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161B1 -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161B1
KR102233161B1 KR1020190036430A KR20190036430A KR102233161B1 KR 102233161 B1 KR102233161 B1 KR 102233161B1 KR 1020190036430 A KR1020190036430 A KR 1020190036430A KR 20190036430 A KR20190036430 A KR 20190036430A KR 102233161 B1 KR102233161 B1 KR 10223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contents
week
learne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4515A (en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61B1/en
Publication of KR2020011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각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학습자의 사용자장치로 (기)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erein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ilarity to the lecture contents of the first week and the lecture contents of the first week for learners. A storage unit that matches and stores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lectures in the second week of the next parking, and a plurality of contents of the lectures in the second week that have been saved by the user device of the learner when the first lecture is in progress.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advances th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Description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학습자가 온라인을 통해 학습을 진행할 때 매주차의 강의를 학습자 각자의 선택에 의해 수강하여 특정 강의의 학습을 서로 다른 강의 내용으로 완료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learner conducts online learning, each learner takes a weekly lecture at each learner's choice to learn a specific lecture. It relates to an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that is completed with other lecture contents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최근 들어 디지털 또는 사이버 대학교 등의 확대로 인해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형태로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강의는 대부분이 교습자(혹은 학습자)와 해당 과목이 정해져 있고, 사전에 영상이 제작되어 주차에 따른 정확한 강의 진도가 진행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물론 모든 학습자는 모든 주차의 동일 강의를 수강한다고 볼 수 있다. In recent years, due to the expansion of digital or cyber universities, students can continue their studies in various forms anytime, anywhere. Most of the lectures conducted on the network have a teacher (or learner) and a corresponding subject, and videos are produced in advance so that accurate lectures can be progressed according to parking.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all learners are taking the same class in all parking lots.

종래에는 이러한 변형된 예로서 전 세계 유명 대학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서 무크(MOOC)가 있고, 이는 수강자 수가 제한이 없는 대규모 강의(Massive)로 별도의 강의료 없이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을 뜻한다. 무크는 세계적 석학들의 강좌를 무료로 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SNS를 통해 질의응답, 과제, 토론 등 양방향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크 플랫폼 형태로 운영되는 서비스기관으로는 에덱스, 코세라, 유다시티가 있다. 이중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교수들이 2012년4월 발족한 세계 최대 무크 사이트인 코세라의 경우 2015년 당시 114개 기관의 839개 강좌가 개설되었고 약 1,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as a modified example, there is MOOC as a curriculum that allows you to take lectures at famous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for free, and this is a massive lecture with no limit on the number of attendees, and i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a separate lecture fee. Means process. Mook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cess lectures by world-renowned scholars for free, as well as interactive learning such as Q&A, assignments, and discussions through SNS. Service institutions that operate in the form of the Mook platform include Edex, Kocera, and Yudacity. Among them, in the case of Kocera, the world's largest mooch site, launched in April 2012 by professors of computer science at Stanford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839 lectures at 114 institutions were opened at the time of 2015 and had about 10 million users.

한편, 대한민국의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15년4월16일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시범운영에 참여할 10개 대학과 27개 강좌를 발표한 바 있다. 교육부는 한국형 무크에 올라온 강좌 수강시,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Meanwhile, on April 16,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Continuing Education announced 10 universities and 27 lectures to participate in the pilot operation of the Korean online public lecture (K-MOOC).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a plan to pursue a long-term plan to recognize credits when taking courses that have been uploaded to the Korean style Mook.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또는 사이버 대학교를 통해 학업을 이어가는 학생들의 경우 다양한 나이 및 직업군 등을 갖는 것이 특징인데, 대부분의 과목들이 사전에 계획된 과목이어서 실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과목들이 개설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또 강좌가 교수자의 의도에 따라 획일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깊은 학습을 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However, students who continue their studies through digital or cyber universitie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various ages and occupational groups, and most of the subjects are pre-planned subjects, so there is a problem that subjects required by actual students are not provided.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er cannot learn deeply in the field he wants to learn because the lecture is conducted uniform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instructor.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6133호(2017.07.04.)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76133 (2017.07.04.)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19290(2002.03.12.)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019290 (2002.03.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학습자가 온라인을 통해 학습을 진행할 때 매주차의 강의를 학습자 각자의 선택에 의해 수강하여 특정 강의의 학습을 서로 다른 강의 내용으로 완료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that completes learning of a specific lecture with different lecture contents by taking weekly lectures at each learner's choice when a learner conducts online learning, and driving the devi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for matching and stor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of the first parking for learners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of the second parking of the next parking having similarity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of the first parking. Second, when the first weekly lecture is in progress, the learner's device recommends the stored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and the second weekly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econd weekly lecture contents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dvances the content.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and matches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lectures of the third week of the next week having similarity with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of the plurality of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selected lecture of the second week is in progress.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plurality of stored lecture contents of the third week that match the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 lecture.

