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64B1 -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 Google Patents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864B1
KR102231864B1 KR1020190132280A KR20190132280A KR102231864B1 KR 102231864 B1 KR102231864 B1 KR 102231864B1 KR 1020190132280 A KR1020190132280 A KR 1020190132280A KR 20190132280 A KR20190132280 A KR 20190132280A KR 102231864 B1 KR102231864 B1 KR 10223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hovering
connection line
t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대욱
김용길
김상래
장호진
김다경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8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locking an upper part of a drone during a hovering test and a drone hovering test method using the same. In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a hovering test for identifying the hovering performance of a drone, which is an ability to keep a drone staying in the same position without moving after flying the drone in the sky through the operation of a propeller and wireless control, the apparatus can lock the drone by tying a connection line above the drone, thereby secur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sufficiently, while the apparatus can prevent the hovering drone from suddenly falling or departing from a test position without an operator′s intention due to a fault or malfunction of the drone, an operation mistake by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damage to the drone, injuries to people and the like, which can occur during a hovering test, thus ensuring the hovering test is safely conducted.

Description

호버링 시험 중 드론의 상부 구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의 호버링 시험방법{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본 발명은 드론에 대해 호버링 상태를 시험하는 방법과, 이러한 호버링 시험 동안에 드론이 시험 위치를 무단으로 이탈하거나 갑자기 추락하여 파손되거나 인명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로펠러의 작동과 무선조작에 의해 비행하게 되는 드론(drone)을 공중에 띄운 뒤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즉, 드론의 호버링(hovering) 성능을 파악하는 "호버링 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드론의 호버링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드론 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 조작자의 작동실수 등으로 인하여 호버링하던 드론이 시험위치를 무단으로 벗어나거나 갑자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호버링 시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호버링 시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호버링 시험 중 드론의 상부 구속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호버링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esting a hovering state for a drone, and to a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or personal injury due to unauthorized departure or sudden fall of a drone during such a hovering test. A "hovering test" that assesses the drone's hovering performance, that is, the ability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in its position without moving after floating a drone in the air by operation and radio control In performing, while ensur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sufficiently, it prevents the drone that was hovering from accidentally leaving the test position or suddenly falling due to defects or malfunctions of the drone itself, or an operator's error of operation, which may occur during a hovering test.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straining the upper part of a drone during a hovering test and a method for hovering a drone using the same", which prevents accidents in advance and enables safe hovering tests.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비행하게 되는 드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0089호 등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에 의해 비행하는 드론을 공중에 띄운 후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물러 있게 만드는 상태를 호버링(hovering)이라고 하는데, 드론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호버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즉, 드론의 호버링 성능을 파악하는 "호버링 시험"이 필요하다.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사전에 정해진 면적의 연직 위쪽에서 드론이 호버링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지를 측정하게 된다. A drone having a propeller and flying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is known b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9-0100089. In this way, a state in which a drone flying by a propeller is floated in the air and then stays there without moving is called hovering.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rone, the ability to maintain the hovering state, that is, the drone's hovering performance. You need a "hover test" to figure it out. In performing a drone hovering test, it is measured how much the drone maintains a hovering state vertically above a predetermined area.

