 116 is collected by the sensor hub 130. The sensor hub 130 may convert sen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0 into a data format for efficient transmission. The sensor hub 1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processor or various computing cores.

차량 통신부(150)는 센서 허브(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통신망(200)을 통해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차량 통신부(150)는 차량사물통신(V2X)을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sensing data provided from the sensor hub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For example,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vehicle object communication (V2X).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 모듈(100)은 자율 주행차에 일체형으로, 또는 모듈형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hicle module 100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integrally or modularly in an autonomous vehicl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행 패턴 관리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 도 1 참조)는 차량 모듈(100, 도 1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실도로 주행 기반의 운행 데이터를 처리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도출된 운행 패턴과 도로 인프라와의 인과 관계를 해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320), 저장부(340), 그리고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illustrated in FIG. 1 by way of example.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see FIG. 1) may derive a driving pattern of an autonomous vehicle by processing real-road driving-based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see FIG. 1). In addition,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may analyz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driving pattern and the road infrastructure. 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20, a storage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60.

통신부(320)는 수신부(321)와 송신부(323)를 포함한다. 수신부(321)는 차량 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321)는 통신망(200, 도 1 참조)을 통해서 전달되는 운행 데이터를 제어부(36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신부(321)는 수신된 운행 데이터를 제어부(360)에 전달할 것이다. 송신부(323)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서의 도출된 운행 패턴이나, 운행 패턴의 해석을 통해 생성된 실도로 인프라와의 인과 관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s a receiving unit 321 and a transmitting unit 323. The receiving unit 321 receives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The receiving unit 321 may change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see FIG. 1) into a data format processed by the controller 360. The receiving unit 321 will transmit the received driving data to the control unit 360. The transmission unit 323 may output a driving pattern derived from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or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actual road infrastructure generated through analysis of the driving pattern.

저장부(340)는 차량 정보 DB(341), 운행 데이터 DB(343), 운행 패턴 DB(345), 그리고 도로 정보 DB(34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들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orage unit 340 may include a vehicle information DB 341, a driving data DB 343, a driving pattern DB 345, and a road information DB 347. The storage unit 340 may be composed of storages for storing data managed by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차량 정보 DB(341)는 자율 주행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운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율 주행차가 2대 이상인 경우, 각각의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차량 정보 DB(341)에 저장될 수 있다. 더불어, 차량 정보 DB(341)에는 자율 주행차의 차종이나 중량, 사이즈와 같은 차량 특성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vehicle information DB 341 stores information on an autonomous vehicle.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or more autonomous vehicles transmitting driving data,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vehicle may be stor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DB 341. In addition,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vehicle type, weight, and size of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stor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DB 341.

운행 데이터 DB(343)에는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의 제어하에 차량 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가 저장된다. 운행 데이터는 운행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차량 모듈(100)로부터 장시간에 걸쳐 전송되는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일 수 있다. 운행 데이터 DB(343)에는 원데이터(Raw data) 형태의 자율 주행차의 운행 정보가 저장된다. The driving data DB 343 stores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The driving data may be a vast amount of big data transmit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vehicle module 100 to derive a driving pattern. The driving data DB 343 stores driving inform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in the form of raw data.

운행 패턴 DB(345)에는 제어부(360)의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이 운행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운행 패턴이나 이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운행 패턴 DB(345)는 대상 도로의 구간별 또는 식별자(ID)별 운행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더불어, 운행 패턴 DB(345)에는 운행 패턴의 해석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DB 345 stores the driving pattern generated by the driving pattern generating unit 367 of the control unit 360 from driving data and related information. The driving pattern DB 345 may store driving patterns for each section of a target road or for each identifier (ID). In addi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analysis of the driving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driving pattern DB 345.

도로 정보 DB(347)는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가 생성되는 도로의 구간별 식별자(ID)나 도로 인프라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 인프라에는 차로 중심선, 횡단 보도, 유도선, 육교, 교차로, 로터리, 차선의 증가나 감소와 같은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 시설이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행 데이터나 운행 패턴은 도로 정보 DB(347)에서 제공되는 정밀 도로 지도를 기반으로 관리될 것이다. The road information DB 347 may store an identifier (ID) for each section of a road in which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is generated or information on a road infrastructure. For example, road infrastructure may include road facilities or information that affect driving patterns such as lane centerlines, crosswalks, taxiways, overpasses, intersections, roundabouts,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lanes. The driving data or driving pattern will be managed based on the precision road map provided by the road information DB 347.