상기 제어부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 강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 강의까지 수강하는 서로 다른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re, in the storage unit, course information for different lecture contents that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take from the first week to the third week lecture.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problem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for each week of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nd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problem data based on the course information to obtain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2 Students can be evalu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the controller may further reflect the evalua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lecture instructor to recommend the contents of the next week's le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method of a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and Matching and stor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second parking lectures of the next parking having a similarity with the contents and storing the contents in a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parking lecture proceeds, the stored plurality of lectures by the learner's device. And recommending the contents of the second week of lecture, and proceeding with th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from among the recommended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weekly lectures.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각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며, 상기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The storing step is further stored by match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lectures of the third week of the next week having similarity with the contents of each of the lectur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lectures of the second week, and the step of proceeding comprises: When a lecture is in progress,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stored contents of a plurality of third weekly lectures that match the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까지 수강하는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In the storing,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may store, in the storage unit, course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a lecture that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take from the first week to the third week.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와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 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한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와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더 진행할 수 있다.The storing step further stores problem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for each week of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and the proceeding step extracts the stored problem data based on the course information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may be further evaluated.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할 수 있다.In the recommending step,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the content of the next week's lecture may be recommended by further reflecting the lecture instructor's evaluation of the similar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해 깊은 학습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틀니에 대한 주제의 강의를 수강할 때, 그에 매칭되는 치기공학과, 간호학과, 의학과, 사회복지 및 방사선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강의 내용을 추천받아 학습자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매주차의 강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강할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춤화된 강의를 수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마다 어떠한 강의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폭넓은 분야의 학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er may actually perform deep learning about a field he or she wants to learn. For example, when taking a lecture on the subject of dentures, the contents of various lectures provided by the dental engineering department, nursing department, medicine department, social welfare department, and radiology department matching them are recommended, and the learner has weekly lectur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Since you can take a lecture in a way that you choose, you can take a lecture tailored to you, and accordingly, you will be able to study in a wide range of fields depending on which lecture you choose for each parking lo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근의 교육 화두가 단연 융합 교육에 있는 만큼, 융합형 인재를 양산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help a lot in mass-producing convergence-type human resources, as the recent educational topic is by far the convergence edu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학습자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optional lectu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learner device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of FIG. 1, an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학습자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lectu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learner device of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시스템(90)은 학습자장치(100), 통신망(110) 및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관리자장치나 서드파티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learner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nd the administrator It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or a third-party devic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학습자장치(100)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re omitted, so that the learner device 100 and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perform direct communication (eg, P2P communication) or an optional lecture It means that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rvice device 120 are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to be configured, and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for this purpose.

학습자장치(1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장치(100)는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을 포함하고,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I 스피커는 학습자의 음성명령어를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취득부를 포함하여 학습자가 발화하는 음성명령어를 취득할 수 있을 것이다. 취득된 음성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는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학습자장치(1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전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earner device 100 includes various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learning by accessing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For example, the learner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phone, a smart TV, etc.,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it. ) It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Here, the AI speaker may include a voice acquisition unit such as a microphone for acquiring the learner's voice command words, and may acquire the voice command words spoken by the learner. The learner device 10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acquired voice. Of course, the learner device 100 may include a dedicated terminal separately manufactured so as to access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nd proceed with learning.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 물론 학습자는 어떠한 강의를 수강하느냐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특정 주제와 관련한 강의를 온라인상으로 수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요리에 대한 주제의 강의를 수강할 때, 요리와 관련한 식자재와 관련한 강의도 다음 주차에서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학습자는 특정 강의를 편성하는 매주차의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는 것이다. 좀더 살펴보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치기공학과 관련하여 제1주차 강의에서 틀니에 대한 강의를 선택했을 때, 학습자장치(100)의 화면에서 제1 영역(200)에는 강의내용, 가령 동영상이나 PPT 자료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210)에는 추천 강의가 가령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learner using the learner device 100, of cour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what kind of lecture the learner takes, and it is sufficient if the learner can take a lecture related to a specific topic online. For example, when a learner takes a lecture on the subject of cooking, a lecture on food related to cooking can also be selected and taken in the next week. In other words, the learner selects and takes a weekly lecture that organizes a specific lecture. Looking more, as can be seen in FIG. 2, when a lecture on dentures is selected in the first week of lecture related to dental engineering, the first area 200 on the screen of the learner's device 100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such as a video or PPT data, etc. may be displayed, and a recommended lectur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thumbnail image in the second area 210.