그런데 호버링 시험 과정에서는, 정해진 구역에서 호버링하던 드론이 자체 결함이나 오작동, 또는 드론 작동자의 실수로 인하여 갑자기 엉뚱하게 비행하여 시험위치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론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드론 작동자와 시험자(기록관)에게 큰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드론이 갑자기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드론 자체에 손상이 발생함은 물론이고 인명 손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호버링 시험 동안에 드론이 갑자기 시험위치를 벗어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However, during the hovering test process, the drone that was hovering in a designated area may suddenly fly out of the test position due to its own defect or malfunction, or the drone operator's error, and in this case, damage to the drone may occur. Of course, it can pose a great risk to drone operators and testers (recorders). In addition, a sudden fall of the drone may occur. In this case, damage to the drone itself may occur as well as a problem of personal injury.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method to prevent a drone from suddenly leaving the test position or falling during a hovering test, but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is not yet prop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0089호(2019.08.28.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100089 (published on August 28, 20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수행할 때, 드론의 호버링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드론 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 조작자의 작동실수 등으로 인하여 호버링하던 드론이 시험위치를 무단으로 과도하게 벗어나는 현상이나 갑자기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론을 구속함으로써, 호버링 시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호버링 시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meet the above needs, and when performing a hovering test of a drone, while sufficiently ensur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a drone that was hovering due to a defect or malfunction of the drone itself, or an operator's operation error, etc. By restraining drones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a hovering test and to safely perform hovering tests, by restraining the drones to prevent accidents from excessively moving out of position or sudden fall without permission. The purpos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결선을 감을 수 있는 릴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프레임;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기둥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프레임; 연결선이 방향전환되면서 지나가도록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제1변환휠; 제1변환휠을 지나온 연결선이 방향전환되어 릴부재로 진출하게 만드는 제2변환휠; 제1변환휠과 제2변환휠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타단은 릴부재에 감겨 있고 일단은 드론과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수행할 때, 드론이 호버링하는 것을 보장하면서도, 호버링하던 드론이 시험위치를 못하도록 연결선이 드론을 구속하여 드론의 시험위치 무단이탈로 인한 위험 발생을 방지하고, 드론이 추락할 때 드론이 연결선에 매달리게 만들어서 드론이 낙하로 인한 위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상부 구속 장치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el member capable of winding a connection line is provided, and a pillar frame that is erected and installed vertically; A horizontal fram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frame to extend horizontally; A first conversion wheel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connection line passes while being changed in direction; A second conversion wheel that causes the conn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to change direction to advance to the reel member; The first conversion wheel and the second conversion wheel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and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drone; When performing a drone hovering test, while ensuring that the drone is hovering, the connecting line restrains the drone so that the drone that was hovering does not reach the test positio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nger due to unauthorized departure of the test location of the drone, and when the drone falls. There is provided an upper restraint device of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one is made to hang on the connection lin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nger due to the drone fall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은, 상기한 드론의 상부 구속 장치를 이용하며; 연결선의 일단은 드론과 연결하고 드론을 지면에 놓는 단계; 연결선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드론을 이륙시키되, 드론이 상승하는 속도 및 정도에 맞추어서 릴부재를 작동하여 연결선을 감아서 연결선의 전체 길이를 줄이면서 드론을 이륙시키는 단계; 드론을 이륙시킨 후 고도를 2m 이상 유지함과 동시에 연결선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륙 후 1분 동안 드론을 호버링시키는 단계; 및 드론 스스로 호버링하고 있는 비행 자세를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hovering a drone is provided, and the method for testing a hovering of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pper restraint device of the drone;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to the drone and placing the drone on the ground; Taking off the dron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line is coupled, but by operating the reel member according to the speed and degree of the drone ascending to wind the connecting line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while taking off the drone; Hovering the drone for 1 minute after take-off while maintaining the altitude over 2m after taking off the drone and fix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does not change; And checking whether the drone itself maintains the hovering flight pos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에 있어서, 기둥프레임과 이격되어 있는 위치의 수평프레임 자유단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관부재가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변환휠을 지나온 연결선은 연직하향으로 방향전환되어 가이드 관부재를 통과하여, 연결선의 일단은 가이드 관부재의 하단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드론과 결합되어서; 드론이 비행하여 호버링할 때, 연결선이 수평프레임에 엉기는 현상이 가이드 관부재(3)에 의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upper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overing test method of a drone using the same, a guide tube member in the form of a pipe is vertically coupled to protrude downward at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frame. ; The conn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is turned vertically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pipe member,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member to be coupled with the drone; When the drone is flying and hovering,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on line is entangled in the horizontal frame is prevented by the guide pipe member 3.

또한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에 있어서, 기둥프레임의 하단은, 지면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에 고정되어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데; 베이스부재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프레임과, 상기 사각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며 기둥프레임의 하단이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결합판과, 사각프레임의 상면에서 고정결합판이 놓이지 않은 부분에 놓이는 복수개의 중량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upper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hovering a drone using the same,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is fixed to a base member tha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s installed vertically; The base member includes a square frame made of a rod member, a fixed coupling plat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quare frame, and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fixed coupling plat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where the fixed coupling plate is not plac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weight panels.