제어부(360)는 통신부(320)를 통해서 전달되는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행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고, 운행 패턴을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운행 패턴을 도로 인프라와 연계하여 해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60)는 프로세서(361),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 그리고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프로세서(361)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고,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 그리고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소프트웨어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60 collects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configures the collected driving data in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generates a driving pattern, and interprets the generated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the road infrastructure. .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360 includes a processor 361, a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a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a driving pattern generating unit 367, and a driving pattern analyzing unit 369. Here, preferably, the processor 361 may be configured with hardware, and 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and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are software Can be provided as

프로세서(361)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61)는 통신부(320)를 통해서 수신되는 운행 데이터를 패치하거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61)는 저장부(340)의 차량 정보 DB(341), 운행 패턴 DB(343), 그리고 도로 정보 DB(345)에 접근할 수 있다. 프로세서(361)는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 그리고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이나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61)는 SoC(system-on-chi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361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The processor 361 may patch driving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or transmit a control signal. The processor 361 may access the vehicle information DB 341, the driving pattern DB 343, and the road information DB 345 of the storage unit 340. The processor 361 may execute an algorithm or program command constituting the operation data collection unit 363, the operation data construction unit 365, the operation pattern generation unit 367, and the operation pattern analysis unit 369. The processor 36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on-chip (SoC),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the like.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은 자율 주행차의 차량 모듈(100, 도 2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를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운행 데이터는 대상 도로 구간에 대하여 자율 주행차가 정해진 기간 동안 복수회 운행하여 생성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간 동안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에는 기간별, 도로 식별자(ID)별로 운행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다. 운행 데이터는 의미있는 운행 패턴의 도출을 위하여 특정 기간에 걸친 빅데이터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stores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refer to FIG. 2)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storage unit 340. The driving data is data generated by driving the autonomous vehicle multiple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for a target road section. Accordingly, during the period for collecting the driving data, the driving data may be accumulated in 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for each period and for each road identifier (ID). Driving data can be managed in the form of big data over a specific period in order to derive meaningful driving patterns.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수집된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에 용이한 형태로 재구성한다.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축적된 운행 데이터의 구성을 분석하고, 운행 패턴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 휠브레이크, 방향 지시등과 관련된 운행 데이터만을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자율 주행차의 차량별 데이터를 구분하고, 도로 식별자(ID)별로 구분한다.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패턴 추출에 불충분한 데이터는 삭제할 수 있다. 특히,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데이터 타입을 수치형과 범주형으로 구분하여 기계 학습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다. 예를 들면,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범주형의 운행 데이터의 경우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사용하여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부분 집계 근사(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이하, PA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운행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reconstructs the collected driving data in a form that is easy for machine learning.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analyze the configuration of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and select variables that affect classification of the driving pattern. For example,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select only driving data related to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ltitude values, wheel brakes, and direction indicators that affect the driving patter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lassifies data for each vehicle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classifies it for each road identifier (ID). 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delete data insufficient for pattern extraction. In particular, the operation data configuration unit 365 divides the data type into a numeric type and a categorical type and configures the data type in a form capable of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verts categorical data into numeric data by using one-hot encoding in the case of categorical driving data. 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configure the driving data using a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A) algorithm.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구성된 데이터에 대한 비지도 학습을 사용하여 도로 구간별 운행 패턴을 생성한다.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부분 집계 근사(PAA)를 통해서 생성된 운행 데이터 셋을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집화(Clustering)한다. 예를 들면,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운행 데이터 셋에 대해 자기조직화 지도(Self-Organizing Map: 이하, SOM) 알고리즘으로 처리하고, 그 결과값에 대해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군집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후술하는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generate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by using unsupervised learning on the configured data.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clusters the driving data set generated through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using a hybrid-type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example,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processes the driving data set with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additionally clusters the result values using the K-means++ algorithm. I can. This techniqu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기계 학습을 통해서 도출된 클러스터별 운행 패턴을 해석한다.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각 클러스터들에 속한 도로 구간의 기하 구조나 시설물, 차로 수, 구간 길이, 도로 표지판, 교통 단속 장비, 다양한 시설물 등에서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저장부(340)의 도로 정보 DB(347)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도로의 인프라와 클러스터별 인과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analyzes the driving pattern for each cluster deriv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select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pattern from the geometry or facilities of road sections belonging to each cluster, the number of lanes, section length, road signs, traffic control equipment, and various facilities. That is,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estimate a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cluster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target road provided from the road information DB 347 of the storage unit 340.

제어부(360)는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으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패턴의 해석 결과를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정상 및 이상 주행 탐지와 후속되는 제어 동작에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해석 결과를 사용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 의해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이 담보된 자율 주행차의 실도로 운행이 지원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60 may refer to the detection of normal and abnormal driv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subsequent control operations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iving pattern provided from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In addition, the controller 360 may update the driving algorithm of the autonomous vehicle using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ly,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driving of an autonomous vehicle with high reliability and stability assured on a real road.

도 4는 도 3의 운행 패턴 관리 유닛에서 수행하는 운행 패턴 분석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자율 주행차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된 운행 데이터로부터 운행 패턴을 도출 및 해석할 수 있다.4 is a flowchart briefly showing a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performed by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unit of FIG. 3. 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may accumulate driving data provided from an autonomous vehicle, and may derive and interpret a driving pattern from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S110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은 자율 주행차의 차량 모듈(100, 도 2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를 저장부(340)의 운행 데이터 DB(343)에 저장한다. 운행 데이터는 차량별, 기간별, 도로 구간별로 누적되어 운행 데이터 DB(343)에 저장될 수 있다. In step S110, 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stores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refer to FIG. 2)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driving data DB 343 of the storage unit 340. The driving data may be accumulated for each vehicle, period, and road section and stored in the driving data DB 343.