학습자는 제1주차 강의의 진행 중에 또는 해당 강의가 완료되는 시점에 그 강의와 관련되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제2 영역(210)에서 추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기공학의 다른 연관 분야의 강의가 추천될 수 있고 간호학, 의학, 사회복지, 방사선과 등 다양한 연관 분야의 강의가 추천될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제1주차 강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또는 완료한 후 다음 2주차 강의와 관련하여 추천되는 특정 강의를 선택하게 되면 제1 영역(200)에는 선택된 강의의 강의내용이 표시되고, 제2 영역(210)에는 제1 영역(200)에 표시되는 강의와 관련되는 새로운 제3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이 추천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의의 종료 시점인 14주차 또는 15주차까지 강의가 진행될 수 있다.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는 매주차의 강의마다 자신이 선택하는 경로를 따라 강의 종료 시점인 대략 14주차 강의까지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 learner may receive recommendations in the second area 210 of lectures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lecture during the course of the first week's lecture or when the lecture is completed. For example, lectures in other related fields of dental engineering may be recommended, and lectures in various related fields such as nursing, medicine, social welfare, and radiology may be recommended. If the learner selects a specific lecture recommended in relation to the next week 2 lecture during or after the course of the first week lecture, the first area 200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lecture, and the second In the area 210, the lecture contents of the new third week lecture related to the lectu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200 are recommended. In this way, the lecture can be held until the 14th or 15th week, which is the end of the lecture. A learner using the learner device 100 can proceed with the learning for each weekly lecture according to a path selected by him/her until the lecture ends approximately 14 weeks.

따라서,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학습하는 각각의 학습자들은 특정 수강과목에 대한 시작은 동일하지만 그 종착역까지 가는 길과 종착역은 전혀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들은 자신의 나이나 직업과 관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되므로 학습의 능률도 오르고 또 학습의 깊이도 증가될 수 있다. 가령, 학습자는 동일한 수강과목에 대하여 추천되는 다른 강의를 매주차에서 선택하게 되면 또 다른 내용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틀니에 대하여 최초에 강의를 수강하지만, 처음으로 돌아가 다른 경로로 강의를 재수강할 수 있으므로, 학습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특정 분야에 있어서 타 분야와 연계될 수 있는 융합 지식을 취득할 수 있다.Therefore, each learner who accesses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online using the learner device 100 and learns the same starting point for a specific course, but the path to the end station and the end station may be completely different. In this way, since learners can take lectures they want in relation to their age or job,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the depth of learning can also be increased. For example, if the learner selects another lecture recommended for the same course every week, he or she can proceed with the study with another content. Therefore, learners take a lecture on dentures first, but they can return to the beginning and retake the lecture through a different path, so the number of cases that can be learned is infinite. Through this, learners can acquire fusion knowledge that can be linked to other fields in a specific field.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bro networks. It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or a 5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b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of the telephone station,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is accessed by accessing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a communication company. Alternatively, data can be processed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BTS (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학습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학습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ccess points include small base stations such as femto or pico base stations that are frequently installed in buildings. Here, the femto or pico base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many maximum number of learner devices 100 can be accessed due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the learner device 100 and Zigbee and Wi-Fi.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RF (Radio Frequency)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IrDA),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I can.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extracts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s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transfers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can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장치(100)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에게 특정 과목의 강의와 관련해 학습자별로 자신에게 맞춤화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이를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특정 과목의 강의가 가령 14주차로 편성된다고 가정할 때, 1주차 강의에 연계되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 혹은 강의 내용을 다음 2주차 강의로서 가령 10개 정보를 매칭하여 DB(120a)에 저장한 후 학습자들에게 추천할 수 있고, 또 그 10개의 2주차 강의에 각각 매칭하여 다음 3주차 강의를 위해 10개의 강의를 매칭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게 되면 학습자가 선택 가능한 2주차 강의는 10개지만, 3주차 강의는 각각의 2주차 강의에 10개의 3주차 강의를 매칭하여 저장하므로 총 100개의 강의 내용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2주차의 첫번째 강의가 선택되면 그에 매칭되는 10개를 학습자들에 추천하고, 또 2주차의 두번째 강의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그에 매칭되는 10개를 학습자들에 추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결국 2주차부터 수강하는 강의가 조금씩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provides a service to learners who use the learner device 100 to provide customized classes for each learner in relation to a lecture in a specific subject. To this end,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matches, for example, 10 pieces of information as lectures in various fields linked to the first week of lectures as the next second week of lectures, assuming that the lectures of a specific subject are organized for, for example, 14 weeks. Then, it can be stored in the DB 120a and then recommended to learners, and 10 lectures can be matched for the next week 3 lecture by matching each of the 10 lectures in the second week and stored in the DB 120a. If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re matched and saved in this way, there are 10 lectures for week 2 that the learner can select, but the lecture for week 3 matches and stores 10 lectures in week 3 to each lecture in week 2, so a total of 100 lecture contents are formed. It becomes. Therefore, when the first lecture of the second week is selected,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120 recommends 10 matching thereto to the learners, and even when the second lecture of the second week is selected, the matching 10 pieces are selected to the learners. I will recommend it.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in the end, the lectures that the learners take from the 2nd week are slightly different.