본 발명에서는 드론이 호버링 시험을 위하여 허용된 영역에서는 아무런 지장 없이 자유롭게 호버링을 할 수 있으나, 드론은 연결선의 길이를 초과하여 비행할 수 없도록 비행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드론이 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 조작자의 작동실수 등으로 인하여 호버링하던 위치와 영역을 무단으로 과도하게 벗어나지 못하고 제한된 비행 범위 내에 머무르도록 구속함으로써, 드론이 갑작스럽게 추락하여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드론의 호버링 시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can hover freely in the area permitted for the hovering test, but the flight range is limited so that the drone cannot fly beyond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so that the drone itself has defects or malfunctions. By restraining the hovering position and area to remain within a limited range of flight without permission due to operator error, etc., it prevents the drone from suddenly falling and falling to the ground, and may occur during the hovering test of the drone. Safety accide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vance, and drone hovering tests can be safely perform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속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릴부재가 설치된 형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 2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재만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드론이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지면에 놓여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드론이 정상적으로 호버링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드론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려는 것을 상부 구속 장치가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드론이 갑자기 작동을 멈추어서 추락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pper restraining device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of Figure 2 showing an example of the form in which the reel member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ure 1 showing only the bas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4.
6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 rests on the ground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upper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at the drone is hovering normally following the state of FIG. 6.
8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restraint device is restraining a drone attempting to deviate from a normal range.
9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rone suddenly stops operating and fall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구속 장치(100)는, 호버링 시험을 위하여 드론이 호버링하는 것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호버링하던 드론이 시험위치를 소정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서 비행하지 못하도록 드론을 구속하며, 더 나아가 드론이 갑작스럽게 추락하여 지면 또는 인명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속 장치(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ensures that the drone hovers for a hovering test, while restraining the drone so that the hovering drone does not fly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beyond the test position. It is a device that prevents a sudden fall and collides with the ground or people.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pper restraining device 100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구속 장치(100)는, 연결선(4)을 감을 수 있는 릴(reel)부재(10)가 구비되어 있고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프레임(1)과,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기둥프레임(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프레임(2)과, 기둥프레임(1)과 이격되어 있는 위치의 수평프레임(2) 자유단부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연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관부재(3)와, 연결선(4)이 방향전환되면서 지나가도록 수평프레임(2)의 상부에 구비된 제1변환휠(6)과, 제1변환휠(6)을 지나온 연결선(4)이 방향전환되어 릴부재(10)로 진출하게 만드는 제2변환휠(7)과, 일단은 드론(200)과 결합되며 타단은 가이드 관부재(3)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여 제1변환휠(6)과 제2변환휠(7)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릴부재(10)에 감겨 있는 연결선(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드론(2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el member 10 capable of winding a connection line 4 and a column frame 1 that is vertically erected and installed, A horizontal frame (2)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frame (1) to extend horizontally, and a horizontal frame (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frame (1) and vertically connect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ee end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2 so that the guide pipe member 3 and the connection line 4 in the form of a change pass, and the conn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 4)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is changed direction to advance to the reel member 10, and one end is coupled with the drone 200,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guide pipe member 3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make the first conversion. It comprises a connecting line 4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through the wheel 6 and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in sequence. In FIGS. 1 and 2, illustration of the drone 200 is omitted.

구체적으로 기둥프레임(1)은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부재이다. 기둥프레임(1)에는 연결선(4)을 감을 수 있는 릴부재(10)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는 릴부재(10)가 설치된 형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 2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릴부재(10)에는 연결선(4)이 감겨져 있으며, 작업자의 수동조작 또는 전동모터에 의한 전동조작에 의해 릴부재(1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연결선(4)이 감겨져 당겨지거나 또는 연결선(4)이 풀리게 된다. Specifically, the pillar frame 1 is a member that is erected and installed vertically. The pillar frame 1 is provided with a reel member 10 capable of winding the connection line 4.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of FIG. 2 showing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the reel member 10 is installed. The connection line 4 is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and the connection line 4 is wound and pulled by the reel member 10 rotating forward or reverse by manual operation by an operator or electric operation by an electric motor. 4) This will be solved.

기둥프레임(1)은 그 하단이 지면에 완전히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면 위에 소정 면적을 가지는 넓은 판형의 베이스부재(5)가 구비되고, 기둥프레임(1)은 그 하단이 베이스부재(5)에 고정되어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재(5)를 구비하여 기둥프레임(1)이 베이스부재(5)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재(5)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100)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베이스부재(5)는 기둥프레임(1)을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드론(200)이 추락하였을 때, 기둥프레임(1)과 수평프레임(2)이 쓰러져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부재(5)는 수평프레임(2)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면에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The pillar frame 1 may b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its lower end is completely fixed to the ground, but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a wide plate-shaped base member 5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the ground is provided, and the pillar frame (1) The lower end may be fixed to the base member 5 so as to be vertically erected and installed. When the column frame 1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5 by providing the base member 5, the base member 5 is movable, so that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moved to a desired loc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and use. The base member 5 not only serves as a member for installing the column frame 1, but also functions to prevent the column frame 1 and the horizontal frame 2 from falling and falling when the drone 200 falls. Will be exerted.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ase member 5 has a shape extending from the grou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frame 2 extending.

