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389B1 -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 Google Patents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389B1
KR102230389B1 KR1020210024154A KR20210024154A KR102230389B1 KR 102230389 B1 KR102230389 B1 KR 102230389B1 KR 1020210024154 A KR1020210024154 A KR 1020210024154A KR 20210024154 A KR20210024154 A KR 20210024154A KR 102230389 B1 KR102230389 B1 KR 10223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area
mode
work area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7311A (en
Inventor
송재원
Original Assignee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389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work area is provide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witch the mode of the work are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dicating selection of a first UI object for executing a first function rather than switching to the editing mode of the work area. The step of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dit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performing the work area, and a second UI object for executing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without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of the work area.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dicating a selection,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화면 자동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 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작업 영역을 판단하여 현재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모드 또는 실행모드로 자동 전환해주는 화면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working screen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 more detail, the mode of the work area of the authoring tool for authoring digital content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is switched, and the mode of the current work area is set to the edit mode or the execution mode by determining the required work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t relates to a screen mode switching method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o.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플래쉬(Flash) 등과 같이 실행이 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저작 과정에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In the case of digital content that is executed, such as an application or flash of a smart device, a simulation step is required in the authoring process.

하지만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디지털 컨텐츠의 GUI 구성요소 편집 중 사용자의 트리거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리스폰스를 확인하려면, 별도의 인스턴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윈도우 등을 두어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과 실행을 번갈아 하기 위해, 여러 인스턴스를 사용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과 중간 산출물의 재연을 병렬적으로 진행함에 있어, 별도의 인스턴스 전환 없이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 order to check the response of the digital content by a user's trigger while editing GUI components of the digital content, a separate instance, for example, a program, a window, etc. is placed to execute the digital content. Accordingly, there was a hassle of having to use multiple instances in order for users to alternate between editing and executing digital content. Therefore,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 parallelly proceeding the editing of digital content and the replay of intermediate products,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efficiently do without a separate instance conversion.

한국공개특허 제 10-2005-011041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04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mode of a work area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for mode switching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work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없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전환함에 있어, 전환된 모드와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의 일치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witched mode and the mode desired by the user in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to the mode desired by the user without a separate input from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 영역 모드 전환 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변경시켜, 자동으로 전환된 모드에 대한 직관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ncreasing the intuitiveness of the automatically switched mode by changing the GUI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when the working area mode is switch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작업 영역 모드 전환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상기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 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면서 상기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기 실행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of switching a work area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nd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displays digital content being produced. A method performed by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that includes a region, comprising: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dicating selection of a first UI object for executing a first function rather than switching to an edit mode of the work region And converting the work area to the edit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and executing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without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of the work are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dicating selection of a second UI object for,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wherein the editing mode is the digital content It is a mode in which an object constituting the is edited, and the execution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gital content can be reproduc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을 감싸는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vert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comprises a replay area that must be secured for the digital content to be replayed, and includes displaying a frame surrounding the replay area.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의 일부만 상기 작업 영역에서 노출된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이 상기 작업 영역에 전부 표시되도록 뷰포인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vert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includes a replay area that must be secured for the digital content to be replayed, and when only a part of the replay area is exposed in the work area And changing the viewpoint so that the replay area is entirely displayed on the work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연 영역의 외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재연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오브젝트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vert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includes a replay area that must be secured for the digital content to be replayed, and when the object is located outside the replay area And displaying only the object located inside the replay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포인터가 상기 재연 영역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터가 바뀌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witching of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may include changing the pointer in response to the pointer entering the replay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하거나,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오프젝트를 편집하는 기능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adding the object to the digital content or edit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오브젝트의 동적 변경을 정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function may be a function for defining a dynamic change of the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기능은, 특히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프로토타입 툴인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프로토타입 툴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트리거를 정의하기 위하거나, 상기 트리거 발생 시 상기 오브젝트에 발현되는 리스폰스를 정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unction is, in particular, whe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a prototype tool,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s an interface of a prototype tool, to define a trigger targeting the object, or It may be a function for defining a response expressed in the object when a trigger occurs.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 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이 아닌 제 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실행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할 수 있는 상태인, 단계와 상기 재연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UI 객체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능이 정지된 UI 객체에 대한 선택을 가리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편집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편집할 수 있는 상태인,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s displayed, where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ncludes a work area displaying digital content being produced, as a method performed by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wherein the digital content is reproduc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indicating selection of a second UI object for executing a second function, which includes a replay area to be secured to be secured, and not to switch to the editing mode of the work area,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Switching the work area to an execution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switching, wherein the execution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digital content can be reproduced, and stopping a function of a UI object existing outside the reproduction area, And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indicating a selection for a UI object in which the function is stopped, the working area is switched to the editing mode, wherein the editing mode is a state in which an object constituting the digital content can be edited, May contain step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 외부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verting of the work area to an execution mode may include modifying an interfac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outside the replay area.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제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사이에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 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으로 포인터가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없이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s displayed, where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ncludes a working area for displaying digital content being produced, as a method performed by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comprising: a first area and a first area. Displaying a work area between the two areas and in response to a pointer entering the first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an edit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and In response to the pointer entering the second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an execution mode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 및 편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단위 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 상기 실행 모드 또는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switching the work area to one of an execution mode and an edit mode includes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or the editing mode when the pointer stays in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for more than a unit time. It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로서, 기존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해 별도의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GUI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실행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 모드에서 재연 영역 밖으로 뷰 포인트가 벗어난 경우, 제2 UI객체의 선택에 의해 실행 모드로 전환 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UI객체 선택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mouse over)입력에 의해,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의해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을 위한 마우스 오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의해 작업 영역의 모드가 전환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편집 모드로 전환되는 작업 영역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에 대한 선택에 의해, 재연 영역 외부의 UI객체 기능이 정지되고,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rior art, an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an exist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uses a separate instance for replay of digital content.
3 is an example of a GUI that can be displayed on a computing device that execut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working area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ork area that is switched from an execution mode to an edit mode by selection of a first UI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n a work area is an edit mode in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ork area that is switched from an edit mode to an execution mode by selecting a second UI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ork area that is switched to an execution mode by selecting a second UI object when a view point deviates from the replay area in the edi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work area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by selecting a UI objec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ork area that is switched to an edit mode by a user's mouse over input to a firs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ork area that is converted to an execution mode by a user's mouse-over input on a secon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tailed description of mouse over for mode switching of a wor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 which a mode of a work area is changed by a user's mouse-over input o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ork area that is converted to an edit mode by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outside a replay area when the work area is in an execu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a UI object function outside a replay area is stopped and a work area is switched from an edit mode to an execution mode by selection of a second UI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work area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for switching a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outside a replay area when the work area is an execu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preclude additions.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clarified.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컨텐츠란, 텍스트, 음성, 화상, 영상 등 각종 정보형태를 결합하여 디지털화 한 컨텐츠로, 컴퓨팅 기기의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는 형태의 컨텐츠로 정적 요소와 동적 요소로 구성된 형태를 의미한다. 정적 요소와 동적 요소에 대하여는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플래쉬, 동영상, 프로토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gital content refers to content obtained by combin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text, audio, image, and video, and digitized content, which is a content executed by a signal from a computing device, and refers to a form composed of static and dynamic elements. Static elements and dynamic ele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below. For example, digital content may include an application, a flash, a video, a prototype,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작업 영역이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서 제작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work area is an area that displays digital content produced by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That is, an area in which objects constituting digital content are display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below.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재연 영역이란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영역으로 실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작업 영역에서 재연 영역의 외부의 오브젝트는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요소지만, 디지털 컨텐츠가 실행될 때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play area is an area that must be secured in order to reproduce digital content, and refers to a por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an actual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In other words, objects outside the replay area in the work area are elements constituting digital content, but are not displayed when digital content is execut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3.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입력이란,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 또는 저작 단말에 대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 대해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UI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ser inpu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ignals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screen for a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or authoring terminal. For example, for a prototype authoring tool, a user can input to select a UI object using a mouse.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 및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and a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상기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폰, 노트북, PC등의 컴퓨팅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을 예시로 들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프로토타입 재생 툴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프로토타입 재생 툴은 프로토타입을 해석하고, 프로토타입에 정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실행 단말로 표현 할 수 있다.The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i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tablet, a smart phone, a notebook, and a PC, and in this specification, a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is exemplified and a prototype reproduction tool, which is user application software, is installed. The prototype reproduction tool is user application software that analyzes a prototype and implements a user interface defined in the prototype. 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expressed as an execution terminal.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폰, PC, 노트북 등의 컴퓨팅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토타입 저작 단말을 예시로 들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팅 장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인 프로토타입 저작 툴이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작 단말 또는 저작 단말로 표현 할 수 있다.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i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tablet, a smartphone, a PC, a notebook, etc.,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rototype authoring terminal is taken as an example, and a user application or a prototype of embedded software of a computing device The tools are installed. 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expressed as a production terminal or a production terminal.

