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83B1 -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 Google Patents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83B1
KR102231283B1 KR1020190109080A KR20190109080A KR102231283B1 KR 102231283 B1 KR102231283 B1 KR 102231283B1 KR 1020190109080 A KR1020190109080 A KR 1020190109080A KR 20190109080 A KR20190109080 A KR 20190109080A KR 102231283 B1 KR102231283 B1 KR 10223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mor
beehive
bees
sign
det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962A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9010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의 소문 위 외벽 양쪽에 설치되어,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통의 소문 위 외벽면을 따라 위로 올라온 벌들에 의해 조사된 양쪽 센서간의 적외선이 차단되면 분봉 징후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
벌통의 소문 상측에 플랩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들이 소문 위 외벽에 설정된 마리수 이상 붙은 벌들의 무게에 의해 플랩구조가 뒤집히면 분봉 징후임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
상기 소문을 따라 진출하여 소문 위 외벽면에 붙은 벌들의 음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음량이 70데시벨 이상이 1분 이상 유지되면 분봉의 징후임을 감지하는 데시벨 센서; 및
상기 센서들 중 둘 이상의 센서에서 분봉 징후가 감지되면, 감지된 벌통의 위치와 분봉 징후를 알려주는 위성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Signal for sensing and informing sign of hiving off}
본 발명의 양봉 또는 한봉이 분봉이 발생할 때, 그 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벌들이 여왕벌과 함께 벌통을 떠나기 전에 양봉인 또는 한봉인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분봉하면 여왕벌이 나와 집을 떠나기 전에 일벌들이 벌통입구 위쪽으로 올라와 붙는 현상이 있는데 이곳에 플랩을 설치하여 일벌들이 몇 마리 이상 달라붙으면 무게를 느끼고 센서서 작동하여 분봉을 알려준다.
두 번째 출입구 윗부분에 적외선 센서를 장착하여 벌들이 분봉 전 위로 올라올 때 미리 알려준다.
3번째 분봉을 하기 전에 벌들이 소리 내는 데시벨 구조가 달라진다. 보통은 몇 마리가 최대 50데시벨을 넘지 못하지만 분봉을 할 때는 80데시벨로 유지가 된다. 이때 70데시벨 이상 10초이상 유지가 되면 분봉전초 증상임을 알수 있다
3가지 중 한 가지 증상이 나타나면 센서가 작동하여 GPS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와 분봉발생을 휴대전화 어플로 연계하여 알려 주는 시스템이다.
한봉이나 양봉의 경우, 대략적이 분봉시기를 알 수 있으나 계획적으로 분봉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조건이 맞지 않으면 수시로 분봉이 난다.
따라서 분봉시기에는 양봉인과 한봉인들은 언제 나올지 모를 분봉에 대비해서 항상 봉장을 지키고 있어야 하므로 다른 볼일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없고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리고 언제 어디로 분봉이 나갈지 모르는 상황에서 항상 불안해하고 있으며, 언제 분봉이 나서 벌이 나간 지도 모른다.
분봉이 나서 벌들이 야산으로 날아가 버리면 벌 한통을 잊어버린 것과 같다.
양봉이나 토종벌이 나오는 날짜를 시간을 대충을 알고 있으나, 가늠하기 어렵다. 대략적인 날짜도 벌통을 자주 들여다 봤을 때는 3일 전후 하여 알 수 있지만 자주 벌통 속에 검사를 하지 않으면 전혀 모른다. 그래서 분봉이 나오는 날짜가 가까워 오면 노심초사 봉장에서 항상 기다는 봉주가 많이 있다. 그리고 일부 벌들이 봉주가 모르는 가운데 분봉이 나서 날아가 버리는 벌들도 많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분봉이 시작되면, 2시간 정도 벌통 주위에 나뭇가지나 구조물에 아무렇게나 매달려 있다가 멀리 날아가 버리므로 양봉인의 손실이 많다.