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DB(120a)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강의 자료 즉 학습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선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외부의 서드파티업체와 연계하여 DB(120a)를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전문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학의 운영서버에 연동하여 학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콘텐츠를 제작하는 업체들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포털 사이트의 운영사가 대표적일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the above services,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may preced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lecture data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that is, learning data, in the DB 120a, and in the process of this, it is connected with an external third-party company. DB (120a) can be built. For example, in order to secure a large number of specialized data, learning data may be secured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ng server of the university. Of course, other than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nect with companies that produce content. The operator of the portal site may be representative.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가령 교수자가 특정 과목과 관련하여 1주차 강의를 제작하거나 또는 DB(120a)에 기저장되어 있는 강의 자료 중에서 선택하여 1주차 강의를 위해 지정하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해당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저장하고, 내부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분야의 강의 내용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의 과정에서 외부의 서버와 연동하여 강의 자료나 강의 내용을 제공받아 분석하여 유사도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유사도가 높으면 해당 강의 내용들을 1주차 강의의 강의내용에 매칭시켜 DB(120a)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2주차 강의가 구성되면, 다시 각 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들과 유사한 새로운 강의 내용을 검색하여 분석하고 유사도를 측정하여 각 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마다 매칭되는 3주차 강의내용을 매칭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종료시점까지의 강의 내용을 형성하여 강의를 편성하게 된다.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is, for example, if the instructor produces a week 1 lecture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or selects from the lecture data pre-stored in the DB 120a and designates it for the week 1 lecture,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 120) analyzes the lectur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week 1 lecture, stores the analysis results, and compares the contents of lectures in various fields stored in the internal DB 120a to measure the degree of similarit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i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degree of similarity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lecture data or lecture contents by interlocking with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high,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are matched with the lecture contents of the week 1 lecture and stored in the DB 120a. In addition, when week 2 lectures are organized, new lecture contents similar to the lecture contents of each second week are searched for, analyzed, and similarity is measured, and the contents of week 3 that are matched for each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 are matched. In this way, the contents of the lecture up to the final end point are formed and the lecture is organized.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유사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바로 학습자의 학습자장치(100)로 추천할 수 있지만, 추천하기 이전에 다른 부가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교수자가 1차적으로 필터링한 후 이를 근거로 추천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교수자의 평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교수자의 평가가 있을 때 먼저 추천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학습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강의 내용에 대한 평가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강의 내용의 경우에도 우선 순위로 추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강의와 관련하여 대학에서 이미 평가가 학생들로부터 이루어진 상태라면 이를 참조하여 추천하는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can internally compare the similarity and recommend it to the learner device 100 of the learner based on the result. You can do more.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recommendation errors, the instructor first filters and recommends them based on this. For example, a weight is assigned to the instructor's evaluation, and finally, it can be recommended to learners by recommending it first when there is an evaluation by the instructor. Or, it is recommended as a priority even for lecture contents that are evaluated as having excellent evaluation of the lecture contents through a separate course. For example, if an evaluation has already been made by students at a university in relation to a specific lecture, it is recommended by referring to it.

예를 들어 요약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각 학과의 교수들의 강의내용을 기초로 일정 시간(예: 2시간 수업시간)마다 강의 내용을 기초로 유사도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즉 유사도는 예를 들어 틀니에 대한 주제라면 치기공학, 간호학, 의학, 사회복지(노인), 방사선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근되는 강의를 통해 분류하게 된다. 학습자는 학기 1주차에 특정 과목을 수강한 후 2주차 강의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서 유사도 높은 강의를 추천받게 된다. 유사도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서 1차 분류한 것과 교수들이 추천하는 강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14주(통상 1학기가 14주까지 진행됨)까지 진행이 완료된다. 평가와 관련해 볼 때 학습자가 선택하여 들은 강의에는 각각 교수들이 사전에 제출한 시험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각 시험문제는 중간 또는 기말고사에 문제은행 방식으로 랜덤하게 출제하여 과목을 이수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ummary,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similarity based on the lecture contents at a certain time (eg, 2 hours class time) based on the lecture contents of professors of each department. Sort and store.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similarity is classified through lectures approach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ental engineering, nursing, medicine, social welfare (elderly), radiology, etc., if the subject is about dentures. After taking a specific subject in the first week of the semester, the learner is recommended for a lecture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from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s a second week lecture. The degree of similarity may include a first class classified by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nd a lecture recommended by professors. In this way, the process is completed by 14 weeks (usually the first semester runs until 14 weeks). When it comes to evaluation, the lectures selected by the learner each contain test questions submitted by professors in advance, so each test question can be randomly presented in a question bank method in the mid-term or final exam, and the subject can be completed. .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14주차 또는 15주차에서 강의가 완료되면, 대학과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평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각 학습자들이 매주차에서 어떠한 강의를 수강하였는지 수강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각 주차에서 수강한 강의내용을 근거로 지정된 가령 각 강의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들 중 랜덤 즉 무작위로 문제를 추출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모든 학습자들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다소 상이한 강의 내용으로 수강하였으므로, 학습자들에게 출제되는 문제 또한 모두 상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cture is completed at the 14th week or the 15th week,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a separate evaluation procedure in the case of a university. To this end,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stores course information on what class each learner took in a weekly car, and based on this, a problem included in each lecture, for example, design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taken in each parking lot. Among them,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evaluation by randomly extracting the problem. Since all learners took slightly different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ir own choice, the questions presented to the learners may also be different.