한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일종의 소프트웨어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활동을 지원하는 저작 도구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실행시키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도 3)가 실행되며, 일정한 입력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고,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말이며,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생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말로 볼 수 있다.Meanwhile,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stores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capable of execut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can be viewed as a kind of software, and corresponds to an authoring tool that supports the user's digital content authoring activity. When the user executes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through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Fig. 3) is executed, digital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a certain input, and the generated digital content is a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 120) can be implemented. That is,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is a terminal that generates digital content through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nd the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can be viewed as a terminal that executes the generated digital content.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과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LAN,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 모두를 포함하며 이하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는 데스크톱, 노트북, 스마트폰, PDA,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and the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are computing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is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Here, the network includes all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wired LAN, WIFI, BLUETOOTH, and Zigbe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16 below.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ll devices such as a desktop, laptop, smart phone, PDA, and tablet PC having a network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에 접속하여 프로토타입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서버(130)에 상기 생성된 프로토타입을 업로드 할 수도 있다.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120)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서버(1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may connect to the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and upload the generated prototype to the server 130 that can download the prototype. . The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120 may directly receive from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or may receive it from the server 130.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게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200)이 디지털 컨텐츠 재연을 위해 별도의 인스턴스(220)를 사용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2 to explain differences from the prior art.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a conventional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200 uses a separate instance 220 for digital content reproduction.

종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제작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 UI객체(2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201)이 필요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별도의 인스턴스(220)를 만들어 디지털 컨텐츠의 시뮬레이션(221)을 실행하였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과 시뮬레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별도의 인스턴스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 하였다.In order to reproduce digital content produced by a conventional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 user's input 201 to the UI object 210 having a function of executing a digital content simulation is required, and a separate instance 220 in response thereto. ) To simulate digital content (221). Therefore, there was a hassle of using user input for simulation execution and a separate instance displaying the simul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한 별도의 인스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없앰으로써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효율성을 제고 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by eliminating a separate instance and user input for replaying digital cont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6.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일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장치(110)의 제조 시 기본 설치 된 소프트웨어 이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device 110 of FIG. 1.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device 110 may have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stalled.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may be software basically installed whe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device 110 is manufactured, or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by a user.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301)는 작업 영역(330)과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정적 요소를 편집하는 제1 UI객체가 위치하는 제1 영역(310) 및 상기 오브젝트(332)의 동적 요소를 편집하는 제2 영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GUI 301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area 330 and a first UI object for editing static elements of an object 332 constituting digital content. A first area 310 and a second area 320 for editing dynamic elements of the object 332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정적 요소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정적인 특징으로 재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경우, 편집모드에서 사용자가 구획하고자 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레이어를 편집하거나,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을 정적 요소의 편집이라고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atic element refers to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known without being reproduced as a static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332 constituting th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s prototype authoring tool, editing a layer that means an area to be divided by a user in the edit mode, or changing or adding an object's position is referred to as editing of a static element.