S120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데이터 DB(343) 상에 저장된 수집된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을 위한 형태로 구성한다.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데이터의 데이터 타입에 따라 구분하여 처리한다. In step S120,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figures the collected driving data stored on the driving data DB 343 in a form for machine learning.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lassifies and processes the driving data according to the data type.

운행 데이터는 수치형과 범주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치형 데이터의 경우,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범주형 데이터의 경우 수치형으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휠브레이크나 방향 지시등 신호와 같은 범주형 데이터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 기법을 사용하여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Driving data can be divided into numerical and categorical types. Numerical data can be processed with a partial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but categorical data requires conversion to a numeric type. Accordingly,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verts categorical data such as wheel brakes or turn signal signals into numeric data using a One-Hot encoding technique.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계 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할 수 있다.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는 모든 운행 데이터에 대해 최소-최대 정규화(Min-Max Normalization)를 적용한다. 즉, 운행 데이터들은 최소 '0'에서 최대 '1'을 갖는 수치들로 정규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configure a data set for applying machine learning using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applies Min-Max Normalization to all driving data. That is, the driving data may be normalized to values having a minimum of '0' and a maximum of '1'.

S130 단계에서,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구성된 데이터 셋에 대한 비지도 학습을 사용하여 도로 구간별 운행 패턴을 생성한다.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부분 집계 근사(PAA)를 통해서 생성된 데이터 셋을 하이브리드 형태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집화(Clustering)한다.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데이터 셋에 대해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으로 처리하고, 그 결과값에 대해 K-means++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In step S130,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generate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by using unsupervised learning on the configured data set.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clusters the data set generated through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using a hybrid-typ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may process the data set with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apply a K-means++ algorithm to the result value.

S140 단계에서,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기계 학습을 통해서 도출된 클러스터별 운행 패턴을 해석한다.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각 클러스터들에 속한 도로 구간의 기하 구조나 시설물, 차로 수, 구간 길이, 도로 표지판, 교통 단속 장비, 다양한 시설물 등에서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저장부(340)의 도로 정보 DB(347)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도로의 인프라와 클러스터별 인과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In step S140,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analyzes the driving pattern for each cluster deriv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select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pattern from the geometry or facilities of road sections belonging to each cluster, the number of lanes, section length, road signs, traffic control equipment, and various facilities. That is,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estimate a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cluster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target road provided from the road information DB 347 of the storage unit 3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의 운행 데이터의 수집과 운행 패턴의 도출, 해석 절차가 간략히 설명되었다. 여기서,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에 의한 운행 패턴의 해석 결과를 사용하는 기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하지만, 운행 패턴의 해석 결과를 자율 주행차의 이상 주행 탐지나 자율 주행 알고리즘의 업데이트, 그리고 자동차 보험료에 대한 기반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ocedure of collecting and deriving and interpreting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briefly described. Here, a technique for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iving pattern by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has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iving pattern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for the detection of abnormal driv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n update of an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and automobile insurance premiums.

도 5는 도 4의 운행 패턴 분석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자율 주행차로부터 제공되는 실도로 운행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행 패턴을 생성하고, 운행 패턴과 도로의 인프라의 인과 관계와 같은 해석을 수행한다.5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method of FIG. 4. Referring to FIG. 5,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generates a driving pattern using real road driving data provided from an autonomous vehicle, and performs an analysis such 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pattern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road.

S210 단계에서,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는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수집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운행 데이터 수집 유닛(363)은 자율 주행차로부터 전송되는 운행 데이터를 운행 데이터 DB(343)에 저장한다. 운행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수집되고 운행 데이터 DB(343)에 누적된다.In step S210,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driving data of the autonomous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data collection unit 363 stores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driving data DB 343. The driving data is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ccumulated in the driving data DB 343.

S220 내지 S228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데이터 DB(343)에 저장된 수집된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에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 셋으로 구성한다. S220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구성을 위해 선택된 운행 데이터가 수치형인지 또는 범주형인지 구분한다. In steps S220 to S228,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figures the collected driving data stored in the driving data DB 343 into a data set in a form suitable for machine learning. In step S220,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identifies whether the driving data selected for configuration is a numeric type or a categorical type.

만일, 선택된 운행 데이터가 범주형인 경우, 절차는 S222 단계로 이동한다. 하지만, 선택된 운행 데이터가 수치형인 경우, 절차는 S224 단계로 이동한다. S222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범주형에 해당하는 운행 데이터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적용하여 수치화한다. S224 단계에서는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수치형 데이터 또는 수치화된 범주형 데이터를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처리한다.If the selected driving data is categorical,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222. However, if the selected driving data is a numeric type,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224. In step S222,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verts the driv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categorical type into a numerical value by applying One-Hot Encoding. In step S224, the operation data configuration unit 365 processes numerical data or numerical categorical data by applying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S226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S224 단계에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된 데이터가 수집된 운행 데이터 중에서 마지막 데이터인지 체크한다. 만일, S224 단계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마지막 운행 데이터인 경우('예' 방향), 절차는 S228 단계로 이동한다. 하지만, S224 단계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마지막 운행 데이터가 아닌 경우('아니오' 방향), 절차는 S227 단계로 이동한다. In step S226, the driving data construction unit 365 checks whether the data processed according to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in step S224 is the last data among the collected driving data. If the data processed in step S224 is the last driving data (in the direction of'Yes'),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228. However, if the data processed in step S224 is not the last driving data (in the direction of'No'), the procedure moves to step S227.

