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729B1 -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 Google Patents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2729B1 KR102232729B1 KR1020190108751A KR20190108751A KR102232729B1 KR 102232729 B1 KR102232729 B1 KR 102232729B1 KR 1020190108751 A KR1020190108751 A KR 1020190108751A KR 20190108751 A KR20190108751 A KR 20190108751A KR 102232729 B1 KR102232729 B1 KR 102232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rise
- low
- fork
- storage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식기류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젓가락, 스푼 및 포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벽면 내부의 바닥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의 파지측 일부분과 끝단 일부분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벽면의 내측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크(스푼)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저층벽으로 이루어진 저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과 소정 간격만큼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층벽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갖고 상기 저층수납부에 수납된 포크(스푼)의 손잡이 일부분과 중첩되어 상기 스푼(포크)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고층벽으로 이루어진 고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 및 고층벽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수납된 포크(스푼) 및 스푼(포크)의 목 부분이 중첩되어 안착되는 중층 수납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fficiently storing tableware for infants, and for this purpose, a body consisting of a floor surface and a wall surface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chopsticks, spoons, and forks, and a floor area inside the wall surface A chopstick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nd receiving a portion of the gripping side and a portion of the end of the chopsticks to be seated, an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chopsticks receiv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wall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handle of the fork (spoon) to be seated. A low-layer storage unit comprising a low-layer wall having a round shape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so that the upper side and one side thereof are opened, and a shape tha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y being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layer wall an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layer wall. And a high-rise wall having a round shape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so that a portion of the handle of the fork (spoon) accommodated in the low-floor storage unit is overlapped to allow a portion of the handle of the spoon (fork) to be seated.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comprising a payment, a middle-tier storage unit in which the neck portions of the forks (spoons) and spoons (forks) sequentially stacked and stored on the low-rise wall and the high-rise wall are overlapped and seated, an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Can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젓가락, 스푼 및 포크 등이 수납 가능한 식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storage box in which chopsticks, spoons, and forks for infants can be stored.
일반적으로 스푼 또는 포크는 밥, 국물 또는 반찬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떠먹거나 꽂아 먹기 위한 도구로서, 스푼의 경우 음식물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철제, 합성수지, 목제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general, a spoon or fork is a tool for eating or inserting various foods, including rice, soup, or side dishes.In the case of a spoon, a head portion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handle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one side is formed. , Iron, synthetic resin, wood, etc.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아울러 포크의 경우 음식물에 찍는 형태로 음식물을 집는 다수의 갈래부를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ork, a hea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orked portions for picking up food in the form of stamping on the food, and a handle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 one side thereof.
이와 같은 상기 스푼 및 포크는 성인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유아의 경우 손가락의 그립력이 약하여 사용상에 미숙함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Such spoons and forks are suitable for use by adults, but in the case of infa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ip strength of the fingers is weak, resulting in immature use.
이에 따라 일반 스푼 또는 포크의 헤드부의 크기를 줄이고 손잡이 부분을 크게 형성하는 방안을 비롯하여 재질을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변화시키는 방안 등 그 크기와 재질을 변형시키는 방식들이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methods of changing the size and material such as a method of reducing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of a general spoon or fork and forming a larger handle portion,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material to a softer material have been proposed.
또한, 젓가락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반찬과 밥 또는 기타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젓가락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젓가락을 처음 배우는 아이들의 경우 젓가락의 활용력이 부족하여 쉽게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서 특히, 한 쌍으로 형성된 젓가락을 한 손에 잡은 상태에서 젓가락의 단부를 회동하여 젓가락을 이용하여 식사하는 방식은 일련의 훈련을 거치면서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using chopsticks to consume various side dishes, rice, or other foods, the above chopsticks are used appropriately. Children who are learning chopsticks for the first time tend to give up easily due to lack of utilization of chopsticks. The method of eating with chopsticks by rotating the end of the chopsticks while holding the chopsticks formed in one hand is learned through a series of training.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젓가락을 보다 쉽고 빠르게 활용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한 쌍의 젓가락 상측으로 별도의 힌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젓가락이 회전되어지며 상기 젓가락의 몸체부 일측으로 손가락 파지구가 각각 형성되어 손가락을 상기 파지구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젓가락을 이용하여 유아들이 스스로 반찬이나 밥 또는 기타 음식물을 간편하게 섭취가능하게 제공한 유아용 젓가락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use the chopstick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more easily and quickly, recently, a separate hinge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chopsticks, and the chopsticks are rotated through the hinge member, and a finger gripp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hopsticks. Chopsticks for infant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respectively, in which children can easily consume side dishes, rice, or other food by using the chopsticks in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gripper.
