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82B1 -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82B1
KR102233282B1 KR1020190065371A KR20190065371A KR102233282B1 KR 102233282 B1 KR102233282 B1 KR 102233282B1 KR 1020190065371 A KR1020190065371 A KR 1020190065371A KR 20190065371 A KR20190065371 A KR 20190065371A KR 102233282 B1 KR102233282 B1 KR 10223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fastening
fixing
wir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962A (ko
Inventor
임인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모듈
임인혁
도시구조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모듈, 임인혁, 도시구조안전(주) filed Critical (주)케이모듈
Priority to KR102019006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58Moulds, cores or mandrels with provisions concerning the elimination of superfluous material; Moulds with burr-removing means provid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강연선을 하나의 정착블럭에 체결할 수 있고,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강연선의 긴장을 증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는,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을 갖는 정착블럭과; 상기 정착블럭의 나사체결홈에 나사 결합되어 복수개의 강연선을 체결하는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과; 상기 정착블럭에 체결되어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발휘하는 정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은 복수개의 강연선에 대응되는 수만큼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을 갖는 웨지 하우징과;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상기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삽입된 후 각기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 결합되어 강연선을 치형으로 물림시키는 강연선 체결웨지와; 복수개의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형 배열되도록 결속시키는 결속링과;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통형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의 내면에 밀어붙이는 웨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Steel wire combined fastening and fixing unit and concrete fix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강연선을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강연선을 하나의 정착블럭에 신속히 체결할 수 있고,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강연선의 긴장을 증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교량이나 지하구조물(예로, 도로 연결통로 등)을 시공하기 위해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철근이나 강봉을 결합시킬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통과시킨 후 긴장력를 부여하여 정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철근이나 강봉 또는 강연선은 직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세그먼트가 어긋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강연선(스틸 와이어)을 적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조립 시공 중에 허용오차를 어느 정도 벗어나도 강연선의 휨성에 의해 시공이 계속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강연선을 콘크리트 세그먼트에 정착시킬 수 있는 커플러가 요구된다. 또한 커플러는 콘크리트 세그먼트에 어떻게 시공되는지에 대한 방법도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7-0000386호로서, '고강도 철근 커플러'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소정지름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각각의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에 천공형성된 통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커넥터와, 각각의 상기 수용홈 내에 탄성 복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와, 상기 커넥터에 적어도 둘 이상이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되 각각의 일측으로 철근이 상기 수용홈 내부까지 인입되게 삽입되어 복수의 철근이 상기 커넥터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커버 및 각각의 상기 외부커버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되 내면은 상기 외부커버 내부로 인입된 철근 외형과 형상맞춤으로 결합하여 인입된 철근의 이탈은 물론, 회전을 방지하는 내부커버를 포함한 것으로, 양쪽에서 철근의 배근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몰드 내에서 고강도 철근 커플러를 어떠한 방법에 의해 시공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연선의 한쪽 단부를 연결시켜 장력을 인가하였을 경우 콘크리트에서 어떠한 수단으로 앵커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적 대안이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902007호를 제안하여 스틸 와이어의 정착을 스틸 와이어 커플러를 통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스틸 와이어 커플러를 콘크리트에 확고하게 정착 시공될 수 있도록 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에 나아가 하나의 정착블럭에 다수의 강연선을 체결시킬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층에서 커플러의 정착력을 높여 긴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를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7-0000386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902007호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강연선을 하나의 정착블럭에 체결할 수 있고,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강연선의 긴장을 증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는,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을 갖는 정착블럭과; 상기 정착블럭의 나사체결홈에 나사 결합되어 복수개의 강연선을 체결하는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과; 상기 정착블럭에 체결되어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발휘하는 정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은 복수개의 강연선에 대응되는 수만큼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을 갖는 웨지 하우징과;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상기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삽입된 후 각기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 결합되어 강연선을 치형으로 물림시키는 강연선 체결웨지와; 복수개의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형 배열되도록 결속시키는 결속링과;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통형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의 내면에 밀어붙이는 웨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블럭의 외주면에 콘크리트 세그먼트 내에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인발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단키 환형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지 