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707B1 - Swim Fin - Google Patents

Swim F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707B1
KR102230707B1 KR1020200139002A KR20200139002A KR102230707B1 KR 102230707 B1 KR102230707 B1 KR 102230707B1 KR 1020200139002 A KR1020200139002 A KR 1020200139002A KR 20200139002 A KR20200139002 A KR 20200139002A KR 102230707 B1 KR102230707 B1 KR 10223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flippers
body portion
sho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국
Original Assignee
조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국 filed Critical 조국
Priority to KR102020013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07B1/en
Priority to PCT/KR2020/014644 priority patent/WO202209232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0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 A63B31/11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or feet attachable only to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lippers for water leisure, which can obtain a strong driving force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he reverse driving force when a user swims and are convenient to wear and use. The flippers for water lei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body part which has an arch shape with a ′U′-shaped opening and has a rear end connected to a rear end of a shoe to enable relative rotation to be worn with a downward slope from a front side of the shin to the rear end of the shoe, so a front part of the open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s shin and a rea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a heel portion or the rear end of the shoe when rotat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to b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hoe when rotated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a binding part which releasably binds the body part to the leg when the body part is rotat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in.

Description

수중 레저용 오리발{Swim Fin}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Swim Fin}

본 발명은 신발에 부착할 수 있는 오리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쿠아슈즈, 샌들 등의 신발류에 부착하여 보행이 편리하면서도 수중에서는 우수한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발과 사용자의 다리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lippers that can be attached to shoes, and more particularly, by attaching to footwear such as aqua shoes and sandals, it is convenient to walk, while excellent propulsion can be secured underwater. It relates to a detachable underwater leisure flippers.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스노클링, 스킨스쿠버 등과 같은 수중 레저 활동들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물속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오리발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underwater leisure activities such as snorkeling and skin scuba have increased, and accordingly, flippers that can gain momentum in the water have been widely used.

오리발은 스노클링, 스킨스쿠버와 같은 해양 레저 활동이나 수영 시발에 착용하는 장비로서, 사용자가 다리와 발을 이용해서 오리발을 저어 추진력을 얻는 도구이다.Flippers are equipment worn during swimming or marine leisure activities such as snorkeling and skin scuba, and are tools that users use their legs and feet to stir the flippers to gain propulsion.

일반적인 오리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끼워서 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발 형태로 생긴 신발부(2)와, 그 신발부(2)에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발끝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태인 핀부(1)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eneral flipper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hoe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oot and fix it on the body, and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shoe part 2 and extend in the toe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pin (1) in the form of a flat plate.

이러한 오리발은 사용자가 발에 오리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물속에서 오리발을 저으면 평판 형태의 핀부(1)가 물에 의해 항력과 양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추진력을 얻어서 사용자가 물속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In such flippers, when the user stirs the flippers in the water while wearing the flippers on the foot, the flat-shaped pin unit 1 receives drag and lift by the water, and accordingly obtains the propulsion force, the user can move forward in the water. .

그런데 오리발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물에 의해 항력을 받을 수 있는 설정 넓이 이상의 평판 형태의 핀부(1)가 있어야 하고, 평판 형태의 핀부(1)는 사용자가 착용시 바닥에 넓게 위치하므로 오리발을 착용하고 걷는 것이 불편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for the flippers to gain propulsion, there must be a flat pin part 1 that is larger than the set width to receive drag by water, and the flat pin part 1 is widely located on the floor when the user wears it, so wear flippers. Walking becomes uncomfortable.