본 명세서에서 동적 요소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332)의 동적인 특징으로 재연해야 알 수 있는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경우,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인 트리거(Trigger), 트리거에 의한 프로토타입의 응답인 리스폰스(Response), 트리거와 리스폰스의 연결관계를 의미하는 인터랙션(Interaction)을 편집하고 실행하는 것을 동적 요소의 편집이라고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ynamic element refers to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known only when it is reproduced as a dynamic characteristic of an object 332 constituting digital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totype authoring tool, a trigger that is a user's input to a prototype, a response that is a response of a prototype by a trigger, and an interaction that means the connection between trigger and response. Editing and executing is called editing of dynamic elements.

이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이 프로토타이핑 툴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프로토타이핑 툴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a prototyping too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or this reas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totyping tool.

프로토타입 저작 툴(301)은 오브젝트 및 레이어 등에 대해 추가, 삭제 및 변경 등의 정적 요소의 편집을 할 수 있는 제1 영역(310)과 트리거와 리스폰스 등에 대해 추가, 삭제 및 변경 등의 동적 요소의 편집할 수 있는 제2 영역(320), 그리고 저작되는 프로토타입이 표시되는 작업 영역(330)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totype authoring tool 301 includes a first area 310 for editing static elements such as additions, deletions, and changes to objects and layers, and dynamic elements such as additions, deletions, and changes to triggers and responses. It may be composed of an interface including a second area 320 that can be edited and a work area 330 in which a prototype to be authored is displayed.

제1 영역(310)은 프로토타입의 레이어 및 오브젝트(341)의 추가, 편집 등의 기능을 하는 제1 UI객체(311, 312)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로토타입의 레이어1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 레이어1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UI객체(311)를 선택하면 작업 영역(330)에 레이어1을 표시하고, 오브젝트A(341)의 편집을 위한 UI객체(321)를 선택하면, 오브젝트A(332)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다.The first area 310 is composed of first UI objects 311 and 312 that perform functions such as adding and editing a layer of a prototype and an object 341.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display layer 1 of the prototype, if the UI object 311 having the function of displaying layer 1 is selected, layer 1 is displayed in the work area 330, and object A 341 is displayed. When the UI object 321 for editing of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edit the object A 332.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객체 선택에 의해 상기 정적 요소 편집 기능 외에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 할 수 있다. 편집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 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static element editing function, the work area may be switched to the editing mode by selecting the first UI object. The edit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below.

제2 영역(320)은 프로토타입의 트리거 및 리스폰스의 추가, 편집 등의 기능을 하는 제2 UI객체(321)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오브젝트 A에 대한 드래그(Drag) 트리거가 입력되면 오브젝트A(332)가 움직인다는 리스폰스 설정을 하고 싶은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UI객체(321)를 선택함으로써 오브젝트A(332)에 대한 트리거 및 리스폰스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cond area 320 may be composed of a second UI object 321 that functions such as adding and editing a trigger and response of a prototype. For example, if you want to set a response that object A 332 moves when a user's drag trigger on object A is input, object A 332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UI object 321 that performs the function. You can set triggers and responses for.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객체(321) 객체 선택에 의해 상기 동적 요소 편집 기능 외에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할 수 있다. 실행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dynamic element editing function, the work area may be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by selecting the second UI object 321 object. The execu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below.

작업 영역(330)은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 의해 제작되는 프로토타입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역(310)과 상기 제2 영역(320)뿐 아니라, 작업 영역(330)도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프로토타입 저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32)의 위치를 수정하고 싶은 경우, 작업 영역(330)에 위치한 오브젝트(332)를 선택하고 드래그 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재연 영역(340)를 선택하고 드래그 함으로써, 재연 영역(3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재연 영역이 작업 영역에 모두 표시 되지 않는 경우는 이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work area 330 displays a prototype produced by a prototype authoring tool. In addition, not only the first area 310 and the second area 320, but also the work area 330 may receive a user's input to perform a prototype authoring.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modify the position of the object 332, the object can be moved by selecting and dragging the object 332 located on the work area 330. In addition, by selecting and dragging the replay region 340, the position of the replay region 340 may be changed. A case in which all of the replay areas are not displayed in the work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또한, 작업 영역(330)은 편집 모드와 실행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할 수 있고,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 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GUI를 변경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4 내지 도 7 에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work area 330 may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ccording to the editing mode and the execution mode, and the GUI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may be changed to increase the user's intuitiveness when switching the work area mode. .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FIGS. 4 to 7 below.

재연 영역(340)은 프로토타입이 실행되기 위해 확보 되어야 하는 영역으로, 프로토타입이 실행되는 경우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작업 영역(330)의 모드 전환 시, 재연 영역(340)의 외부를 둘러 싸는 프레임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사용자가 작업 영역의 모드를 구분 할 수 있게 한다.The reproduction area 340 is an area that must be secured in order to execute a prototype, and when the prototype is executed, it means a por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330 is switched, a fram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play area 340 is added or deleted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mode of the work area.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work area is switched from the execution mode to the edi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제1 UI객체(311)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330a)에서 편집 모드(330b)로 전환한다.In the state where the working area of the prototyping tool is in the execution mode (330a),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UI object 311, the working area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execution mode (330a) to the editing mode (330b) do.