관리자장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를 관리하는 운영자의 컴퓨팅장치를 의미하며,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할 수 있다. 운영자는 관리자장치를 통해 서비스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 가령 온라인 사이트에 공지사항을 게재하는 등의 동작이 대표적이다.The manager device refers to an operator's computing device that manages the services of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nd can access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The operator performs various operations necessary for service management through the manager device, and operations such as posting announcements on an online site are typical.

서드파티장치는 제3자가 운영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드파티장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로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령 대학의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강의와 관련한 강의 내용은 다양한 경로로 수집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기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포털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사의 경우에도 많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서드파티장치는 해당 포털 사이트의 운영사가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hird-party device may include a server operated by a third party. As mentioned above, the third-party device may mean a server of a company that provides lecture content to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erver of a university. Of course, the contents of lectures related to lectures can be collected through various channels, so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institution. For example, since an operator who operates a portal site has a lot of content, a third-party device may mean a server operated by the operator of the portal site.

상기의 구성 결과, 학습자들은 실제 자신이 배우고 싶은 분야에 대해 깊은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learners will be able to perform deep learning about the field they want to learn.

도 3은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of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선택형 강의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a control unit 310, an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and a storage unit 330. Includes some or all of.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선택형 강의처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330 are omitted so that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is configured,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are used as the control unit ( 310),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and configur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310),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학습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communicates with the learner device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encoding/decoding, muxing/demuxing, scaling, and the like,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학습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이를 제어부(310)에 전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메인화면에서 선택되는 강의에 대한 주차별, 더 정확하게는 1주차 강의를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 servic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learner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control unit 310 so that a selective lectur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a service reques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provides a main screen for an optional lecture service, and transmits a weekly, more precisely, week 1 lecture for a lecture selected on the main screen in the form of a thumbnail image.

이에 따라, 1주차 강의로서 가령 치기공학과의 치아 강의에서 틀니와 관련한 주제의 강의가 학습자에 의해 선택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해당 강의와 관련한 동영상이나 PPT 자료 등을 전송할 수 있고, 또한 1주차 강의와 유사도가 높은 다음 주차 즉 2주차의 강의 내용을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만약 추천된 2주차 강의를 재생시키거나 화면에 표시하면 다음 주차 즉 3주차의 강의내용을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장치(1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14주차나 15주차까지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lecture on a subject related to dentures is selected by a learner as a first week lecture, for example, in a dental lecture of the department of dental engineer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transmit a video or PPT data related to the lecture, and also week one. The content of the lecture of the next parking lot, that is, the second week,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o the lecture is transmitted to the learner device 100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310. If the recommended week 2 lecture is played back or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ecture contents of the next parking, that is, the third week, are transmitted to the learner device 100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310, so that it can proceed to the 14th week or the 15th week. .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다양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지만 특히 학습자들이 수강한, 다시 말해 자신이 매주차의 강의 내용을 선택하여 진행함으로써 자신에게 맞춤화하여 진행된 강의 내용들에 대한 평가를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진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생성되는 문제를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고, 그에 대한 풀이결과가 수신되면 다시 제어부(310)로 제공하여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further perform various operations, but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 It can also proceed under the control of 310). The problem generated for each learner is provided to the learner device 100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310, and when the solution result is received, the problem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310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It is to do.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1의 DB(120a)상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데이터 즉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하여 가령 대학의 서버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강의 내용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드파티업체나 교수의 사용자단말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교수자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와 통신할 수 있고, 이외에도 유사도를 판단할 때 교수자의 평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통신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for example, a server of a university to build data related to the lecture contents, that is, contents on the DB 120a of FIG. 1 in order to provide an optional lecture service. Communication can also be performed with the user terminal of a professor or a third-party company that produces and provides the cont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rofessor,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provide the lecture contents of the first week of lecture in relation to the lecture content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It is possible to further perform a separate communication operation.

제어부(310)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선택형 강의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요청이 있을 때,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를 제어하여 강의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서비스의 메인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학습자장치(100)에서 학습자가 특정 강의와 관련해 1주차 강의를 선택했을 때, 해당 강의와 관련한 강의 내용 즉 강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DB(120a)나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강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and the storage unit 330 constituting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the learner device 100,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is controlled to provide a lecture service. The main screen of the service may be provided. Thereafter, when the learner selects a week 1 lecture related to a specific lecture in the learner device 100, the lecture contents related to the lecture, that is, lecture data can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to the DB 120a or the storage unit 330. Stored lecture data can be provided.

