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152B1 -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 Google Patents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152B1
KR102231152B1 KR1020190033020A KR20190033020A KR102231152B1 KR 102231152 B1 KR102231152 B1 KR 102231152B1 KR 1020190033020 A KR1020190033020 A KR 1020190033020A KR 20190033020 A KR20190033020 A KR 20190033020A KR 102231152 B1 KR102231152 B1 KR 10223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pulley module
pulley
bracket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2475A (en
Inventor
홍진하
김영일
이제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3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52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Abstract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ork includes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a first pulley module to an upper portion of a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a lower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and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Have.

Description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Pulley clearance maintenance device for wiring work{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본 발명은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의 연선작업 및 긴선작업 시 사용되는 활차들에 결합되어 인접한 활차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pulleys for temporary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adjacent pulleys by being coupled to pulleys used in the work of twisting and lengthening transmission lines.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공장과 정과 주택과 같은 전력 수요처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송전탑과 송전선로의 설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송전선로 주변 개발 및 토지 이용률 증가에 따른 지가 상승으로 인해 송전탑 건설에 필요한 용지 확보가 어려운 실정으로, 송전탑과 송전선로의 신설 업무와 이설 업무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송전탑과 송전선로를 이설하지 않더라도, 345kV 송주법 사업비와 같은 비용증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전탑을 철거한 후에 동일 위치에 송전탑을 재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Transmission towers and transmission lines need to be installed in order to supply power produced by power plants to power consumers such as factories, towns and houses. In recent year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land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due to the increase in land price due to the development around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increase in the land use rate, and the new construction and relocation work of the transmission tower and transmission line is increasing. In addition, even if the transmission tower and the transmission line are not relocated,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re-installing the transmission tower at the same location after the transmission tower is removed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costs such as the 345kV transmission method project cost.

또한, 송전선이 원활하게 전력 이송을 하기 위해서는 송전선의 주기적인 교체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전력선의 가선공사를 수행할 때 전력선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연선공사 및 긴선공사를 할 수 있게 제작된 전력선 가이드 장비인 가선 작업용 활차가 있다. 가선 작업용 활차는 전선을 안내하도록 회전하는 휠을 구비하는 장비로 송전선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력선을 가이드한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transmission line to transfer power smoothly, periodic replacement of the transmission line may be required. When performing the temporary wiring work of various power lines, there is a pulley for temporary wire work, which is a power line guide equipment that is manufactured to perform stranded wire work and long wire work without damaging the power line. A pulley for wiring work is an equipment having a wheel that rotates to guide the electric wire, and guides the electric power line while being coupled to the transmission line.

000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4512호000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64512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의 긴선공사와 연선공사와 같은 가선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lley clearance maintenance device for a temporary wire work that can more stably perform a temporary wire work such as a long wire work and a twisted wire work of a transmission lin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한다.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first pulley module. And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low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각각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2 중간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과 대칭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y gap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ire work further includes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extends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and a diagonal line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direction is symmetrical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상기 제1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브라켓, 상기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브라켓,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브라켓; 및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ork includes a first upp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a second upp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first pulley module. A first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nit; And a second lower bracke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via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via the first low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facing the first fastening plate. A bolt fastening hole is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late includes a flat portion and a bending portion in which a seating groove having a bent shape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is defined. A support fram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low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facing the first fastening plate. A bolt fastening hole is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 및 상기 플랫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플랫부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late is a flat portion, a bending portion in which a seating groove having a bent shape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is defined, and an upward direction to be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It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into. A support frame provid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상기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frame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two upper frames between two adjacent upper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frames. And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has a shape bent so as to surround adjacent ends of the two upper fram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이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가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rame and a bracket coupled to one end of the frame.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및 상기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lower frame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wo adjacent lower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and is coupled to the two upper frames. Includes a lower connection. The lower connection part has a bent shape so as to surround adjacent ends of the two lower fram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탑의 가선공사를 수행할 때, 송전탑에 설치되는 활차모듈들 사이에 설치된 활차간격 이격장치에 의해 활차모듈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활차간격 유지장치에 의해 송전탑의 암에 설치된 활차모듈들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활차모듈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활차모듈들의 하중이 송전탑의 암의 일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전탑의 암의 파손 또는 변형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temporary wiring work of the transmission tower, the distance between the pulley modules is kept constant by the pulley gap separation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pulley module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tower, As a result, the spacing between the pulley modules installed on the arm of the transmission tower is not substantially changed. Therefore, the pulley modules are moved to b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load of the pulley modul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cally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arm of the transmission tower,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arm of the transmission tower.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 유지장치가 송전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부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상부프레임과 제2 상부프레임이 제1 상부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하부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제1 하부프레임과 제2 하부프레임이 제1 하부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에 의해 상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에 의해 하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maintaining device for pulleys for temporary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ransmission tow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ire work shown in FIG. 1.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2.
3B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upper frame and a second upper frame constituting an upper connection member are connected by a first upper connection part.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2.
4B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lower frame and a second lower frame constituting a lower connection member are connected by a first lower connection par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upper bracket shown in FIG. 2 is disassembl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wer bracket shown in FIG. 2 is disassembled.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2.
7B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2.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cesses in which an upper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a second support frame of a second pulley module by a second upper bracket shown in FIGS. 2 and 5.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cesses in which a lower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a second support frame of a second pulley module by a second lower bracket shown in FIGS. 2 and 6.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related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appli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o clarify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average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first' and'second' are not used in a limiting meaning,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said to be'on' or'on' another part, not only is it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in the middle. Includes c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선 작업용 활차들의 간격 유지장치(100)가 송전탑(5)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pparatus 100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pulleys for temporary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ransmission tower 5.