특히 계곡이나 갯바위 등에서 물놀이 시 오리발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보행이 어려우며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playing in the water in a valley or on a seashore, it was difficult to walk with flippers attached, and there was a risk of fall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7892호에는 사용자의 정강이 전면에 착용할 수 있으며, 아쿠아슈즈나 샌들 등의 신발류에 결합이 가능하게 하여 바닷가나 계곡에서 용이하게 보행 가능하고 물속에서는 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오리발 겸용 신발이 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07892 states that the user's shin can be worn on the front, and can be combined with footwear such as aqua shoes or sandals, so that it can be easily walked on the beach or valley, and can act as a pin in the water. Shoes for both flippers are presented.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오리발 겸용 신발(10)은 사용자가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오리발을 착용하고 수영을 할 때 핀부()에 수직 방향으로 반력이 가해지게 되어 역추진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dual-purpose shoe 10 is applied to the pin part ()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ser wears flippers on the shin part of the leg and swims, thereby generating a reverse thrust force.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7892호(2019.07.31.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07892 (Registered July 31, 20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2290호(2018.05.23.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62290 (registered on May 23, 20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2248호(2004.02.06.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342248 (registered on Feb. 6, 200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영을 할 때 역추진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착용 및 사용이 편리한 수중 레저용 오리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ng propulsion force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reverse propulsion when swimming, and to provid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that are convenient to wear and use. will b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은, 'U'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후단부가 신발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개구부의 전방부가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 전방면에 밀착되고 후방부가 발뒤꿈치 부분 또는 신발의 후단부에 밀착되도록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의 후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착용되고,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하측으로 회전했을 때 신발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회전하여 정강이 부분에 밀착되었을 때 몸체부를 다리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ve an arch shape in which an opening in a'U' shape is formed,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When rotat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of the shoe,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user's shin, and the rear portion is lowered from the front of the shin to the rear end of the shoe so that the rea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r the rear end of the shoe. A body portion that is worn obliquely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when it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a binding unit for releasably bind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when the body portion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nk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은, 'U'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전방부가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 전방면에 밀착되고 후방부가 발뒤꿈치 부분 또는 신발의 후단부에 밀착되도록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의 후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다리에 착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다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몸체부를 다리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rch shape in which a'U'-shaped opening is formed,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s shin, and the rear portion is the heel portion or A body portion worn on the leg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hin portion tow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And a binding unit for releasably bind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while the body portion is worn on the leg.

상기 몸체부는 개구부의 내주연부에서부터 몸체부의 외주연부로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curved from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to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의 양측 후방에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되어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물갈퀴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webbed portion tha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expands by the pressure of water may be formed.

상기 물갈퀴부는 폭방향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webbed portion may have a corrugated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몸체부의 양측 후방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커지는 반원추형으로 된 추진보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 propulsion auxiliary portion of a semi-conical shape may be formed that increases in wid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슬릿을 통과한 후 사용자의 다리를 감도록 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and configured to wind a user's leg after passing through a band slit formed in a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clamping member separably coupling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슬릿을 통과하여 지지되는 신축성 소재로 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감도록 된 고정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a band slit formed in a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wrap a user's leg.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는 신발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하면서 몸체부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커플링부재에 의해 신발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by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상기 커플링부재는 신발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한 후 몸체부의 전방부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결속되면서 몸체부를 다리에 고정하는 결속유닛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may also function as a binding unit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while being bound to the user's leg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본 발명에 따르면, 아치 형태의 몸체부가 사용자의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므로, 수영을 할 때 물이 몸체부의 경사진 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유도되어 역추진력이 최소화되고,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ch-shaped body portion is mounted in a downward slop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hin portion of the user's leg, when swimming, water is naturally guided back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reby minimizing reverse propulsion, Strong momentum can be obtained.

또한 오리발의 몸체부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자의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착용하거나 신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오리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더라도 오리발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body of the flippers can be rotated as needed to be worn on the shin of the user's leg or worn on shoes, and even if walking while wearing the flippers, the flippers do not interfere with walking.

도 1은 일반적인 오리발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오리발 겸용 신발에서 발생하는 역추진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사용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사용 상태에서의 오리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사용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수중 레저용 오리발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사용 상태에서의 오리발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general flipper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of reverse propulsi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dual-purpose shoe with flippers.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underwater leisure flippers shown in Figure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flippers in the use state shown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underwater leisure flippers shown in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shown in FIG. 3.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underwater leisure flippers shown in FIG. 10.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flippers in the use state shown in Fig. 11;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imensions of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to underst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레저용 오리발(100)은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과 신발에 착용되어 수영할 때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를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에 대해 결속하는 결속유닛(120)을 포함한다. 3 to 6, the underwater leisure flipper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on the user's shin and shoes to generate propulsion when swimming, and the body It includes a binding unit 120 for binding the unit 110 to the shin portion of the user.