하우징에는 바닥면에 강연선 체결웨지와 웨지 스프링의 설치 이탈을 방지하는 웨지 이탈방지판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은 웨지 하우징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수단은 상기 정착블럭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앵커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수단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과 동일축상으로 상기 정착블럭에 관통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복수개로 분할 및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와; 상기 제2 강연선 체결웨지에 일단이 물림 체결되어 있는 앵커용 강연선과; 상기 앵커용 강연선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판상형의 앵커 지압판과; 상기 앵커 지압판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앵커 하우징과; 분할 조립되어 상기 앵커 하우징에 테이퍼 결합되어 결속링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앵커 웨지;를 포함한 강연선 지압판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는,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과,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과 동일축을 이루어 나사체결홈에 연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이 구비된 정착블럭과; 상기 정착블럭의 나사체결홈에 나사 결합되어 복수개의 강연선을 체결하는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은 복수개의 강연선에 대응되는 수만큼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을 갖는 웨지 하우징과;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상기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삽입된 후 각기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 결합되어 강연선을 치형으로 물림시키는 강연선 체결웨지와; 복수개의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형 배열되도록 결속시키는 결속링과; 강연선 체결웨지를 원통형 웨지 하우징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의 내면에 밀어붙이는 웨지 스프링과; 정착블럭의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테이퍼 결합되며 제2 강연선을 치형으로 물림 체결시키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은,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각 구성부품을 준비하는 단계와; 정착수단이 결합된 정착블럭를 몰드 내에 배치하고, 리세스 포머를 정착블럭의 나사체결홈에 체결한 후, 리세스 포머를 몰드에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콘크리트 세그먼트가 제작되면 몰드를 해체하고, 리세스 포머를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정착블럭에서 나사 풀림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을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정착블럭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용공구는 일단에 회전손잡이를 갖고 타단에 웨지 하우징측 복수개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삽입되는 결착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수단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과 동일축상으로 상기 정착블럭(12)에 관통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에 복수개로 분할 및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와; 상기 제2 강연선 체결웨지에 일단이 물림 체결되어 있는 앵커용 강연선과; 상기 앵커용 강연선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판상형의 앵커 지압판과; 상기 앵커 지압판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앵커 하우징과; 분할 조립되어 상기 앵커 하우징에 테이퍼 결합되어 결속링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앵커 웨지;를 포함한 강연선 지압판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에 따르면,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측에 강연선 체결웨지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져 복수개의 강연선을 하나의 정착블럭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앵커 지압판이 포함되어져 하나의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에 강연선의 긴장력을 증대할 수 있어 콘크리트 세그먼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세스 포머를 이용하여 정착블럭를 몰드 내에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전용공구로 리세스 포머를 제거하고, 이후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을 정착블럭에 조립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내에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시공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웨지 이탈방지판을 사용하여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 간의 이탈없이 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에 강연선이 체결된 상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시공순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지압판 유닛이 정착블럭에 설치된 상태에서 몰드에 고정된 시공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지압판 유닛이 구비된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세그먼트에 시공된 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구성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에 양쪽으로 강연선이 체결된 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정착블럭(12)가 구비된다. 정착블럭(12)는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121)을 갖는다. 또한 정착블럭(12)는 그의 외주면에 콘크리트 내에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의 인발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단키 환형홈(123)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정착블럭(12)에 다발의 강연선(5)을 체결하는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이 결합되어 있다.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은 정착블럭(12)의 나사체결홈(121)에 나사 결합되어 조립된다.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은 복수개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을 갖는 웨지 하우징(142)과,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상기 웨지 하우징(142)에 테이퍼 결합되어 강연선(5)을 치형으로 물림시키는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복수개의 강연선 체결웨지(144)를 원형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링(146)과, 강연선 체결웨지(144)를 원통형 웨지 하우징(142)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의 내면에 밀어붙이는 웨지 스프링(148)을 포함한다. 이때,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은 웨지 하우징(142)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을 6개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은 정착블럭(12)의 중심축상에 하나를 두고 나머지를 그 주변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시켜서 형성된다. 따라서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마다 강연선 체결웨지(144)가 설치됨으로 강연선(5)은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에 다발로 설치된다.