S227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적용할 나머지 데이터를 선택할 것이다. 이후, S220 단계로 복귀하여 데이터 타입에 따른 처리를 반복할 것이다. S228 단계에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에 의해서 시계열 데이터로 재배열된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셋으로 구성한다. In step S227, the driving data construction unit 365 will select the remaining data to which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is applied. Thereaft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20 to repeat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data type. In step S228, the operation data construction unit 365 configures the operation data rearranged into time series data by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as a data set for applying the operation data to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S230 내지 S234 단계에서,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구성된 데이터 셋에 대한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운행 패턴을 생성한다. S230 단계에서,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된 데이터 셋을 인공신경망 기반의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으로 처리한다. In steps S230 to S234,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generates a driving pattern using machine learning on the configured data set. In step S230,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processes the data set generated through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wit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이어서, S232 단계에서,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은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의 결과값에 대해서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데이터 셋은 S230 단계의 SOM 알고리즘과, S323 단계에서의 K-means++ 알고리즘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기계 학습을 통해서 군집화될 수 있다. S234 단계에서는 S230 단계와 S232 단계에서 수행된 기계 학습의 결과로 운행 데이터는 복수의 패턴들로 군집화된다. 예를 들면, 운행 데이터는 제 1 운행 패턴 내지 제 n 운행 패턴으로 군집화될 수 있을 것이다. Subsequently, in step S232, 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processes the result value of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using the K-means++ algorithm. The data set may be clustered through hybrid machine learning that combines the SOM algorithm in step S230 and the K-means++ algorithm in step S323. In step S234, the driving data is clustered into a plurality of patterns as a result of the machine learning performed in steps S230 and S232. For example, the driving data may be clustered into a first driving pattern to an n-th driving pattern.

S240 단계에서,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기계 학습을 통해서 도출된 제 1 운행 패턴 내지 제 n 운행 패턴을 해석한다.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각 클러스터들에 속한 도로 구간의 기하 구조나 시설물, 차로 수, 구간 길이, 도로 표지판, 교통 단속 장비, 다양한 시설물 등에서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운행 패턴 해석 유닛(369)은 저장부(340)의 도로 정보 DB(347)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도로의 인프라와 클러스터별 인과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In step S240,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analyzes the first driving pattern to the n-th driving pattern deriv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select factors affecting the driving pattern from the geometry or facilities of road sections belonging to each cluster, the number of lanes, section length, road signs, traffic control equipment, and various facilities. That is, the driving pattern analysis unit 369 may estimate a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cluster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target road provided from the road information DB 347 of the storage unit 3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패턴 관리 서버(300)의 운행 데이터의 수집과 운행 패턴의 도출, 해석 절차가 설명되었다. 상술한 운행 패턴의 도출 및 해석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잘 이해될 것이다. In the above, a procedure for collecting and deriving and interpreting a driving pattern of driving data of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deriving and interpreting the driving pattern is mer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도로 맵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로 맵(400)은 복수의 도로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road map for collecting driving data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road map 4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ad sections.

자율 주행차가 주행하는 도로는 복수의 도로 구간들(410, 412, 414, 416, …)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도로 구간들은 차선의 증가 또는 감소, 교차로, 횡단 보도와 같은 다양한 도로 인프라를 고려하여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된 도로 구간들에는 고유한 도로 구간 식별자(ID)를 부여하여 자율 주행차의 운행 데이터 패턴과 맵핑할 수 있다. 구분된 도로 구간 단위로 운행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oad o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travel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ad sections 410, 412, 414, 416, …. Each road section may be divid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road infrastructures such as increasing or decreasing lanes, intersections, and crosswalks. In addition, a unique road section identifier (ID) may be assigned to the divided road sections to map the driving data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Driving data may be collected in units of divided road section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행 데이터의 수집 및 구성 절차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모듈(100, 도 1 참조)에서 제공되는 운행 데이터(510)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수치형 데이터와 범주형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운행 데이터(510)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원-핫 인코딩(520)을 적용하거나 곧바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530)을 적용하여 운행 패턴의 생성을 위한 입력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llecting and configuring driv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driving data 510 provid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refer to FIG. 1) may be divided into numeric data and categorical data according to data types. The driving data 510 may be used as input data for generating a driving pattern by applying the one-hot encoding 520 or directly applying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530 according to the data type.