몸체부(110)는 대략 'U'형태의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후단부가 커플링부재(130)를 매개로 신발(200)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몸체부(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 부분이 통과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 has an arch shape in which an approximately'U'-shaped opening 111 is formed,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oupling member 130 do. The ankle portion of the user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몸체부(11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U'형의 아치 형태를 가지며, 개구부(111)의 내주연부에서부터 몸체부(110)의 외주연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의 후단부는 커플링부재(130)에 의해 신발(200)의 후단부 상단에 연결되어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의 상측으로 회전했을 때 몸체부(110)는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200)의 후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착용된다. 이 때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는 사용자의 정강이에서 발 뒤꿈치로 하향 경사지면서 밀착된다. The body portion 110 has an overall'U'-shaped arch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has a curved surface curve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towar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110.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by a coupling member 130 to rotate up and down around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s shown in FIG. 3, when the body portion 110 rotates upwardly, the body portion 110 is worn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hin portion tow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200. At this time,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hile inclining downward from the user's shin to the heel.

이와 같이 몸체부(110)가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발뒤꿈치 부분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착용됨으로써 수영을 할 때 역추진력이 억제되고,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가 사용자의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면, 발로 물을 찰 때 물이 몸체부(110)의 경사진 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유도되어 역추진력이 최소화되고,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body portion 110 is worn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heel por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hin portion, so that the reverse propulsion force is suppressed when swimming, and a strong propulsion force can be obtained.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mounted inclined to the rear of the shin portion of the user's leg, water is naturally guided to the rear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when kicking water with a foot. As a result, the reverse propulsion force is minimized and a strong propulsion force can be obtained.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가 커플링부재(130)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했을 때 몸체부(110)는 신발(200)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수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몸체부(11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신발(200)의 상부면에 안착시켜 착용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body portion 110 rotates to the lower side around the coupling member 130, the body portion 1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200. Therefore, when not swimming, the body portion 110 can be rotated downward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200 to be worn.

커플링부재(130)는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통과한 후 신발(200)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하여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신발이 후단부 상단에 고리가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커플링부재(130)가 고리를 통과하면서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신발의 후단부 상단에 연결할 수도 있다. 또는 오리발(100)이 착용되는 신발(200)이 샌들일 경우 커플링부재(130)는 신발(200)의 후단부에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스트립을 통과하면서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신발에 연결할 수도 있다. The coupl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f a string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by pass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In this case, when the shoe is provided with a ring at the top of the rear end, the coupling member 130 may connect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while passing through the ring. Alternatively, when the shoe 200 on which the flippers 100 are worn is a sandal, the coupling member 130 passes through a strip supporting the heel at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while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is attached to the shoe. You can also connect.

이와 같이 커플링부재(130)가 줄로 이루어질 경우, 커플링부재(130)의 양단부는 일명 코드락(chord lock) 또는 스토퍼(stopper)라고 하는 공지의 길이조절장치(132)를 통과하여 결속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coupling member 130 is made of a string, both ends of the coupling member 130 may be bound by passing through a known length adjusting device 132 called a chord lock or a stopper. have.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는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200)의 후단부 쪽으로 경사지게 착용될 때 몸체부(110)의 전방부는 결속유닛(120)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단단히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body part 110 is worn obliquely toward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hin part,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110 is part of the user's leg by the binding unit 120. Is firmly fixed on.

상기 결속유닛(120)은 몸체부(110)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슬릿(113)을 통과하여 지지되는 긴 띠 형태로 되어 사용자의 정강이와 종아리 부분을 감도록 된 고정밴드(121)와, 고정밴드(121)의 양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부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122)는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한 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더욱 강한 결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공지의 버클이나 클램프기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binding unit 120 is in the form of a long band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the band slit 113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fixing band 121 configured to wind the shin and calf of the user, and , A clamping member 122 for separably coupling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121 may be provided. The clamping member 122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 Velcro tape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ut may be configured using a known buckle or clamp mechanism to obtain a stronger binding force.

상기 고정밴드(121)는 사용자의 다리 굵기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and 121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legs.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를 신발(200)의 상부면에 안착시킬 때 고정밴드(121)는 몸체부(110)를 신발(200)에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200, the fixing band 121 may be used for binding the body portion 110 to the shoe 200.