이러한 유아용 젓가락의 경우 유아에게 친숙함을 주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가 결합된 형태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chopsticks for infants, a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characters has been developed and released in order to give familiarity to infants.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아용 스푼, 포크 및 젓가락은 사용 후 별도의 수납용기에 수용시켜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납용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근래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주말에 피크닉이나 캠핑 및 파티와 같은 야외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리고 야회 활동시 식사를 위해 그에 적합한 식기와 식기도루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식기와 식기도구는 야외활동을 고려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Spoons, forks and chopsticks for infants as described above are accommodated and stored in separate storage containers after use, and such storage containers must be provided separately.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picnics, camping and parties are being activated on weekends. In addition, suitable tableware and cutlery are used for meals during evening activities, and products that are convenient to use and easy to carry and store in consideration of outdoor activities are preferred.
그러나, 유아용 스푼, 포크 및 젓가락은 일반 식기도구와 형태가 달라 일반적인 수납용기에 수납하기 어려움이 있다.However, spoons, forks, and chopsticks for infants are difficult to store in a general storage container because they have different shapes from general tableware.
본 발명은 유아용 스푼과 포크를 적층 구조로 수납함으로써,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이동 시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capable of efficiently using a storage space and preventing mixing with each other during portable movement by storing spoons and forks for infants in a stack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유아용 스푼, 포크 및 젓가락이 수납 가능하며, 휴대 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용이한 보관을 위해 케이스의 크기를 최소화 하여 유아용 식기 보관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by minimizing the size of a case for storing a baby spoon, fork, and chopsticks, which can be accommodated, and minimizes noise generation when carrying and for easy stor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과 벽면으로 이루어져 젓가락, 스푼 및 포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와, 상기 벽면 내부의 바닥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의 파지측 일부분과 끝단 일부분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벽면의 내측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저층벽으로 이루어진 저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과 소정 간격만큼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층벽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갖고 상기 저층수납부에 수납된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과 중첩되어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다른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고층벽으로 이루어진 고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 및 고층벽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수납된 포크 및 스푼의 목 부분이 중첩되어 안착되는 중층 수납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consisting of a bottom surface and a wall surface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chopsticks, spoons, and forks, and a portion and an end of the gripping side of the chopsticks formed in one area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wall surface. A portion of the chopsticks receiving portion is seated and received, an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chopsticks receiv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wall, and the upper side and one side are open so that a portion of the handle of any one of the forks and spoons can be seated. A low-level storage unit comprising a low-level wall having a rounded shape, and a fork housed in the low-level storage unit having a shap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level wall and formed on the floor by being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level wall And a high-rise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high-rise wall having a round shape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so that a portion of the handle of one of the spoons and the handle of the other one of the fork and spoon can be seated, and the lower flo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including a middle-layer storage unit in which neck portions of forks and spoons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on a wall and a high-rise wall are overlapped and seated, an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층벽과 저층벽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에 제 1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rise wall and the low-layer