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436B1 -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436B1
KR102232436B1 KR1020180136248A KR20180136248A KR102232436B1 KR 102232436 B1 KR102232436 B1 KR 102232436B1 KR 1020180136248 A KR1020180136248 A KR 1020180136248A KR 20180136248 A KR20180136248 A KR 20180136248A KR 102232436 B1 KR102232436 B1 KR 10223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air
entrance
boot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091A (ko
Inventor
양완석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양완석
양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완석, 양승훈 filed Critical 양완석
Priority to KR102018013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44Dressing or beach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6Details of inflation devices, e.g. valves, connections to fluid pressure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주입만으로 부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용이한 취급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그간 고정된 부스의 개념으로부터 옥내외 또는 야외, 다양한 환경여건에서 적용이 우수하며, 부스에 주입된 공기를 간단하게 배출시켜 간편한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혀진 부스를 보관부재에 담아 휴대가 간편하면서 편리한 가능으로 사용 효율이 상승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Multi-purpose simple booth with sliding door and tube wall}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주입만으로 부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용이한 취급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그간 고정된 부스의 개념으로부터 옥내외 또는 야외, 다양한 환경여건에서 적용이 우수한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스키장 등에 있어서 옥외에서 갈아 입기를 할 경우에는 수목이나 건물에서 숨은 눈에 띄지 않는 장소를 찾아내 그래서 갈아 입거나, 혹은 자가용차가 있을 경우에는 차 내에서 갈아 입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 수목이나 건물의 그늘에서 갈아 입을 경우에는 남의 눈을 신경쓰면서 불안한 상태에서 갈아 입지 않으면 안되어 또한 해안이나 겔렌데의 근처로 갈아 입어 데 적합한 장소가 없을 때에는 먼 곳까지 가 봐 붙이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로움과 동시에 불편했다. 게다가 상기 갈아 입기에 적합한 장소가 발견되지 않을 때에는 수영복 혹은 스키벌을 벗지 않고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되었다.
또한 상기 자동차 내에서 갈아 입을 경우에는 차 내가 매우 좁기 때문에 매우 거북하고 갈아 입기 어렵고 또한 창에서 차 내가 보이므로, 남의 눈을 걱정하면서 갈아 입게 되어, 안심해 갈아 입기를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생활수준 증대에 따른 야외생활에 대한 대중의 관심 증가에 따라 숙박, 신체세정 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으나 효용적 응용기술의 부족으로 악세사리 기능 수준으로 국한되고 있으며 또한 장치의 편의성, 안정성, 경제성 등에 실효성과 전문성이 부족하여 실용화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70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주입만으로 부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용이한 취급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그간 고정된 부스의 개념으로부터 옥내외 또는 야외, 다양한 환경여건에서 적용이 우수한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부스에 주입된 공기를 간단하게 배출시켜 간편한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혀진 부스를 보관부재에 담아 휴대가 간편하면서 편리한 가능으로 사용 효율이 상승하는 우수한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여름철 혹서기, 겨울철 혹한기에 교차로에서 신호대기용, 농촌지역 야외작업시 열사병방지를 위한 임시휴게실로 활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형, 중형, 대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사람수 및 목적에 부합되도록 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이송구를 통해 벽체 내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원통형으로 세워지고, 일측면에 내부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튜브몸체의 개방된 상측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튜브몸체 내에 이송시키거나 상기 튜브몸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이송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링팬과;
상기 튜브몸체의 상측부 외부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튜브몸체의 개방된 상측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부면이 태양광 패널로 형성되어 실링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의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개폐도어가 결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는 튜브몸체의 외주연에 감기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몸체의 원통형 형태를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도어의 상부와 하부에는 튜브몸체에 형성된 연결바에 결착되도록 결착고리가 형성되어 상,하 연결바에 지지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연결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튜브몸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몸체는 공기 이송구를 통해 벽체 내의 공기를 빼내면 하측으로 접혀지고,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의 상부에 형성된 결착고리를 반대측 출입구 하측부에 형성된 연결바에 결착시켜 접혀진 튜브몸체의 상부를 감싸서 컴팩트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컴팩트한 튜브몸체를 보관부재에 담아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몸체의 외부면에는 외부에 연결되어 튜브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고정대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는 