차량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데이터에는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 휠브레이크 신호, 방향 지시등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행 데이터에는 이들 외에도 라이다 센서나 이미지 센서로부터 검출된 다양한 운행 감지 신호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운행 데이터(510) 중에서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은 자율 주행차의 이동에 따라 측정되는 수치형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휠브레이크 신호나 방향 지시등 신호는 수치가 아닌 온-오프 여부만을 나타내는 범주형 데이터이다. The driving data provided from the vehicle module 100 may includ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ltitude value, wheel brake signal, turn signal signal, and the lik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driving data may further include various driving detection signals detected from a lidar sensor or an image sensor in addition to these. Among the driving data 510, values of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may be provided as numerical data measu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On the other hand, a wheel brake signal or a turn signal signal is categorical data that only indicates whether it is on or off, not a numerical value.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 도 3 참조)은 수집된 운행 데이터(510)를 차량별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데이터(510)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한 데이터, 도로 구간 식별자(ID)가 식별 가능한 데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한 분석을 위해 결측치가 포함된 운행 데이터(510)는 삭제될 수 있다.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refer to FIG. 3) may separate the collected driving data 510 for each vehicle. 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select only data that has been driven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from the driving data 510 and data that can be identified by a road section identifier (ID). Also, for easy analysis, the driving data 510 including the missing value may be deleted.

더불어,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운행 패턴의 인지 가능한 최소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운행 도로 구간의 길이의 평균과 속도를 사용하여 구간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수집된 운행 데이터(510) 중에서 최소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길이보다 짧은 도로 구간은 데이터 구성에서 제외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calculate the section length by using the average and speed of the length of the driving road section in order to set the minimum recognizable section of the driving pattern. 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will exclude from the data configuration a road section shorter than the sectio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section among the collected driving data 510.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수치형 데이터의 경우, 구간 길이를 통일화하기 위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530)을 곧바로 적용한다. 즉,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은 별도의 가공없이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530)을 통해서 구간 길이를 통일시킬 수 있다. 반면에, 범주형 데이터인 휠브레이크나 방향 지시등 신호의 경우 수치형으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In the case of numerical data, the driving data construction unit 365 immediately applies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530 for unifying the section length. That is, th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values may be unified through the partial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530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for categorical data such as wheel brake or turn signal signals, conversion to a numeric type is required.

따라서,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휠브레이크나 방향 지시등 신호와 같은 범주형의 운행 데이터를 원-핫 인코딩(520)을 사용하여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운행 데이터 구성 유닛(365)은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에 대해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530)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에 의해서 처리된 운행 데이터(510)는 운행 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입력 자료로 제공된다.Accordingly,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converts categorical driving data such as wheel brakes or turn signal signals into numeric data using the one-hot encoding 520. In addition, the driving data configuration unit 365 may process data converted into numeric data using a partial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530. The driving data 510 processed by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is provided as input data for deriving a driving pattern.

도 8은 도 7에 언급된 본 발명의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예를 간략히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행 데이터의 변수들 중에서 속도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적용 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8 is a graph brief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in FIG. 7. 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applying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for constructing a data set for speed among variables of driving data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로 구간마다 또는 시간에 따라 자율 주행차의 속도는 변하게 되고, 따라서 입력되는 속도는 단위 시간이나 구간에 따라 상이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의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해, 동일한 시간 구간으로 시계열을 분리하고, 각 구간에서의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The speed of the autonomous vehicle varies for each road section or according to time, and thus the input speed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numbers according to a unit time or section. In order to construct a data set with such a speed,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is applied as a means for separating the time series into the same time interval and using the average value in each interval as a representative value.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12초 동안의 시계열 구간에서 속도값은 12개의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해 7개의 세그먼트(Segments=7)로 통일하는 경우, 12초의 시간 구간은 7개의 단위 구간들로 구분되고, 각 단위 구간에서의 속도의 평균값들이 7개의 대표값들에 맵핑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time series section for 12 seconds, the speed value may be provided as 12 values. However, in the case of unifying into 7 segments (Segments=7) to compose the data set, the time interval of 12 seconds is divided into 7 unit intervals,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speed in each unit interval are divided into 7 representative values. Is mapped.

이러한 방식으로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들이 운행 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입력 자료(데이터 셋)로 가공된다. 또한, 원-핫 인코딩에 의해서 수치화된 범주형 데이터도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운행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변수들에 대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적용에 의해, 운행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셋으로 가공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peed, acceleration, turnover, and altitude values are processed into input data (data set) to derive the driving pattern. In addition,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can be applied to categorical data quantified by one-hot encoding. By applying a partial aggregate approximation (PAA) algorithm to all variables constituting the driving data, it can be processed into a data set for generating a driving pattern.

도 9는 범주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범주형 데이터의 하나인 방향 지시등 신호에 대해 원-핫 인코딩 및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의 적용이 도시되어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data set for categorical data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9, application of a one-hot encoding and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to a turn signal signal, which is one of categorical data, is illustrated.

방향 지시등 신호는 오프(Off), 좌측 신호(LTS), 우측 신호(RTS), 그리고 경고등(Hazard Light)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오프(Off)와 경고등(Hazard Light) 상태는 좌측 신호(LTS), 우측 신호(RTS)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에 원-핫 인코딩 후에는 이들 변수들만으로 간략화될 수 있다. The turn signal signal can be classified into Off, Left Signal (LTS), Right Signal (RTS), and Hazard Light. However, since Off and Hazard Light states can be expressed as a left signal (LTS) and a right signal (RTS), after one-hot encoding, only these variables can be simplified.

