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766B1 -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 Google Patents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766B1
KR102230766B1 KR1020190030081A KR20190030081A KR102230766B1 KR 102230766 B1 KR102230766 B1 KR 102230766B1 KR 1020190030081 A KR1020190030081 A KR 1020190030081A KR 20190030081 A KR20190030081 A KR 20190030081A KR 102230766 B1 KR102230766 B1 KR 10223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ining
integrated
sports
s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0038A (en
Inventor
이승훈
이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66B1/en
Publication of KR2020011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6Bob-sleig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과 같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훈련 대상자의 체력측정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 훈련 대상자의 모의훈련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 훈련 대상자의 실전훈련을 통해 제3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통합 단계(S200) 및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단계(S300)를 포함하여 진행되고, 통합 데이터 분석 단계를 통해 분석되어 나온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을 통해 상기 훈련 대상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raining support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 sports such as bobsled or skeleton, and a simulation device for sled sports training applied thereto, and 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hysical strength of a training subject. A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for acquiring the first data, processing and managing it, and a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and managing second data through simulated training of the trainee ( S120), the third data acquisition step (S130)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e third data through actual training of the trainee, and integrating the first data, the second data, and the third data to generate integrated data And, it proceeds including a data integration step (S200) for processing and management and a data analysis step (S300) for analyzing integrated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esult data analyzed through the integrated data analysis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subject is improved through feedback based on the feedback.

Description

경기력 향상을 위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모의 장치{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Integrated support method and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to improve performanc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본 발명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과 같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ding spo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ning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 sports such as a bobsled or skeleton, and a simulation device for training sledding sports applied thereto. will be.

봅슬레이 종목은 1884년에 공식 경기가 시작되어 13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924년에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스켈레톤 종목은 봅슬레이와 스라이딩 트랙을 공유하여 사용하며 1884년에 공식 경기가 시작되어 1928년에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가 제외되고 54년 만인 2002년에야 공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대한민국은 2009년 봅슬레이 팀이 국제 경기에 참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스켈레톤은 2002년 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하였다. 선진국에 비해 매우 짧은 경기 역사에도 불구하고 자국에서 개최된 평창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은 두 종목 공히 메달을 획득하여 그 잠재력을 입증하였다. 이는 타 종목 대비 매우 빠른 성장으로서 지속적인 경기력 향상이 기대되는 유망한 종목이다. 다만 경기 특성 상 슬라이딩 트랙이 필수적이어서 동계에만 가능하며 운영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전 세계적으로 국제 경기가 가능한 트랙은 16여개 정도이며 그나마 동계 시즌에 운영을 하는 트랙은 10여개 이하이다. 이러한 이유로 트랙 운영상 각국의 훈련인원 및 슬라이딩 훈련 회수를 제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경기장은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고지대 환경 적응을 위한 기간도 필요하여 여러 면에서 전지훈련 비용이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현 수준을 유지 및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The bobsled sport was officially started in 1884 and has a history of over 130 years and was adopted as an Olympic sport in 1924. Skeleton sports shared a bobsled and sliding track, and the official race started in 1884 and was adopted as an Olympic event in 1928, but was not adopted as an official event in 2002, 54 years later. In Korea, the bobsled team began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in 2009, and the skeleton began to participate in the 2002 Olympics. Despite a very short history of competition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the ROK won medals in both events at the PyeongChang Olympics held in their country, proving its potential. This is a very rapid growth compared to other stocks, and is a promising stock that is expected to continuously improve its economic performanc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game, a sliding track is essential, so it is possible only in winter, and it is expensive to operate, so there are about 16 tracks available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s around the world, and less than 10 tracks are operated during the winter season.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trainees and the number of sliding training in each country is limited in track oper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stadiums are located at high altitudes, so there is a need for a period for adapting to the high altitude environment, which in many ways places a great burden on the cost of field training. For this reason, there is a limit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level.

한편, 그간 주로 선진국의 노하우를 일방적으로 흡수하여 경기력을 성장시켜 왔으나 상위권에서는 경기력 유지와 체계적인 향상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부재, 객관적인 데이터 부족, 데이터의 생산과 축적 시스템의 미비, 코칭을 위한 요인 분석 시스템의 미비 등의 이유로, 현재 간헐적이고 제한적인 측정 데이터로 코칭 스텝의 직관적인 추론에 의한 강화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동작 분석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 않는 등 경기력 향상 코칭에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unilaterally absorbing the know-how of advanced countries to grow its competitive power, but in the upper-tiers, it can be said that maintaining the competitive power and systematic improvement are more important factors. However, due to the lack of a systematic big data collection system, a lack of objective data, a lack of data production and storage systems, a lack of a factor analysis system for coaching, etc., it is currently intermittent and limited by the intuitive reasoning of the coaching staff. There is a limit to coaching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such as reinforcement training and systematic motion analysis techniques are not applied.