공기 주입만으로 부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와 용이한 취급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그간 고정된 부스의 개념으로부터 옥내외 또는 야외, 다양한 환경여건에서 적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스에 주입된 공기를 간단하게 배출시켜 간편한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혀진 부스를 보관부재에 담아 휴대가 간편하면서 편리한 가능으로 사용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여름철 혹서기, 겨울철 혹한기에 교차로에서 신호대기용, 농촌지역 야외작업시 열사병방지를 위한 임시휴게실로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혀진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혀진 다목적 간이부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100)는 튜브몸체(10)와, 개폐도어(20)와, 실링팬(30)과, 덮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튜브몸체를 이루고 있는 벽면을 뜻한다.) 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원통형으로 세워지는데, 상기 튜브몸체(10)의 일측에는 벽체 내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공기 이송구(12)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컴프레셔 등의 공기 주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공기 주입장치에서 전달된 공기가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튜브몸체(10)의 벽체 내 공간부에 주입된다. 반대로 상기 튜브몸체(10)의 벽체 내 공간부에 주입된 공기도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배출시켜 튜브몸체(10)를 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몸체(10)는 공기가 주입되면 원통형으로 세워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튜브몸체(10)의 외형이 상협하광의 형태 즉, 삼각뿔 형태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튜브몸체(10)의 하측이 상측보다 넓은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 이송구(12)에는 튜브몸체(10)의 벽체 내 공간부에 주입된 공기가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개폐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면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튜브몸체(10)의 벽체 내 공간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몸체(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기에 상측부와 하측부가 외부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몸체(10)에 공기를 주입해서 세운 뒤, 바닥면에 별도의 공기를 주입시킨 바닥매트(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와 바닥매트 사이에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한다. 이때, 상기 바닥매트에도 공기 이송구가 형성되고, 튜브몸체(10)의 하측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몸체(10)의 일측면에는 튜브몸체(10)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1)는 튜브몸체(10)의 벽체 내 공간부에 공기를 주입해서 세워지면 내,외측을 관통하는 출입구(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출입구(1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개폐도어(20)가 결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바(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13)는 튜브몸체(10)의 외주연에 감기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몸체(10)의 원통형 형태를 지지해주고, 상기 연결바(13)는 튜브몸체(10)의 외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튜브몸체의 외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됨으로써, 결착되는 개폐도어(2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바(13)는 튜브몸체(10)의 하측 외주연에 하나가 형성되어 무게추의 역할처럼 튜브몸체(10)의 하측을 받쳐주고, 상기 출입구(11)의 상측부인 튜브몸체(10)의 외주연에 다른 하나가 더 형성되어 튜브몸체(10)의 중간부를 지지해준다. 이렇게 형성된 연결바(13)에 출입구(11)를 개폐하는 개폐도어(20)의 상,하부가 연결바(13)에 결착되어 상기 연결바(1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출입구(11)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면에는 외부에 연결되어 튜브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로프, 끈 등의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고정대(14)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14)는 고리,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몸체(10)의 외주연 중 상측부와 중간부 및 하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14)에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지면 등에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튜브몸체(10)를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개폐도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 상,하측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결착되어 상기 연결바(13)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입구(11)를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20)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 이송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튜브몸체(10)에 공기를 주입해서 세운 뒤, 상기 개폐도어(20)에도 공기를 주입해서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를 개폐시키고, 상기 개폐도어(20)는 공기를 주입해서 소정두께로 형성하거나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일반 천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튜브몸체(10)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결착되도록 결착고리(21)가 형성되어 상,하 연결바(13)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20)는 연결바(1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를 개폐한다.