토종벌의 경우, 언제나 분봉이 날 가능성이 더 커서 언제 분봉이 날지 몰라 봉주는 항상 마음을 조아린다. 토종벌은 고가 이기도 하고, 분봉이 언제 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에 더더욱 분봉의 징후를 미리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분봉의 징수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면, 언제 분봉이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양봉인과 한봉인들이 시간에 관계없이 마냥 기다리는 수고를 들어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 10-1736288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봉인과 한봉인들이 해마다 벌들이 분봉이 나서 멀리 날아가서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분봉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벌의 손실률을 최소화하고, 분봉을 마냥 기다리며 봉장에서 대기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자는, 여왕벌이 분봉을 하기 위해 일벌 군사를 이끌고 나가기 2~4시간 전에, 벌통 주위의 소문으로 미리 나온 일벌들이 소문 위측으로 올라붙는 성질과, 이들이 부산하게 여러 마리가 날갯짓을 함으로써 벌통 주위의 소음 정도가 달라지는 점 등을 관찰하여, 이 특성들을 이용하여 본격적인 분봉전에 분봉을 미리 감지하고 봉주에게 열려주는 수단을 마련하면, 양봉인과 한봉인들의 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는,
벌통의 소문 위 외벽 양쪽에 설치되어,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통의 소문 위 외벽면을 따라 위로 올라온 벌들에 의해 조사된 양쪽 센서간의 적외선이 차단되면 분봉 징후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
벌통의 소문 상측에 플랩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들이 소문 위 외벽에 설정된 마리수 이상 붙은 벌들의 무게에 의해 플랩구조가 뒤집히면 분봉 징후임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
상기 소문을 따라 진출하여 소문 위 외벽면에 붙은 벌들의 음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음량이 70데시벨 이상이 1분 이상 유지되면 분봉의 징후임을 감지하는 데시벨 센서; 및
상기 센서들 중 둘 이상의 센서에서 분봉 징후가 감지되면, 감지된 벌통의 위치와 분봉 징후를 알려주는 위성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번데시벨 측정기 벌들은 평도 벌통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100마리 이하의 벌들 날개짓 소리가 50데시벨을 넘지 못하는 점 그리고 분봉시 1000마리 이상 날개짓 소리 80데시벨까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분봉시 상당히 오랜 기간에 큰 데시벨 효과를 냄으로써 기준점을 70데시벨로 잡고 순간적인 소리 말고 약 1분 이상 70데시벨이 넘는 수준의 소리가 나면 즉시 알려주는 센서가 작동을 한다.
위 세 가지 조건 중 한가지라도 충족을 하면 신호기가 작동을 하고 위치추적기와 휴대전화 통신망 LBS와 연계되어 위치와 현재 분봉상태을 알려준다.
스마트폰 어플설치 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와 분봉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즉시 분봉하는 위치로 가서 분봉하는 벌어 받아서 다른 벌통에 넣을 수 있다.
이때 분봉하는 벌을 받아서 다른 벌통에 넣으면 벌 한통이 더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벌통마다 달아 놓는다면, 편안하게 양봉, 한봉을 할 수 있고 벌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분봉이 시작되면 짧게는 2시간, 길게는 4시간 정도 여유가 있는데 이때 미리 봉주의 휴대폰 등으로 분봉의 개시를 알려주면 봉장으로 가서 분봉이 되는 벌을 받으면 된다.
삭제
삭제
또한, 봉주가 직접 가지 않더라도 GPS신호로 알려줌으로써 위치와 함께 분봉이 됨을 알려 줌으로 타인에게 알려서 분봉을 받을 수도 있다.
삭제
이 장치를 달아 놓으면 벌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고 산으로 날아가 버리는 벌들이 없어 양봉가 한봉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삭제
도 1은 분봉의 조짐이 없는 조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불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을 측면에서 보는 모습이다.
도 2는 분봉의 조짐이 없는 조용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불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을 정면에서 보는 모습이다.