원-핫 인코딩에 의해서 좌측 신호(LTS), 우측 신호(RTS)들 각각이 온-오프에 따라 수치 데이터인 '0' 또는 '1'로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간1에서 각각 8개의 좌측 신호(LTS) 및 우측 신호(RTS)가 제공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좌측 신호(LTS)의 원-핫 인코딩된 결과는 '0, 0, 1, 0, 0, 1, 1, 1'로, 우측 신호(RTS)의 원-핫 인코딩된 결과는 '1, 0, 0, 0, 0, 0, 0, 0'로 맵핑될 수 있다.Each of the left signal LTS and the right signal RTS may be mapped to numerical data '0' or '1' according to on-off by one-hot encoding.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8 left signals (LTS) and right signals (RTS) are provided in section 1, respectively. Then, the one-hot encoded result of the left signal LTS is '0, 0, 1, 0, 0, 1, 1, 1', and the one-hot encoded result of the right signal RTS is '1, It can be mapped to 0, 0, 0, 0, 0, 0, 0'.

하지만, 방향 지시등 신호도 운행 패턴의 도출을 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7개의 세그먼트(Segments=7)로 통일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서 좌측 신호(LTS)는 '0, 0.3, 0.6, 0, 0.6, 1, 1'로, 우측 신호(RTS)는 '0.8, 0, 0, 0, 0, 0, 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urn signal signal must be unified into 7 segments (Segments=7) in order to compose a data set for deriving a driving pattern. Therefore, by applying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the left signal (LTS) is '0, 0.3, 0.6, 0, 0.6, 1, 1', and the right signal (RTS) is '0.8, 0, 0, 0, It may be composed of 0, 0, 0'.

이상에서는 범주형 데이터를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한 원-핫 인코딩 및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절차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데이터 셋의 구성 방법은 방향 지시등뿐 아니라 휠브레이크 신호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ocedure of one-hot encoding and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for constructing a data set of categorical data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is data set can be applied in a similar manner to not only the turn signal but also the wheel brake signal.

도 10은 도 4 내지 도 5의 운행 패턴 도출 단계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링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통해서 구성된 운행 패턴 입력 자료는 자기조직화 지도(SOM)와 K-means++ 알고리즘에 의한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링 연산에 의해서 운행 패턴으로 생성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ybrid cluster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derivation step of FIGS. 4 to 5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10, the driving pattern input data constructed through the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is generated as a driving pattern by a self-organizing map (SOM) and a hybrid clustering operation using the K-means++ algorithm.

운행 패턴 생성 유닛(367, 도 3 참조)은 부분 집계 근사(PAA) 알고리즘을 통해서 구성된 운행 패턴 입력 자료에 대해 우선적으로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에 의해 데이터 셋의 입력 벡터들은 2차원 상의 노드들로 인접하게 된다.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에 의해 데이터 공간상에서 할당되는 노드들의 유클리드 거리가 계산될 것이다. 그리고 계산된 유클리드 거리에 기반하여 데이터 셋에 대한 비지도 학습, 즉, 클러스터링이 수행될 것이다. 데이터 셋들은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러스터들(610, 611, 612, 613, 614, …)로 군집화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generation unit 367 (refer to FIG. 3) preferentially applies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to the driving pattern input data configured through a partial aggregation approximation (PAA) algorithm. By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the input vectors of the data set are adjacent to nodes in two dimensions. The Euclidean distances of nodes allocated in the data space will be calculated by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based on the calculated Euclidean distance, unsupervised learning, that is, clustering will be performed on the data set. Data sets may be clustered into a plurality of clusters 610, 611, 612, 613, 614, ...) as shown by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의 결과로 제공된 복수의 클러스터들(610, 611, 612, 613, 614, …)에 대해 K-means++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K-means++ 알고리즘은 K-means 알고리즘에 비해 초기값 선택 기능을 강화한 알고리즘이다. K-means++ 알고리즘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의 단일 클러스터링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군집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K-means++ algorithm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lusters 610, 611, 612, 613, 614, ...)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The K-means++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enhances the initial value selec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K-means algorithm. By additionally applying the K-means++ algorithm, higher clustering performance can be provided than when the single clustering method of the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is applied.

K-means++ 알고리즘의 적용에 따라 복수의 클러스터들(610, 611, 612, 613, 614, …)은 새로운 단위의 클러스터들(630, 631, 632, 633, 634, 635)로 군집화될 것이다. 6개의 클러스터들은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들을 크게 6가지로 군집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K-means++ algorithm, a plurality of clusters 610, 611, 612, 613, 614,… will be clustered into new unit clusters 630, 631, 632, 633, 634, 635. The six clusters show that the driving patterns of autonomous vehicles can be largely clustered into six.