도 1을 참조하면,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이 송전탑(5)의 암(6)에 설치되며,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Referring to FIG. 1, a first pulley module 1A and a second pulley module 1B are installed on the arm 6 of the transmission tower 5, and a pulley clearance maintenance device 100 for temporary wiring 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ulley clearance maintenance device. )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to allow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Keep.

이 실시예에서는, 전력선(EW)을 송전탑(5)에 늘어뜨리는 연선 작업 및 연선된 전력선(EW)을 적정 이도로 송전탑(5)에 설치하는 긴선 작업과 같은 가선 작업이 수행될 때,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각각은 테두리에 전력선(EW)을 수용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활차를 포함하여 전력선(EW)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a temporary wire work such as a twisted wire work for hanging the power line EW on the transmission tower 5 and a long wire work for installing the twisted power line EW on the transmission tower 5 at an appropriate degree is performed, the first And each of the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includes a pulley that rotates while accommodating the power line EW at the edge thereof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ower line EW. In addition,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따라서, 가선 작업 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에 의해 전력선(EW)의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이 암(6)의 특정 부위에 모여 암(6)이 파손되거나 암(6)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are gathered at a specific part of the arm 6 by the load of the power line EW by the pulley gap maintaining device 100 during temporary wire work, and the arm 6 i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the shape of the arm 6 being deformed.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for temporary wire work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은 수평방향(D1)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100, 이하 활차간격 유지장치)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한다. Referring to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1, and the pulley gap maintain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ulley gap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line work is I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

제1 활차모듈(1A)은 제1 활차(2A)와 제1 지지프레임(3A)을 포함한다. 제1 활차(2A)의 외주부에는 전력선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프레임(3A)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1 활차(2A)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3A)은 송전탑(도 1의 5)의 암(도 1의 6)에 절연애자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pulley module 1A includes a first pulley 2A and a first support frame 3A. A groove for accommodating a power line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ulley 2A, and the first support frame 3A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is coupled to the first pulley 2A.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upport frame 3A may be coupled to an arm (6 in FIG. 1) of a power transmission tower (5 in FIG. 1) through an insulating insulator as a medium.