덧붙여, 봅슬레이와 스켈레톤은 올림픽 기간 동안에만 이슈화되는 비인기 종목으로, 선수층이 매우 빈약하여 인재 발굴 및 꿈나무 육성의 활성화, 생활체육화를 위한 체계 마련을 위한 새로운 기술적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국제 경기 수준에서 봅슬레이는 시속 150km, 스켈레톤은 시속 130km를 넘나드는 속도로 진행되어 부상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스포츠이다. 이로 인해 초중급 단계의 유망주뿐 아니라 국가대표급 선수에게 있어도 연습 중 부상의 위험 줄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bobsled and skeletons are unpopular events that only become an issue during the Olympics, and the athletes are very poor, so new technical measures are needed to find talents, revitalize dream tree cultivation, and prepare a system for life sports. In particular,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bobsled speed exceeds 150 km/h and the skeleton speed exceeds 130 km/h, making it a very high risk of injury.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risk of injuries during practice, not only for prospective players at the beginner-intermediate level, but also for national playe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5137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65137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전 세계 존재하는 16개 경기장의 환경 재현 및 고지대 인공 환경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전지훈련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하계절에도 훈련이 가능하며, 또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수별 체계적인 특화 훈련 및 코칭이 가능하고, 나아가 보급화를 통해 인재 발굴 및 꿈나무 육성의 활성화, 생활체육화가 가능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production of the environment of 16 stadiums around the world and the realization of an artificial high-altitude environment, so that not only does not need field training, but also training in the summer season is possib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atic specialized training and coaching for each player is possible through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e system, and furthermore, through dissemination, an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that enables the discovery of talents and revitalization of dream trees, and sports for living, and sledding sports training applied thereto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imulator for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훈련 대상자의 체력측정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 훈련 대상자의 모의훈련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 훈련 대상자의 실전훈련을 통해 제3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통합 단계(S200) 및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단계(S300)를 포함하여 진행되고, 통합 데이터 분석 단계를 통해 분석되어 나온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을 통해 상기 훈련 대상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cquires first data through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of a training subject, and a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for processing and managing it, a training subject 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20)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e second data through mock training of the trainee, and third data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and managing the third data through actual training of the trainee Acquisition step (S130), to generate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the first data, second data and third data, and to process and manage the data integration step (S200)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the data analysis step (S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subject is improved through feedback based on the result data analyzed through the integrated data analysis step.

본 발명은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과 같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는 전 세계 존재하는 약 16개 경기장의 환경 재현 및 저압, 저산소 분위기의 고지대 환경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전지훈련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하계절에도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ding sports such as bobsled or skeleton, and the simulation apparatus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producing the environment of about 16 stadiums existing around the world and realizing a high altitude environment of low pressure and low oxygen atmosphere.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field training, and training is also possible in summer.

이러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를 적용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센서, 카메라 등의 측정 장치를 통해 취득한 센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통합한 복합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분석되어 나온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수별 체계적인 특화 훈련 및 코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급화를 통해 인재 발굴 및 꿈나무 육성의 활성화와 생활 체육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is applied, analyz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lex big data in which sensing data and image data acquired through measuring devices such as sensors and cameras are integra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data, systematic specialized training and coaching for each player is possibl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over talents, revitalize dream tree cultivation, and make life spo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industry.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언급하는 훈련 대상자(P)는 국가대표, 선수 또는 꿈나무를 포함하며, 썰매 스포츠 훈련 또는 체험을 받는 사람이면 어느 누구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The training target (P) referred t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s national representatives, athletes, or dream trees, and anyone who receives sled sports training or experience may be included therein.