상기 실링팬(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튜브몸체(10) 내에 이송시키거나 상기 튜브몸체(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이송시켜 공기를 순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링팬(30)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가이드판(3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31)이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 내주연에 부착되어 실링팬(30)을 튜브몸체(10)의 상측부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튜브몸체(10)의 상측부 형태를 유지시켜준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31)과 튜브몸체(10)의 상측부 내주연과의 연결관계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찍찍이, 걸림고리, 연결부재에 의한 연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몸체(10)의 상측부 외부면에 형성된 힌지부(15)에 힌지 결합되어 튜브몸체(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덮개부(40)는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를 주변 환경에 맞춰 개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40)의 상부면에는 태양광 패널(41)이 형성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40)의 태양광 패널(41)은 실링팬(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생산된 전기를 실링팬(30)의 전원으로 공급하여 야외에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실링팬(30)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40)의 태양광 패널(41)에서 생산된 전기는 튜브몸체(10) 내에 형성되는 조명부(미도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에는 실링팬(3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다목적 간이부스(100)의 설치 및 해체방법과 해체 후 보관 및 운반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간이부스(100)의 설치방법은 튜브몸체(10)의 공기 이송구(12)에 공기 주입장치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튜브몸체(10)는 원통형으로 세워지고, 순서에 상관 없이 튜브몸체(10)의 고정대(14)에 연결부재를 연결시킨 뒤, 연결부재를 지면이나 주위의 고정물에 고정시켜 튜브몸체(10)를 고정시킨다. 또한 출입구(11)의 상,하측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개폐도어(20)의 결착고리(21)를 결착시켜 개폐도어(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13)는 튜브몸체(10)에 부착된 상태이기에 튜브몸체(10)를 세운 뒤 별도로 부착할 필요없고, 상기 개폐도어(20)는 형태에 따라 공기를 주입해서 설치하거나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에 실링팬(30)을 설치하는데, 상기 실링팬(30)은 필요에 의해서 미설치할 수 있고, 상기 튜브몸체(10)의 상측부 외주연에 형성된 힌지부(15)에 덮개부(40)를 힌지 결합시켜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순서에 상관없이 튜브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공기가 주입된 바닥매트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몸체(10)의 내부 하측부에 바닥매트를 연결시켜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바닥매트는 상황과 필요에 따라 미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간이부스(100)의 해체방법은 상기 설치방법을 역순으로 실행하면 되는데, 우선, 설치되어 있는 바닥매트, 실링팬(30) 및 덮개부(40)를 탈락시킨 뒤, 고정대(14)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풀고, 상기 튜브몸체(10)의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튜브몸체(10)의 벽체 내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원통형으로 세워진 튜브몸체(10)를 하측으로 쭈그려트리는 방식으로 접는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20)는 튜브몸체(10)의 하측부에 형성된 연결바(13)에는 결착된 상태에서 출입구(11)의 상측부에 형성된 연결바(13)에만 탈착시킨 상태에서 튜브몸체(10)를 하측으로 꾸즈려트린다.
그런 다음, 도 3에서처럼, 상기 개폐도어(20)의 상부에 형성된 결착고리(21)를 반대측 출입구(11) 하측부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결착시켜 접혀진 튜브몸체(10)의 상부를 감싸서 컴팩트하게 형성시킨다. 즉, 상기 개폐도어(20)의 상부 결착고리(21)는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 반대측 연결바(13)에 결착시켜 튜브몸체(10)를 감싼다. 이때, 상기 덮개부(40)와 실링팬(30)을 따로 보관하기 힘들면 튜브몸체(10)에 설치된 상태로 개폐도어(20)를 통해 감싸서 컴팩트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컴팩트하게 형성된 튜브몸체(10)를 케이스 또는 보관가방 등의 보관부재(미도시)에 담아 보관하고, 상기 보관부재를 들고 운반하며, 다목적 간이부스(100)의 설치시에는 보관부재에서 꺼내서 상기의 다목적 간이부스(100)의 설치방법으로 설치하면 된다.