마찬가지로, 제2 활차모듈(1B)은 제2 활차(2B)와 제2 지지프레임(3B)을 포함한다. 제2 활차(2B)의 외주부에는 전력선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지지프레임(3B)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활차(2B)에 결합된다. 제2 지지프레임(3B)은 송전탑(도 1의 5)의 암(도 1의 6)에 애자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ncludes a second pulley 2B and a second support frame 3B. A groove for accommodating a power line i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pulley 2B,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pulley 2B. The second support frame 3B may be coupled to an arm (6 in FIG. 1) of the transmission tower (5 in FIG. 1) through an insulator.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에 의해 송전탑의 암에 설치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제1 활차모듈(1A)과 제2 활차모듈(1B)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하중이 송전탑의 암(도 1의 6)의 일 부분에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송전탑의 암의 파손 또는 변형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pulley module 1A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1B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Therefor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installed on the arm of the transmission tower by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is not substantially changed, the first pulley module 1A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s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from being locally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arm (6 in FIG. 1) of the transmission tower by moving so that the (1B) moves closer to each other. As a result, it can be prevented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due to the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arm of the transmission tower.

이 실시예에서는 활차간격 유지장치(100)는 상부연결부재(10), 하부연결부재(20), 제1 상부브라켓(35), 제2 상부브라켓(45), 제1 하부브라켓(65), 제2 하부브라켓(75), 제1 중간연결부재(50) 및 제2 중간연결부재(55)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100 includes an upper connection member 10, a lower connection member 20, a first upper bracket 35, a second upper bracket 45, and a first lower bracket 65, It includes a second lower bracket 75,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0, and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5.

상부연결부재(10)는 제1 활차모듈(1A)의 상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상부에 연결된다. 도 2에 도 3a와 도 3b를 더 참조하여 상부연결부재(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in FIG. 2 as follows.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상부연결부재(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부연결부재(10)를 구성하는 제1 상부프레임(11)과 제2 상부프레임(12)이 제1 상부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shown in FIG. 2, and FIG. 3B is a first upper frame 11 and a second upper frame 12 constitu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connected by (30).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연결부재(10)는 제1 상부프레임(11), 제2 상부프레임(12), 제3 상부프레임(13), 제1 상부연결부(30) 및 제2 상부연결부(4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재(10)의 자체 강성을 확보하고 상부연결부재(10)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술한 상부연결부재(10)의 구성요소들은 듀랄루민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3A and 3B,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includes a first upper frame 11, a second upper frame 12, a third upper frame 13, and a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a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40. In this embodiment, the components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duralumin in order to secure its own rigidity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and minimize the weight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프레임(11), 제2 상부프레임(12) 및 제3 상부프레임(13)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상부프레임(11)은 제1 상부브라켓(3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3 상부프레임(13)은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per frame 11, the second upper frame 12, and the third upper frame 13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upper frame 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3A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through the first upper bracket 35, and the third upper frame 13 is the second upper part.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via the bracket (45).