본 발명은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과 같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모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 sports such as bobsled or skeleton, and a simulation apparatus appli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 데이터 통합 단계(S200), 데이터 분석 단계(S30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1, 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a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20), a third data acquisition step (S130), and a data integration step. It proceeds including (S200) and data analysis step (S300).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는 훈련 대상자(P)의 체력 측정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훈련 대상자(P)의 체력 및 퍼포먼스를 실제로 측정함으로써 제1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The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is a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e first data through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of the training subject P. In this step, physical strength and performance of the training subject P are actually measured. Thus, the first data can be obtained.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는 훈련 대상자(P)의 모의훈련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임의의 가상현실 구현이 가능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400)를 통한 모의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제2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400)에 대해서는 차후 자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20) is a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second data through simulated training of the training subject P. In this step, a simulation for sled sports training capable of implementing arbitrary virtual reality The second data may be acquired by performing simulation training through the device 400. The simulation device 400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는 훈련 대상자(P)의 실전훈련을 통해 제3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제2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취득하되, 모의훈련이 아닌 평창 경기장과 같은 실제 경기장에서 진행되는 실전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제3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모의훈련과 실전훈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The third data acquisition step (S130) is a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ird data through actual training of the training target P. In this step, data of the same type as the second data are acquired, Third data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practical training in real stadiums such as Pyeongchang Stadium, not simulation training.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cond data and the third data,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training and the actual training.

앞서 설명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rst data, second data, and third data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는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 등 썰매 스포츠의 종목에 따라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역학적, 심리학적, 근력학적(체력적) 및 생리학적 데이터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ata, the second data, and the third data may include all of the kinematic, psychological, muscular (physical) and physiological data affecting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ort of sledding such as bobsled or skeleton.

운동역학적 데이터에는, 스타트 구간에서 중요한 순발력, 하지역학적 파워, 스타트 지면 반발력, 스타트 자세 및 반응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 달리기 구간에서 중요한 스프린트 시간, 발과 지면과의 압력 변화, 푸쉬 시간, 탑승 시간, 무게중심 위치 변화, 속도, 가속도, 스프린트와 푸쉬 신체 자세, 손잡이 악력, 발현 동시성 및 러닝 파라미터 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 브레이크맨의 탑승 완료 시점에서 중요한 무게중심 궤적 및 손잡이 악력 등에 대한 데이터, 주행 구간에서 중요한 무게중심 이동 일관성, 터닝 타임, 속도, 파일럿의 조종술, 무게중심 궤적, 진동량 및 충격량 등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피니쉬 시점에서 중요한 기록 등에 대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The kinematic data includes data on the critical instantaneous power, subregional power, starting ground repulsion, starting posture and reaction time in the start section, important sprint time in the running section, pressure change between the feet and the ground, push time, ride time, and weight. Data on center position change, speed, acceleration, sprint and push body posture, grip strength, expression synchronicity and running parameter time, data on the center of gravity trajectory and grip strength, which are important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breakman ride, and important weight in the driving section One or more of data on coherence of center movement, turning time, speed, pilot's maneuvering, center of gravity trajectory, amount of vibration and amount of impact, and data on important records at the time of finish may be included.

심리학적 데이터에는, 출발 전에 중요한 호흡 조절 능력 및 호흡법 등에 대한 데이터, 출발 후 전 구간에서 중용한 파일럿의 조종술, 뉴로 피드백 트레이닝, 이미지 트레이닝, 명상 및 호흡법 등에 대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Psychological data may include one or more of data on important breathing control ability and breathing method before departure, pilot's control in all sections after departure, neurofeedback training, image training, meditation and breathing method, and the like.

근력학적(체력적) 데이터에는, 스타트, 탑승, 달리기 구간을 포함하는 동적 구간에서 중요한 상하지 근력, 최대 근력 도달 비율(최대힘/도달시간), EMG(Electromyography), TMG(Tensiomyography), Biodex & Cybex Isokinetic dynamomter, 근반응 속도 및 근파워 등에 대한 데이터, 정적 구간에서 중요한 근 강승(스티프니스), 체성분, 근육량, 체지방량, BMI(Body mass index), 근피로 등에 대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Muscular (physical) data include upper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the ratio of reaching maximum strength (maximum force/reach time), EMG (Electromyography), TMG (Tensiomyography), Biodex & Cybex One or more of data on isokinetic dynamomter, muscle response rate and muscle power, data on muscle strength (stiffness), body composition, muscle mass, body fat mass, BMI (Body mass index), muscle fatigue, etc. that are important in the static section may be included.