도 3은 분봉시에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을 측면에서 바라보는 모습이다.
도 4는 분봉시에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을 상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외선 감지센서(1)와 무게 감지 센서(2) 및 데시벨 센서(3)를 포함하여 이들 센서를 통하여 분봉의 징후를 감지하며, 분봉의 징후가 감지된 벌통의 위치와 분봉의 징후를 알려주는 위성발신기(5)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는 분봉의 조짐이 없는 평상시의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을 측면과 정면에서 각각 바라보는 모습으로, 벌통 입구 작은 문(소문)(G)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안정적으로 벌들이 오가며 꿀을 물어 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때에는 여왕벌(4)은 벌통 안쪽 깊은 곳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의 각 센서들은 작동하지 않는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를 구비한 벌통의 분봉시의 모습을 측면과 정면에서 각각 바라본 것으로, 벌들이 몇 마리 이상 나와서 달라붙으며 여왕벌(4)이 나오도록 기다리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의 각 센서들이 작동한다.
즉, 일벌들은 여왕벌(4)이 나오기 전에 출입구인 소문(G) 근처에서 여왕벌(4)이 나오기 전까지 포도송이처럼 달리는 습관이 있다. 이것은 여왕벌(4)이 나오기 전에 하는 행동으로서, 이때 각 센서들이 작동하여 봉주에게 알려 준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1)는, 벌통의 벽면에 소문(G)에서부터 0.5cm 정도의 높이에 양쪽에 설치되어, 미리 나온 벌들이 포도송이처럼 달리면 양쪽 적외선 센서(1)에서 발광 및 수광되는 적외선은 수광되지 못해 분봉시에 미리 나온 벌들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평소에 소문을 나와 바로 날아가는 벌들은 적외선 감지센서(1)에 감지하지 않으며,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벌들이 소문 위로 올라와 적외선 감지센서(1)에서 발광된 적외선의 수광이 차폐되는 때에만 센싱하게 된다.
무게 감지 센서(2)는 무접점센서를 이용하여 무게를 감지하면 센서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게 감지 센서(2)는 플랩 구조로 소문(G) 상부측에 가로로 넓게 달려 있는데, 벌들이 위로 올라와 매달리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벌들이 달라붙기 좋아하는 거물망 형태로 만들었으며, 분봉하기 직전 여왕벌을 불러 내기 위해 달라붙어 이 플랩 구조물에 무게를 주면 시소와 같이 뒤집어져서 센서가 작동한다.
벌의 무게는 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벌은 평균적으로 80~13mg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예컨대 5~10마리정도 이상의 일벌들이 붙었을 때 센싱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데시벨 센서(3)은 데시벨 측정을 위한 마이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날아다니는 벌들의 날갯짓에 의한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무게 감지 센서(3)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벌들이 몇 마리가 근처에서 아무리 열심히 날아도 60데시벨을 넘지 못한다. 분봉이 시작되면 벌이 장황하게 많이 날아다니는데, 여러 마리 벌들이 한꺼번에 소리를 한동안 큰 소리를 낸다.
벌이 100마리 이상 분주하게 날기 시작하면 분봉의 조짐인데, 많은 벌이 한꺼번에 날아서 분봉 조짐이 보이면 80데시벨에 육박하는 소리가 한동안 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본격적인 분봉 이전에 70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나면센싱하는 구조로 설정하였다.
또한 그냥 70데시벨로 설정하면, 주위에 큰소리로 인해서 오작동할 소지가 있음으로, 예컨대 1분 이상 지속이 되었을 때 센싱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면, 위성발신기(5)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GPS 발신기형태의 위성발신기가 설치되어, 분봉의 징후가 감지되면, 휴대폰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위치와 분봉 시간을 알려주도록 되어 있다.