제1 상부프레임(11)의 일 단부에는 제1 홀(H11)이 형성되며, 제3 상부프레임(13)의 일 단부에는 제2 홀(H1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홀(H11)과 이에 대응되는 제1 지지프레임(3A)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제1 상부프레임(11)이 제1 지지프레임(3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홀(H12)과 이에 대응되는 제2 지지프레임(3B)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된 너트에 의해 제3 상부프레임(13)이 제2 지지프레임(3B)에 고정될 수 있다. A first hole H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upper frame 11, and a second hole H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upper frame 13.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upper frame 11 is formed by a bolt penetrating the first hole H11 and a hol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3A and a nut fastened to the bolt. It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A). In addition, by means of a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hole H12 and the correspond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frame 3B, and a nut fastened to the bolt, the third upper frame 13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3B. Can be fixed to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프레임(11)에 제1 홀(H11)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상부프레임(13)에 제2 홀(H12)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홀(H11)과 다수의 제2 홀(H12)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 1B)의 간격에 따라 다수의 제1홀(H11) 중 볼트에 체결되는 홀의 위치와 다수의 제2홀(H12) 중 볼트에 체결되는 홀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부연결부재(10)에 의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지지되는 수평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holes H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upper frame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12 may be formed in the third upper frame 13.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1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H1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hole fastened to the bol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11 and the position of the hole fastened to the bolt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H12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Is adjusted, the horizontal distance suppo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by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may be adjusted.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1 및 제3 상부프레임들(11,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1 상부연결부(30)를 매개로 제1 상부프레임(11)에 연결되고, 제2 상부프레임(12)은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제3 상부프레임(13)에 연결된다. The second upper frame 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upper frames 11 and 13, and the second upper frame 12 is a first upper frame ( 11), and the second upper frame 12 is connected to the third upper frame 13 through the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40.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연결부(30)는 프레임들의 단부들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제1 상부연결부(30)의 내측에 수용부(31)가 정의된다. 또한, 제1 상부연결부(30)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제5홀들(H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has a shape bent in a "C" so as to wrap the ends of the frames, and the receiving part 31 is defined inside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fth holes H15 are formed in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제1 상부연결부(30)의 수용부(31)의 내부에 제1 상부프레임(11)의 단부와 제2 상부프레임(12)의 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상부연결부(30)의 다수의 제5 홀들(H15)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제1 상부프레임(11)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3 홀(H13)에 볼트가 체결되고, 다수의 제5 홀들(H15) 중 다른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상부프레임(1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4 홀(H14)에 볼트가 체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들(11,12)은 제1 상부연결부(30)를 매개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upper frame 11 and the end of the second upper frame 12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31 of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a plurality of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A bolt is fastened to one of the fifth holes H15 and a third hole H1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upper frame 11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fifth holes H15 and The bolt is fastened to the fourth hole H14 formed at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second upper frame 12.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11 and 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상부연결부(30)의 하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구비되며, 돌출부(32)는 제1 중간연결부재(50)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In this embodiment, a protrusion 32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under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and the protrusion 3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제2 및 제3 상부프레임들(12,13)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2 상부프레임들(12,13)이 제2 상부연결부(40)에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제1 및 제2 상부프레임들(11,12)이 제1 상부연결부(30)에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The second and third upper frames 12 and 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40. In the manner in which the second and second upper frames 12 and 13 are coupled to the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40,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11 and 12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connection part 30. Since it is the same as the combinatio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부연결부재(20)는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에 연결된다. 도 2에 도 4a와 도 4b를 더 참조하여 하부연결부재(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in FIG. 2 as follows.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하부연결부재(2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하부연결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하부프레임(21)과 제2 하부프레임(22)이 제1 하부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2, and FIG. 4B is a first lower frame 21 and a second lower frame 22 constituting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connected by (60).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하부연결부재(20)는 상부연결부재(10)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하부연결부재(20)는 제1 하부프레임(21), 제2 하부프레임(22), 제3 하부프레임(23), 제1 하부연결부(60) 및 제2 하부연결부(70)를 포함한다. 2, 4A and 4B,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includes a first lower frame 21, a second lower frame 22, a third lower frame 23, a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and a second lower connection part 70.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프레임(21), 제2 하부프레임(22) 및 제3 하부프레임(23)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하부프레임(21)은 제1 하부브라켓(6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3 하부프레임(23)은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ower frame 21, the second lower frame 22, and the third lower frame 23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lower frame 21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frame 3A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through the first lower bracket 65, and the third lower frame 23 is The bracket 7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부연결부재(도 3a의 100)와 마찬가지로, 제1 하부프레임(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홀과 제3 하부프레임(23)의 일 단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는 볼트들에 의해 제1 및 제3 하부프레임들(21,23)이 제1 지지프레임(3A)과 제2 지지프레임(3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Like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0 of FIG. 3A)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a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ower frame 21 and a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lower frame 23 The first and third lower frames 21 and 23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A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by bolts fastened thereto.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1 및 제3 하부프레임들(21,23)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제1 하부프레임(21)에 연결되고, 제2 하부프레임(22)은 제2 하부연결부(70)를 매개로 제3 하부프레임(23)에 연결된다. The second lower frame 2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lower frames 21 and 23, and the second lower frame 22 is a first lower frame ( 21), and the second lower frame 22 is connected to the third lower frame 23 via the second lower connection part 70.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연결부(60)는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져 제1 하부연결부(60)의 내측에 수용부(61)가 정의된다. 따라서, 제1 하부연결부(60)의 수용부(61)의 내부에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의 단부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에 형성된 홀들의 각각과 제1 하부연결부(6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는 너트들에 의해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은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has a shape bent in a'C' so that the receiving part 61 is defined inside the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frames 21 and 22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61 of the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the first and second lower frames 21 and 22 ), the first and second lower frames 21 and 22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bolts penetrating each of the holes formed in the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and nuts fastened to the bolts. 1 The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part 60.