예를 들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상태(330a)에서, 레이어1의 표시 기능을 가진 UI객체(311)을 선택 할 경우, 사용자는 작업 영역에서 레이어 및 오브젝트의 편집을 하기 위해 편집 모드를 사용 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고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330b)로 전환한다. 만약,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이미 편집 모드인 상태(330b)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1 UI객체(311)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UI object 311 with the layer 1 display function in the working area in the execution mode (330a), the user uses the editing mode to edit layers and objects in the work area. Therefore, the work area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edit mode 330b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input from the user. If the working area of the prototyping tool is already in the editing mode 330b,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UI object 311, the mode may not be switch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에서의 포인터(402)를 다른 형상(302)으로 변경할 수 있다. 포인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에서 재연하는 프로토타입에 대한 입력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dit mode, the pointer 402 in the replay area of the execution mode may be changed to a different shape 302. By changing the pointer,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input is for the prototype reproduced in the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편집 모드로의 전환 시 작업 영역(330a)의 인터페이스 중 재연 영역(330a)의 외부를 둘러 싸고 있던 프레임(341)을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연 영역의 외부를 둘러 싸고 있던 프레임(341)은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의 형태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로 인해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작업 영역(330a)이 실행 모드이고, 실행 모드에서 프로토타입을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처럼 재연 할 수 있음을 직감 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 변경으로 인해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에 대한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witching to the editing mode of the work area, the frame 341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production area 330a among the interfaces of the work area 330a may be removed. For example, the frame 341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play area may take the form of a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Due to this, the user can intuit that the working area 330a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is in the execution mode, and in the execution mode, the prototype can be reproduced like a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By changing the interface of the work are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uitiveness of chang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서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when a work area is an edit mode in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모드의 경우, 실행 모드에서 프로토타입의 재연을 위해 표시한 재연 영역(340) 내부에 표시 되는 오브젝트(332, 333)뿐 아니라 재연 영역(340)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도 편집할 수 있어야 한다. 제1 UI객체(312, 313, 314)에 대한 선택에 의해 작업 영역(330)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실행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던 재연 영역(340)의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를 표시한다. 실행 모드에서 표시 되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하여는 이하 도 6에서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는 재연 영역(330) 외부의 오브젝트가 표시됨으로써,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edit mode, not only the objects 332 and 333 displayed in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 displayed for the reproduction of the prototype in the execution mode, but also the objects existing out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 ( 331) should also be editable. When the work area 330 is switched to the edit mode by selecting the first UI objects 312, 313, 314, the object 331 that exists outside the replay area 340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execution mode is Indicate. Objects not displayed in the execution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In addition,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work area is in the editing mode by displaying objects outside the replay area 3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브젝트A(331)를 표시하기 위해 제1 UI객체(312)를 선택하여 작업 영역(330)이 편집 모드로 전환된 경우, 재연 영역(340) 내부에 표시 되는 오브젝트(332, 333)뿐 아니라, 재연 영역(340) 외부에 위치한 오브젝트(331)와 재연 영역의 경계에 있는 오브젝트(333)의 재연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부분도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UI object 312 to display the object A 331 and the work area 330 is switched to the edit mode, the object 332 displayed inside the replay area 340 , 333), as well as a portion of the object 331 located out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 and the object 333 outside the reproduction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production region 340 is also display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로 전환 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6 and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creen in which a work area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converted to an execu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에서 실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제2 UI객체(321)에 대한 선택(302)이 있는 경우,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330a)에서 실행 모드(330b)로 전환할 수 있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work area is switched from the edit mode to the execu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state where the working area of the prototyping tool is in the editing mode (330a),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UI object 321 (302), the working area is changed from the editing mode (330a) to the execution mode (330b). You can switch.

예를 들어,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330a)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해 오브젝트A가 움직이는 인터랙션을 정의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321)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302)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선택(302) 후 작업 영역에서 상기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재연할 것 이므로, 사용자에게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고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330b)로 전환한다. 만약,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이미 실행 모드인 상태(330b)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2 UI객체(321)에 대한 선택(302)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area is in the edit mode 330a, the user's selection 302 for the second UI object 321 having a function of defining an interaction in which Object A moves in response to a user's drag input If present, the user will replay the prototype to confirm the function in the work area after the selection 302, so the work area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330b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input from the user. If, in the state 330b that the working area of the prototyping tool is already in the execution mode, the user selects 302 for the second UI object 321, mode switching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재연 영역(340)에 포인터가 진입함에 따라 포인터의 형상을 편집 모드에서의 포인터(302)와 다른 형상(40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340)에 진입함에 따라 포인터가 변경되면, 사용자는 프로토타입 실행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재연 되는 것 임을 인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the shape of the pointer may be changed to a shape 402 different from the pointer 302 in the edit mode as the pointer enters the replay area 340. When the pointer changes as the player enters the reproduction area 340 of the execution mode,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user input for the prototype executed in the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is reproduc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에 재연 영역(340)을 둘러 싸는 프레임(341)을 추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중인 프로토타입이 스마트폰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이라면, 재연 영역 외부에 스마트폰의 프레임 형태(341)을 추가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재연 영역 외부에 프레임(341)이 추가됨에 따라, 현재 작업 영역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재연 할 수 있다고 직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a frame 341 surrounding the reproduction area 340 may be added to the interface of the work area. For example, if the prototype being authored is a prototype of an application running on a smartphone terminal, a frame shape 341 of the smartphone can be added outside the replay area. As the frame 341 is added outside the replay area, the user may intui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can be replayed in the current working area.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재연 영역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해 표시하지 않는 경우와 뷰포인트의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objects outside the reproduction area are not displayed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and the viewpoint is chang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프로토 타입 실행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만 재연하므로,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프로토타입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재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330b)로 전환된 경우,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는 표시 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재연 영역(340b) 외부의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작업 영역(340b)이 실행 모드임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execution mode reproduces only the area displayed by the prototype execution terminal, it is not necessary to reproduce the prototype interface existing outside the reproduction area 340b. Accordingly,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330b, objects existing outside the replay area 340b are not displayed. In addition,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work area 340b is an execution mode by not displaying an object outside the reproduction area 340b.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a)이 편집 모드일 때에는 재연 영역(340a) 내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2a), 재연 영역(340a)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1), 재연 영역(340a)의 경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3a)를 표시한다. 이후,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 하면, 실행 모드의 재연 영역(340b) 외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1)는 표시 하지 않고, 재연 영역(340b) 내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332b)는 표시하며, 재연 영역(340b)의 경계에 위치하는 오브젝트(333b)는 재연 영역(340b)에 속하는 일부만 표시한다.For example, when the working area 330a is in the editing mode, the object 332a located inside the replay area 340a, the object 331 located outside the replay area 340a, and the boundary of the replay area 340a The located object 333a is displayed. Thereafter,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the object 331 existing out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b of the execution mode is not displayed, and the object 332b existing in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b is displayed, and the reproduction is performed. The object 333b position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340b displays only a part of the reproduction region 340b.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프로토타입을 재연해야 하므로, 프로토타입의 재연을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340b) 전부가 디스플레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편집 모드에서 재연 영역(340a) 밖으로 뷰 포인트가 벗어난 경우,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할 때 작업 영역(330a)의 뷰 포인트를 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b)의 뷰포인트가 재연 영역(340b)의 중심에 맞춰진 경우 재연 영역(340b)은 작업 영역(330b)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행 모드로 전환 시, 작업 영역(330b)의 뷰포인트는 재연 영역(340b)을 전부 표시하도록 맞춰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execution mode, since the prototype must be reproduced, all of the reproduction areas 340b to be reserved for the reproduction of the prototype must be displayed. Therefore, when the view point deviates from the replay area 340a in the edit mode, the view point of the work area 330a may be changed when the work are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viewpoint of the work area 330b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replay area 340b, the replay area 340b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ork area 330b. Accordingly, when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the viewpoint of the work area 330b is adjusted to display all of the replay area 340b.