생리학적 데이터에는, 전 구간에서 중요한 심박수, 혈중산소 포화도, 혈류속도, 에너지 소모량, 근활성도 및 뇌파 등에 대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The physiological data may include one or more of data on hear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blood flow rate, energy expenditure, muscle activity, brain waves, etc. that are important in all sections.

한편, 이외에도 제2 데이터는 모의훈련 시의 모의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3 데이터는 실전훈련 시의 실전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에는 대기의 압력, 산소 함량 등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he second data may further include data on the simulation environment during the simulation training, and likewise, the third data may further include data on the actual environment during the actual training. Data on pressure, oxygen content, etc. may be included.

또한, 제2 데이터는 모의훈련 시 사용되는 썰매 시뮬레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3 데이터는 실전훈련 시 사용되는 실제 썰매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에는 경기력 향상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러너(썰매날)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러너와 얼음과의 마찰 계수, 러너와 얼음과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러너 표면 마감 등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러너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외 기술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 러너에 대한 독자적 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ata may further include data on the sled simulator used during simulation training, and likewise, the third data may further include data on the actual sled used during actual training. Data on runners (sledge blades), which act as a key factor in improving performance, may include data o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runner and ice, and the finish of the runner surface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runner and ice. have.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rough data analysis on runners, it is possible to secure independent technology for runners,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foreign technology.

한편, 이와 같은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types of the first data, the second data, and the third data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ypes of data are possible.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는 데이터들의 종류에 따라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측정 장치를 통해 각각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 및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에서 취득될 수 있다.The first data, second data, and third data described so far are each of the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20), and the third data through various known measuring de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It can be acquired in the acquisition step (S130).

특히, 훈련 대상자(P)의 모의훈련과 실전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측정되는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센서(S)와 같은 센싱 데이터 측정 장치 또는 카메라(C) 등의 영상 데이터 측정 장치를 통해 취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S)로는 각종 웨어러블센서, 바이오센서, 힘센서, 압력센서 및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data measured by performing simulated training and practical training of the training target (P), sensing data measuring devices such as various types of sensors (S) or image data such as cameras (C) It is preferably obtained through a measuring device. As the sensor S, various wearable sensors, biosensors, force sensors, pressure sensor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s can be used.

데이터 통합 단계(S200)는 도 1과 같이, 제1 데이터 취득 단계(S110)를 통해 취득된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취득 단계(S120)를 통해 취득된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 취득 단계(S130)를 통해 취득된 제3 데이터를 통합하여 라벨링 및 검색과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도록 빅데이터화하고, 이렇게 생성된 통합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단계이다.In the data integration step S200, as shown in FIG. 1, the first data acquired through the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10, the second data acquired through 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20, and the third data acquisition step ( This is a step for integrating the third data acquired through (S130) into big data to enable labeling, search, and data extraction, and to process and manage the generated integrated data.

데이터 분석 단계(S300)는 도 1과 같이, 데이터 통합 단계(S200)를 통해 통합된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기술을 기반으로 한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인공지능(AI)기술은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포함하는 기술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인공지능기술이 적용 가능하다.The data analysis step (S300) is a step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integrated through the data integration step (S200), as shown in FIG. 1, and in this step, an analysis softwa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us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data on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preferably a technology includ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 and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n addition to a variety of know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applied.

나아가 데이터 분석 단계(S300)에서는 분석되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 대상자(P)별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최적화된 훈련 전술 및 전략 등의 코칭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이를 적용한 피드백을 통해 훈련 대상자(P)의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in the data analysis step (S300),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oaching program such as optimized training tactics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performance for each training target (P)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P) will be able to improve his performance.

실예로, 경기력 경정요인 분석을 위한 세부 요소 도출, 훈련 대상자(P)의 신체 조성 현황 및 관리 방안 도출, 경기력 결정요인 비교 연계, 도출된 요소의 데이터 표준화 분류 체계 구성, 결정 요인 유효성 평가 및 검증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derivation of detailed elements for the analysis of factors for competing performance, derivation of the status of body composition and management plan of the training target (P), comparison and linkage of factors determining competition performance, composition of the data standardiz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derived factors,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eterminants, etc. You can do the job.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의 제2 데이터 취득 단계 즉, 모의훈련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of 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described so far, that is, the simulation apparatus 400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simulation trai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켈레톤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봅슬레이 훈련용 모의 장치의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skeleton trainin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a schematic diagram of a simulation device for training bobsled.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400)는 챔버(410), 발판 시뮬레이터(420), 썰매 시뮬레이터(430), 가상현실 구현부, 데이터 취득부(450) 및 모니터링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imulation apparatus 400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410, a footboard simulator 420, a sled simulator 430,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and a data acquisition unit 450. ) And a monitoring unit 460.