전술한 제1 하부연결부(60)를 매개로 제1 및 제2 하부프레임들(21,22)이 상호 간에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제2 하부연결부(70)를 매개로 제2 및 제3 하부프레임들(22,23)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wer frames 21 and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lower connection part 60 described above, the second and third lower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lower connection part 70. The lower frames 22 and 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상부브라켓(35)은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를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연결시키며, 제2 상부브라켓(45)은 상부연결부재(10)의 타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연결시킨다. 또한, 제1 하부브라켓(65)은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를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연결시키며, 제2 하부브라켓(75)은 하부연결부재(20)의 타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연결시킨다. The first upper bracket 35 connects one end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3A,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45 removes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2 Connect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3B). In addition, the first lower bracket 65 connects 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3A,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75 is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이하, 도 2에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제2 상부브라켓(45)과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상부브라켓(35)과 제1 하부브라켓(65)의 구조는 제2 상부브라켓(45)과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Hereinafter, structures of the second upper bracket 45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7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n FIG. 2. Further,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upper bracket 35 and the first lower bracket 65 correspond to the structures of the second upper bracket 45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75,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45)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75)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upper bracket 45 shown in FIG. 2 is disassembled,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wer bracket 75 shown in FIG. 2 is disassembled.

우선,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상부브라켓(45)은 제1 체결판(46)과 제2 체결판(47)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5,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upper bracket 45 includes a first fastening plate 46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47.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판(46)은 플랫부(46A)와 벤딩부(46B)를 포함하고, 플랫부(46A)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랫한 형상을 갖고, 플랫부(46A)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또한, 벤딩부(46B)는 플랫부(46A)로부터 ‘ㄷ’자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벤딩부(46B)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체결판(46)의 내측에 안착홈(46H)이 정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includes a flat portion 46A and a bent portion 46B, and the flat portion 46A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 flat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flat portion 46A. A plurality of holes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46B has a shape that is bent from the flat portion 46A in a “C” letter. As the bent part 46B has a shape bent in a “C”, a seating groove 46H may be defined inside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제2 체결판(47)은 수평한 방향으로 플랫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2 체결판(47)은 제1 체결판(46)에 중첩될 수 있도록 제1 체결판(46)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2 체결판(47)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The second fastening plate 47 has a shape that extends fla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47 corresponds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so that it can be overlapped with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It has a size.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plate 47.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2 상부브라켓(45)의 구조에 따르면,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가 안착홈(4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46)에 결합시킨다. 그 이후에,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와 제2 지지프레임(3B)를 제1 및 제2 체결판들(46,47)의 사이에 배치시킨 이후에, 제2 상부브라켓(45)의 제1 및 제2 체결판들(46,47)과 상부연결부재(1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들을 체결한다. 상기 다수의 볼트들에 너트들을 체결하여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상부연결부재(10)가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upper bracket 45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46H. Bind to After that, after placing one end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46 and 47, the second upper bracket 45 A plurality of bolts are fastened so as to penetrate the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46 and 47 and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By fastening nuts to the plurality of bolts,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via the second upper bracket 45.

도 2 및 도 6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하부브라켓(75)은 제1 체결판(76) 및 제2 체결판(77)을 포함한다. 2 and 6,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wer bracket 75 includes a first fastening plate 76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77.

제1 체결판(76)은 플랫부(76A), 벤딩부(76B) 및 돌출부(76C)를 포함한다. 벤딩부(76B)는 ‘ㄷ’자로 벤딩된 형상을 갖는다. 플랫부(76A)는 벤딩부(76B)의 양 단부들 각각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76C)는 플랫부(76A)의 일 측으로부터 플랫부(76A)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includes a flat portion 76A, a bending portion 76B, and a protruding portion 76C. The bent portion 76B has a shape bent in a “C” letter. The flat portion 76A has a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each of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76B. The protruding portion 76C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76A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76A.