상기 고정밴드(121)는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길이 조정이 용이하도록 고무 또는 탄성체가 내재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밴드(121)는 클램핑부재(122)가 없이 양단이 일체로 연결된 원형 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The fixing band 12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elasticity, but unlike this, the fixing band 12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which rubber or an elastic body is embedded to facilitate length adjustment. In this case, the fixing band 121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out the clamping member 122.

한편 수영 시에 역추진력을 더욱 감소시키고 추진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의 양측 후방에 유연한 재질로 되어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물갈퀴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물갈퀴부(11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되어 팽창했을 때 물갈퀴부(112)가 대략 반원추형으로 되어 후방으로 물을 유도함으로써 추진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물갈퀴부(112)가 신속하게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갈퀴부(112)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reverse thrust and further increase the thrust during swimming, as shown in FIG. 7, a webbed part 112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nflated by the pressure of wat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Can be. The webbing part 112 has a shape that becomes wid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when it is expanded, the webbed part 112 becomes substantially semi-conical and guides water to the rear,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propulsion force. In order for the flippers 112 to rapidly expand and contract, the flippers 112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갈퀴부(112)가 더욱 용이하게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도록 물갈퀴부(112)는 폭방향으로 주름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webbed part 112 may have a corrugated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webbed part 112 can expand and contract more easily.

또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후방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커지는 반원추형으로 된 추진보조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진보조부(114)는 그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a propulsion auxiliary portion 114 of a semi-conical shape that increases in width while going from front to rea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Here, the propulsion aid 114 is made of a solid material so that its shape is kept constant.

한편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가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착용될 경우,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가 사용자의 정강이와 발목 부분, 뒤꿈치 부분의 표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수영을 하게 되면 몸체부(110)가 물의 저항을 받게 되고,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강한 마찰력을 가하게 된다. 이 때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물이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로 빠져나가 추진력을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개구부(111)의 내주연부에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에서부터 정강이 부분으로 밀착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질의 밀착재(11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worn oblique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shin portion of the le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is the user's shin and ankle portion, It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heel. When swimming in this state, the body portion 110 receives water resistanc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exerts a strong friction force on the user's skin. At this time, while protecting the user's skin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water escapes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user's skin, thereby losing the driving force.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occurr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ortion 110 as shown in FIGS. 7 and 8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hin portion from the heel portion of the user. An adhesive 115 made of a resin material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오리발(100)은 아치 형태의 몸체부(110)가 사용자의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므로, 수영을 할 때 물이 몸체부(110)의 경사진 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유도되어 역추진력이 최소화되고, 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영 중에 다리를 들어 올릴때는 오므려지면서 저항이 최소화되고, 다리를 내려 추진력을 얻을 때에는 펼쳐지면서 물을 후방으로 유도하여 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lipper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in the form of an arch is mount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n the shin portion of the user's leg. It is guided to the rear naturally along the photographic surface, minimizing the reverse thrust, and obtaining a strong thrust. In addition, when the leg is lifted during swimming, it is constricted and resistance is minimized, and when the leg is lowered to gain propulsion, it is unfolded and guides the water to the rear to obtain great propulsion.

또한 오리발(100)의 몸체부(110)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사용자의 다리의 정강이 부분에 착용하거나 신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오리발(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더라도 오리발(100)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of the flippers 100 can be rotated as needed to be worn on the shin of the user's leg or worn on shoes, and even when walking while wearing the flippers 100, the flippers 100 This does not interfere with walking.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발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오리발(100)은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30)가 결속유닛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도 3 내지 도 5 참조)의 오리발(100)은 결속유닛(120)으로서 고정밴드(121)가 구성되고, 고정밴드(121)는 별도로 줄로 된 커플링부재(130)가 구성되어 몸체부(110)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각각 다리의 정강이 및 종아리 상측과 신발의 후단부 상단을 연결하였다. 10 to 12 show flipp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ippers 100 of this embodiment have a coupling member 130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to serve as a binding unit. I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hat is, the flippers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S. 3 to 5) are configured with a fixing band 121 as a binding unit 120, and the fixing band 121 is a separate coupling member 130 made of a string.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the upper shin and calf of the leg, respectively,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10.