챔버(410)는 도 2,3과 같이, 한명 이상의 훈련 대상자(P)의 출입이 가능하며, 압력 펌프 등의 압력조절장치(411)와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 압력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산소 등의 기체 함량 제어 역시 가능함으로써, 저압, 저산소 분위기의 고지대 환경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hamber 410 allows entry and exit of one or more trainees P, and is connected to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411 such as a pressure pump to control internal air pressure, and oxygen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a high altitude environment in a low pressure, low oxygen atmosphere by enabling control of the gas content such as, etc.

발판 시뮬레이터(420)는 도 2,3과 같이, 챔버(4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훈련 대상자(P)의 걷기, 달리기 등의 움직임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는 트레드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 시뮬레이터(420)는 도 2,3과 같이 훈련 대상자(P) 한명 당 하나씩 제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ffold simulator 420 is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chamber 41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eadmill that receives power by movement of the training subject P, such as walking or run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ffold simulator 420 is installed so as to be provided one per training target (P) as shown in FIGS. 2 and 3.

썰매 시뮬레이터(430)는 도 2,3과 같이, 챔버(4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훈련 대상자(P)가 발판 시뮬레이터(420) 위에서 달리다가 이에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 및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실전훈련과의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썰매와 최대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썰매 시뮬레이터는 스켈레톤 모의훈련을 위한 것이며, 도 3은 봅슬레이 모의훈련을 위한 것이다.The sled simulator 430 is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chamber 41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may be formed and positioned so that the training subject P can run on the scaffold simulator 420 and board it.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imilarity with the actual training,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actual sled as much as possible. The sled simulator of FIG. 2 is for skeleton simulation training, and FIG. 3 is for bobsled simulation training.

가상현실 구현부는 훈련 대상자(P)가 모의훈련을 수행할 때, 임의의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전 세계 존재하는 약 16개 경기장의 환경과 동일하게 3D 모델 구현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구현부는 영상 제공부(440)와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unit is to implement this so that the training target (P) can experience random virtual reality when performing simulation training,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3D model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environment of about 16 stadiums around the world. Do. 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may include an image providing unit 440 and a motion control unit.

영상 제공부(440)는 도 2,3과 같이, 훈련 대상자(P)가 착용하는 헬멧에 장착될 수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어 등의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형성되며, 파노라마 비디오 기반의 가상현실 컨텐츠 통해 훈련 대상자(P)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훈련 대상자(P)가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mage providing unit 4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such as a Virtual Reality (VR) gear that can be mounted on a helmet worn by the training subject P, and is based on a panoramic video. This is to provide an image to the training target (P) through virtual reality content, and through this, the training target (P)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모션 제어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영상 제공부(440)와 연동되어 훈련 대상자(P)가 영상으로 체험하고 있는 경기장의 조건에 맞춰 훈련 대상자(P) 및 썰매 시뮬레이터(430)에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훈련 대상자(P)의 신체 또는 신체 일부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 트랙의 표면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변화 효과를 반응형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the motion control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terlocked with the image providing unit 440 to provide vibration to the training subject P and the sled simulator 430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tadium that the training subject P is experiencing as an image. For this purpose, vib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body or part of the body of the training subject P, and through this, a sliding change effect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sliding track can be implemented in a responsive manner.

또한, 모션 제어부는 썰매 시뮬레이터(430)의 모션을 6-자유도 모션 플랫폼 기술 등을 통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으로써, 실감성, 운동공간 구현, 반응성, 사실적 몰입감 등을 극대화한 인터랙티브 컨텐츠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tion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ion of the sled simulator 430 through 6-degree of freedom motion platform technology, etc., it is possible to implement interactive content that maximizes sensibility, realization of exercise space, responsiveness, and realistic immersion. You can do it.