베이스부재(5)가 전도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5) 자체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베이스부재(5)의 중량이 과도하게 되면 베이스부재(5)를 포함한 상부 구속 장치(100)의 이동 사용이 어렵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이스부재(5)가 전도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충분한 중량을 가지면서도 필요할 때 상부 구속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 중량패널(53)을 이용한 형태로 베이스부재(5)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베이스부재(5)만을 보여주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재(5)는, 사각프레임(51), 고정결합판(52) 및 복수개의 중량패널(5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막대부재에 의해 사각프레임(51)이 형성되는데, 사각프레임(51)의 일측 상면에는 평평한 고정결합판(52)이 일체로 결합 구비되어 있다. 기둥프레임(1)의 하단은 고정결합판(52)에 일체로 결합된다. 사각프레임(51)의 상면에서 고정결합판(52)이 놓이지 않은 부분에는 복수개의 중량패널(53)이 놓이게 된다. 중량패널(53)은 각각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로 이루어진 판부재로서, 복수개가 사각프레임(51)의 상면에 놓이는 것이다. 부재번호 54는 작업자가 중량패널(53)을 용이하게 들어서 사각프레임(51)의 상면에 놓을 수 있도록 중량패널(53)에 구비된 취급손잡이(54)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member 5 itself has a considerable weight in order for the base member 5 to sufficiently exhibit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fall. If the weight of the base member 5 is excessive, the upper restraining device including the base member 5 It becomes difficult to use the movement of (10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base member 5 has a sufficient weight to exhibit a fall prevention function, and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can be moved when necessary, in a form using a separate weight panel 53. The base member 5 is configured. 4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1 showing only the base member 5, and FIG.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the base member 5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quare frame 51, a fixed coupling plate 52, and a plurality of weight panels 53. A square frame 51 is formed by a rod member, and a flat fixed coupling plate 52 is provided integrally with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quare frame 51.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rame 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plate 52. A plurality of weight panels 53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51 on which the fixing plate 52 is not placed. The weight panel 53 is a plate member made of a weight body each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nd a plurality of them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51. Reference numeral 54 denotes a handling handle 54 provided on the weight panel 53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lift the weight panel 53 and place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51.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이스부재(5)의 경우, 고정결합판(52)이 결합되어 있는 사각프레임(51)을 지면에 놓은 후, 사각프레임(51)의 비어 있는 상면에 복수개의 중량패널(53)을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중량패널(53)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위와 같은 상태로 배치된 베이스부재(5)는 매우 안정적으로 지면에 견고하게 놓여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중량패널(53)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각각의 중량패널(53)을 사각프레임(51)으로부터 들어 낼 수 있으며, 중량패널(53)을 들어낸 상태 즉, 사각프레임(51)과 고정결합판(52)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부재(5)는 비교적 중량이 적어서 가벼우므로, 작업자는 쉽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각프레임(51)의 이동 후에는 다시 중량패널(53)을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base member 5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fter placing the square frame 51 to which the fixed coupling plate 52 is coupl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weight panels 53 on the empty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51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placing ), since the weight panel 53 has a considerable weight, the base member 5 disposed in the above state is very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irmly placed on the ground. Since the weight panel 53 is provided in plural, the operator can lift each weight panel 53 from the square frame 51,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weight panel 53 is lifted, that is, the square frame 51 and the Since the base member 5 to which the fixed coupling plate 52 is coupled is relatively light in weight,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it to a desired position. After the square frame 51 is moved, the weight panels 53 are sequentially installed again, thereby creating a state of being firmly and s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again.

수평프레임(2)은 기둥프레임(1)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연장된 부재이다. 수평프레임(2)의 자유단부 즉, 기둥프레임(1)이 결합된 단부와 반대쪽에 위치하여 기둥프레임(1)과 수평이격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는 수평프레임(2)의 자유단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관부재(3)가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관부재(3)는, 후술하는 것처럼 드론(200)이 호버링할 때, 느슨한 상태의 연결선(4)이 수평프레임(2)에 감기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수평프레임(2)의 자유단부에서 가이드 관부재(3)가 결합된 위치의 반대쪽, 즉, 가이드 관부재(3)와 반대되는 상면측에는 제1변환휠(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관부재(3)를 관통하여 연직하게 진행하는 연결선(4)은 제1변환휠(6)을 거치면서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진행하게 된다. The horizontal frame 2 is a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frame 1 and extending horizontally.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that is,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d to which the column frame (1) is coupled, is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frame (1) by a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has a pipe shape. The guide pipe member 3 is coupl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The guide pipe member 3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nection line 4 in a loose state is wound or entangled in the horizontal frame 2 when the drone 200 hover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pipe member 3 is coupled at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that is, the upper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guide pipe member 3 Is installed. Therefore, the connecting line 4 passing through the guide pipe member 3 vertically proceeds by changing th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제1변환휠(6)을 거쳐서 수평으로 진행한 연결선(4)의 진행방향을 연직하향으로 변환시켜서 릴부재(10)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제2변환휠(7)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변환휠(7)이 수평프레임(2)의 고정단부 즉, 기둥프레임(1)과 결합되는 쪽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제2변환휠(7)은 기둥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A second conversion wheel 7 is provided to conver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ine 4 horizontally travel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into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o reach the reel member 1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is provided at the fixed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that is, at the end of th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column frame 1, but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is It is also okay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1).