wall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sequentially formed in parallel, and a first passage may be form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층 수납부는 상기 저층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평벽과, 일측이 상기 벽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벽에 결합되며 상기 스푼 및 포크의 목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제 3 안착홈을 갖는 수직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벽의 높이는 상기 고층벽의 높이와 같고, 상기 저층벽의 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수평벽과 상기 저층벽 사이에 제 2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level receiving unit has a horizontal wall forme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level wall, one side is coupled to the wall,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wall, and the neck portion of the spoon and fork is seated. It is composed of a vertical wall having a third seating groove that can be,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wall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igh-rise wall,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rise wall, and a second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wall and the low-rise wall.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층수납부는 상기 저층벽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floor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i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floor wall so that any one of the fork and the spo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seated. .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유아용 스푼과 포크를 적층 구조로 수납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을 제공함으로써, 수납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이동 시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by providing an infant tableware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infant spoons and forks in a stack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torage space and prevent mixing with each other during portable movement.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유아용 스푼 및 포크를 적층 구조로 수납하고, 스푼과 포크가 수납된 영역과 서로 분리된 영역에 젓가락을 수납함으로써, 휴대 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by accommodating the spoon and fork for infants in a stacked structure, and accommodating the chopsticks in an area separated from the area in which the spoon and fork are accommodated, noise generation during carrying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식기 보관함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와 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식기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아이용 식기 보관함의 몸체에 젓가락, 포크 및 스푼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for the baby dish storage box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nd the body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shown in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hopsticks, forks, and spoons are accommodated in the body of the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shown in FIG. 5.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는 응용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응용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mbodiments may include application example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in the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t does not preclude adding or adding. Hereinafter, embodiments or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 보관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식기 보관함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와 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식기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아이용 식기 보관함의 몸체에 젓가락(300), 포크(400) 및 스푼(500)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ware storage box cover for infants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nd the body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chopstick ( 300),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유아용 식기 보관함(10)에 보관 가능한 식기는 젓가락(300), 포크(400) 및 스푼(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bleware that can be stored in the baby
본 발명의 유아용 식기 보관함(10)에 수납되는 젓가락(300)은 손잡이 부분이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액션 피규어가 장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또한, 유아용 식기 보관함(10)에 보관된 포크(400) 및 스푼(500)의 손잡이 부분에는 유아의 손가락이 끝부분으로 가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파지 수단(미도시됨)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gripping means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handles of th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 보관함(10)은 식기, 예컨대 젓가락(300), 스푼(500), 포크(400)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200), 몸체(200)와 결합되는 커버(100) 및 커버(1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200)로부터 커버(2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1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10)를 통해 몸체(200)로 커버(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1 and 6, the