10 : 튜브 몸체 11 : 출입구
12 : 공기 이송구 13 : 연결바
14 : 고정대 15 : 힌지부
20 : 개폐도어 21 : 결착고리
30 : 실링팬 31 : 가이드판
40 : 덮개부 41 : 태양광 패널
100 : 다목적 간이부스

Claims (5)

  1.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벽체 내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원통형으로 세워지고, 일측면에 내부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가 형성되는 튜브몸체(1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입구(11)를 개폐하는 개폐도어(20)와;
    상기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튜브몸체(10) 내에 이송시키거나 상기 튜브몸체(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이송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링팬(30)과;
    상기 튜브몸체(10)의 상측부 외부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튜브몸체(10)의 개방된 상측부를 개폐하는 동시에, 상부면이 태양광 패널(41)로 형성되어 실링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구(11)의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개폐도어(20)가 결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바(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13)는 튜브몸체(10)의 외주연에 감기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튜브몸체(10)의 원통형 형태를 지지해주며,
    상기 개폐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튜브몸체(10)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결착되도록 결착고리(21)가 형성되어 상,하 연결바(13)에 지지되고, 상기 개폐도어(20)는 연결바(1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튜브몸체(10)의 출입구(11)를 개폐하며,
    상기 튜브몸체(10)는 공기 이송구(12)를 통해 벽체 내의 공기를 빼내면 하측으로 접혀지고,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 개폐도어(20)의 상부에 형성된 결착고리(21)를 반대측 출입구(11) 하측부에 형성된 연결바(13)에 결착시켜 접혀진 튜브몸체(10)의 상부를 감싸서 컴팩트하게 형성시키고, 상기 컴팩트한 튜브몸체(10)를 보관부재에 담아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몸체(10)의 외부면에는 외부에 연결되어 튜브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고정대(14)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6248A 2018-11-08 2018-11-08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KR10223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48A KR102232436B1 (ko) 2018-11-08 2018-11-08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48A KR102232436B1 (ko) 2018-11-08 2018-11-08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91A KR20200053091A (ko) 2020-05-18
KR102232436B1 true KR102232436B1 (ko) 2021-03-26

Family

ID=7091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48A KR102232436B1 (ko) 2018-11-08 2018-11-08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4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394A (ja) * 2003-01-10 2004-08-05 Tokunari Matsumoto ジャバラ式簡易更衣室
KR101348869B1 (ko) * 2012-10-04 2014-01-07 임태영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물 분사 파고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355U (ja) * 1991-05-31 1992-12-14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式閉空間
JPH0584750U (ja) * 1992-04-21 1993-11-16 孝一郎 深瀬 気体で膨張させる簡易着替室
KR20080005701U (ko) 2007-05-23 2008-11-27 이지현 간이 샤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394A (ja) * 2003-01-10 2004-08-05 Tokunari Matsumoto ジャバラ式簡易更衣室
KR101348869B1 (ko) * 2012-10-04 2014-01-07 임태영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물 분사 파고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91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6682A1 (en) Portable kitchen, toilet and shower unit
US11554709B2 (en) Folding enclosure
KR102232436B1 (ko) 슬라이딩 도어와 튜브벽을 갖는 다목적 간이부스
US7979926B1 (en) Collapsible outdoor shower kit
CN106948647B (zh) 一种庭院式骨灰盒存放架
KR200471475Y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액세서리
EP2599419A2 (en) An airing device
CN213477846U (zh) 一种结构稳定的帐篷
US11213012B2 (en) Portable pet drying apparatus
CN204715530U (zh) 蜗式便携折叠房屋
CN204236357U (zh) 一种可接帐篷的多功能车顶行李箱
CN106214281A (zh) 一种医学研究用动物实验台
CN110811145A (zh) 一种便携式设计用智能绘画支架
CN114893732A (zh) 一种照明设备及照明系统
EP0887597A2 (en) Support for independently-powered interchangeable sun shielding-ventilation-gas heating devices
CN205576543U (zh) 一种可防雨淋的室外晾衣架
CN210988580U (zh) 基于薄膜太阳能柔性电池的多功能太阳伞
CN205456646U (zh) 一种高度可调多功能中柱伞
CN208447015U (zh) 一种太阳能户外座椅
CN207555383U (zh) 一种启闭可调式led吊灯
CN218544579U (zh) 一种户外取暖设备
CN215123532U (zh) 一种甲虫诱捕装置
CN214369442U (zh) 一种旅游用野营灯
TWM577875U (zh) Variant camp
CN210643285U (zh) 一种多功能公园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