도 6에는 드론(200)이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100)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지면에 놓여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상태에 후속하여 드론(200)이 정상적으로 호버링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100)에서, 연결선(4)은 그 타단이 릴부재(10)에 감겨져 있고, 릴부재(10)에서부터 연직하게 진출하다가 제2변환휠(7)을 거쳐서 수평하게 방향 전환된다. 수평프레임(2)을 따라 수평하게 계속 진행하던 연결선(4)은 제1변환휠(6)을 거치면서 다시 연직하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가이드 관부재(3)의 관 내부를 관통하여, 가이드 관부재(3)의 하단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6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 200 is restrained by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ced on the ground, and in FIG. 7, a drone ( A schematic front view is shown showing that 200) is hovering normally. In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4 is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and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advances vertically from the reel member 10 The direction is changed horizontally through. The connecting line 4, which was continuing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frame 2, passed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and turned vertically downward and penetrated the inside of the tube of the guide tube member 3,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of (3).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위해서는,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실내의 지면에, 상기한 형태로 연결선(4)이 설치된 본 발명의 상부 구속 장치(100)에 설치되고, 드론(200)이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가이드 관부재(3)의 하단으로 노출된 연결선(4)의 일단은 드론(200)과 연결된다. For the hovering test of a dron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nection line 4 is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form, on the ground indoors that can exclude the influence of external wind, etc., and the drone 200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4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member 3 in the state placed on the ground is connected to the drone 200.

이와 같이 시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드론(200)을 이륙시켜서 호버링 시험을 수행하게 되는데, 연결선(4)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드론(200)을 연직하게 이륙시키고, 고도를 2m 이상 유지하여 이륙 후 1분 동안 드론(200)을 호버링 시키면서 드론(200) 스스로 호버링하고 있는 비행 자세를 유지하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In this way, the drone 200 is taken off and the hovering test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test preparation is completed.After takeoff by taking off the dron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line 4 is connected vertically and maintaining an altitude of 2m or more, While hovering the drone 200 for 1 minute, check and record whether the drone 200 maintains the hovering flight posture by itself.

드론(200)이 상승함에 따라 연결선(4)이 불필요하게 남게 되고 그로 인하여 드론(200)의 이륙과 비행에 방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시험관리자는 드론(200)이 상승하는 속도 및 정도에 맞추어서 릴부재(10)를 작동하여 연결선(4)을 감아서 그 전체 길이를 줄임으로써, 연결선(4)이 과도하게 늘어져서 드론(200)의 비행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물론 이 때 연결선(4)을 과도하게 당겨서 연결선(4)에 의해 드론(200)이 인위적으로 당겨지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200)이 이륙하는 동안 연결선(4)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릴부재(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As the drone 200 ascends, the connecting line 4 remains unnecessary,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take-off and flight of the drone 200, so the test manager must reel according to the speed and degree of the drone 200 ascending. By operating the member 10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4 by winding the connecting line 4, the connecting line 4 is excessively stretch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ight of the drone 200. Of course, it is not allowed that the drone 200 is artificially pulled by the connection line 4 by excessively pulling the connection line 4 at this time.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reel member 10 is operated so that tension is not applied to the connection line 4 while the drone 200 is taking off.

수평프레임(2)의 자유단부에는 가이드 관부재(3)가 연직 하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선(4)이 느슨한 상태에서 드론(200)이 호버링하는 과정에서 연결선(4)이 수평프레임(2)에 감기거나 엉키지 않게 되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At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the guide pipe member (3) is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downward, so the connection line (4) in the process of hovering the drone 200 while the connection line (4) is loose. There is an advantageous advantage of not being wound or tangled in the horizontal frame (2).

드론(200)이 호버링하고 있을 때에는 릴부재(10)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연결선(4)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선(4)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선(4)에 묶여 있는 상태에서 드론(200)은 호버링 시험을 위해서 허용된 영역에서는 아무런 지장없이 자유롭게 호버링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드론(200)에는 연결선(4)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선(4)의 일단은 릴부재(10)에 감겨 있으므로 드론(200)이 날아갈 수 있는 영역과 거리에는 한계가 있다. 즉, 드론(200)은 연결선(4)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에는 드론(200)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려는 것을 상부 구속 장치(100)가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드론(200)이 갑자기 작동을 멈추어서 추락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drone 200 is hovering,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eel member 10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4 does not change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not applied to the connection line 4. In the state of being tied to the connection line 4, the drone 200 can hover freely in an area permitted for the hovering test without any problem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one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4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4 is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there is a limit to the area and distance in which the drone 200 can fly. That is, the drone 200 is constrained by the connection line 4. 8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restraint device 100 is restraining that the drone 200 is about to deviate from the normal range, and in FIG. 9, the drone 200 suddenly stops and fall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time is shown.