또한, 커버(100)는 내측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끼움홈(120)을 통해 몸체(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200)는 바닥면(210), 바닥면(210)을 둘러쌓는 벽면(211) 및 벽면(211)의 일측 끝부분의 테두리면, 즉 바닥면(210)의 반대편 테두리 면에 끼움홈(120)에 결합되는 끼움돌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를 통해 커버(100)의 끼움홈(120)이 몸체(200)의 끼움돌기(212)에 결합되어 바닥면(210)과 벽면(21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Through this structure, the
또한, 몸체(200)는 내부에 젓가락(300), 스푼(500), 포크(400) 등의 식기류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몸체(200)의 내부 공간에는 젓가락(300)이 수납될 수 있는 젓가락 수납부(220), 스푼(500)(또는 포크(400))이 수납될 수 있는 고층수납부(230) 및 포크(400)(또는 스푼(500))가 수납될 수 있는 저층수납부(240) 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젓가락 수납부(220)는 몸체(200)의 벽면(211) 내부의 바닥면(210)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젓가락(300)의 파지측 일부분과 끝단 일부분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하여, 젓가락 수납부(220)는 바닥면(210)에 형성되어 젓가락(300)의 손잡이 부분(예컨대 파지측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제 1 안착홈(221), 젓가락(300)의 끝단 일부분의 안착될 수 있는 제 2 안착홈(223)을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제 1 안착홈(221)은 바닥면(210)에 형성되어 수납된 젓가락(300)의 파지측 일부분에 대한 좌우 움직임을 억제시키기 위한 제 1 젓가락받침대(2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제 2 안착홈(223)은 제 1 젓가락받침대(222)와 기 설정된 간격, 예컨대 젓가락(300)의 손잡이 부분과 젓가락(300)의 끝단 일부분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된 바닥면(210)에 형성되어 젓가락(300)의 끝단 일부분에 대한 좌우 움직임을 억제시키기 위한 제 2 젓가락받침대(2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 1 및 제 2 안착홈(221, 223)의 깊이는 젓가락(300)이 접혀졌을 때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The depths of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젓가락받침대(222, 224)는 몸체(200)의 벽면(211) 일부에 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 rests 222 and 224 as described above may be attached to or formed integrally with a part of the
저층수납부(240)는 젓가락 수납부(220)와 벽면(211)의 내측 사이의 바닥면(210)에 형성되고, 포크(400)(또는 스푼(500))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저층벽(241)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
고층수납부(230)는 저층벽(241)과 소정 간격만큼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바닥면(210)에 형성되고, 저층벽(241)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갖고 저층수납부(240)에 수납된 포크(400)(또는 스푼(500))의 손잡이 일부분과 중첩되어 스푼(500)(또는 포크(400))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고층벽(231)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high-
이를 위하여, 고층수납부(230)는 스푼(500)(또는 포크(400))의 손잡이 부분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푼(500)(또는 포크(400))의 손잡이 모양이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고층벽(2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층벽(231)은 스푼(500)(또는 포크(400))의 손잡이 끝 부분의 형상, 즉 곡면 형상이 결합될 수 있는 일측면과 상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high-
저층수납부(240)는 포크(400)(또는 스푼(500))의 손잡이 부분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크(400)(또는 스푼(500))의 손잡이 모양이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저층벽(2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층벽(241)은 포크(400)(또는 스푼(500))의 손잡이 끝 부분의 형상, 즉 곡면 형상이 결합될 수 있는 일측면과 상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ow-
저층벽(241)은 고층벽(231)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며, 고층벽(231)의 오픈된 영역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층벽(231)과 저층벽(241) 사이에는 제 1 통로(239)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w-
한편, 고층벽(231) 및 저층벽(241)은 몸체(200)의 벽면(21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바닥면(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층벽(231) 및 저층벽(241)은 젓가락(300)이 젓가락 수납부(220)에 수납될 때 젓가락(300)의 액션 피규어가 바닥면(210)에 위치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igh-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저층벽(241)에 포크(400)(또는 스푼(500))가 수납된 후 고층벽(231)에 스푼(500)(또는 포크(400))이 수납됨에 따라 적층 구조로 포크(400)와 스푼(500)이 수납될 수 있으며, 곡면 형상 및 적층 구조에 의해 고층수납부(230) 및 저층수납부(240)에 수납된 스푼(500) 및 포크(400)의 손잡이 부분에 대한 좌우 움직임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상하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ork 400 (or spoon 500) is accommodated in the low-
한편, 몸체(200)의 내부에는 스푼(500) 및 포크(400)의 목 부분, 즉 스푼(500) 및 포크(400)의 손잡이와 헤드 부분(즉, 스푼 또는 포크 형상을 갖는 부분) 사이의 목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중층 수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ior of the
중층 수납부(250)는 저층수납부(240)의 저층벽(241)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수평벽(251) 및 스푼(500) 및 포크(400)의 손잡이와 헤드 부분 사이의 목 부분이 안착되는 제 3 안착홈(253)이 형성된 수직벽(2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직벽(252)은 몸체(200)의 벽면(211)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iddle-