예를 들어, 작업 영역(330a)에서 오브젝트(331)를 재연 영역(340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편집 하면, 해당 오브젝트(331)에 뷰포인트가 맞춰짐에 따라 재연 영역(340a)이 작업 영역(330a)에 전부 표시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프로토타입의 동적 편집을 위한 제2 UI객체(321)의 선택(302)에 따라 작업 영역(330a)의 모드 전환이 발생하면, 재연 영역(340a)을 작업 영역(330a)이 전부 표시하도록 뷰 포인트를 변경한다. 만약, 도 6과 같이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330a)이 재연 영역(340a)을 전부 표시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의 모드가 전환되더라도 뷰 포인트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bject 331 is edited to be located outside the reproduction region 340a in the working region 330a, the reproduction region 340a becomes the working region ( 330a) may not be displayed at all.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when mode switching of the work area 330a occurs according to the selection 302 of the second UI object 321 for dynamic editing of the prototype, the reproduction area 340a is changed to the work area 330a. Change the viewpoint so that all of the) are displayed. If, as shown in FIG. 6, the working area 330a of the prototyping tool displays all the reproduction areas 340a, the view point may not be changed even if the mode of the working area 330a is chang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utomatic mode switching of a work area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작업 영역에 대한 입력이나, 제1 UI객체나 제2 UI객체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a UI object of a GUI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S510). For example, it may be an input for a work area or an input for a first UI object or a second UI object.

단계 S520에서, 사용자가 정적 요소의 편집을 위해 제1 UI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기능을 수행한 후 편집된 디지털 컨텐츠를 확인하거나 상기 제1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자동으로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S52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In step S520, as the user selects the first UI object for editing the static element, the user has the possibility to check the edited digital content after performing the function or to perform an edit similar to the function of the first UI object. high. Accordingly,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edit mode (S521).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lready in the edit mode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a separate mode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와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522).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dit mode, the interface between the pointer and the work area can b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S522).

단계 S530에서, 사용자가 동적 요소의 편집 위해 제2 UI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기능을 수행한 후,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의도한 트리거의 발생시 올바른 리스폰스를 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제2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작업 영역의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모드로 전환한다(S53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실행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In step S530,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UI object for editing the dynamic element, the user performs the above function and then executes the digital content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orrectly responds when a trigger intended by the user occurs. , It is highly possible to perform editing similar to the function of the second UI object. Therefore,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S531).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lready in the execution mode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a separate mode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의 형상과 작업 영역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다(S532).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xecution mod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pointer and the interface of the work area (S532).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 모드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재연 영역에 뷰 포인트를 맞추고, 재연 영역 내의 오브젝트만 표시할 수 있다(S532).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execution mode must be able to reproduce digital content, the viewpoint may be aligned with the reproduction area to be secured to reproduce the digital content, and only objects in the reproduction area may be displayed (S532).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mode switching of the above-described work area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이하,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상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마우스 오버(mouse over)에 의해 작업 영역의 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mode of a work area by a mouse over a specific area on a GUI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포인터가 제 1영역(310)과 제 2영역(320)중 어느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제 1영역(310)과 제 2영역(320) 사이에 작업 영역(330)이 위치하도록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영역, 제 2영역, 작업 영역을 수평으로 배열했으나,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디지털 컨텐츠의 예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in order to accurately distinguish which region the pointer enters between the first region 310 and the second region 320, the first region 310 and the second region 320 are The GUI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ork area 330 is positioned therebetween. In FIG. 3,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work area are arranged horizontally,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GUI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arrangements. Hereinafter,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using a prototype.

도 9를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330a), 프로토타입의 정적 요소를 편집 할 수 있는 제1 영역(31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를 하면, 사용자가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UI객체를 선택하기 전이라도 정적 요소를 편집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31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가 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을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working area is in the execution mode (330a), when the user hovers over the first area 310 where static elements of the prototype can be edited (302a, 302b), the user It can be predicted to edit the static element even before selecting the first UI object existing in the. Therefore, when the mouse-over 302a and 302b occurs in the first area 310, the working area 330a is switched to the editing m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집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둘러 싸던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마우스 포인터(302c)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in FIG. 4, when switching to the edit mode, the fram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production area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is deleted or the mouse pointer 302c is changed. You can increase your intuition.