호버링 시험 도중에 드론(200)이 자체의 결함이나 오작동, 조작자의 작동실수 등으로 인하여 호버링하던 위치와 영역을 무단으로 이탈하여 과도하게 벗어나려고 해도, 드론(200)은 연결선(4)에 묶여서 구속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으로 그 비행 범위에 제한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선(4)이 드론(200)의 호버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느슨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200)이 시험을 위한 호버링을 수행해야 하는 위치 즉, 비행 위치를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 관찰되면, 작업자는 즉시 릴부재(10)를 당기거나 릴부재(10)에서의 연결선(4) 풀림을 고정시킴으로써, 드론(200)이 연결선(4)으로 묶여 있는 범위 이상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만들게 된다. 물론 연결선(4)이 드론(200)의 호버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느슨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릴부재(10)를 연결선 풀림 고정상태로 만들어두게 되면, 작업자가 미쳐 드론(200)이 비행 위치를 벗어나려는 상황을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200)은 연결선(4)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드론(200)이 연결선(4)에 구속되어 드론(200)의 수평방향 비행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드론(200)이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uring the hovering test, even if the drone 200 attempts to escape excessively by unauthorized departure from the location and area where it was hovering due to its own defect, malfunction, or operator's error in operation, the drone 200 is bound and restrained by the connection line (4). Therefore, the flight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imited.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line 4 is loosened without affect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200, the drone 200 must perform hovering for the test as shown in FIG. 8. When it is observed that the position, that is, attempting to leave the flight position, the operator immediately pulls the reel member 10 or fixes the loosening of the connection line 4 from the reel member 10, so that the drone 200 moves to the connection line 4 It prevents them from going beyond the bounds they are bound to. Of course, if the connection line 4 is loosened without affect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200, and the reel member 10 is made to be in a fixed state where the connection line is released, the operator goes crazy and the drone 200 can adjust the flight posi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recognize the situation to escape, the drone 200 is in a state of being constrained by the connection line 4 as shown in FIG. 8.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one 200 is constrained by the connection line 4 and the horizontal flight range of the drone 200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rone 200 from flying to the wrong place and causing a safety accident. do.

특히, 드론(200)이 갑자기 작동을 멈추어서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200)은 연결선(4)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지면으로 낙하하지는 않게 된다. 즉, 연결선(4)이 드론(200)의 호버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로 느슨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릴부재(10)를 연결선 풀림 고정상태로 만들어둔 상태에서 드론(200)이 갑자기 멈추거나 이상 비행하여 지면을 향하여 추락하게 되더라도,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드론(200)은 연결선(4)에 묶여서 매달린 상태가 되므로, 즉, 드론(200)이 갑자기 지면으로 낙하하여 지면과 충돌하여 드론이 손상되거나 또는 주변 사람들과 충돌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드론의 호버링 시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드론(200)이 호버링하는 동안에는 릴부재(10)를 풀림 상태로 두고 있다가, 작업자가 드론(200)의 추락 조짐을 발견하였을 때 릴부재(10)를 연결선 풀림 고정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a phenomenon in which the drone 200 suddenly stops operating and falls, as shown in FIG. 9, the drone 200 remains suspended in the air by the connection line 4 and does not fall to the ground. That is, the connection line 4 is loosened without affecting the hovering of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is suddenly stopped or abnormally flying in a state in which the reel member 10 is released and fixed. Thus, even if it falls toward the ground, as shown in FIG. 9, the drone 200 is tied to the connection line 4 and is suspended, that is, the drone 200 suddenly falls to the ground and collides with the ground, causing damage or damage to the dron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in advance a safety accident by colliding with nearby people, and to safely perform a drone hovering test. Of course, while the drone 200 is hovering, the reel member 10 may be left in an unlocked state, and then the reel member 10 may be fixed to the loosening of the connection line when an operator detects a sign of a fall of the drone 200.

드론(200)이 비행 위치를 벗어나거나 또는 추락할 때에는 연결선(4)에 갑작스러운 장력이 발생하게 되는 바, 갑작스러운 장력이 발생할 때 릴부재(10)가 회전되지 못하게 만드는 공지의 브레이크 장치를 릴부재(10)에 설치함으로써,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론(200)의 갑작스러운 이상 작동에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다른 구성으로는 제1변환휠(6)이나 제2변환휠(7), 또는 기타 기둥프레임(1)이나 수평프레임(2)에 연결선(4)의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력측정센서를 설치하고, 릴부재(10)에는 장력측정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릴부재(10)를 풀림 또는 고정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여, 드론(200)과 연결된 상태의 연결선(4)이 비정상적인 장력 즉, 드론(200)이 비행위치를 과도하게 벗어남으로써 발생하는 장력 또는 드론(200)이 추락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장력이 장력측정센서에서 검출되면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여 릴부재(10)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위와 같은 드론(200)의 구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When the drone 200 leaves the flight position or falls, a sudd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line 4, and a known brake device that prevents the reel member 10 from rotating when a sudden tension occurs is used. By installing on the member 10,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spond to a sudden abnormal operation of the drone 200 as shown in FIGS. 8 and 9. In another configuration, a tension measuremen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ing line 4 to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or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or other column frame 1 or horizontal frame 2 is provided. In the reel member 10, a brake device for releasing or fixing the reel member 10 by a signal from the tension measuring sensor is installed, so that the connection line 4 connected to the drone 200 has an abnormal tension, that is, When the tension generated by the drone 200 excessively deviating from the flight position or the tension generated when the drone 200 falls is detected by the tension measuring sensor, the brake device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fix the reel member 10 As such, the drone 200 may be restrained.