이때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의 입구 직경은 강연선(5)이 자유롭게 인입되도록 강연선(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강연선 체결웨지(144)는 내면에 강연선(5)과의 물림을 위해 톱니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링(146)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링 스프링 또는 실리콘 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강연선 체결웨지(144)가 웨지 스프링(148)력으로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을 때 그의 내경은 강연선(5)의 외경보다 약간 작도록 구성된다. 강연선 체결웨지(144)는 예로 3개 또는 4개로 분할 조립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강연선(5)을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측으로 넣으면, 체결웨지(144)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의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웨지 스프링(148)은 압축되고 동시에 강연선 체결웨지(144)의 내경이 확장된다. 이에 의해 강연선(5)이 강연선 체결웨지(144)의 내경에 삽입되어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 안쪽으로 깊숙히 넣어지게 된다. 이후, 웨지 스프링(148)의 복원력으로 강연선 체결웨지(144)는 다시 강연선(5)을 물어 도 1b와 같이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밀착되어져 강연선(5)의 이탈(빠짐)을 억지시켜 체결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웨지 하우징(142)에는 바닥면에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웨지 스프링(148)의 설치 이탈을 방지하는 웨지 이탈방지판(149)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웨지 이탈방지판(149)은 웨지 하우징(142)의 바닥면에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나사 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의 웨지 하우징(142)은 정착블럭(12)는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121)을 통해 나사 결합되어 정착블럭(12)의 상면 둘레에 걸림단턱(12a)이 위치하게 된다. 이 걸림단턱(12a)은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내에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가 인발저항되는 수단으로 작용되어 강연선(5)의 인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착블럭(12)에는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발휘하는 정착수단이 설치된다.
정착수단의 제1 형태로 도 1a와 같이 앵커볼트(16)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앵커볼트(16)는 일단이 정착블럭(12)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61)가 형성되고 타단에 앵커력을 발휘하기 위한 앵커 절곡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정착수단의 제2 형태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앵커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과 동일축상으로 상기 정착블럭(12)에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25)에 복수개로 분할 및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와,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에 일단이 물림 체결되어 있는 앵커용 강연선(304)과, 앵커용 강연선(304)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앵커 지압판(306)과, 앵커 지압판(306)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앵커 하우징(308)과, 분할 조립되어 앵커 하우징(308)에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앵커 웨지(309)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와 앵커 웨지(309)는 동일한 결속링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와 앵커 웨지(309)는 내면에 동일하게 톱니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같이 제2 형태의 정착수단은 판상형을 이루는 복수의 앵커 지압판(306)이 설치되기 때문에 앵커볼트(16)에 비하여 큰 정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의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의 각 구성부품을 준비한다.
그 다음, 도 4a 또는 도 5a와 같이 정착수단이 결합된 정착블럭(12)를 몰드(1000)내에 배치하고, 리세스 포머(1100)를 정착블럭(12)의 나사체결홈(121)에 체결한 후, 리세스 포머(1100)를 몰드(1000)에 고정시켜 놓는다. 리세스 포머(1100)는 몰드(1000)에 나사 결합되는 리세스 포머 고정용 콘(1102)을 매개로 몰드(10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 포머(1100)는 몰드(1000)를 삽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리세스 포머 고정볼트(1102)에 의해 몰드(10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리세스 포머 고정볼트(1102)에 풀림을 방지하는 잠금너트(1103)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정착수단은 예시된 앵커볼트(16) 또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 앵커용 강연선(304), 앵커 지압판(306), 앵커 하우징(308), 앵커 웨지(309)로 이루어진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4b와 같이 몰드(10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를 제작한다.
그 다음, 도 4c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몰드(100)를 해체하고, 리세스 포머(1100)를 전용공구(50)를 이용하여 정착블럭(12)에서 나사 풀림시켜 제거한다.
이때 전용공구(50)는 일단에 회전손잡이(51)를 갖고 타단에 웨지 하우징(142)측 복수개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삽입되는 결착핀(52)을 갖는다.
따라서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결착핀(52)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전용공구(50)를 회전시켜 리세스 포머(1100)를 정착블럭(12)에서 쉽게 풀림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4d와 같이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을 전용공구(50)를 이용하여 정착블럭(12)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시켜 놓는다. 이때 웨지 하우징(142)에는 바닥면에 웨지 이탈방지판(149)이 설치되어 있어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웨지 스프링(148)의 이탈이 방지되어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시공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는 도 1b와 같이 강연선(5)을 웨지 하우징(142)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을 통해 깊숙히 집어넣으면, 강연선 체결웨지(14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져 내경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강연선(5)이 강연선 체결웨지(144)의 내경안으로 들어간다. 이때 웨지 스프링(148)은 압축된다.