또한, 제어부(310)는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유사도 또는 교수평가를 더 참조하여 선별된 2주차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강의 내용을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습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학습자들의 14주차나 15주차까지의 강의를 학습자들이 진행할 수 있도록 돕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o provide the lecture contents of various fields for the second week selected by further referencing similarity or teaching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lecture contents of the first week lecture to the learner device 100. ) To control. In this way, it communicates with the learner device 100 so that the learners can proceed with the lectures up to the 14th week or the 15th week.

이외에도 제어부(310)는 가령 학기 중 강의가 종료되면 또는 그 중간에도 중 간 고사라는 명목으로 강의와 관련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제1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자장치(100)를 통해 자신이 수강한 수강내용을 근거로 추출되는 문제를 제공받아 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2 학습자는 자신이 또한 수강한 수강내용을 근거로 추출되는 문제를 제공받아 풀이의 결과를 제공하도록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310)는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로서 학습자장치(100)의 장치정보 등을 저장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may perform an evaluation related to a lecture in the name of an intermediate examination, for example, when a lecture is finished during a semester or in the middle. The first learner is provided with a problem extra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urse he has taken through his learner device 100 so that the second learner can solve the problem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urse he has also taken. The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o receive the extracted problem and provide a solution result. Of course, for this purpose,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the controller 310 store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learner device 100 as learner information of the learner, thereby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i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선택형 강의처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켜 서비스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이이피롬(EEPROM)이나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명령어해석부는 2진 비트정보가 어떤 동작을 의미하는 것인지 판단하며, 그리고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10 of FIG. 3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the CPU and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as one-chip. Accordingly, the CPU copies the program stored in the selective lecture processing unit 320 when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120 is initially driven, load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executes it,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thereby rapidly processing the service. .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operation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n EEPROM or RAM. The control circuit determines the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determines the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the instruction analysis unit determines what operation the binary bit information means, and the registry is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학습자장치(100)에서 요청하는 강의에 대한 강의 내용을 제공하고, 제공한 강의 내용과 유사한 강의를 검색하거나 검색한 강의와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다음 주차의 강의로 학습자에게 추천한다. 물론 유사도를 분석하여 추천하는 과정에서 해당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자로부터 별도의 평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다음 주차의 적절한 강의가 제공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가령, 추천하려고 하는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최적의 강의 내용이 추천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추천을 위하여 학습자의 직업이나 나이 등이 참고될 수 있고, 그 학습자의 취향이나 학습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음 주차의 최적의 강의내용을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학습자가 구매하는 서적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강의 내용의 추천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lective lecture processing unit 320 includes a program for providing a selective lectur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provides the lecture contents for the lecture requested by the learner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searches for a lecture similar to the provided lecture contents, or analyzes the similarity with the searched lecture. It is recommended to learners for the next week's lecture. Of course,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recommending the similarity, a separate evalu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instructor conducting the lecture, and it can be operated to provide the appropriate lecture for the next parking in various other ways. For example, it collects big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 to be recommended and analyzes it through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 that the best lecture contents are recommended. For example, for recommendation, a learner's job or age may be referenced, and the learner's taste or learning content may be comprehensively determined to recommend the optimal lecture content for the next week.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books purchased by learners and use them when recommending lecture contents based on this.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크게 강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과 해당 동작에 의해 구축되는 데이터 즉 강의 정보나 강의 내용을 서비스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구축을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이 확정되면 해당 강의의 강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을 검색 및 분석하여 매칭하여 저장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령 학기가 종료될 때까지의 모든 주차에 대한 강의 내용을 DB(120a)에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하면서 새로운 강의 내용으로 갱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새롭게 검색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수집되는 강의 내용의 분석결과 유사도가 높으면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강의 내용을 매칭시키거나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와 관련하여 새로운 정보가 취득되어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관심사가 변경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주기적으로 DB(120a)를 갱신한다.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can be regarded as largely performing a data construction operation for providing a lecture service and an operation for servicing the data constructed by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hat is, lecture information or lecture contents. For construction,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first week are confirme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corresponding lecture are analyzed, and the contents of the next week with high similarity are searched, analyzed, and matched and saved. In this way, for example, the contents of lectures for all parking spaces until the end of the semester is constructed in the DB 120a. And, based on this, the service is provided. Of course, eve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ervice, it will be possible to continuously update the data and update it with new lecture contents. In other words, if the analysis result of the lecture contents newly searched or collected from an external device has high similarity, the lecture contents are matched in the order of high similarity, or new information is acqui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learner's interests change. Whether or not it is comprehensively determined, and periodically updates the DB 120a.