본 발명에서는 기둥프레임(1)이 견고하게 설치되므로, 수평프레임(2)이 기둥프레임(1)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고 있더라도, 기둥프레임(1)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무거운 드론(200)일지라도 지면으로 낙하하지 않고 수평프레임(2)에 매달려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기둥프레임(1)이 베이스부재(5)에 설치된 경우에도, 베이스부재(5)는 무거운 자중을 통해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수평프레임(2), 기둥프레임(1) 및 베이스부재(5)는 ㄷ자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 갑자기 추락한 드론(200)이 지면과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가 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드론(200)의 호버링 시험을 안전사고 없이 매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umn frame (1) is rigidly installed, even if the horizontal frame (2)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column frame (1) to form a cantilever structure, the column frame (1)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In the state, even the heavy drone 200 is suspended from the horizontal frame 2 without falling to the groun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column frame 1 is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5, the base member 5 is s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a heavy self-weight, and furthermore, the horizontal frame 2, the column frame 1 ) And the base member 5 has a stab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Œ shape, and the drone 200 that has suddenly fallen can be made to be suspended safely without colliding with the ground. Therefore, the hovering test of the drone 200 can be performed very safely without a safety accident.

1: 기둥프레임
2: 수평프레임
3: 가이드 관부재
4: 연결선
5: 베이스부재
6: 제1변환휠
7: 제2변환휠
50: 사각프레임
51: 중량패널
52: 고정결합판
100: 상부 구속 장치
200: 드론
1: pillar frame
2: horizontal frame
3: guide pipe member
4: connecting line
5: base member
6: first conversion wheel
7: second conversion wheel
50: square frame
51: weight panel
52: fixed bonding plate
100: upper restraint device
200: drone

Claims (4)

연결선(4)을 감을 수 있는 릴부재(10)가 구비되어 있고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프레임(1);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기둥프레임(1)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프레임(2);
연결선(4)이 방향전환되면서 지나가도록 수평프레임(2)의 상부에 구비된 제1변환휠(6);
제1변환휠(6)을 지나온 연결선(4)이 방향전환되어 릴부재(10)로 진출하게 만드는 제2변환휠(7);
제1변환휠(6)과 제2변환휠(7)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타단은 릴부재(10)에 감겨 있고 일단은 드론(200)과 연결되는 연결선(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드론(200)의 호버링 시험을 수행할 때, 드론이 호버링하는 것을 보장하면서도, 호버링하던 드론이 시험위치를 못하도록 연결선(4)이 드론을 구속하여 드론의 시험위치 무단이탈로 인한 위험 발생을 방지하고, 드론이 추락할 때 드론이 연결선(4)에 매달리게 만들어서 드론이 낙하로 인한 위험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기둥프레임(1)과 이격되어 있는 위치의 수평프레임(2) 자유단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관부재(3)가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직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변환휠(6)을 지나온 연결선(4)은 연직하향으로 방향전환되어 가이드 관부재(3)를 통과하여, 연결선(4)의 일단은 가이드 관부재(3)의 하단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드론(200)과 결합되어서;
드론(200)이 비행하여 호버링할 때, 연결선(4)이 수평프레임(2)에 엉기는 현상이 가이드 관부재(3)에 의해 방지되고;
기둥프레임(1)의 하단은, 지면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5)에 고정되어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데;
베이스부재(5)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프레임(50)과, 상기 사각프레임(50)의 일측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며 기둥프레임(1)의 하단이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결합판(52)과, 사각프레임(50)의 상면에서 고정결합판(52)이 놓이지 않은 부분에 놓이는 복수개의 중량패널(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상부 구속 장치.
A pillar frame 1 provided with a reel member 10 capable of winding the connection line 4 and installed vertically;
A horizontal frame (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frame (1) to extend horizontally;
A first conversion wheel 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2 so that the connection line 4 passes while the direction is changed;
A second conversion wheel 7 for making the connecting line 4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switch direction to advance to the reel member 10;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and the second conversion wheel 7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reel member 10, and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line 4 connected to the drone 200;
When performing the hovering test of the drone 200, while ensuring that the drone hovers, the connecting line (4) restrains the drone so that the drone that was hovering does not reach the test posi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anger due to unauthorized departure of the test location of the drone. , When the drone falls, the drone is made to hang on the connecting line (4) to prevent the drone from falling.
At the fre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frame 1, the guide pipe member 3 in the form of a pipe is vertically coupled to protrude downward;
The connection line 4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wheel 6 is turned vertically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pipe member 3,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member 3 Being combined with the drone 200;
When the drone 200 is flying and hovering, the phenomenon that the connection line 4 is entangled on the horizontal frame 2 is prevented by the guide pipe member 3;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1 is fixed to the base member 5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and installed vertically;
The base member 5 includes a square frame 50 made of a rod member, and a fixed coupling plate 52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quare frame 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lumn frame 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restraint device of the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weight panels (51) placed on a portion where the fixed coupling plate (52) is not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으로서,
제1항의 드론 상부 구속 장치를 이용하며;
연결선(4)의 일단은 드론(200)과 연결하고 드론(200)을 지면에 놓는 단계;
연결선(4)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드론(200)을 이륙시키되, 드론(200)이 상승하는 속도 및 정도에 맞추어서 릴부재(10)를 작동하여 연결선(4)을 감아서 연결선(4)의 전체 길이를 줄이면서 드론(200)을 이륙시키는 단계;
드론(200)을 이륙시킨 후 고도를 2m 이상 유지함과 동시에 연결선(4)의 길이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륙 후 1분 동안 드론(200)을 호버링시키는 단계; 및
드론(200) 스스로 호버링하고 있는 비행 자세를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호버링 시험 방법.
As a method of testing drone hovering,
Using the drone upper restraint device of claim 1;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4 is connected to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is placed on the ground;
Take off the dron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line 4 is connected, but operate the reel member 10 according to the speed and degree at which the drone 200 rises to wind the connection line 4 Taking off the drone 200 while reducing the overall length;
Hovering the drone 200 for 1 minute after take-off while maintaining the altitude above 2m after taking off the drone 200 and fix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4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line 4 does not change; And
Drone 200 hovering test method of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to maintain a hovering flight posture.
KR1020190132280A 2019-10-23 2019-10-23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KR102231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80A KR102231864B1 (en) 2019-10-23 2019-10-23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280A KR102231864B1 (en) 2019-10-23 2019-10-23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864B1 true KR102231864B1 (en) 2021-03-25