이후, 다시 웨지 스프링(148)의 압축반발력에 의해 강연선 체결웨지(144)가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의해 강연선 체결웨지(144)의 내경이 다시 수축되면서, 강연선(5)을 강하게 물게 된다.
이때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는 앵커볼트(16)를 통해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에 앵커링되어 있기 때문에 강연선(5)의 정착력을 높이게 된다. 물론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을 사용할 경우 강연선(5)의 정착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이로 인해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가 설치된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강연선(5)과 강연선(5a)을 연결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121)과, 나사체결홈(121)에 연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25)이 구비된 정착블럭(12)과, 상기 정착블럭(12)의 나사체결홈(121)에 나사 결합되어 강연선(5)을 체결하는 상기한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을 포함하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과 동일축상에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25)에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테이퍼 결합되며 제2 강연선(5a)을 치형으로 물림 체결시키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웨지 스프링(148)은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측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같이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가 구성되는 경우, 일측의 강연선(5)은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측 강연선 체결웨지(144)에 물림 체결되고, 타측의 강연선(5a)은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에 물림 체결된다. 따라서 일측의 강연선(5)과 타측의 강연선(5a)은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를 통해 일축상으로 길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강연선(5 또는 5a)을 가지고 원하는 길이만큼 길게 연결하여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를 결합시키는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정착블럭
121: 나사체결홈
123: 전단키 환형홈
14: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
142: 웨지 하우징
142a: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
144: 강연선 체결웨지
146: 결속링
148: 웨지 스프링
149: 웨지 이탈방지판
16: 앵커볼트
300: 강연선 지압판 유닛
302: 제2 강연선 체결웨지
304: 앵커용 강연선
306: 앵커 지압판
308: 앵커 하우징
309: 앵커 웨지

Claims (10)

  1. 다발의 강연선(5)을 체결시키는데 사용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나사체결홈(121)을 갖는 정착블럭(12)과;
    상기 정착블럭(12)의 나사체결홈(121)에 나사 결합되어 복수개의 강연선(5)을 체결하는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과;
    상기 정착블럭(12)에 체결되어 콘크리트 내에서 정착력을 발휘하는 정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은 다발의 강연선(5)에 대응되는 수만큼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을 갖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은 정착블럭(12)의 중심축상에 하나를 두고 나머지를 그 주변의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 배열시켜서 형성되도록 한 웨지 하우징(142)과;
    복수개로 분할 조립되어 상기 웨지 하우징(142)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삽입된 후 각기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 결합되어 강연선(5)을 치형으로 물림시키는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복수개의 강연선 체결웨지(144)를 원형 배열되도록 결속시키는 결속링(146)과;
    강연선 체결웨지(144)를 원통형 웨지 하우징(142)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의 내면에 밀어붙이는 웨지 스프링(148);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수단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과 동일축상으로 상기 정착블럭(12)에 관통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25)에 복수개로 분할 및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와; 상기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에 일단이 물림 체결되어 있는 앵커용 강연선(304)과; 상기 앵커용 강연선(304)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판상형의 앵커 지압판(306)과; 상기 앵커 지압판(306)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앵커 하우징(308)과; 분할 조립되어 상기 앵커 하우징(308)에 테이퍼 결합되어 결속링(307)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앵커 웨지(309);를 포함한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블럭(12)의 외주면에 콘크리트 세그먼트(2000)내에서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의 인발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단키 환형홈(12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하우징(142)에는 바닥면에 강연선 체결웨지(144)와 웨지 스프링(148)의 설치 이탈을 방지하는 웨지 이탈방지판(149)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10)의 각 구성부품을 준비하는 단계와;
    정착수단이 결합된 정착블럭(12)를 몰드(1000)내에 배치하고, 리세스 포머(1100)를 정착블럭(12)의 나사체결홈(121)에 체결한 후, 리세스 포머(1100)를 몰드(1000)에 고정시켜 놓는 단계와;