이러한 구조에 따라, 수평벽(251)과 저층벽(241) 사이에는 제 2 통로(249)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납부(240)의 저층벽(241) 내부 바닥면(210)에는 받침리브(24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층벽(241)의 내부 중심과 연결되고, 바닥면(210)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받침리브(2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리브(242)를 통해 저층수납부(240)에 수납된 스푼(500) 또는 포크(400)의 손잡이 부분이 바닥면(210)과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of the
한편, 고층벽(231)의 높이는 저층벽(241)의 높이보다 2배 이상이며, 중층 수납부(250)의 높이보다 미세하게 높거나 같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high-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포크(400)의 손잡이 일부분이 저층수납부(240)의 저층벽(241)의 내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제 3 안착홈(253)에 포크(400)의 목 부분이 안착되고, 스푼(500)의 손잡이 일부분이 고층수납부(230)의 고층벽(231)의 내부, 즉 포크(400)가 안착된 저층벽(241)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의 고층벽(241)의 내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스푼(500)의 목 부분이 제 3 안착홈(252)에 안착됨으로써, 적층 구조로 포크(400)와 스푼(500)이 안착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a part of the handle of the
한편, 고층벽(231)의 측면, 저층벽(241)의 측면 및 수평벽(251)의 측면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격된 부분에는 제 1 및 제 2 통로(239, 249)가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200)의 세척 시 물이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다.Meanwhile, a side surface of the high-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10)에 젓가락(300), 포크(400) 및 스푼(500)을 수납하는 과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process of storing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젓가락 수납부(220)의 제 1 젓가락받침대(222)에 형성된 제 1 안착홈(221)에 젓가락(300)의 파지측 일부분을 안착시킴과 더불어 제 2 젓가락받침대(224)의 제 2 안착홈(223)에 젓가락(300)의 끝단 일부분을 안착시킴으로써, 몸체(200)의 내부에 젓가락(300)을 수납할 수 있다.5 and 6, the second chopstick rest while seating a portion of the gripping side of the
그런 다음, 저층벽(241)의 내부에 포크(400)의 손잡이 일 부분을 수납하고, 포크(400)의 목 부분을 중층수납부(250)의 제 3 안착홈(253)에 안착시킴으로써, 저층수납부(240)에 포크(400)를 수납할 수 있다.Then, a part of the handle of the
그리고 나서, 고층벽(231)의 내부에 스푼(500)의 손잡이 일 부분을 수납하고, 스푼(500)의 목 부분을 중층수납부(250)의 제 3 안착홈(253)에 안착된 포크(400)의 목 부분에 중첩시켜 안착시킴으로써, 고층수납부(230)에 스푼(500)을 수납하여 적층 구조로 포크(400)와 스푼(500)을 수납할 수 있다. Then, a portion of the handle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to or within the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
100 : 커버
110 : 손잡이
200 : 몸체
210 : 바닥면
220 : 젓가락 수납부
230 : 고층수납부
240 : 저층수납부
300 : 젓가락
400 : 포크
500 : 스푼 10: case
100: cover
110: handle
200: body
210: bottom surface
220: chopstick storage
230: high-rise storage
240: low-floor storage
300: chopsticks
400: fork
500: spoon
Claims (4)
상기 벽면 내부의 바닥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의 파지측 일부분과 끝단 일부분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젓가락 수납부와 상기 벽면의 내측 사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저층벽으로 이루어진 저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과 소정 간격만큼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층벽의 높이보다 높은 형상을 갖고 상기 저층수납부에 수납된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과 중첩되어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다른 하나의 손잡이 일부분을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면 및 일측면이 오픈된 라운드형 형상을 갖는 고층벽으로 이루어진 고층수납부와,
상기 저층벽 및 고층벽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수납된 포크 및 스푼의 목 부분이 중첩되어 안착되는 중층 수납부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
A body consisting of a floor and a wall to provide space for storing chopsticks, spoons, and forks; and
A chopstick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wall and receiving a portion of the gripping side and a portion of the end of the chopsticks;
The number of floors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chopstick storage unit and the inner side of the wall, and is formed of a low-level wall having a round shape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so that a part of the handle of any one of the forks and spoons can be seated. With payment,
The for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by being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wall, has a shap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wall, and overlaps with a portion of a handle of any one of forks and spoons accommodated in the low floor storage unit, and A high-rise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high-rise wall having a round shape with an upper side and one side open so that a part of the handle of the other of the spoons can be seated,
A middle-level storage unit in which the neck portions of the forks and spoons sequentially stacked and stored on the low-rise wall and the high-rise wall are overlapped and seated,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comprising a cover coupled to the body.