그러나, 이 실시예의 오리발(100)은 커플링부재(130)가 기다란 줄로 되어 신발(200)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하며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신발(200)의 후단부에 연결한 후, 몸체부(110)의 전방부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다리 부분(정강이 및 종아리 부분 상측)에 결속되면서 몸체부(110)를 다리에 고정하는 결속유닛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커플링부재(130)의 양단부는 코드락(chord lock) 또는 스토퍼(stopper) 구조의 길이조절장치(132)를 통과하여 결속된다.However, in the flippers 100 of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130 is formed in a long line,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and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to the rear end of the shoe 200. , While being bound to the user's leg portion (above the shin and calf portion) via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t also serves as a binding unit for fixing the body portion 110 to the leg. Both ends of the coupling member 130 are bound by passing through a length adjusting device 132 having a chord lock or stopper structure.

상기 커플링부재(130)가 몸체부(110)의 후단부와 전방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110)의 양측부에는 커플링부재(130)가 통과하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홀(117)이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지지부(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지지부(116)의 가이드홀(117) 중 하나는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가 다리에 사선 방향으로 장착될 때 커플링부재(130)를 가이드홀(117)에서 분리하여 다리에 감아서 결속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coupling member 130 to pass through the rear and front ends of the body 110, a plurality of guide holes supported while the coupling member 130 passes through both sides of the body 110 The wire support portion 116 on which the 117 is formed is integrally formed. One of the guide holes 117 of the wire support part 116 is formed to be open to the side to guide the coupling member 130 when the body part 110 is mounted diagonally to the leg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e 117 and wrapped around the leg to bind.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커플링부재(130)를 이용하여 신발의 후단부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신발에 연결하지 않고 몸체부(110)만 사용자의 다리에 결속하여 사용하거나, 몸체부(110)의 후단부를 다리의 복사뼈 부분이나 발뒤꿈치 부분에 끈이나 밴드 등으로 결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using the coupling member 130, but differently,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is not connected to the shoe. Only the body portion 110 may be used by binding to the user's leg, or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used by binding to the ankle or heel portion of the leg with a string or a ban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above. It is natural,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오리발 110 : 몸체부
111 : 개구부 112 : 물갈퀴부
113 : 밴드슬릿 114 : 추진보조부
115 : 밀착재 116 : 와이어지지부
117 : 가이드홀 120 : 결속유닛
121 : 고정밴드 122 : 클램핑부재
130 : 커플링부재 132 : 길이조절장치
200 : 신발
100: flippers 110: body
111: opening 112: webbed
113: band slit 114: promotion assistant
115: adhesive 116: wire support
117: guide hole 120: binding unit
121: fixing band 122: clamping member
130: coupling member 132: length adjustment device
200: shoes

Claims (10)

'U'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후단부가 신발의 후단부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개구부의 전방부가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 전방면에 밀착되고 후방부가 발뒤꿈치 부분 또는 신발의 후단부에 밀착되도록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의 후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착용되고,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하측으로 회전했을 때 신발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신발의 후단부에 대해 상측으로 회전하여 정강이 부분에 밀착되었을 때 몸체부를 다리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유닛;
을 포함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
It has an arch shape with an'U'-shaped opening formed,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and when the rear end of the shoe is rotated upward, the front of the opening is the user's shin. It is worn in a downward slope from the front side of the shin to the rear end of the shoe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and the rea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part or the rear end of the shoe. A body portion to be seated; And,
A binding unit for releasably bind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when the body portion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ho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nk portion;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comprising a.
'U'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전방부가 사용자의 정강이 부분 전방면에 밀착되고 후방부가 발뒤꿈치 부분 또는 신발의 후단부에 밀착되도록 정강이 부분의 전방면에서 신발의 후단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다리에 착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다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몸체부를 다리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유닛;
을 포함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
It has an arch shape with a'U'-shaped opening, and the front part of the open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hin part and the rea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part or the rear end of the shoe. A body portion worn on the leg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portion; And,
A binding unit for releasably binding the body portion to the leg while the body portion is worn on the leg;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개구부의 내주연부에서부터 몸체부의 외주연부로 만곡된 곡면으로 된 수중 레저용 오리발.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dy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curved from an inner periphery of the opening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 후방에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되어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물갈퀴부가 형성된 수중 레저용 오리발.[3]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has a webbed portion that is expanded by the pressure of wa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는 폭방향으로 주름진 형태를 갖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lippers have a corrugated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 후방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폭이 커지는 반원추형으로 된 추진보조부가 형성된 수중 레저용 오리발.[3]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ropulsion auxiliary part of a semi-conical shape is formed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body part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width is increa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슬릿을 통과한 후 사용자의 다리를 감도록 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binding unit passes through a band sli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n wraps the user's leg and detachably couples both ends of the fixing band.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comprising a clamping member to.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슬릿을 통과하여 지지되는 신축성 소재로 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감도록 된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The underwater leisure us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inding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a band sli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fixing band configured to wind the user's leg. Flipp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는 신발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하면서 몸체부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커플링부재에 의해 신발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hoe by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는 신발의 후단부 상단을 통과한 후 몸체부의 전방부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결속되면서 몸체부를 다리에 고정하는 결속유닛의 기능도 겸하는 수중 레저용 오리발.[10] The flippers for underwater leisur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upl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hoe and is bound to the leg of the user via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and also functions as a binding unit fixing the body to the leg.
KR1020200139002A 2020-10-26 2020-10-26 Swim Fin KR102230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02A KR102230707B1 (en) 2020-10-26 2020-10-26 Swim Fin
PCT/KR2020/014644 WO2022092329A1 (en) 2020-10-26 2020-10-26 Swim fin for underwater leisure activ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02A KR102230707B1 (en) 2020-10-26 2020-10-26 Swim F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707B1 true KR102230707B1 (en) 2021-03-22