    몰드(10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콘크리트 세그먼트가 제작되면 몰드(100)를 해체하고, 리세스 포머(1100)를 전용공구(50)를 이용하여 정착블럭(12)에서 나사 풀림시켜 제거하는 단계와;
    강연선 체결용 웨지 유닛(14)을 전용공구(50)를 이용하여 정착블럭(12)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하되,
    상기 정착수단은,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과 동일축상으로 상기 정착블럭(12)에 관통 형성된 제2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25)에 복수개로 분할 및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제2 강연선 체결웨지(302)와; 상기 제2 강연선 체결웨지(144a)에 일단이 물림 체결되어 있는 앵커용 강연선(304)과; 상기 앵커용 강연선(304)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는 판상형의 앵커 지압판(306)과; 상기 앵커 지압판(306)의 배면에 밀착되어 있는 앵커 하우징(308)과; 분할 조립되어 상기 앵커 하우징(308)에 테이퍼 결합되어 결속링(307)으로 원형 배열되어 있는 앵커 웨지(309);를 포함한 강연선 지압판 유닛(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공구(50)는 일단에 회전손잡이(51)를 갖고 타단에 웨지 하우징(142)측 복수개의 원추형 강연선 인입홀(142a)에 삽입되는 결착핀(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190065371A 2019-06-03 2019-06-03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KR10223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71A KR102233282B1 (ko) 2019-06-03 2019-06-03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71A KR102233282B1 (ko) 2019-06-03 2019-06-03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62A KR20200138962A (ko) 2020-12-11
KR102233282B1 true KR102233282B1 (ko) 2021-03-29

Family

ID=7378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71A KR102233282B1 (ko) 2019-06-03 2019-06-03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3324A (zh) * 2023-12-08 2024-02-06 河北海珉工矿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锚具用锚索张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854B1 (ko) * 2016-06-29 2017-12-22 (주) 피티솔루션 포스트 텐션 정착구 시스템
KR101900239B1 (ko) * 2017-08-04 2018-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수성능이 향상된 비부착식 포스트텐션 정착구 조립체
KR101902007B1 (ko) * 2017-11-21 2018-09-27 (주)케이모듈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009A (ko) * 2012-10-29 2014-05-09 주식회사 알오씨 링 고정 타입 철근 커플러
KR20150050012A (ko) * 2013-10-31 2015-05-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486476Y1 (ko) 2017-01-05 2018-05-23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854B1 (ko) * 2016-06-29 2017-12-22 (주) 피티솔루션 포스트 텐션 정착구 시스템
KR101900239B1 (ko) * 2017-08-04 2018-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수성능이 향상된 비부착식 포스트텐션 정착구 조립체
KR101902007B1 (ko) * 2017-11-21 2018-09-27 (주)케이모듈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62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913B1 (ko) 강선 정착장치
KR101757713B1 (ko) 쐐기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선된 다목적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KR20160101164A (ko) 강연선을 구비한 프리텐션 방식의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 및 제조방법
KR102157864B1 (ko) 전단보강용 조립식 철근헤드
KR100732554B1 (ko)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KR102233282B1 (ko) 강연선 체결겸용 정착유닛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CN101346550A (zh) 钢筋卡定件
KR10087219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902007B1 (ko)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JP2011184894A (ja) Pc緊張材の定着装置および既設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JP2005530942A (ja) 支持構造体を補強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0829150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와 그 구조체 및 시공 방법
KR101887032B1 (ko) 스틸와이어 커플러를 갖는 조립식 소하천 교량
KR20120052059A (ko) 와이어 및 정착 고정구를 이용한 부재의 설치 시공 방법 및 와이어 정착 고정구
KR20130004814U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2019004951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근을 인장판에 고정하는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KR102062152B1 (ko)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KR101347298B1 (ko) 단열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CN109667386B (zh)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CN114555958A (zh) 用于组件的压配螺母、压配螺母-螺栓组件以及使用其构造钢-混凝土组合结构的方法
KR200492647Y1 (ko) 소일 네일링 공법용 강재 연결구
KR102158265B1 (ko)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KR200389534Y1 (ko) 내하체와 정착구가 나사결합하는 인장재 제거식 앵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