이와 같은 과정으로 학기중 수업이 종료되면,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교수자의 지시가 있거나 중간고사가 기말고사의 날짜가 지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에게 자신이 수강한 수강 내용들과 관련한 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한 평가문제에 대한 답변결과 혹은 풀이결과를 수신하여 해답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평가점수를 학습자별로 부여하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0명의 학습자가 특정 과목을 수강한다고 가정할 때, 1주차의 강의를 빼고는 14주차나 15주차까지 동일 강의 내용으로 수강할 확률은 아주 낮다. 물론 동일한 강의 내용을 수강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다만, 확률이 낮은 만큼 모든 학습자들은 자신에게 특화된, 다시 말해 자신이 수강한 수강 내용만을 기반으로 추출되는 문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통상 동일 문제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보아야 객관적인 평가가 진행되는 것이라 볼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의욕을 고양시키고 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보다 전문화된 즉 보다깊은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객관성은 부차적인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class is terminated during the semester through such a process,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gives the learners an evaluation problem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course they have taken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instructor or when the midterm exam date is specified. Is provided, the answer result or solution result for the provided evaluation problem is received and compared with the answer, and evaluation points are given to each learn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fa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100 learners are taking a specific subject, the probability of taking the same course content until the 14th or 15th week except for the first week of lecture is very low. Of course, it cannot be ruled out that you can take the same course content. However, as the probability is low, all learners will proceed with evaluation of problems that are specialized for themselves, that is, extracted based only on the contents of the course they have taken. In general, it can be seen that objective evaluation proceeds only when the same problem is provided and the results thereof are viewed,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enables more specialized, that is, deeper learning according to their own situation. Since it is intended to proceed, objectivity can be seen as a secondary thing.

물론 선택형 강의처리부(320)는 학습자들의 평가 결과, 낮은 점수가 나온 학습자에 대하여는 재수강을 진행하도록 하고, 이때 재수강시에는 이전 수강 때와 다른 경로로 즉 다른 수강내용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크게 개의치않고 앞서 언급한 동일한 과정대로 학습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20 allows the learner to retake the learner with a low score as a result of the learners' evaluation, and at this time, when re-taking, the learning may proceed in a different path from the previous course, that is, with a different course content. Regardless, you can make the learning progress in the same process as mentioned above.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310)가 학습자장치(10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DB(120a)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가져와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가령, 저장부(330)는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서비스 이용자 즉 학습자들에 대한 정보를 좌측에 저장하고, 또 그에 매칭하여 우측에는 매주차의 강의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120a)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에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를 매칭시킨 후 이를 근거로 DB(120a)에 접속하여 검색되는 해당 데이터를 학습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For example,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o the learner device 100, the control unit 310 may obtain related data from the DB 120a and temporarily store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330 and then utilize the data.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service users, that is, learners, on the left sid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LUT), and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weekly lectures on the right side by matching it. For example, since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 is stored in the DB 120a, URL information for accessing this is matched, and the corresponding data searched by accessing the DB 120a based on this match is transferred to the learner's device 100. You may be able to provide i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selective lectur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의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시킨다(S400).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1,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first parking for learners and the next parking having a degree of similarity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first park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lectures of the second week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S400).

또한,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제1주차 강의가 진행(예: 완료)될 때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기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그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킨다(S410).In addition,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recommends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lectures in the second week previously stored in the learner's device when the first week lecture is in progress (e.g., completion), and the recommended lectures in the second week. Th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among the contents are advanced (S4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는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14주차나 15주차까지의 강의를 진행시키며, 그 이외에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120)의 동작과 관련하여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conducts lectures up to week 14 or week 15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other detai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120 will be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I would like to replace them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by selectively combining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does not me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or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학습자장치 110: 통신망
120: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200: 제1 영역
210: 제2 영역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선택형 강의처리부
330: 저장부
100: learner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200: first area
210: second area 3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10: control unit 320: optional lecture processing unit
330: storage unit