Family

ID=7522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280A KR102231864B1 (en) 2019-10-23 2019-10-23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8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0352A (en) * 2022-05-09 2022-08-26 上海马勒热系统有限公司 Auxiliary feeding device suitable for automatic l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251A (en) * 2016-05-02 2017-11-10 태원건설(주) A crack diagnosis device of construction vertical wall
KR20180045027A (en) * 2015-09-14 2018-05-03 이승규 Energy supply system of wired aircraft
KR101861506B1 (en) * 2018-01-29 2018-05-28 송지홍 Apparatus for testing flying object
KR20190100089A (en) 2019-07-04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one, Dron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Take-Off Using Drone S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027A (en) * 2015-09-14 2018-05-03 이승규 Energy supply system of wired aircraft
KR20170124251A (en) * 2016-05-02 2017-11-10 태원건설(주) A crack diagnosis device of construction vertical wall
KR101861506B1 (en) * 2018-01-29 2018-05-28 송지홍 Apparatus for testing flying object
KR20190100089A (en) 2019-07-04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one, Dron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Take-Off Using Drone 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0352A (en) * 2022-05-09 2022-08-26 上海马勒热系统有限公司 Auxiliary feeding device suitable for automatic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46647B2 (en) Work vehicle including suspended platform
KR102231864B1 (en) Drone Hovering Test Method and Upper Locking Apparatus for such Hovering Test
US20190161319A1 (en) Hoistway inspection device
EP3636581B1 (en) Cable offset detection with contact
CN112124610A (en) Ship landing device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ship
JP2017077967A (en) Large vessel and super-large elevator for marine plant construction
US10378935B1 (en) Remote facade inspection gantry
US3128972A (en) Arresting devices for airplanes
US20220063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ecuring of an aerostat to a receiving structure
US20230211882A1 (en) Aircraft capable of hovering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load suspended from such aircraft
CN218298368U (en) Unmanned aerial vehicle inspection device
WO2022000525A1 (en)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cable traction device
JP6433794B2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work at height
CN212473953U (en) Ship landing device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ship
US2183594A (en) Parachute training and amusement
JP5674215B1 (en) Elevator rope runout suppression device
JP2010173401A (en) Method and facility for recovery of unmanned aircraft
KR102228355B1 (en) winch device for an aerostat
CN114379760B (en) Nacelle support frame, high-altitude balloon dispensing device and dispensing method thereof
US3438596A (en) Tow boom installation
KR102617586B1 (en) Emergency parachute spreading apparatus for drone and small-size aircraft
US20170081044A1 (en) Load assembly and method for lifting a load into an aircraft
CN212593589U (en) Movable loading falling protector
JPS633599Y2 (en)
KR20180032088A (en) An automatic maintenance safety distance system for basket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