도 11 및 도 12는 도출된 운행 패턴을 실도로 상에서의 인프라와 연계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실도로의 도로 구간들과 클러스터와의 맵핑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12는 군집화된 각 클러스터들과 그 요인이 되는 도로의 인프라나 특성을 요약한 테이블이다.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derived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infrastructure on an actual road. 11 exemplarily show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road sections of an actual road and a cluster. 12 is a table summarizing the infrastructure or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ed cluster and a road that is a factor thereof.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자율 주행차의 도로 구간들에서의 운행 데이터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링 연산을 통해서 복수의 클러스터들(Cluster 1~ Cluster 6)에 대응하는 운행 패턴들로 도출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it can be seen that driving data in road sections of an autonomous vehicle are derived as driving patter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lusters (Cluster 1 to Cluster 6) through the hybrid clustering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예시적으로, 도로 구간들(750, 751, 752, 753, 754, 755)에서 획득된 운행 데이터들에 의해서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은 제 1 클러스터(Cluster 1)로 도출될 수 있다. 이 구간에서의 운행 패턴은 속도(9.64 km/h), 가속도(0.05 km/h/s), 회전율(-3.17 deg/s), 고도값 변화(0 m/s), 휠브레이크(0.85), 좌측 신호등(0.98), 우측 신호등(0)로 도출된다. For example, the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derived as the first cluster 1 by the driving data acquired in the road sections 750, 751, 752, 753, 754, and 755. Driving patterns in this section include speed (9.64 km/h), acceleration (0.05 km/h/s), rotation rate (-3.17 deg/s), altitude change (0 m/s), wheel brake (0.85), It leads to the left traffic light (0.98) and the right traffic light (0).

제 1 클러스터(Cluster 1)의 경우,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는 구간이 다수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도로 구간들(750, 751, 752, 753, 754, 755)과 연계하여 해석해 보면, 횡단 보도와 유도선이 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횡단 보도 앞에서는 감속하고, 횡단 보도 이후에는 가속하는 경향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회전중에 유도선에서는 휠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경향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cluster (Cluster 1),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sections turning left at the intersection are included. When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road sections 750, 751, 752, 753, 754, 755, it can be interpreted that crosswalks and taxiways have influenced the driving patter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tendency to decelerate in front of a crosswalk and accelerate after a crosswalk.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wheel brake in the guide line during rotation.

도로 구간들(730, 731, 732)에서의 자율 주행차의 운행 패턴은 제 3 클러스터(Cluster 3)로 도출될 수 있다. 이 구간에서의 운행 패턴은 속도(19.24 km/h), 가속도(0.10 km/h/s), 회전율(-0.05 deg/s), 고도값 변화(0.17 m/s), 휠브레이크(0.11), 좌측 신호등(0.04), 우측 신호등(0)로 도출된다. 제 3 클러스터(Cluster 3)의 경우, 고도값의 변화를 고려하면 오르막 구간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로 구간들(730, 731, 732)의 인프라와 연계하여 해석해 보면, 경사도가 존재하고 차선이 축소되는 구간임을 알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of the autonomous vehicle in the road sections 730, 731, and 732 may be derived as a third cluster 3. The driving pattern in this section is speed (19.24 km/h), acceleration (0.10 km/h/s), rotation rate (-0.05 deg/s), altitude change (0.17 m/s), wheel brake (0.11), It is derived from the left traffic light (0.04) and the right traffic light (0). In the case of the third cluster (Cluster 3),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altitude value,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uphill sections are included. When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infrastructure of the road sections 730, 731, and 732, it can be seen that the slope exists and the lane is reduced.

이상에서는 도로 구간들과 운행 패턴을 연계하여 해석하는 과정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설명되지 않은 클러스터들(Cluster 2, Cluster 4 ~ Cluster 6)에 대해서도 도로 구간과 연계하여 상술한 방식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도로 구간들은 클러스터들(Cluster 1~ Cluster 6)에 대응하는 운행 패턴으로 도출될 수 있고, 도로 인프라와 환경을 고려하여 해석될 수 있다. 운행 패턴이 도출되지 않은 도로 구간들은 운행 데이터의 수집 시간이 기준치 이하이거나, 수집된 운행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이다. In the above, the process of interpreting by linking road sections and driving patterns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Clusters that are not described (Cluster 2, Cluster 4 to Cluster 6) can als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a road section.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road sections can be derived as driving patterns corresponding to clusters (Cluster 1 to Cluster 6), and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road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Road sections for which a driving pattern is not derived are cases where the collection time of driving data is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or the amount of collected driving data is small.

상술한 방식의 실도로에서 자율 주행차로부터 획득된 운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행 패턴을 도출하고 해석하는 기술을 통하여, 자율 주행차의 주행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도출된 운행 패턴은 레벨 4 수준의 자율 주행차로부터 획득된 것이기에 운행 패턴의 해석 결과를 고레벨의 자율 주행차의 운영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자율 주행차의 위험 운전에 대한 기준을 수립할 수 있어, 자율 주행차의 보험료 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관제 센터에서 자율 주행차의 주행시 발생하는 사고 예방 및 사고후 처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a technology for deriving and analyzing a driving pattern based on driving data obtain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on the real road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can be applied to the driving algorithm of the autonomous driving vehicle. Since the derived driving pattern is obtained from a level 4 level autonomous vehicle, the analysis result of the driving pattern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algorithm of a high level autonomous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standards for dangerous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and thus can be used for calculating insurance premiums for autonomous vehicl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the control center for accident prevention and post-accident treatment that occur when driving autonomous vehicles.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re specific example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changed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5)