Claims (6)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제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 강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 강의까지 수강하는, 융합 지식의 획득을 위한 타 분야의 서로 다른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상기 제2주차 및 상기 제3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하며,
상기 제어부는, 타 분야와 연계되는 융합 지식을 취득하도록 나이나 직업을 근거로 상기 제1주차의 강의와 다른 연관 분야의 강의를 상기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으로 추천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A storage unit for matching and storing the contents of the lecture in the first week for learners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contents in the second week of the next week having similarity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 in the first week; And
When the first week of lecture is in progress, the learner's device recommends the stored contents of the second week of le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week of lecture selected by the learn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contents of the second week of lecture Including;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rking lectures by matching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third parking lectures of the next parking having similarity with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rking lectures,
The control unit recommends the stored plurality of third weekly lecture contents matching the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when the selected second weekly lecture is in progress,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learner and a second learner starting from the lecture in the first week and taking the lecture in the third week. Stores the course information for different lecture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the control unit further reflects the similarity evaluation of the lecture instructor to recomme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and third parking,
The control unit is a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that recommends the lecture of the first parking lot and the lecture of the related field other than the lecture of the next week based on age or occupation so as to acquire fusion knowledge related to other fiel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의 주차별 각 강의내용과 관련되는 문제 데이터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강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학습자 및 상기 제2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problem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for each week of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problem data based on the course information and evaluates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삭제delete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저장부가, 학습자를 위한 제1주차의 강의 내용 및 상기 제1주차의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장치로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하는 제2주차 강의 내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가, 상기 복수의 제2주차 강의 내용의 각 강의 내용과 유사도를 갖는 다음 주차의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매칭시켜 더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한 제2주차 강의가 진행될 때 상기 제2주차 강의의 강의 내용과 매칭되는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3주차 강의 내용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학습자와 제2 학습자가 상기 제1주차 강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3주차 강의까지 수강하는, 융합 지식의 획득을 위한 타 분야의 서로 다른 강의 내용에 대한 수강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사도를 판단할 때 강의 교수자의 유사도 평가를 더 반영하여 상기 제2주차 및 상기 제3 주차의 강의 내용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타 분야와 연계되는 융합 지식을 취득하도록 나이나 직업을 근거로 상기 제1주차의 강의와 다른 연관 분야의 강의를 상기 다음 주차의 강의 내용으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s a driving method of a selective lecture service device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Matching and storing, by the storage unit,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first parking for learners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second parking of the next parking having similarity to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the first parking; And
The control unit recommends the stored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by the learner's device when the first weekly lecture is in progress, and the learner selects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recommended second weekly lectures. Including; proceeding the contents of the parking lecture;
Further storing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rking lectures by matching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third weekly lectures of the next week having similarity with the contents of each lectur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arking lectures;
Recommending, by the control unit, the stored contents of a plurality of third weekly lectures that match the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weekly lecture when the selected second weekly lecture is in progress;
The control unit stores course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different lectures in different fields for acquiring convergence knowledge, in which the first learner and the second learner take the lecture starting at the first week and until the third week lecture. Storing in the;
The control unit, when determining the similarity, recommending lecture contents of the second and third parking by further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lecture instructor; And
Recommending, by the control unit, a lecture in the first week and a lecture in a related field other than that of the first week as the contents of the next week, based on age or occupation, so as to acquire fusion knowledge related to other fields.
Driving method of the optional lecture service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190036430A 2019-03-29 2019-03-29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33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en) 2019-03-29 2019-03-29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en) 2019-03-29 2019-03-29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15A KR20200114515A (en) 2020-10-07
KR102233161B1 true KR102233161B1 (en) 2021-03-26

Family

ID=728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430A KR102233161B1 (en) 2019-03-29 2019-03-29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1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369B1 (en) * 2014-12-31 2016-11-24 주식회사 테라클 Contents provi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290A (en) 2000-09-05 2002-03-12 김현숙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the Network on the Basis of Private DB
KR20090001616A (en)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udy designing service
KR101089163B1 (en) * 2009-12-03 2011-12-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140048603A (en) * 2012-10-16 2014-04-24 최용재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customized moving picture lecture
KR20170076133A (en) 2015-12-24 2017-07-04 (주) 앙클 e-learning system within mobile web authoring tool and machine learning module development based edX MOOC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369B1 (en) * 2014-12-31 2016-11-24 주식회사 테라클 Contents provi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515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0328B2 (en) Intelligent teaching and tutoring test method
Rodríguez et al. ICT for educ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ustainable adoption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in schools
Godfrey et al. A developmental evaluation approach to lesson study: exploring the impact of lesson study in London schools
Webster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aligned recommendations for prepar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US20190066525A1 (en) Assessment-based measurable progress learning system
Jia et al. Learning technology integration from a service-learning project: Connecting preservice teachers to real-world problems
US20190385471A1 (en) Assessment-based assignment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Crowe et al. The effect of peer review on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a research methods course
US202001758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assessments in an electronic learning system
Ordóñez de Pablos Assessing the role of mobile technologies and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N109300349A (en) A kind of Efficient Remote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IMS) based on Network Learning Platform
KR102427033B1 (en) Edutech learning management platform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06447559A (en) Comprehensive learning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CN108734608A (en) Stereoscopic Teaching system Internet-based
KR102282784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obl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6170818A (en) Concept connection on-line study method of servicing and service system thereof
Assante et al. Internet of energy: new scenarios,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educational solutions
Demircan “How am I supposed to do this on my own?”: A case study on perspectives of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integrative STEM practices
KR20200004708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t e-learning service
KR102233161B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72144B1 (en) Individual order type learning and analyzing service method
KR20200108575A (en) Apparatus for Quiz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agadesh Kumar COVID-19: How Institutions, Teachers and Students in India have geared up for Online Education?
KR20200102802A (en)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content
KR20170048862A (en) Method for providing full-duplex and real-time learning seriv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