다만, 어느 하나만의 센서가 작동했을 때 알려주는 구조로 하면 오작동의 소지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이들 센서 중 2가지 이상 작동을 했을 때에만 알려주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3가지 센서들 중, 두 가지 이상이 작동했을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분봉을 알림으로써 오판을 줄이고 최대한 빨리 조치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삭제
삭제
삭제
1: 적외선 감지센서
2: 플랩구조의 무게 감지 센서
3: 데시벨 센서
4: 여왕벌
5: 위성 발신기

Claims (1)

  1. 벌통의 소문 위 외벽 양쪽에 설치되어,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통의 소문 위 외벽면을 따라 위로 올라온 벌들에 의해 조사된 양쪽 센서간의 적외선이 차단되면 분봉 징후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
    벌통의 소문 상측에 플랩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소문을 따라 벌통의 외부로 진출하여 벌들이 소문 위 외벽에 설정된 마리수 이상 붙은 벌들의 무게에 의해 플랩구조가 뒤집히면 분봉 징후임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
    상기 소문을 따라 진출하여 소문 위 외벽면에 붙은 벌들의 음량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음량이 70데시벨 이상이 1분 이상 유지되면 분봉의 징후임을 감지하는 데시벨 센서; 및
    상기 센서들 중 둘 이상의 센서에서 분봉 징후가 감지되면, 감지된 벌통의 위치와 분봉 징후를 알려주는 위성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KR1020190109080A 2019-09-03 2019-09-03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KR10223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80A KR102231283B1 (ko) 2019-09-03 2019-09-03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080A KR102231283B1 (ko) 2019-09-03 2019-09-03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62A KR20210027962A (ko) 2021-03-11
KR102231283B1 true KR102231283B1 (ko) 2021-03-22

Family

ID=7514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080A KR102231283B1 (ko) 2019-09-03 2019-09-03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05A (ko)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88B1 (ko)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88B1 (ko)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6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288B1 (ko)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Michener The Brazilian bee problem
Winston Swarming, afterswarming, and reproductive rate of unmanaged honeybee colonies (Apis mellifera)
Beekman et al. How does an informed minority of scouts guide a honeybee swarm as it flies to its new home?
EP2745682B1 (en) Beehive with a mounted disseminator device
Schwagmeyer Alarm calling behavior of the thirteen-lined ground squirrel, Spermophilus tridecemlineatus
Vollrath et al. African bees to control African elephants
Price et al. Territorial bequeathal by red squirrel mothers
van der Marel et al. Group-enhanced predator detection and quality of vigilance in a social ground squirrel
Calderón Alvarez et al. Monitoring the effects of Rodolia cardinalis on Icerya purchasi populations on the Galapagos Islands
KR102231283B1 (ko) 벌의 분봉 발생 징후 감지 신호기
Cunningham et al. The secret life of wild brown kiwi: studying behaviour of a cryptic species by direct observation
Cockle et al. Predators of bird nests in the Atlantic forest of Argentina and Paraguay
WO2016120649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Porporato et al. Vespa velutina Lepeletier (Hymenoptera Vespidae): a first assessment two years after its arrival in Italy
JP6178681B2 (ja) 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Tamm et al. Display behavior of male Calliope Hummingbirds during the breeding season
Plotz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black rhinoceros (Diceros bicornis) in Hluhluwe-iMfolozi Park
Morse et al. Notes on venom collection from honeybees
Hanson et al. Age differences in arousal and vigilance in California ground squirrels (Spermophilus beecheyi)
Coffey Biotechnical methods in colony management, and the use of Apiguard® and Exomite™ Apis for the control of the varroa mite (Varroa destructor) in Irish honey bee (Apis mellifera) colonies
Proctor Discovering Gold In The Greater Antilles–The Natural History And Breeding Biology Of The Hispaniolan Golden Swallow, Followed By The Status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Jamaican Golden Swallow
Woudenberg Integrated management of flammulated owl breeding habitat and timber harvest in British Columbia
AU20192045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monitoring of a beehive
Griffiths Aspects of the ecology of a long-tailed bat, Chalinolobus tuberculatus (Gray, 1843), population in a highly fragmented habi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