자율 주행차로부터 제공되는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차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운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운행 데이터 및 도로의 인프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누적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을 통해서 도로 구간별 운행 패턴으로 도출하고, 상기 운행 패턴을 상기 인프라 정보와 연계하여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행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특정 기간 동안 누적하도록 상기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고;
누적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상기 도로의 구간별로 구분하며, 구분된 상기 운행 데이터를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셋에 대한 자기조직화 지도(SOM) 알고리즘 및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집화하여 운행 패턴을 도출하고, 그리고
상기 운행 패턴과 상기 인프라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자율 주행차의 상기 도로의 구간별 운행 특성을 해석하되,
상기 운행 데이터는 상기 자율 주행차의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과, 상기 자율 주행차의 휠브레이크 신호, 방향 지시등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브레이크 신호 및 상기 방향 지시등 신호와 상기 속도, 가속도, 회전율, 고도값 각각을 특정 시계열 구간을 동일한 수의 세그먼트로 구분하여 대표값을 맵핑하는 부분 집계 근사(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 셋을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범주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휠브레이크 신호 및 상기 방향 지시등 신호를 원-핫 인코딩(One-Hot Encoding)을 통해서 수치형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상기 부분 집계 근사(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
In the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receiving driving data provided from an autonomous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dr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driving data and 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deriving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as a driving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analyzing the driving pattern in connection with the infrastructur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orage unit to accumulate the driving data in the storage unit for a specific period;
The accumulated driving data is divided for each section of the road, and the divided driving data is configured as a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The data set is clustered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algorithm and a K-means++ algorithm to derive a driving pattern, and
Analyz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vehicle for each section of the road by linking the driving pattern and the infrastructure information,
The driv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values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 wheel brake signal and a turn signal signal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control unit may divide each of the wheel brake signal and the turn signal signal, th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rate, and altitude values into an equal number of segments for a specific time series, and map a representative value to a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 To construct the data set by processing with an algorithm,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wheel brake signal and the turn sign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tegorical data into numeric data through One-Hot Encoding, and then the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 (PAA) Operation pattern management server that processes according to the algorith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데이터는 차량사물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을 통하여 상기 자율 주행차로부터 수신되는 운행 패턴 관리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data is a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vehicle through Vehicle to Everything (V2X).
KR1020200122496A 2020-09-22 2020-09-22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KR102233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96A KR102233723B1 (en) 2020-09-22 2020-09-22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KR1020210033262A KR20220039531A (en) 2020-09-22 2021-03-15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of autonomous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96A KR102233723B1 (en) 2020-09-22 2020-09-22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62A Division KR20220039531A (en) 2020-09-22 2021-03-15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of autonomous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723B1 true KR102233723B1 (en) 2021-03-30

Family

ID=75264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496A KR102233723B1 (en) 2020-09-22 2020-09-22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KR1020210033262A KR20220039531A (en) 2020-09-22 2021-03-15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of autonomous vehicle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262A KR20220039531A (en) 2020-09-22 2021-03-15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of autonomous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37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85B1 (en) * 2022-01-18 2022-12-15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Safety analysis management server for evaluating autonomous driving roads
CN115497317A (en) * 2022-09-13 2022-12-20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Target road section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797A (en) * 2022-08-16 2024-02-23 손영찬 Camera device for vehicle safe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72A (en) * 2018-02-22 2019-09-16 자동차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gent of smart driving
KR20200101517A (en) * 2019-01-30 2020-08-28 한국자동차연구원 Method for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based on vehicle-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fu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72A (en) * 2018-02-22 2019-09-16 자동차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gent of smart driving
KR20200101517A (en) * 2019-01-30 2020-08-28 한국자동차연구원 Method for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based on vehicle-road infrastructure information fu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885B1 (en) * 2022-01-18 2022-12-15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Safety analysis management server for evaluating autonomous driving roads
CN115497317A (en) * 2022-09-13 2022-12-20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Target road section determin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CN115497317B (en) * 2022-09-13 2024-04-12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Target road section determ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31A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723B1 (en) Driving pattern management server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riving pattern classifying method thereof
CN109641603B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10125076A1 (en) System for predicting aggressive driving
US20220024469A1 (en) Detecting Road Conditions Based on Braking Event Data Received from Vehicles
US20190308620A1 (en) Feature-based prediction
GB2573738A (en) Driving monitoring
CN111332296B (en) Prediction of lane changes for other vehicles
US10755565B2 (en) Prioritized vehicle messaging
CN113165646B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risk factors aroun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32633B2 (en) Operation model construction system, oper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609016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constructing automatic driving test scene of vehicle
JP6418574B2 (en) Risk estimation device, risk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isk estimation
DE112019005785T5 (en) SENSOR COMBINATION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CN112334370B (en) Automated vehicle actions for lane departure warn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291318B1 (en) Driving analysis server moniotring autonomous vehicles
CN111164530A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control model for automatic control of at least one mobile unit
CN112287801A (en) Vehicle-mount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7380616B2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driving control program
US10841761B2 (en) Adaptive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US11521491B2 (en) Priority vehicle management
US10953871B2 (e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control
KR102477885B1 (en) Safety analysis management server for evaluating autonomous driving roads
US20190389472A1 (e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control
CN113741384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utomatic driving system
US2021030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vere road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