그러므로 이와 같은 가상현실 구현부를 통해 시간, 공간, 계절, 날씨 등에 따른 제약 없이 훈련이 가능한 첨단 리빙랩 구축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build a cutting-edge living lab that enables training without restrictions according to time, space, season, weather, etc. through such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데이터 취득부(450)는 제2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 도 2,3과 같이, 훈련 대상자(P), 발판 시뮬레이터(420) 및 썰매 시뮬레이터(430)에 각각 직간접적으로 부착되는 복수 개의 센서(S)와 챔버(41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카메라(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S)에는 웨어러블센서, 바이오센서, 힘센서, 압력센서 및 관성측정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450 is for acquiring the second data in real time,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a plurality of data are directly or indirectly attached to the training target (P), the scaffold simulator 420, and the sled simulator 430,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sensors (S) and a camera (C)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chamber 410. The plurality of sensors S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wearable sensor, a biosensor, a force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이를 통해 제2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는 훈련 대상자(P)의 속도, 자세, 심박수, 뇌파 등 운동역학적, 심리학적, 근력학적 및 생리학적 데이터, 발판 시뮬레이터(420)의 속도, 자세, 훈련 대상자(P)에 의해 발판 시뮬레이터(420)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데이터 및 썰매 시뮬레이터(430)의 속도, 자세, 훈련 대상자(P)에 의해 썰매 시뮬레이터(430)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러너(썰매날)에 대한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제2 데이터로서 취득할 수 있다.Through this, kinematic, psychological, muscular and physiological data such as speed, posture, heart rate, EEG, etc. of the training subject (P)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cond data, the speed of the footstool simulator 420, posture, and training subject (P ), along with data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caffolding simulator 420 and the speed, posture, and pressure applied to the sled simulator 430 by the training subject (P) of the sled simulator 430 and the runner (sled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data for day), can be acquired as second data.

모니터링부(460)는 데이터 취득부(450)를 통해 취득된 제2 데이터를 도 2,3과 같이, 게이트웨이(G)를 통해 전달받아 이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챔버(410)의 내부 공기 압력 및 산소 함량 제어, 발판 시뮬레이터(420), 썰매 시뮬레이터(430), 가상현실 구현부 및 데이터 취득부(450)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감독, 코치 등의 관리자의 지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460 is for receiving, monitoring and storing the second data acquir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450 through the gateway G, as shown in FIGS. 2 and 3. Air pressure and oxygen content control, scaffolding simulator 420, sled simulator 430, can also play the role of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irtual reality realization unit and data acquisition unit 450, and instructions from managers such as supervisors and coaches Can be operated by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과 같은 썰매 스포츠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는 전 세계 존재하는 약 16개 경기장의 환경 재현 및 저압, 저산소 분위기의 고지대 환경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전지훈련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하계절에도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i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ed sports such as bobsled or skeleton, and the simulation device for sled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produces the environment of about 16 stadiums existing around the world and realizes a high altitude environment of low pressure and low oxygen atmosphere By making this possible, not only does not need field training, but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raining is possible in summer.

이러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를 적용한 본 발명의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복합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분석되어 나온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수별 체계적인 특화 훈련 및 코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급화를 통해 인재 발굴 및 꿈나무 육성의 활성화와 생활 체육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such a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nalyzes complex big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ables systematic specialized training and coaching for each player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data. There i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over talents, revitalize dream tree cultivation, and make life sports.

본 발명인 경기력 향상을 위한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및 모의 장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integrated support method and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that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it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this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parts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110 : 제1 데이터 취득 단계
S120 : 제2 데이터 취득 단계
S130 : 제3 데이터 취득 단계
S200 : 데이터 통합 단계
S300 : 데이터 분석 단계
400 :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
410 : 챔버
411 : 압력조절장치
420 : 발판 시뮬레이터
430 : 썰매 시뮬레이터
440 : 영상 제공부
450 : 데이터 취득부
460 : 모니터링부
P : 훈련 대상자
S : 센서
C : 카메라
G : 게이트웨이
S110: First data acquisition step
S120: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S130: third data acquisition step
S200: data integration phase
S300: data analysis stage
400: Sled sports training simulator
410: chamber
411: pressure control device
420: scaffolding simulator
430: sled simulator
440: video provider
450: data acquisition unit
460: monitoring unit
P: Trainee
S: sensor
C: camera
G: gateway

Claims (6)