Family

ID=7522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02A KR102230707B1 (en) 2020-10-26 2020-10-26 Swim Fi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0707B1 (en)
WO (1) WO202209232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93B1 (en) * 2021-05-17 2022-01-24 조국 Swim F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48Y1 (en) 2003-10-09 2004-02-18 주식회사 코머 Swimming Fins
KR100724159B1 (en) * 2005-07-15 2007-06-04 케이씨 몰드 주식회사 Shoes with webfoot
CN200970443Y (en) * 2006-10-20 2007-11-07 於孝周 Folding diving frog shoes
KR101862290B1 (en) 2018-01-12 2018-05-29 양진영 Functional shoes with Swimming fins unit
KR102007892B1 (en) 2018-09-06 2019-08-06 조국 Flipper sho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044A (en) * 2003-10-26 2005-05-19 Hideya Hashizume Walking-enable fin
KR20180003207U (en) * 2017-05-04 2018-11-14 김종수 A swimming glove forming a web membrane between each fing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48Y1 (en) 2003-10-09 2004-02-18 주식회사 코머 Swimming Fins
KR100724159B1 (en) * 2005-07-15 2007-06-04 케이씨 몰드 주식회사 Shoes with webfoot
CN200970443Y (en) * 2006-10-20 2007-11-07 於孝周 Folding diving frog shoes
KR101862290B1 (en) 2018-01-12 2018-05-29 양진영 Functional shoes with Swimming fins unit
KR102007892B1 (en) 2018-09-06 2019-08-06 조국 Flipper sho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993B1 (en) * 2021-05-17 2022-01-24 조국 Swim F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29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0247B2 (en) Flippers to wear with footwear
US4025977A (en) Angular foot fin
JPH0654927A (en) Foot fin for switching
US20090083994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Water Sports
US3239857A (en) Swim fin
TW201032865A (en) Swim fins
US11376472B2 (en) Aquatic shoes provided with a float for walking in water
US20120252289A1 (en) Swim fins
KR102230707B1 (en) Swim Fin
US20110104968A1 (en) Retractable swim fins
WO2016045444A1 (en) Rubber swimming fin
US5795204A (en) Combination water shoe and swim fin
US7048601B2 (en) Swimming flipper with blade and footwear structure
US20180199658A1 (en) Watersport sandals
US5087217A (en) Swimming shoe
US8246404B1 (en) Swim fin system
KR102354993B1 (en) Swim Fin
JP5710059B1 (en) Underwater propulsion aid and underwater clothing provided with the same
US20040209534A1 (en) Swim fin with fabric foot pocket
KR102266486B1 (en) Flipper shoes
KR100375775B1 (en) The one-way wings boot fins.
KR200207341Y1 (en) A web for swimming
JP2001522670A (en) Fin with pronation correction structure
JP3080120U (en) Footwear
US6280272B1 (en) Short motion swim f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