벤딩부(76B)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벤딩부(76B)에 안착홈(76H)이 정의될 수 있으며, 안착홈(76H)의 내부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다. As the bending portion 76B has a shape bent in a'C', a seating groove 76H may be defined in the bending portion 76B,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s inside the seating groove 76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may be accommodated.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제2 하부브라켓(75)의 구조에 따르면,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안착홈(7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76)에 결합시킨다. 그 이후에,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와 제2 지지프레임(3B)를 제1 및 제2 체결판들(76,77)의 사이에 배치시킨 이후에, 제2 하부브라켓(75)의 제1 및 제2 체결판들(76,77)과 하부연결부재(20)에 형성된 홀들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볼트들을 체결한다. 따라서,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하부연결부재(20)가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lower bracket 75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76H. Bind to After that, after placing 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76 and 77, the second lower bracket 75 A plurality of bolts are fastened so as to penetrate the hol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76 and 77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Accordingly,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via the second lower bracket 75.

제1 중간연결부재(50)와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각각은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에 의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가 제1 및 제2 활차모듈(1A,1B)에 결합되는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 Therefore, the strength in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by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50 and 55 is complemented. Can be.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는 서로 이격되고,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의 각각은 수평방향(D1)과 연직방향(D2)의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중간연결부재(50)와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서로 대칭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이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된 세부적인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중간연결부재들(50,55)의 각각은 연직방향(D2)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D1) and a vertical direction (D2). Doedo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for each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extend in a direc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detail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50 and 55 a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50 and 55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2.

이하 도 2에 도 7a와 도 7b를 더 참조하여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제1 중간연결부재(50)의 구조는 후술될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in FIG. 2. Meanwhile, since the structure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5 to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제2 중간연결부재(55)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shown in FIG. 2, and FIG. 7B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shown in FIG. 2.

도 2에 도 7a 및 도 7b를 더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프레임(56) 및 프레임(56)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59)을 포함한다. Referring further to FIGS. 7A and 7B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includes a frame 56 and a bracket 59 coupled to one end of the frame 56.

프레임(56)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51)의 일 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체결판(57)과 제2 체결판(58)으로 구성되는 브라켓(59)이 결합되고, 브라켓(59)을 매개로 프레임(51)의 일 단부는 제2 상부연결부(40)를 매개로 상부연결부재(1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51)의 일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59)은 제2 상부연결부(40)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도 3b의 32)에 결합된다. The frame 56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rame 51, a bracket 59 consisting of a first fastening plate 57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58 facing each other is coupled, and one of the frame 51 through the bracket 59 Th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via the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40. In more detail, the bracket 59 coupled to one end of the frame 51 is coupled to a protrusion (32 in FIG. 3B) protruding downward of the second upper connection portion 40.

프레임(51)의 타 단부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2 하부브라켓(75)의 돌출부(도 6의 76C)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중간연결부재(55)는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에 연결됨에 따라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 간의 결합강도가 보완될 수 있으며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 간의 연직방향으로의 이격이 유지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rame 51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76C of FIG. 6) of the second lower bracket 75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Accordingly,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diagonally,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10 and 20 may be maintained in a vertical direction.

도 8a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상부브라켓에 의해 상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cesses in which an upper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a second support frame of a second pulley module by a second upper bracket shown in FIGS. 2 and 5.

도 2, 도 5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체결판(46) 및 제2 체결판(47)으로 구성된 제2 상부브라켓(45)을 준비하고, 상부연결부재(10)를 준비한다. 그 이후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가 안착홈(4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46)이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밀착된다. 2, 5, and 8A, a second upper bracket 45 composed of a first fastening plate 46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47 is prepared, and an upper connecting member 10 is prepared. After that,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46H. .

그 이후에, 상부연결부재(10)의 일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에 밀착된 제1 체결판(46)에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제2 지지프레임(3B)을 사이에 두고 제2 체결판(47)이 제1 체결판(46)에 마주하도록 제2 체결판(47)을 배치한다. 그 이후에, 제1 체결판(46), 제2 체결판(47) 및 상부연결부재(10)의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를 죄여 상부연결부재(10)가 제2 상부브라켓(45)을 매개로 제2 지지프레임(3B)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reafter, one end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frame 3B,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late 47 is disposed so that the fastening plate 47 faces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Thereafter, a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46, the second fastening plate 47,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a nut is fastened to the bolt, and the nut is Tighten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via the second upper bracket (45).