상기 고층벽과 저층벽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에 제 1 통로가 형성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high-rise wall and the low-rise wall,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tha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sequentially formed in parallel, and a first passage is formed therebetween.
상기 중층 수납부는,
상기 저층벽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수평벽과, 일측이 상기 벽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평벽에 결합되며 상기 스푼 및 포크의 목 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제 3 안착홈을 갖는 수직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벽의 높이는 상기 고층벽의 높이와 같고, 상기 저층벽의 높이 보다 높으며,
상기 수평벽과 상기 저층벽 사이에 제 2 통로가 형성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middle-level storage unit,
A vertical wall having a horizontal wall spaced apart from the lower wall in a horizontal direc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wall surface,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wall, and a third seating groove in which the neck of the spoon and fork can be seated. Consists of
The height of the vertical wall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high-rise wall, and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ow-rise wall,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having a second passag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wall and the lower wall.
상기 저층수납부는,
상기 저층벽 내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포크 및 스푼 중 어느 하나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리브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기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1,
The low-floor storage unit,
A tableware storage box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rib formed on a bottom surface inside the lower wall to allow any one of the fork and the spo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se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751A KR102232729B1 (en) | 2019-09-03 | 2019-09-03 |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751A KR102232729B1 (en) | 2019-09-03 | 2019-09-03 |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7826A KR20210027826A (en) | 2021-03-11 |
KR102232729B1 true KR102232729B1 (en) | 2021-03-26 |
Family
ID=7514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751A KR102232729B1 (en) | 2019-09-03 | 2019-09-03 |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272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34590B2 (en) | 2014-03-11 | 2016-09-06 | HumanGear, Inc. | Utensil carrying cas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28Y1 (en) | 2002-06-10 | 2002-09-19 | (주)돌핀 | A tableware pile-up device |
KR200454495Y1 (en) * | 2008-12-26 | 2011-07-06 | 임승욱 | Portable cutlery case |
JP3192718U (en) * | 2014-06-18 | 2014-08-28 | スケーター株式会社 | Edible container |
-
2019
- 2019-09-03 KR KR1020190108751A patent/KR10223272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34590B2 (en) | 2014-03-11 | 2016-09-06 | HumanGear, Inc. | Utensil carrying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7826A (en) | 2021-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9322077C1 (en) | Improved drink holder | |
US20130153578A1 (en) | Fry Caddie | |
US20100308040A1 (en) | Bi-level food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tainer | |
KR102232729B1 (en) | Container of an infant tableware | |
KR20150002551U (en) | water cup | |
KR200466532Y1 (en) | A portable cup | |
TWM512360U (en) | Combinational structure of non-slip food container | |
KR20130002112U (en) | Foldable Kitchenware | |
KR20170004381U (en) | Modular food container capable of connecting various divided spaces | |
JP3234552U (en) | Easy-to-carry and easy-to-clean bottle | |
JP3175492U (en) | container | |
JP7198465B1 (en) | Easy-to-carry and clean bottle | |
KR101539228B1 (en) | puzzle food tray | |
JP3132265U (en) | Articulated lunch box | |
JP7356174B2 (en) | tableware | |
WO2022102124A1 (en) | Food and beverage service utensil | |
JP6145740B1 (en) | Outdoor tableware | |
KR200451323Y1 (en) | Receptacle for distributing meal | |
JP5078292B2 (en) | Stable self-help tableware | |
KR102033308B1 (en) | Inclined cover with capacity | |
CN208692800U (en) | A kind of children's service plate | |
JP3729418B1 (en) | Food container package | |
KR200424649Y1 (en) | structure for separator of foodstuffs vessel | |
JP2022076225A (en) | Wooden tableware | |
KR101671968B1 (en) | Foldable paper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