도 10을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경우(330a), 프로토타입의 동적 요소를 편집 할 수 있는 제 2영역(32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를 하면, 사용자가 제2 영역(320)에 존재하는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전이라도 동적 요소를 편집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320)에 마우스 오버(302a, 302b)가 되는 경우, 작업 영역(330a)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working area is in the edit mode (330a), when the user hovers (302a, 302b) on the second area 320 in which dynamic elements of the prototype can be edited, the user Even before selecting the second UI object existing at 320, it can be predicted to edit the dynamic element. Therefore, when the mouse-over 302a and 302b occurs in the second area 320, the work area 330a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6 및 7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프레임으로 둘러 싸거나, 마우스 포인터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in FIGS. 6 and 7 above, when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the user's intuitiveness for mode switching is improved b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eproduction area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with a frame or changing the mouse pointer. You can increase it.

하지만, 상기 포인터가 진입하는 영역만 고려하여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한다면, 사용자가 상기 진입하는 영역을 지나쳐 다른 영역의 UI객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However,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switched by considering only the area to which the pointer enters, when the user tries to select a UI object in another area by passing the area to ent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unnecessary mode switching different from the user's intention occurs. high.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포인터(302a, 302b, 302b)가 머물고 있는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인 경우, 포인터의 이동 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린 경우 및 포인터가 머물고 있는 위치의 좌표 등을 고려하여 작업 영역의 화면 전환을 수행 한다면 불필요한 모드 전환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 기준속도 및 특정 위치의 좌표는 사용자가 지정한 값일 수 있고, 사용자의 데이터를 이용한 평균값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연산 및 통계를 통해 정해질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me at which the pointers 302a, 302b, 302b stay in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is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movement speed of the pointer is s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the pointer stays If the screen change of the work area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oordinates of the existing loc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unnecessary mode change. The reference time, reference speed, and coordinates of a specific location may be values designated by the user, and may be average values using user dat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ermined through various calculations and statistics.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할 때, 사용자 제 2영역(320)이 아닌 다른 영역(350)에 가기 위해 제2 영역(320)을 지나친 경우, 제2 영역(320)에 마우스가 진입함에 따라, 작업 영역(330)을 실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 경우, 포인터(302a, 302c)는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제2 영역으로 진입한 포인터(302a, 302b)와 달리 기준 속도 이상으로 제2 영역(320)을 지나칠 것이다. 따라서 작업 영역(330)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user passes the second area 320 to go to an area 350 other than the second area 320, as the mouse enters the second area 320, , It is not efficient to switch the work area 330 to the execution mode. In this case, the pointers 302a and 302c will pass the second area 320 at a reference speed or higher, unlike the pointers 302a and 302b, which have entered the second area to select the second UI object. Therefore, the conversion of the work area 330 to the execution mode does not occur.

하지만, 사용자가 제2 UI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제2 영역(320)에 마우스 오버를 한 경우(302a, 302b), 제2 영역 에서의 포인터의 이동 속도는 기준 속도보다 낮고, 제2 영역(320)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문다. 따라서, 작업 영역(330)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However, when the user hovers over the second area 320 to use the second UI object (302a, 302b),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er in the second area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the second area 320 ) For more than the standard time. Accordingly, the work area 330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이하,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의 모드가 전환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witching a working area mod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ccording to a user's mouse-over input o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의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610).Referring to FIG. 12,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a UI object of a GUI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S610).

단계 S620에서 오브젝트의 정적 요소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제1 UI객체들이 있는 제1 영역에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21).In step S620, when there is a mouse-over input from the user in the first area containing the first UI objects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the static element of the object, the work area is automatically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select the first UI objec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edit mode (S621).

예를 들어, 단계 S620에서 레이어 추가를 위한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제1 영역에 포인터가 진입한 경우, 작업 영역은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21).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inter enters the first area to select a UI object for layer addition in step S620, the work area may be switched to the edit mode (S621).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lready in the edit mode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a separate mode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 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622).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dit mod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by changing the pointer and the GUI of the work area (S622).

한편, 단계 S630에서 오브젝트의 동적 요소를 편집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들이 있는 제2 영역에 사용자의 마우스 오버 입력이 있는 경우, 제2 UI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31).On the other hand, in step S630, when the user's mouse-over input is in the second area with the second UI objects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the dynamic element of the object,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select the second UI object. The region can be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S631).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리스폰스를 추가하기 위한 UI객체의 선택을 위해 제2 영역에 포인터가 진입한 경우, 작업 영역은 실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편집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inter enters the second area to select a UI object for adding an object response, the work area may be switched to an execution mode.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lready in the edit mode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a separate mode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632).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xecution mod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by changing the pointer and changing the GUI of the work area (S63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행 모드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디지털 컨텐츠 실행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재연 영역에 뷰 포인트를 맞추고, 재연 영역 내의 오브젝트만 표시할 수 있다(S632).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execution mode should be capable of replaying digital content, the viewpoint may be aligned with a replay area such as a display screen of a digital content execution terminal, and only objects within the replay area may be displayed (S632).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mode switching of the above-described work area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301)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 자동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디지털 컨텐츠의 예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3 to 15, when the working area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301 is in the execution mode, a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working area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to switch the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outside the replay area Explain about. Hereinafter,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 will be described using a prototype.

도 13을 참조할 때,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프로토타입 저작 툴(301)의 재연 영역(340)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입력(302)을 받아 작업 영역(330)을 편집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 모드에서는,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저작을 할 수 없고, 재연 영역(340) 내에서 프로토타입의 재연만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work area is in the execution mode, an input 302 for an area other than the reproduction area 340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301 is received and the work area 330 is switched to the editing mode. Therefore, in the execution mode, the user cannot create a prototype using the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340, and can only reproduce the prototype within the replay area 3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프로토타입 저작 툴에서 재연 영역(340) 외부의 GUI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재연 영역 외부를 어둡게 처리 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흐릿한 표시, 블러(BLUR) 표시, 초점을 흐리는 표시 등을 통해 재연 영역(340)과 구별되고, 재연 영역(340) 외부 GUI가 비활성화 되었음을 직관할 수 있는 표시를 모두 포함한다. 재연 영역(340) 외부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 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work area is in the execution mode, a GUI outside the reproduction area 340 may be changed in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For example, FIG. 13 shows that the outside of the replay area is darke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replay area 340 through a blurry display, a blur display, and a defocused display, and the replay area ( 340) Includes all indications that can intuitively indicate that the external GUI has been deactivated. By changing the GUI outside the replay area 340,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inform the user that the function of the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340 is deactivated.