도 8b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제2 하부브라켓에 의해 하부연결부재가 제2 활차모듈의 제2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cesses in which a lower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a second support frame of a second pulley module by a second lower bracket shown in FIGS. 2 and 6.

도 2, 도 6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체결판(76) 및 제2 체결판(77)으로 구성된 제2 하부브라켓(75)을 준비하고, 하부연결부재(20)를 준비한다. 그 이후에, 제2 활차모듈(1B)의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가 안착홈(76H)에 수용되도록 제1 체결판(76)이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밀착된다. 2, 6 and 8A, a second lower bracket 75 composed of a first fastening plate 76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77 is prepared, and a lower connecting member 20 is prepared. After that,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76H. .

그 이후에, 하부연결부재(20)의 일 단부를 제2 지지프레임(3B)에 밀착된 제1 체결판(76)에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제2 지지프레임(3B)을 사이에 두고 제2 체결판(77)이 제1 체결판(76)에 마주하도록 제2 체결판(77)을 배치한다. 그 이후에, 제1 체결판(76), 제2 체결판(77) 및 하부연결부재(20)의 각각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를 죄여 하부연결부재(20)가 제2 하부브라켓(75)을 매개로 제2 지지프레임(3B)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After that, 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frame 3B,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3B i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late 77 is disposed so that the fastening plate 77 faces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Thereafter, a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76, the second fastening plate 77,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and a nut is fastened to the bolt, and the nut is Tightening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3B) via the second lower bracket (75).

한편,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상부연결부재(10)의 타 단부는 제1 상부브라켓(3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하부연결부재(20)의 타 단부는 제1 하부브라켓(65)을 매개로 제1 활차모듈(1A)의 제1 지지프레임(3A)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A,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is the first pulley module 1A through the first upper bracket 35. 1 It can be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3A). In additio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B,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3A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through the first lower bracket 65. It can be fixed to the bottom.

그 결과, 제1 활차모듈(1A)의 상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상부는 상부연결부재(10)에 의해 연결되고, 제1 활차모듈(1A)의 하부와 제2 활차모듈(1B)의 하부는 하부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되어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1A,1B) 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ulley module 1B are connected by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pulley module 1A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1B The lower part of) is connected by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so tha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1A and 1B may be maintained.

그 이후에,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중간연결부재(55)를 이용하여 수평방향과 연직방향의 사선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를 연결하고, 제1 중간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제2 중간연결부재(55)의 사선방향에 대해 대칭인 사선방향으로 상부연결부재(10)와 하부연결부재(20)를 연결하여, 활차간격 유지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upper connection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20 are connec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5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and , By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20 in a diagonal direc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by using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0, the pulley clearance is maintained. Assembly of the device 100 can be completed.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You can understand.

10: 상부연결부재 20: 하부연결부재
50: 제1 중간연결부재 55: 제2 중간연결부재
1A: 제1 활차모듈 1B: 제2 활차모듈
3A: 제1 지지프레임 3B: 제2 지지프레임
35: 제1 상부브라켓 45: 제2 상부브라켓
65: 제1 하부브라켓 75: 제2 하부브라켓
30: 제1 상부연결부 40: 제2 상부연결부
60: 제1 하부연결부 70: 제2 하부연결부
10: upper connecting member 20: lower connecting member
50: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55: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A: first pulley module 1B: second pulley module
3A: first support frame 3B: second support frame
35: first upper bracket 45: second upper bracket
65: first lower bracket 75: second lower bracket
30: first upper connection part 40: second upper connection part
60: first lower connection part 70: second lower connection part