훈련 대상자의 체력측정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훈련 대상자의 모의훈련을 통해 제2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훈련 대상자의 실전훈련을 통해 제3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제3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통합 단계; 및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상기 통합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고,
상기 통합 데이터의 분석 단계를 통해 분석되어 나온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을 통해 상기 훈련 대상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제2 데이터 취득 단계에 적용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모의 장치는
상기 훈련 대상자의 출입이 가능하며, 내부 공기 압력 및 산소 함량 제어가 가능한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발판 시뮬레이터;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썰매 시뮬레이터;
상기 훈련 대상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현실 구현부;
상기 제2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기 위한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데이터 취득부를 통해 취득한 제2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A first data acquisition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e first data through physical fitness of the training subject;
A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second data through simulated training of the training subject;
A third data acquisition step for acquiring, processing and managing third data through actual training of the training subject;
A data integration step for generating integrated data by integrating the first data, the second data, and the third data, and processing and managing the same; And
It proceeds including a data analysis step for analyzing the integrated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raining subject through feedback based on the result data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step of the integrated data,
The simulation device for sledding sports training applied to the second data acquisition step
A chamber capable of accessing and entering the training subject and controlling internal air pressure and oxygen content;
A scaffold simulator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A sled simulator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for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so that the training subject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A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second data in real time; And
And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second data acquired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은,
봅슬레이 또는 스켈레톤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썰매 스포츠 훈련용 통합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d sports training,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sleigh sports trai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ted support method for bobsled or skeleton trai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0081A 2019-03-15 2019-03-15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KR102230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81A KR102230766B1 (en) 2019-03-15 2019-03-15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081A KR102230766B1 (en) 2019-03-15 2019-03-15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38A KR20200110038A (en) 2020-09-23
KR102230766B1 true KR102230766B1 (en) 2021-03-22

Family

ID=7270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81A KR102230766B1 (en) 2019-03-15 2019-03-15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7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528B1 (en) * 2021-08-11 2024-02-2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Method and service platfor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967B1 (en) * 2015-10-28 2017-09-26 전자부품연구원 Ski jump simulator and server for controlling
KR101865282B1 (en) * 2017-08-11 2018-06-07 (주)인테크 디자인 Virtual Reality Skeleton Simulator Motion Control Device and Integrate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24B1 (en) * 2012-01-27 2013-10-23 주식회사 넷블루 Integr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d integr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1349033B1 (en) * 2012-03-02 2014-01-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keleton simu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KR101865137B1 (en) 2017-06-05 2018-06-05 진동열 Bobsleigh for pract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967B1 (en) * 2015-10-28 2017-09-26 전자부품연구원 Ski jump simulator and server for controlling
KR101865282B1 (en) * 2017-08-11 2018-06-07 (주)인테크 디자인 Virtual Reality Skeleton Simulator Motion Control Device and Integrate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038A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omilla et al. Trends supporting the in-field use of wearable inertial sensors for sport performance evaluation: A systematic review
Ladha et al. ClimbAX: skill assessment for climbing enthusiasts
Araújo et al. Emergence of sport skills under constraints
US78873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and training using cognitive simulation
CN10514419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athletic maneuvers
Cintia et al. " Engine Matters": A First Large Scale Data Driven Study on Cyclists' Performance
JP6795182B2 (en) Exercise advisor system
CN108230807B (en) Somatosensory type motion simulation system
KR102230766B1 (en)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led sports player
Vaughan Computer simulation of human motion in sports biomechanics
Epov et al. Application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of feedback in impact martial arts on the example of taekwondo WTF
Seeberg et al. Physiological and biomechanical responses to cross-country skiing in varying terrain: low-vs. high-intensity
Goosey-Tolfrey et al. The role of the velocometer as an innovative tool for Paralympic coaches to understand wheelchair sporting training and interventions to help optimise performance
KR102382224B1 (en)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Žák et al. Dynamic rifle stability is not influenced by exercise intensity in young biathletes
Sinclair et al. Using a virtual body to aid in exergaming system development
KR102637528B1 (en) Method and service platfor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RU2514603C2 (en) Device for training leg muscles and coordination of movements in children, with elements of intellectual games
CZ297782B6 (en) Method of monitoring and evaluating physical activity and device for making the same
Faruk et al. Identification of Running, Jogging and Walking Activities for Female Athletes Indoor Hockey in 2016 PON Matches
Barelle Sport aerodynamics: on the relevance of aerodynamic force modelling versus wind tunnel testing
Zheng [Retracted] Load Prediction Model of Athletes’ Physical Training Competition Based on Nonlinear Algorithm Combined with Ultrasound
Wang The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mountain bike simulator to help injured mountain riders reduce the fear of re-injury while cornering
Frias Philosophy of Sport and Phenomenology
Ma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Pitch Fatigue Detection System for Adaptive Baseball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