따라서, 재연 영역(340) 외부 UI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302)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실행 모드를 끝내고 프로토타입의 GUI를 편집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므로, 자동으로 작업 영역(330)은 편집 모드로 전환된다.Therefore, when there is a user's input 302 for an external UI object in the replay area 340, the user has the purpose of ending the execution mode and editing the GUI of the prototype. Is converted to.

도 14을 참조하여 프로토타이핑 툴의 작업 영역이 편집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UI객체(321)를 선택(302)하여, 실행 모드로 전환된 경우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14, a case in which the user selects 302 the second UI object 321 in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area of the prototyping tool is in the editing mode, and is converted to the execution mode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드래그가 트리거로 입력되면 오브젝트A가 움직이는 리스폰스를 하는 인터랙션을 정의하는 기능을 가진 제2 UI객체(32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302)이 있는 경우, 작업 영역은 실행모드로 전환된다. 실행 모드의 경우 재연 영역에서 프로토타입을 재연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재연 영역 외부의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켜도 프로토타입을 재연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고, 재연 영역 외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재연 영역에 집중 할 수 있어, 작업 영역의 실행 모드로의 전환에 대한 직관성이 높아진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user input 302 for the second UI object 321 having a function of defining an interaction that responds to the movement of object A when the user's drag is input as a trigger, the work area is in the execution mode. Is converted to. In the case of execution mode, since the purpose of replaying the prototype in the replay area,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reproducing the prototype even if the function of the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is deactivated, and as the function outside the replay area is deactivated, the user The ability to focus on the replay area increases the intuitiveness of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of the work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6 및 7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 모드로 전환 시 프로토타입 저작 툴의 재연 영역 외부를 프레임(341)으로 둘러 싸거나, 마우스 포인터(302, 402) 변경을 함으로써, 모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in FIGS. 6 and 7 above, when switching to the execution mode, the outside of the reproduction area of the prototype authoring tool is surrounded by a frame 341 or the mouse pointers 302 and 402 are changed, The user's intuitiveness to mode switching can be improv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의 사용자 입력을 제한함에 따라 모드를 전환시키는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a user input outside a replay area when a working area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an execution mode.

도 15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편집 모드로 실행 한다(S701).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을 시작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처음 실행 시킨 경우, 사용자는 먼저 디지털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추가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GUI를 편집한다. 따라서, 초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은 편집 모드로 시작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executes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n the editing mode (S701). When the user first runs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to start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he user first edits the GUI of the digital content by adding an object constituting the digital content. Therefore, the working area of the initial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starts in the editing mode.

단계 S702에서, 사용자가 동적 요소를 편집하기 위해 제2 UI객체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사용자가 의도한 트리거에 대한 올바른 리스폰스를 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제2 UI객체의 기능과 유사한 편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을 실행 모드로 전환한다(S703). 만약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전, 작업 영역의 모드가 이미 실행 모드인 경우 별도의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을 수 있다.In step S702,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UI object to edit the dynamic element, the user executes the digital content and checks whether the digital content correctly responds to the user's intended trigger, or the function of the second UI object. It is likely to perform an edit similar to that of. Accordingly, the working area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mode (S703). If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already in the execution mode before receiving the user's input, a separate mode conversion may not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실행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다(S704).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xecution mod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by changing the pointer and changing the GUI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S704).

또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이 실행 모드인 경우,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실행 모드에서 사용자는 재연 영역의 내부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 하므로,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의 기능을 비활성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연 영역에 집중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orking area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in the execution mode, a function of a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may be deactivated. In the execution mode, the user replays the digital content inside the replay area, so by de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the user can concentrate on the replay area.

단계 S705에서 재연 영역 외부 UI객체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디지털 컨텐츠 GUI를 편집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으므로,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작업 영역을 다시 편집 모드 전환한다.When there is an input for a UI object outside the replay area in step S705, the user intends to edit the digital content GUI again, and thus the working area of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is switched back to the editing m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영역의 모드를 편집 모드로 전환한 경우, 포인터를 변경하고 작업 영역의 GUI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모드 전환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S7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of the work area is changed to the edit mod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mode change by changing a pointer and a GUI of the work area (S706).

상기 설명한 작업 영역의 자동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mode switching of the above-described work area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구성을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6,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도 1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디스플레이(8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 스토리지(805)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110)은 제작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of FIG. 1 may include a processor 801, a memory 802, a display 803, a network interface 804, and a storage 805.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110 may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of the production terminal 110.

프로세서(801)는 제작 단말(11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8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작 단말(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cessor 8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anufacturing terminal 110. The processor 801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ny type of processor well known in the art. Also, the processor 801 may perform an oper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terminal 11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메모리(802)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80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수행하기 하여 스토리지(805)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806)을 로드(Load)할 수 있다.The memory 802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instruction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802 may load one or more programs 806 from the storage 805 by perform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method of an interfa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803)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GUI상에서 레이어를 편집하기 위한 UI객체, 트리거와 리스폰스를 편집하기 위한 UI객체, 저작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 및 재연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803 may include an output module that displays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of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The display device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by displaying a UI object for editing a layer on a GUI, a UI object for editing triggers and responses, a work area displaying a digital content to be authored, and a reproduction area.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803)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단말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출력부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태블릿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 이거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803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output unit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For example, it may be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 keyboard, or a tablet, or a user's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제작 단말(11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각종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804 supports wired/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manufacturing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804 may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ther than Internet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network interface 80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4)는 인터넷을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 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행 단말(120)은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디지털 컨텐츠 상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804 may transmit the digital content of the interface generated through the Internet to the execution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execution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received digital content and display an object on the displayed digital content.