Claims (11)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각각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And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Hav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2 중간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재의 사선방향과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extends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on member, and a diagonal line of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A pulley gap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ire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s symmetrical with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브라켓;
상기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브라켓;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브라켓; 및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 first upp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A second upp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 first lower bracke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And
Including a second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Hav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via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Wherein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via the first low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 상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upper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bracket,
A first fastening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fastening plate facing the first fastening plate,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has a bolt fastening hole defin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및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late,
Flat por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and includes a bending portion in which a seating groove having a bent shape is defined,
A pulley clearance maintaining device for temporary wire work,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fram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하부브라켓의 각각은,
제1 체결판; 및
상기 제1 체결판과 마주하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상기 제2 체결판의 각각에는 볼트 체결용 홀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lower bracket and the second lower bracket,
A first fastening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fastening plate facing the first fastening plate,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has a bolt fastening hole defin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은,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연결되어 벤딩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정의된 벤딩부; 및
상기 플랫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플랫부와 평행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활차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late,
Flat portion;
A be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lat portion and defining a seating groove having a bent shape; A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to be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A support frame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 modules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상기 다수의 상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상부연결부; 및
상기 상부연결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And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Have,
The upper connection member,
A plurality of upper frame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upper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two upper frames between two adjacent upper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frames; A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nnection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has a shape that is bent so as to surround adjacent ends of the two upper fram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중간연결부재가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
frame; And
Including a bracket coupled to one end of the frame,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제1 활차모듈의 상부를 상기 제1 활차모듈에 인접한 제2 활차모듈의 상부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
상기 제1 활차모듈의 하부를 상기 제2 활차모듈의 하부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 및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를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제1 중간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제1 활차모듈과 상기 제2 활차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 각각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및
상기 다수의 하부프레임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상부프레임들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들의 서로 인접한 단부들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선 작업용 활차간격 유지장치.
An upp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djacent to the first pulley module;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ulley module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And a first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the lower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ulley module and the second pulley modul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Have,
The lower connecting member,
A plurality of lower frames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es; a lower connection part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lower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lower frames and coupled to the two upper frames;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has a shape that is bent so as to surround adjacent ends of the two lower frames.
KR1020190033020A 2019-03-22 2019-03-22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KR102231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en) 2019-03-22 2019-03-22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en) 2019-03-22 2019-03-22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75A KR20200112475A (en) 2020-10-05
KR102231152B1 true KR102231152B1 (en) 2021-03-24

Family

ID=728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20A KR102231152B1 (en) 2019-03-22 2019-03-22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017A (en) * 1991-11-21 1993-06-11 Toshiba F Ee Syst Eng Kk Aerial line running apparatus
JPH08223725A (en) * 1995-02-07 1996-08-30 Yasuda Seisakusho Co Ltd Metal wheel for stringing without protector
JPH0984232A (en) * 1995-09-13 1997-03-28 Yasuda Seisakusho Co Ltd Metal wheels for protector omitted wire extending
KR20110064512A (en) 2009-12-08 2011-06-15 이병준 Block for overhead transmitting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475A (en)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085B1 (en) Bracket connecting tool of lightning arrester for a power-transmission line
CN114785245A (en) Photovoltaic flexible support and photovoltaic system
KR10234845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heavy equipment from approaching tower
KR102231152B1 (en) Spacing device of stringing travelers
KR101631629B1 (en) Transferring vehicle for solar panel structure and solar pane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CN215498805U (en) Flexible photovoltaic support
CN105113720A (en) Clamp suitable for color steel tile roofing and fixing frame of cable bridge
JP2015037115A (en) Cable suspension aerial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101631645B1 (en) Solar panel structure and fixing method therefor
KR20180134666A (en) Divice for minimizing electric wire tension of bundle wire and method shifting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1024898B1 (en) A fix apparatus using power electric transmission
KR20190046469A (en) Antiseismic supporting frame
RU2099613C1 (en) Shock absorbing device
JP7219443B2 (en) cable support
CN216490305U (en) Flexible photovoltaic support
CN215185730U (en)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device
KR200448211Y1 (en) Device for helping fixing space damper to power line
KR100828565B1 (en) A fixing apparatus of a line building in the air
CN215646660U (en) Flexible photovoltaic support
CN110556744B (en) Novel installation and laying method of rail transit mineral cable
KR200433574Y1 (en) suspend insulator for a power-transmission line
CN207530441U (en) A kind of sister block fixator for cable sliding
KR200487995Y1 (en) Cable tray assembly
JP2009171793A (en) Method of extension of cable rack
KR20230100576A (en) Litz wir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