스토리지(805)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805)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805 may non-temporarily store data or the lik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storage 805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OM (Read 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flash memory, etc.,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we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know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스토리지(80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806)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프로그램(806)의 예시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소프트웨어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805)에 실행 단말(120)로부터 수신되거나, 제작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컨텐츠 저작을 위한 입력 사항 및 각종 설정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805 may store one or more programs 806 for performing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digital content authoring software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ogram 806. In FIG. In the storage 805, input items for digital content creation and various setting items received from the execution terminal 120 or input from the user of the production terminal 110 may be stored.

상기에서 제작 단말(1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실행 단말(12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실행 단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작 단말(110)에 대한 설명 중,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에 관련된 실시예는 실행 단말(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행 단말(120)은 상기 제작 단말(110)의 각 구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duction terminal 110 have been mainly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 is the same for the execution terminal 120 when the execution terminal 120 performs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a way. That 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ion terminal 110,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execution of digital cont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execution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execution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including each component of the production terminal 110.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can be performed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implemented in computer-readable cod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transmitted from a first computing device to a second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in the second computing device, thereby being used in the second computing device. The first computing device and the second computing device include all of a server device, a physical server belonging to a server pool for cloud services, and a fixed computing device such as a desktop PC.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The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DVD-ROM or a flash memory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17)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내에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작업 영역 내에는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이 표시되고, 상기 작업 영역은 복수의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되며,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가 재연되는 재연 영역을 포함함 - ;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1 UI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되,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 전환이 아닌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Displaying a working area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Objects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being authored are displayed in the working area, the working area is switched between a plurality of modes, and the working area is -Includes replay area where digital content is replayed;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user selection for a first UI object for executing a first function, wherein the first function is not a mode change of the work area
Contain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들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한 실행 모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n editing mode for editing the digital content and an execution mode for replaying the digital content,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객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정적인 특징을 수정하기 위한 복수의 UI 객체들 중 하나이고,
상기 작업 영역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UI object is one of a plurality of UI objects for modifying a static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ing area includes switching the working area to the editing mod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 객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동적인 특징을 수정하기 위한 복수의 UI 객체들 중 하나이고,
상기 작업 영역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UI object is one of a plurality of UI objects for modifying a dynamic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includes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을 저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동적인 특징을 수정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UI 객체들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입에 포함된 객체에 트리거 또는 리스폰스를 할당하기 위한 UI 객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is an interface for authoring a prototype of an application,
The plurality of UI objects for modify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include a UI object for assigning a trigger or response to an object included in the prototype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한 실행 모드로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연 영역 외부의 영역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Switching a mode of the work area to an execution mode for re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Displaying an area outside the replay area in an inactive state
Contain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재연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제1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들 중 상기 재연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제2 객체를 감추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Displaying a first object located inside the reproduction area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And
Hiding a second object located outside the replay area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digital content
Contain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포인팅 수단이 상기 재연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팅 수단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execution mode,
In response to detecting that the pointing means enter the replay area, changing the shape of the pointing means,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내에,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작업 영역 내에, 상기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한 재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재연 영역의 외부에서의 사용자 입력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 work area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being authored;
Displaying, in the work area, a replay area for replaying the digital content being authored; And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user input outside the replay area
Contain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 영역의 외부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작업 영역의 상기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이 아닌 것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input sensed outside the replay area is not an input for switching the mode of the work area,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재연 영역 외부의 영역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Displaying the reenactment area includes displaying an area outside the reenactment area in an inactive stat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by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Displaying, in the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work area displaying the digital content being authored;
Switching the work area to a first mode in response to detecting a user input within the first area;
In response to detecting a user input in the second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a second mode
Contain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내부로 포인팅 수단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response to detecting a user input within the first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first mode,
In response to detecting that a pointing means enters the first area from outside the first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a first mod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response to detecting a user input within the first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first mode,
In response to detecting a user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first area, switching the work area to the first mod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재연하기 위한 실행 모드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mode is an editing mode for editing the digital content,
The second mode is an execution mode for replaying the digital content,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저작 중인 디지털 컨텐츠의 재연을 위한 재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Displaying, in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 replay area for replaying the digital content being authored
Further comprising,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저작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content authoring interf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is recorded.
KR1020210024154A 2021-02-23 2021-02-23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KR102230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54A KR102230389B1 (en) 2021-02-23 2021-02-23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54A KR102230389B1 (en) 2021-02-23 2021-02-23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20A Division KR102221683B1 (en) 2018-10-16 2018-10-16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11A KR20210027311A (en) 2021-03-10
KR102230389B1 true KR102230389B1 (en) 2021-03-22

Family

ID=7514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54A KR102230389B1 (en) 2021-02-23 2021-02-23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3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07B1 (en) 2021-07-09 2022-09-26 박재범 Composing method for multimedia works using touch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05A1 (en)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edi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417A (en) 2004-05-19 2005-11-23 이은혜 The building web page method using layer of funcion
KR101559172B1 (en) * 2008-11-14 2015-10-1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Tool for Program Writing using Intuitive User Interface
KR101271539B1 (en) * 2011-06-03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07B1 (en) 2021-07-09 2022-09-26 박재범 Composing method for multimedia works using touch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311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1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30389B1 (en)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US7765491B1 (en) User interface widget for selecting a point or range
AU201335548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4633B1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source device thereof
KR102064952B1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pplication using received data
RU2658176C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791465B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text
KR20190039564A (en) Customizing dynamic feature columns
US20140313127A1 (en) Method for Calling Application Object and Mobile Terminal
CN108334371B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object
US20120159362A1 (en) User Interface Construction
US11604580B2 (en)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EP321151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11256388B2 (en) Merged experience of reading and editing with seamless transition
KR20140072731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CN1040078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JP200428077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pplication in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30212526A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ppl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29516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avigation among applications
KR102221683B1 (en) Method For Switching Mode In Digital Content Authoring Tool
WO2021027485A9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42902A (en) Feedback for lasso selection
US1196592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adverse device conditions
KR2019002101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